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5929B1 - 이동성 보조프레임을 갖는 턴오버 장치 - Google Patents

이동성 보조프레임을 갖는 턴오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5929B1
KR101295929B1 KR1020080108820A KR20080108820A KR101295929B1 KR 101295929 B1 KR101295929 B1 KR 101295929B1 KR 1020080108820 A KR1020080108820 A KR 1020080108820A KR 20080108820 A KR20080108820 A KR 20080108820A KR 101295929 B1 KR101295929 B1 KR 1012959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movable auxiliary
auxiliary frame
turnover device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88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49821A (ko
Inventor
노태양
신상룡
염두식
이지형
이윤식
전병진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088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5929B1/ko
Publication of KR201000498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98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59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59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6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tools or equipment; characterised by automation, e.g. use of robo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7/00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17/0018Arrangement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access to underwater elements, e.g. to propellers ; Externally attached cofferdam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20Building or assembling prefabricated vessel modules or parts other than hull blocks, e.g. engine rooms, rudders, propellers, superstructures, berths, holds or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85/00Dismantling or scrapping vess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1/00Propulsive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 B63H1/02Propulsive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rotary type
    • B63H1/12Propulsive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rotary type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in propulsive direction
    • B63H1/14Propell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 Y02T70/10Measures concerning design or construction of watercraft hu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턴오버 장치에 관한 것이며, 그 목적은 대형구조물의 안착, 이동, 투입 작업을 위한 이동성 보조프레임을 일체로 구성함으로서, 프레임의 구조를 단순화하면서도 작업 공간의 활용을 높일 수 있는 턴오버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중공 구조를 가지는 대형구조물이 투입되는 공간이 중앙부에 형성되고, 상기 공간으로 투입된 대형구조물의 중공부를 향하는 한 쌍의 고정용 콘이 공간의 상하부에 위치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한 쌍의 고정용 콘과 각각 연결되어 고정용 콘을 이동시키는 척킹용 실린더를 구비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과 회전축을 통해 연결되어, 프레임을 회전시키는 터닝구동부로 이루어진 턴오버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는 고정용 콘을 프레임의 전방 일측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성 보조프레임; 상기 이동성 보조프레임을 프레임으로부터 슬라이딩시키는 슬라딩구동부; 및 상기 이동성 보조프레임에 설치된 고정용 콘과 프레임에 설치된 척킹용 실린더를 분리 또는 결합시키는 탈장착 결합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한 이동성 보조프레임을 갖는 턴오버 장치에 관한 것을 그 기술적 요지로 한다.
턴오버, 프로펠러, 프레임, 보조프레임, 터닝구동부

Description

이동성 보조프레임을 갖는 턴오버 장치{Turnover device with sliding transfer frames}
본 발명은 대상물에 대한 턴오버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대형 선박의 프로펠러와 같이 중심축 상에 중공 형태의 구조(hollow-type)를 갖는 대형구조물을 뒤집기 위한 턴오버(turn-over)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형 프로펠러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프로펠러의 주조 후 기계가공(압탕 자르기, 프로펠러 들기용 아이 볼트 홀 작업, 보스(boss) 하면 작업, 보스 상면 가공, 내경 보링, 전진면 날개 밀링, 후진면 날개 밀링, 전진면 그라인딩, 후진면 그라인딩, 검사 출고 등)을 하기 위해 대략 6~8회 정도 뒤집어 주어야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프로펠러를 뒤집어 주는 턴오버 작업은 아래와 같은 공정에 의해 수행되었다. ①프로펠러 보스 측면 중앙부에 나사산으로 가공된 홀에 프로펠러 턴오버용 아이 볼트를 체결한다. ②아이 볼트에 주권 와이어 로프를 연결하고, 오버 헤드 크레인으로 프로펠러를 들어올려 수직으로 세운다. ③아래쪽으로 향 한 프로펠러 날개에 오버 헤드 크레인의 보권 와이어 로프를 감아서 끌어올림으로써 프로펠러를 수평으로 맞춘다. ④수평상태인 프로펠러를 고운 모래로 채워진 피트(Pit) 위에 내려놓는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와이어 로프를 이용한 방법은 와이어 로프가 굵고 무거워 취급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턴오버 작업시 날개에 손상이 발생될 우려가 높으며, 더욱이 안전사고의 위험이 높은 단점이 있었다.
이에 본 출원인은 대형 프로펠러의 턴오버 작업을 보다 용이하고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하는 턴오버 장치를 발명하였으며, 이러한 턴오버 장치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478248호에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턴오버 장치의 구성을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좌ㅇ우측 하부 프레임(24,24')의 상부에 상부 프레임(22,22')이 각각 조립 설치되고, 상부 프레임(22,22')에 메인 스핀들(12)이 설치되며, 상기 메인 스핀들(12)에 메인 붐(10,10')이 설치된 것으로 구성되며, 상기 메인 붐(10,10')에 프로펠러를 고정하기 위한 유압실린더(40)와 보스 테이블(14)과 보스 콘 축(38) 및 보스 콘(16)이 구비되고, 상기 상부 프레임(22)에 메인 스핀들(12)의 회전을 위한 유압모터(36)가 구비된 것으로 구성되어, 대형 프로펠러의 턴오버 작업을 용이하고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턴오버 장치는 중량물을 위치시키기 위한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서 메인 붐이 수평방향으로 회전해야만 하며, 이때 상부의 메인 붐은 회전 조인트에 대해서 외팔보 구조를 띄게 되므로 회전 조인트 부분에서의 과도한 부하로 인해 잦은 고장과 장치의 수명이 짧아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중량물을 위치 시키기 위한 메인 붐의 길이가 과도하고, 메인 붐과 중량물이 결합되어 턴오버 되므로 장치의 크기와 작업에 소요되는 면적이 과도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프로펠러와 같이 중공 구조를 가지는 대형구조물의 터닝 작업 시, 대형구조물의 안착, 이동, 투입 작업을 위한 이동성 보조프레임을 일체로 구성함으로서, 프레임의 구조를 단순화하면서도 작업 공간의 활용을 높일 수 있는 턴오버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고 종래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중공 구조를 가지는 대형구조물이 투입되는 공간이 중앙부에 형성되고, 상기 공간으로 투입된 대형구조물의 중공부를 향하는 한 쌍의 고정용 콘이 공간의 상하부에 위치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한 쌍의 고정용 콘과 각각 연결되어 고정용 콘을 이동시키는 척킹용 실린더를 구비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과 회전축을 통해 연결되어, 프레임을 회전시키는 터닝구동부로 이루어진 턴오버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는 고정용 콘을 프레임의 전방 일측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성 보조프레임;
상기 이동성 보조프레임을 프레임으로부터 슬라이딩시키는 슬라딩구동부; 및
상기 이동성 보조프레임에 설치된 고정용 콘과 프레임에 설치된 척킹용 실린더를 분리 또는 결합시키는 탈장착 결합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다.
상기와 같은 수단으로부터 본 발명은 기존의 개폐 타입에 의한 프레임이 아닌 고정성 프레임을 이용하여 대형구조물의 투입 및 턴오버 작업을 수행함으로서, 보다 작은 공간에 설치가 가능하여 공간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으며, 대형구조물을 지지하는 프레임의 기능적인 구조를 단순화하는 한편 지지하는 대형구조물의 하중 및 턴오버 작업 시 고려되어야 하는 하중으로부터 충분한 강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한 작업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과 연계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턴오버 장치의 사시도를,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턴오버 장치의 측면도를 보이는 것으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턴오버 장치는, 프레임(100), 터닝구동부(110) 및 지지롤러(130)를 포함한다.
프레임(100)은 전술한 대형 프로펠러와 같이 중공 구조를 가지는 대형구조물이 투입되는 공간(S)이 중앙부에 형성되게 일측이 개방된"ㄷ"자 형성되고, 상기 공간(S)으로 투입된 대형구조물의 중공부를 향하는 한 쌍의 고정용 콘(143)(143")이 공간(S)의 상하부에 위치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한 쌍의 고정용 콘(143)(143")과 각각 연결되어 고정용 콘(143)(143")을 이동시키는 척킹용 실린더(141)(141")를 구비한다.
터닝구동부(110)는 상기 프레임(100)을 회전시키는 것으로, 프레임(100)의 일측 중앙부와 연결되는 회전축(111)을 통해 프레임(100)과 연결된다. 상기 회전축(111)은 외부 고정구조물로부터 베어링 지지된다.
이러한 구조의 프레임(100)은 터닝구동부(110)와 연결된 회전축(111)에 의해 지지된 외팔보 지지구조를 이루게 되는 바, 차후 대형구조물이 놓여지고 터닝 작업이 수행되는 프레임(100)에 대한 보다 안정적인 지지력이 확보될 수 있도록 보강 지지구조를 포함하도록 하고 있다.
즉, 상기 프레임(100)에 일체로 고정되어, 터닝구동부(110)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111)을 중심점으로 하는 원형의 보강프레임(120)을 포함하여 구비한다. 또한, 상기 보강프레임(120)의 외주면에 접촉하도록 보강프레임(120)의 하부에 배치되는 다수개의 지지롤러(130)를 구비한다.
상기 보강프레임(120)은 프레임(100)의 회전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프레임(100)의 공간(S)내로 투입된 대형구조물의 무게중심선에 가까이 배치시켜, 프레임(100)의 공간(S)내로 투입된 대형구조물의 하중을 상기 지지롤러(130)가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100)에는, 프레임(100)의 공간(S)을 향해 대형구조물을 투입하거나 혹은 터닝 작업 후 전술한 일련의 가공작업을 완료한 후 대형 구조물을 이탈시키기 위한 작업이 프레임(100)과 보강프레임(120) 등의 각종 구조물의 간섭 없이 수행될 수 있도록 이동성 보조프레임(140)(140")과, 슬라이딩구동부(145)(145")를 더 포함하여 구비한다.
이동성 보조프레임(140)(140")은 대형구조물이 투입되는 공간(S)을 사이에 두고 상, 하부에 배치된 한 쌍의 고정용 콘(143)(143")과 대응하여 프레임(100)의 상, 하부에 동일한 구성으로 각각 배치되는 것으로, 이하 도 4 내지 도 8을 통해 프레임(100)의 한쪽(하부)에 구비된 하나의 이동성 보조프레임(140)과 슬라이딩구동부(145)에 대해 설명하기로 하며 그 중복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즉,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 및 이동성 보조프레임의 구성을 보이는 분리 사시도를,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성 보조프레임의 작동상태를 보이는 측 단면도를 도시한 것으로,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전술한 턴오버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0)에는 공간(S)을 향해 상부(도면에서 위쪽)로 척킹용 로드(142)를 출몰시키는 척킹용 실린더(141)가 구비된다.
상기 이동성 보조프레임(140)은 프레임(100)을 감싸는 형상으로 구비되어, 닫힘 상태(슬라이딩구동부(145)의 미작동 시)에서 상기 척킹용 로드(142)를 공간(S)으로 관통시키는 관통홈(1400)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홈(1400)의 상면에 형성된 안착부(1401)에 상기 고정용 콘(143)이 안착 위치된다. 이렇게 이동성 보조프레임(140)의 안착부(1401)에 놓여진 상태에서의 고정용 콘(143)은 정위치 시(미 출몰상태) 이동성 보조프레임(140)에 고정된 상태를 취하게 된다.
즉, 슬라이딩구동부(145)의 미작동 시(닫힘 상태) 이동성 보조프레임(140)에 안착된 고정용 콘(143)은 프레임(100)에 설치된 척킹용 로드(142)와 동일 축 선상에 위치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공간(S)을 향해 척킹용 로드(142)와 이동시킬 시 이동성 보조프레임(140)으로부터 이탈되어 척킹용 로드(142)와 연동하여 이동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상기 고정용 콘(143)은 이동성 보조프레임(140) 혹은 척킹용 로드(142)와 각각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것으로, 이러한 선택적인 탈장착 결합구조를 구현하기 위한 결합수단을 포함하여 구비한다.
상기 탈장착 결합수단으로서, 상기 이동성 보조프레임(140)의 상면 안착부(1401)에 놓여진 고정용 콘(143)에는, 상기 척킹용 실린더(141)의 작동으로 이동하는 척킹용 로드(142)의 상단(1421)이 삽입되는 수용홈(1431)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1431)의 내주연에는 삽입된 척킹용 로드(142)의 상단(1421) 외주연에 형성된 결합홈(1422)을 향해 끼워지는 클램프(1432)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고정용 콘(143)에 구비된 클램프(1432)에 대한 상세 구성은 비록 구체적인 도면으로 도시되진 않았으나, 이러한 클램프(1432)는 일반적으로 선반 등 공작기계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척(chuck)과 같은 구조로부터 구현 가능한 것으로, 다수개의 클램프(1432)가 상기 척킹용 로드(142)의 중심을 향해 오므려지거나 벌어지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레임(100)과 이동성 보조프레임(140)은 상호 대향하는 양 측면에 형성된 가이드롤러(1010)와 가이드레일(1410)을 통해 결합되어 슬라이딩구동 부(145)의 작동으로부터 이동성 보조프레임(140)은 프레임(100)의 전방으로 이동 가능한 상태를 취하게 된다. 또한 상기 프레임(100)과 이동성 보조프레임(140)은 대향하는 그 전면 혹은 후면에는 상호 대응하는 스토퍼용 끼움구(1415)와 끼움홈(1015)을 각각 형성함으로서, 이동성 보조프레임(140)이 프레임(100)에 완전히 닫힌 상태(슬라이딩구동부 미작동) 혹은 이동성 보조프레임(140)이 프레임(100)의 전방으로 이동하여 완전 열린 상태(슬라이딩구동부 작동완료)에서 스토퍼용 끼움구(1415)와 끼움홈(1015)이 결합되도록 한다. 즉, 이와 같이 상기 가이드롤러(1010)와 가이드레일(1410)결합구조 및 스토퍼용 끼움구(1415)와 끼움홈(1015)결합구조를 구현함으로서, 상호 슬라이딩 상대 운동하는 프레임(100)과 이동성 보조프레임(140)의 직선운동을 안정적으로 가이드 하는 한편 대형구조물의 투입을 위해 열림 상태를 취하거나 혹은 대형구조물을 터닝작업 시키기 위해 닫힘 상태를 취하게 되는 이동성 보조프레임(140)의 위치에 대한 정확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나아가 이러한 이동성 보조프레임(140)의 위치 정확성은 상기 탈장착 결합수단을 통해 척킹용 로드(142)와 고정용 콘(143)의 결합의 정확성을 확보할 수 있어, 잦은 탈장착 구동에도 불구하고 축, 베어링, 등 부품에 대한 내구성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슬라이딩구동부(145)는, 프레임(100)에 설치되어 프레임(100)의 전방을 향해 인출되는 출력단이 이동성 보조프레임(140)과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실린더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전술한 척킹용 로드(142)와 고정용 콘(143)의 탈장착 결합수단을 구비함으로 인해, 이러한 이동성 보조프레임(140)을 작동시키는 슬라이딩구동 부(145)는 항상 척킹용 로드(142)와 고정용 콘(143)이 분리된 상태에서만 작동 가능한 상태를 취하도록 하여, 오작동으로 인해 척킹용 로드(142)와 고정용 콘(143)의 결합부에 대한 파손 우려를 예방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턴오버 장치를 이용하여 중공 구조를 가지는 대형구조물인 선박용 프로펠러를 실시예로 한 터닝 작업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프레임으로부터 이동성 보조프레임이 슬라이딩되어 출몰한 상태를 보이는 사시도를, 도 10은 본 발명의 이동성 보조프레임에 프로펠러가 놓여진 상태를 보이는 사시도를, 도 11은 본 발명의 이동성 보조프레임에 의하여 프로펠러가 프레임으로 투입된 상태를 보이는 사시도를, 도 12는 본 발명의 프레임의 회전에 의하여 프로펠러가 터닝되는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이다.
먼저 도 9를 참조하여, 작업 대상물인 프로펠러를 안착시키기 전, 프레임(100)의 한쪽(아래쪽) 슬라이딩구동부(145)를 작동하여 이동성 보조프레임(140)을 프레임(100)의 전방으로 이동하여 출몰시킨다.
이후, 프로펠러(P)의 중공부(P1)를 이동성 보조프레임(140)의 상면에 놓여진 고정용 콘(143)에 안착시킨다.
이후, 슬라이딩구동부(145)를 반대 작동시켜, 이동성 보조프레임(140)을 프레임(100)을 향해 반대 이동시켜 프로펠러(P)를 공간(S)내로 투입 완료한다.
이렇게 프로펠러(P)를 프레임(100)의 공간(S)내로 투입 완료한 이동성 보조프레임(145)의 닫힘 완료 시, 이동성 보조프레임(145)의 일면에 형성된 스토퍼용 끼움구(1415)와 대응하는 프레임(100)의 일면에 형성된 스토퍼용 끼움홈(1015)이 결합된 상태를 취한다. 결국 이동성 보조프레임(140)에 안착된 고정용 콘(143)과 척킹용 로드(142)는 프로펠러(P)의 중공부(P1)와 나란한 동일 축 선상에 위치하게 된다.(도 4참조)
이후, 프로펠러(P)를 사이에 두고 프레임(100)의 상, 하부에 배치되는 한 쌍의 고정용 콘(143)(143")이 상호 대향하게 근접하도록 척킹용 실린더(141)(141")를 작동시키게 되는데, 상기 척킹용 실린더(141)(141")의 작동으로 이동하는 척킹용 로드(142)(142")의 상단(1421)이 이동성 보조프레임(140)(140")에 안착된 고정용 콘(143)(143")의 수용홈(1431)에 삽입되는 순간, 상기 척킹용 실린더(141)(141")는 순간 작동이 멈추게 되며, 이후, 고정용 콘(143)(143")에 구비된 클램프(1432)를 작동시켜, 상기 척킹용 로드(142)(142")의 상단(1421)과 결합시키게 된다.
이후, 다시 척킹용 실린더(141)(141")를 작동시켜 마주하는 한 쌍의 고정용 콘(143)(143")을 이동시켜 프로펠러(P)의 중공부(P1)를 밀착 가압시키며 프로펠러(P)를 프레임(100)의 공간(S) 중앙부에 정확히 고정 완료시킨다.
이상과 같이 프로펠러(P)의 투입과 고정이 완료되면, 터닝구동부(110)를 작동시켜 프레임(100)을 회전시키게 되며, 이때 회전하는 프레임(100)과 함께 원형의 보강프레임(120)은 연동하여 회전하게 되며, 아울러 지지롤러(130)는 회전하는 보강프레임(120)의 하단 외주면을 지지하며, 회전 중인 프레임(100), 보강프레임(120) 및 프로펠러(P)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한편, 프로펠러(P)의 투입 및 이탈과정에서 필요로 되는 상기 이동성 보조프 레임(140)(140") 및 슬라이딩구동부(145)(145")는 항상 하부(아래쪽) 프레임(100)에서만 작동되는 것이 당연하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도시된 바와 달리, 이동성 보조프레임(140)(140") 및 슬라이딩구동부(145)(145")는 'ㄷ'자형의 프레임(100)의 한쪽(아래쪽)에만 설치 구성될 수 있는 것이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같이, 프로펠러(P)에 대해 프레임(100)의 양쪽(위아래)에 모두 설치 구성하여 둠으로서, 프로펠러(P)의 턴오버 횟수 및 턴오버된 프로펠러(P)의 위치와 무관하게 프로펠러(P)의 투입과 이탈 작업을 자유롭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 대형 프로펠러 턴오버 장치를 보이는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턴오버 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턴오버 장치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 및 이동성 보조프레임의 구성을 보이는 분리 사시도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성 보조프레임의 작동상태를 보이는 측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프레임으로부터 이동성 보조프레임이 슬라이딩되어 출몰한 상태를 보이는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프레임에 프로펠러가 놓여진 상태를 보이는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이동성 보조프레임에 의하여 프로펠러가 프레임으로 투입된 상태를 보이는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프레임의 회전에 의하여 프로펠러가 터닝되는 모습을 보이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프레임
(110) : 터닝구동부
(111) : 회전축
(120) : 보강프레임
(130) : 지지롤러
(140),(140") : 이동성 보조프레임
(141),(141") : 척킹용 실린더
(142),(142") : 척킹용 로드
(143),(143") : 고정용 콘
(145),(145") : 슬라이딩구동부
(S) : 공간

Claims (4)

  1. 중공 구조를 가지는 대형구조물이 투입되는 공간(S)이 중앙부에 형성되고, 상기 공간(S)으로 투입된 대형구조물의 중공부를 향하는 한 쌍의 고정용 콘이 공간(S)의 상하부에 위치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한 쌍의 고정용 콘과 각각 연결되어 고정용 콘을 이동시키는 척킹용 실린더를 구비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과 회전축을 통해 연결되어, 프레임을 회전시키는 터닝구동부로 이루어진 턴오버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는 고정용 콘을 프레임의 전방 일측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성 보조프레임;
    상기 이동성 보조프레임을 프레임으로부터 슬라이딩시키는 슬라딩구동부; 및
    상기 이동성 보조프레임에 설치된 고정용 콘과 프레임에 설치된 척킹용 실린더를 분리 또는 결합시키는 탈장착 결합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성 보조프레임을 갖는 턴오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장착 결합수단은, 상기 이동성 보조프레임의 상면에 안착된 고정용 콘의 하단에 상기 척킹용 실린더의 작동으로 이동하는 척킹용 로드가 삽입되는 수용홈을 형성하고, 상기 수용홈의 내주연에는 삽입된 척킹용 로드의 외주연에 형성된 결합홈을 향해 끼워지는 클램프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성 보조프레 임을 갖는 턴오버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구동부의 작동으로 상호 슬라이딩 이동하는 이동성 보조프레임과 프레임의 일측 대응면에는, 이동성 보조프레임의 완전 닫힘 또는 완전 열림 상태에서 결합되는 스토퍼용 끼움구와 끼움홈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성 보조프레임을 갖는 턴오버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턴오버 장치는, 상기 프레임에 일체로 고정되어, 상기 터닝구동부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을 중심점으로 하는 원형의 보강프레임과; 상기 보강프레임의 외주면과 접촉하도록 보강프레임의 하부에 배치되는 다수개의 지지롤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성 보조프레임을 갖는 턴오버 장치.
KR1020080108820A 2008-11-04 2008-11-04 이동성 보조프레임을 갖는 턴오버 장치 KR1012959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8820A KR101295929B1 (ko) 2008-11-04 2008-11-04 이동성 보조프레임을 갖는 턴오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8820A KR101295929B1 (ko) 2008-11-04 2008-11-04 이동성 보조프레임을 갖는 턴오버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9821A KR20100049821A (ko) 2010-05-13
KR101295929B1 true KR101295929B1 (ko) 2013-08-13

Family

ID=422760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8820A KR101295929B1 (ko) 2008-11-04 2008-11-04 이동성 보조프레임을 갖는 턴오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592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175336B (zh) * 2023-01-31 2023-09-19 江苏万恒铸业有限公司 一种用于加工法兰式蝶阀阀体的磨削设备及其磨削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8248B1 (ko) 2000-09-08 2005-03-23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대형 프로펠러 턴오버 장치
KR101133873B1 (ko) 2008-02-14 2012-04-06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대차와 터닝 롤러를 이용한 턴오버 장치
KR101148504B1 (ko) 2008-02-14 2012-05-21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슬라이딩 개폐구조 및 터닝 롤러를 이용한 턴오버 장치
KR101177600B1 (ko) 2008-02-14 2012-08-2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대차와 프레임의 회전을 이용한 턴오버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8248B1 (ko) 2000-09-08 2005-03-23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대형 프로펠러 턴오버 장치
KR101133873B1 (ko) 2008-02-14 2012-04-06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대차와 터닝 롤러를 이용한 턴오버 장치
KR101148504B1 (ko) 2008-02-14 2012-05-21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슬라이딩 개폐구조 및 터닝 롤러를 이용한 턴오버 장치
KR101177600B1 (ko) 2008-02-14 2012-08-2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대차와 프레임의 회전을 이용한 턴오버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9821A (ko) 2010-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49817A (ko) 턴오버 장치
KR101177600B1 (ko) 대차와 프레임의 회전을 이용한 턴오버 장치
CN101469603B (zh) 钻杆自动装卸系统
EP2801439B1 (en) Vertical machining center
KR101296042B1 (ko) 이동성 보조프레임을 갖는 턴오버 장치
KR101148504B1 (ko) 슬라이딩 개폐구조 및 터닝 롤러를 이용한 턴오버 장치
KR101295929B1 (ko) 이동성 보조프레임을 갖는 턴오버 장치
CN212421288U (zh) 一种可调节三臂组合机械手
CN212145095U (zh) 一种用于标准节的旋转式夹持机构
CN112264884A (zh) 一种可对汽车摆臂进行孔径检测的内槽打磨装置
KR101133873B1 (ko) 대차와 터닝 롤러를 이용한 턴오버 장치
KR101323435B1 (ko) 회전프레임을 이용한 턴오버 장치
CN108356581B (zh) 一种工件双面加工用双开式工作台
KR101295981B1 (ko) 구조물의 정밀위치제어가 가능한 턴오버 장치
KR101146489B1 (ko) 프레임의 개폐와 터닝 롤러를 이용한 턴오버 장치
CN107322545A (zh) 一种主轴单元装配翻转工装结构
CN207087807U (zh) 主轴单元装配翻转工装结构
CN107877077B (zh) 一种子母卡盘装置
JP4839479B2 (ja) 内歯シェービング装置
CN210879394U (zh) 一种多车型兼容的汽车座椅组装夹具
CN220921433U (zh) 一种下孔径管材环缝焊接工件驱动机构
CN219161540U (zh) 一种辅助电机转子动平衡试验的工装
CN211193620U (zh) 一种轴承座加工用夹紧工装
CN211248421U (zh) 转轴镗排加工设备
CN203062003U (zh) 滚齿机自动开合外支架总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