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6235B1 - 조리기기용 커버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조리기기용 커버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6235B1
KR101296235B1 KR1020110015158A KR20110015158A KR101296235B1 KR 101296235 B1 KR101296235 B1 KR 101296235B1 KR 1020110015158 A KR1020110015158 A KR 1020110015158A KR 20110015158 A KR20110015158 A KR 20110015158A KR 101296235 B1 KR101296235 B1 KR 1012962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pot
coupling
lid
packing
pot 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51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95688A (ko
Inventor
정홍길
Original Assignee
쿠쿠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쿠쿠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쿠쿠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151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6235B1/ko
Publication of KR201200956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56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62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62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04Locking devices
    • A47J27/0806Locking devices of the bayonet-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 A47J36/10Lid-lock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솥뚜껑과 내솥패킹의 결합 구조를 간소화하여 내솥뚜껑에 내솥패킹의 탈착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제조상의 조립성과 생산성 및 사용상의 교체 편의성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취사과정에서의 발열시에도 내솥뚜껑과 내솥패킹 간의 확고한 결합을 유지할 수 있는 조리기기용 커버 어셈블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조리기기 본체의 상부를 덮는 뚜껑; 상기 뚜껑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의 내측에 수용되는 내솥의 상부를 덮되, 테두리부의 최외곽부에는 하향 연장되어 내측으로 절곡된 결합부가 구비된 내솥뚜껑; 및 상기 내솥뚜껑의 결합부에 결합되어 상기 내솥을 밀폐하되, 상기 결합부에 끼움결합되도록 내측면에는 상기 결합부의 일면에 밀착되는 밀착부가 형성되고 외측면에는 그 상부가 상기 최외곽부와 여유공간을 가지며 결합되도록 내측으로 상향 경사진 경사부가 형성된 내솥패킹을 포함하되, 상기 내솥뚜껑의 결합부에는 조리 시 발생하는 상기 여유공간의 팽창된 공기를 상기 결합부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공기배출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리기기용 커버 어셈블리{Cover assembly for cooker}
본 발명은 조리기기용 커버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내솥뚜껑에 내솥패킹을 슬라이딩 방식의 끼움결합에 의해 용이하게 탈착시킴으로써 제조상의 조립성과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취사과정에서의 발열로 인해 내솥뚜껑과 내솥패킹 사이의 공간에서 팽창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여 팽창된 공기압에 의해 내솥패킹이 내솥뚜껑으로부터 분리되어 내솥 내부의 증기가 누설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조리기기용 커버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리기기는 음식물을 조리하는데 쓰는 기구를 말하는 것으로서, 조리기기의 하나인 전기밥솥은 음식물이 수용되는 내솥이 내장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를 덮는 뚜껑으로 구성된다.
전기밥솥은 음식물이 수용되는 내솥을 가열함으로써 고온·고압의 상태를 만들어 음식물을 조리한다. 이때, 내솥 내부의 열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차단하여 내솥 내부를 고온·고압의 상태로 유지시킴으로써 취반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게 하거나, 보온 시 내솥 내부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내솥이 밀폐된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 이를 위해 전기밥솥에는 상기 본체의 상부를 밀폐된 상태로 덮는 조리기기용 커버 어셈블리가 구비된다.
종래 일반적인 조리기기용 커버 어셈블리는, 본체의 상부를 개폐시키는 합성수지 재질의 뚜껑과, 상기 뚜껑의 하부에 구비되어 내솥의 상부를 덮는 금속 재질의 내솥뚜껑과, 상기 내솥뚜껑의 테두리부 하측에 결합되어 상기 뚜껑이 닫힌 상태에서 상기 내솥뚜껑과 내솥 사이의 틈을 밀폐하는 내솥패킹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조리기기용 커버 어셈블리는 뚜껑과 내솥뚜껑 간의 분리 여부에 따라 고정형과 분리형으로 나눌 수 있다.
종래의 고정형 내솥뚜껑은 뚜껑에 고정됨에 따라 두꺼운 알루미늄 등의 소재를 사용하여 주물로 제작한 후, 도 1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솥패킹(2)의 결합을 위해서 내솥뚜껑(1)의 외곽부를 절삭가공하여 내솥패킹(2)이 억지끼움에 의해 결합되도록 내솥뚜껑(1)의 대향되는 내주 하단부에 각각 돌기 형상(1a,1b)의 구조를 갖는다.
그러나 이와 같은 고정형 내솥뚜껑(1)의 경우, 내솥뚜껑(1)의 청소가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내솥뚜껑(1)과 내솥패킹(2) 간의 결합이 내솥뚜껑(1) 양측의 돌기 형상(1a,1b)에 내솥패킹(2)을 억지끼움 방식으로 이루어지므로 원형 테두리 형상의 내솥패킹(2)을 내솥뚜껑(1)의 홈 구조의 절삭가공부에 신속하고 정확하게 결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의 분리형 내솥뚜껑은 뚜껑으로부터 내솥뚜껑이 탈착 가능한 구조를 갖는 것으로, 사용 및 제조상의 편의성을 위해서 고정형 내솥뚜껑(1)에 사용되던 두꺼운 알루미늄에서 경량의 얇은 스테인레스로 대체됨에 따라 프레스 가공에 의해 제작되는데, 이로 인해 내솥패킹을 고정시키는 돌기 형상의 가공과 치수관리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어, 도 1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솥뚜껑(3)의 테두리부와 내솥패킹(4) 사이에 결합부재(5)를 개재하고 나사(6)로 고정하는 구조를 갖게 되므로 내솥패킹(4)의 교체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 인해, 분리형 내솥뚜껑(3)은 청소가 용이하다는 이점에도 불구하고 내솥패킹(4)의 결합 구조가 복잡하여 생산성이 떨어지고 내솥패킹(4)이 소모성 부품임에도 교체가 쉽지 않아 사용상의 불편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내솥뚜껑과 내솥패킹의 결합 구조를 간소화하여 내솥뚜껑에 내솥패킹의 탈착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제조상의 조립성과 생산성 및 사용상의 교체 편의성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취사과정에서의 발열시에도 내솥뚜껑과 내솥패킹 간의 확고한 결합을 유지할 수 있는 조리기기용 커버 어셈블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내솥뚜껑의 결합부와 내솥패킹 사이에 형성된 여유공간의 공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취사과정에서 발생한 열에 의해 상기 여유공간 내부의 공기가 팽창되어 내솥패킹이 상기 결합부의 개구부 측으로 밀려 결합부로부터 탈락되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는 조리기기용 커버 어셈블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조리기기용 커버 어셈블리는, 조리기기 본체의 상부를 덮는 뚜껑; 상기 뚜껑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의 내측에 수용되는 내솥의 상부를 덮되, 테두리부의 최외곽부에는 하향 연장되어 내측으로 절곡된 결합부가 구비된 내솥뚜껑; 및 상기 내솥뚜껑의 결합부에 결합되어 상기 내솥을 밀폐하되, 상기 결합부에 끼움결합되도록 내측면에는 상기 결합부의 일면에 밀착되는 밀착부가 형성되고 외측면에는 그 상부가 상기 최외곽부와 여유공간을 가지며 결합되도록 내측으로 상향 경사진 경사부가 형성된 내솥패킹을 포함하되, 상기 내솥뚜껑의 결합부에는 조리 시 발생하는 상기 여유공간의 팽창된 공기를 상기 결합부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공기배출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용 커버 어셈블리에 의하면, 내솥뚜껑에 내솥패킹을 슬라이딩 방식으로 끼움결합함으로써, 내솥패킹이 별도의 도구 사용 없이 간편하게 탈착되므로 내솥뚜껑과 내솥패킹 간의 결합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부품수의 절감 및 조립의 신속성으로 제조상의 생산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내솥패킹의 교체 및 청소 작업이 용이해져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조리과정에서의 열에너지에 의해 내솥뚜껑의 결합부와 내솥패킹 사이에 마련된 여유공간에서 팽창된 공기가 공기배출구멍과 공기배출부를 통해 외부로 자동 배출됨으로써, 여유공간의 압력에 의한 내솥패킹의 밀림 및 탈락현상이 방지되므로 슬라이딩 결합 구조를 채택함에 따른 단점을 보완하여 내솥뚜껑과 내솥패킹 간의 확고한 결합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조리기기용 커버 어셈블리의 내솥뚜껑과 내솥패킹의 연결부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용 커버 어셈블리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조리기기용 커버 어셈블리의 내솥패킹이 내솥의 플랜지부에 밀착된 모습을 보여주는 부분 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내솥뚜껑의 결합부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내솥패킹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내솥패킹의 부분 절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용 커버 어셈블리에서 증기가 배출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용 커버 어셈블리(10)는, 뚜껑(100)과 내솥뚜껑(200) 및 내솥패킹(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뚜껑(100)은 조리기기 본체(400)의 상부를 덮는다. 여기서, 상기 조리기기는 전기밥솥 등을 말하며, 상기 본체(400)의 내측에는 내솥(410)이 수용되며, 본체(400)의 내부에는 상기 내솥(410)을 가열시키는 부품이 구비된다. 상기 뚜껑(100)은 본체(400)와 함께 조리기기의 외관을 이룬다.
상기 뚜껑(100)의 하부에 구비되는 내솥뚜껑(200)은 상기 본체(400)의 내측에 수용된 내솥(410)의 상부를 덮되, 테두리부에는 상기 내솥뚜껑(200)으로부터 단차진 소정의 폭을 가지며 최외곽부가 하향 연장되어 내측으로 절곡된 결합부(220)가 구비되도록 프레스 가공 및 커링 가공된다.
여기서, 상기 내솥뚜껑(200)은 내솥(410)의 개구부에 대응되는 원형판 형상으로 청소의 용이성을 위해서 분리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 상기 내솥뚜껑(200)은 스테인레스 등의 경량으로 쉽게 휘어지지 않는 강도를 갖는 재질로 구성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솥뚜껑(200)의 결합부(220)는 내측에 상기 내솥패킹(300)의 상부가 수용되는 결합홈(220a)이 형성되도록 고리 모양으로 커링 가공된다. 이에 따라, 결합부(220)는 소정의 폭을 가지며 상측으로 돌출되며 하측이 개구된 홈의 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내솥뚜껑(200)이 뚜껑(100)에 탈착되는 것은 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방법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솥뚜껑(200)에는 중공부(210)가 형성되고, 상기 중공부(210)가 뚜껑(100)의 하부에 구비된 돌출부(110)에 외삽되고, 내솥뚜껑(200)의 저면을 지지하는 홀더(230)의 중앙부가 상기 중공부(210)로 삽입되어 상기 돌출부(110)에 결합되어 고정되며, 상기 뚜껑(100)과 내솥뚜껑(200)의 분리는 상기 결합의 역순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결합부(2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솥뚜껑(200)으로부터 상향으로 절곡된 마찰부(221)와, 상기 마찰부(221)의 상단으로부터 외측으로 상기 내솥패킹(300)의 상부를 수용할 수 있는 소정의 폭을 가지며 절곡된 연결부(222)와, 상기 연결부(222)의 외측단으로부터 하향 연장되고 그 연장된 끝단으로부터 내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절곡되어 그 단부가 걸림돌기의 역할을 하는 걸림부(223)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결합부(220)에는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솥패킹(300)과의 결합시 형성되는 여유공간(220b)의 공기가 취사과정에서의 열에너지를 전달받아 팽창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공기배출구멍(224)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공기배출구멍(224)은 상기 결합부(220)의 외주를 따라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내솥뚜껑(200)과 내솥패킹(300)이 결합된 상태에서 내솥뚜껑(200)의 결합홈(220a)에는 내솥패킹(300)의 외측으로 여유공간(220b)이 형성된다.
상기 여유공간(220b)은 커링(curling) 공정에 의해 내솥뚜껑(200)의 가장자리부에 결합부(220)를 가공함에 따라 결합부(220)와 내솥패킹(300)이 완전히 밀착되도록 정확한 치수로 관리하기 어려운 점과, 상기 여유공간(220b)으로 내솥패킹(300)이 많이 삽입되도록 결합부(220)의 형상을 가공하게 되면 내솥패킹(300)의 삽입이 어렵게 되므로 소정의 간격 확보를 위해 불가피하게 발생하는 공간이다.
상기 여유공간(220b)의 내부는 평소에는 대기와 같은 온도의 공기로 차있으나, 조리 시에 발생하는 열에너지에 의해 고온·고압의 공기로 변한다. 이에 따라, 상기 여유공간(220b)의 내부 공기가 팽창하여 내솥패킹(300)을 결합부(220)로부터 밀어내어 내솥패킹(300)이 내솥뚜껑(200)으로부터 밀림 및 탈락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공기배출구멍(224)은 상기 여유공간(220b) 내부의 팽창된 공기를 결합부(220)의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써 내솥패킹(300)이 내솥뚜껑(200)으로부터 분리되어 탈락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내솥패킹(300)은 상기 내솥(410)을 밀폐하되, 상기 결합부(220)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끼움결합되도록 내솥패킹(300)의 내측면에 형성된 밀착부(310)가 상기 결합부(220)의 마찰부(221)에 밀착되게 가이드되며, 내솥패킹(300)의 외측면 상부에는 상기 결합부(220)와 사이에 여유공간(220b)을 가지며 결합되도록 내측으로 상향 경사진 경사부(33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내솥패킹(300)은 상기 결합부(220)에 대응되는 원형테 형상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고무, 실리콘 등의 연질의 재질은 제한없이 사용가능하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내솥패킹(300)은 상기 내솥(410)의 상단부 내주면에 밀착되어 상기 내솥(410)과 내솥뚜껑(200) 사이의 틈을 밀폐시키도록 소정의 두께로 하향 연장된 밀폐부(350)와, 상기 내솥(410) 상단의 플랜지부(411) 상면에 밀착되도록 외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된 안착부(360)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내솥(410)의 상단 가장자리부는 밀폐부(350)와 안착부(360)에 의해 안정적으로 밀폐된다.
또한 상기 결합부(220)의 최외곽부와 사이에 여유공간(220b)을 갖도록 내측으로 상향 경사진 경사부(330)는 걸림부(223)의 단부와 마찰부(221) 사이의 간격에 의해 형성되는 결합홈(220a)의 개구부로 내솥패킹(300)의 삽입과 분리가 용이하도록 내솥패킹(300)의 상하방향 구조는 상협하광 구조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내솥패킹(300)이 슬라이딩되어 결합홈(220a)에 결합되는 과정에서 최소한의 부위가 접촉되면서 내솥패킹(300)이 수축 변형되어 걸림부(223)의 단부에 걸림홈(340)이 걸리게 되므로 내솥패킹(300)의 삽입 시 변형에 의한 반발력이 최소화되어 내솥패킹(300)이 결합홈(220a)에 용이하게 삽입되므로 신속하고 정확하게 끼움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내솥패킹(300)의 외주면에는 상기 걸림부(223)의 단부에 걸림되는 걸림홈(340)이 형성되되, 상기 걸림홈(340)의 상단은 상기 걸림부(223)의 단부에 대응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걸림홈(340)의 상단에는 내솥패킹(300)이 상기 결합부(220)에 삽입 또는 분리될 때 상기 걸림부(223)의 단부에 긁힘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상기 걸림부(223)의 단부에 대응되게 경사진 걸림경사부(341)가 형성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솥패킹(300)의 내측면 중앙부에는 그 내측으로 오목한 형상의 밀착부(310)가 형성되고, 상기 밀착부(310)의 상단부와 하단부에는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마찰부(221)에 밀착된 밀착부(310)가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밀착력을 증대시키는 밀착돌기(321,322)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솥패킹(300)의 상면에는 소정의 폭과 깊이를 갖는 함몰부(380)가 형성된다. 상기 함몰부(380)는 내솥패킹(300)과 결합부(220)의 결합에 따라 밀폐된 공간이 되므로 조리에 따른 열에너지의 전달로 인해 고압의 팽창압이 형성되어 밀착부(310)를 마찰부(221) 측으로 밀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함몰부(380)는 내솥패킹(300)의 탈착시 내솥패킹(300)의 수축이 용이하도록 수축의 여유공간으로서 기능한다.
한편, 도 6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여유공간(220b)의 밀폐에 의해 고압으로 팽창된 공기가 결합부(220)의 외부 공간으로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결합부(220)에 형성된 공기배출구멍(224) 이외에, 상기 내솥패킹(300)의 외주 상부에는 최외곽부인 걸림부(223)의 단부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되도록 함몰된 하나 이상의 공기배출부(370)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도 3에서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여유공간(220b)의 팽창된 공기는, 도 7에서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배출구멍(224)을 통해 배출됨과 동시에 공기배출부(370)의 함몰된 공간과 걸림부(223)의 단부 사이의 틈을 통해 팽창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공기배출부(370)는 상기 여유공간(220b)으로부터 공기의 배출통로를 형성하기 위해서 상기 내솥패킹(300)의 상부 일측이 함몰되어 형성되되, 내솥패킹(300)의 상부로부터 걸림홈(340)의 저면 테두리까지 외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공기배출구멍(224)과 공기배출부(370)를 통해 고압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여유공간(220b)의 압력에 의한 내솥패킹(300)의 밀림 및 탈락현상이 방지되므로 본 발명의 슬라이딩 결합 구조에 따른 단점을 보완하여 결합부(220)와 내솥패킹(300)은 확고한 결합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내솥패킹(300)의 밀림 및 탈락현상에 따른 증기누설로 인해 조리가 불완전해지거나 보온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갑작스런 증기누설로 인해 사용자가 화상을 입거나 예측하지 않은 상황에 대한 놀람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내솥패킹(300)이 내솥뚜껑(200)의 결합부(220)에 결합되는 과정과 작용 효과를 설명한다.
내솥패킹(300)은 그 상부가 결합부(220)의 하측 개구부를 통해 결합홈(220a)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되어 결합된다. 먼저, 사용자 또는 제조자가 내솥패킹(300)을 원형테 형상의 결합홈(220a)에 배치시킨다. 이후, 내솥패킹(300)의 내주측을 눌러 밀착부(310)를 삽입시키면 마찰부(221)에 면상으로 밀착된다. 이때, 밀착부(310)는 내측으로 오목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마찰부(221)와의 마찰이 최소화되면서 슬라이딩되고, 상기 밀착부(310)의 상단과 하단에 구비된 밀착돌기(321,322)는 마찰부(221)에 밀착된다.
이후, 내솥패킹(300)의 외주측을 누르면 내솥패킹(300)은 경사부(330)가 걸림부(223)의 단부에 접촉되면서 슬라이딩되고 걸림부(223)의 단부가 걸림홈(340)에 다다르면 소폭 압축된 후 이완되어 걸림홈(340)에 걸리면서 고정된다.
이때, 내솥패킹(300)은 결합부(220)의 최외곽부인 걸림부(223) 사이에 여유공간(220b)을 가지며 결합되므로 끼움에 대한 반발력이 최소화되어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또한 걸림부(223)의 단부는 내솥패킹(300)의 걸림경사부(341)를 통해 걸림홈(340) 측으로 부드럽게 이동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 또는 제조자는 걸림부(223)의 단부가 경사부(330)를 따라 걸림홈(340)으로 연결되는 소폭 돌출된 면을 따라 이동되어 걸림홈(340)에 걸리는 걸림감을 느낄 수 있으므로 정확한 결합여부를 별도로 확인할 필요가 없게 된다.
그리고 상기 내솥패킹(300)을 분리하는 것은 상기 조립순서와 역순으로 행해진다. 이때, 상기 걸림경사부(341)는 내솥패킹(300)의 분리를 위한 압축시 걸림부(223)의 단부에 의한 긁힘 등의 훼손을 최소화시켜 준다.
또한 조리과정에서 발생되는 열에너지에 의해 여유공간(220b)의 공기가 고온·고압 상태가 되더라도 결합부(220)에 형성된 공기배출구멍(224)과 내솥패킹(300)에 형성된 공기배출부(370)를 통해 팽창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므로 내솥패킹(300)이 내솥뚜껑(200)의 결합부(22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내솥패킹(300)의 확고한 결합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내솥패킹(300)과 내솥뚜껑(200)의 결합은 슬라이딩 방식에 의해 끼움결합되므로 신속하고 정확한 결합을 보장하여 제품의 사용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내솥패킹(300)이 도구의 사용없이 간편하게 탈착되므로 분리형 내솥뚜껑의 단점인 내솥패킹의 복잡한 결합 구조를 개선하여 부품의 청소가 용이함은 물론 조립상의 신속성과 생산성 및 사용상의 교체 편의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벗어남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자명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3 : 내솥뚜껑 2,4 : 내솥패킹
5 : 결합부재 6 : 나사
10 : 조리기기용 커버 어셈블리 100 : 뚜껑
110 : 돌출부 200 : 내솥뚜껑
210 : 중공부 220 : 결합부
220a : 결합홈 220b : 여유공간
221 : 마찰부 222 : 연결부
223 : 걸림부 224 : 공기배출구멍
230 : 홀더 300 : 내솥패킹
310 : 밀착부 321,322 : 밀착돌기
330 : 경사부 340 : 걸림홈
341 : 걸림경사부 350 : 밀폐부
360 : 안착부 370 : 공기배출부
380 : 함몰부

Claims (7)

  1. 조리기기 본체의 상부를 덮는 뚜껑;
    상기 뚜껑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의 내측에 수용되는 내솥의 상부를 덮되, 테두리부의 최외곽부에는 하향 연장되어 내측으로 절곡된 결합부가 구비된 내솥뚜껑; 및
    상기 내솥뚜껑의 결합부에 결합되어 상기 내솥을 밀폐하되, 상기 결합부에 끼움결합되도록 내측면에는 상기 결합부의 일면에 밀착되는 밀착부가 형성되고 외측면에는 그 상부가 상기 최외곽부와 여유공간을 가지며 결합되도록 내측으로 상향 경사진 경사부가 형성된 내솥패킹을 포함하되,
    상기 내솥뚜껑의 결합부에는 조리 시 발생하는 상기 여유공간의 팽창된 공기를 상기 결합부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공기배출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내솥뚜껑으로부터 상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밀착부가 밀착되는 마찰부와, 상기 마찰부의 상단으로부터 외측으로 소정의 폭을 가지며 절곡된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외측단으로부터 하향으로 그 단부가 내측으로 경사지게 절곡된 걸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용 커버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배출구멍은 상기 내솥뚜껑의 결합부의 외부를 따라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복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용 커버 어셈블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솥패킹의 외측면에는 상기 결합부의 최외곽부의 단부에 걸림되는 걸림홈이 형성되되, 상기 걸림홈의 상단에는 상기 결합부의 최외곽부의 단부에 대응되는 형상의 걸림경사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용 커버 어셈블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부는 상기 내솥패킹의 내측면에 내측으로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밀착부의 상단부와 하단부에는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내솥뚜껑과의 밀착력을 증대시키는 밀착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용 커버 어셈블리.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솥패킹의 외주 상부에는 상기 여유공간의 팽창된 공기가 상기 결합부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기 최외곽부인 걸림부의 단부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되도록 함몰된 하나 이상의 공기배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용 커버 어셈블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솥패킹은, 상기 내솥의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소정의 두께로 하향 연장된 밀폐부와, 상기 내솥 상단의 플랜지부 상면에 밀착되도록 외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연장된 안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용 커버 어셈블리.


KR1020110015158A 2011-02-21 2011-02-21 조리기기용 커버 어셈블리 KR1012962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5158A KR101296235B1 (ko) 2011-02-21 2011-02-21 조리기기용 커버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5158A KR101296235B1 (ko) 2011-02-21 2011-02-21 조리기기용 커버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5688A KR20120095688A (ko) 2012-08-29
KR101296235B1 true KR101296235B1 (ko) 2013-08-13

Family

ID=468860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5158A KR101296235B1 (ko) 2011-02-21 2011-02-21 조리기기용 커버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623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47841A (zh) * 2014-12-18 2016-07-13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烹饪器具
CN106889875A (zh) * 2015-12-18 2017-06-27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电压力锅及其锅盖
KR20180010793A (ko) 2016-07-22 2018-01-31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전기압력밥솥
KR20200092097A (ko) * 2019-01-24 2020-08-03 (주)쿠첸 조리기기용 패킹 조립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1762B1 (ko) * 2012-10-12 2018-12-21 쿠쿠전자 주식회사 이중밀폐형 커버패킹 및 그가 구비된 압력조리기
KR102156136B1 (ko) * 2015-11-17 2020-09-15 주식회사 위니아딤채 압력밥솥
KR102423425B1 (ko) 2016-06-28 2022-07-22 주식회사 위니아 밥솥
WO2018227866A1 (zh) * 2017-06-16 2018-12-20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烹饪器具、内盖组件及其锅盖
KR102120177B1 (ko) * 2019-01-04 2020-06-08 (주)쿠첸 조리기기용 커버 조립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63123U (ja) * 1983-03-03 1983-10-29 理研軽金属工業株式会社 圧力調理器
KR19990035687U (ko) * 1998-02-06 1999-09-15 김용진 전기보온압력밥솥용 압력패킹
JP2001037637A (ja) * 1999-07-28 2001-02-13 Zojirushi Corp 圧力調理器のシール構造
KR20110000080U (ko) * 2009-06-29 2011-01-06 주식회사 리홈 전기압력밥솥 압력패킹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63123U (ja) * 1983-03-03 1983-10-29 理研軽金属工業株式会社 圧力調理器
KR19990035687U (ko) * 1998-02-06 1999-09-15 김용진 전기보온압력밥솥용 압력패킹
JP2001037637A (ja) * 1999-07-28 2001-02-13 Zojirushi Corp 圧力調理器のシール構造
KR20110000080U (ko) * 2009-06-29 2011-01-06 주식회사 리홈 전기압력밥솥 압력패킹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47841A (zh) * 2014-12-18 2016-07-13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烹饪器具
CN106889875A (zh) * 2015-12-18 2017-06-27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电压力锅及其锅盖
KR20180010793A (ko) 2016-07-22 2018-01-31 주식회사 대유위니아 전기압력밥솥
KR20200092097A (ko) * 2019-01-24 2020-08-03 (주)쿠첸 조리기기용 패킹 조립체
KR102142409B1 (ko) * 2019-01-24 2020-08-07 (주)쿠첸 조리기기용 패킹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5688A (ko) 2012-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6235B1 (ko) 조리기기용 커버 어셈블리
KR101557752B1 (ko) 조리기기용 커버 어셈블리
KR102231033B1 (ko) 전기압력조리기용 내솥 뚜껑
KR101237429B1 (ko) 손잡이 연동형 밀폐 냄비
KR100917694B1 (ko) 발열제로 가열하는 휴대용 조리용기
KR101244277B1 (ko) 중탕기
KR101307890B1 (ko) 압력지지보강형 커버패킹 및 그가 구비된 압력조리기
KR101000881B1 (ko) 조리기기용 커버 어셈블리
KR102330145B1 (ko) 전기압력조리기용 내솥 뚜껑
KR102057938B1 (ko) 조리기기용 커버 조립체
JP5653381B2 (ja) 炊飯器及びこれを備えた調理装置
KR102291876B1 (ko) 가스 조리와 인덕션을 겸비한 이중조리용기
JP6273277B2 (ja) 調理器具のためのリップシール及びリップシールを有する調理器具
KR200460251Y1 (ko) 조리기기용 커버 어셈블리
KR200476549Y1 (ko) 압력밥솥용 진공 패킹
KR102492361B1 (ko) 전기압력밥솥
KR200458533Y1 (ko) 압력조리기구의 패킹재
KR200185688Y1 (ko) 전기보온압력밥솥용 압력패킹
KR102159814B1 (ko) 조리기용 내솥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177249B1 (ko) 조리기기용 커버 조립체
KR102187894B1 (ko) 조리기기용 커버 조립체
KR101450123B1 (ko) 중탕기로 사용되는 조리용 냄비
KR102454019B1 (ko) 전기압력밥솥
CN212233468U (zh) 电饭盒
KR102142409B1 (ko) 조리기기용 패킹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