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7396B1 - 단일점 그라운드가 구비된 분산제어장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분산제어장치 - Google Patents

단일점 그라운드가 구비된 분산제어장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분산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7396B1
KR101967396B1 KR1020180078112A KR20180078112A KR101967396B1 KR 101967396 B1 KR101967396 B1 KR 101967396B1 KR 1020180078112 A KR1020180078112 A KR 1020180078112A KR 20180078112 A KR20180078112 A KR 20180078112A KR 101967396 B1 KR101967396 B1 KR 1019673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frame
main body
grounding
control apparatus
distributed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81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상
Original Assignee
김태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상 filed Critical 김태상
Priority to KR10201800781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73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73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73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64Earth or grounding circui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05K5/0226Hing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 H05K7/1485Servers; Data center rooms, e.g. 19-inch computer racks
    • H05K7/1488Cabinets therefor, e.g. chassis or racks or mechanical interfaces between blades and support structur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00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using a gaseous coolant in electronic enclosures
    • H05K7/20136Forced ventilation, e.g. by fans
    • H05K7/20172Fan mounting or fan spec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00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using a gaseous coolant in electronic enclosures
    • H05K7/20136Forced ventilation, e.g. by fans
    • H05K7/20181Filters; Louv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70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for server racks or cabinets; for data centers, e.g. 19-inch computer racks
    • H05K7/20718Forced ventilation of a gaseous coola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일점 그라운드가 구비된 분산제어장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분산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분산제어시스템(Distributed control system)을 가동 가능하게 하는 분산제어장치의 제조방법을 규격화함으로서 일정한 품질의 분산제어장치를 대량으로 생산 가능하게 하면서 단일점 그라운드를 적용하여 접지 전류간의 상호 결합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분산제어장치의 고장의 위험을 감소시킴과 함께 사용자에게 안정적인 분산제어시스템을 제공해 줄 수 있는 단일점 그라운드가 구비된 분산제어장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분산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단일점 그라운드가 구비된 분산제어장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분산제어장치{A method of manufacturing a dispersion control apparatus having a single point ground and a dispersion control apparatus}
본 발명은 단일점 그라운드가 구비된 분산제어장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분산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분산제어시스템(Distributed control system)을 가동 가능하게 하는 분산제어장치의 제조방법을 규격화함으로서 일정한 품질의 분산제어장치를 대량으로 생산 가능하게 하면서 단일점 그라운드를 적용하여 접지 전류간의 상호 결합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분산제어장치의 고장의 위험을 감소시킴과 함께 사용자에게 안정적인 분산제어시스템을 제공해 줄 수 있는 단일점 그라운드가 구비된 분산제어장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분산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초기의 컴퓨터를 이용한 제어개념은 하나의 컴퓨터에 의한 DDC(Direct Digital control) 시스템과 현장 아날로그 연결에 의한 제어방식이 주종을 이루고 있었다. 이러한 상기 DDC의 경우 모든 제어기능이 하나의 컴퓨터에 집중되어 있으므로 컴퓨터에 이상이 발생하면 공정 전체가 제어 불능 상태가 되는 문제를 야기하였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탄생한 분산제어시스템(DCS, Distributed Control System)는 여러 개의 작은 중앙처리장치를 기능별로 분리하고 각각 통신 네트워크로 연결시켜 전체 시스템을 구성하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DCS는 반도체 제작기술의 향상 등으로 그 효율은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현장에 대한 응용력이 높아 여러 종류의 공정제어 현장에 설치 운영되고 있는 등 이에 대한 수요는 날이 갈수록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처럼 수요 증가의 추세인 DCS 시장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양질의 DCS를 보다 신속하게 설치 제공하는 것이 주요한 이슈임에 따라, DCS의 제조방법을 규격화하여 대량생산을 가능하게 함과 더불어 DCS가 적용된 공장에서 공장 가동 중에 오류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므로 이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특2002-0045331호(공개일: 2002.06.19.)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299396호(등록일: 2013.08.16.)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분산제어장치의 대량생산을 가능하게 하면서, 단일점 그라운드 방식의 접지를 채택하여 제조된 분산제어장치를 보다 안정적으로 작동 가능하게 하는 단일점 그라운드가 구비된 분산제어장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분산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분산제어장치의 외관에 에어홀을 형성함과 함께 그 내부에는 에어필터를 장착함으로서 발열된 분산제어장치용 모듈의 공기 냉각 시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차단하도록 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작동 가능하게 하는 단일점 그라운드가 구비된 분산제어장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분산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단일점 그라운드가 구비된 분산제어장치 제조방법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서로 대향하는 양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설치 프레임이 구비된 본체 프레임을 준비하는 프레임준비단계; 상기 본체 프레임의 하부 일측에 절연부재를 조립하고 그 상면으로 접지볼트가 구비된 접지판을 조립하여 접지부를 완성한 후 상기 접지볼트와 상기 본체 프레임을 접지선으로 연결하는 접지부조립단계; 상기 설치 프레임에 분산제어장치용 모듈을 설치하고 상기 접지부와 접지선으로 연결하는 모듈설치단계; 및 상기 본체 프레임의 상부에 탑 커버를 조립하고, 상기 본체 프레임의 상기 양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분할된 사이드 판넬을 상하로 배치되게 조립한 후 에어홀이 형성된 도어를 상기 본체 프레임의 전면부 및 후면부에 각각 장착하는 외관형성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프레임준비단계 이후에, 상기 본체 프레임의 내부 하측면에 베이스 플레이트를 안착시켜 조립하는 하면부형성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는 배선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설치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본체 프레임의 하측면과 수직하는 방향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접지부는 상기 접지볼트가 복수개로 형성되어 병렬형 접지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접지부조립단계 이후에, 상기 본체 프레임의 일측에 도어용 힌지를 조립하는 힌지조립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도어용 힌지는 상기 본체 프레임의 전면부 및 후면부 일측에 모두 설치되며, 상기 도어는 각각 상기 도어용 힌지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도어용 힌지는 상기 도어용 힌지가 설치되는 부분의 배면에 구비되는 덧댐부재와 함께 상기 본체 프레임에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외관형성단계는 상기 본체 프레임의 상부에 상기 탑 커버를 설치하기 이전에 상기 탑 커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팬을 조립하는 팬조립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외관형성단계 이후에, 상기 사이드 판넬 중 최상부에 배치된 사이드 판넬로부터 그 하부에 배치되는 사이드 판넬을 따라 순차적으로 각각 접지선을 연결하고, 최하부에 배치된 사이드 판넬은 상기 본체 프레임의 상기 접지부와 접지선으로 연결하는 사이드판넬접지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분산제어장치는,
상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인 단일점 그라운드가 구비된 분산제어장치 제조방법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단일점 그라운드가 구비된 분산제어장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분산제어장치에 의하면,
본 발명은 분산제어장치의 대량생산을 가능하게 하면서, 단일점 그라운드 방식의 접지를 채택하여 제조된 분산제어장치를 보다 안정적으로 작동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분산제어장치의 외관에 에어홀을 형성함과 함께 그 내부에는 에어필터를 장착함으로서 발열된 분산제어장치용 모듈의 공기 냉각 시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차단하도록 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작동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일점 그라운드가 구비된 분산제어장치 제조방법의 순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관을 본체 프레임을 포함하여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되는 접지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되는 도어용 힌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되는 탑 커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되는 사이드 판넬과 이에 접지선이 연결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되는 도어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상세하게 후술 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또한,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그리고, 시간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후에', '~에 이어서', '~다음에', '~전에' 등으로 시간적 선후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연속적이지 않은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
그리고, 'X축 방향', 'Y축 방향' 및 'Z축 방향'은 서로 간의 관계가 수직으로 이루어진 기하학적인 관계만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구성이 기능적으로 작용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보다 넓은 방향성을 가지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 1 항목, 제 2 항목 및 제 3 항목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의미는 제 1 항목, 제 2 항목 또는 제 3 항목 각각 뿐만 아니라 제 1 항목, 제 2 항목 및 제 3 항목 중에서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 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고,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 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일점 그라운드가 구비된 분산제어장치 제조방법의 순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관을 본체 프레임을 포함하여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되는 접지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되는 도어용 힌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되는 탑 커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되는 사이드 판넬과 이에 접지선이 연결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되는 도어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단일점 그라운드가 구비된 분산제어장치 제조방법은 기본적으로 프레임준비단계(S100), 접지부조립단계(S200), 모듈설치단계(S300) 및 외관형성단계(S4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이하 도 2 내지 도 7을 더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단일점 그라운드가 구비된 분산제어장치 제조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프레임준비단계(S100)는 육면이 개방되어 있는 형상을 기초로, 서로 대향하는 양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설치 프레임(50)이 구비된 본체 프레임(100)을 준비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상기 설치 프레임(50)에는 후술하는 분산제어장치용 모듈이 장착되도록 소정의 면적을 가지고 있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설치 프레임(50)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본체 프레임(100)의 하측면과 수직하는 방향으로 구비되는 것이 특징이다. 따라서, 상기 설치 프레임(50)에 상기 분산제어장치용 모듈이 장착될 때 그 하중을 견디는 힘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프레임준비단계(S100) 이후에, 상기 본체 프레임(100)의 내부 하측면에 베이스 플레이트(110)를 안착시켜 조립하는 하면부형성단계(S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분산제어장치용 모듈이 설치되기 전에 베이스 플레이트(110)를 안착시키게 되므로 작업자가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에는 배선홀(115)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즉, 상기 분산제어장치용 모듈에 장착되는 배선이나 접지선과 같은 전선들이 상기 배선홀(115)을 통과하도록 배치함으로서, 전선들을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된다.
접지부조립단계(S200)는 상기 본체 프레임(100)의 하부 일측에 절연부재(151)를 조립하고 그 상면으로 접지볼트(152)가 구비된 접지판(155)을 조립하여 접지부(150)를 완성한 후 상기 접지볼트(152)와 상기 본체 프레임(100)을 접지선(159)으로 연결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상기 접지부(150)는 상기 접지볼트(152)가 복수개로 형성되어 병렬형 접지가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추가적으로, 상기 접지부조립단계(S200) 이후에, 힌지조립단계(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힌지조립단계(S250)는 상기 본체 프레임(100)의 일측에 도어용 힌지(200)를 조립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상기 도어용 힌지(200)는 상기 본체 프레임(100)의 전면부 및 후면부 일측에 모두 설치되며, 상기 도어(250)는 각각 상기 도어용 힌지(200)에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전면부 또는 후면부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개방할 수 있어 분산제어장치에 대한 보수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어용 힌지(200)는 상기 도어용 힌지(200)가 설치되는 부분의 배면에 구비되는 덧댐부재(210)와 함께 상기 본체 프레임(100)에 조립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덧댐부재(210)는 소정의 면적을 가진 판 형상일 수 있으며, 본체 프레임(100)의 너비보다 작은 너비로 구비될 수 있다.
모듈설치단계(S300)는 상기 설치 프레임(50)에 분산제어장치용 모듈을 설치하고 상기 접지부(150)와 접지선(미도시)으로 연결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상기 분산제어장치용 모듈은 분산제어시스템(DCS, Distributed Control System)을 작동 가능하게 하는 모듈을 의미한다.
외관형성단계(S400)는 상기 본체 프레임(100)의 상부에 탑 커버(300)를 조립하고, 상기 본체 프레임(100)의 상기 양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분할된 사이드 판넬(400)을 상하로 배치되게 조립한 후 에어홀(251)이 형성된 도어(250)를 상기 본체 프레임(100)의 전면부 및 후면부에 각각 장착하는 단계이다. 이때, 추가적인 단계로, 상기 외관형성단계(S400)는 상기 본체 프레임(100)의 상부에 상기 탑 커버(300)를 설치하기 이전에 상기 탑 커버(300)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팬(350)을 조립하는 팬조립단계(S4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팬(350)은 상기 탑 커버(300)의 상부로 공기가 배출되도록 장착되는 것이 특징이다. 이때, 상기 도어(250)의 내측면에는 상기 에어홀(251)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의 이물질을 차단하는 에어필터(252)가 장착되는 것이 특징일 수 있다. 따라서, 공기가 상기 팬(35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에어홀(251)로 흡입되어 분산제어장치 내부를 순환한 후 상기 탑 커버(300)의 상부로 빠져나가게 되며, 이에 따라 작동하면서 가열된 분산제어장치용 모듈을 냉각시키게 된다. 게다가, 도어(250)의 내측면에는 에어필터(252)가 장착되어 있으므로 공기의 이물질을 차단할 수 있다. 즉, 공기의 이물질인 먼지 등의 유입으로 인해 분산제어장치용 모듈의 배선이 합선되거나 발열로 인해 먼지가 연소되는 등의 위험을 미연에 방지하면서 분산제어장치용 모듈을 보다 안정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게 된다.
추가적으로, 상기 외관형성단계(S400) 이후에, 사이드판넬접지단계(S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이드판넬접지단계(S500)는 외관형성단계(S400)이후에, 상기 사이드 판넬(400) 중 최상부에 배치된 사이드 판넬로부터 하부에 배치되는 사이드 판넬을 따라 순차적으로 각각 접지선(160)을 연결하고, 최하부에 배치된 사이드 판넬은 상기 본체 프레임(100)의 상기 접지부(150)와 접지선(161)으로 연결하는 단계이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본 발명에 따른 단일점 그라운드가 구비된 분산제어장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은 추가적인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먼저, 프레임준비단계(S100)에 추가되는 단계로서, 캐스터장착단계(S110)가 있을 수 있다. 캐스터장착단계(S110)는 상기 본체 프레임(100)의 각 모서리 부분의 하면으로 캐스터 바퀴를 장착하는 단계이다. 따라서, 분산제어장치 내부에 분산제어장치용 모듈이 설치되기 전에 상기 캐스터 바퀴를 장착하게 되므로 보다 수월하게 상기 캐스터 바퀴를 장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사이드판넬접지단계(S500) 이후에, 상기 도어(250)와 본체 프레임(100)을 접지선(159)으로 연결하는 도어접지단계(S600)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단일점 그라운드가 구비된 분산제어장치 제조방법에 따르면 본체 프레임(100), 사이드 판넬(400), 도어(250)를 포함하는 외함을 모두 접지시키게 되므로 감전사고 등의 위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단일점 그라운드가 구비된 분산제어장치 제조방법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분산제어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50: 설치 프레임 100: 본체 프레임
110: 베이스 플레이트 115: 배선홀
150: 접지부 151: 절연부재
152: 접지볼트 155: 접지판
159, 160, 161: 접지선 200: 도어용 힌지
210: 덧댐부재 251: 에어홀
252: 에어필터 250: 도어
300: 탑 커버 350: 팬
400: 사이드 판넬

Claims (10)

  1. 서로 대향하는 양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설치 프레임(50)이 구비된 본체 프레임(100)을 준비하는 프레임준비단계(S100);
    상기 본체 프레임(100)의 하부 일측에 절연부재(151)를 조립하고 그 상면으로 접지볼트(152)가 구비된 접지판(155)을 조립하여 접지부(150)를 완성한 후 상기 접지볼트(152)와 상기 본체 프레임(100)을 접지선(159)으로 연결하는 접지부조립단계(S200);
    상기 설치 프레임(50)에 분산제어장치용 모듈을 설치하고 상기 접지부(150)와 접지선으로 연결하는 모듈설치단계(S300); 및
    상기 본체 프레임(100)의 상부에 탑 커버(300)를 조립하고, 상기 본체 프레임(100)의 상기 양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분할된 사이드 판넬(400)을 상하로 배치되게 조립한 후 에어홀(251)이 형성된 도어(250)를 상기 본체 프레임(100)의 전면부 및 후면부에 각각 장착하는 외관형성단계(S400);를 포함하되,
    상기 외관형성단계(S400) 이후에, 상기 사이드 판넬(400) 중 최상부에 배치된 사이드 판넬로부터 그 하부에 배치되는 사이드 판넬을 따라 순차적으로 각각 접지선(160)을 연결하고, 최하부에 배치된 사이드 판넬은 상기 본체 프레임(100)의 상기 접지부(150)와 접지선(161)으로 연결하는 사이드판넬접지단계(S5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점 그라운드가 구비된 분산제어장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준비단계(S100) 이후에, 상기 본체 프레임(100)의 내부 하측면에 베이스 플레이트(110)를 안착시켜 조립하는 하면부형성단계(S1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점 그라운드가 구비된 분산제어장치 제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에는 배선홀(115)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점 그라운드가 구비된 분산제어장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 프레임(50)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본체 프레임(100)의 하측면과 수직하는 방향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점 그라운드가 구비된 분산제어장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부(150)는 상기 접지볼트(152)가 복수개로 형성되어 병렬형 접지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점 그라운드가 구비된 분산제어장치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부조립단계(S200) 이후에, 상기 본체 프레임(100)의 일측에 도어용 힌지(200)를 조립하는 힌지조립단계(S25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도어용 힌지(200)는 상기 본체 프레임(100)의 전면부 및 후면부 일측에 모두 설치되며, 상기 도어(250)는 각각 상기 도어용 힌지(200)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점 그라운드가 구비된 분산제어장치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용 힌지(200)는 상기 도어용 힌지(200)가 설치되는 부분의 배면에 구비되는 덧댐부재(210)와 함께 상기 본체 프레임(100)에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점 그라운드가 구비된 분산제어장치 제조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관형성단계(S400)는 상기 본체 프레임(100)의 상부에 상기 탑 커버(300)를 설치하기 이전에 상기 탑 커버(300)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팬(350)을 조립하는 팬조립단계(S4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점 그라운드가 구비된 분산제어장치 제조방법.
  9. 삭제
  10.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분산제어장치.
KR1020180078112A 2018-07-05 2018-07-05 단일점 그라운드가 구비된 분산제어장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분산제어장치 KR1019673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8112A KR101967396B1 (ko) 2018-07-05 2018-07-05 단일점 그라운드가 구비된 분산제어장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분산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8112A KR101967396B1 (ko) 2018-07-05 2018-07-05 단일점 그라운드가 구비된 분산제어장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분산제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7396B1 true KR101967396B1 (ko) 2019-04-09

Family

ID=661674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8112A KR101967396B1 (ko) 2018-07-05 2018-07-05 단일점 그라운드가 구비된 분산제어장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분산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739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5331A (ko) 2000-12-08 2002-06-19 권혁찬 분산제어시스템
KR101299396B1 (ko) 2006-10-18 2013-08-22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건설기계 분산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50037799A (ko) * 2015-03-23 2015-04-08 정창진 이엠피 방호 캐비닛
KR20170055664A (ko) * 2015-11-12 2017-05-22 대신정밀 주식회사 랙 캐비넷 조립체
KR20170115944A (ko) * 2016-04-08 2017-10-18 (주)상도전기 조명기구 이동 및 전원 공급용 조명레일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5331A (ko) 2000-12-08 2002-06-19 권혁찬 분산제어시스템
KR101299396B1 (ko) 2006-10-18 2013-08-22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건설기계 분산제어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50037799A (ko) * 2015-03-23 2015-04-08 정창진 이엠피 방호 캐비닛
KR20170055664A (ko) * 2015-11-12 2017-05-22 대신정밀 주식회사 랙 캐비넷 조립체
KR20170115944A (ko) * 2016-04-08 2017-10-18 (주)상도전기 조명기구 이동 및 전원 공급용 조명레일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26541B2 (en) Display module, display screen and display system
CN103544897B (zh) 一种集成电源以及控制部分的led显示屏
KR101967396B1 (ko) 단일점 그라운드가 구비된 분산제어장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분산제어장치
CN111681571A (zh) 一种采用长条式铝型材集成设计的显示屏及其制作方法
CN208477853U (zh) 显示模组、显示屏以及显示系统
CN108666884A (zh) 一种预制舱内二次设备机架
CN205961639U (zh) 主电源控制器总成
US20220167521A1 (en) Reference electrical potential assembly and attachment assembly for printed circuit
US20150131213A1 (en) Display device for an aircraft
CN217560075U (zh) 一种面板结构及其空调
CN211695234U (zh) 具有音箱功能的冷气机
CA2364013A1 (en) Power distribution panel with flame containment slots
CN101668414B (zh) 一种大型电气立式长方形柜体产品作业方法及工装
CN215010959U (zh) 一种电控柜及清洁机器人
CN111587021B (zh) 电力营销与配电业务数据同步设备的底座
CN215269138U (zh) 一种安装在19英寸机柜中的电源接口箱
CN210840352U (zh) 模块化一体式电气柜
CN217562203U (zh) Led箱体组件
CN218851147U (zh) 电器盒结构、电器盒及空调
JP5516762B2 (ja) ケーブルダクトおよび電子装置システム
CN218831138U (zh) 一种硬件防火墙机柜
CN208848599U (zh) 一种悬挂式双面商用终端
CN215871140U (zh) 变频一体机
CN108153399A (zh) 服务器
JPH11275410A (ja) 正立方形カメラケー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