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6042B1 - 이동성 보조프레임을 갖는 턴오버 장치 - Google Patents

이동성 보조프레임을 갖는 턴오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6042B1
KR101296042B1 KR1020080108955A KR20080108955A KR101296042B1 KR 101296042 B1 KR101296042 B1 KR 101296042B1 KR 1020080108955 A KR1020080108955 A KR 1020080108955A KR 20080108955 A KR20080108955 A KR 20080108955A KR 101296042 B1 KR101296042 B1 KR 1012960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movable auxiliary
turnover device
auxiliary frame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89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49915A (ko
Inventor
노태양
신상룡
염두식
이지형
이윤식
김지온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089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6042B1/ko
Publication of KR201000499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99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60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60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6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tools or equipment; characterised by automation, e.g. use of robo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7/00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17/0018Arrangement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access to underwater elements, e.g. to propellers ; Externally attached cofferdam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20Building or assembling prefabricated vessel modules or parts other than hull blocks, e.g. engine rooms, rudders, propellers, superstructures, berths, holds or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85/00Dismantling or scrapping vess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1/00Propulsive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 B63H1/02Propulsive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rotary type
    • B63H1/12Propulsive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rotary type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in propulsive direction
    • B63H1/14Propell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 Y02T70/10Measures concerning design or construction of watercraft hu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Attitude Control For Articles On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턴오버 장치에 관한 것이며, 그 목적은 장치의 구조를 단순화하면서도 작업 공간의 활용을 높이고, 터닝 작업을 위한 대형구조물의 안정된 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는 턴오버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중공 구조를 가지는 대형구조물이 투입되는 공간이 중앙부에 형성되고, 상기 공간으로 투입된 대형구조물의 중공부를 향하는 한 쌍의 고정용 콘이 공간의 상하부에 위치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한 쌍의 고정용 콘과 각각 연결되어 고정용 콘을 이동시키는 척킹용 실린더를 구비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과 회전축을 통해 연결되어, 프레임을 회전시키는 터닝구동부로 이루어진 턴오버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는 고정용 콘을 프레임의 전방 일측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성 보조프레임; 상기 이동성 보조프레임을 프레임으로부터 슬라이딩시키는 슬라이딩구동부; 및 상기 프레임의 전방으로 이동하는 이동성 보조프레임의 하단을 지지하는 지지대를 포함하여 구성한 이동성 보조프레임을 갖는 턴오버 장치에 관한 것을 그 기술적 요지로 한다.
턴오버, 보강프레임, 터닝구동부, 고정용 콘, 프로펠러

Description

이동성 보조프레임을 갖는 턴오버 장치{Turnover device with sliding transfer frames}
본 발명은 턴오버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특히 대형 선박의 프로펠러와 같이 중심축 상에 중공 형태의 구조(hollow-type)를 갖는 대형구조물을 뒤집기 위한 턴오버(turn-over)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형 프로펠러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프로펠러의 주조 후 기계가공(압탕 자르기, 프로펠러 들기용 아이 볼트 홀 작업, 보스(boss) 하면 작업, 보스 상면 가공, 내경 보링, 전진면 날개 밀링, 후진면 날개 밀링, 전진면 그라인딩, 후진면 그라인딩, 검사 출고 등)을 하기 위해 대략 6~8회 정도 뒤집어 주어야 한다.
종래 본 출원인은 대형 프로펠러의 턴오버 작업을 보다 용이하고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하는 턴오버 장치를 발명하였으며, 이러한 턴오버 장치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478248호에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턴오버 장치의 구성을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좌ㅇ우측 하부 프레임(24,24')의 상부에 상부 프레임(22,22')이 각 각 조립 설치되고, 상부 프레임(22,22')에 메인 스핀들(12)이 설치되며, 상기 메인 스핀들(12)에 메인 붐(10,10')이 설치된 것으로 구성되며, 상기 메인 붐(10,10')에 프로펠러를 고정하기 위한 유압실린더(40)와 보스 테이블(14)과 보스 콘 축(38) 및 보스 콘(16)이 구비되고, 상기 상부 프레임(22)에 메인 스핀들(12)의 회전을 위한 유압모터(36)가 구비된 것으로 구성되어, 대형 프로펠러의 턴오버 작업을 용이하고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턴오버 장치는 중량물을 위치시키기 위한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서 메인 붐이 수평방향으로 회전해야만 하며, 이때 상부의 메인 붐은 회전 조인트에 대해서 외팔보 구조를 띄게 되므로 회전 조인트 부분에서의 과도한 부하로 인해 잦은 고장과 장치의 수명이 짧아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중량물을 위치시키기 위한 메인 붐의 길이가 과도하고, 메인 붐과 중량물이 결합되어 턴오버 되므로 장치의 크기와 작업에 소요되는 면적이 과도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프로펠러와 같이 중공 구조를 가지는 대형구조물의 터닝 작업을 위하여 대형구조물을 투입할 때, 프레임의 개폐 없이 대형구조물의 투입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프레임의 구조를 단순화하면서도 작업 공간의 활용을 높이고, 실질적인 터닝 작업 시에도 구조적으로 안정된 프레임의 회전을 구현할 수 있는 턴오버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특히 본 발명은 턴오버 장치를 향해 대형구조물을 투입시키거나 혹은 작업 완료된 대형구조물을 턴오버 장치로부터 이탈시키는 작업을 보다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장치를 함께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고 종래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중공 구조를 가지는 대형구조물이 투입되는 공간이 중앙부에 형성되고, 상기 공간으로 투입된 대형구조물의 중공부를 향하는 한 쌍의 고정용 콘이 공간의 상하부에 위치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한 쌍의 고정용 콘과 각각 연결되어 고정용 콘을 이동시키는 척킹용 실린더를 구비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과 회전축을 통해 연결되어, 프레임을 회전시키는 터닝구동부로 이루어진 턴오버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는 고정용 콘을 프레임의 전방 일측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성 보 조프레임;
상기 이동성 보조프레임을 프레임으로부터 슬라이딩시키는 슬라이딩구동부; 및
상기 프레임의 전방으로 이동하는 이동성 보조프레임의 하단을 지지하는 지지대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수단으로부터 본 발명은 기존의 개폐 타입에 의한 프레임이 아닌 고정성 프레임을 향해 대형구조물의 투입 및 턴오버 작업을 수행함으로서, 보다 작은 공간에 설치가 가능하여 공간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으며, 대형구조물을 지지하는 프레임의 기능적인 구조를 단순화하는 한편 지지하는 대형구조물의 하중 및 턴오버 작업 시 고려되어야 하는 하중으로부터 충분한 강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한 작업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프레임에 구비되는 이동성 보조프레임을 통해, 대형구조물의 투입 및 이탈 작업을 보다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이는 곧 대형구조물의 터닝 작업뿐만 아니라 차후 진행되는 대형구조물에 대한 가공작업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과 연계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 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턴오버 장치의 사시도를,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턴오버 장치의 측면도를,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 및 이동성 보조프레임의 구성을 보이는 분리 사시도를,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성 보조프레임의 작동상태를 보이는 측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턴오버 장치는, 프레임(100), 터닝구동부(110), 보강프레임(120) 및 지지롤러(130)를 포함한다.
프레임(100)은 전술한 대형 프로펠러와 같이 중공 구조를 가지는 대형구조물이 투입되는 공간(S)이 중앙부에 형성되게 일측이 개방된"ㄷ"자 형성되고, 상기 공간(S)으로 투입된 대형구조물의 중공부를 향하는 한 쌍의 고정용 콘(143)(143")이 공간(S)의 상하부에 위치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한 쌍의 고정용 콘(143)(143")과 각각 연결되어 고정용 콘(143)(143")을 이동시키는 척킹용 실린더(141)(141")를 구비한다.
터닝구동부(110)는 상기 프레임(100)을 회전시키는 것으로, 프레임(100)의 일측 중앙부와 연결되는 회전축(111)을 통해 프레임(100)과 연결된다. 상기 회전축(111)은 외부 고정구조물로부터 베어링 지지된다.
이러한 구조의 프레임(100)은 터닝구동부(110)와 연결된 회전축(111)에 의해 지지된 외팔보 지지구조를 이루게 되는 바, 차후 대형구조물이 놓여지고 터닝 작업이 수행되는 프레임(100)에 대한 보다 안정적인 지지력이 확보될 수 있도록 보강 지지구조를 포함하도록 하고 있다.
즉, 상기 프레임(100)에 일체로 고정되어, 터닝구동부(110)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111)을 중심점으로 하는 원형의 보강프레임(120)을 포함하여 구비한다. 또한, 상기 보강프레임(120)의 외주면에 접촉하도록 보강프레임(120)의 하부에 배치되는 다수개의 지지롤러(130)를 구비한다.
상기 보강프레임(120)은 프레임(100)의 회전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프레임(100)의 공간(S)내로 투입된 대형구조물의 무게중심선에 가까이 배치시켜, 프레임(100)의 공간(S)내로 투입된 대형구조물의 하중을 상기 지지롤러(130)가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대형구조물이 올려진 프레임이 한쪽 터닝구동부(110)와 연결된 회전축(111)과 보강프레임(120)을 받치는 지지롤러(130)에 의해 지지된다.
계속해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프레임(100)에는, 프레임(100)의 공간(S)을 향해 대형구조물을 투입하거나 혹은 터닝 작업 후 전술한 일련의 가공작업을 완료한 후 대형구조물을 이탈시키기 위한 작업이 프레임(100)과 보강프레임(120) 등의 각종 구조물의 간섭 없이 수행될 수 있도록 이동성 보조프레임(140)(140")과, 슬라이딩구동부(145)(145")를 더 포함하여 구비한다.
구체적인 설명에 앞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성 보조프레임(140)(140")은 대형구조물이 투입되는 공간(S)을 사이에 두고 상, 하부에 배치된 한 쌍의 고정용 콘(143)(143")과 대응하여 프레임(100)의 상, 하부에 동일한 구성으로 각각 배치되는 것으로, 도 4 및 도 5를 통해 프레임(100)의 한쪽(하부)에 구 비된 하나의 이동성 보조프레임(140)과 슬라이딩구동부(145)에 대해 설명하기로 하며 그 중복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이동성 보조프레임(140)은, 프레임(100)에 설치된 슬라이딩구동부(145)의 작동으로 인해, 프레임(100)으로부터 전방으로 출몰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 프레임(100)의 측면에 형성된 가이드롤러(147)와 이 가이드롤러(147)에 지지되는 가이드레일(148)을 측면에 구비하도록 하여, 슬라이드 이동 시 정확성과 견고함을 구현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고정용 콘(143)은 이동성 보조프레임(140)의 상면에 배치되어 이동성 보조프레임(140)과 연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고정용 콘(143)을 상승(도면에서 위쪽)이동시키기 위한 척킹용 실린더(141)와 척킹용 로드(142)의 구성 또한 이동성 보조프레임(140)상에 구성될 수 있으나,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척킹용 실린더(141)로부터 상부를 향해 승, 하강하는 척킹용 로드(142)는 프레임(100)상에 고정된 구조를 이루도록 하고, 상기 이동성 보조프레임(140)에 놓여진 고정용 콘(143)이 척킹용 로드(142)와 탈 부착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프레임(100)에 설치된 척킹용 실린더(141)의 미 작동 시 척킹용 로드(142)가 고정용 콘(143)과 분리된 상태를 취하고 있으며, 고정용 콘(143)상에 대형구조물을 안착시켜 이동성 보조프레임(140)과 함께 프레임(100)의 공간(S)내로 이동된 후에는 고정용 콘(143)이 척킹용 로드(142)의 상면에 위치하게 된다. 이후 척킹용 실린더(141)의 작동으로 상승하는 척킹용 로드(142)의 상단(142a)과 고정용 콘(143)의 하단(143a)이 결합되어 결국 이동성 보조프레임(140)상의 고정용 콘(143)이 연동하여 상승하게 된다.
이러한 척킹용 로드(142)와 고정용 콘(143)의 탈 부착 구조를 통해, 대형구조물이 안착되는 이동성 보조프레임(140)의 하중부담을 줄이고, 보강프레임(120)과 지지롤러(130)의 지지점으로부터 장치의 하중분포가 크게 변화됨으로서 발생되었던 장치의 구조적인 불안전요소를 배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슬라이딩구동부(145)는, 프레임(100)에 설치되어 프레임(100)의 전방을 향하는 출력단이 이동성 보조프레임(140)과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실린더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전술한 실시예와 같이 척킹용 로드(142)와 고정용 콘(143)의 탈 부착 형태를 이루는 구조에 있어서, 이러한 슬라이딩구동부(145)는 항상 척킹용 로드(142)와 고정용 콘(143)이 분리된 상태에서만 작동 가능한 상태를 취하도록 하여, 오작동에 의해 척킹용 로드(142)와 고정용 콘(143)의 결합부에 파손 등의 우려를 예방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턴오버 장치를 이용하여 중공 구조를 가지는 대형구조물인 선박용 프로펠러를 실시예로 한 터닝 작업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프레임으로부터 이동성 보조프레임이 슬라이딩되어 출몰한 상태를 보이는 사시도를, 도 7은 본 발명의 프레임에 프로펠러가 놓여진 상태를 보이는 사시도를, 도 8은 본 발명의 이동성 보조프레임에 의하여 프로펠러가 프레임으로 투입된 상태를 보이는 사시도를, 도 9는 본 발명의 프레임의 회전에 의하여 프로펠러가 터닝되는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이다.
먼저 도 6에서와 같이, 작업 대상물인 프로펠러(P)를 안착시키기 전, 프레임(100)의 한쪽(아래쪽) 슬라이딩구동부(145)를 작동하여 이동성 보조프레임(140)을 프레임(100)의 전방으로 이동하여 출몰시킨다.
이후, 도 7에서와 같이, 프로펠러(P)의 중공부(P1)를 이동성 보조프레임(140)의 상면에 놓여진 고정용 콘(143)에 안착시킨다.
이후, 슬라이딩구동부(145)를 반대 작동시켜, 이동성 보조프레임(140)을 프레임(100)을 향해 반대 이동시켜 프로펠러(P)를 공간(S)내로 투입 완료한다.
이후, 도 8에서와 같이, 프로펠러(P)를 사이에 두고 프레임(100)의 상, 하부에 배치되는 한 쌍의 고정용 콘(143)(143")이 상호 대향하게 근접하도록 척킹용 실린더(141)(141")를 작동시킨다. 이때 이러한 한 쌍의 고정용 콘(143)(143")의 상호 근접하여 이동하는 것에 의해 프로펠러(P)는 아래쪽 고정용 콘(143)의 상승과 함께 연동하여 상승하다가 중공부(P1)의 상면이 위쪽 고정용 콘(143")에 밀착되는 것으로, 프레임(100)의 공간(S) 중앙부에 고정 위치한 상태를 취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프로펠러(P)의 투입과 고정이 완료되면, 터닝구동부(110)를 작동시켜 프레임(100)을 회전시키게 되며, 이때 회전하는 프레임(100)과 함께 원형의 보강프레임(120)은 연동하여 회전하게 되며, 아울러 지지롤러(130)는 회전하는 보강프레임(120)의 하단 외주면을 지지하며, 회전 중인 프레임(100), 보강프레임(120) 및 프로펠러(P)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한편, 프로펠러(P)의 투입 및 이탈과정에서 필요로 되는 상기 이동성 보조프레임(140)(140") 및 슬라이딩구동부(145)(145")는 항상 하부(아래쪽) 프레임(100) 에서만 작동되는 것이 당연하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도시된 바와 달리, 이동성 보조프레임(140)(140") 및 슬라이딩구동부(145)(145")는 'ㄷ'자형의 프레임(100)의 한쪽(아래쪽)에만 설치 구성될 수 있는 것이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같이, 프로펠러(P)에 대해 프레임(100)의 양쪽(위아래)에 모두 설치 구성하여 둠으로서, 프로펠러(P)의 턴오버 횟수 및 턴오버된 프로펠러(P)의 위치와 무관하게 프로펠러(P)의 투입과 이탈 작업을 자유롭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와 같은 실시예에 의한 턴오버 장치의 경우, 프로펠러(P) 및 프레임(100)의 하중은 전적으로 보강프레임(120)을 지지하는 지지롤러(130)와, 터닝구동부(110)의 회전축(111)에 집중하게 되는데, 특히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초 프로펠러(P)는 투입 시 프레임(100)의 전방으로 이동된 이동성 보조프레임(140)의 상면(고정용 콘)에 올려지게 되는데, 이러한 경우, 중량물인 프로펠러(P)의 하중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롤러(147)와 가이드레일(148)에 의한 프레임(100)과 이동성 보조프레임(140)의 슬라이딩 연결부와, 슬라이딩구동부(145)에 집중하여 발생하게 된다. 이는 결국 장시간 사용함에 따라 이동성 보조프레임(145)의 슬라이딩 연결부가 파손되거나 크게는 이동성 보조프레임뿐만 아니라 올려진 프로펠러(P)가 추락되는 등 큰 산업재해가 야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턴오버 장치의 사시도를,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프레임으로부터 이동성 보조프레임이 슬라 이딩되어 출몰한 상태를 보이는 사시도를,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턴오버 장치의 작동 상태도를 나타낸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턴오버 장치에는, 터닝작업을 위한 대형구조물(프로펠러)을 장치로 투입시키거나 혹은 작업 완료된 대형구조물(프로펠러)을 장치로부터 이탈시키기 위하여, 상기 슬라이딩구동부(145)(145")를 작동시켜 프레임(100)의 전방으로 이동성 보조프레임(140)(140")을 이동시킬 경우, 이동되는 이동성 보조프레임(140)의 하단을 지지하는 지지대(20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이러한 지지대(200)는 턴오버 장치로부터 이격되어 그 전방 바닥에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 차후, 턴오버 장치의 터닝 작업 시, 회전하는 프레임(100), 보강프레임(120) 및 프로펠러(P) 등 장치로부터 간섭이 되지 않도록 충분히 이격된 위치에 설치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 상기 지지대(200)는 이동하는 이동성 보조프레임(140)의 하단에 밀착되는 다수개의 롤러(201)를 구비하는 테이블(202)과, 이 테이블(202)을 지지하는 실린더(203)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렇게 실린더(203)에 의해 지지된 테이블(202)을 통해, 턴오버 장치가 설치되는 작업장의 바닥상태에 대응하여, 항상 이동성 보조프레임(140)의 높이와 동일한 지지대(200)의 높이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지지대(200)는 터닝 작업을 위해 장치를 향해 프로펠러(P)를 투입시키거나 혹은 터닝 및 가공작업이 완료된 프로펠러(P)를 장치로부터 이탈시키기 위하여, 상기 슬라이딩구동부(145)를 작동시켜 프레임(100)으로부터 이동성 보조프레 임(140)을 이동시키는 경우, 프레임(100)과 이동성 보조프레임(145)의 슬라이딩 연결부와, 슬라이딩구동부(145)측에서 집중되었던 하중을 지지대(200)가 대신 부담함으로서, 슬라이딩 연결부와 슬라이딩구동부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 대형 프로펠러 턴오버 장치를 보이는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턴오버 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턴오버 장치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 및 이동성 보조프레임의 구성을 보이는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성 보조프레임의 작동상태를 보이는 측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프레임으로부터 이동성 보조프레임이 슬라이딩되어 출몰한 상태를 보이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프레임에 프로펠러가 놓여진 상태를 보이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이동성 보조프레임에 의하여 프로펠러가 프레임으로 투입된 상태를 보이는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프레임의 회전에 의하여 프로펠러가 터닝되는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턴오버 장치의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턴오버 장치의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지지대의 작동상태를 보이는 부분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프레임
(110) : 터닝구동부
(111) : 회전축
(120) : 보강프레임
(125) : 홈
(130) : 지지롤러
(140),(140") : 이동성 보조프레임
(141),(141") : 척킹용 실린더
(142),(142") : 척킹용 로드
(143),(143") : 고정용 콘
(145),(145") : 슬라이딩구동부
(200) : 지지대
(201) : 롤러
(202) : 테이블
(203) : 실린더
(S) : 공간

Claims (3)

  1. 중공 구조를 가지는 대형구조물이 투입되는 공간(S)이 중앙부에 형성되고, 상기 공간(S)으로 투입된 대형구조물의 중공부를 향하는 한 쌍의 고정용 콘이 공간(S)의 상하부에 위치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한 쌍의 고정용 콘과 각각 연결되어 고정용 콘을 이동시키는 척킹용 실린더를 구비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과 회전축을 통해 연결되어, 프레임을 회전시키는 터닝구동부로 이루어진 턴오버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는 고정용 콘을 프레임의 전방 일측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성 보조프레임;
    상기 이동성 보조프레임을 프레임으로부터 슬라이딩시키는 슬라이딩구동부; 및
    상기 프레임의 전방으로 이동하는 이동성 보조프레임의 하단을 지지하는 지지대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성 보조프레임을 갖는 턴오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상기 이동하는 이동성 보조프레임의 하단에 밀착되는 다수개의 롤러를 구비하는 테이블과; 상기 테이블을 지지하는 실린더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성 보조프레임을 갖는 턴오버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턴오버 장치는 상기 프레임에 일체로 고정되어, 상기 터닝구동부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을 중심점으로 하는 원형의 보강프레임과; 상기 보강프레임의 외주면과 접촉하도록 보강프레임의 하부에 배치되는 다수개의 지지롤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성 보조프레임을 갖는 턴오버 장치.
KR1020080108955A 2008-11-04 2008-11-04 이동성 보조프레임을 갖는 턴오버 장치 KR1012960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8955A KR101296042B1 (ko) 2008-11-04 2008-11-04 이동성 보조프레임을 갖는 턴오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8955A KR101296042B1 (ko) 2008-11-04 2008-11-04 이동성 보조프레임을 갖는 턴오버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9915A KR20100049915A (ko) 2010-05-13
KR101296042B1 true KR101296042B1 (ko) 2013-08-12

Family

ID=422761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8955A KR101296042B1 (ko) 2008-11-04 2008-11-04 이동성 보조프레임을 갖는 턴오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604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16552A (zh) * 2013-08-28 2015-03-18 上海艾郎风电科技发展有限公司 用于叶片的翻转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9119Y1 (ko) * 2011-12-13 2013-10-14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프로펠러 턴오버 장치
KR101327816B1 (ko) * 2012-12-24 2013-11-0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프로펠러 턴 오버 장치 및 그 프로펠러 턴 오버 장치를 이용한 턴 오버 방법
CN109277765B (zh) * 2018-12-10 2023-09-08 宝鸡中车时代工程机械有限公司 底架翻转变位装置
CN115008382A (zh) * 2022-06-12 2022-09-06 上海轩田工业设备有限公司 一种多角度旋转机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8248B1 (ko) 2000-09-08 2005-03-23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대형 프로펠러 턴오버 장치
KR101133873B1 (ko) 2008-02-14 2012-04-06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대차와 터닝 롤러를 이용한 턴오버 장치
KR101148504B1 (ko) 2008-02-14 2012-05-21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슬라이딩 개폐구조 및 터닝 롤러를 이용한 턴오버 장치
KR101177600B1 (ko) 2008-02-14 2012-08-2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대차와 프레임의 회전을 이용한 턴오버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8248B1 (ko) 2000-09-08 2005-03-23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대형 프로펠러 턴오버 장치
KR101133873B1 (ko) 2008-02-14 2012-04-06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대차와 터닝 롤러를 이용한 턴오버 장치
KR101148504B1 (ko) 2008-02-14 2012-05-21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슬라이딩 개폐구조 및 터닝 롤러를 이용한 턴오버 장치
KR101177600B1 (ko) 2008-02-14 2012-08-2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대차와 프레임의 회전을 이용한 턴오버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16552A (zh) * 2013-08-28 2015-03-18 上海艾郎风电科技发展有限公司 用于叶片的翻转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9915A (ko) 2010-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49817A (ko) 턴오버 장치
KR101296042B1 (ko) 이동성 보조프레임을 갖는 턴오버 장치
KR101177600B1 (ko) 대차와 프레임의 회전을 이용한 턴오버 장치
TR201814995T4 (tr) Hareket edebilir iş makinesi, özellikle otomatik beton pompası ve üretim yöntemi.
KR101323435B1 (ko) 회전프레임을 이용한 턴오버 장치
JP2010105146A (ja) 3d可変軸マシーン
KR101295981B1 (ko) 구조물의 정밀위치제어가 가능한 턴오버 장치
KR101133873B1 (ko) 대차와 터닝 롤러를 이용한 턴오버 장치
KR101295929B1 (ko) 이동성 보조프레임을 갖는 턴오버 장치
CN209206169U (zh) 一种轴承座锁片翻边装置
JP2011056991A (ja) 走行車両
JP6117095B2 (ja) ラインマーカー車用清掃機及びラインマーカー車
KR20100049820A (ko) 턴오버 장치의 프로펠러 지지장치
KR101146489B1 (ko) 프레임의 개폐와 터닝 롤러를 이용한 턴오버 장치
CN210879394U (zh) 一种多车型兼容的汽车座椅组装夹具
WO2013111663A1 (ja) 車体移送装置
CN220018109U (zh) 一种菜籽油清洗烘干机的翻转机构
CN212831568U (zh) 一种机械零件生产用便于移动的堆垛机
JPH08141867A (ja) 工作機械のパレット交換装置
CN109332457A (zh) 一种轴承座锁片翻边装置
CN220397186U (zh) 抬升机构和毫米波检测设备
KR20130006727U (ko) 인상용 러그 지지장치
JPS5813823A (ja) 静荷重形抗打機
CN210306743U (zh) 一种带刹车工作台
KR101216954B1 (ko) 수직 순환식 주차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