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7124B1 - 스크린 장치 - Google Patents

스크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7124B1
KR101297124B1 KR1020070067405A KR20070067405A KR101297124B1 KR 101297124 B1 KR101297124 B1 KR 101297124B1 KR 1020070067405 A KR1020070067405 A KR 1020070067405A KR 20070067405 A KR20070067405 A KR 20070067405A KR 101297124 B1 KR101297124 B1 KR 1012971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rotor
convex portion
fee
ca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74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9634A (ko
Inventor
요시히코 아이카와
Original Assignee
아이카와 뎃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8654548&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297124(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아이카와 뎃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이카와 뎃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096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96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71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71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DTREATMENT OF THE MATERIALS BEFORE PASSING TO THE PAPER-MAKING MACHINE
    • D21D5/00Purification of the pulp suspension by mechanical means; Apparatus therefor
    • D21D5/02Straining or screening the pulp
    • D21D5/023Stationary screen-drums
    • D21D5/026Stationary screen-drums with rotating cleaning foil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DTREATMENT OF THE MATERIALS BEFORE PASSING TO THE PAPER-MAKING MACHINE
    • D21D5/00Purification of the pulp suspension by mechanical means; Apparatu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FPAPER-MAKING MACHINES; METHODS OF PRODUCING PAPER THEREON
    • D21F1/00Wet end of machines for making continuous webs of paper
    • D21F1/66Pulp catching, de-watering, or recovering; Re-use of pulp-water
    • D21F1/74Pulp catching, de-watering, or recovering; Re-use of pulp-water using cylin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per (AREA)
  • Separation Of Solids By Using Liquids Or Pneumatic Power (AREA)

Abstract

(과제) 제지원료 중의 이물과 양질섬유의 분별효과를 향상시킨 스크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해결수단) 스크린 장치(S)는 제지원료 공급구(1a), 이 제지원료 공급구(1a)보다 위에 위치하는 정선 제지원료 배출구(1b), 이 정선 제지원료 배출구(1b)보다 위에 위치하는 이물 배출구(1c)와를 구비한 밀폐 케이싱(1)과, 이 밀폐 케이싱(1) 내를 제 1의 실(室)(1A)과 제 2의 실(室)(1B)로 구분하여, 제지원료 중의 이물을 분별하며, 양단부가 개구한 원통형상으로, 측면에 환공(丸孔) 또는 스릿상(狀)의 개구부를 가지고, 높이의 방향이 수직방향을 향하게 밀폐 케이싱(1) 내에 입설한 스크린(2)과, 제 1의 실(1A) 내에 있어, 스크린(2)의 내측에 배치되어, 밀폐 케이싱(1) 내의 상기 제지원료를 교반하는 교반부재(7a)를 외주에 구비한 로터(7)와, 물의 분출구(10a)가 로터(7)의 상단면(7T)에 대향하도록, 밀폐 케이상(1)에 장착된 물공급 통로(10)와를 구비한 것이다.
스크린 장치

Description

스크린 장치 {SCREEN APPARATUS}
발명은, 제지원료를 스크린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유입시키어 정선하는 스크린 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제지원료 중의 이물과 양질섬유의 분별효과를 향상시킨 스크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스크린 장치, 예를 들어, 제지원료를 스크린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유입시키어 정선하는 소위 아웃워드식 스크린 장치(센트리퓨걸 형)에 있어서는, 스크린 내에 받아들인 제지원료를 스크린 내에 마련한 교반부재에 의해 교반하며 스크린을 거쳐 제지원료 중의 이물을 제거하여 제지원료를 정선하고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특개 2004-137621 호 공보 (도 1)
그러나, 상기의 「양단부가 개구한 원통형상의 스크린을 가진 스크린 장치」에 있어서는, 스크린의 개구한 단부보다 하류측에는, 제지원료의 흐름을 저해하는 것이 없어, 당해 제지원료는 케이싱의 밖으로 그대로 방출되어, 스크린에 의한 분별효과의 향상을 도모하는 점에 있어서 개선의 여지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제거하게 한 스크린 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청구항 1 기재의 스크린 장치에 의하면, 물의 분출구 로터의 상면에 대향하게, 밀폐 케이싱에 장착된 물공급 통로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로터의 상면측에 충돌한 물은, 대략 수평방향으로 흘러서, 스크린의 상방의 개구부로부터 정선 제지원료 배출구에 향하는 제지원료의 흐름을 저해하게 작용하고, 결국 리젝트 실링하여, 이물 배출구 측으로 유출하는 섬유를 제 1의 실의 상류측으로 밀어 되돌려지게 작용하여, 제지원료 중의 이물과 양질섬유의 분별효과를 향상시킬 수가 있다.
또, 청구항 2 기재의 스크린 장치에 의하면, 위에 기술한 청구항 1 기재의 발명의 효과에 더하여, 희석수 도입구로부터의 희석수에 의해, 하류측을 향하는 제지원료의 흐름을 저해하게 작용하여, 제지원료 중의 이물과 양질섬유의 분별효과를 향상시키고, 더구나, 제지원료가 상류측에서 스크린을 통과하여, 농도가 높아진 제지원료를 희석수에 의해 희석하여 양질섬유의 분별효과를 향상시키며, 또한, 링부의 로터에 면하는 측에 마련된 요철부의 철부는, 로터의 회전방향에 대하여 상기 철부의 선단부가 상기 철부의 후단부보다 가까워지게 경사하여 있기 때문에, 상기 철부에 충돌한 제지원료 중의 미용해편은, 해리하는 동시에 제지원료의 상류측에 되돌려지게 작용하여, 제지원료 중의 이물과 양질섬유의 분별효과를 보다 향상시킬 수가 있다.
또, 청구항 3 기재의 스크린 장치에 의하면, 위에 기술한 청구항 1 기재의 발명의 효과에 더하여, 희석수 도입구로부터의 희석수에 의해, 하류측을 향하는 제지원료의 흐름을 저해하게 작용하여, 제지원료 중의 이물과 양질섬유의 분별효과를 향상시키고, 더구나, 제지원료가 상류측에서 스크린을 통과하여, 농도가 높아진 제지원료를 희석수에 의해 희석하여 양질섬유의 분별효과를 향상시키며, 또한, 링부의 로터에 면하는 측에 마련된 요철부의 철부는, 로터의 회전방향에 대하여 상기 철부의 선단부가 상기 철부의 후단부보다 가까워지게 경사하여 있기 때문에, 상기 철부에 충돌한 제지원료 중의 미용해편은, 해리하는 동시에 제지원료의 상류측에 되돌려지게 작용하여, 제지원료 중의 이물과 양질섬유의 분별효과를 보다 향상시킬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스크린 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 도 5에 있어서, S는 스크린 장치이며, 스크린 장치(S)는 제지원료 공급구(1a), 이 제지원료 공급구(1a)보다 위에 위치하는 정선 제지원료 배출구(1b), 이 정선 제지원료 배출구(1b)보다 위에 위치하는 이물 배출구(1c), 제지원료 공급구(1a)보다 아래에 위치하는 중량 이물 배출구(1d)를 구비한 밀폐 케이싱(1)을 가지고 있다.
이 스크린 장치(S)는, 제지원료를 스크린(2)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유입시키어 정선하는 소위 아웃워드식 스크린 장치(센트리퓨걸 형)로, 제지원료[예를 들어, 신문지나 판지의 고지 등] 중에 함유되는 이물(예를 들어, 플라스틱 등)을 제거하여 정선하는 장치이다.
밀폐 케이싱(1) 내는 스크린(2)에 의해 제 1의 실(1A)과 제 2의 실(1B)로 구분돼 있다.
이 스크린(2)은 제지원료 중의 이물을 분별하고, 양단부가 개구한 원통형상으로, 측면에 환공 또는 슬릿상(狀)의 개구부를 가지며, 높이의 방향이 수직방향을 향하게 밀폐 케이싱(1) 내에 입설돼 있다. 그리고, 스크린(2)의 개구한 양단부는, 상방의 개구부(2A)와 하방의 개구부(2B)가 있어, 상방의 개구부(2A)는, 도 1에 보이는 바와 같이, 이물 배출구(1c)의 아래에 위치하고, 하방의 개구부(2B)는 제지원료 공급구(1a)보다 위에 위치하여 있다.
또, 도 1 ~ 도 5에 보이는 R은, 스크린(2)의 중도에 마련된 링부로, 이 링부(R)에 의해 스크린(2)은 상류측 스크린 부(21)와 하류측 스크린 부(22)로 구획되는 동시에, 링부(R)에는, 제 1의 실(1A)에 희석수를 도입하는 희석수 도입구(R1)(예를 들어, 복수)가 마련돼 있다.
20은, 희석수 도입구(R1)에 연통하여 밀폐 케이싱(1)을 거쳐 마련된, 희석수를 도입하는 희석수 통로이다. 링부(R)의 로터(7)에 면하는 측에는, 스크린(2)의 면으로부터 돌출하도록 마련된 철부(RT) 또는 요부(RO)가 마련돼 있다(도 3 및 도 5 참조).
게다가, 링부(R)의 로터(7)에 면하는 측에 스크린(2)의 면으로부터 돌출하게 마련된 철부(RT)는, 도 3에 보이는 바와 같이, 철부의 선단부(X)와, 이 철부의 선단부(X)보다 케이싱(1)의 수직방향에 대하여 낮은 위치에 있는 철부의 후단부(Y)를 가지며, 로터(7)의 회전방향(도 3에 보이는 화살표 방향 참조)에 대하여 철부의 선단부(X)가 철부의 후단부(Y)로부터 가까워지게 경사하여 있다. 경사의 각도는, 예를 들어, 3°~ 45°이다.
이는, 철부(RT)에 충돌한 제지원료 중의 미용해편(未溶解片)이 해리하는 동시에, 제지원료의 상류측에 되돌려지게 작용되어, 제지원료 중의 이물과 양질섬유의 분별효과를 보다 향상시키게 하기 위해서이다.
또, 상술한 철부(RT)와 요부(RO)를, 환언하면, 철부(RT)와 요부(RO)는 링부(R)의 로터(7)에 면하는 측에 마련된 요철부이며, 이 요철부의 철부(RT)는 스크린(2)의 내벽 면에서 돌출하게 마련되어, 상기 요철부의 철부(RT)의 선단부(X)와, 철부(RT)의 선단부보다 케이싱(1)의 수직방향에 대하여 낮은 위치에 있는 철부(RT)의후단부(Y)를 가지며, 로터(7)의 회전방향(도 3에 보이는 화살표 방향 참조)에 대하여 철부(RT)의 선단부(X)가 철부(RT)의 후단부(Y)보다 가까워지게 경사지어 있다.
도 1에 보이는 3은, 제지원료를 제 1의 실(1A)에 하방으로부터 공급하도록, 제지원료 공급구(1a)에 접속되는 제지원료 공급통로이고, 4는, 제 2의 실(1B)에 연통하여, 스크린(2)을 거쳐 정선된 제지원료를 밀폐 케이싱(1)의 밖으로 인도하는, 정선 제지원료 배출구(1b)에 접속되는 정선 제지원료 배출통로이고, 5는, 제 1의 실(1A)에 연통하여, 스크린(2)을 통과하지 않는 제지원료 중의 이물(예를 들어, 비교적 가벼운 경량의 이물)을 밀폐 케이싱(1)의 밖으로 인도하는, 이물 배출구(1c)에 접속된 이물 배출통로이고, 6은, 제 1의 실(1A)에 연통하여, 스크린(2)을 통과하지 않는 제지원료 중의 비교적 무거운 중량 이물을 밀폐 케이싱 밖으로 인도하는, 중량 이물 배출구(1d)에 접속되는 중량 이물 배출통로이다.
도 1에 보이는 7은 로터이고, 로터(7)는 제 1의 실(1A) 내에 있어, 스크린(2)의 내측에 배치되어, 밀폐 케이싱(1) 내의 제지원료를 교반하는 교반부재(7A)를 외주에 구비하고 있다. 로터(7)는, 상류측이 상류부(70), 하류측이 하류부(71)로 되도록 형성되고, 상류부(70) 및 하류부(71)의 외주에 마련되는 교반부재(7a)는 경사하여 있고, 그 경사는, 교반부재(7a)의 대략 직선상(狀)부의 하부(7A)가 상부(7B)보다 로터(7)의 회전방향으로 향하도록 돼 있다. 로터(7)는 도시하지 않은 모터로부터의 회전을 벨트(8), 회전축(9)을 거쳐서 전달되어 회전하게 돼 있다.
또, 도 1에 보이는 10은, 물의 분출구(10a)가 로터(7)의 상단면(7T)에 대향[보다 바람직하기는, 물의 분출구(10a)가 로터(7)의 상단면(7T)의 중앙에 대향]하도록, 밀폐 케이싱(1)에 장착된 물공급통로이다.
따라서, 제지원료가 제지원료 공급통로(3)에 의해 밀폐 케이싱(1) 내에 공급되고, 도시하지 않은 모터로부터의 회전이 벨트(8), 회전축(9)을 거쳐 전달되어 로 터(7)가 회전하면, 제지원료 중의 이물은, 스크린(2)을 통과하지 않고, 제 1의 실(1A) 내에 저류하며, 스크린(2)을 통과한 제지원료는 제 2의 실(1B), 정선 제지원료 배출통로(4)를 거쳐 밀폐 케이싱(1) 밖으로 유도된다.
더구나, 스크린(2)의 중도에 있어서는, 희석수 도입구(R1)로부터의 희석수에 의해, 하류측을 향하는 제지원료의 흐름은 저해되도록 작용을 받기 때문에, 제지원료 중의 이물과 양질섬유의 분별효과를 향상시키며, 그런데도, 제지원료가 상류측에서 스크린(2)을 통과하여, 농도가 높아진 제지원료는 희석수에 의해 희석되어, 양질섬유의 분별효과를 향상시키고, 또한, 링부(R)의 로터(7)에 면하는 측에 마련된 철부(RT)에 충돌한 제지원료 중의 미용해편은, 제지원료의 상류측에 되돌려지도록 작용을 받아서, 제지원료 중의 이물과 양질섬유의 분별효과를 보다 향상시킬 수가 있다.
또, 제 1의 실(1A) 내의 스크린(2)의 하류측에 있어서는, 밀폐 케이싱(1)에 장치된 제 1의 물공급통로(10)의 물의 분출구(10a)는 로터(7)의 상단면(7T)에 대향하기 때문에, 로터(7)의 상단면(7T)의 중앙에 충돌한 물은 대략 수평방향으로 흘러, 스크린(2)의 상방의 개구부(2A)로부터 이물 배출구(1c)를 향하는 제지원료의 흐름을 저해하도록 작용하며, 결국, 리젝트 실링하여, 이물 배출구(1c) 측으로 유출하는 섬유를 제 1의 실(1A)의 상류측으로 밀어 보내도록 작용하여 제지원료 중의 이물과 양질섬유의 분별효과를 향상시킨다.
더구나, 이물 배출통로(5), 중량 이물 배출통로(6)에는, 도시하지 않은 통로 내를 개폐하는 밸브에 의해, 그의 개도(開度)를 조정하거나 또는 적의 개폐조정함 에 의해, 제 1의 실(1A) 내에 저류한 이물을 밀폐 케이싱(1)의 밖으로 인도하게 하고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하류측의 교반부재(7a)의 하부(7A)의 단부를 희석수 도입구(R1)에 대향하는 위치까지 연장하였으나(도 1 참조), 본 발명에 서는, 이에 한하지 않고, 도 6에 보이는 바와 같이, 희석수 도입구(R1)와 대향하는 교반부재(7a)의 부위를 삭제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 로터(7)의 상단면(7T)은, 평탄면으로 하였으나(도 1 참조), 본 발명에 서는, 이에 한하지 않고, 도 6 ~ 도 8에 보이는 바와 같이, 돌기(할큄 날개)(7Z)를 마련하고, 돌기(할큄 날개)(7Z)에 의한 원심력을 이용하여, 물의 분출구(10a)로부터의 물을 수평방향으로 흐름의 방향을 바꾸어, 상술한 리젝트 실링의 효과를 더욱높이도록 하여도 좋다. 더구나, 도 7에 보이는 화살표는 로터(7)의 회전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또, 도 9에 보이는 바와 같이, 물의 분출구(10a)로부터의 물을 돌기(할큄 날개)(7Z)에 근접하도록, 물의 분출구(10a)로부터의 물을 안내하는 가이드(G)를 물의 분출구(10a)의 주위에 마련하여, 가이드(G)의 면과 로터(7)의 상단면(7T)과 대향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또, 도 5에 보이는 요부(R0)의 링부(R)의 원주방향의 개구폭(W)을 철부(RT)의 링부(R)의 원주방향의 평탄면의 길이(L)보다 작게 하였으나,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에 한하지 않고, 도 10에 보이는 바와 같이, 역으로, 요부(R0)의 링부(R)의 원주방향의 개구폭(W)을 철부(RT)의 링부(R)의 원주방향의 평탄면의 길이(L)보다 크게 하도록 하여도 좋다.
더구나, 위에 기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링부(R)의 로터(7)에 면하는 측에 스크린(2)의 면으로부터 돌출하도록 철부(RT)를 마련하였으나,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에 한하지 않고, 도 11 및 도 12에 보이는 바와 같이, 링부(R)의 로터(7)에 면하는 측에 요철부의 철부(RT)는, 스크린(2)의 내벽 면으로부터 돌출하지 않게 마련하도록 하여도 좋다. 도 11 및 도 12에 기재한 것은, 철부(RT)가 스크린(2)의 면(내벽)보다 돌출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면, 도 3 ~ 도 5에 기재한 것과 동일하기 때문에, 도 11 및 도 12에 기재한 것에, 도 3 ~ 도 5에 기재한 것과 동일 부분에 동일 부호를 붙이어 설명을 일부 생략한다.
즉, 요철부의 철부(RT)의 선단부(X)와, 철부(RT)의 선단부(X)보다 케이싱(1)의 수직방향에 대하여 낮은 위치에 있는 철부(RT)의 후단부(Y)를 가지며, 로터(7)의 회전방향[도 12(b)에 보이는 화살표 방향 참조]에 대하여 철부(RT)의 선단부(X)가 철부(RT)의 후단부(Y)보다 가까워지게 경사하여 있다
더구나, 인접하는 철부(RT)의 사이에 요부(RO)가 위치하고, 철부(RT) 및 요부(RO)는 각각 링부(R)에 복수 마련돼 있다.
이 도 11 및 도 12에 기재한 철부(RT)는, 도 3 ~ 도 5에 기재한 철부(RT)와 마찬가지로, 철부(RT)에 충돌한 제지원료 중의 미용해편은 해리하는 동시에, 제지원료의 상류측에 되돌려지게 작용하여서, 제지원료 중의 이물과 양질섬유의 분별효과를 보다 향상시킬 수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스크린 장치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2-2 선에 따른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스크린의 내부로부터 링부 부근의 스크린을 본 개략적 그림이다.
도 4는, 도 1의 일부를 확대하여 보이는 개략적 일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5-5 선에 따른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과는 다른 실시예의 스크린 장치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로터의 개략적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일부를 확대하여 보이는 개략적 일부확대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과는 다른 실시예의 스크린 장치의 개략적 일부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5와는 다른 실시예의 스크린 장치의 개략적 일부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4와는 다른 실시예의 스크린 장치의 개략적 일부 단면도이다.
도 12(a)는, 도 11의 12-12 선에 따른 개략적 단면도이며, 도 12(ba)는, 도 12(a)의 링부를 스크린의 내측으로부터 개략적으로 본 그림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S : 스크린 장치 1 : 밀폐 케이싱
1a : 제지원료 공급구 1b : 정선 제지원료 배출구
1c : 이물 배출구 1A : 제 1의 실
1B : 제 2의 실 2 : 스크린
7 : 로터 7a : 교반부재
7T : 상단면 10 : 물공급 통로
10a : 물의 분출구

Claims (3)

  1. 제지원료 공급구, 이 제지원료 공급구보다 위에 위치하는 정선 제지원료 배출구, 이 정선 제지원료 배출구보다 위에 위치하는 이물 배출구를 구비한 밀폐 케이싱과,
    이 밀폐 케이싱 내를 제 1의 실과 제 2의 실로 구분하여, 제지원료 중의 이물을 분별하고, 양단부가 개구한 원통형상으로, 측면에 환공 또는 슬릿상의 개구부를 가지고, 상기 원통형상의 개구한 양단부가 수직방향을 향하게 상기 밀폐 내에 입설한 스크린과,
    이 스크린의 개구한 양단부는, 상방의 개구부와 하방의 개구부가 있고,
    상기 상방의 개구부는 상기 이물 배출구보다 아래에 위치하며, 상기 하방의 개구부는 상기 제지원료 공급구보다 위에 위치하고,
    상기 제지원료를 상기 제 1의 실에 하방으로부터 공급하게, 상기 제지원료 공급구에 접속되는 제지원료 공급통로와,
    상기 제 1의 실 내에 있어, 상기 스크린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밀폐 케이싱 내의 상기 제지원료를 교반하는 교반부재를 외주에 구비한 로터와,
    상기 제 2의 실에 연통하여, 상기 스크린을 거치어 정선된 상기 제지원료를 상기 밀폐 케이싱의 밖으로 유도하는, 상기 정선 제지원료 배출구에 접속되는 정선 제지원료 배출통로와,
    상기 제 1의 실에 연통하여, 상기 스크린을 통과하지 않는 상기 제지원료 중의 이물을 상기 밀폐 케이싱 밖으로 유도하는, 상기 이물 배출구에 접속되는 이물 배출통로와,
    물의 분출구가 상기 로터의 상단면에 대향하도록, 상기 밀폐 케이싱에 장착된 물공급 통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스크린의 중도에 링부가 마련되어, 이 링부에 의해 상기 스크린은, 상류측 스크린부와 하류측 스크린부에 구획되는 동시에, 상기 링부에는, 제 1의 실에 희석수를 도입하는 희석수 도입구가 마련되고,
    이 희석수 도입구에 연통하여, 밀폐 케이싱을 통하여 마련된 희석수 통로와,
    상기 링부의 로터에 면하는 측에 마련된 요철부와,
    이 요철부의 철부는, 상기 스크린의 내벽 면보다 돌출하게 마련되어,
    상기 요철부의 상기 철부의 선단부와, 상기 철부의 선단부보다 케이싱의 수직방향에 대하여 낮은 위치에 있는 상기 철부의 후단부를 가지어, 상기 로터의 회전방향에 대하여 상기 철부의 선단부가 상기 철부의 후단부보다 가까워지게 경사하여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스크린의 중도에 링부가 마련되어, 이 링부에 의해 상기 스크린은, 상류측 스크린부와 하류측 스크린부로 구획되는 동시에, 상기 링부에는, 제 1의 실에 희석수를 도입하는 희석수 도입구가 마련되고,
    이 희석수 도입구에 연통하여, 밀폐 케이싱을 통하여 마련된 희석수 통로와,
    상기 링부의 로터에 면하는 측에 마련된 요철부와,
    이 요철부의 철부는, 상기 스크린의 내벽 면보다 돌출하지 않게 마련되어,
    상기 요철부의 상기 철부의 선단부와, 상기 철부의 선단부보다 케이싱의 수직방향에 대하여 낮은 위치에 있는 상기 철부의 후단부를 가지어, 상기 로터의 회전방향에 대하여 상기 철부의 선단부가 상기 철부의 후단부보다 가까워지게 경사하여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장치.
KR1020070067405A 2006-07-24 2007-07-05 스크린 장치 KR1012971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200886 2006-07-24
JPJP-P-2006-00200886 2006-07-24
JP2006260606A JP4909693B2 (ja) 2006-07-24 2006-09-26 スクリーン装置
JPJP-P-2006-00260606 2006-09-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9634A KR20080009634A (ko) 2008-01-29
KR101297124B1 true KR101297124B1 (ko) 2013-08-21

Family

ID=386545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7405A KR101297124B1 (ko) 2006-07-24 2007-07-05 스크린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080017342A1 (ko)
EP (1) EP1882773B1 (ko)
JP (1) JP4909693B2 (ko)
KR (1) KR101297124B1 (ko)
CN (1) CN101113579B (ko)
CA (1) CA2593807A1 (ko)
ES (1) ES2376903T3 (ko)
TW (1) TW20081329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33896B (zh) * 2014-09-02 2016-07-06 郑州运达造纸设备有限公司 一种用于压力筛的稀释装置
CA2895789A1 (en) 2014-11-21 2016-05-21 Aikawa Iron Works Co., Ltd. Papermaking strainer, foreign material separation apparatus for papermaking, and manufacturing method of papermaking strainer
JPWO2016152895A1 (ja) * 2015-03-24 2018-01-18 エム・テクニック株式会社 攪拌機
JP6517675B2 (ja) * 2015-12-02 2019-05-22 相川鉄工株式会社 製紙用スクリ−ン装置
KR101771371B1 (ko) 2016-12-26 2017-08-24 나성주 제지 원료 정선을 위한 스크린 머신, 스크린 머신용 케이싱 바디 및 스크린 바스켓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6984B1 (ko) * 1993-10-20 1999-03-20 이나바 고오사꾸 폐지 펄프 선별 방법 및 장치
KR100331376B1 (ko) 1998-02-03 2002-04-03 타케이 토시후미 폐지 펄프를 스크린하기 위한 장치
KR20050059981A (ko) * 2003-12-15 2005-06-21 아이카와 뎃코 가부시키가이샤 제지용 스크린 장치
KR20060067804A (ko) * 2004-12-15 2006-06-20 아이카와 뎃코 가부시키가이샤 스크린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37204A (en) * 1965-12-27 1969-04-08 Bird Machine Co Screening apparatus
US3586172A (en) * 1968-04-16 1971-06-22 Ingersoll Rand Canada Screening apparatus
FI67589C (fi) * 1983-10-25 1985-04-10 Ahlstroem Oy Sorterare med separering av laett rejekt
CA1288732C (en) * 1985-08-09 1991-09-10 Christian Sauzedde Apparatus for screening paper fiber stock
FI76139C (fi) * 1987-01-19 1988-09-09 Ahlstroem Oy Foerfarande och anordning foer kvistseparering.
JPH0460594A (ja) * 1990-06-29 1992-02-26 Yamaha Corp 弦楽器
US5096127A (en) * 1990-08-22 1992-03-17 Ingersoll-Rand Company Apparatus for pressurized screening of a fibrous material liquid suspension
FR2790270B1 (fr) * 1999-02-26 2001-11-16 Lamort E & M Procedes et moyens pour la filtration de la pate a papier
JP3443361B2 (ja) * 1999-04-23 2003-09-02 相川鉄工株式会社 スクリーン装置
JP4015527B2 (ja) * 2002-10-16 2007-11-28 相川鉄工株式会社 スクリ−ン装置
JP2006089874A (ja) * 2004-09-24 2006-04-06 Aikawa Iron Works Co Ltd スクリーン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6984B1 (ko) * 1993-10-20 1999-03-20 이나바 고오사꾸 폐지 펄프 선별 방법 및 장치
KR100331376B1 (ko) 1998-02-03 2002-04-03 타케이 토시후미 폐지 펄프를 스크린하기 위한 장치
KR20050059981A (ko) * 2003-12-15 2005-06-21 아이카와 뎃코 가부시키가이샤 제지용 스크린 장치
KR20060067804A (ko) * 2004-12-15 2006-06-20 아이카와 뎃코 가부시키가이샤 스크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376903T3 (es) 2012-03-20
CA2593807A1 (en) 2008-01-24
CN101113579A (zh) 2008-01-30
KR20080009634A (ko) 2008-01-29
EP1882773A1 (en) 2008-01-30
US20080017342A1 (en) 2008-01-24
TW200813294A (en) 2008-03-16
CN101113579B (zh) 2012-07-11
JP2008050738A (ja) 2008-03-06
EP1882773B1 (en) 2011-12-28
JP4909693B2 (ja) 2012-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7124B1 (ko) 스크린 장치
FI58525C (fi) Sorterare med avlaegsnande av laett rejekt
US3713536A (en) Pressure pulp screen
US6284096B1 (en) Process for discharging impurities from a hydrocyclone and a hydrocyclone
US8721840B2 (en) Apparatus for mixing a substance into a medium
CA257302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eeding chemical into a liquid flow
CA2761705C (en) Two stage pulp screening device with two stationary cylindrical screens
US5884774A (en) Papermaking screen
KR100501107B1 (ko) 스크린장치
EP1640496A1 (en) Screen device
US20050258079A1 (en) Pressurized screen for screening a fibrous suspension and use thereof
FI115975B (fi) Laite kuitujen erottamiseksi rejektimateriaalista
KR20070095169A (ko) 스크린 장치
US5257698A (en) Cleaner for stock suspensions
US4346007A (en) Method at screening apparatus for cleaning the apertures in a screen plate and device for carrying out the method
KR100550069B1 (ko) 스크린 장치
FI109038B (fi) Menetelmä kuitumassaseoksen käsittelemiseksi ja lajitin
JP4400919B2 (ja) パルパ−
JP2002506135A (ja) 繊維懸濁液分離用の2つのスクリーン室を備えるスクリーン装置
US888482A (en) Manufacture of paper.
KR20060046353A (ko) 스크린 장치
JP3158042B2 (ja) 製紙用スクリーン装置及び製紙用スクリーン装置の運転方法
WO200404645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fiber suspension
CA1149335A (en) Centrifugal-pump type cleaner element in a screening system
SU977029A1 (ru) Анализатор крупности волокнистых материало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