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6955B1 - 회선 교환 유저 에이전트 시스템, 통신 장치 및 그들에 이용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회선 교환 유저 에이전트 시스템, 통신 장치 및 그들에 이용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6955B1
KR101296955B1 KR1020117023859A KR20117023859A KR101296955B1 KR 101296955 B1 KR101296955 B1 KR 101296955B1 KR 1020117023859 A KR1020117023859 A KR 1020117023859A KR 20117023859 A KR20117023859 A KR 20117023859A KR 101296955 B1 KR101296955 B1 KR 1012969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communication device
ims
mobile terminal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38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22766A (ko
Inventor
유스게 다까노
도시유끼 다무라
Original Assignee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1227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27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69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69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04L65/1073Registration or de-regist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Architectures or entities
    • H04L65/102Gateways
    • H04L65/1033Signalling gateways
    • H04L65/1036Signalling gateways at the ed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Architectures or entities
    • H04L65/102Gateways
    • H04L65/1033Signalling gateways
    • H04L65/104Signalling gateways in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Architectures or entities
    • H04L65/1046Call controllers; Call ser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04L65/1083In-session procedures
    • H04L65/1094Inter-user-equipment sessions transfer or sha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04L65/1083In-session procedures
    • H04L65/1095Inter-network session transfer or sha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08Protocols for interworking; Protocol conver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08Protocols for interworking; Protocol conversion
    • H04L69/085Protocols for interworking; Protocol conversion specially adapted for interworking of IP-based networks with other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7/00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between switching centres
    • H04M7/12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between switching centres for working between exchanges having different types of switching equipment, e.g. power-driven and step by step or decimal and non-decimal
    • H04M7/1205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between switching centres for working between exchanges having different types of switching equipment, e.g. power-driven and step by step or decimal and non-decimal where the types of switching equipement comprises PSTN/ISDN equipment and switching equipment of networks other than PSTN/ISDN, e.g. Internet Protocol networks
    • H04M7/1225Details of core network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 H04M7/1235Details of core network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where one of the core networks is a wireless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Architectures or entities
    • H04L65/1016IP multimedia subsystem [I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38Graded-service arrangements, i.e. some subscribers prevented from establishing certain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348Location-based services which utiliz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a targ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7/00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between switching centres
    • H04M7/12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between switching centres for working between exchanges having different types of switching equipment, e.g. power-driven and step by step or decimal and non-decimal
    • H04M7/1205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between switching centres for working between exchanges having different types of switching equipment, e.g. power-driven and step by step or decimal and non-decimal where the types of switching equipement comprises PSTN/ISDN equipment and switching equipment of networks other than PSTN/ISDN, e.g. Internet Protocol networks
    • H04M7/1225Details of core network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 H04M7/123Details of core network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where the packet-switched network is an Internet Protocol Multimedia System-type net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회선 교환 유저 에이전트 시스템은, IMS(IP Multimedia subsystem)/MMD(Multi-Media Domain)에서의 홈 네트워크에 배치되는 서비스 처리 장치를 포함한다. 회선 교환 유저 에이전트 시스템은 또한, 이동 단말기가 재권하는 재권망 내에 배치되고 상기 이동 단말기가 접속되는 회선 교환망의 UNI(User-Network Interface) 신호와 상기 IMS/MMD에서 취급되는 신호와의 상호 변환을 행하는 기능을 갖는 통신 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회선 교환 유저 에이전트 시스템, 통신 장치 및 그들에 이용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LINE EXCHANGE USER AGENT SYSTEM, COMMUNICATION DEVICE, AND SERVICE PROVIDING METHOD USED FOR THEM}
본 발명은 회선 교환 유저 에이전트 시스템, 통신 장치, 서비스 처리 장치 및 그들에 이용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회선 교환망으로부터 IP(Internet Protocol)를 이용한 네트워크로의 이행에서의 서비스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현재, 회선 교환망으로부터 IP를 이용한 네트워크로의 이행이 행해지고 있고, 그 중에서, 휴대 전화 시스템에서도, 회선 교환 시스템으로부터, IP를 이용한 시스템으로의 이행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같은 이행에서는, IP 멀티미디어 서브시스템(IP Multimedia subsystem, IMS)/멀티-미디어 도메인(Multi-Media Domain, MMD)의 홈 네트워크에서, 회선 교환 신호로부터 IMS/MMD에서 취급되는 신호로 변환하는 방법이 취해지고 있다.
휴대 전화 시스템에서는, 회선 교환망에서의 제어와 IMS/MMD에서의 제어의 큰 차이로서, 이하의 점을 들 수 있다. 즉, 위치 등록이나 부가 서비스 등이, 회선 교환에서는 이동 단말기가 재권하는 회선 교환망에 있는 장치에 의해 행해진다. 한편, IMS/MMD에서는 홈 네트워크에 있는 세션 개시 프로토콜(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서버,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의해 행해지고 있다(예를 들면, 비특허 문헌 1 참조).
비특허 문헌 1 : "Mobile Radio Interface Layer 3 Supplementary Services Specification ; General Aspects"[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TS 24.010V6.0.0(2004-12)]
본 발명의 관련 기술로서, 회선 교환망으로부터의 신호를 홈 IP망으로 변환하기 위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구성이 제안되어 있다. 도 1에서, 홈 IP망(600)에의 입구의 경계 장치[MGCF(Media Gateway Control Function)(32) 및 MGW(Media Gate Way)(37)]에 의해 회선 교환망(재권 회선 교환망)(400)으로부터의 회선 교환 신호를 IMS/MMD 신호로 변환하고 있다. 홈 IP망(600)은 또한, I-CSCF(Interrogating-Call Session Control Function)(33), S-CSCF(Serving-Call Session Control Function)(34), HSS(Home Subscriber Server)(35), AS(Application server)(36)를 포함한다.
이 구성의 경우, 이동 단말기(30)의 위치 등록 정보 관리 및 부가 서비스는 MSC(Mobile Switching Center)(31)에 의해 행해지고, 이동 단말기(30)로부터의 위치 정보 및 부가 서비스 제어 정보는 이동 단말기(30)와 네트워크 장치(MSC(31)) 사이의 유저-네트워크 인터페이스(User-Network Interface, UNI)(401)를 통하여 주고 받게 된다.
그러나, 전술한 휴대 전화 시스템에서는, 회선 교환망(400)과 홈 IP망(600) 사이에 중계 회선 교환망(500)이 개재된다. 그리고, 중계 회선 교환망(500)에서의 네트워크 사이(MSC(31)와 MGCF(32) 사이)의 NNI(Network-Network Interface)(501)를 통한 신호는, UNI(401)에서 통신되고 있는 정보를 전송하는 능력이 없다. 이 때문에, 관련 기술에 의한 회선 교환 시스템에서 제공된 서비스와 등가인 서비스를 IMS/MMD에서 실현하는 것이 어렵게 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여, 회선 교환 시스템에서 제공되고 있는 서비스와 등가인 서비스를 IMS/MMD에서 실현할 수 있는 회선 교환 유저 에이전트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의 회선 교환 유저 에이전트 시스템에 적합한 통신 장치, 서비스 처리 장치 및 그들에 이용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양태에 의한 회선 교환 유저 에이전트 시스템은, IMS(IP Multimedia subsystem)/MMD(Multi-Media Domain)에서의 홈 네트워크에 배치되는 서비스 처리 장치를 포함한다. 본 회선 교환 유저 에이전트 시스템은, 이동 단말기가 재권하는 재권망 내에 배치되어 상기 이동 단말기가 접속되는 회선 교환망의 UNI(User-Network Interface) 신호와 상기 IMS/MMD에서 취급되는 신호와의 상호 변환을 행하는 기능을 갖는 통신 장치를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의 양태에 의한 회선 교환 유저 에이전트 시스템은, 이동 단말기가 접속한 재권망에 있는 통신 장치에서, 회선 교환망에서의 이동 단말기의 위치 등록 정보/상태를 이용하여 IMS/MMD에의 등록을 행하고, 이동 단말기로부터의 UNI 신호를 IMS/MMD에서 취급되는 신호에 조립하여 홈 네트워크의 서비스 처리 장치에 전송함으로써, 관련 기술에 의한 회선 교환에서의 서비스와 등가인 서비스를 IMS/MMD에서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재권망이란, 회선 교환망에서의 UNI 신호와 IMS/MMD에서 취급되는 신호를 각각 처리 가능하게 구성된 네트워크이다. 즉, 이동 단말기가 접속한 재권망에 있는 통신 장치란, 회선 교환망에서의 UNI 신호와 IMS/MMD에서 취급되는 신호를 각각 처리 가능한 통신 장치이다.
본 회선 교환 유저 에이전트 시스템에서는, 휴대 전화 시스템에서의 회선 교환 신호를 IMS/MMD에서 취급하는 신호로 변환할 때에, 회선 교환망에서의 위치 등록 상태에 따라서 IMS/MMD에서의 등록 처리를 행하고, 회선 교환 신호를 IMS/MMD에서 취급하는 신호로 변환함과 함께, 필요에 따라서 이동 단말기로부터의 UNI 신호를 IMS/MMD 측에 전송하고, IMS/MMD에서 이동 단말기에 요구되는 신호를 이동 단말기를 대신하여 생성함으로써, 관련 기술에 의한 회선 교환 서비스와 동등한 서비스를 IMS/MMD에서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회선 교환 유저 에이전트 시스템에서는, MSC(Mobile Switching Center)/VLR(Visitor Location Register)과 CSUA(회선 교환 유저 에이전트)를 조합한 확장 통신 장치가, 이동 단말기의 재권망에서의 회선 교환에서의 위치 정보 상태로부터, S-CSCF(Serving-Call Server Control Function)에 대해, IMS/MMD에서 취급되는 신호를 송신하여, IMS/MMD에서의 등록 처리를 행하고 있다.
IMS/MMD에서의 등록 처리 후, 확장 통신 장치는, 통상 회선 교환 호 처리(발신 착신)에 대해서, 회선 교환 신호를 IMS/MMD에서의 신호로 변환한다. 또한, 확장 통신 장치는 이동 단말기로부터의 부가 서비스 제어를 포함한 UNI 신호를 수신한 경우, 신호 종별에 의해 그 부가 서비스 제어 신호를, IMS/MMD에서 취급되는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신호를 이용하여, 즉 부가 서비스 제어 신호를, IMS/MMD에서 취급되는 신호에 조립하여 그대로 S-CSCF에 전송한다.
UNI 신호가 조립된 SIP 신호는, S-CSCF에서의 유저 프로파일에 기초한 필터 처리에 의해, 부가 서비스 AS(Application server)에 전송되어, 부가 서비스 AS에서 이동 단말기에 대한 부가 서비스가 실행된다.
이와 같이 하여, 본 회선 교환 유저 에이전트 시스템에서는, 회선 교환 신호에서의 부가 서비스 제어 신호를, IMS/MMD에서 취급되는 SIP 신호를 이용하여, 홈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서비스 실행 장치인 부가 서비스 AS에 전송하고 있기 때문에, 회선 교환에 의해 제공되고 있는 서비스와 등가한 서비스를 IMS/MMD에서 제공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전송된 신호에 관하여, 부가 서비스 AS는, 기존 회선 교환 장치의 자산을 전용하여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본 회선 교환 유저 에이전트 시스템에서는, 관련 기술의 회선 교환에서의 부가 서비스의 신호로 IMS/MMD에서 부가 서비스 처리를 행하기 때문에, 회선 교환에 의해 제공되고 있는 서비스와 동등한 서비스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회선 교환 유저 에이전트 시스템에서는, 부가 서비스 AS에서, 관련 기술의 회선 교환에서의 신호를 취급하기 때문에, 확장 통신 장치의 부가 서비스 처리 부분을 공통적으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리소스를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IP를 이용한 시스템으로 이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양태에 의한 통신 장치는, IMS(IP Multimedia subsystem)/MMD(Multi-Media Domain)에서의 홈 네트워크에 배치되는 서비스 처리 장치를 포함하는 회선 교환 유저 에이전트 시스템에서 상기 이동 단말기가 재권하는 재권망 내에 배치된다. 본 통신 장치는, 상기 이동 단말기가 접속되는 회선 교환망의 UNI(User-Network Interface) 신호와 상기 IMS/MMD에서 취급되는 신호와의 상호 변환을 행하는 기능을 갖는다.
본 발명의 양태에 의한 서비스 처리 장치는, IMS(IP Multimedia subsystem)/MMD(Multi-Media Domain)에서의 홈 네트워크에 배치되는 서비스 처리 장치로서, 휴대 전화 시스템에서의 회선 교환 신호가 조립되고 또한 상기 IMS/MMD에서 취급되는 신호를 처리하는 처리부를 갖는다.
본 발명의 양태에 의한 서비스 제공 방법은, IMS(IP Multimedia subsystem)/MMD(Multi-Media Domain)에서의 홈 네트워크에 배치되는 서비스 처리 장치를 포함하는 회선 교환 유저 에이전트 시스템에 이용된다. 본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이동 단말기가 재권하는 재권망 내에 배치되는 통신 장치가, 상기 이동 단말기가 접속되는 회선 교환망에서의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 등록 정보/상태를 이용하여 상기 IMS/MMD에의 등록을 행하는 처리와,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의 UNI(User-Network Interface) 신호를 상기 IMS/MMD에서 취급되는 신호에 조립하여 상기 서비스 처리 장치에 전송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도 1은 관련 기술의 네트워크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회선 교환 유저 에이전트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확장 통신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부가 서비스 AS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의 Registration 수순을 나타내는 시퀀스차트.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의 발착신 규제 서비스 기동 수순을 나타내는 시퀀스차트.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의 발신 규제 동작을 나타내는 시퀀스차트.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회선 교환 유저 에이전트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회선 교환 유저 에이전트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의 발착신 규제 서비스 기동 수순을 나타내는 시퀀스차트.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서의 발착신 규제 서비스 기동 수순을 나타내는 시퀀스차트.
도 12는 본 발명의 VCC를 이용한 어프로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eMSC-Server/MGCF의 상호 동작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eMSC-Server의 아키텍처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eMSC-Server의 아키텍처로의 이행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회선 교환 유저 에이전트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에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회선 교환 유저 에이전트 시스템은, 확장 통신 장치(통신 장치)(1)와 MGW(Media GateWay)(2)가 배치된 재권망(100)을 포함한다. 회선 교환 유저 에이전트 시스템은 또한, I-CSCF(Interrogating-Call Session Control Function)(4)와 S-CSCF(Serving-Call Session Control Function)(5)와 HLR(Home Location Register)/HSS(Home Subscriber Server)(6)와 부가 서비스 AS(Application server)(서비스 처리 장치)(7)가 배치된 홈 네트워크(200)와, IP(Internet Protocol)망(300)을 포함한다.
여기서, 재권망(100)은, 회선 교환망에서의 UNI(User-Network Interface:유저 네트워크간 인터페이스) 신호와 IMS(IP Multimedia subsystem)/MMD(Multi-Media Domain)에서 취급되는 신호를 각각 처리 가능하게 구성된 네트워크이다. 즉, 이동 단말기(예를 들면 휴대 전화)(3)가 접속한 재권망(100)에 있는 확장 통신 장치(1)는, 회선 교환망에서의 UNI 신호와 IMS/MMD에서 취급되는 신호를 각각 처리 가능한 통신 장치이다.
확장 통신 장치(1)는, 관련 기술에서의 MSC(Mobile Switching Center)/VLR(Visitor Location Register)부(등록부)(11)와 CSUA(회선 교환 유저 에이전트)부(전송부)(12)를 조합한 장치이며, 회선 교환에서의 이동 단말기(3)의 위치 등록에 따라서 S-CSCF(5)에 대해, IMS/MMD에서의 등록 처리를 행한다.
확장 통신 장치(1)는, IMS/MMD에서, 이동 단말기(3)에 요구되는 기능(신호의 송수신 등)을 이동 단말기(3)를 대신해서 실행하고, 회선 교환과 IMS/MMD에서의 동작 차분을 흡수하기 위하여, 이동 단말기(3)로부터의 회선 교환에서의 호 제어 신호를 IMS/MMD에서 취급되는 신호로 변환한다.
또한, 확장 통신 장치(1)는, 이동 단말기(3)로부터의 UNI 신호 중, 부가 서비스 제어를 포함한 회선 교환 신호에 대해서는, IMS/MMD 신호에 조립하여(매립하여) S-CSCF(5)에 전송한다. S-CSCF(5)로부터 부가 서비스 AS(7)에는, 유저의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필터 처리에 의해 부가 서비스 제어를 포함한 회선 교환 신호가 조립된 IMS/MMD 신호가 전송된다.
여기서, UNI 신호의 부가 서비스 제어를 포함한 회선 교환 신호를 IMS/MMD 신호에 조립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SIP 메시지의 메시지 보디를 이용하는 방법 등이 생각된다. SIP 메시지의 메시지 보디는, SIP 이외로 정의된 정보이고, SIP 메시지의 구성 상에서는 옵션으로 된다. 메시지 보디를 SIP 메시지에 부가하는 방식으로서는, 예를 들면 전자 메일에서 첨부 화일 등을 메시지에 부가하여 송부하는 경우에 이용되는 MIME(Multipurpose Internet Mail Extensions)가 이용된다.
또한, 확장 통신 장치(1)는, 이동 단말기(3)에 대한 IMS/MMD로의 변환 처리를 기동하는지의 여부에 대해서, 예를 들면 HLR/HSS(6)로부터의 유저 프로파일에 신규 플래그를 정의하고, 그 플래그가 존재하는지의 여부에 의해 판정한다.
MGW(2)는, 회선 교환망 ATM(Asynchronous Transfer Mode)/STM(Synchronous Transfer Mode) 상의 미디어 신호 AMR(Adaptive Multi Rate)을 IP 상의 미디어 신호 AMR로 변환하는 미디어 변환 시스템이다.
즉, MGW(2)는, 도 1에서 설명한 재권 회선 교환망(400) 내의 MGW(38)와 홈 IP망(600) 내의 MGW(37)와의 기능을 겸비하는 MGW이다. 이와 같이, MGW(2)에, 관련 기술에서의 MGW(38)와 MGW(37)와의 기능을 겸비하게 함으로써, MGW(2)를 회선 교환에서의 유저 미디어 데이터를 IMS/MMD에서 취급되는 미디어 데이터로 직접 변환하는 변환부로서 기능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관련 기술에서는 재권 회선 교환망(400) 내의 MGW(38)와 홈 IP망(600) 내의 MGW(37)를 거쳐서 얻고 있었던 미디어 데이터를 직접 MGW(2)로부터 수취할 수 있으므로, 경로의 최적화가 가능하게 된다.
부가 서비스 AS(7)는, 확장 통신 장치(1)에 의해 IMS/MMD에서 취급되는 신호로 전송되어 온 이동 단말기(3)로부터의 UNI 신호를 해석하고, 그 해석 결과에 따라서 부가 서비스를 실행하는 장치이다. 또한, 부가 서비스 AS(7)는 서비스 실행 완료 등의 이동 단말기(3)에의 응답의 UNI 신호, 이동 단말기(3)에 통지하는 UNI 신호를 생성하고, IMS/MMD에서 취급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확장 통신 장치(1)에 S-CSCF(5) 경유로 송신하는 기능을 갖는다.
도 3은 도 2의 확장 통신 장치(1)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에서, 확장 통신 장치(1)는 MSC/VLR부(11)와 회선 교환 UA(User Agent)부(12)를 조합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MSC/VLR부(11)는, MAP(Mobile Application Part)/CAP[CAMEL(Customized Application for Mobile network Enhanced Logic) Application Part] 신호 처리부(114), ISUP[ISDN(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User Part] 신호 처리부(113), MSC 제어부(112),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Layer 3 신호 처리부(111)로 된다. 회선 교환 UA부(12)는, SIP User Agent부(121), SIP 신호 처리부(122)로 된다.
또한, 도 3에서는, MSC/VLR(11)은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PLMN(Public Land Mobile Network)을 통하여 홈 망(200)(도 2)에 접속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즉, 재권망(100)과 홈 망(200) 사이에 PSTN/PLMN이 개재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3)와 재권망(100)(MSC/VLR(11) 및 MGW(2)) 사이에는 UTRAN(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110)이 개재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MSC 제어부(112)는 호 상태 관리 CC(Call Control) 처리부(1121)와, 위치 등록 관리 MM(Mobility Management) 처리부(1122)와, 부가 서비스 관리 SS(Supplementary Service) 처리부(1123)를 구비하고 있다.
MEGACO(Megaco/H.248) 신호 처리부(13)는 MSC/VLR부(11)와 회선 교환 UA부(12)에 대해 공통의 기능으로서 구성된다. 이 구성 상에서, MSC/VLR부(11) 내의 MSC 제어부(112)와 회선 교환 UA부(12)의 SIP User Agent부(121)가 내부 제휴하여, 회선 교환, IMS/MMD의 양방에서의 등록/호 제어/부가 서비스 처리(MM/CC/SS)를 행한다.
도 4는 도 2의 부가 서비스 AS(7)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4에서, 부가 서비스 AS(7)는 IMS/MMD에서의 부가 서비스 관리를 행하는 부가 서비스 관리 SIP User Agent(71)와, 투과 전송된 신호를 처리 해석하는 부가 서비스 관리 SS 처리부(처리부)(72)와, Diameter 신호 처리부(74)와, SIP 신호 처리부(73)로 구성되어 있다.
부가 서비스 AS(7)는, 이 구성에 의해, MSC 제어부(112)에서의 부가 서비스 관리 SS 처리부(1123)를 부가 서비스 관리 SS 처리부(72)로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의 Registration 수순을 나타내는 시퀀스차트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의 발착신 규제 서비스 기동 수순을 나타내는 시퀀스차트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의 발신 규제 동작을 나타내는 시퀀스차트이다. 도 2∼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회선 교환 유저 에이전트 시스템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를 예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의 Registration 수순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후의 설명에서는, HLR/HSS(6)를 기능별로 HLR(6) 혹은 HSS(6)와 구별하여 부르는 경우가 있다.
확장 통신 장치(1)는 MSC/VLR부(11)에서, 이동 단말기(3)로부터의 Location Update Request 신호(도 5의 a1)를 계기로, Update Location 신호(도 5의 a2), Insert Subscriber Data 신호(도 5의 a3), Insert Subscriber Data Ack 신호(도 5의 a4), Update Location Ack 신호(도 5의 a5)의 송수신에서 HLR/HSS(6)로부터 유저의 프로파일을 취득하고, VLR(Visitor Location Register)을 생성하고, Location Update Accept 신호(도 5의 a6)를 이동 단말기(3)에 송신한다.
그 후, 확장 통신 장치(1)는, HLR(6)로부터 다운로드한 유저 프로파일을 확인하고(도 5의 a7), IMS/MMD로의 변환 처리를 기동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확장 통신 장치(1)는, IMS/MMD로의 변환 처리의 기동으로 판정하면, 이동 단말기(3)로부터의 Location Update Request 신호(도 5의 a1)의 요소 및 HLR(6)로부터의 Insert Subscriber Data Ack 신호(도 5의 a4)의 요소로부터, SIP Register 신호(도 5의 a8)를 생성하여 S-CSCF(5)에 송신하고, IMS/MMD에서의 이동 단말기(3)의 등록 처리를 행한다.
S-CSCF(5)는, HSS(6)로부터 유저 프로파일을 Diameter SAR(Server Assignment Request)/SAA(Server Assignment Answer) 신호의 송수신에 의해 취득하고(도 5의 a9, a10), 그 취득한 유저 프로파일에 의해, 부가 서비스 AS(7)에 등록 처리를 행한다(도 5의 a12∼a14).
부가 서비스 AS(7)는, S-CSCF(5)로부터 SIP Register 신호(도 5의 a12)를 수신하면, 필요에 따라서 이동 단말기(3)의 유저 프로파일을 Diameter UDR(User Data Request)/UDA(User Data Answer) 신호(도 5의 a13)의 송수신에 의해 HSS(6)로부터 취득한다. 부가 서비스 AS(7)는, 이동 단말기(3)의 프로파일에 따라서 등록 처리를 행하면, 부가 서비스의 통지를 수취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므로, S-CSCF(5)를 통하여 확장 통신 장치(1)에 대해, SIP SUBSCRIBE 신호(도 5의 a15, a16)를 송신한다.
또한, 상기의 a7의 처리에서의 판정이 IMS/MMD로의 변환 처리의 기동이 아닌 경우 및 IMS/MMD에의 등록 처리(도 5의 a8∼a14)가 실패한 경우, 확장 통신 장치(1)는 관련 기술에서의 MSC로서의 동작을 행하고, 관련 기술에 의한 서비스와 마찬가지의 회선 교환 서비스를 계속한다.
계속해서,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대표적인 회선 교환 서비스인 발착신 규제 서비스의 기동 수순에 대해서 설명한다.
유저의 단말기 조작에 의해, 이동 단말기(3)는 CS(Circuit Switch)에서의 발착신 규제 서비스 기동을 나타내는 Register 신호(도 6의 b1)를 확장 통신 장치(1)에 송신한다. 확장 통신 장치(1)는, CS에서의 Register 신호를 수신하면, 신호 종별에 의해 부가 서비스인 것을 해석하고, 그 이동 단말기(3)가 IMS/MMD에서의 등록 처리를 완료한 경우에, 부가 서비스 AS(7)에 대해, CS에서의 Register 신호를 SIP Notify 신호(도 6의 b2)에 조립하여(매립하여) S-CSCF(5)에 송신한다.
S-CSCF(5)는 CS에서의 Register 신호가 조립된 SIP Notify 신호(도 6의 b2)를 수신하면, 부가 서비스 AS(7)에 대해 CS에서의 Register 신호가 조립된 SIP Notify 신호(도 6의 b3)를 전송한다.
부가 서비스 AS(7)는 CS에서의 Register 신호가 조립된 SIP Notify 신호(도 6의 b3)를 수신하면, CS에서의 Register 신호를 해석하고, 발착신 규제 서비스를 기동하고, HSS(6)에 Diameter PUR(Profile Update Request) 신호(도 6의 b4)를 이용하여 프로파일 갱신 수순에 의해 서비스의 기동, 즉 서비스 상태의 변경을 통지한다.
HSS(6)에서의 처리가 완료되고, Diameter PUA(Profile Update Answer) 신호(도 6의 b5)에서 완료가 통지되면, 부가 서비스 AS(7)는 S-CSCF(5)를 통하여 확장 통신 장치(1)에 대해, 부가 서비스의 기동 완료를 나타내는 CS 신호를 조립한 SIP 200 OK 신호(도 6의 b6, b7)를 송신한다.
확장 통신 장치(1)는, 부가 서비스의 기동 완료를 나타내는 CS 신호를 조립한 SIP 200 OK 신호(도 6의 b7)를 수신하면, SIP 신호 내에 있는 CS 신호(Release Complete)(도 6의 b8)를 이동 단말기(3)에 대해 송신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 수순에 의해 부가 서비스의 기동이 행해진다.
또한,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의 발신 규제 처리에 대해서 설명한다.
확장 통신 장치(1)는, 이동 단말기 A로부터 이동 단말기 B에의 발신 신호인 SETUP 신호(도 7의 c1)를 수신하면, IMS/MMD에서의 등록 처리가 완료된 경우에, CS 신호의 SETUP 신호(도 7의 c1)로부터 IMS/MMD 신호의 SIP INVITE 신호(도 7의 c2)로의 변환을 행하여, S-CSCF(5)에 송신한다.
S-CSCF(5)는, SIP INVITE 신호(도 7의 c2)를 수신하면, 부가 서비스 AS(7)에 대해, SIP INVITE 신호(도 7의 c3)를 전송한다.
부가 서비스 AS(7)는, SIP INVITE 신호(도 7의 c3)를 수신하면, 필요에 따라서 이동 단말기 A의 유저 프로파일을 Diameter UDR/UDA 신호(도 7의 c4)의 송수신에 의해 HSS(6)로부터 취득한다. 부가 서비스 AS(7)는, 이동 단말기 A의 프로파일에 따라서 발신 규제를 판정하고, 발신 규제인 것을 나타내는 CS 신호를 조립한 SIP 403 Forbidden 신호(도 7의 c5)를 S-CSCF(5)에 송신한다.
S-CSCF(5)는, 이동 단말기 A의 프로파일로부터 이동 단말기 A가 재권하는 회선 교환망(100)에 접속하고 있는 것을 판정하고, 발신 규제인 것을 나타내는 CS 신호가 조립된 SIP 403 Forbidden 신호(도 7의 c6)를 확장 통신 장치(1)에 전송한다. 확장 통신 장치(1)는, CS 신호가 포함된 SIP 신호(도 7의 c6)를 수신하면, SIP 신호 내에 있는 CS 신호(DISCONNECT)(도 7의 c7)를 이동 단말기 A에 대해 송신한다. 제1 실시예에서는, 이 수순에 의해 발신 규제가 행해진다.
이와 같이, 제1 실시예에서는, 관련 기술의 회선 교환에서의 부가 서비스의 신호로 IMS/MMD에서 부가 서비스 처리를 행하기 때문에, 회선 교환에 의해 제공되고 있는 서비스와 동등한 서비스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예에서는, 부가 서비스 AS(7)에서, 관련 기술의 회선 교환에서의 신호를 취급하기 때문에, 확장 통신 장치(1)의 부가 서비스 처리 부분을 공통적으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여, 리소스를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IP를 이용한 시스템으로의 이행을 실현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회선 교환 유저 에이전트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8에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회선 교환 유저 에이전트 시스템은, 확장 통신 장치(1)가, 이동 단말기(3)를 대신하여, IMS/MMD에서 요구되는 기능ㆍ동작을 행하기 때문에, 재권망(100)의 확장 통신 장치(1)와 홈네트워크(200)의 I-CSCF(4) 사이에 P-CSCF(Proxy-Call Session Control Function)(대체부)(8)를 배치하는 네트워크 구성을 취한 것 이외에는, 상기의 제1 실시예에 의한 회선 교환 유저 에이전트 시스템과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러므로, 도 2와 동일 구성 요소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있다.
또한, 제2 실시예에 의한 회선 교환 유저 에이전트 시스템은, 재권망(100)에 P-CSCF(8)를 배치한 이외에는, 제1 실시예에 의한 회선 교환 유저 에이전트 시스템과 마찬가지의 동작을 행하고, 마찬가지의 효과를 발휘한다. 즉, 제2 실시예는, P-CSCF(8)를 이용하는 시스템에도 대응 가능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확장 통신 장치(1)에 P-CSCF(8)의 기능을 갖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3 실시예>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회선 교환 유저 에이전트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9에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회선 교환 유저 에이전트 시스템은, 홈 네트워크(200) 내의 부가 서비스 AS(7)를 재권망(100) 내의 확장 통신 장치(1)에 직접 접속하도록 한 것 이외에는 도 2에 도시한 제1 실시예에 의한 회선 교환 유저 에이전트 시스템과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러므로, 도 2와 동일 구성 요소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있다. 또한, 제3 실시예에 의한 회선 교환 유저 에이전트 시스템에서는, 제1 실시예에 의한 회선 교환 유저 에이전트 시스템과 발착신 규제 서비스 기동 수순이 상이한 것 이외에는 상기와 마찬가지의 처리를 행한다.
제3 실시예에서는, 발착신 규제 서비스 기동 수순에서, 확장 통신 장치(1)가 부가 서비스 AS(7)와의 사이에서 직접 통신을 행하기 때문에, 사용하는 프로토콜도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로 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의 발착신 규제 서비스 기동 수순을 나타내는 시퀀스차트이다.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 대표적인 회선 교환 서비스인 발착신 규제 서비스의 기동 수순에 대해서 설명한다.
유저의 단말기 조작에 의해, 이동 단말기(3)는 CS에서의 발착신 규제 서비스 기동을 나타내는 Register 신호(도 10의 d1)를 확장 통신 장치(1)에 송신한다. 확장 통신 장치(1)는, CS에서의 Register 신호를 수신하면, 신호 종별에 의해 부가 서비스인 것을 해석하고, 그 이동 단말기(3)가 IMS/MMD에서의 등록 처리를 완료한 경우에, 부가 서비스 AS(7)에 대해, CS에서의 Register 신호를 HTTP PUT 신호(도 10의 d2)에 조립하여(매립하여) 송신한다.
부가 서비스 AS(7)는 CS에서의 Register 신호가 조립된 HTTP PUT 신호(도 10의 d2)를 수신하면, CS에서의 Register 신호를 해석하고, 발착신 규제 서비스를 기동하고, HSS(6)에 Diameter PUR 신호(도 10의 d3)를 이용하여 프로파일 갱신 수순에 의해 서비스의 기동, 즉 서비스 상태의 변경을 통지한다.
HSS(6)에서의 처리가 완료되고, Diameter PUA 신호(도 10의 d4)에 의해 완료가 통지되면, 부가 서비스 AS(7)는 확장 통신 장치(1)에 대해, 부가 서비스의 기동 완료를 나타내는 CS 신호를 조립한 HTTP 200 OK 신호(도 10의 d5)를 송신한다.
확장 통신 장치(1)는, 부가 서비스의 기동 완료를 나타내는 CS 신호를 조립한 HTTP 200 OK 신호(도 10의 d5)를 수신하면, HTTP 200 OK 신호 내에 있는 CS 신호(Release Complete)(도 10의 d6)를 이동 단말기(3)에 대해 송신한다. 제3 실시예에서는, 이 수순에 의해 부가 서비스의 기동이 행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3 실시예에서는, 제1 실시예에서의 SIP와 마찬가지로, MIME에 의해 CS 신호를 조립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제3 실시예에서도,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효과가 얻어진다.
<제4 실시예>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의한 회선 교환 유저 에이전트 시스템은, 상기의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홈 네트워크(200) 내의 부가 서비스 AS(7)를 재권망(100) 내의 확장 통신 장치(1)에 직접 접속하도록 하고 있다. 제4 실시예에서는, 발착신 규제 서비스 기동 수순에서, 확장 통신 장치(1)가 부가 서비스 AS(7)와의 사이에서 직접 통신을 행하기 때문에, 사용하는 프로토콜을 XCAP(An Extensibe Markup Language(XML) Configuration Access Protocol)로 되어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서의 발착신 규제 서비스 기동 수순을 나타내는 시퀀스차트이다.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서, 대표적인 회선 교환 서비스인 발착신 규제 서비스의 기동 수순에 대해서 설명한다.
유저의 단말기 조작에 의해, 이동 단말기(3)는 CS에서의 발착신 규제 서비스 기동을 나타내는 Register 신호(도 11의 e1)를 확장 통신 장치(1)에 송신한다. 확장 통신 장치(1)는, CS에서의 Register 신호를 수신하면, 그 SS 신호를 번역하고(도 11의 e2), 그 이동 단말기(3)가 IMS/MMD에서의 등록 처리를 완료한 경우에, 부가 서비스 AS(7)에 대해, CS에서의 Register 신호를 HTTP PUT 신호(도 11의 e3)에 조립하여(매립하여) 송신한다. 여기서, SS 신호란, 예를 들면 CS 신호에 포함되는 부가 서비스용의 신호를 말한다.
부가 서비스 AS(7)는 CS에서의 Register 신호가 조립된 HTTP PUT 신호(도 11의 e3)를 수신하면, CS에서의 Register 신호를 해석하고, 발착신 규제 서비스를 기동하고, HSS(6)에 Diameter PUR 신호(도 11의 e4)를 이용하여 프로파일 갱신 수순에 의해 서비스의 기동, 즉 서비스 상태의 변경을 통지한다.
HSS(6)에서의 처리가 완료되고, Diameter PUA(Profile Update Answer) 신호(도 11의 e5)에 의해 완료가 통지되면, 부가 서비스 AS(7)는 확장 통신 장치(1)에 대해, 부가 서비스의 기동 완료를 나타내는 CS 신호를 조립한 HTTP 200 OK 신호(도 11의 e6)를 송신한다.
확장 통신 장치(1)는, 부가 서비스의 기동 완료를 나타내는 CS 신호를 조립한 HTTP 200 OK 신호(도 11의 e6)를 수신하면, HTTP 신호 내에 있는 CS 신호(Release Complete)(도 11의 e7)를 이동 단말기(3)에 대해 송신한다. 제4 실시예에서는, 이 수순에 의해 부가 서비스의 기동이 행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4 실시예에서는, 제1 실시예에서의 SIP와 마찬가지로, MIME에 의해 CS 신호를 조립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제4 실시예에서도,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효과가 얻어진다.
<제5 실시예>
본 발명은, MGCF(Media Gateway Control Function)를 수반한 MSC(Mobile service Switching Center)-Server(eMSC-Server)로 됨으로써, MSC-Server의 상호 작용을 정의한다고 하는 제안이다. 이 eMSC-Server는, 회선 교환망으로부터의 호 신호를 중앙 처리망에의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호 신호로 번역하여 전송하고, 또한 반대의 동작도 한다. 그리고, eMSC-Server는, 호 신호를 IMS에서의 TAS(Telephony Application Server)에 보낸다. 이것은 기존 UE에의 호환성 및 All-IP 네트워크로의 이행을 충분히 보장한다.
현재의 릴리스 7 VCC(Voice Call Continuity)는, VMSC(Visited Mobile Switch Center)가 VCC AS(Application Service)에 CAMEL(Customized Application for Mobile. network Enhanced Logic) 처리를 트리거로 하여, 우회시킴으로써 호 신호를 보내는 컨셉을 이용하고 있다. 마찬가지의 컨셉이, IMS에의 처리의 집약에서의 부가 서비스에도 사용된다(도 12 참조). VMSC의 CAMEL은 MO(Mobile Origination) 호신호와 MT(Mobile Termination) 호 신호와의 양방에서 이용된다. gsmSCF(GSM Service Control Function)(1211)는 홈 네트워크의 TAS(1212)로부터 IMRN(IP Multimedia Routing Number)을 요구하고, 또한 VMSC는 그 IMRN에 따라서 TAS(1212)에 호 신호를 송신한다. 그 후의 부가 서비스에서, 호는 TAS(1212)가 기점으로 되어 제어된다.
UE(1214)로부터의 부가 서비스의 요구는, Ut, v3과 같은 인터페이스를 경유하여 TAS(1212)에 직접 송신된다. 상기의 해결법은 중앙 제어망에의 영향이 없다고 하는 이점이 있는 한편, 단말기에의 영향이 있어, 기존 단말기에서는 서비스를 받을 수 없다.
IMS에서의 집중 처리에서의 부가 서비스를 실현하기 위한 또 하나의 해결법은, ISUP/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의 상호 접속을 위한 MGCF의 기능을 이용하여 MSC-Server를 확장하고(eMSC-Server라고 함), IMS에서 모든 호 신호를 제어한다. eMSC-Server는, 상당하는 CS access network에서의 발착신 신호에 관여한다. 단말기의 CS 발신 신호는, eMSC―Server에서 VoIP 호로 번역되고, 또한 부가 서비스 제어 신호는 IMS에 의해 처리된다. 착신 호 신호는 CS access network에 송신하기 때문에, MGW/eMSC-Server에 유도된다. 그 경우에서도, 착신 신호는 IMS 시스템에서 제어되고 있다. 이동 단말기가 PS(Packet Switch) 권내에만 있는 경우, eMSC-Server는 관여하지 않는다.
도 13은 로밍의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단말기가 호 신호를 발신한 경우, 단말기로부터의 CS 신호는 VeMSC-Server(Visited eMSC-Server)(1311)에서 SIP 신호로 변환되고, 재권망의 P-CSCF(Proxy CSCF)(1312)에 송신된다(P-CSCF(1312)는 VeMSC(1311)에 포함되어 동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SIP 신호는 S-CSCF(1314)에서의 iFCs(inter Filter Criteria)의 설정에 의해 TAS(1315)에 보내어진다. 호 신호는 TAS(1315)가 기점으로 되어 제어된다. 그 후, TAS(1315)는 부가 서비스 제어를 담당한다. 기존의 방법에서는, 부가 서비스 요구가 단말기로부터 A/Iu 인터페이스를 경유하여 MSC에 송신된다. VeMSC-Server(1311)는 부가 서비스 요구를 SIP 신호에 조립하거나, 번역하고, TAS(1315)에 송신한다. TAS(1315)는 부가 서비스 요구를 받고, 그 요구에 따라서 실행한다. 이 해결법의 이점은, VCC와 같은 해결법과 비교하여, 기존 단말기가 서포트되고, CAMEL이 요구되지 않는 것이다. 따라서, All-IP화로의 이행 시에, MSC-Server에의 작은 영향만으로, 기존 단말기에의 영향이 없다.
이에 추가하여, 유저의 IP 네트워크에서의 존재 장소는 재권망의 MGW에 있으므로, 어떤 IMS 시스템에서의 상대에의 음성 통신도 홈 네트워크를 가로지르지 않고 직접 송신된다. 이 망 구성은, IMS에서의 호 제어 방법이 보다 보급되었을 때에, 네트워크 자원의 삭감이라고 하는 관점에서, 단말기에서 보아, 홈 네트워크의 운영자와 재권망의 운영자와의 양방에의 다수의 이점이 예상된다. 이에 대하여, VCC에서의 해결법의 경우, 항상 모든 음성 통신에는 재권망 및 홈 네트워크 각각의 통신로가 요구된다.
eMSC-Server의 상세한 아키텍처의 일례를 도 14에 나타낸다. eMSC-Server(1411)는, 통상의 MSC-Server, VLR 및 User Agent(이하, UA라고 함)를 수반한 MGCF 기능으로 이루어진다. 최소한의 VLR 및 HLR에의 영향으로서, MAP 프로토콜에서 지표의 추가가 필요하다. HLR은 단말기가 홈 네트워크에 의해 IMS에서의 집중 제어 처리에 의해 취급되는 것을 나타낼 필요가 있으며, VLR은 그것을 나타내는 플래그를 해석할 필요가 있다. MGW(1412)는 IMS에서의 착신측과 마찬가지로, CS 접속의 착신측으로 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 요구된다. Mc 및 Mn 인터페이스는 새로운 하나의 인터페이스에 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5는 eMSC-Server를 서포트하고, 현존하고 있는 CS network로부터 AIPN(All IP Network)으로의 이행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운용자는, IMS 시스템의 용량에 따라서 IMS에서의 집중 처리를 허용하는 고객의 프로파일을 조정함으로써, CS망으로부터 IMS(IP망)에의 스무즈한 이행을 실현할 수 있다.
이 출원은, 2006년 12월 22일에 출원된 일본 출원 특원 제2006-346031호를 기초로 하는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개시된 모든 것을 여기에 인용한다.

Claims (10)

  1. 이동 단말기를 IMS(IP Multimedia subsystem)에 등록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이동 단말기는, 통신 장치에 Location Update Request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통신 장치는, HLR/HSS(Home Location Register/Home Subscriber Server)로부터 Subscriber Data를 취득하며,
    상기 통신 장치는, 상기 Subscriber Data에 플래그가 존재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이동 단말기를 IMS(IP Multimedia subsystem)에 등록할지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통신 장치가 S-CSCF(Serving-Call Server Control Function)로 제1 Register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S-CSCF가 부가 서비스 AS(Application Server)에 제2 Register 신호를 송신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를 상기 IMS에 등록하는, 이동 단말기를 IMS에 등록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는 Mobile Switching Center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를 IMS에 등록하는 방법.
  3. 이동 단말기와, 통신 장치와, HLR/HSS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통신 장치에 Location Update Request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통신 장치가 상기 HLR/HSS로부터 Subscriber Data를 취득하며,
    상기 통신 장치는, 상기 Subscriber Data에 플래그가 존재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이동 단말기를 IMS에 등록할지 여부를 판정하고,
    S-CSCF와, 부가 서비스 AS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신 장치가 상기 S-CSCF에 제1 Register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S-CSCF가 상기 부가 서비스 AS에 제2 Register 신호를 송신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를 상기 IMS에 등록하는, 통신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는 Mobile Switching Center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17023859A 2006-12-22 2007-12-11 회선 교환 유저 에이전트 시스템, 통신 장치 및 그들에 이용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2969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346031 2006-12-22
JP2006346031A JP4946422B2 (ja) 2006-12-22 2006-12-22 通信システム、通信装置、サービス処理装置及びそれらに用いる通信方法
PCT/JP2007/074187 WO2008078583A1 (ja) 2006-12-22 2007-12-11 回線交換ユーザエージェントシステム、通信装置及びそれらに用いるサービス提供方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5344A Division KR20090098895A (ko) 2006-12-22 2007-12-11 회선 교환 유저 에이전트 시스템, 통신 장치 및 그들에 이용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2766A KR20110122766A (ko) 2011-11-10
KR101296955B1 true KR101296955B1 (ko) 2013-08-14

Family

ID=39562376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5344A KR20090098895A (ko) 2006-12-22 2007-12-11 회선 교환 유저 에이전트 시스템, 통신 장치 및 그들에 이용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117023858A KR101297033B1 (ko) 2006-12-22 2007-12-11 회선 교환 유저 에이전트 시스템, 통신 장치 및 그들에 이용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137007638A KR20130042647A (ko) 2006-12-22 2007-12-11 회선 교환 유저 에이전트 시스템, 통신 장치 및 그들에 이용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117023859A KR101296955B1 (ko) 2006-12-22 2007-12-11 회선 교환 유저 에이전트 시스템, 통신 장치 및 그들에 이용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5344A KR20090098895A (ko) 2006-12-22 2007-12-11 회선 교환 유저 에이전트 시스템, 통신 장치 및 그들에 이용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117023858A KR101297033B1 (ko) 2006-12-22 2007-12-11 회선 교환 유저 에이전트 시스템, 통신 장치 및 그들에 이용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137007638A KR20130042647A (ko) 2006-12-22 2007-12-11 회선 교환 유저 에이전트 시스템, 통신 장치 및 그들에 이용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3) US20100103888A1 (ko)
EP (2) EP2615794A3 (ko)
JP (1) JP4946422B2 (ko)
KR (4) KR20090098895A (ko)
CN (3) CN103327001A (ko)
CA (1) CA2672912A1 (ko)
RU (1) RU2447597C2 (ko)
WO (1) WO200807858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46422B2 (ja) * 2006-12-22 2012-06-06 日本電気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通信装置、サービス処理装置及びそれらに用いる通信方法
US9094411B2 (en) * 2008-04-16 2015-07-28 Alcatel Lucent Mechanism to resume filter criteria at a specific point
EP2302887A4 (en) 2008-07-16 2013-01-16 Nec Corp GATEWAY DEVICE, PROCESS AND PROGRAM
US8731519B2 (en) * 2008-09-08 2014-05-20 At&T Mobility Ii Llc Mobile handset extension to a device
ES2644212T3 (es) 2008-12-26 2017-11-28 Nec Corporation Sistema de comunicación, estación de base de Femtocelda, dispositivo de verificación, método de comunicación y medio de grabación
CN101924751B (zh) 2009-05-22 2013-11-0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单模业务连续性实现方法及单模业务连续性系统
CN101697639B (zh) * 2009-09-16 2012-01-1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完整旁路被叫智能的方法及系统
US8665864B1 (en) * 2010-08-30 2014-03-04 Sprint Spectrum L.P. Method and system for call setup with databaseless address translation
WO2012030067A2 (ko) * 2010-09-03 2012-03-08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부가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통신 시스템, 패킷 네트워크, 부가서비스 제어기 및 방법
CN102572788B (zh) * 2010-12-30 2014-10-08 中国移动通信集团公司 Ics系统、基于ics系统的通信方法及通信装置
JP5896520B2 (ja) * 2012-01-26 2016-03-30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アプリケーションサーバおよび発信地域導出方法
CN103747430B (zh) * 2013-12-31 2018-10-19 华为技术有限公司 呼叫控制设备和处理用户业务的方法
CN104572443A (zh) * 2014-12-09 2015-04-29 微梦创科网络科技(中国)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测试方法及装置
FR3074397B1 (fr) * 2017-11-30 2019-11-29 Orange Procede de traitement d'un appel entrant dans un reseau de telecommunications et serveur tas le mettant en oeuvre
US20220232608A1 (en) * 2019-03-28 2022-07-21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performing uplink transmission using preconfigured resour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therefo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10012779A1 (en) * 1998-09-30 2001-08-09 Robert Bengt Skog Method and system for manipulating subscriber data
US20020128008A1 (en) * 2001-03-12 2002-09-12 Son Phan-Anh Recovery techniques in mobile networks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10471B2 (ja) * 1998-07-17 2007-11-21 株式会社日立コミュニケーションテクノロジー ローミング移動体端末への付加サービス提供方法
US7623447B1 (en) * 2000-04-10 2009-11-24 Nokia Corporation Telephony services in mobile IP networks
WO2002052825A1 (en) * 2000-12-22 2002-07-04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establishing a multimedia connection by negotiating capability in an outband control channel
US6871070B2 (en) * 2001-07-31 2005-03-22 Lucent Technologies Inc. Communication system for providing roaming between an internet protocol multimedia system and a circuit-switched domain
WO2004019640A1 (de) * 2002-08-16 2004-03-04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identifizieren eines kommunikationsendgeräts
JP2004260727A (ja) * 2003-02-27 2004-09-16 Nec Commun Syst Ltd ゲートウェイサーバ間通信方法とシステム
GB0314252D0 (en) * 2003-06-19 2003-07-23 Ericsson Telefon Ab L M Conversational bearer negotiation
CN1571440A (zh) * 2003-07-25 2005-01-2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跨越私网实现多媒体呼叫的系统和方法
EP2642723B1 (en) * 2003-08-26 2017-07-2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pparatus and method for authenticating a user when accessing to multimedia services
WO2005027460A1 (en) * 2003-09-12 2005-03-2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Combinational multimedia services
WO2005027417A1 (fr) * 2003-09-18 2005-03-24 Utstarcom (China) Co. Ltd. Procede de soutien d'acces radio a une session multimedia ip dans un reseau umts
US7561586B2 (en) * 2003-09-19 2009-07-14 Nortel Networks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network VPN services on demand
US9036620B2 (en) * 2004-10-06 2015-05-19 Telecom Italia S.P.A. Method, and related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for providing combinational network services
WO2006112081A1 (ja) * 2005-03-30 2006-10-26 Nec Corporation パケット転送システムおよび方法、システムを構成する装置ならびにプログラムと記録媒体
JP2006346031A (ja) 2005-06-14 2006-12-28 Takano Co Ltd 椅子用クッション及びその製造方法
JP4654834B2 (ja) * 2005-08-24 2011-03-23 日本電気株式会社 移動通信システム、交換局サーバ、移動端末装置及びそれらに用いるハンドオーバ方法
ATE431034T1 (de) * 2005-10-04 2009-05-15 Ericsson Telefon Ab L M Technik zum verbinden von leitungsvermittelten und paketvermittelten domänen
ATE484912T1 (de) * 2005-10-21 2010-10-15 Ericsson Telefon Ab L M Bereitstellung von ims-diensten über leitervermittelten zugang
CN100440997C (zh) * 2005-10-22 2008-12-0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将传统移动终端接入多媒体域的系统和方法
US8532091B2 (en) * 2006-01-19 2013-09-10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MS services to circuit-switched controlled terminals
CN100596084C (zh) * 2006-04-20 2010-03-24 华为技术有限公司 移动电路域用户接入ims网络的系统及其接入的注册方法
ES2349144T3 (es) * 2006-12-21 2010-12-2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uperposición controlada por scp entre gsm e ims.
JP4946422B2 (ja) * 2006-12-22 2012-06-06 日本電気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通信装置、サービス処理装置及びそれらに用いる通信方法
EP2127422A1 (en) * 2007-02-16 2009-12-0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Controlling supplementary subscriber services in overlayed ims-based telecommunications networks
US8489682B2 (en) * 2007-02-16 2013-07-16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Supplementary services in communication networks
ATE537654T1 (de) * 2007-06-26 2011-12-15 Ericsson Telefon Ab L M Verfahren und vorrichtungen zur beeinflussung des aufrufs eines durch einen anwendungsserver einem benutzergerät bereitgestellten dienst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10012779A1 (en) * 1998-09-30 2001-08-09 Robert Bengt Skog Method and system for manipulating subscriber data
US20020128008A1 (en) * 2001-03-12 2002-09-12 Son Phan-Anh Recovery techniques in mobile network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946422B2 (ja) 2012-06-06
CA2672912A1 (en) 2008-07-03
US20120302237A1 (en) 2012-11-29
KR20130042647A (ko) 2013-04-26
RU2447597C2 (ru) 2012-04-10
RU2009128190A (ru) 2011-01-27
JP2008160400A (ja) 2008-07-10
EP2096810A1 (en) 2009-09-02
EP2615794A3 (en) 2013-12-25
KR20110122224A (ko) 2011-11-09
WO2008078583A1 (ja) 2008-07-03
KR20110122766A (ko) 2011-11-10
KR101297033B1 (ko) 2013-08-14
CN103152342A (zh) 2013-06-12
EP2096810A4 (en) 2013-12-25
US20120302238A1 (en) 2012-11-29
KR20090098895A (ko) 2009-09-17
CN101589633A (zh) 2009-11-25
CN103327001A (zh) 2013-09-25
EP2615794A2 (en) 2013-07-17
US20100103888A1 (en) 2010-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6955B1 (ko) 회선 교환 유저 에이전트 시스템, 통신 장치 및 그들에 이용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JP4988855B2 (ja) 非登録加入者のための、gsmとimsとの間のオーバレイ
US8582566B2 (en) Method and system of forwarding capability information of user equipment in internet protocol multimedia subsystem network
JP4778068B2 (ja) Imsに登録されたユーザのための呼処理
EP1770949A2 (en) Method and communication system for circuit switch users accessing IP multimedia subsystem
EP2208337B1 (en) Dynamic initiation of i1-ps signaling in ims centralized services
KR20070015843A (ko) CSI 단말과 VoIP 단말 사이의 음성 및 멀티미디어서비스 연동을 위한 방법 및 장치
US9055397B2 (en) Method for usage of VPLMN infrastructure by an HPLMN to terminate an IMS session set up for a roaming user
US20080240084A1 (en) Communication system, subscriber management server and communication system control method
CN100493214C (zh) 实现呼叫失败前转的方法及装置
JP5304873B2 (ja) 通信方法及びそれを用いる通信システム並びに通信装置
EP2040508A1 (en) Method, apparatuses and program product for controlling IMS services when user is roaming in CS domain
CN102045298B (zh) 一种ims媒体编解码器协商的方法和系统
JP5304874B2 (ja) 通信方法及びそれを用いる通信システム並びに通信装置
WO200907112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rrelating signalling in a communications network
CN102158496B (zh) 针对ims注册用户的呼叫处理
CN102014104B (zh) 在ip多媒体子系统中实现脉冲计费业务的方法及系统
JP5165075B2 (ja) Imsに登録されたユーザのための呼処理
Campacci et al. VCC service: Standardization of integration between CS domain and I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