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2069Y1 - 이중 용기 - Google Patents

이중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2069Y1
KR200412069Y1 KR2020060000344U KR20060000344U KR200412069Y1 KR 200412069 Y1 KR200412069 Y1 KR 200412069Y1 KR 2020060000344 U KR2020060000344 U KR 2020060000344U KR 20060000344 U KR20060000344 U KR 20060000344U KR 200412069 Y1 KR200412069 Y1 KR 20041206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water
auxiliary
double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03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효주
Original Assignee
박효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효주 filed Critical 박효주
Priority to KR20200600003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206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20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206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0External fit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223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shape
    • B65D1/0261Bottom constr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중 용기를 개시한다.
본 고안에 따른 이중 용기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에 마개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입구가 형성된 용기와, 상기 용기의 내부에 구비되고 마개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입구가 상기 용기의 바닥면에 돌출되어 구비된 보조용기와, 상기 용기 바닥면의 외주면에 상기 보조용기의 입구보다 더 길게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용기를 세워주는 받침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되고 작용되는 이중 용기는 하나의 용기 내부에 보조용기를 구비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음료나 물 등 두가지를 수용시킬 수 있어 효율성을 높이고, 보조용기가 용기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어 보조용기에 음료나 물을 냉동 보관하여 얼린 후 용기에 음료나 물을 수용시키면 보조용기에 온도를 전달받아 오랜 시간 시원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중 용기, 물병, 음료병

Description

이중 용기{Double case}
도 1은 종래에 사용되는 이중 용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이중 용기의 절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용기 20 : 보조용기
30 : 받침부
본 고안은 이중 용기에 관한 것으로써, 좀 더 상세하게는 두 가지의 음료를 수용할 수 있게 보조용기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사용자들은 가정에서 음료나 물을 일반 물통이나 용기에 보관하여 필요시에 마시게 되고 외출 시에도 필요에 따라서 물통이나 음료병을 휴대하면서 먹게 된다.
특히 무더운 여름철이나 또는 등산, 낚시, 레저스포츠를 즐기는 사용자들은 잦은 갈증으로 인하여 인체에 필요한 수분을 섭취시켜주기 위해 음료수나 물을 인체에 공급해줘야 건강을 해치지 않는다.
그래서 일반적으로 음료나 물은 폐트병에 담겨진 채 슈퍼나 마트에서 판매되고 있거나 가정에서 물병이나 음료수병에 넣어서 휴대하고 있다.
그러나 물과 음료수를 휴대하기 위해서는 두개의 물병을 휴대하여야 하기 때문에 휴대 시 무겁게 되고 또 마시는 과정에 있어서도 상당히 번거로움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특히 등산이나 낚시와 같이 레저활동 중에는 사용자의 두 손이 자유롭지 못할 경우 음료수병과 물병을 번갈아 마실 경우 상당한 불편함이 따르고 이에 따라 안전사고가 발생하게 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국내특허 (제 20-031466호) 명칭 : 이중 분할 공간 구조의 음료수병 및 그 뚜껑'을 보면 일반적인 폐트병의 가운데 차단판(120)을 형성시키고 양쪽으로 제 1 수용부(100)와 제 2 수용부(110)를 구비시킨 다음 수용부 각각에 입구와 마개(130)를 구비시켜 음료나 물을 이중으로 수용시킬 수 있은 기술이 나와 있다.
하지만 단순히 일반 용기의 내부에 차단판(120)을 사용하여 분할시켜 음료나 물 등 두가지를 수용시킬시 있는 것 외에는 다른 효과를 전혀 낼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또 여름철과 같은 날에는 시원함을 유지하기 위해 음료나 물을 냉동보관 시킨 후 휴대하는 경우가 많은데 외부와 직접적으로 노출되어 있어 시원함을 오랜 시간 유지시키지 못하는 문제점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하나의 용기에 보조용기를 구비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음료나 물 등 선택적으로 두가지의 음료를 수용시켜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음료나 물을 섭취할 수 있는 편의성을 높여줌과 동시에 보조용기를 용기의 내부에 구비시킴으로써 보조용기에 음료나 물을 얼린 후 사용하게 되면 용기 내부에 음료나 물이 보조용기의 온도를 전달받아 시원함을 오랜 시간 유지시킬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에 마개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입구가 형성된 용기(10)와, 상기 용기(10)의 내부에 구비되고 마개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입구가 상기 용기(10)의 바닥면에 돌출되어 구비된 보조용기(20)와, 상기 용기(10) 바닥면의 외주면에 상기 보조용기(20)의 입구보다 더 길게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용기(10)를 세워주는 받침부(3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한 특징으로서 상기 보조용기(20)는 상기 용기(10)의 바닥면측과 실리콘으로 접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이중 용기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이중 용기의 절개도이다.
이에 나타내 보인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이중 용기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으로 마개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입구가 형성된 용기(10)가 구 비된다.
이러한 상기 용기(10)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페트병으로써 소재는 PET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구비되는 것이다.
이렇게 구비된 상기 용기(10)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페트병으로써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되어 있어 음료나 물 등을 수용시켜 휴대할 수 있으며 슈퍼나 마트에서는 음료나 물을 담아서 판매되고 있다.
다음으로 상기 용기(10)의 내부에는 보조용기(20)가 구비되는데 상기 보조용기(20)는 상기 용기(10)의 형태와 대동소이하다.
일측으로 마개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는 입구가 형성되고 타측으로는 물이나 음료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 공간이 형성된다.
다만 크기가 상기 용기(10) 보다 작게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용기(10)의 내부에 구비되고 입구가 상기 용기(10)의 바닥면에 돌출되어 구비되는데 상기 용기(10)의 바닥면에 형성된 홈에 끼워져 실리콘으로 접착시켜 구비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보조용기(20)가 상기 용기(10)의 내부에 구비될 때는 상기 용기(10)의 내부에도 물이나 음료를 구비할 수 있게 일정한 공간이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보조용기(2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리하여 하나의 용기에 두가지의 음료나 물을 휴대할 수 있기 때문에 효율성이 높아 사용상의 편의성을 높여준다.
또한 두가지의 음료를 휴대할 수 있는 장점뿐만 아니라 상기 보조용기(20)가 상기 용기(10)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음으로 여름철 같은 경우에는 상기 보조용기 (20)의 수용된 음료나 물을 얼린 후 상기 용기(10)에 음료나 물을 넣으면 상기 보조용기(20)가 외부의 온도와 직접적으로 노출되어 않기 때문에 용기의 음료나 물에 온도를 전달하여 시원함을 오랜 시간 유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용기(10)의 바닥면에는 받침부(3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받침부(30)는 상기 용기(10)를 냉장고나 식탁 등에 세워놓을 때 사용되는 것으로 보조용기(20)의 입구가 돌출되어 있어 세워놓기가 어렵기 때문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용기(10)의 바닥면에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다.
또 상기 받침부(30)는 상기 보조용기(20)의 돌출된 입구보다 좀 더 돌출되어 구비되고 상기 보조용기(20)의 입구로 사용자가 입을 대어 음료나 물을 섭취할 때 사용자의 턱이나 코가 부딪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 예 또는 수정 예들은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고안에 따른 이중 용기는 보조용기가 구비되어 있어 두가지의 음료를 휴대할 수 있음으로 사용상의 편의성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보조용기가 용기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어 보조용기에 수용된 음료나 물 을 냉동시켜 휴대할 경우 용기의 음료나 물에 온도를 전달시켜 시원함을 오랜 시간 유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2)

  1.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에 마개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입구가 형성된 용기(10)와;
    상기 용기(10)의 내부에 구비되고 마개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입구가 상기 용기(10)의 바닥면에 돌출되어 구비된 보조용기(20)와;
    상기 용기(10) 바닥면의 외주면에 상기 보조용기(20)의 입구보다 더 길게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용기(10)를 세워주는 받침부(30);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용기(20)는 상기 용기(10)의 바닥면측과 실리콘으로 접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용기.
KR2020060000344U 2006-01-05 2006-01-05 이중 용기 KR20041206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0344U KR200412069Y1 (ko) 2006-01-05 2006-01-05 이중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0344U KR200412069Y1 (ko) 2006-01-05 2006-01-05 이중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2069Y1 true KR200412069Y1 (ko) 2006-03-22

Family

ID=417623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0344U KR200412069Y1 (ko) 2006-01-05 2006-01-05 이중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206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0006A (ko) 2018-04-14 2019-10-23 우진우 비타민 보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0006A (ko) 2018-04-14 2019-10-23 우진우 비타민 보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77044B1 (en) Beverage container device
US8746475B2 (en) Multi-chambered bottles for separating content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 same
US6789693B2 (en) Two-liter cooler
KR20130001866U (ko) 음료수컵의 얼음 격리용 포켓장치
US20230406603A1 (en) System to hold multiple beverage containers
US11141012B1 (en) Float with beverage holder cooler
KR200412069Y1 (ko) 이중 용기
US20050023237A1 (en) Detachable plastic bottle and bottle holder for consumers and healthcare
KR20210009293A (ko) 텀블러
KR101295227B1 (ko) 결로방지용 결합용기
US20210030176A1 (en) Dual Chambered Canteen with Interchangeable Lids
US20160096573A1 (en) Removable storage compartment system for bicycles
KR20120120662A (ko) 주류 및 음료용 보냉케이스
KR200165344Y1 (ko) 고형얼음을 이용한 음료용 컵
KR200420858Y1 (ko) 목에 착용 가능한 음료수 용기.
US20230009979A1 (en) Container Cover
US20130320027A1 (en) Cold drink cup
US10730685B2 (en) System to hold multiple beverage containers
US20090020541A1 (en) Self-cooling plastic drink bottle
KR200338524Y1 (ko) 휴대용 패트병
KR200340429Y1 (ko) 보온 보냉이 가능한 이중용기
KR100620327B1 (ko) 휴대용 냉수병 보냉 케이스
KR200370375Y1 (ko) 주류 및 음료용 냉장보존용기
KR20050005015A (ko) 보냉 겸용 보온용기
KR200188022Y1 (ko) 휴대용 냉보온 물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315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