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7792B1 - 에어백용 원단 - Google Patents

에어백용 원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7792B1
KR101297792B1 KR1020070096214A KR20070096214A KR101297792B1 KR 101297792 B1 KR101297792 B1 KR 101297792B1 KR 1020070096214 A KR1020070096214 A KR 1020070096214A KR 20070096214 A KR20070096214 A KR 20070096214A KR 101297792 B1 KR101297792 B1 KR 1012977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fibers
polyamide
airbag
heat capac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62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30722A (ko
Inventor
상 목 이
정 훈 윤
진 일 김
Original Assignee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962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7792B1/ko
Publication of KR200900307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07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77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77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00Woven fabrics designed to make specified articles
    • D03D1/02Inflatabl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5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1/00Double or multi-ply fabr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2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 D03D15/283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synthetic polymer-based, e.g. polyamide or polyester fibr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3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fibres or filaments
    • D03D15/33Ultrafine fibres, e.g. microfibres or nanofibr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326Condensation or reaction polymers
    • D04H1/4334Polyamid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7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fibres
    • D04H1/7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fibres the fibres being randomly arranged
    • D04H1/72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fibres the fibres being randomly arranged by electro-spinn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7/00Producing multi-layer textile fabr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5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 B60R2021/23504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characterised by material
    • B60R2021/23509Fabric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2200/00Functionality of the treatment composition and/or properties imparted to the textile material
    • D06M2200/30Flame or heat resistance, fire retardancy properti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3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 D10B2331/02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polyamid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3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 D10B2331/04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polyesters, e.g.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4Heat-responsive characteristic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5/00Industrial
    • D10B2505/12Vehicles
    • D10B2505/124Air ba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ano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ir Bags (AREA)
  • Woven Fabrics (AREA)
  • Artificial Filaments (AREA)
  • Non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백용 원단에 관한 것으로서, 합성섬유 직물로 형성된 기재층(1)과; 상기 기재층(1)상에 적층되어 있고, 열용량(Heat capacity)이 620 J/g 이상이며 단사섬도가 1,000㎚ 이하인 나노섬유들로 이루어진 나노섬유 웹층(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기재층인 직물상에 높은 열용량(Hc)을 갖는 나노섬유 웹이 적층되어 열적 특성이 우수하고, 기재층인 직물로 열용량(Hc)이 다소 낮은 소재들도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하다.
에어백, 원단, 열용량, 열적특성, 나노섬유, 웹, 전기방사, 적층

Description

에어백용 원단{Fabric used in manfacturing air bag}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용 원단의 단면 개략도.
도 2는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폴리아미드 6 나노섬유 웹의 전자현미경 사진.
도 3은 전기방사 방식 일례의 공정 개략도.
본 발명은 에어백용 원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기재층인 합성섬유 직물상에 나노섬유 웹이 적층되어 있는 에어백용 원단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있어서, 나노섬유는 단사섬도가 1,000㎚ 이하인 섬유를 의미하는 용어로 사용되며, 나노섬유 웹이란 상기 나노섬유들이 차례로 적층되어 이루어진 웹(Web)을 의미하는 용어로 사용된다.
최근 각종의 교통수단 특히 자동차에는 충돌시 그 충격으로부터 승객을 보호하기 위한 에어백 시스템이 실용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에어백은 통상 자동차의 핸들, 대시보드내에 보관하게 되므로 에어백의 부피가 작을 수록 좋다. 그리 고 에어백은 장시간 동안 고온의 열과 자동차에 의한 진동을 반복적으로 받으므로 우수한 열적특성과 내마모성을 가져야 한다.
에어백은 운전자측 부분인 프론트 패널과 인플레이트측 부분인 백 패널 또는 사이드 패널로 구성된다. 백 패널 또는 사이드 패널에는 인플레이트 부착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벤트홀도 선택적으로 형성된다. 인플레이트 부착홀은 고압가스를 에어백내에 주입시키기 위한 구멍이고, 벤트홀은 운전자 및 탑승자의 충격완화 및 질식예방을 위해 에어백내 고압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구멍이다.
자동차 사고발생시 승객의 머리와 몸통부분을 보호하기 위한 에어백은 열적특성, 기밀성, 강도, 유연성 및 경량성 등의 특성이 요구된다. 사고발생시 인플레이트에서 나온 고온고압의 가스는 승객보호를 위해서 에어백을 부풀리게 된다.
이때 인플레이트에서 발생한 고온고압의 가스는 에어백 재료인 원단과 직접 접촉하여 에어백이 팽창하게 된다. 만약 에어백용 원단의 열적특성, 구체적으로 열용량(Heat capacity - 이하 "Hc" 라고 한다)이 낮을 경우에는 장시간동안 고온의 열을 반복적으로 받거나 인플레이트에서 분사된 고온고압 가스와 접촉시 기계적 물성이 크게 저하된다. 또한 에어백용 원단의 기밀성이 낮은 경우 고온 고압의 가스는 원단의 표면으로 빠져나와 승객의 인체와 직접 접촉하게 되어 질식사 등의 유해한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고무성분이 코팅되지 않은 에어백용 원단의 기밀성은 실제 에어백 전개시 원단에 미치는 압력과 유사한 125Pa의 압력차에서 ASTM D 737 방법으로 측정한 공기 투과도가 8.0ft3/분(이하 CFM 이라고 한다),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3.5 CFM 이하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에어백용 원단은 고온고압 가스에 의해 급속하게 팽창되므로 우수한 인장강도를 구비하여야 한다. 바람직하기로는 인장강도가 ASTM D 5034 방법으로 측정시 171kgf/인치 이상이 되어야 한다. 또한 에어백용 원단은 에어백 모듈내 수납성을 향상시키고, 자동차 경량화를 위해서 유연성 및 경량성을 구비하여야 한다.
바람직하기로는 두께가 0.4㎜ 이하이고 무게가 290g/㎡ 이하가 되어야 한다.
에어백용 원단에 요구되는 열적특성, 즉 열용량(Hc)은 620 J/g 이상 수준이다.
상기와 같은 열적특성을 충족하기 위해서 지금까지는 에어백용 원단을 제직시 열용량(Hc)이 620 J/g 이상인 합성섬유 원사, 예를들면 폴리아미드 66 원사들을 주로 사용해 왔다.
다시말해, 종래에는 에어백용 원단을 제조시 사용하는 원사의 종류가 특별하게 한정되어 다양한 소재의 원사를 적용할 수 없었다.
종래 에어백용 원단 제조시 주로 사용된 열용량(Hc)이 620 J/g 이상인 합성섬유 원사는 열용량(Hc)이 620 J/g 미만인 합성섬유 원사, 예를들면 폴리에스테르 원사 등 보다 가격이 비싸고 용융온도(Melting point)가 낮은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에어백용 원단 제조시 다양한 소재의 원사를 기재용 원단 제조에 적용함으로써, 열적특성이 우수함과 동시에 제조원가도 저렴한 에어백용 원단을 제조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기재층인 직물상에 높은 열용량(Hc)을 갖는 나노섬유 웹이 적층되어 열적 특성이 우수하고, 기재층인 직물로 열용량(Hc)이 다소 낮은 소재들도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한 에어백용 원단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 등을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용 원단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합성섬유 직물로 형성된 기재층(1)과; 상기 기재층(1)상에 적층되어 있고, 열용량(Heat capacity)이 620 J/g 이상이며 단사섬도가 1,000㎚ 이하인 나노섬유들로 이루어진 나노섬유 웹층(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용 원단의 단면 개략도이다.
상기 나노섬유 웹은 단사섬도가 1,000㎚ 이하이고, 열용량(Hc)이 620 J/g 이상인 나노섬유들로 이루어진다. 도 2는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폴리아미드 66 나노섬유 웹의 전자현미경 사진이다.
상기 나노섬유는 폴리아미드 66 섬유, 폴리아미드 46 섬유, 전방향족 폴리아미드 섬유 등으로서 도 3에 도시된 전기방사방식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도 3은 통상적인 전기방사 일례의 공정 개략도이다.
전기방사는 직경이 수십 내지 수백 ㎚인 나노섬유를 제조할 수 있는 비교적 간단한 방법으로 이미 1930년대에 독일에서 첫 선을 보였다. 그러나, 당시의 기술로는 이를 상품화하는 데에 한계가 있어 관심을 받지 못하다가 1970년대에 이르러서야 연구가 다시 시작되었다가 2000년대 이후에서야 본격적인 연구가 시작되었다.
전기방사는 고분자용액에 수천 내지 수만 볼트의 높은 전압을 가하여 고분자 용액으로부터 용매의 표면장력을 넘는 접선벡터의 힘이 가해져서 고분자용액으로부터 미세한 폴리머 제트가 형성되어 고분자용액에 가해진 전하와 반대의 전하를 띠는 물체를 향해 빠른 속도로 진행하게 된다. 분사된 고분자 제트는 이어 수많은 미세 섬유로 다시 분산되어 뿌려지게 되는데 이때의 미세 섬유의 직경은 수십내지 수백 나노미터의 굵기를 가진다.
전기방사를 이용하면 고분자용액으로부터 수십 내지 수백 나노미터의 굵기를 가지는 나노섬유로 이루어진 도 2와 같은 나노섬유 웹을 제조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고기능성 의류, 초정밀 필터, 세포배양용 소재(scaffold) 등의 고성능 제품을 얻을 수 있다.
상업적으로 나노섬유 웹을 제조하기 위해서 한국등록특허 제0412241호, 한국등록특허 제0422459호 및 한국공개특허 제2005-15610호 등에서는 고분자 용액을 다수의 노즐을 통해 전기방사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의 방법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분자 용액을 계량펌프(2)를 통해 고전압이 걸려있는 다수의 노즐(3)에 공급한 다음, 이를 노즐과 반대 전하를 띠는 고전압이 걸려있는 컬렉터(4)상에 위치하는 섬유기재상에 전기방사하 여 나노섬유 웹을 제조한다.
도 3은 전기방사방식 일례의 공정 개략도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나노섬유의 제조방법을 특별하게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의 기재층인 합성섬유 직물은 폴리에스테르 섬유, 폴리아미드 6 섬유, 폴리아미드 66 섬유, 폴리아미드 46 섬유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용융온도가 250℃ 이상인 폴리에스테르 섬유로 구성하여 용융온도(Melting Point)를 개선시킴과 동시에 제조원가도 절감할 수도 있다.
기재층인 합성섬유 직물은 앞에서 설명한 합성섬유 원사를 경사 및 위사로 사용하여 평직, 바스켓직 또는 능직 등으로 제직하여 제조된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합성섬유 직물(기재층)상에 앞에서 설명한 나노섬유들을 전기방사방식으로 방사하여 나노섬유 웹을 적층시켜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용 원단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용 원단은 열용량(Hc) 등의 열적특성이 우수함과 동시에 에어백용 원단에 요구되는 물성들을 만족한다. 구체적으로 125Pa 압력차에서 ASTM D 737 방법으로 측정한 공기투과도가 3.5 CFM 이하이고, ASTM D 5034 방법으로 측정한 인장강도 171kgf/인치 이상이고, 두께가 0.4㎜ 이하이고, 무게가 290g/㎡ 이하이다.
따라서 자동차에 내장되어 인플레이트에서 분사되는 고온의 장시간 열을 받거나 가스와 접촉하여도 물성을 그대로 유지한다.
한편, 상기 나노섬유의 열용량(Hc)는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측정한다.
·열용량( Hc )
DSC(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y)를 이용하여 ASTM E 1269 방법으로 열용량(Hc)을 측정한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그러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아래 실시예에 의해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단사섬도 6데니어이고 원사 전체의 섬도가 420데니어인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를 경사 및 위사로 사용하여 50본/인치 × 50본/인치의 경위사 밀도로 평직으로 제직하여 기재층인 폴리에스테르 직물을 제조하였다.
다음으로는, 폴리아미드 66를 개미산에 8% 농도로 용해하여 25℃의 폴리아미드 66 용액(방사용액)을 제조하여 이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사용액 탱크(1)에 공급한 다음, 상기 폴리아미드 66 용액(방사용액)을 계량펌프(2)를 통해 고전압이 걸려 있는 다수의 노즐(3)에 공급한 다음, 이를 노즐과 반대 전하를 띠는 고전압이 걸려있는 컬렉터(4)을 통과하는 상기 폴리에스테르 직물(기재층) 상에 전기방사하여 에어백용 원단을 제조하였다.
제조한 에어백용 원단의 각종 물성을 평가한 결과는 표 1과 같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폴리에스테르 직물(기재층)위에 폴리아미드 46를 개미 산에 8% 농도로 용해하여 제조한 폴리아미드 46 용액(방사용액)을 실시예 1과 같은 공정으로 전기방사하여 에어백용 원단을 제조하였다.
제조한 에어백용 원단의 각종 물성을 평가한 결과는 표 1과 같다.
비교실시예 1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폴리에스테르 직물(기재층)위에 폴리아미드 6를 개미산에 8% 농도로 용해하여 제조한 폴리아미드 6 용액(방사용액)을 실시예 1과 같은 공정으로 전기방사하여 에어백용 원단을 제조하였다.
제조한 에어백용 원단의 각종 물성을 평가한 결과는 표 1과 같다.
비교실시예 2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폴리에스테르 직물(나노섬유 웹을 적층하지 않은 상태)을 에어백용 원단으로 사용하였다.
상기 에어백용 원단의 각종 물성을 평가한 결과는 표 1과 같다.
구분 열용량(Hc)
(J/g)
공기투과도
(CFM)
두께(㎜) 무게(g/㎡) 인장강도
(kgf/인치)
실시예 1 623 1.2 0.31 200 210
실시예 2 708 1.2 0.31 200 211
비교실시예 1 514 1.2 0.31 200 209
비교실시예 2 303 1.6 0.29 195 208
본 발명은 기재층인 직물상에 높은 열용량(Hc)을 갖는 나노섬유 웹이 적층되 어 열적 특성이 우수하고, 기재층인 직물로 열용량(Hc)이 다소 낮은 소재들도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하다.

Claims (5)

  1. 합성섬유 직물로 형성된 기재층(1)과; 상기 기재층(1)상에 적층되어 있고, 열용량(Heat capacity)이 620 J/g 이상이며 단사섬도가 1,000㎚ 이하인 나노섬유들로 이루어진 나노섬유 웹층(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용 원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섬유 웹이 폴리아미드 66 섬유, 폴리아미드 46 섬유 및 전방향족 폴리아미드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섬유들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용 원단.
  3. 제1항에 있어서, 기재층인 합성섬유 직물은 폴리에스테르 섬유, 폴리아미드 6 섬유, 폴리아미드 66 섬유 및 폴리아미드 46 섬유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섬유들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용 원단.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섬유 웹은 전기방사 방식으로 제조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용 원단.
  5. 제1항에 있어서, 기재층인 합성섬유 직물은 용융온도가 250℃ 이상인 합성섬유들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용 원단.
KR1020070096214A 2007-09-21 2007-09-21 에어백용 원단 KR1012977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6214A KR101297792B1 (ko) 2007-09-21 2007-09-21 에어백용 원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6214A KR101297792B1 (ko) 2007-09-21 2007-09-21 에어백용 원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0722A KR20090030722A (ko) 2009-03-25
KR101297792B1 true KR101297792B1 (ko) 2013-08-19

Family

ID=40696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6214A KR101297792B1 (ko) 2007-09-21 2007-09-21 에어백용 원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779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61212A (ja) 2004-12-07 2006-06-22 Toray Ind Inc エアベルト用基布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621144B1 (ko) 2005-08-05 2006-09-07 주식회사 코오롱 폴리아미드 원사,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백용 원단
KR100654635B1 (ko) 2005-05-23 2006-12-08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나노섬유가 코팅된 매트의 제조방법 및 이로 제조된 매트
KR20070047872A (ko) * 2005-11-03 2007-05-08 김학용 나노섬유층을 갖는 섬유 적층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61212A (ja) 2004-12-07 2006-06-22 Toray Ind Inc エアベルト用基布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654635B1 (ko) 2005-05-23 2006-12-08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나노섬유가 코팅된 매트의 제조방법 및 이로 제조된 매트
KR100621144B1 (ko) 2005-08-05 2006-09-07 주식회사 코오롱 폴리아미드 원사,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백용 원단
KR20070047872A (ko) * 2005-11-03 2007-05-08 김학용 나노섬유층을 갖는 섬유 적층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0722A (ko) 2009-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603173B (zh) 低渗透性和高强度织造织物及其制造方法
EP2060672B1 (en) Base fabric for airbag and airbag
EP3371357B1 (en) Low permeability and high strength fabric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CN105358386B (zh) 气囊
KR101286612B1 (ko) 에어백용 원단
EP2344366B1 (en) Woven airbag fabric
JP5616650B2 (ja) エアバッグ用基布、それからなるエアバッグ、およびエアバッグ用基布の製造方法
JPH10204745A (ja) エアバッグ及びその製造方法
US10899308B2 (en) Bag body
JP4857729B2 (ja) エアバッグ用基布の製造方法
KR101297795B1 (ko) 에어백용 원단
KR101297792B1 (ko) 에어백용 원단
KR101286610B1 (ko) 에어백용 원단
CN103890249A (zh) 聚酯纤维的制备方法
KR102124508B1 (ko) 에어백 원단 및 그 제조방법
KR102611750B1 (ko) 차량용 에어백 원단 제조방법
KR101055393B1 (ko) 에어백용 폴리에스테르 원단 및 그의 제조 방법
JPH1178747A (ja) エアバッグ用基布およびエアバッグ
KR100587906B1 (ko) 에어백용 원단의 제조방법
KR20190080047A (ko) Opw 사이드 커튼 에어백
JP2005105445A (ja) エアバッグ用基布およびその製法
JPH08158153A (ja) エアバッグ基布用ポリエステル糸条
JP2010018929A (ja) エアバッグ用基布の製造方法およびエアバッ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