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0047A - Opw 사이드 커튼 에어백 - Google Patents

Opw 사이드 커튼 에어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0047A
KR20190080047A KR1020170182223A KR20170182223A KR20190080047A KR 20190080047 A KR20190080047 A KR 20190080047A KR 1020170182223 A KR1020170182223 A KR 1020170182223A KR 20170182223 A KR20170182223 A KR 20170182223A KR 20190080047 A KR20190080047 A KR 201900800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w
side curtain
region
pattern
wea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22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49085B1 (ko
Inventor
김형근
이상목
김기웅
Original Assignee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822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9085B1/ko
Publication of KR201900800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00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90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90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138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specially adapted for side prot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5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02Type of accident
    • B60R2021/0006Lateral colli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02Type of accident
    • B60R2021/0018Roll-o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comprising a plurality of individual compartments; comprising two or more bag-like members, one within the other
    • B60R2021/23316Inner seams, e.g. creating separate compartments or used as tether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5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 B60R2021/23533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manufacturing process
    • B60R2021/23542Weav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높은 기밀성 및 내압 유지성을 가지며 친환경 자동차를 위한 경량화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는 OPW 사이드 커튼 에어백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OPW 사이드 커튼 에어백은 제1 및 제2 층들의 이층 구조를 갖는 팽창부 및 접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결부는 상기 팽창부와 이격된 제1 제직 패턴의 제1 영역 및 상기 팽창부와 상기 제1 영역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팽창부와 접해있는 제2 제직 패턴의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제직 패턴과 상기 제2 제직 패턴은 상이하며, 상기 제2 제직 패턴은 평직과 경두둑직으로 이루어진 하이브리드 제직 패턴이다.

Description

OPW 사이드 커튼 에어백{OPW Side Curtain Airbag}
본 발명은 사이드 커튼 에어백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높은 기밀성 및 내압 유지성을 가지며 친환경 자동차를 위한 경량화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는 OPW 사이드 커튼 에어백에 관한 것이다.
소정 속도 이상으로 주행중인 차량의 충돌 또는 전복시 차량에 가해지는 충격을 충격감지센서가 감지하면, 인플레이터로부터 제공되는 고온 및 고압의 공기에 의해 에어백이 팽창 전개됨으로써 차량의 운전자 및 승객이 사고로부터 보호된다.
에어백은, 일반적으로, i) 원단의 재단 및 봉제(Cut & Sew) 방식에 의해 제조되거나, ii) 상기 재단 및 봉제 방식에 의해 형성된 접결부(seam part)를 실런트(예를 들어, 실리콘 계열의 실런트)로 처리하는 접결부 실링(Seam Sealing) 방식에 의해 제조되거나, 또는 iii) 에어백 원단의 제직 과정에서 이층 구조의 팽창부(inflatable part) 및 접결부(seam part)를 형성하는 OPW(One Piece Woven) 방식으로 제조된다.
차량의 측면 충돌 또는 차량의 전복사고(roll-over)시 탑승자가 차량의 측면 유리창이나 구조물과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사이드 커튼 에어백의 경우, 제조 공정이 비교적 간편하고 생산성 측면에서 유리한 OPW 방식이 주로 채택되고 있다.
차량의 전복사고로부터 탑승자를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해서는 사이드 커튼 에어백이 상대적으로 오랜 시간 동안(적어도 6초 동안) 팽창된 형태를 유지하여야 한다. 따라서, 사이드 커튼 에어백은 상대적으로 더 높은 기밀성 및 내압 유지성을 가져야 한다.
별도의 봉제 공정 없이 에어백 원단 제직 단계에서 팽창부 및 접결부가 형성되는 OPW 사이드 커튼 에어백의 경우, 상기 접결부가 기밀성 및 내압 유지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사고 발생으로 인해 상기 팽창부에 공기가 순간적으로 주입될 때 상기 접결부에 강한 압력과 응력이 인가되고, 그로 인해 상기 접결부가 벌어져 틈이 발생되며, 이 틈을 통해 공기 누출이 야기된다. 즉, OPW 사이드 커튼 에어백에 있어서 대부분의 공기 누출은 상기 접결부를 통해 발생한다.
따라서, OPW 사이드 커튼 에어백의 기밀성 및 내압 유지성은 상기 접결부의 구조 및 상기 접결부 상에 형성되는 코팅층 등으로부터 지대한 영향을 받는다.
통상의 OPW 사이드 커튼 에어백은 바스켓직 패턴의 단일층 구조를 갖는 접결부를 포함한다. 그러나, 바스켓직 패턴의 단일층 구조로 상기 접결부를 형성할 경우 에어백 원단 제직시 가해지는 장력으로 인해 상기 접결부에 굴곡들(creeses)이 발행하게 되고, 이러한 굴곡들은 코팅층의 균일성을 저하시켜 에어백의 기밀성 및 내압 유지성을 불만족스럽게 만든다.
상기 굴곡들로 인한 코팅층의 불균일성을 극복하기 위해서 코팅층의 두께를 증가시키면 에어백의 경량화가 불가능하게 되고 비용 상승이 유발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위와 같은 관련 기술분야의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는 OPW 사이드 커튼 에어백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관점은, 높은 기밀성 및 내압 유지성을 가지며 친환경 자동차를 위한 경량화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는 OPW 사이드 커튼 에어백을 제공하는 것이다.
위에서 언급된 본 발명의 관점 외에도,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이 이하에서 설명되거나, 그러한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의 관점에 따라, 제1 및 제2 층들의 이층 구조(double-layered structure of first and second layers)를 갖는 팽창부(inflatable part); 및 접결부(seam part)를 포함하되, 상기 접결부는, 상기 팽창부와 이격된 제1 제직 패턴의 제1 영역; 및 상기 팽창부와 상기 제1 영역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팽창부와 접해있는(adjoining) 제2 제직 패턴의 제2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제직 패턴은 평직(plain weave)과 경두둑직(warp rib weave)으로 이루어진 하이브리드 제직 패턴인, OPW 사이드 커튼 에어백이 제공된다.
상기 제2 영역에서 상기 평직과 상기 경두둑직이 경사 방향을 따라 번갈아 배열될 수 있다.
상기 경두둑직은 경사의 조직점을 1올 내지 2올 확대한 경두둑직일 수 있다.
각각의 평직은 3 내지 5 개의 위사들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경두둑직은 2 내지 4 개의 위사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영역은 위사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배열된 적어도 2개의 경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제직 패턴과 상기 제2 제직 패턴은 상이할 수 있다.
상기 제1 제직 패턴은 스켈레톤(skeleton) 제직 패턴일 수 있다.
상기 팽창부 및 상기 접결부 상에 코팅층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코팅층은 폴리우레탄 수지, 아크릴 수지, 올레핀 수지 및 실리콘 수지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중 적어도 하나의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팅층은 실리콘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팅층의 단위면적당 중량은 20 내지 100 g/m2일 수 있다.
위와 같은 일반적 서술 및 이하의 상세한 설명 모두는 본 발명을 예시하거나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으로서, 특허청구범위의 발명에 대한 더욱 자세한 설명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공기의 순간적 주입에 의해 OPW 사이드 커튼 에어백의 팽창부가 급격히 팽창할 때 접결부의 벌어짐을 억제함으로써 접결부를 통한 공기 누출을 최소화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OPW 사이드 커튼 에어백은 높은 기밀성 및 내압 유지성을 가짐으로써 자동차 전복 사고로부터 탑승자를 더욱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비교적 적은 양의 수지를 코팅하는 것만으로도 사이드 커튼 에어백에 요구되는 정도의 기밀성 및 내압 유지성이 확보될 수 있기 때문에, 에어백 생산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친환경 자동차를 위한 경량화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고 본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예시하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원리들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OPW 사이드 커튼 에어백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II-II' 라인을 따른 OPW 사이드 커튼 에어백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보여주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결부의 제2 영역의 제직 패턴을 보여주며,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결부의 제2 영역의 제직 패턴을 보여주며,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결부의 제2 영역의 제직 패턴을 보여주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결부의 제1 영역의 제직 패턴을 예시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아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적 목적으로 제시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다양한 변경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 및 그 균등물의 범위 내에 드는 변경 및 변형을 모두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이드 커튼 에어백(100)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OPW 사이드 커튼 에어백(100)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II-II' 라인을 따른 단면을 개략적으로 보여준다.
본 발명의 OPW 사이드 커튼 에어백(100)은 (i) 인플레이터(미도시)로부터 제공되는 공기에 의해 부풀어질 수 있는 팽창부(inflatable part)(110), (ii) 비팽창부(non-inflatable part)(120), 및 (iii) 상기 팽창부(110)와 비팽창부(120)의 형태를 각각 결정하는 접결부(130)를 포함한다.
상기 팽창부(110)는 제1 및 제2 층들(111, 112)의 이층 구조를 가지며, 상기 제1 및 제2 층들(111, 112)이 접합되어(interconnected) 접결부(130)의 일부를 형성한다. 상기 팽창부(110)는 상기 제1 및 제2 층들(111, 112)이 각각 평직을 갖도록 이중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비팽창부(120)는 상기 팽창부(110)를 에워싸는 주변 비팽창부 (peripheral non-inflatable part)(121), 및 상기 팽창부(110)에 의해 에워싸인 아일랜드 비팽창부(island non-inflatable part)(1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결부(130)는 팽창부(110)와 비팽창부(120) 사이에 존재하거나 팽창부(110)와 팽창부(110) 사이에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OPW 사이드 커튼 에어백(100)은 상기 팽창부(110), 비팽창부(120) 및 접결부(130)로 구성된 에어백 원단(fabric) 상에 공기 누출 방지를 위한 코팅층(1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팽창부(110), 비팽창부(120) 및 접결부(130) 상에 위치한 상기 코팅층(140) 은 폴리우레탄 수지, 아크릴 수지, 올레핀 수지 및 실리콘 수지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코팅층(140)은 실리콘 수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그 단위면적당 중량은 20 내지 100 g/m2,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90 g/m2일 수 있다. 상기 코팅층(140)의 단위면적당 중량이 20 g/m2 이하이면, 에어백(100)의 기밀성 및 내압 유지성을 업계에서 요구되는 수준으로 맞추기 어렵다. 반면, 상기 코팅층(140)의 단위면적당 중량이 100 g/m2 이상이면, 생산 원가가 상승함은 물론이고 친환경 자동차 제조를 위한 에어백 경량화 요구를 만족시키기 어렵다.
도 1의 II-II' 라인을 따른 단면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 2는 팽창부(110)와 팽창부(110) 사이에 존재하는 접결부(130)를 예시한다.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결부(130)는 상기 팽창부(110)와 이격된 제1 제직 패턴의 제1 영역(131) 및 상기 팽창부(110)와 상기 제1 영역(131) 사이에 위치한 제2 영역(132)을 포함한다. 상기 접결부(130)의 제2 영역(132)은 상기 팽창부(110)와 접해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팽창부(110)와 접해있는 제2 영역(132)의 제직 패턴(즉, 제2 제직 패턴)이 에어백(100)의 기밀성 및 내압 유지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이 드러났다. 이것은, 사고 발생으로 인해 상기 팽창부(110)에 공기가 순간적으로 주입될 때 상기 접결부(130) 중에서도 특히 상기 팽창부(110)와 접해있는 제2 영역(132)에 강한 압력과 응력이 인가되기 때문인 것으로 추측된다. 결과적으로, 접결부(130)의 벌어짐을 억제하기에 적합한 제직 패턴을 상기 접결부(110)의 제2 영역(132)이 가질 필요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팽창부(110)에 공기가 순간적으로 주입될 때 상기 접결부(130)의 벌어짐 및 그로 인한 공기 누출을 최대한 억제하기 위하여, 상기 접결부(130)의 제2 영역(132)은 평직(plain weave)과 경두둑직(warp rib weave)(경사 1개당 2개 이상의 위사)으로 이루어진 하이브리드 제직 패턴을 갖는다.
에어백(100)의 기밀성 및 내압 유지성만을 고려한다면 상기 제2 영역(132)이 평직 패턴만을 갖는 것이 가장 유리할 수 있지만, OPW 방식으로 사이드 커튼 에어백(100)을 제직할 때 평직만으로 상기 접결부(130)의 제2 영역(132)을 제직하는 것은 장력 밸런싱 문제(특히, 경사 방향으로의 장력 밸런싱 문제)로 인해 제직성이 나쁘기 때문에 지극히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접결부(130)의 제2 영역(132)은 에어백(100)의 기밀성 및 내압 유지성 향상을 위하여 평직 패턴을 부분적으로 가짐과 동시에 제직성 향상을 위하여 경두둑직 패턴도 부분적으로 갖는다. 다만, 교차점(cross point)의 개수가 증가할수록 에어백(100)의 기밀성 및 내압 유지성이 좋아진다는 것을 감안할 때, 상기 경두둑직은 (i)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경사의 조직점을 1올 확대한 경두둑직, (ii)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경사의 조직점을 2올 확대한 경두둑직, 또는 (iii)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경사의 조직점을 1올 확대한 경두둑직과 경사의 조직점을 2올 확대한 경두둑직의 혼합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경두둑직 패턴의 삽입을 통해 제직성을 향상시키면서도 기밀성 저하는 최소화하기 위하여, 상기 제2 영역(132)에서 상기 평직과 상기 경두둑직이 경사 방향을 따라 번갈아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제2 영역(132) 내의 각각의 평직은 3 내지 5 개의 위사들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 영역(132) 내의 각각의 경두둑직은 2 내지 4 개의 위사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영역(132)은 위사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배열된 적어도 2개의 경사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영역(132) 내의 각 평직의 위사 개수가 3개 미만이거나, 상기 제2 영역(132) 내의 각 경두둑직의 위사 개수가 4개를 초과하거나, 상기 제2 영역(132)의 경사 개수가 3개 미만이면, 사고 발생으로 인해 상기 팽창부(110)에 공기가 순간적으로 주입될 때 상기 접결부(130)의 벌어짐 및 그로 인한 공기 누출이 충분히 억제될 수 없다. 반면, 상기 제2 영역(132) 내의 각 평직의 위사 개수가 5개를 초과하면 경두둑직의 삽입에도 불구하고 에어백 원단의 제직성이 충분히 향상될 수 없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 영역(131)의 제1 제직 패턴은 상기 제2 영역(132)의 제2 제직 패턴과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제직 패턴은 스켈레톤(skeleton) 제직 패턴일 수 있다.
상기 스켈레톤 제직 패턴은 일종의 부분접결직으로서 OPW 원단 제직시 야기되는 장력 밸런싱 문제를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OPW 사이드 커튼 에어백(100)의 제조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상기 팽창부(110), 비팽창부(120) 및 접결부(130)로 구성된 에어백 원단은 OPW 원단으로서 자카드(Jacquard loom) 기술을 이용하여 80 내지 108 th/inch의 경사밀도 및 위사밀도로 제직될 수 있다.
상기 에어백 원단의 경사 및 위사는, 서로 독립적으로, 나일론 66 원사,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원사, 폴리프로필렌(PP) 원사 및 아라미드 원사 중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경사 및 위사는 60 내지 200 개의 필라멘트들을 포함하며 210 내지 840 데니어, 바람직하게는 300 내지 700 데니어의 총 섬도를 갖는 멀티필라멘트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경사 및 위사는 7 내지 10 g/d의 인장강도 및 5 내지 7 %의 열수축율을 가질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에어백 원단 상에 코팅 용액을 도포한 후 건조 공정을 수행함으로써 코팅층(140)을 형성한다.
상기 코팅 용액은 폴리우레탄 수지, 아크릴 수지, 올레핀 수지, 실리콘 수지 등의 통상의 에어백 코팅층용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팅 용액은 나이프 코팅 또는 롤 코팅 방식으로 상기 OPW 원단 상에 균일하게 코팅될 수 있다. 코팅층(140)의 단위면적당 중량을 20 내지 100 g/m2,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90 g/m2로 제어하기 위해서, 코팅 용액의 도포량 제어가 용이하고 균일한 코팅을 가능하게 하는 나이프 코팅 방식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코팅층(140)이 형성된 후, 코팅제의 경화를 위한 가황 공정이 추가로 수행될 수도 있다. 상기 가황 공정은 150 내지 200 ℃에서 120 내지 350 초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 및 비교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효과를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이들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420 denier의 섬도를 갖는 PET 원사를 경사 및 위사로 이용하여 팽창부, 비팽창부 및 접결부를 갖는 OPW 원단(경사밀도: 106 th/inch, 위사밀도: 92 th/inch)을 제조하였다. 이때, 상기 팽창부는 제1 및 제2 층들이 각각 평직을 갖는 이중직으로 형성되었고, 상기 팽창부와 이격된 상기 접결부의 제1 영역은 도 6에 예시된 스켈레톤(skeleton) 제직 패턴으로 형성되었으며, 상기 팽창부와 상기 제1 영역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팽창부와 접해있는 상기 접결부의 제2 영역은 도 3에 예시된 하이브리드 제직 패턴[경사 방향으로 평직과 경두둑직(경사의 조직점을 1올 확대한 경두둑직)이 번갈아 배치되되, 각각의 평직은 3개의 위사를 포함하고, 각각의 경두둑직은 2개의 위사를 포함함]으로 형성되었다.
이어서, 상기 OPW 원단 상에 코팅 용액[액상 실리콘(다우코닝실리콘 DC3760) + Top 코팅제(다우코팅실리콘 DC3715)]을 나이프 코팅 방식으로 도포한 후, 건조 공정을 통해 코팅층을 형성함으로써 OPW 사이드 커튼 에어백을 완성하였다.
실시예 2
상기 접결부의 제2 영역이 도 4에 예시된 하이브리드 제직 패턴[경사 방향으로 평직과 경두둑직(경사의 조직점을 2올 확대한 경두둑직)이 번갈아 배치되되, 각각의 평직은 3개의 위사를 포함하고, 각각의 경두둑직은 3개의 위사를 포함함]으로 형성되었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OPW 사이드 커튼 에어백을 완성하였다.
실시예 3
상기 접결부의 제2 영역이 도 5에 예시된 하이브리드 제직 패턴[경사 방향으로 제1 경두둑직(경사의 조직점을 1올 확대한 경두둑직), 평직 및 제2 경두둑직(경사의 조직점을 2올 확대한 경두둑직)이 번갈아 배치되되, 각각의 제1 경두둑직은 2개의 위사를 포함하고, 각각의 평직은 3개의 위사를 포함하며, 각각의 제2 경두둑직은 3개의 위사를 포함함]으로 형성되었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OPW 사이드 커튼 에어백을 완성하였다.
비교예 1
상기 접결부의 제2 영역이 평직 패턴을 갖도록 형성되었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OPW 사이드 커튼 에어백을 완성하였다.
비교예 2
상기 접결부의 제2 영역이 2×2 바스켓직 패턴을 갖도록 형성되었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OPW 사이드 커튼 에어백을 완성하였다.
비교예 3
상기 접결부의 제2 영역이 3×3 바스켓직 패턴을 갖도록 형성되었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OPW 사이드 커튼 에어백을 완성하였다.
위와 같이 제조된 실시예들 및 비교예들의 봉목강도(seam strength), 3mm 신장(elongation)시 응력(stress), 초기 최고 내압, 6초 후 내압, 및 10초 후 내압을 아래의 방법에 의해 각각 측정하였고, 그 결과들 및 제직성에 대한 평가를 아래의 표 1에 나타내었다.
<봉목강도(seam strength) 및 3mm 신장시 응력(stress at 3mm elongation)>
미국재료시험협회규격(ASTM) D 5822의 방법에 따라 접결부의 상하면의 양쪽에 균일한 힘을 가하여 봉목강도 및 3mm 신장시 응력을 각각 측정하였다.
<최고 내압, 6초 후 내압, 및 10초 후 내압>
센서 시스템이 구비된 MICROSYS社의 "SUREFIRE airbag deployment system"을 사용하여 OPW 사이드 커튼 에어백의 내압 유지성을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OPW 사이드 커튼 에어백에 질소 가스를 30 bar의 초기 압력으로 순간적으로 주입한 후, 팽창부에 장착된 압력 센서를 이용하여 최고 내압, 가스 주입 6초 후 내압, 및 가스 주입 10초 내압을 각각 측정하였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접결부 제2 영역의 제직 패턴 평직 + 경두두직 평직 + 경두두직 평직 + 경두두직 평직 2×2 바스켓직 3×3 바스켓직
봉목강도(N) 1342 1345 1341 1311 1337 1347
3mm 신장시 응력(N) 195.05 187 179.4 198.0 177.5 162.8
최고 압력 (kpa) 113.2 110.5 115.7 116.4 114.2 114.1
6초 후 내압 (kpa) 70.2 64.3 63.4 73.4 58.4 33.6
10초 후 내압 (kpa) 48.7 43 39.3 50.9 33.7 9.2
제직성 양호 양호 양호 나쁨 양호 양호
'봉목강도'는 접결부가 뜯어지는데 필요한 힘을 의미하는데 반해, '3mm 신장시 응력'은 공기 누출을 초래하는 접결부의 벌어짐에 필요한 힘을 의미한다. 따라서, OPW 사이드 커튼 에어백의 기밀성 및 내압 유지성은 '3mm 신장시 응력'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표 1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2 영역의 제직 패턴에서 경사와 위사의 교차점 개수가 많을수록(교차점 개수: 비교예 1 > 실시예 1 > 실시예 2 > 실시예 3 > 비교예 2 > 비교예 3), '3mm 신장시 응력'이 증가하고(즉, 접결부의 벌어짐을 위해 더 큰 힘이 필요하고), 따라서 접결부의 벌어짐이 더욱 억제되어 기밀성 및 내압 유지성이 더 우수함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제2 영역이 평직 패턴을 갖는 비교예 1의 경우, 경사 방향의 장력 밸런싱 문제로 인해 그 제직성이 상당히 나쁨을 알 수 있다.
이에 반해, 접결부의 제2 영역이 평직과 경두둑직의 하이브리드 제직 패턴을 갖는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의 경우, 그 제직성이 양호할 뿐만 아니라, 비교예 2 및 비교예 3에 비해 월등히 좋은 내압 유지성을 나타냄을 알 수 있다.
100; OPW 사이드 커튼 에어백 110: 팽창부
120: 비팽창부 121: 주변 비팽창부
122: 아일랜드 비팽창부 130: 접결부
131: 제1 영역 132: 제2 영역
140: 코팅층

Claims (11)

  1. 제1 및 제2 층들의 이층 구조(double-layered structure of first and second layers)를 갖는 팽창부(inflatable part); 및
    접결부(seam part)를 포함하되,
    상기 접결부는,
    상기 팽창부와 이격된 제1 제직 패턴의 제1 영역; 및
    상기 팽창부와 상기 제1 영역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팽창부와 접해있는(adjoining) 제2 제직 패턴의 제2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제직 패턴은 평직(plain weave)과 경두둑직(warp rib weave)으로 이루어진 하이브리드 제직 패턴인,
    OPW 사이드 커튼 에어백.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에서 상기 평직과 상기 경두둑직이 경사 방향을 따라 번갈아 배열된,
    OPW 사이드 커튼 에어백.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경두둑직은 경사의 조직점을 1올 내지 2올 확대한 경두둑직인,
    OPW 사이드 커튼 에어백.
  4. 제2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평직은 3 내지 5 개의 위사들을 포함하는,
    OPW 사이드 커튼 에어백.
  5. 제2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경두둑직은 2 내지 4 개의 위사들을 포함하는,
    OPW 사이드 커튼 에어백.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은 위사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배열된 적어도 2개의 경사를 포함하는,
    OPW 사이드 커튼 에어백.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직 패턴과 상기 제2 제직 패턴은 상이한,
    OPW 사이드 커튼 에어백.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직 패턴은 스켈레톤(skeleton) 제직 패턴인,
    OPW 사이드 커튼 에어백.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부 및 상기 접결부 상에 코팅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코팅층은 폴리우레탄 수지, 아크릴 수지, 올레핀 수지 및 실리콘 수지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중 적어도 하나의 수지를 포함하는,
    OPW 사이드 커튼 에어백.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은 폴리우레탄 수지를 포함하는,
    OPW 사이드 커튼 에어백.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의 단위면적당 중량은 20 내지 45 g/m2인,
    OPW 사이드 커튼 에어백.
KR1020170182223A 2017-12-28 2017-12-28 Opw 사이드 커튼 에어백 KR1023490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2223A KR102349085B1 (ko) 2017-12-28 2017-12-28 Opw 사이드 커튼 에어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2223A KR102349085B1 (ko) 2017-12-28 2017-12-28 Opw 사이드 커튼 에어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0047A true KR20190080047A (ko) 2019-07-08
KR102349085B1 KR102349085B1 (ko) 2022-01-07

Family

ID=67255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2223A KR102349085B1 (ko) 2017-12-28 2017-12-28 Opw 사이드 커튼 에어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908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766402A1 (en) 2019-07-03 2021-01-20 LG Electronics Inc. Rack for dishwasher and dishwasher having the sam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72248A (ko) * 2007-12-28 2009-07-02 주식회사 코오롱 기체에 의한 부품성 이중직물 및 에어백
KR20150078872A (ko) * 2013-12-31 2015-07-08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직물의 재단 방법
KR20160148384A (ko) * 2015-06-16 2016-12-26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에어백 원단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75525A (ko) * 2015-12-23 2017-07-03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공기부품성 에어백 원단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72248A (ko) * 2007-12-28 2009-07-02 주식회사 코오롱 기체에 의한 부품성 이중직물 및 에어백
KR20150078872A (ko) * 2013-12-31 2015-07-08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직물의 재단 방법
KR20160148384A (ko) * 2015-06-16 2016-12-26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에어백 원단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75525A (ko) * 2015-12-23 2017-07-03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공기부품성 에어백 원단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766402A1 (en) 2019-07-03 2021-01-20 LG Electronics Inc. Rack for dishwasher and dishwasher hav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9085B1 (ko) 2022-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253047A1 (en) Inflatable fabrics and an air-bag
US7681602B2 (en) Inflatable two-layer fabrics by gas
US6488311B2 (en) Integrally woven airbag
EP2692920A2 (en) Two-layer fabric which can be inflated with air,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EP3020607B1 (en) Air-bag
WO2005031052A1 (ja) 高密度袋織基布
US7651118B1 (en) Polyvinyl chloride coated fabrics for use in air bags
KR20160000443A (ko) 에어백용 폴리에스테르 원단의 제조방법
CN1735721B (zh) 可充气的两层织物
US6748980B2 (en) Base fabric for hollow-woven air bag and air bag
KR20190080047A (ko) Opw 사이드 커튼 에어백
US11920265B2 (en) Multi-layer fabric
US10315611B2 (en) One-piece woven vehicle occupant protection device
JP4190740B2 (ja) 袋織りエアバッグ基布及び袋織りエアバッグ
JP4096299B2 (ja) 袋織エアバッグ基布及びそれを用いた袋織エアバッグ
JP4374871B2 (ja) 袋織エアバッグ基布、エアバッグおよびエアバッグ装置
JP4769013B2 (ja) エアバッグ用袋織基布の製織方法
JP4277296B2 (ja) 袋織エアバッグ基布及びエアバック
JPH0911832A (ja) ノンコートエアバッグ
JP4106589B2 (ja) 袋織りエアバッグ基布及びエアバッグの製造方法
KR20200036166A (ko) 사이드 커튼 에어백 및 그 제조방법
KR20210038356A (ko) 다중직물
JP2002316610A (ja) 側面衝突用袋織エアバッグ
JPH07186856A (ja) エアバッグ用基布
JP2003171845A (ja) エアバッグ基布およびエアバッ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