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0069B1 - 스크린 장치 - Google Patents

스크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0069B1
KR100550069B1 KR1020030011886A KR20030011886A KR100550069B1 KR 100550069 B1 KR100550069 B1 KR 100550069B1 KR 1020030011886 A KR1020030011886 A KR 1020030011886A KR 20030011886 A KR20030011886 A KR 20030011886A KR 100550069 B1 KR100550069 B1 KR 1005500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rical screen
screen
support
cylindrical
out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18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36515A (ko
Inventor
아이카와요시히코
Original Assignee
아이카와 뎃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카와 뎃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이카와 뎃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365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65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00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00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DTREATMENT OF THE MATERIALS BEFORE PASSING TO THE PAPER-MAKING MACHINE
    • D21D5/00Purification of the pulp suspension by mechanical means; Apparatus therefor
    • D21D5/02Straining or screening the pulp
    • D21D5/06Rotary screen-drum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DTREATMENT OF THE MATERIALS BEFORE PASSING TO THE PAPER-MAKING MACHINE
    • D21D5/00Purification of the pulp suspension by mechanical means; Apparatus therefor
    • D21D5/02Straining or screening the pulp
    • D21D5/023Stationary screen-drums
    • D21D5/026Stationary screen-drums with rotating cleaning fo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per (AREA)
  • Separation Of Solids By Using Liquids Or Pneumatic Power (AREA)

Abstract

(과제) 본 발명은, 제지원료의 정선(精選)처리량의 증대를 도모한 스크린 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해결수단) 스크린 장치(A)는 조(10)와, 제 1의 원통형상의 스크린(1)과, 이 제 1의 원통형상의 스크린(1)의 외측에서 조(10) 내에 고정하여 마련된 제 2의 원통형상의 스크린(2)과, 제지원료를 교반하는 교반부재(3)와, 제 2의 원통형상의 스크린(2)의 내측과 제 1의 원통형상의 스크린(1)의 외측의 사이에 형성된 제 2'의 실(室)(1B')에 연통하는 개구부를 구비하는 접속부재(4), 및 접속부재(4)의 상기 통로에 연통하며, 상기 통로 내의 상기 제지원료를 조(10)의 외에로 배출하는 통로를 구비한 제지원료배출통로(5)를 포함한다. 접속부재(4)는, 제 2의 원통형상의 스크린(2)에 설치되어, 상기 개구부에 연통하며, 제 2'의 실(1B') 내의 상기 제지원료를 배출하는 통로를 구비하는 동시에, 제 2의 원통형상의 스크린(2)의 중도에 마련되어 있다. 제지원료는, 제 2의 원통형상의 스크린(2)의 내측과 제 1의 원통형상의 스크린(1)의 외측의 사이에 형성된 일방의 단부에 위치하는 부위와 타방의 단면에 위치하는 부위로부터, 각각 제 1의 원통형상의 스크린(1)과 제 2의 원통형상의 스크린(2)에 안내된다.
스크린장치

Description

스크린 장치 {SCREEN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스크린 장치의 개략적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스크린 장치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3-3선에 따른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4-4선에 따른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5-5선에 따른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편입돼 있는 교반부재의 개략적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7-7선에 따른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A : 스크린 장치 1 : 제 1의 원통형상의 스크린
2 : 제 2의 원통형상의 스크린 3 : 교반부재
4 : 접속부재 5 : 제지원료배출통로
10 : 조(槽) 1B' : 제 2'의 실
본 발명은 스크린 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제지원료의 정선(精選)처리량 의 증대를 도모한 스크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조 내에 마련된 원통형상의 스크린의 외측에 교반부재(예를 들면, 포일, 아지테이터 등)를 위치시켜 제지원료를 스크린의 외측에서 내측에 향해 흘려 스크린의 일방의 단면에 위치하는 부위와 타방의 단면에 위치하는 부위로부터 각각 제지원료를 스크린에 각각 도입하게 하여 「제지원료가 스크린의 하류측으로 감에 따라서 농도가 짙어지는 불합리」의 개선을 시도하고 있는 스크린 장치가 있다(특개평12-8287호 공보(도 4) 참조).
그러나, 상기의 스크린 장치에서는, 원통형상의 스크린이 단일이어서, 제지원료의 정선처리량의 증대를 시도하는 점에서 개선의 여지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제지원료의 정선처리량의 증대를 도모한 스크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청구항 1 기재의 스크린 장치는 제지원료의 입구부, 제 1의 정선출구부, 제 2의 정선출구부를 가지고, 상기 제지원료를 받들이는 조(槽)와, 일방의 단면을 폐쇄하며 타방의 단면을 개방하고, 측면에 복수의 개구부를 구비하여 상기 조 내에 고정하여 마련된 제 1의 원통형상의 스크린과, 이 제 1의 원통형상의 스크린의 외측에서 측면이 상기 제 1의 원통형상의 스크린의 상기 측면에 대향하는 동시에, 일방의 단면 및 타방의 단면을 개방하고, 측면에 복수의 개구부를 구비하여 상기 조 내에 고정하여 마련된 제 2의 원통형상의 스크린과, 상기 제 2의 원통형상의 스크린의 일방의 단부와 상기 조의 내벽에 각각 지지되는 제 1의 지지부재와, 상기 제 2의 원통형상의 스크린의 타방의 단부와 상기 조의 내벽에 각각 지지되는 제 2의 지지부재와, 이 제 2의 지지부재 및 상기 제 1의 지지부재에 의해 상기 제 2의 원통형상의 스크린 내에로의 상기 제지원료의 침입을 상기 제 2의 원통형상의 스크린의 상기 복수의 개구부를 거치도록, 상기 제 2의 원통형상의 스크린은 폐쇄되어 있고, 상기 조 내는 상기 제 1의 원통형상의 스크린에 의해서 제 1의 실과 제 2의 실로 구획되고, 상기 제 2의 실은 상기 제 2의 원통형상의 스크린에 의해 제 2'의 실과 제 2"의 실로 구획되며, 상기 제 1의 실은 상기 제 1의 정선출구부에 상기 제 2'의 실은 상기 제지원료의 입구부에, 상기 제 2"의 실은 제 2의 정선출구부에 각각 향하고, 교반부가 상기 제 2의 원통형상의 스크린의 내측과 상기 제 1의 원통형상의 스크린의 외측에 있어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상기 제 2'의 실 내의 상기 제지원료를 교반하는 교반부재와, 상기 제 2의 원통형상의 스크린의 내측과 상기 제 1의 원통형상의 스크린의 외측의 사이에 형성된 상기 제 2'의 실에 연통하는 개구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2의 원통형상의 스크린에 장치되어, 상기 개구부에 연통하며, 상기 제 2'의 실 내의 상기 제지원료를 배출하는 통로를 구비하는 동시에, 제 2의 원통형상의 스크린의 중도에 마련된 접속부재와, 이 접속부재의 상기 통로에 연통하며, 상기 통로내의 상기 제지원료를 상기 조의 외에로 배출하는 통로를 구비한 제지원료배출통로를 마련하고 있는 것이다.
또, 청구항 2 기재의 스크린 장치는 청구항 1 기재의 스크린 장치에 있어서, 접속부재는 제 2의 원통형상의 스크린의 일방의 단면과 타방의 단면에 각각 평행이고, 상기 일방의 단면과 상기 타방의 단면의 중간에 위치한 링상(狀)부재로, 그 링상부재의 외측은 상기 제 2의 원통형상의 스크린의 외측에 향해서 팽출(膨出)하는 동시에, 상기 링상부재의 내측은 대략 전체에 걸쳐 요구(凹溝)가 형성되고, 그 요구의 개구부인 요구개구부는 제지원료배출통로의 통로에 연통하며, 상기 요구개구부는 상기 벽부(壁部)에 마련되어 있는 것이다.
또, 청구항 3 기재의 스크린 장치는, 청구항 1 기재의 스크린 장치에 있어서, 제지원료의 입구부는, 제 2의 원통형상의 스크린의 내측과 제 1의 원통형상의 스크린의 외측의 사이에 형성된 일방의 단면에 위치하는 부위에의 일방의 입구부와, 상기 제 2의 원통형상의 스크린의 내측과 제 1의 원통형상의 스크린의 외측의 사이에 형성된 타방의 단면에 위치하는 부위에의 타방의 입구부를 가지는 것이다.
(실시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스크린 장치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7에 있어서, A는 스크린 장치이며, 스크린 장치(A)는 제지원료를 스크린(1, 2)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에 향해 흘리어 제지원료중에서 이물을 제거하는 타이프의 스크린이다.
10은 제지원료를 받아들이는 조이며, 조(10)는 제지원료의 입구부(10a, 10b), 제 1의 정선출구부(10c), 제 2의 정선출구부(10d)를 가지고 있다.
제지원료의 입구부는, 예를 들어, 제지원료의 입구부(10a, 10b)이며, 제지원료의 입구부(10a, 10b)는 제 2의 원통형상의 스크린(2)의 내측과 제 1의 원통형의 스크린(1)의 외측의 사이에 형성된 일방의 단면에 위치하는 부위에의 일방의 입구부(10a)와 제 2의 원통형상의 스크린(2)의 내측과 제 1의 원통형의 스크린(1)의 외측의 사이에 형성된 타방의 단면에 위치하는 부위에의 타방의 입구부(10b)를 가지고 있다.
또, 제지원료의 입구부(10a, 10b)는 입구배관(10e)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제 1의 정선출구부(10c), 제 2의 정선출구부(10d)는 각각 제 1의 정선출구배관(10g), 제 2의 정선출구배관(10f)에 접속되어 있다.
1은 조(10) 내에 고정하여 마련된 제 1의 원통형상의 스크린이며, 제 1의 원통형상의 스크린(1)은 일방의 단면을 폐쇄하며 타방의 단면을 개방하고, 측면에 복수의 개구부를 구비하고 있다. 개구부는, 예를 들어, 슬릿, 환공(丸孔), 봉상(棒狀)부재를 환상으로 병설하여 형성되는 스크린에서는 인접하는 봉상부재와 봉상부재의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이다.
2는 조(10) 내에 고정하여 마련된 제 2의 원통형상의 스크린이며, 제 2의 원통형상의 스크린(2)은 제 1의 원통형상의 스크린(1)의 외측에서 측면이 제 1의 원통형상의 스크린(1)의 측면에 대향하는 동시에 일방의 단면 및 타방의 단면을 개방하고, 측면에 복수의 개구부을 구비하고 있다. 제 2의 원통형상의 스크린(2)의 개구부는 제 1의 원통형상의 스크린(1)의 개구부와 마찬가지로, 예를 들어, 슬릿, 환공, 인접하는 봉상부재와 봉상부재의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이다.
제 2의 원통형상의 스크린(2)의 일방의 단부와 조(10)의 내벽(10w)은 도 4에 보이는 바와 같이, 제 1의 지지부재(21)에 의해 각각 지지되어 있다. 또, 제 2의 원통형상의 스크린(2)의 타방의 단부와 조(10)의 내벽(10w)은 제 2의 지지부재(22)에 의해 각각 지지되어 있다.
이 제 2의 지지부재(22) 및 제 1의 지지부재(21)에 의해 제 2의 원통형상의 스크린(2) 내에의 제지원료의 침입을 제 2의 원통형상의 스크린(2)의 복수의 개구부를 거치게 제 2의 원통형상의 스크린(2)은 폐쇄되어 있다(도 2 및 도 4 참조). 도 2는 도 3의 2-2선에 따른 개략적 단면도이다.
따라서, 조(10) 내는 도 2에 보이는 바와 같이, 제지원료의 흐름에 있어서, 제 1의 원통형상의 스크린(1)에 의해서 제 1의 실(室)(1A)과 제 2의 실(1B)로 구획되고, 제 2의 실(1B)은 제 2의 원통형상의 스크린(2)에 의해서 제 2'의 실(1B')과 제 2"의 실(1B")로 구획되어, 제 1의 실(1A)은 정선출구부(10c)에 제 2'의 실(1B')은 제지원료의 입구부(10a, 10b)에, 제 2"의 실(1B")은 제 2의 정선출구부(10d)에 각각 향하게 구성된다.
또, 3은 교반부(35, 36)가 제 2의 원통형상의 스크린(2)의 내측에서, 제 1의 원통형상의 스크린(1)의 외측에서 회전을 자유롭게 지지되어 제 2'의 실(1B') 내의 제지원료를 교반하는 교반부재이며, 교반부재(3)는 모터(도시되지 않음)로부터의 벨트(31), 풀리(32), 제 2의 원통형상의 스크린(2)의 폐쇄부(33)를 관통하여 마련된 회전축(34)을 통하여 회전하며, 교반부재(3)의 교반부(35, 36)는 회전축(34)에 설치된 반(盤)(37)에, 예를 들어, 밑으로 드리워 설치되어 있다.
드리운 교반부(35, 36)는 제 1의 원통형상의 스크린(1)과 제 2의 원통형상의 스크린(2)의 사이에 위치하고 교반부 35는 제 2의 원통형상의 스크린에 교반부 36은 제 1의 원통형상의 스크린(1)에 각각 근접하여 마련되어 있다.
교반부(35, 36)는 예를 들어 포일, 애지테이터이고, 제 1의 원통형상의 스크린(1)(또는 제 2의 원통형상의 스크린 (2))에 근접하여 회전하며, 교반부(35, 36)가 포일인 경우, 포일의 전부(前部)에서 제 1의 원통형상의 스크린(1)(또는 제 2의 원통형상의 스크린 (2))에 대하여 가압을 포일의 후부에서 부압을 각각 발생시켜, 제 1의 원통형상의 스크린(1)(또는 제 2의 원통형상의 스크린 (2))의 구멍씻음의 작용을 행하는 것이다.
또, 4는 제 2의 원통형상의 스크린(2)의 내측과 제 1의 원통형상의 스크 린(1)의 외측의 사이에 형성된 제 2'의 실(1B')에 연통하는 개구부(41)를 구비한 접속부재이며, 접속부재(4)는 제 2의 원통형상의 스크린(2)에 설치되고, 개구부(41)에 연통하며, 제 2'의 실(1B') 내의 제지원료를 배출하는 통로(통로는 예를 들어, 후술하는 요구(42)를 구비하는 동시에, 제 2의 원통형상의 스크린(2)의 중도에 마련되어 있다.
접속부재(4)는 바람직하게는, 제 2의 원통형상의 스크린(2)의 일방의 단면과 타방의 단면에 각각 평행이고, 상기 일방의 단면과 상기 타방의 단면의 대략 중간에 위치한 링상부재로, 그 링상부재의 외측은 도 4 및 도 5에 보이는 바와 같이, 제 2의 원통형상의 스크린(2)의 외측에 향해 팽출하는 동시에, 상기 링상부재의 내측은 대략 전체(대략 전주)에 걸쳐 요구(42)를 형성하고, 그 요구(42)의 개구부인 요구개구부(44)는 후술하는 제지원료배출통로(5)의 통로에 연통하며, 요구개구부(44)는 벽부(43)에 마련되어 있다.
게다가, 5는 제지원료배출통로로서, 제지원료배출통로(5)는 접속부재(4)의 통로에 연통하여, 상기 통로내의 제지원료, 필경, 이물을 많이 포함하는 제지원료를 조(10)의 외에로 배출하는 통로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제 2의 원통형상의 스크린(2)의 내측과 제 1의 원통형상의 스크린(1)의 외측의 사이에 형성된 일방의 단면에 위치하는 부위와 타방의 단면에 위치하는 부위로부터 각각 상기 제지원료가 제 1의 원통형상의 스크린(1)과 제 2의 원통형상의 스크린(2)에 인도되면, 제지원료는 접속부재(4)에 향하게 흘러 그 도중에 있어서, 좋은 섬유는 제 1의 원통형상의 스크린(1), 제 2의 원통형상의 스크린(2)를 통과하여, 각각 제 1의 정선출구배관(10g), 제 2의 정선출구배관(10f)를 통해 조(10) 외부로 인도된다. 그 때, 교반부재(3)의 교반부(36)에 의해 제 1의 원통형상의 스크린(1), 교반부재(3)의 교반부(35)에 의해 제 2의 원통형상의 스크린(2)이 구멍씻음 작용을 받아서 구멍막힘이 방지된다.
또, 제 1의 원통형상의 스크린(1), 제 2의 원통형상의 스크린(2)을 통과할 수 없는 이물을 많이 포함하는 제지원료는 링상부재(접속부재 (4))의 내측에 대략 전체에 걸쳐 형성된 요구(42) 내에 효과적으로 보집(補集)되어, 요구개구부(44), 제지원료배출통로(5)를 통해 조(10) 외에로 인도된다.
그 결과, 상술한 스크린 장치(A)에 의하면, 조(10) 내에 마련한 제 1의 원통형상의 스크린(1) 및 제 2의 원통형상의 스크린(2)에 의해 제지원료의 정선처리량의 증대를 도모하며, 또한, 제 2의 원통형상의 스크린(2)의 내측과 제 1의 원통형 상의 스크린(1)의 외측의 사이에 형성된 일방의 단면에 위치하는 부위와 타방의 단면에 위치하는 부위로부터 각각 제지원료를 제 1의 원통형상의 스크린(1)과 제 2의 원통형상의 스크린(2)에 각각 인도하게 하여 「제지원료가 스크린의 하류측으로 감에 따라 농도가 짙어지는 불합리」의 개선을 도모할 수 있고,
또한, 접속부재(4)는 제 2의 원통형상의 스크린(2)의 일방의 단면과 타방의 단면에 각각 평행이며, 상기 일방의 단면과 상기 타방의 단면의 중간에 위치한 링상으로, 외측에 팽출하는 벽부(43)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제 1의 원통형상의 스크린(1) 및 제 2의 원통형상의 스크린(2)을 통과할 수 없는 이물을 많이 포함하는 제지원료를 링상부재(4)의 내측에 대략 전체에 걸쳐 형성된 요구(42) 내에 효과적으로 포집할 수가 있어, 제진효과를 높일 수가 있다.
청구항 1 기재의 스크린 장치에 의하면, 조 내에 마련한 제 1의 원통형상의 스크린 및 제 2의 원통형상의 스크린에 의해 제지원료의 정선처리량의 증대를 도모하고, 또, 제 2의 원통형상의 스크린의 내측과 제 1의 원통형상의 스크린의 외측의 사이에 형성된 일방의 단면에 위치하는 부위와 타방의 단면에 위치하는 부위로부터 각각 제지원료를 제 1의 원통형상의 스크린과 제 2의 원통형상의 스크린에 각각 인도하게 하여 「제지원료가 스크린의 하류측으로 감에 따라서 농도가 짙어지는 불합리」의 개선을 도모할 수가 있다.
청구항 2 기재의 스크린 장치에 의하면, 상술한 청구항 1 기재의 발명의 효과에 더하여, 접속부재는, 제 2의 원통형상의 스크린의 일방의 단면과 타방의 단면에 각각 평행이고, 상기 일방의 단면과 상기 타방의 단면의 중간에 위치한 링상으로, 외측에 팽출하는 벽부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제 1의 원통형상의 스크린 및 제 2의 원통형상의 스크린을 통과할 수 없는 이물을 많이 포함하는 제지원료를 링상부재의 내측에 대략 전체에 걸쳐 형성된 요구 내에 효과적인 보집할 수가 있어, 제진효과를 높일 수가 있다.

Claims (3)

  1. 제지원료의 입구부, 제 1의 정선출구부, 제 2의 정선출구부를 가지고, 상기 제지원료를 받들이는 조(槽)와,
    일방의 단면을 폐쇄하며, 타방의 단면을 개방하고, 측면에 복수의 개구부를 구비하여, 상기 조 내에 고정하여 마련된 제 1의 원통형상의 스크린과,
    이 제 1의 원통형상의 스크린의 외측에서 측면이 상기 제 1의 원통형상의 스크린의 상기 측면에 대향하는 동시에, 일방의 단면 및 타방의 단면을 개방하고, 측면에 복수의 개구부를 구비하여, 상기 조 내에 고정하여 마련된 제 2의 원통형상의 스크린과,
    상기 제 2의 원통형상의 스크린의 일방의 단부와 상기 조의 내벽에 각각 지지되는 제 1의 지지부재와,
    상기 제 2의 원통형상의 스크린의 타방의 단부와 상기 조의 내벽에 각각 지지되는 제 2의 지지부재와,
    이 제 2의 지지부재 및 상기 제 1의 지지부재에 의해, 상기 제 2의 원통형상의 스크린 내에로의 상기 제지원료의 침입을, 상기 제 2의 원통형상의 스크린의 상기 복수의 개구부를 거치도록, 상기 제 2의 원통형상의 스크린은 폐쇄되어 있고,
    상기 조 내는 상기 제 1의 원통형상의 스크린에 의해서 제 1의 실과 제 2의 실로 구획되고, 상기 제 2의 실은 상기 제 2의 원통형상의 스크린에 의해 제 2'의 실과 제 2"의 실로 구획되며,
    상기 제 1의 실은 상기 제 1의 정선출구부에, 상기 제 2'의 실은 상기 제지원료의 입구부에 상기 제 2"의 실은 제 2의 정선출구부에 각각 향하고,
    교반부가, 상기 제 2의 원통형상의 스크린의 내측과 상기 제 1의 원통형상의 스크린의 외측에 있어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상기 제 2'의 실 내의 상기 제지원료를 교반하는 교반부재와,
    상기 제 2의 원통형상의 스크린의 내측과 상기 제 1의 원통형상의 스크린의 외측의 사이에 형성된 상기 제 2'의 실에 연통하는 개구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2의 원통형상의 스크린에 장치되어, 상기 개구부에 연통하며, 상기 제 2'의 실 내의 상기 제지원료를 배출하는 통로를 구비하는 동시에, 제 2의 원통형상의 스크린의 중도에 마련된 접속부재와,
    이 접속부재의 상기 통로에 연통하며, 상기 통로내의 상기 제지원료를 상기 조의 외에로 배출하는 통로를 구비한 제지원료배출통로,
    를 마련하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접속부재는 제 2의 원통형상의 스크린의 일방의 단면과 타방의 단면에 각각 평행이고, 상기 일방의 단면과 상기 타방의 단면의 중간에 위치한 링상(狀)부재로, 그 링상부재의 외측은 상기 제 2의 원통형상의 스크린의 외측에 향해서 팽출(膨出)하는 동시에, 상기 링상부재의 내측은 전체에 걸쳐 요구(凹溝)가 형성되고, 그 요구의 개구부인 요구개구부는 제지원료배출통로의 통로에 연통하며,
    상기 요구개구부는 상기 벽부(壁部)에 마련되어 있음
    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제지원료의 입구부는,
    제 2의 원통형상의 스크린의 내측과 제 1의 원통형상의 스크린의 외측의 사이에 형성된 일방의 단면에 위치하는 부위에의 일방의 입구부와,
    상기 제 2의 원통형상의 스크린의 내측과 상기 제 1의 원통형상의 스크린의 외측의 사이에 형성된 타방의 단면에 위치하는 부위에의 타방의 입구부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장치.
KR1020030011886A 2002-10-23 2003-02-26 스크린 장치 KR1005500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308174A JP4064204B2 (ja) 2002-10-23 2002-10-23 スクリ−ン装置
JPJP-P-2002-00308174 2002-10-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6515A KR20040036515A (ko) 2004-04-30
KR100550069B1 true KR100550069B1 (ko) 2006-02-09

Family

ID=320643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1886A KR100550069B1 (ko) 2002-10-23 2003-02-26 스크린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923329B2 (ko)
EP (1) EP1413671B1 (ko)
JP (1) JP4064204B2 (ko)
KR (1) KR100550069B1 (ko)
CN (1) CN1492103A (ko)
CA (1) CA2420431C (ko)
DE (1) DE60306063T2 (ko)
TW (1) TW57676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45905B2 (ja) * 2005-08-01 2008-09-0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減圧乾燥装置
JP2007254901A (ja) * 2006-03-20 2007-10-04 Aikawa Iron Works Co Ltd スクリーン装置
US8011515B2 (en) * 2009-05-12 2011-09-06 Ovivo Luxembourg S.á.r.l. Two stage pulp screening device with two stationary cylindrical screens
CN104594096B (zh) * 2014-12-22 2017-04-26 山东晨钟机械股份有限公司 旋鼓式筛节机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7333A (en) * 1905-08-07 1906-04-10 Hjalmar L Orrman Centrifugal sieving apparatus.
US2975899A (en) * 1957-04-16 1961-03-21 Bird Machine Co Screening device
US3933649A (en) * 1971-03-01 1976-01-20 Ahlfors S E E Apparatus for purifying and fractionating particle suspensions
US4127479A (en) * 1973-11-08 1978-11-28 J. M. Voith G.M.B.H. Apparatus for straining suspensions
US4302327A (en) * 1980-03-17 1981-11-24 The Black Clawson Company Center flow screening apparatus
US4810270A (en) * 1985-10-24 1989-03-07 Kimberly-Clark Corporation Separator
US4744894A (en) * 1986-06-30 1988-05-17 Gauld W Thomas Fibrous stock screening apparatus
US5119953A (en) * 1990-04-02 1992-06-09 Celleco Hedemora Ab Pulp suspension screening and fractionation apparatus
FI93979C (fi) * 1993-08-20 1995-06-26 Tampella Oy Valmet Menetelmä ja painelajitin kuitumassan lajittelemiseksi
US6155427A (en) * 1996-11-14 2000-12-05 Thermo Black Clawson Inc. Zoned pressure screen
JP3435346B2 (ja) * 1998-04-16 2003-08-11 相川鉄工株式会社 スクリーン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576764B (en) 2004-02-21
US20040079682A1 (en) 2004-04-29
JP2004143615A (ja) 2004-05-20
JP4064204B2 (ja) 2008-03-19
EP1413671B1 (en) 2006-06-14
US6923329B2 (en) 2005-08-02
DE60306063D1 (de) 2006-07-27
CA2420431C (en) 2006-10-24
KR20040036515A (ko) 2004-04-30
DE60306063T2 (de) 2007-01-04
TW200406265A (en) 2004-05-01
EP1413671A1 (en) 2004-04-28
CN1492103A (zh) 2004-04-28
CA2420431A1 (en) 2004-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67035A (en) Pressurized rotary screening apparatus
CA2614055C (en) A roll body for a press roll
CA1128012A (en) Fibrous stock screen
FI92723B (fi) Paperimassapesuri, josta poistuvan sulpun koostumus on valvottua
KR100550069B1 (ko) 스크린 장치
KR100325285B1 (ko) 제지용 스크린장치
CA2761705C (en) Two stage pulp screening device with two stationary cylindrical screens
EP1533412A2 (en) Drum type washing machine
KR950000040Y1 (ko) 지료정선장치(紙料精選裝置)
RU2095502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омывки древесной волокнистой массы
FI109038B (fi) Menetelmä kuitumassaseoksen käsittelemiseksi ja lajitin
KR20080009634A (ko) 스크린 장치
JPS637808B2 (ko)
DE69910972D1 (de) Siebvorrichtung für Papierherstellung
JP4015527B2 (ja) スクリ−ン装置
FI97983C (fi) Sihtausmenetelmä ja sihti
EP214714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washing pulp in a rotatable drum
JP2006283247A (ja) スクリーン装置
JPH09170188A (ja) 製紙用スクリーン装置及び製紙用スクリーン装置の運転方法
US5116476A (en) Atmospheric diffuser improved lower screens backflushing
JPH09170187A (ja) 製紙用スクリーン装置
JP3198240B2 (ja) 製紙用スクリーン装置
FI68688B (fi) Anordning foer inblandning av kemikalier i fibersuspensioner
RU1805157C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обезвоживани и промывки волокнистой массы
PL25301B1 (pl) Sposób oczyszczania lub sortowania w zabiegu ciaglym niejednorodnych mieszanin plynnych, zwlaszcza papki papierniczej, i urzadzenie do wykonywania tego sposobu.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