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6451B1 - 변좌 시트 - Google Patents

변좌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6451B1
KR101296451B1 KR1020127009855A KR20127009855A KR101296451B1 KR 101296451 B1 KR101296451 B1 KR 101296451B1 KR 1020127009855 A KR1020127009855 A KR 1020127009855A KR 20127009855 A KR20127009855 A KR 20127009855A KR 101296451 B1 KR101296451 B1 KR 1012964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seat
folded
sheet
folding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98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30319A (ko
Inventor
아끼요시 노나까
Original Assignee
아끼요시 노나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끼요시 노나까 filed Critical 아끼요시 노나까
Publication of KR201201303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03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64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64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14Protecting covers for closet seats
    • A47K13/16Protecting covers for closet seats of single sheets of paper or plastic foil or fil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oilet Supplies (AREA)
  • Non-Flushing Toil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콤팩트하게 절첩하여 형성함으로써 휴대가 가능해지고, 어느 장소에 설치되어 있는 양식 변기의 변좌에 대해서도, 간단하고 또한 정확하게 세트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져, 사용자의 피부가 변좌면에 접촉되는 일 없이 안전하고,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휴대용 변좌 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중앙부에 배변 구멍이 되는 투공 혹은 투공 형성부를 형성한 직사각형의 시트 본체를, 폭 방향에 있어서의 중심선을 사이에 두는 양측에, 그 폭을 이등분하는 위치에 형성한 종방향의 절첩선의 양쪽의 외측 부분을 중심선 방향으로 둘로 접어 세로로 긴 시트를 형성하고, 세로로 긴 시트는 길이 방향을 따르는 중간 부분에서 둘로 접고, 이 둘로 접은 시트의 중간 부분을 다시 반대 방향으로 둘로 접어 전체를 겹치고, 겹쳐진 부분의 상하 양단부를, 폭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가 정점으로 되는 삼각형으로 되도록 절첩함으로써 취출용 손잡이로서 구성한다.

Description

변좌 시트 {TOILET SEAT}
본 발명은, 양식 변기의 변좌면(便座面)에 장착하여(얹어) 사용하는 변좌 시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를 가능하게 하도록 절첩 가능하게 구성한 변좌 시트에 관한 것이다.
공공 화장실에서 양식 변기를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의 피부가 직접 접촉하는 변좌면이 청결하고, 위생적으로 유지되어 있는 것이 가장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공공용 화장실에 설치되어 있는 양식 변기는, 변좌면을 청결하고, 위생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특별한 대책이 실시된 것은 극히 드물어, 사용자는 자신의 피부가 변좌면에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티슈 페이퍼, 혹은 원하는 길이로 절취한 화장지 등을 변좌면에 얹어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해결 수단에서는, 절취한 화장지의 사이즈가 변좌면에 대응할 수 있는 규격으로 되어 있지 않으므로, 변좌면에 안정적으로 얹는 것이 곤란하여, 화장실 사용시에, 화장지가 변좌 상에서 이동하는 등 불안을 느끼면서 용변을 행하는 경우가 많아지는 문제를 안고 있고, 또한 이러한 사용 방법의 경우, 사용자의 피부가 변좌면에 접촉하는 불안을 해소하기 위해, 필요 이상으로 길게 화장지를 절취해 버려 극히 경제적이지 않은 것으로 되는 문제도 지적된다.
특히 최근의 변좌는, 변좌면 전체가 비교적 편평한 종래 구조의 것과 달리, 사용자의 체형(특히 착좌하였을 때의 둔부의 형상)과 동화시켜, 착좌감을 양호하게 할 목적으로, 변좌면이 외측 주연부로부터 내측 주연부(배변 구멍측)를 향해 완만하게 하향 경사시킨 구조를 채용하고 있는 것이 많아지고 있으므로, 티슈 페이퍼나 화장지를 변좌면에 세트하면, 세트된 시트 그 밖의 종이류가 변좌면의 경사를 따라 외측 주연부로부터 내측 주연부(배변 구멍측)를 향해 이동하여 배변 구멍 내로 미끄러져 낙하하는 힘이 작용하기 쉬워, 안정된 세트를 유지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도 안고 있다.
이들을 해결하는 것으로서, 변좌면 전체를 덮는 크기로 한 직사각형의 시트, 혹은 변좌면 전체를 덮는 형상으로 한 타원형과 유사한 시트의 중앙에(변좌의 배변 구멍에 대응하는 위치에) 원형 또는 타원형의 투공(透孔)을 형성하거나, 혹은 투공을 형성하기 위한 절제부(절취부)를 형성한 변좌 시트가 제안되어 있다(도 12 참조).
이러한 공지의 변좌 시트는, 시트를 길이 방향으로 둘로 접었을 뿐인 것을, 포장용 주머니에 복수매 수납할 뿐이라고 하는 간단한 것이 일반적이고, 오로지 화장실 내에 상비하여 사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변좌 시트라고 이해되고, 휴대용으로 이용하는 데에는 사이즈가 지나치게 커 적당하지 않았다.
이에 대해, 휴대를 가능하게 하는 변좌 시트로서는, 상기 구조를 갖는 직사각형의 시트를 작게 절첩한 복수매의 시트를 케이스에 수용하도록 구성한 1회용 변좌 시트가 제안되어 있지만(일본 실용신안 출원 공개 평8-7호 공보), 이 경우도, 제안된 변좌 시트는 시트의 절첩 구조, 특히 케이스로부터 취출하기 위한 구조나, 취출한 시트를 전개하기 위한 구조에 각별한 배려가 이루어져 있지 않으므로, 케이스에 수용된 변좌 시트를 케이스로부터 취출하여 전개하는 조작에 수고를 필요로 하여, 신속한 사용을 행할 수 없다고 하는 불편한 것인 것이 지적된다.
또한 변좌면 전체 둘레가, 외측 주연부로부터 내측 주연부를 향해 하향 경사시킨 신형의 변좌면에 종래의 변좌 시트를 세트하면, 시트 전체가 경사면을 따라 내측 주연부 방향으로 이동하여 배변 구멍 부분으로 미끄러져 낙하하는 힘이 발생하기 쉬워지거나, 혹은 세트된 변좌 시트 전체면에 외측 주연부로부터 내측 주연부를 향해 주름이 생기게 하는 힘이 작용하므로, 시트면에 다수의 작은 주름이 형성되기 쉬워, 사용자에게 위화감을 줄 우려가 있는 것도 지적된다.
이러한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변좌 시트가 휴대에 적합한 크기로 절첩된 구조로 되어 있는 것, 사용시에는, 절첩된 변좌 시트를 티슈 페이퍼와 마찬가지로 포장용 주머니로부터 신속히 취출할 수 있는 것, 취출한 변좌 시트는 한 손으로 간단히 전개할 수 있는 것인 것, 나아가서는 변좌면에 대해 위생적이고 또한 안정적으로 세트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 등의 요망을 충족시키는 변좌 시트의 개발이 요망되지만, 현재 시점에서 그러한 편리한 변좌 시트는 제안되어 있지 않다.
일본 실용신안 출원 공개 평8-7호 공보
본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는, 포장용 주머니에 다수의 변좌 시트를 수용한 휴대용 변좌 시트에 있어서, 상기 변좌 시트를 휴대용 케이스(포장용 주머니)로부터 간단히 취출할 수 없는 점이나, 취출한 변좌 시트를 신속하게 전개할 수 없는 점, 혹은 변좌면에 대한 변좌 시트의 장착 수단이나 장착 효과의 불완전한 점 등 구조상의 각종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이다.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청구항 1의 발명은, 포장용 주머니에 취출 가능하게 복수매 수납하기 위한 변좌 시트이며, 변좌면을 덮을 수 있는 크기로, 중앙부에 배변 구멍이 되는 투공 혹은 투공 형성부를 형성한 직사각형의 시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시트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에 형성한 중심선을 사이에 두는 양측부에, 상기 중심선과 좌우의 변 테두리를 대략 이등분하는 위치에 종방향의 절첩선을 각각 형성하고, 상기 종방향의 절첩선 부분에서 상기 양측부를 각각 내측을 향해 둘로 접음으로써 세로로 긴 직사각형으로서 구성한 후, 이 세로로 긴 직사각형을 상하로 대략 이등분하는 위치에 형성한 횡방향의 제1 절첩선 부분에 의해 구획되는 하반부를, 상반부의 상면에 둘로 접어 겹치고, 이어서, 이 둘로 접어 겹침에 의해 형성된 직사각형을 이등분하는 위치에 형성한 횡방향의 제2 절첩선 부분에 의해 구획되는 하반부를, 상반부의 배면에 위치하도록 둘로 접어 겹친 후, 세로로 긴 직사각형을 이룰 때에 상하의 변 테두리였던 양단부의 소정 길이 부분을, 폭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 부분이 삼각형의 정점으로 되도록 경사 방향의 절첩선을 따라 절첩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청구항 2의 발명은, 포장용 주머니에 취출 가능하게 복수매 수납하기 위한 변좌 시트이며, 변좌면을 덮을 수 있는 크기로, 중앙부에 배변 구멍이 되는 투공 혹은 투공 형성부를 형성한 직사각형의 시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시트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에 형성한 중심선을 사이에 두는 양측부에, 상기 중심선과 좌우의 변 테두리를 대략 이등분하는 위치에 종방향의 절첩선을 각각 형성하고, 상기 종방향의 절첩선 부분에서 상기 양측부를 각각 내측을 향해 둘로 접음으로써 세로로 긴 직사각형으로서 구성한 후, 이 세로로 긴 직사각형을 상하로 대략 이등분하는 위치에 설치한 횡방향의 제1 절첩선 부분에 의해 구획되는 하반부를, 상반부의 상면에 둘로 접어 겹치고, 이어서, 이 둘로 접어 겹침에 의해 형성된 직사각형을 이등분하는 위치에 형성한 횡방향의 제2 절첩선 부분에 의해 구획되는 하반부를, 상반부의 배면에 위치하도록 둘로 접어 겹친 후, 세로로 긴 직사각형을 이룰 때에 하방의 변 테두리였던 단부의 소정 길이 부분을, 폭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 부분이 삼각형의 정점으로 되도록 경사 방향의 절첩선을 따라 절첩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직사각형의 변좌 시트 전체를, 폭 방향 및 길이 방향으로 순차 절첩한 구조로 하였으므로, 극히 콤팩트하게 구성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포켓 티슈 등과 마찬가지로, 복수매의 변좌 시트를, 한쪽면에 취출구로 되는 개구부를 형성한 포장용 주머니에 수용함으로써 핸드백이나 의복의 포켓에 간단히 수용하여 휴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시에는, 전개시킨 변좌 시트를 변좌면에 얹는다고 하는 극히 간단한 조작만으로 목적을 달성할 수 있어, 각별한 기술을 필요로 하는 일 없이 정확하고, 게다가 위생적으로 변좌면을 유지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최종적으로 절첩된 변좌 시트가, 길이 방향을 따라, 교대로 다른 방향으로 둘로 접음을 행함으로써 4개로 접힌 겹침 부분의 표면측의 층 또는 표면측의 층과 이것에 겹쳐지는 2층째의 층에, 삼각 형상을 이루는 취출용 손잡이를 형성하였으므로, 포장용 주머니로부터 취출할 때에는, 포장용 주머니의 취출구로부터, 취출용 손잡이 부분을 잡고 당기는 것만으로 1매씩 간단하고 또한 정확하게 취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삼각형의 손잡이를 잡고 취출된 변좌 시트는, 이 손잡이 부분을 잡고 상하 방향으로 작게 흔드는 것만으로, 시트 본체를 세로로 긴 직사각형으로서 간단하고 또한 정확하게 전개시킬 수 있는 우수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변좌 시트는, 시트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양쪽의 외측 변 테두리가, 시트의 중심선 위치에 있어서, 서로 마주보도록 접근시켜 둘로 접어, 전체가 세로로 긴 직사각형으로 되도록 형성한 후, 이 세로로 긴 직사각형 시트를, 길이 방향을 따르는 중간부 혹은 중간부 부근에서 둘로 접은 후, 다시 이것을 길이 방향을 따르는 중간부에서 상기한 것과 반대 방향으로 한번 더 둘로 접어 전체가 4층으로 되도록 절첩하여 겹치는 동시에, 절첩하여 겹쳐진 시트의 가장 표면측으로 되는 층과 이것에 접하는 다음 층의 단부, 혹은 가장 표면측으로 되는 층의 단부를(세로로 긴 직사각형의 상하 양단부 중, 겹쳤을 때에 가장 표면측으로 되는 층을), 절첩된 후의 시트 폭의 중앙 부분이 정점으로 되는 삼각 형상으로 절첩하여 취출용 손잡이로 하였으므로, 사용을 위해 전개된 변좌 시트는, 시트를 세로로 긴 직사각형으로 형성하기 위한 종방향의 절첩선 부분이 밖으로 나오게 접히고, 중심선 부분이 안으로 들어가게 접힌 상태를 나타내면서 변좌면에 세트된다(도 10 참조).
변좌면에 세트되어, 전개가 개시된 변좌 시트는, 가장 높은 위치에 있는 종방향의 절첩선 부분 및 안으로 들어가게 접힌 중심선 부분에, 미량이지만 절첩력에 저항하여 좌우로 펴지게 하는 힘(밖으로 나오게 접히는 종방향의 절첩선과 안으로 들어가게 접히는 중심선의 양측을 각각 좌우로 펴지게 할 수 있는 힘)이 발생하므로, 전체를 편평한 시트로 되도록 신속하게 전개하여, 변좌면에 대한 접촉이 원활하게 행해지게 된다.
또한, 시트의 전개에 각별한 기술을 필요로 하는 일 없이 변좌면에 대한 접촉을 정확하게 행할 수 있어, 어긋남이 적은 우수한 장착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특히, 최근의 신형 변기와 같이, 변좌면이 외측 주연부로부터 내측 주연부측(투공측)을 향해 완만하게 하향 경사시켜진 것에 적용하는 경우라도, 변좌 시트에 종방향으로 형성된 좌우 2개의 종방향의 절첩선의 양쪽의 외측 부분이, 변좌 표면에 형성된 하향의 경사면을 거스르는 외측 방향(경사의 상측 방향)을 향하는 힘을 발휘하면서 전개되므로, 종래품과 같이 세트된 변좌 시트가 변좌면의 하향 경사를 따라, 변기의 내측 주연부(투공) 방향으로 이동하거나, 투공 내로 미끄러져 낙하된다고 하는 경우도 적어, 변좌면에 안정적으로 세트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변좌 시트 자체를 극히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으므로, 경제성이 우수하고, 또한 포켓 티슈와 마찬가지로, 선전용 아이템으로서도 이용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길이 방향으로 두 번의 둘로 접음을 반복하여 4층으로 절첩된 중첩 부분의 표면측으로 되는 층의 단부에 삼각형의 취출용 손잡이를 형성하였으므로, 포장용 주머니의 취출구를 이 위치에 합치시키면 당해 부분에서 시트의 손잡이를 당기는 것만으로 간단하게 취출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예의 변좌 시트의 전개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변좌 시트를, 종방향의 절첩선을 따라 절첩한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변좌 시트를, 횡방향의 제1 절첩선을 따라 둘로 접은 절첩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변좌 시트를 횡방향의 제2 절첩선을 따라 다시 둘로 접은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상하를 반전시킨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있어서, 가장 표면측의 층만을 경사 방향의 절첩선을 따라 삼각 형상으로 절첩하여 형성한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5에 있어서 가장 표면측의 층 및 이것에 접하는 하측의 층을 동시에 삼각 형상으로 둘로 접은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8은 제1 실시예의 변좌 시트와, 그 포장용 주머니를 분리하여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9는 제1 실시예의 변좌 시트를 포장용 주머니에 수납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제1 실시예의 변좌 시트의 전개 과정을 도시하는 전개 사시도이다.
도 11은 제2 실시예의 변좌 시트를 도시하는 전개 평면도이다.
도 12는 종래의 변좌 시트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도 1 내지 도 10까지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기호 A로 나타내는 변좌 시트는, 변좌면을 덮을 수 있는 크기의 적절한 강도를 갖는 얇은 종이를 사용하여 직사각형으로 형성한 시트 본체(1)의 중앙부에, 배변 구멍이 되는 투공 형성부(2)를 형성한 것을 폭 방향 및 길이 방향으로 절첩하는 동시에 길이 방향으로 절첩된 상단부에 취출용 손잡이(3)를 구성하고 있다.
배변 구멍이 되는 투공 형성부(2)를 형성하는 위치는, 변좌의 배변 구멍에 대응하는 위치이며, 구체적으로는 시트 본체(1)에 종방향으로 형성한 절첩선(11, 11)과, 횡방향으로 형성한 제2 절첩선(12b, 12b)으로 둘러싸이는 내측에, 일부가 연속되지 않는 원형 또는 타원형을 이루도록 형성하는 것이다(도 1 참조).
또한 제1 실시예에 있어서, 투공 형성부(2)는, 사용시에, 절취 파열홈(21) 혹은 절취선(도시하지 않음)으로 둘러싸이는 부분을 절취하여 배변용 투공을 형성하는 구조를 예시하였지만, 예시한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절취 파열홈(21) 혹은 절취선(도시하지 않음)으로 둘러싸이는 내측 부분을 절취하여, 미리 배변용 투공을 형성해 두는 것도 자유이다.
종방향의 절첩선(11, 11)은, 시트 본체(1)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에 형성한 중심선(12)과 중심선(12)의 좌우 양쪽의 외측 변 테두리의 중간 부분에, 상기 중심선과 좌우의 변 테두리를 대략 이등분하는 위치에, 각각 세로로 길게 형성하는 것이며, 종방향의 절첩선(11, 11)에 의해 구획되는 외측 부분(11a, 11a)을, 상기 절첩선(11, 11)을 기준으로 하여 내측으로 둘로 접음으로써, 외측 부분(11a, 11a)의 양쪽의 외측 변 테두리부가 시트 본체(1)의 중심선(12) 부분에서 서로 접근한 세로로 긴 직사각형을 형성한다(도 2 참조).
부호 13a는, 종방향의 절첩선(11, 11)을 기준으로 하여 세로로 긴 직사각형으로 절첩하여 형성된 시트 본체(1)를 길이 방향으로 둘로 접기 위해, 길이 방향을 따르는 중앙부 부근에 상기 세로로 긴 직사각형을 상하로 대략 이등분하는 위치에 횡방향으로 형성한 제1 절첩선이며, 횡방향의 제1 절첩선(13a)에 의해 상하로 구획되는 상하 부분 중 일측의 길이가 타측의 길이보다 약간 길어지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도 1에 있어서는 횡방향의 제1 절첩선(13a)에 의해 구획되는 하반부의 길이가, 상반부의 길이보다도 약간 길어지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음].
제1 실시예에 있어서는, 횡방향의 제1 절첩선(13a)에 의해 구획되는 상하 양측 부분의 길이에 차를 마련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횡방향의 제1 절첩선(13a)에 의해 구획되는 상하 양측의 길이를 동일한 길이(이등분)로 하는 것도 지장 없다. 단, 제1 실시예와 같이, 횡방향의 제1 절첩선(13a)을 사이에 두는 상하 부분에 길이의 차를 마련하는 경우에는, 하반부를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보다 약간 길게, 구체적으로는 절첩된 변좌 시트의 상단부를 손끝으로 잡을 수 있을 정도의 치수만큼 길게 형성하는 것이 좋다. 이 경우, 길이 방향을 따라 4개로 접힌 변좌 시트의 가장 표면측에 위치하는 층의 길이를 길게 하는 것이 변좌 시트를 전개 조작하는 경우에 효과적이고, 가장 표면측에 위치하는 층에 접하는 하측의 층을 길게 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횡방향의 제2 절첩선(13b, 13b)은, 제1 절첩선(13a)의 하반부가 상반부의 상면에 겹쳐지도록 길이 방향을 따라 둘로 접힌 직사각형의 시트 본체(1)의 전체 길이를 이등분하여 다시 둘로 접기 위한 절첩선이며, 도 3에 예시한 상태로 둘로 접힌 시트 본체(1)의 하반부를 상반부의 배면에 절첩하여 겹치기 위한 기준선으로 되는 것이다(도 4, 도 5 참조).
부호 3a, 3a 및 3b, 3b는, 4개로 접힌 시트 본체(1)의 단부에, 취출용 손잡이(3)를 형성하기 위한 경사 방향의 절첩선이며, 종방향의 절첩선(11, 11)의 상단부 부근에 제1 경사 절첩선(3a, 3a)이 형성되고, 종방향의 절첩선(11, 11)의 하단부 부근에 제2 경사 방향의 절첩선(3b, 3b)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들 경사 방향의 절첩선(3a, 3a, 3b, 3b)은, 횡방향의 제2 절첩선(13b)에 근접하는 부분을 정점으로 하도록 각각 비스듬히 형성되어 있다(도 1 참조).
또한 상기 취출용 손잡이(3)를 형성하는 제1 경사 방향의 절첩선(3a, 3a) 및 제2 경사 방향의 절첩선(3b, 3b)은, 도 1 내지 도 5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시트 본체(1)의 길이 방향을 따르는 중앙부에 형성한 횡방향의 제1 절첩선(13a) 부분에서 둘로 접어 겹쳐졌을 때에 동일한 위치에서 겹쳐지는 위치가 선택되어 있다.
또한, 제1 경사 방향의 절첩선(3a, 3a) 및 제2 경사 방향의 절첩선(3b, 3b)을 따라 각각 삼각형으로 절첩된 취출용 손잡이(3, 3)는, 시트 본체(1)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중심선(12) 부분의 상하 양단부가, 삼각형의 정점으로 되도록 절첩된다(도 6, 도 7 참조).
또한, 제1 실시예에 있어서, 시트 본체(1)의 상단부에 형성된 제1 경사 방향의 절첩선(3a, 3a)과, 하단부에 형성된 제2 경사 방향의 절첩선(3b, 3b)이 형성되는 위치는 약간 절첩 기준으로 되는 위치가 어긋나 있지만[도 1, 도 2에 있어서 상단부에 형성되는 제1 경사 방향의 절첩선(3a, 3a)의 상단부는 시트 본체(1)의 중앙선(12)의 위치보다 약간 이격된 위치로 되어 있음], 이것은 횡방향의 제1 절첩선(13a)의 위치가 세로로 긴 시트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보다 상방에 위치 결정되어 있으므로, 전체를 4개로 접은 후, 취출용 손잡이(3, 3)를 형성하는 경우, 가장 표면측에 위치하는 층에 형성한 제2 경사 방향의 절첩선(3b, 3b)과, 그 하측에 위치하는 층에 형성한 제1 경사 방향의 절첩선(3a, 3a)을 동일한 위치에서 절첩하여 겹쳐 취출용 손잡이(3)를 형성하기 위해 배려한 결과이다.
도 10 중 화살표 C ‥ C는, 사용을 위해 절첩된 시트 본체(1)를 전개할 때에 작용하는 힘의 방향을 나타내는 것이다.
포장용 주머니(B)는, 합성 수지 필름 등을 사용하여 형성하는 것이며, 절첩된 변좌 시트(A ‥ A)를 적절한 매수만큼 겹쳐 수납할 수 있는 크기의 주머니로서 형성하는 동시에, 그 상면에는 변좌 시트(A)의 취출구(4)를 형성하기 위한 개구선이 형성되어 있다. 취출구(4)를 형성하는 위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삼각 형상으로 절첩된 취출용 손잡이(3)가 위치하는 부분의 상면에 형성하면, 변좌 시트의 취출을 행할 때에 취출용 손잡이(3)에 간단히 접촉할 수 있어 가장 효과적이다.
제2 실시예
도 11은 제2 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제1 실시예에 있어서, 세로로 긴 절첩선(11, 11)의 상하 양단부에 각각 형성한 제1 경사 방향의 절첩선(3a), 제2 경사 방향의 절첩선(3b) 중 한쪽의 제1 경사 방향의 절첩선(3a)의 형성이 생략되고, 하방에만 제2 경사 방향의 절첩선(3b)을 형성한 구조로 하고 있을 뿐이며, 그 밖의 구조는 제1 실시예와 완전히 동일하다.
이상과 같이 구성한 제1 실시예의 변좌 시트(A)를 절첩하여 형성하는 방법을 이하에 설명한다.
휴대용 변좌 시트(A)를 절첩하여 형성하기 위해서는, 직사각형의 시트 본체(1)의 중심선(12)을 사이에 두는 좌우 양측의 중앙 부분[시트 본체(A)의 폭 방향을 대략 4등분하는 위치]에 세로로 길게 형성된 2개의 절첩선(11, 11)을 절첩하여 기준선으로 하여, 좌우 양쪽의 외측 주변부가 중심선(12)에 접근하도록 각각 내측으로 둘로 접음으로써 세로로 긴 직사각형으로 한다(도 1, 도 2 참조).
이어서, 횡방향에 형성한 제1 절첩선(13a) 부분에서 둘로 접어, 제1 절첩선(13a)을 사이에 두는 하반부를 상반부의 상면에 겹치게 한다(도 3 참조). 이어서, 도 3에 예시한 상태로 둘로 접어 겹쳐진 시트 본체(1)를, 횡방향의 제2 절첩선(13b) 부분보다 하반부가, 상반부의 배면에 겹쳐지도록 한번 더 둘로 접은 후(도 4, 도 5 참조), 절첩선(3a, 3a, 3b, 3b) 부분에서 절첩된 삼각 형상의 취출용 손잡이(3)를 형성함으로써 구성한다(도 6, 도 7 참조).
또한 제2 실시예에 있어서의 변좌 시트(A)를 형성하는 데에는, 제1 실시예에 있어서의 절첩 형성 중, 가장 표면측의 층에 접하는 하측층의 제1 경사 방향의 절첩선(3a, 3a)을 사용한 삼각 형상의 취출용 손잡이의 형성이 생략될 뿐이며, 그 밖의 구조는 제1 실시예의 경우와 완전히 동일하다(도 6 참조).
A : 변좌 시트
B : 포장용 주머니
C : 전개 작용하는 힘의 방향
1 : 시트 본체
2 : 투공 형성부
3 : 취출용 손잡이
3a : 제1 경사 방향의 절첩선
3b : 제2 경사 방향의 절첩선
4 : 취출구로 되는 개구부
11 : 종방향의 절첩선
12 : 중심선
13a : 횡방향의 제1 절첩선
13b : 횡방향의 제2 절첩선
21 : 절취 파열홈

Claims (2)

  1. 포장용 주머니에 취출 가능하게 복수매 수납하기 위한 변좌 시트이며, 변좌면을 덮을 수 있는 크기로, 중앙부에 배변 구멍이 되는 투공 혹은 투공 형성부를 형성한 직사각형의 시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시트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에 형성한 중심선을 사이에 두는 양측부에, 상기 중심선과 좌우의 변 테두리를 대략 이등분하는 위치에 종방향의 절첩선을 각각 형성하고, 상기 종방향의 절첩선 부분에서 상기 양측부를 각각 내측을 향해 둘로 접음으로써 세로로 긴 직사각형으로서 구성한 후, 이 세로로 긴 직사각형을 상하로 대략 이등분하는 위치에 형성한 횡방향의 제1 절첩선 부분에 의해 구획되는 하반부를, 상반부의 상면에 둘로 접어 겹치고, 이어서, 이 둘로 접어 겹침에 의해 형성된 직사각형을 이등분하는 위치에 형성한 횡방향의 제2 절첩선 부분에 의해 구획되는 하반부를, 상반부의 배면에 위치하도록 둘로 접어 겹친 후, 세로로 긴 직사각형을 이룰 때에 상하의 변 테두리였던 양단부의 소정 길이 부분을, 폭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 부분이 삼각형의 정점으로 되도록 경사 방향의 절첩선을 따라 절첩하여 형성한, 변좌 시트.
  2. 포장용 주머니에 취출 가능하게 복수매 수납하기 위한 변좌 시트이며, 변좌면을 덮을 수 있는 크기로, 중앙부에 배변 구멍이 되는 투공 혹은 투공 형성부를 형성한 직사각형의 시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시트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에 형성한 중심선을 사이에 두는 양측부에, 상기 중심선과 좌우의 변 테두리를 대략 이등분하는 위치에 종방향의 절첩선을 각각 형성하고, 상기 종방향의 절첩선 부분에서 상기 양측부를 각각 내측을 향해 둘로 접음으로써 세로로 긴 직사각형으로서 구성한 후, 이 세로로 긴 직사각형을 상하로 대략 이등분하는 위치에 형성한 횡방향의 제1 절첩선 부분에 의해 구획되는 하반부를, 상반부의 상면에 둘로 접어 겹치고, 이어서, 이 둘로 접어 겹침에 의해 형성된 직사각형을 이등분하는 위치에 형성한 횡방향의 제2 절첩선 부분에 의해 구획되는 하반부를, 상반부의 배면에 위치하도록 둘로 접어 겹친 후, 세로로 긴 직사각형을 이룰 때에 하방의 변 테두리였던 단부의 소정 길이 부분을, 폭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 부분이 삼각형의 정점으로 되도록 경사 방향의 절첩선을 따라 절첩하여 형성한, 변좌 시트.
KR1020127009855A 2011-03-15 2012-02-01 변좌 시트 KR1012964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056453A JP4751487B1 (ja) 2011-03-15 2011-03-15 便座シート
JPJP-P-2011-056453 2011-03-15
PCT/JP2012/052277 WO2012124397A1 (ja) 2011-03-15 2012-02-01 便座シー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0319A KR20120130319A (ko) 2012-11-30
KR101296451B1 true KR101296451B1 (ko) 2013-08-13

Family

ID=445970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9855A KR101296451B1 (ko) 2011-03-15 2012-02-01 변좌 시트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140047628A1 (ko)
EP (1) EP2687138B1 (ko)
JP (1) JP4751487B1 (ko)
KR (1) KR101296451B1 (ko)
CN (1) CN102821663B (ko)
HK (1) HK1173935A1 (ko)
TW (1) TWI377041B (ko)
WO (1) WO201212439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7618B1 (ko) 2012-10-26 2014-03-25 주식회사이에이치 초박형으로 접철가능한 휴대용 변기커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2825B1 (ko) 2015-12-24 2022-09-14 코웨이 주식회사 변좌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비데
CN106586151B (zh) * 2017-02-20 2023-01-20 上海适友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新型全自动一次性马桶垫生产包装线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29014A (ja) * 1987-03-18 1988-09-22 池口工業株式会社 便座カバ−の収納方法とその収納容器
JPH09215636A (ja) * 1996-02-15 1997-08-19 Ishizu Seisakusho:Kk 折畳み便座シート
JP2005081063A (ja) 2003-09-11 2005-03-31 Sugiyama:Kk 便座シート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5597A (en) * 1913-04-17 1914-02-03 George C Elvers Sanitary toilet-seat cover.
US1377791A (en) * 1919-06-07 1921-05-10 Potschner Karl Commode-seat cover
US1522699A (en) * 1922-09-12 1925-01-13 William J Reid Toilet-seat cover
US1487858A (en) * 1923-07-06 1924-03-25 Independent Paper Mills Inc Device for holding stacks of napkins and the like
US1505087A (en) * 1923-07-18 1924-08-19 Jr Peter J Christman Paper package
US1577883A (en) * 1925-04-14 1926-03-23 Orin M Thomas Seat cover
US1835787A (en) * 1927-01-26 1931-12-08 Glenn J Walker Sanitary closet seat cover
US1999676A (en) * 1932-07-19 1935-04-30 Charles H Wilkniss Sanitary seat cover and method of dispensing the same
US2266990A (en) * 1939-09-29 1941-12-23 Pamela F Rea Sanitary toilet seat cover
US4875242A (en) * 1987-10-23 1989-10-24 Alvin S. Haining Compact toilet seat cover
CN2635005Y (zh) * 2003-07-28 2004-08-25 王兰芳 一种便携式一次性马桶座圈纸垫
US8549676B1 (en) * 2006-02-16 2013-10-08 Scott J. Mandel Combination packet containing disposable sanitary toilet seat cover and moist wipe
US20090183303A1 (en) * 2006-05-15 2009-07-23 Sss Ventures International Corporation Disposable sanitary cover for a toilet and related methods of us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29014A (ja) * 1987-03-18 1988-09-22 池口工業株式会社 便座カバ−の収納方法とその収納容器
JPH09215636A (ja) * 1996-02-15 1997-08-19 Ishizu Seisakusho:Kk 折畳み便座シート
JP2005081063A (ja) 2003-09-11 2005-03-31 Sugiyama:Kk 便座シー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7618B1 (ko) 2012-10-26 2014-03-25 주식회사이에이치 초박형으로 접철가능한 휴대용 변기커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K1173935A1 (en) 2013-05-31
JP2012191984A (ja) 2012-10-11
EP2687138A1 (en) 2014-01-22
WO2012124397A1 (ja) 2012-09-20
CN102821663A (zh) 2012-12-12
US20140047628A1 (en) 2014-02-20
CN102821663B (zh) 2013-06-12
TWI377041B (en) 2012-11-21
KR20120130319A (ko) 2012-11-30
TW201228628A (en) 2012-07-16
EP2687138A4 (en) 2014-08-13
JP4751487B1 (ja) 2011-08-17
EP2687138B1 (en) 2015-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21675B2 (en) Portable and disposable sanitary toilet seat cover
US20090265844A1 (en) Collapsible toilet
KR101296451B1 (ko) 변좌 시트
US20090165199A1 (en) Portable, disposable and recyclable toilet
CA3050242C (en) Single-use expandable liquid container and blank
EP4084662A1 (en) Portable potty seat
GB2294867A (en) Disposable bibs
JP6040798B2 (ja) 使い捨ておむつ等の包装袋及びその製造方法
JP6953656B2 (ja) 折りたたみ携帯便座
US20080029585A1 (en) Flat Folded Waterproof Cartoons with Folds and a Fastener with Hooks and More Accessories
JP5985206B2 (ja) ポケットティッシュ
WO2015034554A1 (en) Systems for containing food for transport and consumption
JP2004269010A (ja) ロール製品収納用包装袋
JP2009090061A (ja) 便座シート
CN215205875U (zh) 一种便携式饮品包装盒结构
CA2702602C (en) Portable and disposable sanitary toilet seat cover
JP2006176206A (ja) ティッシュペーパー用紙箱
JP3128252U (ja) 足置き台
JP2012165899A (ja) ドリッパー
JP2018062543A (ja) 粘着剤付きシート
KR20120008331U (ko) 좌변기 깔개
JP2005096858A (ja) 支持脚つき携帯シートコップ
JP2008220296A (ja) 包装したおむすび
TH10651A3 (th) โถสุขภัณฑ์กระดาษเคลื่อนที่
KR20180048271A (ko) 화장실 겸용 접이식 의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