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5827B1 - 차량용 램프 - Google Patents

차량용 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5827B1
KR101295827B1 KR1020120010856A KR20120010856A KR101295827B1 KR 101295827 B1 KR101295827 B1 KR 101295827B1 KR 1020120010856 A KR1020120010856 A KR 1020120010856A KR 20120010856 A KR20120010856 A KR 20120010856A KR 101295827 B1 KR101295827 B1 KR 1012958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unit
lamp
lens
center line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08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수
박기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엘 서봉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엘 서봉, 에스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엘 서봉
Priority to KR10201200108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58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58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58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1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1/14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F21S41/141Light emitting diodes [LED]
    • F21S41/143Light emitting diodes [LED] the main emission direction of the LED being parallel to the optical axis of the illuminating dev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1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1/14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F21S41/141Light emitting diodes [LED]
    • F21S41/151Light emitting diodes [LED] arranged in one or more l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2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1/25Projection lenses
    • F21S41/255Lenses with a front view of circular or truncated circular outli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5/00Refractors for light sources
    • F21V5/04Refractors for light sources of lens sha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을 조사하기 위한 광원유닛; 및 상기 광원유닛으로부터 조사된 광을 전방으로 조사하기 위한 렌즈부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부는 렌즈부 외곡면, 렌즈부 좌측단부 및 렌즈부 우측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부의 좌측단부의 일정영역 및 상기 렌즈부의 우측단부의 일정영역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역이 절단된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으로, 렌즈부의 좌측단부의 일정영역과 우측단부의 일정영역을 절단함에 의해, 가장자리부에서 발생할 수 있는 파장분리로 인한 눈부심을 방지함과 동시에, 램프 사이즈를 감소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램프{A Lamp for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배광 패턴을 적절히 형성할 수 있는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램프는 대향 운전자의 시야를 방해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빛의 조사각도를 상하로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최근에는 상향램프와 하향램프를 포함하고 있다.
이때, 상기 하향램프의 일례로써, 차량용 램프 상단 가장자리에 컷오프 라인(cutoff line)을 갖는 하향램프용 배광 패턴을 형성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고, 이에 따라 반대측 차량의 운전자들을 눈부시게 하지 않도록 하면서, 그 하향램프가 설치된 차량의 운전자의 전방 시인성을 최대한 확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최근에는 발광 소자를 광원으로 하는 차량용 램프의 개발이 활발히 행해지고 있고, 그 일례로써, 발광 소자를 광원으로 하는 광원 모듈을 복수개 구성하고, 각 광원 모듈에서의 광조사 패턴들을 중합시킴으로써, 하향램프용 배광 패턴을 형성하는 차량용 램프가 제안되고 있다.
이러한 차량용 램프에서는 안전상의 관점에서 높은 정밀도로 배광 패턴을 형성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러한 이 배광 패턴은 주로, 반사경 또는 렌즈 등을 이용한 광학계에 의해 형성되나, 이 경우, 광학계 설계의 복잡화에 의해 적절한 배광 패턴을 형성하기가 곤란한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종래의 차량용 램프의 구조를 개선하여, 다양한 배광 패턴을 적절히 형성할 수 있는 차량용 램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지적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광을 조사하기 위한 광원유닛; 및 상기 광원유닛으로부터 조사된 광을 전방으로 조사하기 위한 렌즈부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부는 렌즈부 외곡면, 렌즈부 좌측단부 및 렌즈부 우측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부의 좌측단부의 일정영역 및 상기 렌즈부의 우측단부의 일정영역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역이 절단된 차량용 램프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차량용 램프는 차량의 좌측에 위치하는 좌측 램프이고, 상기 렌즈부의 우측단부가 절단되는 차량용 램프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차량용 램프는 차량의 우측에 위치하는 우측 램프이고, 상기 렌즈부의 좌측단부가 절단되는 차량용 램프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렌즈부는 렌즈부 내곡면을 더 포함하며, 상기 렌즈부 내곡면은 일정 곡률을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렌즈부 외곡면은 일정 길이의 원둘레, 상기 원둘레의 중심 및 상기 원둘레의 중심을 기준으로 한, 원둘레 중심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렌즈부는 초점(F) 및 상기 초점을 기준으로 한 초점(F) 중심라인을 포함하며, 상기 초점(F) 중심 라인과 상기 원둘레 중심라인이 일치하지 않으면서, 상기 렌즈부 내곡면의 임의의 적어도 2점에서 서로 다른 곡률반경을 갖는 차량용 램프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렌즈부 외곡면은 일정 길이의 원둘레, 상기 원둘레의 중심 및 상기 원둘레의 중심을 기준으로 한, 원둘레 중심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렌즈부는 초점(F) 및 상기 초점을 기준으로 한 초점(F) 중심라인을 포함하며, 상기 초점(F) 중심 라인과 상기 원둘레 중심라인이 일치하지 않으면서, 상기 렌즈부 내곡면의 모든 점에서 동일한 곡률반경을 갖는 것을 차량용 램프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렌즈부 외곡면은 일정 길이의 원둘레, 상기 원둘레의 중심 및 상기 원둘레의 중심을 기준으로 한, 원둘레 중심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렌즈부는 초점(F) 및 상기 초점을 기준으로 한 초점(F) 중심라인을 포함하며, 상기 초점(F) 중심 라인과 상기 원둘레 중심라인이 일치하면서, 상기 렌즈부 내곡면의 임의의 적어도 2점에서 서로 다른 곡률반경을 갖는 차량용 램프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개의 개별 램프로 이루어진 차량용 램프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개별 램프 각각은 광을 조사하기 위한 광원유닛; 및 상기 광원유닛으로부터 조사된 광을 전방으로 조사하기 위한 렌즈부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부는 렌즈부 외곡면, 렌즈부 내곡면, 렌즈부 좌측단부 및 렌즈부 우측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렌즈부의 좌측단부의 일정영역 및 상기 렌즈부의 우측단부의 일정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이 절단된 형상을 가지고, 상기 렌즈부 내곡면은 일정 곡률을 포함하고, 상기 렌즈부 외곡면은 일정 길이의 원둘레, 상기 원둘레의 중심 및 상기 원둘레의 중심을 기준으로 한, 원둘레 중심라인을 포함하며, 상기 렌즈부는 초점(F) 및 상기 초점을 기준으로 한 초점(F) 중심라인을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복수개의 개별 램프는, 상기 초점(F) 중심 라인과 상기 원둘레 중심라인이 일치하지 않으면서, 상기 렌즈부 내곡면의 임의의 적어도 2점에서 서로 다른 곡률반경을 가지는 제1램프, 상기 초점(F) 중심 라인과 상기 원둘레 중심라인이 일치하지 않으면서, 상기 렌즈부 내곡면의 모든 점에서 동일한 곡률반경을 가지는 제2램프, 상기 초점(F) 중심 라인과 상기 원둘레 중심라인이 일치하면서, 상기 렌즈부 내곡면의 임의의 적어도 2점에서 서로 다른 곡률반경을 가지는 제3램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램프로 이루어지는 차량용 램프를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에 따르면, 렌즈부의 좌측단부의 일정영역과 우측단부의 일정영역을 절단함에 의해, 가장자리부에서 발생할 수 있는 파장분리로 인한 눈부심을 방지함과 동시에, 램프 사이즈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우측 램프의 렌즈부의 경우, 좌측단부의 절단영역을 우측단부의 절단영역보다 크게 하고, 좌측 램프의 렌즈부의 경우, 우측단부의 절단영역을 좌측단부의 절단영역보다 크게 함으로써, 차량용 램프의 사이즈를 더욱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초점(F) 중심 라인과 상기 원둘레 중심라인이 일치여부 및 렌즈부 내곡면의 임의의 2점 또는 모든 점에서 곡률반경의 동일 여부에 따라, 다양한 배광 패턴을 적절히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a는 일반적인 구조의 차량용 램프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도면이고, 도 1b는 일반적인 구조의 차량용 램프에서의 광원 유닛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1c는 일반적인 구조의 광원 유닛에서의 빛의 굴절을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램프 중 차량의 우측에 위치하는 우측 램프의 렌즈부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차량의 좌측 및 우측에 위치하는 좌측 램프의 렌즈부 및 우측 램프의 렌즈부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도 2c는 본 발명의 우측 램프의 렌즈부를 적용한 차량용 램프의 빔패턴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d는 본 발명의 좌측 램프의 렌즈부를 적용한 차량용 램프의 빔패턴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는 차량의 우측에 위치하는 우측 램프의 렌즈부의 절단을 설명하는 모식도이고, 도 3b는 차량의 좌측에 위치하는 좌측 램프의 렌즈부의 절단을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렌즈부를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렌즈부를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도 4c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렌즈부를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공정 단계들, 잘 알려진 구조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의미로 사용한다. 그리고,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사시도, 단면도, 측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는 일반적인 구조의 차량용 램프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도면이고, 도 1b는 일반적인 구조의 차량용 램프에서의 개별 램프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1c는 일반적인 구조의 개별 램프에서의 빛의 굴절을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먼저, 도 1a를 참조하면, 일반적인 구조의 차량용 램프(10)는 단일 또는 복수개의 개별램프(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차량 전방의 미리 정해진 조사 방향으로 빛을 조사하는 로우빔 조사용의 헤드 램프일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상기 램프의 종류 및 개별램프의 개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차량용 램프(10)는 투명 형상의 투명 커버(40)와 램프 보디(30)로 형성되는 등실 내에 복수개의 개별 램프(20)를 대략 횡방향으로 일렬로 수용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상기 복수개의 개별 램프의 배치방법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차량용 램프(10)는 이들 개별 램프(20)가 조사하는 빛에 기초하여 차량의 전방에 빛을 조사하여 소정의 빔 패턴을 형성할 수 있으며, 다만, 도면에서의 차량용 램프(10)는 복수개의 개별 램프(20)를 포함하는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상술한 바와 같이, 차량용 램프는 단일의 개별 램프만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단일의 차량용 램프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도 1b를 참조하면, 일반적인 구조의 차량용 램프(20)는 광원유닛(23)으로부터 발생하는 빛을 렌즈(24)에 의해 전방에 조사하는 직광 타입 유닛일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광을 조사하기 위한 광원유닛(23), 상기 광원유닛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22) 및 상기 광원유닛으로부터 발생된 광을 전방으로 조사하기 위한 렌즈(2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서 상기 광원유닛은 LED일 수 있다.
이때, 상기 렌즈(24)는 통상 반구형태의 비구면 렌즈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22)를 고정할 수 있는 케이스 등의 별도의 고정부재(21)를 포함할 수 있으며, 다만, 본 발명에서 고정부재의 유무에 한정을 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구조의 차량용 램프(20)의 렌즈(24)는 광학적 중심, 초점(F)을 포함하며, 상기 광원유닛(23)의 중심영역에 상기 초점이 위치하고 있다.
다음으로, 도 1c를 참조하면, L1은 비구면 렌즈(24)의 초점이고, L2는 반구형의 비구면 렌즈(24) 상에서의 빛의 1차 굴절지점을 나타내며, L3는 반구형의 비구면 렌즈(24) 상에서의 빛의 2차 굴절지점을 각각 나타내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반구형태의 비구면 렌즈(24)는 광원유닛, 즉, LED(23)에서 나오는 빛이 파장에 따라서 비구면 렌즈(24)에서 굴절각이 달라진다.
이는 빛의 프리즘 효과에 의한 것으로, 반구형의 비구면 렌즈(24)의 중심을 통과하는 빛은 파장의 분리가 없으나, 비구면 렌즈(24)의 중심에서 멀어질수록 파장의 분리는 더욱 심해진다.
즉,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구형의 비구면 렌즈(24)의 중심에서 먼 부분, 즉 반구형의 비구면 렌즈(24)의 가장자리부인 좌측 끝단부 및 우측 끝단부에서는 파장의 분리가 심해져, LED의 스펙트럼 특성에 의하여 대향차의 섬광으로 인한 눈부심이 증가할 수 있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램프 중 차량의 우측에 위치하는 우측 램프의 렌즈부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차량의 좌측 및 우측에 위치하는 좌측 램프의 렌즈부 및 우측 램프의 렌즈부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도 2c는 본 발명의 우측 램프의 렌즈부를 적용한 차량용 램프의 빔패턴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d는 본 발명의 좌측 램프의 렌즈부를 적용한 차량용 램프의 빔패턴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 및 도 2b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본 발명의 특징이 있는 부분인 렌즈부만을 도시하였으며,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후술할 바를 제외하고는 일반적인 구조의 차량용 램프와 동일할 수 있다.
즉, 도 1a 및 도 1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투명 형상의 투명 커버와 램프 보디로 형성되는 등실 내에 단일 또는 복수개의 개별 램프를 대략 횡방향으로 일렬로 수용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상기 개별램프의 개수 및 배치방법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이들 광원 유닛이 조사하는 빛에 기초하여 차량의 전방에 빛을 조사하여 소정의 빔 패턴을 형성할 수 있으며, 다만, 도면에는 차량용 램프는 복수개의 개별 램프를 포함하는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상술한 바와 같이, 차량용 램프는 단일의 개별 램프만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광원유닛으로부터 발생하는 빛을 렌즈부에 의해 전방에 조사하는 직광 타입 유닛일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광을 조사하기 위한 광원유닛, 상기 광원유닛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 및 상기 광원유닛으로부터 발생된 광을 전방으로 조사하기 위한 렌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서 상기 광원유닛은 LED일 수 있고, 상기 렌즈부는 통상 반구형태의 비구면 렌즈를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렌즈부는 광학적 중심, 초점(F)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상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이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특징이 있는 부분인 렌즈부에 대해 상술하기로 한다.
먼저, 도 2a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복수개의 개별 램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복수개의 개별 램프는 각각 제1렌즈부(100), 제2렌즈부(200) 및 제3렌즈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도 2a에 도시된 복수개의 렌즈부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램프 중 차량의 우측에 위치하는 우측 램프의 렌즈부에 해당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렌즈부(100)는 제1렌즈부 외곡면(110) 및 제1렌즈부 내곡면(120)을 포함하며, 제1렌즈부 좌측단부(130) 및 제1렌즈부 우측단부(140)를 포함하고 있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렌즈부의 좌측단부의 일정 영역이 절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렌즈부(200)는 제2렌즈부 외곡면(210) 및 제2렌즈부 내곡면(220)을 포함하며, 제2렌즈부 좌측단부(230) 및 제2렌즈부 우측단부(240)를 포함하고 있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2렌즈부의 좌측단부의 일정 영역이 절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3렌즈부(300)는 제3렌즈부 외곡면(310) 및 제3렌즈부 내곡면(320)을 포함하며, 제3렌즈부 좌측단부(330) 및 제3렌즈부 우측단부(340)를 포함하고 있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3렌즈부의 좌측단부의 일정 영역이 절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도면에서는 상기 렌즈부가 3개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도시, 즉, 차량용 램프에서의 개별 램프가 3개인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와는 달리,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는 개별 램프가 적어도 1개 이상인 것으로 충분하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적어도 1개의 개별 램프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개별 램프는 광을 조사하기 위한 광원유닛, 상기 광원유닛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 및 상기 광원유닛으로부터 발생된 광을 전방으로 조사하기 위한 렌즈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렌즈부는 렌즈부 외곡면 및 렌즈부 내곡면을 포함하며, 또한, 렌즈부 좌측단부 및 렌즈부 우측단부를 포함하며, 이때, 상기 렌즈부의 좌측단부의 일정영역 또는 상기 렌즈부의 우측단부의 일정 영역이 절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렌즈부의 특징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도 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차량의 좌측 및 우측에 위치하는 좌측 램프의 렌즈부 및 우측 램프의 렌즈부는 차량의 중심, 즉, Y축을 기준으로 상호 좌우대칭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우측 램프의 렌즈부에서의 제1렌즈부(100)는 좌측 램프의 렌즈부에서의 제1렌즈부(100')와 좌우대칭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고, 우측 램프의 렌즈부에서의 제2렌즈부(200)는 좌측 램프의 렌즈부에서의 제2렌즈부(200')와 좌우대칭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우측 램프의 렌즈부에서의 제3렌즈부(300)는 좌측 램프의 렌즈부에서의 제1렌즈부(300')와 좌우대칭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우측 램프의 렌즈부를 적용한 차량용 램프의 빔패턴은 상기 제1렌즈부(100)에 의해 A의 빔패턴을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제2렌즈부(200)에 의해 B의 빔패턴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제3렌즈부(300)에 의해 C의 빔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d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좌측 램프의 렌즈부를 적용한 차량용 램프의 빔패턴은 상기 제1렌즈부(100')에 의해 A'의 빔패턴을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제2렌즈부(200')에 의해 B'의 빔패턴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제3렌즈부(300')에 의해 C'의 빔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좌측 램프의 렌즈부 및 우측 램프의 렌즈부가 차량의 중심, 즉, Y축을 기준으로 상호 좌우대칭되는 구조로 형성되는 경우, 이들에 형성되는 빔패턴도 Y축을 기준으로 상호 좌우대칭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2c 및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중심, 즉, Y축을 기준으로, 우측 램프의 렌즈부를 적용한 차량용 램프의 빔패턴은 우측방향의 빔패턴이 좌측방향의 빔패턴보다 넓게 형성됨을 알 수 있고, 좌측 램프의 렌즈부를 적용한 차량용 램프의 빔패턴은 좌측방향의 빔패턴이 우측방향의 빔패턴보다 넓게 형성됨을 알 수 있다.
이는 상기 렌즈부의 좌측단부 및 상기 렌즈부의 우측단부의 일정 영역을 절단함에 있어서, 그 절단된 영역의 크기를 서로 달리함에 따른 결과로써, 이에 대해, 도 3a 및 도 3b를 통해 상술하기로 한다.
도 3a는 차량의 우측에 위치하는 우측 램프의 렌즈부의 절단을 설명하는 모식도이고, 도 3b는 차량의 좌측에 위치하는 좌측 램프의 렌즈부의 절단을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먼저, 도 3a를 참조하면, 차량의 우측에 위치하는 우측 램프의 렌즈부(400)는 렌즈부 외곡면(410)을 포함하며, 렌즈부 좌측단부(411) 및 렌즈부 우측단부(412)를 포함한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렌즈부는 초점(F)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반구형의 비구면 렌즈의 중심에서 먼 부분, 즉 반구형의 비구면 렌즈의 가장자리부인 좌측 끝단부 및 우측 끝단부에서는 파장의 분리가 심해져, LED의 스펙트럼 특성에 의하여 대향차의 섬광으로 인한 눈부심이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가장자리부에서 발생될 수 있는 눈부심의 증가를 방지하기 위해, 좌측단부의 제1일정영역(X1), 예를 들면, 초점 중심라인으로부터 θ2+θ3의 굴절각을 갖는 영역 이외의 영역을 절단할 수 있다.
즉, 차량의 우측에 위치하는 우측 램프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좌측단부의 제1일정영역(X1)을 절단함에 의해, 렌즈부의 사이즈가 감소함을 알 수 있고, 이는 결국, 차량용 램프의 사이즈를 감소시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이에 추가하여, 본 발명에서는 우측단부의 일정 영역(X1), 예를 들면, 초점 중심라인으로부터 θ1의 굴절각을 갖는 영역 이외의 영역을 절단할 수 있다. 이때, θ2+θ3는 θ1과 동일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은 좌측단부의 제1일정영역(X1)과 우측단부의 일정영역(X1)을 절단함에 의해, 렌즈부의 사이즈가 감소함을 알 수 있고, 이는 결국, 차량용 램프의 사이즈를 감소시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좌측단부의 제1일정영역(X1)과 우측단부의 일정영역(X1)을 절단함에 의해, 가장자리부에서 발생할 수 있는 파장분리로 인한 눈부심을 방지함과 동시에, 램프 사이즈를 감소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서는 우측 램프의 렌즈부의 경우, 좌측단부의 제1일정영역(X1)외에, 좌측단부의 제2일정영역(X2), 예를 들면, 초점 중심라인으로부터 θ2의 굴절각을 갖는 영역 이외의 영역을 절단할 수 있다.
이는 우측 램프의 렌즈부의 좌측단부의 제2일정영역(X2)을 추가로 절단함으로써, 렌즈부의 사이즈를 더욱 감소시킬 수 있고, 이는 결국, 차량용 램프의 사이즈를 더욱 감소시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이유, 즉, 우측 램프의 렌즈부의 경우, 좌측단부의 절단영역(X1+X2)을 우측단부의 절단영역(X1)보다 크게 함으로써,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 램프의 렌즈부를 적용한 차량용 램프의 빔패턴은 우측방향의 빔패턴이 좌측방향의 빔패턴보다 넓게 형성된다.
다음으로, 도 3b를 참조하면, 차량의 좌측에 위치하는 좌측 램프의 렌즈부(400')는 렌즈부 외곡면(410')을 포함하며, 렌즈부 좌측단부(411') 및 렌즈부 우측단부(412')를 포함한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렌즈부는 초점(F)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반구형의 비구면 렌즈의 중심에서 먼 부분, 즉 반구형의 비구면 렌즈의 가장자리부인 좌측 끝단부 및 우측 끝단부에서는 파장의 분리가 심해져, LED의 스펙트럼 특성에 의하여 대향차의 섬광으로 인한 눈부심이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가장자리부에서 발생될 수 있는 눈부심의 증가를 방지하기 위해, 우측단부의 제1일정영역(X1'), 예를 들면, 초점 중심라인으로부터 θ2'+θ3'의 굴절각을 갖는 영역 이외의 영역을 절단할 수 있다.
즉, 차량의 좌측에 위치하는 좌측 램프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우측단부의 제1일정영역(X1')을 절단함에 의해, 렌즈부의 사이즈가 감소함을 알 수 있고, 이는 결국, 차량용 램프의 사이즈를 감소시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이에 추가하여 본 발명에서는 좌측단부의 일정 영역(X1'), 예를 들면, 초점 중심라인으로부터 θ1'의 굴절각을 갖는 영역 이외의 영역을 절단할 수 있다. 이때, θ2'+θ3'는 θ1'와 동일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은 우측단부의 제1일정영역(X1')과 좌측단부의 일정영역(X1')을 절단함에 의해, 렌즈부의 사이즈가 감소함을 알 수 있고, 이는 결국, 차량용 램프의 사이즈를 감소시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우측단부의 제1일정영역(X1')과 좌측단부의 일정영역(X1')을 절단함에 의해, 가장자리부에서 발생할 수 있는 파장분리로 인한 눈부심을 방지함과 동시에, 램프 사이즈를 감소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서는 좌측 램프의 렌즈부의 경우, 우측단부의 제1일정영역(X1')외에, 우측단부의 제2일정영역(X2'), 예를 들면, 초점 중심라인으로부터 θ2'의 굴절각을 갖는 영역 이외의 영역을 절단할 수 있다.
이는 좌측 램프의 렌즈부의 우측단부의 제2일정영역(X2')을 추가로 절단함으로써, 렌즈부의 사이즈를 더욱 감소시킬 수 있고, 이는 결국, 차량용 램프의 사이즈를 더욱 감소시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이유, 즉, 좌측 램프의 렌즈부의 경우, 우측단부의 절단영역(X1'+X2')을 좌측단부의 절단영역(X1')보다 크게 함으로써,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램프의 렌즈부를 적용한 차량용 램프의 빔패턴은 좌측방향의 빔패턴이 우측방향의 빔패턴보다 넓게 형성된다.
결국, 본 발명에서는 먼저, 차량의 우측에 위치하는 우측 램프에서는 좌측단부의 제1일정영역(X1)을 절단함에 의해, 렌즈부의 사이즈를 감소시키고, 차량의 좌측에 위치하는 좌측 램프에서는 우측단부의 제1일정영역(X1')을 절단함에 의해, 렌즈부의 사이즈가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더 나아가, 우측 램프의 렌즈부의 경우, 좌측단부의 절단영역(X1+X2)을 우측단부의 절단영역(X1)보다 크게 하고, 좌측 램프의 렌즈부의 경우, 우측단부의 절단영역(X1'+X2')을 좌측단부의 절단영역(X1')보다 크게 함으로써, 차량용 램프의 사이즈를 더욱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우측 램프의 렌즈부의 경우, 좌측단부의 절단영역(X1+X2)을 우측단부의 절단영역(X1)보다 크게하고, 좌측 램프의 렌즈부의 경우, 우측단부의 절단영역(X1'+X2')을 좌측단부의 절단영역(X1')보다 크게하는 것은 다음과 같다.
즉, 도 2c의 빔패턴과 도 2d의 빔패턴을 조합한다고 가정시, Y축을 기준으로, 우측 램프에 의한 빔패턴과 좌측 램프에 의한 빔패턴이 상호 중첩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우측 램프의 렌즈부를 적용한 차량용 램프의 빔패턴은 우측방향의 빔패턴이 좌측방향의 빔패턴보다 넓게 형성되고, 좌측 램프의 렌즈부를 적용한 차량용 램프의 빔패턴은 좌측방향의 빔패턴이 우측방향의 빔패턴보다 넓게 형성된다 하더라도, 빔패턴이 상호 중첩되는 영역이 있기 때문에 법규에서 규정하는 배광법규를 만족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를 통하여, 본 발명에서의 렌즈부 외곡면과 렌즈부 내곡면과의 관계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4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렌즈부를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렌즈부를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도 4c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렌즈부를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먼저, 도 4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렌즈부, 즉, 제1램프의 렌즈부(5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1램프의 렌즈부 외곡면(510) 및 제1램프의 렌즈부 내곡면(520)을 포함하며, 좌측단부(530) 및 우측단부(540)를 포함하고 있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램프 렌즈부의 좌측단부 및 제1램프 렌즈부의 우측단부의 일정 영역이 절단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더 나아가 도 3a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좌측단부의 절단영역을 우측단부의 절단영역보다 크게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4a를 참조하면, 상기 제1램프의 렌즈부 외곡면(510)은 일정 길이(O)의 원둘레를 포함하고, 상기 원둘레의 중심(Oc)을 포함하며, 상기 원둘레의 중심을 기준으로 한, 원둘레 중심라인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램프의 렌즈부(500)는 초점(F)을 포함하며, 상기 초점을 기준으로 한 초점(F) 중심라인을 포함한다.
이때,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렌즈부는 상기 초점(F) 중심 라인과 상기 원둘레 중심라인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 해당한다.
계속해서, 도 4a를 참조하면, 상기 렌즈부 내곡면(520)은 일정 곡률을 갖으며, 렌즈부 내곡면의 임의의 적어도 2점(a, b)에서 서로 다른 곡률반경(R1, R2)을 갖는다.
즉,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렌즈부는 상기 초점(F) 중심 라인과 상기 원둘레 중심라인이 일치하지 않으면서, 렌즈부 내곡면의 임의의 적어도 2점(a, b)에서 서로 다른 곡률반경(R1, R2)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도 4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렌즈부, 즉, 제2램프의 렌즈부(6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2램프의 렌즈부 외곡면(610) 및 제2램프의 렌즈부 내곡면(620)을 포함하며, 좌측단부(630) 및 우측단부(640)를 포함하고 있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2램프 렌즈부의 좌측단부 및 상기 제2램프 렌즈부의 우측단부의 일정 영역이 절단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더 나아가 도 3a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좌측단부의 절단영역을 우측단부의 절단영역보다 크게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4b를 참조하면, 상기 제2램프의 렌즈부 외곡면(610)은 일정 길이(O)의 원둘레를 포함하고, 상기 원둘레의 중심(Oc)을 포함하며, 상기 원둘레의 중심을 기준으로 한, 원둘레 중심라인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램프의 렌즈부(600)는 초점(F)을 포함하며, 상기 초점을 기준으로 한 초점(F) 중심라인을 포함한다.
이때,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렌즈부는 상기 초점(F) 중심 라인과 상기 원둘레 중심라인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 해당한다.
계속해서, 도 4b를 참조하면, 상기 렌즈부 내곡면(620)은 일정 곡률을 갖으며, 렌즈부 내곡면의 모든 점(예를 들면, c1, c2)에서 동일한 곡률반경(R3)을 갖는다.
즉,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렌즈부는 상기 초점(F) 중심 라인과 상기 원둘레 중심라인이 일치하지 않으면서, 렌즈부 내곡면의 모든 점에서 동일한 곡률반경(R3)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도 4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렌즈부, 즉, 제3램프의 렌즈부(7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3램프의 렌즈부 외곡면(710) 및 제3램프의 렌즈부 내곡면(720)을 포함하며, 좌측단부(730) 및 우측단부(740)를 포함하고 있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3램프 렌즈부의 좌측단부 및 상기 제3램프 렌즈부의 우측단부의 일정 영역이 절단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더 나아가 도 3a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좌측단부의 절단영역을 우측단부의 절단영역보다 크게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4c를 참조하면, 상기 제3램프의 렌즈부 외곡면(710)은 일정 길이(O)의 원둘레를 포함하고, 상기 원둘레의 중심(Oc)을 포함하며, 상기 원둘레의 중심을 기준으로 한, 원둘레 중심라인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3램프의 렌즈부(700)는 초점(F)을 포함하며, 상기 초점을 기준으로 한 초점(F) 중심라인을 포함한다.
이때,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렌즈부는 상기 초점(F) 중심 라인과 상기 원둘레 중심라인이 일치하는 경우에 해당한다.
계속해서, 도 4c를 참조하면, 상기 렌즈부 내곡면(720)은 일정 곡률을 갖으며, 렌즈부 내곡면의 임의의 적어도 2점(d, e)에서 서로 다른 곡률반경(R4, R5)을 갖는다.
즉,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렌즈부는 상기 초점(F) 중심 라인과 상기 원둘레 중심라인이 일치하면서, 렌즈부 내곡면의 임의의 적어도 2점(d, e)에서 서로 다른 곡률반경(R4, R5)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a 내지 도 4c를 정리하면, 본 발명에서는 렌즈부의 좌측단부 및 렌즈부의 우측단부의 일정 영역이 절단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더 나아가 차량의 우측에 위치하는 우측 램프인 경우, 렌즈부의 좌측단부의 절단영역을 렌즈부의 우측단부의 절단영역보다 크게할 수 있다.
이 외에도, 도 4a 내지 도 4c를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첫째, 제1램프로써, 상기 초점(F) 중심 라인과 상기 원둘레 중심라인이 일치하지 않으면서, 렌즈부 내곡면의 임의의 적어도 2점(a, b)에서 서로 다른 곡률반경(R1, R2)을 갖게 하거나, 둘째, 제2램프로써, 상기 초점(F) 중심 라인과 상기 원둘레 중심라인이 일치하지 않으면서, 렌즈부 내곡면의 모든 점에서 동일한 곡률반경(R3)을 갖게 하거나, 셋째, 제3램프로써, 상기 초점(F) 중심 라인과 상기 원둘레 중심라인이 일치하면서, 렌즈부 내곡면의 임의의 적어도 2점(d, e)에서 서로 다른 곡률반경(R4, R5)을 갖게 할 수 있다.
상기 제1램프, 제2램프, 제3램프중 적어도 하나의 램프를 포함하여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를 구성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필요한 배광 패턴을 형성하기 위하여, 제1실시예 렌즈부를 포함하는 광원 유닛으로 조합된 차량용 램프를 구성하거나, 또는, 제1실시예의 렌즈부를 포함하는 광원 유닛과 제2실시예의 렌즈부를 포함하는 광원 유닛을 조합하는 차량용 램프를 구성하거나, 또는, 제1실시예의 렌즈부를 포함하는 광원 유닛과 제3실시예의 렌즈부를 포함하는 광원 유닛을 조합하는 차량용 램프를 구성하거나, 또는, 제2실시예의 렌즈부를 포함하는 광원 유닛과 제3실시예의 렌즈부를 포함하는 광원 유닛을 조합하는 차량용 램프를 구성하거나, 또는, 제1실시예의 렌즈부를 포함하는 광원 유닛 내지 제3실시예의 렌즈부를 포함하는 광원 유닛을 조합하는 차량용 램프를 구성함으로써, 다양한 배광 패턴을 적절히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4a 내지 도 4c에서는 차량의 우측에 위치하는 우측 램프를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도 2b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차량의 좌측에 위치하는 좌측 램프의 경우, 상기 우측 램프와 좌우대칭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좌측 램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200, 300 : 렌즈부 110, 210, 310 : 렌즈부 외곡면
120, 220, 320 : 렌즈부 내곡면 130, 230, 330 : 렌즈부 좌측단부
140, 240, 340 : 렌즈부 우측단부

Claims (9)

  1. 광을 조사하기 위한 광원유닛; 및
    상기 광원유닛으로부터 조사된 광을 전방으로 조사하기 위한 렌즈부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부는 렌즈부 외곡면, 렌즈부 좌측단부 및 렌즈부 우측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부의 좌측단부의 일정영역 및 상기 렌즈부의 우측단부의 일정영역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역이 절단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렌즈부는, 렌즈부 내곡면을 더 포함하며, 상기 렌즈부 내곡면은 일정 곡률을 포함하고, 상기 렌즈부 내곡면의 임의의 적어도 2점에서 서로 다른 곡률 반경을 갖는 차량용 램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램프는 차량의 좌측에 위치하는 좌측 램프이고,
    상기 렌즈부의 우측단부가 절단되는 차량용 램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램프는 차량의 우측에 위치하는 우측 램프이고,
    상기 렌즈부의 좌측단부가 절단되는 차량용 램프.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 외곡면은 일정 길이의 원둘레, 상기 원둘레의 중심 및 상기 원둘레의 중심을 기준으로 한, 원둘레 중심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렌즈부는 초점(F) 및 상기 초점을 기준으로 한 초점(F) 중심라인을 포함하며,
    상기 초점(F) 중심 라인과 상기 원둘레 중심라인이 일치하지 않는 차량용 램프.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 외곡면은 일정 길이의 원둘레, 상기 원둘레의 중심 및 상기 원둘레의 중심을 기준으로 한, 원둘레 중심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렌즈부는 초점(F) 및 상기 초점을 기준으로 한 초점(F) 중심라인을 포함하며,
    상기 초점(F) 중심 라인과 상기 원둘레 중심라인이 일치하는 차량용 램프.
  8. 복수개의 개별 램프로 이루어진 차량용 램프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개별 램프 각각은
    광을 조사하기 위한 광원유닛; 및 상기 광원유닛으로부터 조사된 광을 전방으로 조사하기 위한 렌즈부를 포함하고,
    상기 렌즈부는 렌즈부 외곡면, 렌즈부 내곡면, 렌즈부 좌측단부 및 렌즈부 우측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렌즈부의 좌측단부의 일정영역 및 상기 렌즈부의 우측단부의 일정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이 절단된 형상을 가지고,
    상기 렌즈부 내곡면은 일정 곡률을 포함하고, 상기 렌즈부 외곡면은 일정 길이의 원둘레, 상기 원둘레의 중심 및 상기 원둘레의 중심을 기준으로 한, 원둘레 중심라인을 포함하며,
    상기 렌즈부는 초점(F) 및 상기 초점을 기준으로 한 초점(F) 중심라인을 포함하되,
    상기 복수개의 개별 램프는,
    상기 초점(F) 중심 라인과 상기 원둘레 중심라인이 일치하지 않으면서, 상기 렌즈부 내곡면의 임의의 적어도 2점에서 서로 다른 곡률반경을 가지는 제1램프,
    상기 초점(F) 중심 라인과 상기 원둘레 중심라인이 일치하지 않으면서, 상기 렌즈부 내곡면의 모든 점에서 동일한 곡률반경을 가지는 제2램프,
    상기 초점(F) 중심 라인과 상기 원둘레 중심라인이 일치하면서, 상기 렌즈부 내곡면의 임의의 적어도 2점에서 서로 다른 곡률반경을 가지는 제3램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램프로 이루어지는 차량용 램프.
  9. 삭제
KR1020120010856A 2012-02-02 2012-02-02 차량용 램프 KR1012958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0856A KR101295827B1 (ko) 2012-02-02 2012-02-02 차량용 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0856A KR101295827B1 (ko) 2012-02-02 2012-02-02 차량용 램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95827B1 true KR101295827B1 (ko) 2013-08-16

Family

ID=492203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0856A KR101295827B1 (ko) 2012-02-02 2012-02-02 차량용 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582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5202009A1 (de) 2014-03-26 2015-10-01 Hyundai Mobis Co., Ltd. Fahrzeugleuchte
KR20160012752A (ko) * 2014-07-25 2016-02-03 에스엘 주식회사 헤드 램프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헤드 램프 장치
KR20190025206A (ko) * 2017-09-01 2019-03-11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2662A (ko) * 2009-07-02 2011-01-10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KR20110036269A (ko) * 2009-10-01 2011-04-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측방 조사용 프로젝션 렌즈 및 이를 장착한 헤드램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2662A (ko) * 2009-07-02 2011-01-10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KR20110036269A (ko) * 2009-10-01 2011-04-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측방 조사용 프로젝션 렌즈 및 이를 장착한 헤드램프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5202009A1 (de) 2014-03-26 2015-10-01 Hyundai Mobis Co., Ltd. Fahrzeugleuchte
KR20160012752A (ko) * 2014-07-25 2016-02-03 에스엘 주식회사 헤드 램프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헤드 램프 장치
KR101638323B1 (ko) * 2014-07-25 2016-07-12 에스엘 주식회사 헤드 램프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헤드 램프 장치
KR20190025206A (ko) * 2017-09-01 2019-03-11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KR102405443B1 (ko) * 2017-09-01 2022-06-07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18792B1 (en) Vehicle lighting unit
JP6203174B2 (ja) 車両用灯具
KR100767253B1 (ko) 차량용 전조등
JP5748531B2 (ja) 車両用灯具
US10894506B2 (en) Vehicle lamp
US11054103B2 (en) Vehicle lamp
US20160033101A1 (en) Dual beam pattern vehicular lighting assembly
CN107859968B (zh) 车灯照明系统、车灯总成及汽车
EP3467373B1 (en) Vehicle headlamp and vehicle using same
CN117628434A (zh) 车灯投射单元、车灯总成及汽车
CN106322271B (zh) 车辆用灯具
KR101295827B1 (ko) 차량용 램프
CN106895335B (zh) 由透明材料制成的发光模块
JP5152563B2 (ja) 車両用前照灯
CN111964000A (zh) 车辆照明模组、车灯及汽车
KR102118137B1 (ko) 차량용 램프
KR102421071B1 (ko) 차량용 램프
JP6376450B2 (ja) レンズ体及び車両用灯具
KR20100095811A (ko) 헤드램프용 렌즈
KR20170059077A (ko) 차량용 램프
KR20220043782A (ko) 차량용 램프
CN115777053A (zh) 车辆用灯具
KR102118140B1 (ko) 차량용 램프
JP6376453B2 (ja) レンズ体及び車両用灯具
KR101836568B1 (ko) 차량용 프레넬 렌즈 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