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9265B1 - 적층식 구조를 갖는 휴대용 물통 - Google Patents

적층식 구조를 갖는 휴대용 물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9265B1
KR101299265B1 KR1020120093485A KR20120093485A KR101299265B1 KR 101299265 B1 KR101299265 B1 KR 101299265B1 KR 1020120093485 A KR1020120093485 A KR 1020120093485A KR 20120093485 A KR20120093485 A KR 20120093485A KR 101299265 B1 KR101299265 B1 KR 1012992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ptor
opening
water
laminated structure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34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호
Original Assignee
김가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가희 filed Critical 김가희
Priority to KR10201200934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92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92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92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01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side-by-sid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16Water-bottles; Mess-tins; Cu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한 방수성 외피와 보온·보냉성 내피로 이루어진 적층식 구조를 갖는 휴대용 물통에 있어서, 다수개의 물보관통을 적층되게 수용하기 위해 내부에 수용부가 형성되고 전방측에 수직방향으로 개구부가 절개 형성되는 수용체와, 상기 수용체 상부 일측과 연결되어 수용부를 개폐시키도록 구비되는 상부덮개와, 상기 상부덮개와 수용체가 탈부착되게 상부덮개의 하단 테두리부와 수용체의 상단 테두리부에 상호 대응되도록 구비되는 탈부착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적층식 구조를 갖는 휴대용 물통{Portable water bottle with a laminated structure}
본 발명은 적층식 구조를 갖는 휴대용 물통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수개의 물보관통을 적층되게 수용하여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하며, 수용된 물보관통의 뚜껑이 노출되게 전방측에 개구부를 형성하여 물보관통의 물을 마시기 위해 따로 하나씩 물보관통을 인출할 필요가 없이 개구부에 노출된 물보관통의 뚜껑을 개방하여 물을 마실 수 있는 적층식 구조를 갖는 휴대용 물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친구나 가족단위로 야외에 나들이를 할 경우에 갈증을 해소하기 위해 물이 담긴 소형 물통을 사용자가 직접 손으로 들고다니거나 가방 등에 넣어 휴대하고 다니는 경우가 많았다.
이와 같은 물통을 쉽게 휴대하여 다닐 수 있도록 휴대용 물통이 상용화되어 있다. 기존의 휴대용 물통에 대해 살펴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을 수용하여 보관되도록 구성되는 몸체(100)와, 상기 몸체(100)의 상부와 결합되어 물이 누출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덮개(200)와, 상기 덮개(300)의 일측에 물을 마실 수 있도록 형성되는 개방구(300)와, 상기 개방구(300)를 개폐시키도록 덮개(200)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마개(400)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은 상기 휴대용 물통은 사용자가 손에 들고다닐 수 있게 소형으로 형성되어 다량의 물을 휴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사용자가 장시간 동안 하나의 물통으로 물을 자주 마실 경우 사용자의 입술에 통해 균 또는 노폐물이 물통의 남은 물에 유입될 수 있어 위생적으로 문제점이 있었다.
이뿐만 아니라 물을 휴대하여 장기 보관시 합성수지재 또는 금속재로 이루어진 몸체(100)로 인해 물의 온도를 유지하는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장시간 야외활동을 위해 다수개의 물보관통을 한번에 휴대할 수 있고, 물을 분할하여 물보관통에 담아 보관할 수 있어 위생적이며, 물보관통의 뚜껑이 외부로 노출되어 덮개를 개폐하거나 따로 물보관통을 인출할 필요가 없이 물보관통의 뚜껑을 개방하여 물을 마실 수 있는 적층식 구조를 갖는 휴대용 물통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한 방수성 외피와 보온·보냉성 내피로 이루어진 적층식 구조를 갖는 휴대용 물통에 있어서, 다수개의 물보관통을 적층되게 수용하기 위해 내부에 수용부가 형성되고 전방측에 수직방향으로 개구부가 절개 형성되는 수용체와, 상기 수용체 상부 일측과 연결되어 수용부를 개폐시키도록 구비되는 상부덮개와, 상기 상부덮개와 수용체가 탈부착되게 상부덮개의 하단 테두리부와 수용체의 상단 테두리부에 상호 대응되도록 구비되는 탈부착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식 구조를 갖는 휴대용 물통을 제공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적층식 구조를 갖는 휴대용 물통은 다수개의 물보관통을 적층되게 수용하여 한번에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한 이점이 있고, 또한 다양한 종류의 음료수를 각각의 물보관통에 담아 휴대할 수 있어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마실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물보관통의 뚜껑이 외부로 노출되어 덮개를 개폐하거나 따로 물보관통을 인출할 필요가 없이 물보관통의 뚜껑을 개방하여 물을 마실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다수개의 물보관통으로 인해 여러사람이 한 물보관통으로 물을 마실 필요가 없어 위생적으로 물을 마실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및 종래기술의 사용상태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적층식 구조를 갖는 휴대용 물통의 사용상태 사시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사용상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사용상태 사시도,
도 9 및 도 10은 도 8의 측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사용상태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12를 함께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 의한 적층식 구조를 갖는 휴대용 물통은 다수개의 물보관통(10)을 수용하기 위해 내부에 수용부(21)가 형성되고 전방측에 개구부(22)가 형성되는 수용체(20)와, 상기 수용체(20) 상부 일측과 연결되어 구비되는 상부덮개(30)와, 상기 상부덮개(30)의 하단 테두리부(31)와 수용체(20)의 상단 테두리부(24)에 상호 대응되도록 구비되는 탈부착부재(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용체(20) 내부에 다수개의 물보관통(10)을 수직방향으로 적층되게 수용하기 위해 내부에 수용체(20)의 길이방향으로 수용부(21)를 형성하며, 또한 상기 수용부(21)에 수용된 물보관통(10)의 뚜껑(11)이 외부로 노출되게 수용체(20)의 전방측 중심부에 길이방향으로 개구부(22)를 절개 형성한다.
또한 상기 개구부(22)는 물보관통(10)의 뚜껑(11)이 형성된 위치에 맞추어 수용체(20)의 전방측 어떤한 부분에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그리고 상기 수용체(20)는 물보관통(10)의 형태에 의해 사각형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보관통(10)의 형태에 따라 원형 또는 삼각형 형태 등 수용체(20)의 기능을 할 수 있는 어떠한 형태이든 모두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수용체(20)에 수용된 물보관통(10)의 온도가 유지될 수 있도록 방수성 외피와 보온·보냉성 내피로 이루어지도록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수용체(20)의 수용부(21)를 개폐시키는 상부덮개(30)를 구비한다. 상기 상부덮개(30)는 하단 일측부가 수용체(20)의 상단 일측 테두리에 연결되어 결합된 상태를 이룬다.
상기 상부덮개(30)의 하단 테두리부(31)와 수용체(20)의 상단 테두리부(24)에 상호 대응되도록 탈부착부재(40)를 구비함으로써, 상부덮개(30)는 탈부착부재(40)에 의해 수용부(21)를 개폐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탈부착부재(40)는 지퍼, 단추 또는 벨크로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탈부착부재(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퍼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탈부착부재(40)로 지퍼를 구비할 경우,“ㄷ”자 형태로 이어지는 지퍼를 이용하여 수용체(20)의 상단부와 상부덮개(30)의 하단부를 상호 결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수용체(20)와 상부덮개(30)가 경질의 재질로 형성될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덮개(30)의 하부에 형성되는 홈에 수용체(20)의 상부가 끼워지는 탈부착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덮개(30)의 상부측에 사용자가 이동시 휴대가 용이하도록 손으로 파지 가능한 손잡이(50)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구성으로 인해 다수개의 물보관통(10)을 다량으로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하하게 되고, 수용체(20)의 전방측 중심부에 형성된 개구부(22)에 의해 물보관통(10)의 뚜껑(11)이 외부로 노출되어 간편하게 바로 물보관통(10)의 뚜껑(11)을 개방하여 사용자가 물을 마실 수 있게 되므로, 상부덮개(30)를 개폐하여 물을 마시거나, 물보관통(10)을 수용체(20)로부터 인출하여 물을 마셔야 하는 불편함이 없어지게 된다.
또한 다양한 음료수 또는 차 등을 종류별로 물보관통(10)에 담아 한꺼번에 휴대 및 보관할 수 있어 상황에 따라 사용자의 기호에 맞추어 마실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다수개의 물보관통(10)이 구비되어 각각의 사용자가 나누어 물을 마실 수 있어 위생적이다.
또한 유아, 노약자 및 장애인 등과 같은 물보관통(10)을 들고 마시기 힘든 사용자를 위해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보관통(10)의 주둥이(12)에 빨대(13)를 삽입시켜 물을 마실 수 있으며,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빨대(13)가 부착된 뚜껑(14)을 주둥이(12)에 결합시켜 마실 수 있어 더욱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적층식 구조를 갖는 휴대용 물통은 도 2 내지 도 7에 도시된 것 이외에 도 8 내지 도 12에서와 같이 다양한 구성으로 구현되어 질 수 있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구부(22)의 수직방향 양측부에 마주하는 방향으로 가이드홈(61)이 각각 형성되는 한쌍의 가이드체(60)를 구비한다.그리고 상기 마주하는 가이드홈(61)에 삽입되어 한쌍의 가이드체(60)의 길이방향으로 상하이동되면서 개구부(22)를 개폐시키는 정면커버(70)를 설치한다.
상기 정면커버(70)를 설치함으로써, 사용자가 휴대하여 이동시 개구부(22)를 폐쇄시켜 물보관통(10)의 뚜껑(11)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물보관통(10)을 보호하게 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홈(61)의 내측에 한쌍의 가이드체(60)의 길이방향으로 다수개의 반구형태로 홈부(62)을 형성하며, 홈부(62)과 상호 대응되게 정면커버(70)의 양측에 반구형태로 다수개의 걸림돌기(71)를 형성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정면커버(70)를 상부방향으로 이동시켜 개구부(22)를 개폐시 각각의 물보관통(10)에 상하폭만큼 정면커버(70)의 걸림돌기(71)가 가이드홈(61)의 홈부(62)에 걸림되도록 형성되어 정면커버(70)의 이동 위치에 맞게 하나씩 물보관통(10)의 뚜껑(11)을 외부로 노출시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걸림돌기(71)가 홈부(62)에 걸림됨으로써, 사용자가 필요할 때마다 정면커버(70)를 개폐할 필요 없이 원하는 위치에 이동시켜 고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용체(20)의 전방측 상부면에 회동부재(80)를 구비하고, 회동부재(80)와 상단부가 연결되어 회동부재(80)에 의해 회동되면서 개구부(22)를 개폐시키는 정면덮개(90)를 설치한다.
이로 인해 사용자가 휴대하여 이동시 개구부(22)를 폐쇄시켜 물보관통(10)의 뚜껑(11)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물보관통(10)을 보호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정면덮개(90)를 상부방향으로 회동시킴으로써 개구부(22)를 개폐하여 한 개 또는 다수개의 물보관통(10)의 뚜껑(11)을 외부로 노출시켜 사용하게 된다.
또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면덮개(90)를 수용체(20)와 탈부착되도록 정면덮개(90)의 하단부로부터 연장되어 벨크로 후크부(91)를 형성하고, 수용체(20)의 하단부에 벨크로 후크부(91)와 상호대응되는 벨크로 시트부(92)를 형성한다.
이러한 벨크로 후크부(91)와 벨크로 시트부(92)는 벨크로가 부착되어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스냅단추(미도시됨)를 포함한 단추류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정면커버(70)와 정면덮개(90)는 투명한 합성수지재로 구성함으로써, 개폐할 필요없이 수용체(20)에 수용되는 물보관통(10)의 물의 양 또는 다양한 음료수를 담은 물보관통(10)의 종류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다.
10 : 물보관통 11 : 뚜껑
12 : 주둥이 20 : 수용체
21 : 수용부 22 : 개구부
30 : 상부덮개 40 : 탈부착부재
50 : 손잡이 60 : 한쌍의 가이드체
61 : 가이드홈 62 : 홈부
70 : 정면커버 71 : 걸림돌기
80 : 회동부재 90 : 정면덮개
91 : 벨크로 후크부 92 : 벨크로 시트부

Claims (4)

  1.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한 방수성 외피와 보온·보냉성 내피로 이루어진 적층식 구조를 갖는 휴대용 물통에 있어서,
    다수개의 물보관통(10)을 적층되게 수용하기 위해 내부에 수용부(21)가 형성되며, 전방측에 수직방향으로 개구부(22)가 절개 형성되는 수용체(20);
    상기 수용체(20) 상부 일측과 연결되어 수용부(21)를 개폐시키도록 구비되는 상부덮개(30);
    상기 상부덮개(30)와 수용체(20)가 탈부착되게 상부덮개(30)의 하단 테두리부(31)와 수용체(20)의 상단 테두리부(24)에 상호 대응되도록 구비되는 탈부착부재(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식 구조를 갖는 휴대용 물통.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22)의 수직방향 양측부에 마주하는 방향으로 가이드홈(61)이 각각 형성되는 한쌍의 가이드체(60)가 구비되고, 상기 마주하는 가이드홈(61)에 삽입되어 한쌍의 가이드체(60)의 길이방향으로 상하이동되면서 개구부(22)를 개폐시키는 정면커버(70)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식 구조를 갖는 휴대용 물통.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61)의 내측에 한쌍의 가이드체(60)의 길이방향으로 반구형태로 다수개의 홈부(62)이 형성되며, 상기 다수개의 홈부(62)과 상호 대응되게 정면커버(70)의 양측에 반구형태로 다수의 걸림돌기(71)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식 구조를 갖는 휴대용 물통.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체(20)의 전방측 상부면에 회동부재(80)가 구비되고, 상기 회동부재(80)와 상단부가 연결되어 회동부재(80)에 의해 회동되면서 개구부(22)를 개폐시키는 정면덮개(90)가 설치되며, 상기 정면덮개(90)를 수용체(20)와 탈부착되게 정면덮개(90)의 하단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벨크로 후크부(91), 상기 수용체(20)의 하단부에 벨크로 후크부(91)와 상호 대응되는 벨크로 시트부(92)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식 구조를 갖는 휴대용 물통.
KR1020120093485A 2012-08-27 2012-08-27 적층식 구조를 갖는 휴대용 물통 KR1012992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3485A KR101299265B1 (ko) 2012-08-27 2012-08-27 적층식 구조를 갖는 휴대용 물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3485A KR101299265B1 (ko) 2012-08-27 2012-08-27 적층식 구조를 갖는 휴대용 물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99265B1 true KR101299265B1 (ko) 2013-09-06

Family

ID=494545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3485A KR101299265B1 (ko) 2012-08-27 2012-08-27 적층식 구조를 갖는 휴대용 물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926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12721U (ko) * 1988-01-22 1989-07-28
JPH057509A (ja) * 1991-07-02 1993-01-19 Masataka Abe 容量変化自在な容器
JPH0773534B2 (ja) * 1989-04-26 1995-08-09 ニッスイ工業株式会社 ストロー付水筒
WO2010101875A2 (en) 2009-03-04 2010-09-10 Pakurderm Holdings Llc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travel accessory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12721U (ko) * 1988-01-22 1989-07-28
JPH0773534B2 (ja) * 1989-04-26 1995-08-09 ニッスイ工業株式会社 ストロー付水筒
JPH057509A (ja) * 1991-07-02 1993-01-19 Masataka Abe 容量変化自在な容器
WO2010101875A2 (en) 2009-03-04 2010-09-10 Pakurderm Holdings Llc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travel accessor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655603S1 (en) Container
EP2432349B1 (en) Dispensing cap
US8475856B2 (en) OTG (on the go) specialty multi-beverage container systems
US20090266737A1 (en) Beverage container permitting multiple configurations
US20120048898A1 (en) Hydration Storage and Dispensing Device
KR20190066803A (ko) 홀더 케이스를 포함하는 유아동용 텀블러
KR20150002551U (ko) 환상 돌기가 구비된 물컵
KR101299265B1 (ko) 적층식 구조를 갖는 휴대용 물통
US11744308B2 (en) Visor with integrated drinking vessel
KR200480794Y1 (ko) 휴대용 백이 구비된 힙시트
KR101416969B1 (ko) 냄비 손잡이
KR20110001814U (ko) 휘젓개의 보관이 용이한 컵
US20140013497A1 (en) Pliable Portable Toilet Seat Cover Device
JP2010036964A (ja) 身体冷却用及びスペシャルドリンク吸飲用保冷容器
KR200475190Y1 (ko) 유아용품 수납가방
KR200479030Y1 (ko) 원터치형 물통
JP3201645U (ja) 飲料ボトル
KR200475801Y1 (ko) 홀더 기능이 있는 일회용컵 뚜껑
JP2010264039A (ja) スーツケース
CN204092578U (zh) 便携轻巧应急药盒
CN103462427A (zh) 儿童用吸管式便捷保冷杯
KR200412069Y1 (ko) 이중 용기
KR20130108226A (ko) 내장컵이 결합된 다용도 페트병
KR20160150264A (ko) 다용도 구멍이 있는 페트병
KR20230056984A (ko) 편의성 및 다용도 기능을 겸비한 종이컵 복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