KR101299396B1 - 건설기계 분산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건설기계 분산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9396B1
KR101299396B1 KR1020060101102A KR20060101102A KR101299396B1 KR 101299396 B1 KR101299396 B1 KR 101299396B1 KR 1020060101102 A KR1020060101102 A KR 1020060101102A KR 20060101102 A KR20060101102 A KR 20060101102A KR 101299396 B1 KR101299396 B1 KR 1012993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information packet
control information
instrument
wireless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11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35037A (ko
Inventor
장혁
Original Assignee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011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9396B1/ko
Publication of KR200800350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50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93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93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025Particular purposes of control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2F9/205Remotely operated machines, e.g. unmanne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60Y2200/412Excava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peration Control Of Excavator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설기계 분산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계기 제어에 해당하는 명령과 주 제어에 해당하는 명령을 분리하여 각 부에서 처리되도록 함으로서 주 제어장치의 부하가 분산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에러 발생시 에러 부분을 용이하게 파악하고 처리할 수 있게 된다.
분산제어, 계기, 무선 통신단말기, 원격

Description

건설기계 분산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Distributed control system for construction equipment and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건설기계 분산제어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건설기계 분산제어시스템의 동작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무선 통신단말기 110 : 분산 제어장치
111 : 저장부 112 : 무선 통신부
113 : 패킷 유효성 판단부 114 : 계기 제어부
115 : 통신 모듈 120 : 주 제어장치
121 : 주 제어부 122 : 저장부
본 발명은 건설기계 분산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설기계를 제어하는 명령을 계기 제어에 해당하는 명령과 주 제어에 해당하는 명령으 로 분리하여 역할을 분산하는 건설기계 분산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굴삭기 등의 건설기계는 산악지대와 같은 위험한 장소에서도 작업을 수행하게 되는데, 상기와 같은 장소에서는 작업을 수행하다가 건설기계가 전락되거나 또는 건설기계 자체의 이상에 의해 운전자에게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위치, 주변환경 및 조건 등에 따라 운전자가 건설기계에 탑승하여 작업을 수행하기에는 무리가 따른다.
이에 운전자가 건설기계에 탑승하지 않고도 건설기계를 제어하는 원격제어시스템이 이용되고 있다. 원격제어시스템은 운전자가 안전한 장소에서 무선 통신단말기를 통해 건설기계에 제어명령을 전달하여 제어명령에 해당하는 작업이 수행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원격제어시스템에서는 운전자가 건설기계에 탑승하지 않고도 운전자가 건설기계에 탑승한 것처럼 건설기계를 제어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된다.
일반적인 원격제어시스템에서 건설기계에 전달되는 제어명령은 건설기계의 주 제어부에 전송되고, 전송된 제어명령에 따라 주 제어부는 각 부를 제어하여 전달된 제어명령이 수행되도록 한다. 그러나 주 제어부에서 모든 명령을 전송받고, 전송받은 제어명령이 수행됨에 따라 주 제어부에는 과부하가 걸리게 되고, 그에 따라 처리속도가 느려지거나 에러 발생률이 증가하게 된다. 또한 에러 발생시 에러가 발생한 부분을 파악하기 힘들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건설기계를 제어하는 명령을 계기 제어에 해당하 는 명령과 주 제어에 해당하는 명령으로 분리하여 각 부에서 명령에 해당하는 처리를 하는 건설기계 분산제어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건설기계 분산제어시스템은, 입력된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건설기계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명령이 포함된 제어정보 패킷을 생성하여 무선 통신을 통해 송신하고, 외부에서 수신되는 정보를 화면상에 표시하는 무선 통신단말기(100); 건설기계에 구비되어 상기 무선 통신단말기(100)가 송신한 제어정보 패킷을 수신하고, 수신한 제어정보 패킷 내의 제어명령이 계기 제어에 해당하는 제어명령인 경우에는 상기 제어명령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에 상기 수신한 제어정보 패킷을 전송하는 분산 제어장치(110); 및 상기 분산 제어장치(110)가 전송하는 제어정보 패킷을 수신하고, 수신한 제어정보 패킷 내의 제어명령에 따른 구동을 제어하여 상기 건설기계가 해당하는 작업을 수행하도록 하는 주 제어장치(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분산제어장치(110)는; 상기 건설기계의 고유번호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111); 상기 무선 통신단말기(100)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부(112); 상기 건설기계 주 제어장치(12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모듈(115); 상기 무선 통신부(112)를 통해 수신한 제어정보 패킷 내의 고유번호와 상기 저장부(111)에 저장된 고유번호와의 일치 여부에 따라 상기 수신한 제어정보 패킷이 유효한 제어정보 패킷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패킷 유효성 판단부(113); 및 상기 패킷 유효 성 판단부(113)의 판단결과 상기 제어정보 패킷이 유효한 경우, 상기 제어정보 패킷 내의 제어명령이 계기 제어에 해당하는 제어명령인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계기 제어명령일 경우에 해당하는 키 신호를 발생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에 상기 수신한 제어정보 패킷을 상기 통신모듈(115)을 통해 상기 주 제어장치(120)로 전송하는 계기 제어부(114);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산제어장치(110)는; 복수의 키 스위치를 구비하고 계기 정보를 표시하는 계기 패널(116)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계기 제어부(114)는 상기 발생한 키 신호에 해당하는 계기 정보가 상기 계기 패널(116)에 표시되도록 하고, 상기 계기 패널(116)에 표시되는 계기 정보를 상기 무선 통신부(112)를 통해 상기 무선 통신단말기(100)로 전송하여 상기 무선 통신단말기(100)가 계기 정보를 화면상에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산제어장치는; 복수의 키 스위치를 구비하는 계기 패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계기 제어부는 상기 발생한 키 신호에 해당하는 계기 정보가 상기 계기 패널에 표시되도록 하고, 상기 계기 패널에 표시되는 계기 정보를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상기 무선 통신단말기로 전송하여 상기 무선 통신단말기가 계기 정보를 화면상에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건설기계 분산제어방법은, 무선 통신단말기(100)가 사용자 명령을 제어정보 패킷으로 생성하여 송신하는 단계; 분산 제어장치(110)가 상기 제어정보 패킷을 수신하고, 수신한 제어정보 패킷 내의 제어명령이 계기 제어명령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 계기 제어명령일 경우에 해당 계기 제어명 령에 따른 키 신호를 발생하여 화면상에 계기 정보가 표시되도록 하고, 상기 판단 결과 계기 제어명령이 아닐 경우에 상기 제어정보 패킷을 주 제어장치(120)로 전송하여 주 제어장치(120)가 상기 제어정보 패킷 내의 제어명령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분산 제어장치(110)가 상기 제어정보 패킷을 수신하고, 수신한 제어정보 패킷 내의 제어명령이 계기 제어명령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분산 제어장치(110)가 수신한 제어정보 패킷이 유효한 제어정보 패킷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효한 제어정보 패킷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정보 패킷 내의 고유번호와 미리 저장된 고유번호가 일치하고, 상기 제어정보 패킷을 수신한 시각을 확인하여 상기 제어정보 패킷 내의 송신 시각정보와의 시간차가 미리 설정해 놓은 시간 이내에 상기 제어정보 패킷이 수신된 경우 상기 유효한 제어정보 패킷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건설기계 분산제어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건설기계 분산제어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이는 구 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무선 통신단말기(100)와, 분산 제어장치(110)와, 주 제어장치(120)를 포함한다. 무선 통신단말기(100)와 건설기계의 분산 제어장치(110)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다. 분산 제어장치(110)는 건설기계의 고유번호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111)와, 무선 통신단말기(100)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부(112)와, 주 제어장치(120)의 주 제어부(121)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모듈(115)과, 무선 통신부(112)를 통해 수신한 제어정보 패킷이 유효한 제어정보 패킷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패킷 유효성 판단부(113)와, 패킷 유효성 판단부의 판단 결과 유효한 제어정보 패킷인 경우에 상기 제어정보 패킷 내의 제어명령이 계기 제어에 해당하면, 해당하는 제어명령에 따른 키 신호를 발생하고, 계기 제어에 해당하지 않으면 상기 제어정보 패킷을 통신 모듈(115)을 통해 주 제어부(121)에 전송하는 계기 제어부(114)로 구성된다.
무선 통신단말기(100)는 운전자가 원격제어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고, 제어명령을 입력하는 경우에 제어정보 패킷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한 제어정보 패킷을 무선으로 전송한다. 무선 통신단말기(100)는 노트북 등이 될 수 있다. 무선 통신단말기(100)는 자기를 식별하는 ID 인 IP 어드레스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무선 통신단말기(100)의 ID는 건설기계에 복수 개가 저장되어 있어, 상기 건설기계는 제어를 하는 무선 통신단말기(100)를 판별할 수 있게 된다.
저장부(111)는 건설기계의 고유번호를 저장한다. 또한, 저장부(111)는 무선 통신단말기의 식별ID를 복수 개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계기 제어 부(114)는 다수의 무선 통신단말기와 무선통신을 수행할 때, 무선 통신단말기가 가지는 식별 ID로 제어를 하는 무선 통신단말기를 판별하게 된다.
무선 통신부(112)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무선 통신단말기(100)와 접속하고, 상기 무선 통신단말기(100)가 전송한 제어정보 패킷을 계기 제어부(114)로 전송한다.
패킷 유효성 판단부(113)는 상기 무선 통신부(112)를 통해 수신한 제어정보 패킷이 유효한 제어정보 패킷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패킷 유효성 판단부(113)는 상기 무선 통신부(112)를 통해 수신한 제어정보 패킷 내의 고유번호와 상기 저장부(111)에 저장된 고유번호와의 일치하는지를 판단한다. 또한, 패킷 유효성 판단부(113)는 상기 고유번호의 일치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제어정보 패킷을 수신한 시각을 확인하여 상기 제어정보 패킷 내의 송신 시각정보와의 시간차가 미리 설정해 놓은 시간 이내인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미리 설정해 놓은 시간 내에 수신한 제어정보 패킷인 경우에 유효한 제어정보 패킷으로 판단한다. 상기 시각정보를 제어정보 패킷에 포함하여 유효한 제어정보 패킷인지 판단하는 이유는 통신장애 등으로 관리 서버가 전송한 제어정보 패킷이 제시간에 도착하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계기 제어부(114)는 상기 패킷 유효성 판단부(113)의 판단 결과 유효한 제어정보 패킷인 경우에 상기 제어정보 패킷 내의 제어명령이 계기 제어에 해당하는 제어명령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계기 제어명령인 경우 제어명령을 저장부(111)에 저장하고, 저장한 제어명령에 해당하는 동작이 수행되도록 한다. 좀 더 상세히 설 명하면, 계기 패널(116)에서 키스위치(미도시)를 포함한다. 키스위치란, 예컨대 건설기계의 작업모드, 주행모드 등의 작업모드를 작업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계기 패널(116) 상에 구비된 전기적 스위치를 가리킨다. 운전자는 상기 키스위치를 통해 작업모드를 변경하거나 유량 조절 등을 할 수 있고, 선택된 모드가 계기 패널(116)에 표시됨으로써 현재 건설기계의 작동모드를 인지할 수 있다. 계기 제어부(114)는 운전자가 상기 키스위치를 선택하면 그에 해당하는 신호를 통신 모듈(115)을 통해 주 제어부(121)로 전송하고, 주 제어부(121)는 상기 계기 제어부(114)가 송신하는 신호에 따라 구동부(124)를 제어하여 해당하는 건설기계의 작업이 수행되도록 하고, 센서부(123)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로 해당하는 표시 데이터를 산출하고, 산출한 데이터는 통신 모듈(115)을 통해 계기 제어부(114)에 전송한다. 이에 따라 계기 제어부(114)는 계기 패널(116)에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계기 제어부(114)는 상기 패킷 유효성 판단부(113)가 유효한 제어정보 패킷이라고 판단한 경우 상기 제어정보 패킷에 포함된 제어명령이 계기 제어명령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 상기 키 스위치에 대응되는 계기 제어명령인 경우에 해당하는 키 신호를 발생하고 발생한 키 신호를 통신 모듈(115)을 통해 주 제어장치(120)의 주 제어부(121)에 전송한다. 그리고 계기 제어부(114)는 상기 발생한 키 신호를 전송한 후에 통신 모듈(115)을 통해 주 제어부(121)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계기 패널(116)에 표시한다.
계기 제어부(114)는 판단결과, 상기 제어정보 패킷 내의 제어명령이 계기 제어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어정보 패킷을 통신 모듈(115)을 통해 주 제어 부(121)로 전달한다.
또한, 계기 제어부(114)는 제어명령에 해당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중에 상기 무선 통신부(112)를 통해 무선 통신단말기(100)가 비상정지 명령을 전송하는 경우에는 비상정지 명령을 수행한다.
계기 제어부(114)는 건설기계의 계기정보를 무선 통신부(112)를 통해 무선 통신단말기(100)로 전송하고, 상기 무선 통신단말기(100)는 전송된 계기정보를 무선 통신단말기(100)의 화면상에 표시하여 운전자가 건설기계의 계기 패널(116)에 표시되는 계기 정보를 똑같이 볼 수 있도록 한다. 즉, 원격제어를 하는 운전자가 실제 건설기계에 탑승한 것처럼 계기 패널(116)의 화면을 볼 수 있는 것이다.
통신 모듈(115)은 계기 제어부(114)와 주 제어부(121) 간에 데이터 전송을 수행한다. 통신 모듈(115)은 캔(Controller Area Network:CAN) 통신 등에 의해 데이터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주 제어장치(120)는 주 제어부(121)와, 저장부(122)와, 센서부(123)와, 구동부(124)를 포함한다.
저장부(122)는 주 제어부(120)가 센서부(123), 구동부(124) 등의 각 부를 제어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저장한다.
센서부(123)는 각종 센서들로, 엔진, 유압펌프 등의 상태를 검출하여 검출한 데이터를 상기 주 제어부(121)로 전달한다. 즉, 센서부(123)에 의해 건설기계의 총가동시간, 연료량, 엔진회전속도, 각종 오일 압력, 각종 펌프 압력 및 각종 밸브의 상태 등을 주 제어부(121)는 알 수 있게 된다.
구동부(124)는 주 제어부(121)의 제어데이터에 따라 구동된다. 구동부(124)는 엔진, 유압펌프 및 유압 실린더 등이 해당된다.
주 제어부(121)는 통신 모듈(115)을 통해 전송된 제어정보 패킷을 수신하고, 수신한 제어정보 패킷 내의 제어명령을 저장부(122)에 저장하여 제어명령에 해당하는 작업이 수행되도록 한다. 주 제어부(123)는 구동부(124)를 제어하여 제어명령에 따른 건설기계의 작업이 수행되도록 하고, 센서부(123)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아 엔진 속도, 유량 등을 계산하여 통신 모듈(115)을 통해 상기 계기 제어부(114)로 전송한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분산제어시스템을 상세히 살펴보면, 건설기계를 원격 제어하기 위해 무선 통신단말기(100)를 통해 운전자가 원격제어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고, 제어명령을 입력하는 경우에 프로그램에 따라 계기 제어명령과 주 제어명령으로 분리된다. 프로그램에 의해 제어정보 패킷이 생성되고, 상기 생성된 제어정보 패킷에는 제어명령 이외에 제어하려는 건설기계의 고유번호 및 현재날짜, 현재시간 등의 시간정보가 더 포함되어 무선 통신을 통해 건설기계로 전송된다.
건설기계 분산제어장치(110)는 무선 통신부(112)를 통해 상기 무선 통신단말기(100)가 전송한 제어정보 패킷을 수신하고, 분산제어장치(110)의 패킷 유효성 판단부(113)는 상기 무선 통신부(112)를 통해 수신한 제어정보 패킷 내의 고유번호와 상기 저장부(111)에 저장된 고유번호가 일치하는지를 비교하여 유효한 제어정보 패킷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패킷 유효성 판단부(113)는 상기 고유번호가 일치하여 상기 제어정보 패킷을 유효한 제어정보 패킷으로 판단하면, 상기 제어정보 패킷을 수신한 시각과 상기 제어정보 패킷 내의 송신 시각정보와의 시간차가 미리 설정해 놓은 시간 이내인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미리 설정해 놓은 시간 이내에 상기 제어정보 패킷이 수신된 경우 상기 제어정보 패킷을 유효한 제어정보 패킷으로 판단한다.
계기 제어부(114)는 상기 패킷 유효성 판단부(113)의 판단 결과 제어정보 패킷이 유효한 제어정보 패킷인 경우 상기 제어정보 패킷에 포함된 제어명령이 계기 제어명령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계기 제어명령인 경우 저장부(111)에 저장하고, 저장한 제어명령에 해당하는 키 신호를 발생하여 주 제어장치(120)의 주 제어부(121)로 전송한다. 계기 제어부(114)는 판단 결과 계기 제어명령이 아닌 경우 상기 제어정보 패킷을 통신 모듈(115)을 통해 주 제어장치(120)의 주 제어부(121)로 전송하고, 주 제어부(121)는 상기 제어정보 패킷에 포함된 제어명령을 저장부(122)에 저장한다. 주 제어부(121)는 저장된 제어명령에 따라 구동부(124)를 제어하여 해당하는 동작이 수행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건설기계 관리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운전자는 원격지에서 건설기계를 원격조정하기 위해 무선 통신단말기(100)에서 원격제어 프로그램을 실행(S200)하고, 실행한 원격제어 프로그램을 통해 제어명령을 입력한다(S202).
운전자가 건설기계를 제어하는 제어명령을 다 입력한 경우 원격제어 프로그램을 통해 제어정보 패킷이 생성되고 무선 통신단말기(100)는 무선 통신을 통해 상 기 제어정보 패킷을 건설기계로 전송한다(S204). 상기 제어정보 패킷에는 운전자가 건설기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명령, 상기 건설기계의 고유번호 및 시간정보 등이 포함된다.
건설기계의 분산제어장치(110)는 상기 무선 통신단말기(100)가 전송한 제어정보 패킷을 무선 통신부(112)를 통해 수신(S206)하고, 분산제어장치(110)의 패킷 유효성 판단부(113)는 상기 수신한 제어정보 패킷에 포함된 건설기계의 고유번호와 저장부(111)에 저장되어 있는 고유번호를 비교하여 일치하는지의 여부로 상기 제어정보 패킷이 유효한 제어정보 패킷인지를 판단한다(S208).
또한, 분산제어장치(110)의 패킷 유효성 판단부(113)는 상기 판단 결과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제어정보 패킷에 포함된 제어명령을 유효한 제어명령인지를 판단한다(S210). 상기 제어정보 패킷이 수신된 시각정보와 상기 제어정보 패킷에 포함된 송신시각정보와의 시간 차가 미리 설정해 놓은 시간 내에 수신된 경우 상기 제어정보 패킷에 포함된 제어명령을 유효한 제어명령으로 판단한다. 상기 판단 결과 유효한 제어명령인 경우 계기 제어부(114)는 제어정보 패킷에 포함된 제어명령을 판별하여 주 제어장치(120)의 주 제어부(121)에 해당하는 명령(S212)인 경우 통신 모듈(115)을 통해 주 제어장치(120)로 전송(S214)하고, 주 제어장치(120)의 주 제어부(121)는 제어명령을 저장부(122)에 저장하여 제어명령에 따라 구동부(124)를 제어하여 해당하는 건설기계의 동작이 수행되도록 한다(S214).
한편, 상기 제어정보 패킷에 포함된 제어명령이 계기 제어에 해당하는 명령인 경우 제어명령을 저장부(111)에 저장하고, 저장한 제어명령에 해당하는 키 신호 를 발생하여 통신 모듈(115)을 통해 주 제어장치(120)로 전송하고, 주 제어장치(120)가 통신 모듈(115)을 통해 전송하는 데이터에 따라 계기 패널에 표시되도록 한다(S216).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건설기계 분산제어시스템은 상기와 같이 계기 제어부(114)에서는 계기 제어에 관한 제어명령에 관한 처리뿐만 아니라 무선 통신단말기(100)와의 통신처리도 하게 되어, 기존에 주 제어부(121)에서 하는 역할이 그만큼 줄어들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주 제어부(121)의 부하를 덜고, 계기 제어부(114) 및 주 제어부(121)가 해당하는 제어명령에 따라 각 부를 제어함으로써 에러 발생률도 줄어들게 된다.
또한, 무선 통신단말기의 식별 ID와 건설기계의 고유번호에 의해 1 대 1 원격제어뿐만 아니라 1 대 다수 또는 다수 대 다수 원격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다수 대 다수 원격제어의 경우에는 먼저 제어를 시작한 무선 통신단말기의 제어명령이 완료된 후에 다른 무선 통신단말기의 제어명령이 전송된다. 이때, 무선 통신단말기는 건설기계의 계기정보를 수신하여 계기정보를 모니터링할 수 있음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용이하게 알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건설기계 분산제어시스템을 통해 계기 제어부가 통신처리 및 계기 제어명령에 따른 키 신호를 발생하고, 주 제어부에 해당하는 제어명령을 전송하여 주 제어부에서 처리함으로써 주 제어부에는 과부하가 걸리지 않게 되고, 이에 따라 에러 발생률도 줄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입력된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건설기계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명령이 포함된 제어정보 패킷을 생성하여 무선 통신을 통해 송신하고, 외부에서 수신되는 정보를 화면상에 표시하는 무선 통신단말기(100);
    건설기계에 구비되어 상기 무선 통신단말기(100)가 송신한 제어정보 패킷을 수신하고, 수신한 제어정보 패킷 내의 제어명령이 계기 제어에 해당하는 제어명령인 경우에는 상기 제어명령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에 상기 수신한 제어정보 패킷을 전송하는 분산 제어장치(110); 및
    상기 분산 제어장치(110)가 전송하는 제어정보 패킷을 수신하고, 수신한 제어정보 패킷 내의 제어명령에 따른 구동을 제어하여 상기 건설기계가 해당하는 작업을 수행하도록 하는 주 제어장치(120);를 포함하고,
    상기 분산제어장치(110)는;
    상기 건설기계의 고유번호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111);
    상기 무선 통신단말기(100)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부(112);
    상기 건설기계 주 제어장치(12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모듈(115);
    상기 무선 통신부(112)를 통해 수신한 제어정보 패킷 내의 고유번호와 상기 저장부(111)에 저장된 고유번호와의 일치 여부에 따라 상기 수신한 제어정보 패킷이 유효한 제어정보 패킷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패킷 유효성 판단부(113); 및
    상기 패킷 유효성 판단부(113)의 판단결과가 상기 제어정보 패킷이 유효한 경우, 상기 제어정보 패킷 내의 제어명령이 계기 제어에 해당하는 제어명령인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계기 제어명령일 경우에 해당하는 키 신호를 발생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에 상기 수신한 제어정보 패킷을 상기 통신모듈(115)을 통해 상기 주 제어장치(120)로 전송하는 계기 제어부(114);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 분산제어시스템.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정보 패킷은 패킷 송신 시각정보를 더 포함하고 있고,
    상기 패킷 유효성 판단부(113)는,
    상기 고유번호의 일치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제어정보 패킷을 수신한 시각을 확인하여 상기 제어정보 패킷 내의 송신 시각정보와의 시간차가 미리 설정해 놓은 시간 이내인 경우 상기 수신한 제어정보 패킷 내의 제어명령을 유효한 제어명령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 분산제어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제어장치(110)는;
    복수의 키 스위치를 구비하고 계기 정보를 표시하는 계기 패널(116)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계기 제어부(114)는 상기 발생한 키 신호에 해당하는 계기 정보가 상기 계기 패널(116)에 표시되도록 하고, 상기 계기 패널(116)에 표시되는 계기 정보를 상기 무선 통신부(112)를 통해 상기 무선 통신단말기(100)로 전송하여 상기 무선 통신단말기(100)가 계기 정보를 화면상에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 분산제어시스템.
  5. 무선 통신단말기(100)가 사용자 명령을 제어정보 패킷으로 생성하여 송신하는 단계;
    분산 제어장치(110)가 상기 제어정보 패킷을 수신하고, 수신한 제어정보 패킷이 유효한 제어정보 패킷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제어정보 패킷 내의 제어명령이 계기 제어명령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가 계기 제어명령일 경우에 해당 계기 제어명령에 따른 키 신호를 발생하여 화면상에 계기 정보가 표시되도록 하고, 상기 판단 결과 계기 제어명령이 아닐 경우에 상기 제어정보 패킷을 주 제어장치(120)로 전송하여 주 제어장치(120)가 상기 제어정보 패킷 내의 제어명령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 분산제어방법.
  6. 삭제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한 제어정보 패킷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정보 패킷 내의 고유번호와 미리 저장된 고유번호가 일치하고, 상기 제어정보 패킷을 수신한 시각을 확인하여 상기 제어정보 패킷 내의 송신 시각정보와의 시간차가 미리 설정해 놓은 시간 이내에 상기 제어정보 패킷이 수신된 경우 상기 유효한 제어정보 패킷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 분산제어방법.
KR1020060101102A 2006-10-18 2006-10-18 건설기계 분산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2993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1102A KR101299396B1 (ko) 2006-10-18 2006-10-18 건설기계 분산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1102A KR101299396B1 (ko) 2006-10-18 2006-10-18 건설기계 분산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5037A KR20080035037A (ko) 2008-04-23
KR101299396B1 true KR101299396B1 (ko) 2013-08-22

Family

ID=395740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1102A KR101299396B1 (ko) 2006-10-18 2006-10-18 건설기계 분산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939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7396B1 (ko) 2018-07-05 2019-04-09 김태상 단일점 그라운드가 구비된 분산제어장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분산제어장치
WO2019156273A1 (ko) * 2018-02-12 2019-08-15 주식회사 알티스트 Can 통신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6657B1 (ko) * 2014-06-27 2016-06-02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굴삭기 버켓의 위치 제어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30539A (ja) * 1993-05-25 1994-11-29 Hitachi Constr Mach Co Ltd 移動作業機械の管理システム
KR980013494A (ko) * 1996-07-22 1998-04-30 김정국 굴삭기 원격 조정 시스템
KR100188886B1 (ko) * 1995-08-31 1999-06-01 토니 헬샴 중장비의 분산제어시스템
KR20040004608A (ko) * 2002-01-15 2004-01-13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 가이샤 건설기계의 관리시스템 및 관리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30539A (ja) * 1993-05-25 1994-11-29 Hitachi Constr Mach Co Ltd 移動作業機械の管理システム
KR100188886B1 (ko) * 1995-08-31 1999-06-01 토니 헬샴 중장비의 분산제어시스템
KR980013494A (ko) * 1996-07-22 1998-04-30 김정국 굴삭기 원격 조정 시스템
KR20040004608A (ko) * 2002-01-15 2004-01-13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 가이샤 건설기계의 관리시스템 및 관리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56273A1 (ko) * 2018-02-12 2019-08-15 주식회사 알티스트 Can 통신 시스템 및 방법
KR102006296B1 (ko) * 2018-02-12 2019-10-01 주식회사 알티스트 Can 통신 시스템 및 방법
KR101967396B1 (ko) 2018-07-05 2019-04-09 김태상 단일점 그라운드가 구비된 분산제어장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분산제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5037A (ko) 2008-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12156B1 (en) Abnormality information control device for construction machine
KR100523228B1 (ko) 작업기계, 작업기계의 고장진단시스템, 작업기계의메인티넌스시스템
US6643571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on between vehicles and a supervisor station
CN101084532A (zh) 车载系统、告警灯详细信息通知系统以及服务器系统
JPH1165645A (ja) 機械の異常監視装置および方法
JP5416148B2 (ja) 建設機械のメンテナンス方法およびメンテナンスシステム
KR101983738B1 (ko) 현장 제어반의 원격 제어 시스템
WO2014203989A1 (ja) 建設機械の保守装置
KR101299396B1 (ko) 건설기계 분산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
JP4519785B2 (ja) 冷凍コンテナの遠隔監視システム
JP2010198159A (ja) 作業機械の遠隔診断方法
US7657492B2 (en) Mobile control and monitoring system
JP3997529B2 (ja) 車両の故障診断方法
JP6656593B2 (ja) 安全計装制御装置及びその方法並びに安全計装システム
JP4404163B1 (ja) 設備機器管理装置、設備機器管理システム及び設備機器管理方法
US20220120056A1 (en) Method, device and user interface for presentation of information describing a running operating condition of a demolition robot
KR102000411B1 (ko) 크레인 및 크레인의 조작 시스템
JP5804916B2 (ja) 作業機
JP5804917B2 (ja) 作業機
CN112677990A (zh) 车辆故障处理方法和车辆故障处理系统
JP7388262B2 (ja) 作業車、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CN109960627A (zh) 电子控制设备及其操作方法与计算机可读记录介质
US20240059324A1 (en) Control method for monitoring and responding to hacking into vehicle
JP6552587B2 (ja) 通信制御装置およびscadaシステム
JP3474786B2 (ja) プロセス故障監視支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