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7010B1 - 블록형 조합 주택 - Google Patents

블록형 조합 주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7010B1
KR101297010B1 KR1020110048175A KR20110048175A KR101297010B1 KR 101297010 B1 KR101297010 B1 KR 101297010B1 KR 1020110048175 A KR1020110048175 A KR 1020110048175A KR 20110048175 A KR20110048175 A KR 20110048175A KR 101297010 B1 KR101297010 B1 KR 1012970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unit life
unit
delete delete
l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81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30111A (ko
Inventor
김호연
Original Assignee
김정우
김미향
최석용
최영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우, 김미향, 최석용, 최영인 filed Critical 김정우
Priority to KR10201100481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7010B1/ko
Publication of KR201201301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01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70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70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005Modulation co-ordin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8Structures composed of units comprising at least considerable parts of two sides of a room, e.g. box-like or cell-like units closed or in skeleton form
    • E04B1/34815Elements not integrated in a skeleton
    • E04B1/34861Elements not integrated in a skeleton particular arrangement of habitable rooms or their component parts; modular co-ordin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8Structures composed of units comprising at least considerable parts of two sides of a room, e.g. box-like or cell-like units closed or in skeleton form
    • E04B2001/34876Structures composed of units comprising at least considerable parts of two sides of a room, e.g. box-like or cell-like units closed or in skeleton form with a sloping or barrel roof
    • E04B2001/34884Structures composed of units comprising at least considerable parts of two sides of a room, e.g. box-like or cell-like units closed or in skeleton form with a sloping or barrel roof creating a living space between several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sidential Or Office Buil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록형 조합 주택에 관한 것으로,
어린이들이 쌓기 놀이에 사용하는 블록완구처럼 각각의 기능이 부여된 단위생활블록을 사용자의 필요 및 기호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상하좌우로 배치하고, 상기 단위생활블록을 연결하는 연결부재 및 카운터웨이트를 이용하여 연결 및 적층시켜 구성한 후, 생활 배선 및 배관 시설을 연결하고 최종적으로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보호부재를 상기 단위생활블록에 덮어 구성함으로 이루어지는 블록형 조합 주택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블록형 조합 주택{Union houses-type a block and the construction way}
본 발명은 블록형 조합 주택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케이스형태로 구성된 독립된 형태의 단위생활블록을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수평 수직으로 배열하고 배열된 단위생활블록을 연결부재 및 보호부재를 이용하여 상호 연결 구성함으로서 를 이용하여 연결하여 에 관한 것이다.
우선 종래의 기술을 살펴보면,
특허 출원번호 1020100071157호는 이동용 조립주택 및 조립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콘과 프레임 및 외벽, 천장, 바닥면을 개별로 제작하여, 콘과 프레임을 체결하여 골격을 세우고, 바닥면, 천장, 외벽을 차례로 볼트로 조립하고, 주택 용도에 맞게 내부를 인테리어하여 자재비 절감, 조립시간 단축, 이동 물류비를 절감하고, 각 외벽을 규격화하여 제작원가를 절감하고 설치 후 보수가 용이하여 부대 비용을 절감하여 제품의 경쟁력을 키울 수 있기 위한 기술에 대하여 설명되어 있다.
공개번호 1020100022386호는 이동식 다층 조립주택에 관한 것으로서, 하층 건물에 상층 건물을 결합시켜 2층 이상의 다층으로 조립되며 필요한 장소로 이동이 가능한 조립주택에 관한 것이 설명되어 있다. 구성으로 지면에 설치되는 베이스 프레임과, 베이스 프레임의 상부에 조립되며 하부 주거공간이 마련된 제 1본체와, 제 1본체의 상부와 끼움 결합되어 조립되며 상부 주거공간이 마련된 제 2본체를 구비하는 것을 설명하고 있고 상층건물인 제 2본체의 단면적이 하층건물인 제 1본체의 단면적보다 더 크도록 형성함으로써 제 2본체가 제 1본체의 바깥 측으로 포개지도록 끼움 결합되어 그 조립이 용이하며 조립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제 2본체에도 크레인의 후크가 장착되는 운반용 고리를 설치함으로써 조립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고 설명하고 있다.
공개번호 2019920012248호는 이동 가능한 조립주택에 관한 것으로 조립식 주택의 적어도 4모서리부분에 형성된 삽입공에 하부 지지대와 상부 나사부로 형성된 신축성 지지대가 신축할 수 있게 설치되고 주택저면 중앙부에 주택을 트레일러에 실어 틀 때 윤활하게 돌릴 수 있는 베어링부를 장착하여서 된 것을 설명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들은 하나의 주택을 형성하기 위한 전체적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어 구성요소들 중 하나라도 누락이 되거나 빠지게 되면 하나의 주택이 형성되지 못하는 기술들이다. 즉, 주택을 형성함에 있어 구조적으로 구분화 표준화 하여 그 제작 공정에 편리성을 부여하기 위한 기술을 중심적으로 기재하고 있는 것이다.
다른 형태의 단위 조립식 주택을 살펴보면, 컨테이너를 이용한 이동식 주택이 있는 데 이러한 컨테이너 주택은 본격적인 거주의 형태가 아니 임시적인 거처로 사용되고 있고, 그 컨테이너 단위 하나하나가 독립적인 형태로 존재하게 구성되어 있는 등 단순한 일반적 텐트의 변형된 구조로서 인식되는 것이 사실이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한 것으로서,
주택을 구성함에 있어서 종래의 기술처럼 하나의 주택을 짓고 그 생활공간의 범위 안에서 각각 역할에 따라 구분하여 구획하고 필요한 시설하는 형식의 주택을 짓는 것이 아니라, 각 역할에 따른 시설 및 디자인을 갖춘 형태의 단위생활블록을 제공하고, 사용자의 필요 또는 환경에 따라 각각 역할이 다른 단위생활블록을 상하 좌우로 연결 구성하여 배치한 후 기타 배관 및 전기 시설을 형성하여 사용하고, 주택 이동 또는 배치 변경을 원할 시 쉽게 분리하여 이동하거나 재배치하여 거주할 수 있는 형태의 블록형 조합 주택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거실, 안방, 부엌, 화장실, 서재 등과 같은 각각의 역할이 구분된 단위생활블록을 다양하게 구성하고,
상기 단위생활블록을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수평, 수직으로 연결하여 구성하고,
상기 수평, 수직으로 연결함에 있어서 필요에 따라 상호 떨어져 배치되는 단위생활블록을 상호 연결하는 공간인 연결부재 및 수직으로 연결할 시 상기 단위생활블록의 무게 중심을 잡을 수 있는 카운터웨이트를 사용하여 안정성을 높이고,
상기 유리재, 금속재, 섬유재, 합성수지재 등 다양한 기능성 재질로 디자인하여 구성되는 보호부재를 단위생활블록의 일부 또는 전체에 덮어 보호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와 같이 처음의 주택의 형태가 지속적으로 고정되어진다는 오래된 주택의 기본 관념에서 벗어나 소유자의 선택에 따라 언제든지 전체 주택에서 그 역할이 다른 부분 부분을 분리하거나 추가시켜 사용할 수 있어 소유자의 생각, 생활 패턴, 조건 등의 상황 변경에 따라 주택을 가변시킬 수 있는 등 주택의 소유자의 기호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단위생활블록을 쉽게 배치 설정하여 사용할 수 있어 그 효과가 대단히 큰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여주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여주는 측면도, 저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여주는 작동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여주는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여주는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여주는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여주는 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여주는 구성도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여주는 구성도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여주는 구성도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여주는 분해도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여주는 사용상태도
본 발명은 각각의 역할이 다르게 구성된 단위생활블록을 블록 쌓기와 같이 수평 수직으로 연결하여 최종적으로 원하는 형태의 주택을 구성하게 되는 블록형 조합 주택에 관한 것으로서 그 중요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도 1내지 14를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①단위생활블록(100)
도 1, 2, 3, 14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단위생활블록은 각각의 역할이 다른 생활공간을 분리하여 하나의 박스형태의 공간 안에 배치하고 디자인하여 만든 것으로,
각각의 단위생활블록은 응접실, 거실, 화장실, 서재 등 일반적인 주택에서 방과 같이 나누어진 부분을 분리시켜 개별적으로 하나의 공간에 표현하여 박스형의 블록형태로 구성하여 둔 것으로 즉, 응접실의 기능 및 디자인을 가지는 단위생활블록, 화장실의 기능을 가지게 내부를 구성하고 디자인 한 화장실 기능의 단위생활블록, 부엌의 기능을 가지도록 설계되고 구성된 부엌 형태의 단위생활블록 등 다양한 역할 및 목적의 단위생활블록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각각의 역할 및 기능이 다른 형태의 단위생활블록은 소비자의 취향에 따라 동일 목적 기능의 단위생활블록이라도 다양한 형태의 디자인으로 단위생활블록의 내부를 디자인하여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단위생활블록은 박스 형태로 구성되고 내부 공간에는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기능 및 역할에 따른 다양한 디자인으로 구성되고 일 측으로 입출구(101)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단위생활블록의 하부면에는 돌출된 고정대(103) 구성하여 추후 기초부재(200) 과의 고정력을 높이는데 사용할 수 있다.
②기초부재(200)
도 1, 2, 3, 5, 6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기초부재(200)는 건출물이 구성되는 지면에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단위생활블록이 상부에 얹혀 구성됨에 있어 수평을 잘 유지 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구성하는 것이다. 기초부재는 평면플레이트(201)와 받침대(203)로 구성되는데 상기 평면플레이트(201)를 지면위에 얹고 그 위에 상기 받침대(203)를 얹어 구성된다.
상기 받침대(203)는 상기 단위생활블록(100)을 상부에 올려 구성한다. 따라서 상기 단위생활블록(100)의 수평을 용이하게 잡을 수 있도록 상기 받침대(203)는 높이 조절이 가능토록 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통상의 기술을 사용하여 유압 또는 공압을 이용하거나 스크류의 회전을 이용하여 상하로 이동가능토록 구성된 받침대(203)를 구성하여 상기 단위생활블록(100)의 수평 레벨을 조절하여 구성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스크류 방식이 적용된 받침대(203)를 참고로 도시하여 구성하였는데 본체(210)의 내부에 너트가 형성된 중공부(211)를 형성하고 상기 중공부에서 스큐류 형태로 회전되어 돌출 삽입가능하게 나사산이 형성된 높이조절대(212)가 구성된다. 상기 높이조절대(212)의 상측 단부로는 상부가 개방된 형태의 안착홈(213)을 구성한다.
상기 안착홈(213)에 상기 단위생활블록(100)의 고정대(103)가 끼움 고정되게 하여 결속력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물론 반대로 상기 단위생활블록(100)에 상기 높이조절대(212)의 단부를 끼움하여 고정할 수도 있다.(미도시)
③연결부재(300)
도 1, 2, 4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연결부재는 상기 단위생활블록(100) 사이를 연결하는 브릿지 개념의 통로이다. 즉 일측이 개방된 형태의 통로로 구성하여 상기 단위생활블록(100)들 사이의 문(101)을 연결되는 동선을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다른 두 개의 단위생활블록(100)을 일직선으로 연결할 시는 상기 연결부재(300)의 양측단부에 통로(301) 개방시켜 각각의 단위생활블록(100)의 출구(101)에 연결하면 되고,
도 7,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단위생활블록(100)을 하나의 연결부재(300)의 일측면으로 연결하거나 양측면으로 다수개 연결할 경우 상기 연결부재(300)의 측면에 다수개의 통로(301)를 구성하고 상기 연결되는 단위생활블록(100)의 입출구(101)와 연결하여 구성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30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로 꺾임 되고 내부로 계단과 같은 승하강이 가능한 장치를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단위생활블록(100)을 연결함에 있어 다양한 방법이 제시 가능한데 이러한 방법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재(300)의 측면에 다수개의 개방구를 구성하고 상기 개방구들에 상기 단위생활블록(100)을 개별적으로 연결하여 다수개를 하나의 연결부재로 일체화 할 수 있고 다양한 형태의 연결부재(300)를 사용하여 디자인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연결부재(300)는 다양한 기능성재질을 이용할 수 있는데 개방감을 주기 위해 상부를 개방하거나, 강화유리와 같은 재질을 이용할 수도 있고, 금속재 및 합성수지재 등 다양한 기능성 소재를 디자인하여 접목할 수 있는 것이다.
④보호부재(400)
도 11, 12를 참고로 설명하면 보호부재(400)는 덮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내부에 상기 단위생활블록(100)들이 구성되고 상부로 텐트와 같은 덮개가 일 측 또는 전체에 걸쳐 덮어 구성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보호부재(400)는 사용목적, 디자인 요구에 따라 다양한 재질을 이용할 수 있는데 유리재, 섬유재, 금속재, 합성수지재, 석재 등 다양한 재질을 이용하여 단위생활블록(100)을 포함할 수 있게 구성한다.
⑤카운터웨이트(500)
도 1, 13을 참고로 설명하면 상기 단위생활블록(100)을 적층하다 보면 중심이 맞지 않는 경우 무게 중심을 잡아야 할 경우 필요하다. 이때 상기 단위생활블록(100)의 상측에 무게가 무거운 상기 카운터웨이트(500)를 적층함으로 하중을 가하여 일정무게가 상기 단위생활블록(100)에 가해지더라도 구조에 이상이 없도록 하여 적층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부가적으로 상기 카운터웨이트(500)가 적층된 단위생활블록(100)의 타측 하부로 지지대(501)를 구성함으로 보조적으로 안정성을 높여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살펴본 바와 같은 중요 구성요소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건축방법을 도 11, 12, 13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우선 상기 단위생활블록(100)을 구성할 지면에 평탄화 및 기초 작업을 하여야 한다. 이때 지면을 고른 후 지면에 평면플레이트(201)를 설치한다. 상기 평면플레이트는 고르지 못한 지면을 대신하여 평면을 제공하게 됨으로서 상부로 안전하게 구조물이 적층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평면플레이트(201)의 상부로 다수개의 받침대(203)가 설치되고 상기 받침대(203) 위로 단위생활블록(100)이 적층되어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받침대(203)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구성으로 제공됨으로 적층되는 단위생활블록(100)의 수평을 용이하게 잡을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사용자는 거실기능의 단위생활블록, 침실 기능의 단위생활블록, 욕실 기능의 단위생활블록, 서재 기능의 단위생활블록 등 원하는 단위생활블록(100)등을 상하좌우로 연결 구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단위생활블록(100)들 사이를 연결하여 이동할 수 있는 통로를 구성할 수 있는데 이대 박스형의 연결부재(300)를 이용하여 상기 단위생활블록(100)들을 다양한 형태로 연결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적층 시에는 다시 상기 받침대(203)을 구성하고 그 상부로 단위생활블록(100)을 적층하고, 적층된 단위생활블록(100)의 무게중심을 잡기 위하여 카운터웨이트(500)를 적층하거나 및 지지대(501)를 받침으로 안정성을 높여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전기배선 및 위생배관(601) 등의 시설공사를 하게 되는데 상기 단위생활블록(100)의 하부로 받침대(203)가 구성되는 부분으로 공간부가 형성되게 되는데 이러한 바닥 공간부를 이용하여 전기배선 및 위생배관(601)들을 상기 단위생활블록(100)의 내부에 갖추어져 있는 설비와 연결하여 시설공사를 하게 되는 것이다.
이후 기타 통상이 건축관련 잡일을 정리한 후 마지막으로 단위생활블럭(100)의 외부를 덮어 주는 보호부재(500)를 설치한다. 상기 보호부재(500)의 설치는 선택사항으로서 사용자가 원할 경우 다양한 재질 및 설치 위치, 범위 등을 임의적으로 구성하여 설치함으로 기능성과 디자인의 심미감을 높여 건축물을 완성할 수 있는 것이다.
100 : 단위생활블록 101 : 단위생활블록 입출구
103 : 고정대 200 : 기초부재
201 : 평면플레이트 203 : 받침대
211 : 중공부 212 : 높이조절대
213 : 안착홈 300 : 연결부재
301 : 통로 400 : 보호부재
500 : 카운터웨이트 501 : 지지대
601 : 전기배선 및 위생배관

Claims (11)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지면위에 구성되는 기초부재, 상기 기초 부재위로 구성되되 각각의 역할이 다르게 구성된 단위생활블록, 상기 단위생활블록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재, 상기 단위생활블록을 덮어 보호하는 보호부재로 구성되되,
    상기 단위생활블록의 하부면에는 돌출된 고정대를 구성하고,
    상기 기초부재는 플레이트 및 단위생활블록 사이에 구성되고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구성되되 단부에 안착홈이 구성된 받침대로 구성하여,
    상기 고정대가 상기 안착홈에 안착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형 조합 주택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110048175A 2011-05-20 2011-05-20 블록형 조합 주택 KR1012970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8175A KR101297010B1 (ko) 2011-05-20 2011-05-20 블록형 조합 주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8175A KR101297010B1 (ko) 2011-05-20 2011-05-20 블록형 조합 주택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6995A Division KR20130062309A (ko) 2013-05-21 2013-05-21 블록형 조합 주택 및 그 건축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0111A KR20120130111A (ko) 2012-11-29
KR101297010B1 true KR101297010B1 (ko) 2013-08-14

Family

ID=475143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8175A KR101297010B1 (ko) 2011-05-20 2011-05-20 블록형 조합 주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701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9977B1 (ko) * 2020-12-30 2021-02-24 코리아드림 주식회사 컨테이너 주택을 포함하는 컨테이너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4732A (ko) * 1991-08-16 1993-03-23 강진구 냉장고의 배수시스템
JPH1061256A (ja) * 1996-08-13 1998-03-03 Kajima Corp エネルギ変換型高層制震構造物
KR100622018B1 (ko) * 2005-05-31 2006-09-18 안승한 건축물의 구축방법 및 이로부터 구축된 건축물
KR100972197B1 (ko) 2007-12-17 2010-07-23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건축 모듈러 유닛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4732A (ko) * 1991-08-16 1993-03-23 강진구 냉장고의 배수시스템
JPH1061256A (ja) * 1996-08-13 1998-03-03 Kajima Corp エネルギ変換型高層制震構造物
KR100622018B1 (ko) * 2005-05-31 2006-09-18 안승한 건축물의 구축방법 및 이로부터 구축된 건축물
KR100972197B1 (ko) 2007-12-17 2010-07-23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건축 모듈러 유닛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0111A (ko) 2012-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204373B (zh) 建筑物的预制模块
CN104204372B (zh) 用于建造建筑物的方法和系统
CN102444206B (zh) 可交叠组合之预制式模块建筑
WO2007079655A1 (fr) Residence avec jardin
TW202129135A (zh) 隔音罩
KR101297010B1 (ko) 블록형 조합 주택
KR20130139204A (ko) 블록형 조합 주택
CN104704177A (zh) 用作结构支撑物和实用空间的框架
KR20130062309A (ko) 블록형 조합 주택 및 그 건축방법
KR20210098598A (ko) 계단실을 중심으로 한 단독주택 모듈러시스템
KR200489291Y1 (ko) 친환경형 조립식 주택
KR102300615B1 (ko) 개별 모듈주택을 이용한 공동주택
JP2013133624A (ja) 集合建築物
CN202202580U (zh) 可交叠组合之预制式模块建筑
JP3228981U (ja) 組み立て式装置
JP2014055491A (ja) 施工方法
CN109577486B (zh) 一种形成建筑的方法及建筑
JP7003564B2 (ja) 建物
JP4966369B2 (ja) 集合住宅
JP5198670B1 (ja) 木造住宅および木造住宅の設計方法
JPH1171918A (ja) 建築物およびその建築方法
KR20170116781A (ko) 이동이 가능한 조립식 하우스
JP3099961U (ja) 一戸住室型住居におけるロフトの構造
JP2002174042A (ja) スケルトン・インフィル集合住宅
CN101748905B (zh) 一种带泳池的单层户型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