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6969B1 - 냄비 손잡이 - Google Patents

냄비 손잡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6969B1
KR101416969B1 KR1020130017702A KR20130017702A KR101416969B1 KR 101416969 B1 KR101416969 B1 KR 101416969B1 KR 1020130017702 A KR1020130017702 A KR 1020130017702A KR 20130017702 A KR20130017702 A KR 20130017702A KR 101416969 B1 KR101416969 B1 KR 1014169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fixing member
pot
handle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77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희은
Original Assignee
일진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일진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일진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177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69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69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69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47J45/062Bowl han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냄비 손잡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 냄비 손잡이를 접을 수 있도록 구성하여 부피를 최소화와 공간의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보관 및 포장이 편리하게 이루어지며, 마그넷을 구비하여 접거나 편 상태에서 자성에 의해 이탈되지 않고 견고히 부착 고정할 수 있으며, 조작이 쉽게 이루어지고 사용상의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는 냄비 손잡이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냄비(100)의 양측에 고정부재(10)를 결합하고, 고정부재(10)에 손잡이 본체(2)를 결합하는 간단한 구성으로 제조단가를 절감함과 조립의 용이함을 제공할 수 있으며, 적은 힘으로 조작이 가능함으로 사용상의 용이함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손잡이 본체(2)의 중심축(5)은 스토퍼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바닥면(5a)을 평평하게 구성하여 손잡이 본체(2)가 고정부재(10)와 수평에 다다를 경우 더 이상 상부로 회동되지 않고 마그넷(9)에 의해 금속볼트(20)에 견고히 밀착 고정되는 것이다.

Description

냄비 손잡이{The handle of the pot}
본 발명은 냄비 손잡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 손잡이를 접을 수 있도록 구성하여 부피를 최소화시킬 수 있으며, 보관 및 포장이 편리하게 이루어지고, 마그넷을 구비하여 접거나 편 상태에서 자력에 의해 이탈되지 않고 견고히 부착 고정할 수 있는 냄비 손잡이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일반적인 냄비는 음식을 끊이거나 삶는 데 쓰는 용구로 음식물을 넣을 수 있도록 내부 공간이 형성된 몸체와, 몸체의 상부에 덮을 수 있는 뚜껑을 구성하고, 몸체의 양측에 뜨거운 음식이 들어 있는 냄비를 옮길 시 화상 등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손잡이를 형성한다.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09-0007536 및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439944와 같이 냄비의 양측에 손잡이가 외부로 돌출된 구성으로 냄비를 포장 및 보관할 시 부피가 많이 차지하고, 보관의 어려움이 있으며, 냄비를 포장하여 이동할 시 손잡이에 충격이 많이 전달되기 때문에 손잡이 주위로 완충수단을 넣어 포장해야 하거나 손잡이를 분리하여 포장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여러 개의 냄비를 포개어 보관할 수 없으며, 이동 및 사용할 시 손잡이가 걸려 각종 사고를 유발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KR 10-2009-0007536 2009.01.19. KR 20-0425646 2006.09.06. KR 20-0439944 2008.05.14.
이에 본 발명자는 상기한 종래 냄비 손잡이의 문제점을 해소코자 발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냄비에 부착되는 손잡이의 구성을 간단하게 하면서도 결합의 용이함을 제공하고, 사용의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접철식으로 구성하며, 접거나 편 상태에서도 외부의 충격 또는 사용중에 이탈되지 않고 견고히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한 냄비 손잡이를 제공함에 기술적 과제를 두고 본 발명을 완성한 것이다.
과제 해결 수단으로 본 발명에서는 너트공이 구성된 결합편을 양측에 형성한 냄비와; 중앙에 볼트공을 형성하고, 양측에 가이드 홈을 형성하며, 전방 내부에 상기 결합편이 끼움 결합되는 결합공을 형성한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의 후방 중앙에 외부로 돌출되게 구성하고, 상·하부에 걸림돌기를 형성한 가이드 편과; 상기 볼트공으로 내입한 후 너트공에 체결되는 금속볼트와; 중앙에 상·하로 관통된 파지공을 형성한 손잡이 본체와; 상기 고정부재를 내입 구성할 수 있도록 손잡이 본체의 전방에 개방된 개방공간과; 상기 고정부재의 가이드 홈에 끼워져 상기 손잡이 본체를 회동할 수 있도록 외부로 돌출된 중심축과; 상기 가이드 편이 상·하로 회동할 시 이탈됨을 방지하도록 상기 개방공간의 후방 중앙에 내부로 함몰되게 구성하고, 상·하부에 고정부재의 걸림돌기가 걸림되는 걸림턱을 형성하고, 중앙에 삽입공을 형성한 홈부와; 상기 삽입공에 삽입 고정되어 금속볼트에 부착되는 마그넷(9);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가이드 홈은 손잡이 본체의 중심축이 좌·우로 슬라이딩되도록 '⊂'형상으로 형성한다.
또한 결합공의 하부에는 손잡이 본체를 하부로 접을 때 마그넷의 자성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금속판이 끼움 결합된 결합홈을 형성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냄비 손잡이는 적은 힘으로도 접었다가 펼칠 수 있도록 접철식으로 구성하여 보관하는 공간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으며, 냄비를 포장할 시 포장상자와 밀착되게 포장할 수 있으므로 냄비 손잡이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분리하는 번거로움을 방지할 수 있는 등 다수의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냄비 손잡이는 손잡이 본체의 내부에 마그넷을 구비하여 금속이 부설된 곳에서 자력에 의해 견고히 부착되고 냄비 손잡이가 이탈되지 않는 상태에서 보관 및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그리고 손잡이 본체의 중심축은 바닥을 평평하게 구성하다가 측면에서 상면까지 라운드형으로 구성하여 손잡이를 잡고 아래쪽으로 회동할 시 고정부재의 가이드 홈에서 상면과 측면을 따라 손쉽게 회동할 수 있으나 손잡이 본체를 상부로 회동할 시 고정부재와 수평에 가까워졌을 때 가이드 홈에 걸려 더 이상 회동하지 않는 스토퍼 역할을 수행하여 별도의 스토퍼의 구성을 필요하지않는 사용상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냄비 손잡이의 일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냄비 손잡이의 접은 상태 사시도
도 3은 냄비 손잡이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냄비 손잡이의 사용 상태도
도 5는 도 4의 평면도
도 6은 도 4의 A-A선 사용 상태도
도 7은 도 4의 B-B선 사용 상태도
이하에서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냄비 손잡이의 일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냄비 손잡이의 접은 상태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3은 냄비 손잡이의 분리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각종 음식을 조리할 시 사용되는 냄비(100)에 결합하여 사용하는 것으로서, 뜨거워진 냄비(100)를 옮길 시 잡을 수 있는 손잡이 본체(2)와 냄비(100)의 외면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부재(10)로 구성된다.
상기 손잡이 본체(2)는 전체적으로 부드러운 곡선미를 강조할 수 있도록 개략 '⊂'형상으로 형성하고, 중앙에 손가락을 넣어 파지할 수 있도록 파지공(3)을 형성하고, 전방에 고정부재(10)를 내입 결합할 수 있도록 개방공간(4)을 형성한다.
상기 개방공간(4)은 양측에 고정부재(10)에 결합한 후 손잡이 본체(2)의 회전 축이 되는 중심축(5)을 외부로 돌출되게 형성하고, 후방 중앙에 단이 지게 내부로 함몰된 홈부(6)를 형성한다.
상기 홈부(6)는 상·하부에 고정부재(10)에 걸림되어 이탈됨을 방지할 수 있도록 걸림턱(7)을 형성하고, 중앙에는 삽입공(8)을 형성한다.
상기 삽입공(8)에는 금속을 끌어당길 수 있도록 자성을 가지는 마그넷(9)을 삽입 구성한다.
상기 고정부재(10)는 냄비(100)에 부착 고정되도록 중앙에 금속볼트(20)가 내입 구성되는 볼트공(11)을 형성하고, 양측에 상기 손잡이 본체(2)의 중심축(5)이 설치되는 '⊂' 형상의 가이드 홈(12)을 형성하며, 후방 중앙에는 손잡이 본체(2)의 홈부(6)에 내입 구성되어 이탈되지 않고 상·하로 슬라이딩되도록 돌출된 가이드 편(13)을 형성하고, 전방 내부에는 냄비(100)의 외면에 설치된 결합편(101)이 끼움 결합되는 결합공(14)을 형성한다.
상기 가이드 편(13)의 상·하부에는 상기 손잡이 본체(2)의 걸림턱(7)에 안치되어 걸림되도록 걸림돌기(16)를 형성한다.
상기 결합공(14)의 하부에는 'ㄷ'형상의 결합홈(15)을 형성한다.
상기 결합홈(15)에는 마그넷(9)을 부착할 수 있도록 금속판(30)을 형성한다.
상기 중심축(5)은 바닥면(5a)을 평평하게 형성하고, 측면(5b)에서 상면(5c)까지 라운드형으로 부드러운 곡선면(5d)을 형성하면, 본 발명은 완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냄비 손잡이(1)는 도 4,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냄비(100)의 양측에 설치되어 뜨거운 음식이 있는 냄비(100)를 잡고 이동할 시 사용되는 것으로서, 냄비(100)에 냄비 손잡이(1)를 결합하는 순서를 설명하면,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고정부재(10)의 결합홈(15)에 금속판(30)을 결합하고, 고정부재(10)의 가이드 홈(12)에 손잡이 본체(2)의 중심축(5)을 내입 구성한 후 냄비(100)의 양측에 너트공(102)이 형성된 결합편(101)에 고정부재(10)의 결합공(14)을 끼움 결합하고, 고정부재(10)의 볼트공(11)을 통해 금속볼트(20)가 내입 구성된 후 너트공(102)과 체결하면 냄비 손잡이(1)의 설치가 완료되는 간단한 구성이며, 이와 반대로 냄비 손잡이(1)를 분리하면 손쉽게 이루어진다.
도 6과 도 7을 참조하여 작동 순서를 살펴보면,
상기 냄비 손잡이(1)는 고정부재(10)의 금속판(30)가 이격되게 구성하고 있어도 내부에 구성된 마그넷(9)의 자력에 의해 견고하게 밀착되고, 손잡이 본체(2)를 펼칠 경우 손잡이 본체(2)의 파지공(3)에 손가락을 넣고 손잡이 본체(2)의 중심축(5)의 중심으로 손잡이 본체(2)는 상부로 회동하여 상승시키고, 고정부재(10)와 수평이 가까워질 경우 중심축(5)의 바닥면(5a)이 고정부재(10)의 가이드 홈(12)의 바닥과 접촉되어 더 이상 상승하지 못하고 멈추게 되는 순간에 금속볼트(20)에 부착하려는 마그넷(9)의 자성에 의해 손잡이 본체(2)가 금속볼트(20) 쪽으로 당겨져 마그넷(9)은 금속볼트(20)에 밀착되고 걸림턱(7)은 고정부재(10)의 걸림돌기(16)에 걸림되어 손잡이 본체(2)가 밀착 고정되는 것이다.
그리고 냄비 손잡이(1)를 접을 경우 손잡이 본체(2)의 파지공(3)에 손가락을 넣고 뒤쪽으로 당기면 손잡이 본체(2)의 중심축(5)이 고정부재(10)의 가이드 홈(12)에서 후방으로 슬라이딩되고, 마그넷(9)이 금속볼트(20)에서 떨어지고 손잡이 본체(2)를 아래로 내리면 중력에 의해 하부로 회동되고, 마그넷(9)이 하부에 있는 금속판(30)을 당기려는 자성에 의해 손잡이 본체(2)가 고정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협소한 장소에서도 보관이 가능하고, 공간의 활용도를 극대화하여 사용상의 편리함을 제공하며, 손쉽게 조작할 수 있으므로 작동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손잡이 본체(2)의 중심축(5)은 바닥면(5a)을 평평하게 구성하여 손잡이 본체(2)를 펼쳤을 때 손잡이 본체(2)와 고정부재(10)가 수평에 가까워지며 가이드 홈(12)의 바닥에 중심축(5)의 바닥면(5a) 걸려 더 이상 상부로 상승하지 못하고 마그넷(9)의 자성에 의해 손잡이 본체(2)가 냄비(100)의 고정된 고정부재(10)로 당겨져 손잡이 본체(2)가 부착 고정되게 되는 것으로 별도의 스토퍼 구성을 필요하지않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는 구체적인 실시예를 관하여 설명하고 있는바, 본 발명의 기술범위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적정한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이상의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관련되는 균등수단에 대해서는 그 보호범위가 미친다고 할 것이다.
1: 냄비 손잡이 2: 손잡이 본체
3: 파지공 4: 개방공간
5: 중심축 5a: 바닥면
5b: 측면 5c: 상면
5d: 곡선면 6: 홈부
7: 걸림턱 8: 삽입공
9: 마그넷 10: 고정부재
11: 볼트공 12: 가이드 홈
13: 가이드 편 14: 결합공
15: 결합홈 16: 걸림돌기
20: 금속볼트 30: 금속판
100: 냄비 101: 결합편
102: 너트공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너트공(102)이 구성된 결합편(101)을 양측에 형성한 냄비(100)와;
    중앙에 볼트공(11)을 형성하고, 양측에 가이드 홈(12)을 형성하며, 전방 내부에 상기 결합편(101)이 끼움 결합되는 결합공(14)을 형성한 고정부재(10)와;
    상기 고정부재(10)의 후방 중앙에 외부로 돌출되게 구성하고, 상·하부에 걸림돌기를 형성한 가이드 편(13)과;
    상기 볼트공(11)으로 내입한 후 너트공(102)에 체결되는 금속볼트(20)와;
    중앙에 상·하로 관통된 파지공(3)을 형성한 손잡이 본체(2)와;
    상기 고정부재(10)를 내입 구성할 수 있도록 손잡이 본체(2)의 전방에 개방된 개방공간(4)과;
    상기 고정부재(10)의 가이드 홈(12)에 끼워져 상기 손잡이 본체(2)를 회동할 수 있도록 외부로 돌출된 중심축(5)과;
    상기 가이드 편(13)이 상·하로 회동할 시 이탈됨을 방지하도록 상기 개방공간(4)의 후방 중앙에 내부로 함몰되게 구성하고, 상·하부에 고정부재(10)의 걸림돌기(16)가 걸림되는 걸림턱(7)을 형성하고, 중앙에 삽입공(8)을 형성한 홈부(6)와;
    상기 삽입공(8)에 삽입 고정되어 금속볼트(20)에 부착되는 마그넷(9)와;
    상기 결합공(14)의 하부에는 손잡이 본체(2)를 하부로 접을 때 마그넷(9)의 자성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금속판(30)이 끼움 결합된 결합홈(15)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냄비 손잡이.
  4. 너트공(102)이 구성된 결합편(101)을 양측에 형성한 냄비(100)와;
    중앙에 볼트공(11)을 형성하고, 양측에 가이드 홈(12)을 형성하며, 전방 내부에 상기 결합편(101)이 끼움 결합되는 결합공(14)을 형성한 고정부재(10)와;
    상기 고정부재(10)의 후방 중앙에 외부로 돌출되게 구성하고, 상·하부에 걸림돌기를 형성한 가이드 편(13)과;
    상기 볼트공(11)으로 내입한 후 너트공(102)에 체결되는 금속볼트(20)와;
    중앙에 상·하로 관통된 파지공(3)을 형성한 손잡이 본체(2)와;
    상기 고정부재(10)를 내입 구성할 수 있도록 손잡이 본체(2)의 전방에 개방된 개방공간(4)과;
    상기 고정부재(10)의 가이드 홈(12)에 끼워져 상기 손잡이 본체(2)를 회동할 수 있도록 외부로 돌출된 중심축(5)과;
    상기 가이드 편(13)이 상·하로 회동할 시 이탈됨을 방지하도록 상기 개방공간(4)의 후방 중앙에 내부로 함몰되게 구성하고, 상·하부에 고정부재(10)의 걸림돌기(16)가 걸림되는 걸림턱(7)을 형성하고, 중앙에 삽입공(8)을 형성한 홈부(6)와;
    상기 삽입공(8)에 삽입 고정되어 금속볼트(20)에 부착되는 마그넷(9)와;
    상기 중심축(5)은 바닥면(5a)을 평평하게 형성하고, 측면(5b)에서 상면(5c)까지 라운드형의 곡선면(5d)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냄비 손잡이.
KR1020130017702A 2013-02-19 2013-02-19 냄비 손잡이 KR1014169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7702A KR101416969B1 (ko) 2013-02-19 2013-02-19 냄비 손잡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7702A KR101416969B1 (ko) 2013-02-19 2013-02-19 냄비 손잡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6969B1 true KR101416969B1 (ko) 2014-07-08

Family

ID=51741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7702A KR101416969B1 (ko) 2013-02-19 2013-02-19 냄비 손잡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696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0607B1 (ko) 2015-08-25 2016-11-29 주식회사 노블첸 냄비손잡이
KR101886071B1 (ko) * 2017-08-01 2018-09-06 이금준 가스 밸브의 레버 조작용 보조 손잡이
KR200489172Y1 (ko) * 2019-02-26 2019-05-13 김영수 절첩이 용이한 회전식 냄비 손잡이용 받침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7301U (ko) * 1998-03-03 1999-10-05 정한성 냄비의 회전식 파지장치
US20090218355A1 (en) 2005-12-23 2009-09-03 Eric Chameroy Cooking Receptacle with at Least One Pivoting Handle
KR200456901Y1 (ko) * 2010-02-04 2011-11-24 이광 접이식 주방용기 손잡이의 구조
KR20120128490A (ko) * 2011-05-17 2012-11-27 주식회사 코베아 조리용기용 절첩식 손잡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7301U (ko) * 1998-03-03 1999-10-05 정한성 냄비의 회전식 파지장치
US20090218355A1 (en) 2005-12-23 2009-09-03 Eric Chameroy Cooking Receptacle with at Least One Pivoting Handle
KR200456901Y1 (ko) * 2010-02-04 2011-11-24 이광 접이식 주방용기 손잡이의 구조
KR20120128490A (ko) * 2011-05-17 2012-11-27 주식회사 코베아 조리용기용 절첩식 손잡이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0607B1 (ko) 2015-08-25 2016-11-29 주식회사 노블첸 냄비손잡이
KR101886071B1 (ko) * 2017-08-01 2018-09-06 이금준 가스 밸브의 레버 조작용 보조 손잡이
KR200489172Y1 (ko) * 2019-02-26 2019-05-13 김영수 절첩이 용이한 회전식 냄비 손잡이용 받침대.
WO2020175820A1 (ko) * 2019-02-26 2020-09-03 김영수 절첩이 용이한 회전식 냄비 손잡이용 받침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626838S1 (en) Bottle closure with flip top
USD626837S1 (en) Bottle closure with flip top
USD676715S1 (en) Coffee pod storage drawer rack
USD688920S1 (en) Latch closable container
USD682046S1 (en) Storage container
USD720526S1 (en) Bobby pin container
USD655603S1 (en) Container
USD724977S1 (en) Vehicle on-board diagnostics (OBD) dongle
USD698642S1 (en) Box for a package
KR101416969B1 (ko) 냄비 손잡이
KR101509482B1 (ko) 주방용기용 접이식 손잡이 구조
USD714143S1 (en) Lid for a container
KR101037656B1 (ko)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USD644892S1 (en) Flip top container
JP3168633U (ja) スーツケース構造
JP3168633U7 (ko)
USD627642S1 (en) Lid for a dispensing closure
USD717567S1 (en) Magnetic container for storage of safety equipment
JP3208152U (ja) キャリーバッグ
USD656287S1 (en) Container
JP3158740U (ja) 液体容器
USD804253S1 (en) Combined drink holder and cooler
CN203439390U (zh) 组合式酒盒
JP2017114513A (ja) 飲料容器の蓋体ロック構造
KR101299265B1 (ko) 적층식 구조를 갖는 휴대용 물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