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12752A - 헤드 램프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헤드 램프 장치 - Google Patents

헤드 램프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헤드 램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12752A
KR20160012752A KR1020140094863A KR20140094863A KR20160012752A KR 20160012752 A KR20160012752 A KR 20160012752A KR 1020140094863 A KR1020140094863 A KR 1020140094863A KR 20140094863 A KR20140094863 A KR 20140094863A KR 20160012752 A KR20160012752 A KR 201600127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led module
light
head lamp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48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38323B1 (ko
Inventor
이재영
박성덕
이수정
Original Assignee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948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8323B1/ko
Priority to CN201520485770.XU priority patent/CN205090285U/zh
Publication of KR201600127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27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83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83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1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1/14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F21S41/141Light emitting diodes [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1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1/14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F21S41/141Light emitting diodes [LED]
    • F21S41/143Light emitting diodes [LED] the main emission direction of the LED being parallel to the optical axis of the illuminating dev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2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1/25Projection lenses
    • F21S41/265Composite lenses; Lenses with a patch-like sha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1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1/14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F21S41/141Light emitting diodes [LED]
    • F21S41/151Light emitting diodes [LED] arranged in one or more l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2/00Exterior vehicle lighting devices for illuminating purp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5/00Planar light sources
    • F21Y2105/10Planar light sources comprising a two-dimensional array of point-like light-generat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헤드 램프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헤드 램프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 램프 어셈블리는, 제1 LED 모듈 및 제2 LED 모듈을 포함하는 광원부; 및 제1 렌즈 및 제2 렌즈를 포함하는 렌즈부를 포함하되, 상기 광원부에서 조사되는 광이 상기 제2 렌즈를 통과하여 상기 제1 렌즈를 투과하며, 상기 제2 렌즈는, 상기 제1 및 제2 LED 모듈에서 조사되는 광이 입사되는 입사면과, 상기 제1 LED 모듈에서 조사되는 광이 출사되는 제1 출사면 및 상기 제2 LED 모듈에서 조사되는 광이 출사되는 제2 출사면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헤드 램프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헤드 램프 장치{HEAD LAMP ASSEMBLY AND HEAD LAMP APPARATUS FOR USING IT}
본 발명은 헤드 램프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헤드 램프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구성을 간소화하면서 광의 조사 범위를 증가시킬 수 있는 헤드 램프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헤드 램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첨단 기술이 적용되어 그 기동성과 유용성이 향상됨으로써 현대 사회에서 필수적인 제품이 되었으며, 야간 주행을 할 때에 차량 주변에 위치한 대상물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조명 기능 및 다른 차량이나 기타 도로 이용자에게 자기 차량의 주행 상태를 알리기 위한 신호 기능을 가지는 다양한 차량용 램프를 구비하고 있다. 예를 들어, 전조등 및 안개등 등은 조명 기능을 목적으로 하며, 방향 지시등, 미등, 제동등, 사이드 마커(Side Marker) 등은 신호 기능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예를 들어, 전조등은 빛을 멀리 비추어서 시야를 확보하는 하이빔(high beam)과, 빛을 낮게 비추어서 전방을 주행하는 자동차의 운전자 및 대항차의 운전자에게 눈부심을 유발하지 않도록 하는 로우빔(low beam)을 조사할 수 있다.
최근에는, 고휘도 LED의 급격한 발전으로 헤드 램프의 광원으로 LED(light emitting diode)를 이용한 헤드 램프가 제작되고 있다. 특히, 직광 타입(direct light type)의 헤드 램프는 광원인 LED로부터 조사된 광을 한 지점으로 모으는 리플렉터를 구비하지 않고, LED로부터 조사된 광을 직접(direct) 렌즈를 통해 조사한다.
이러한 직광 타입의 헤드 램프에서 차량 주변에 위치한 대상물을 용이하게 확인하기 위한 조명 기능 외에 다른 차량이나 도로 이용자들에게 차량의 주행 상태를 알리기 위한 신호 기능을 구비하기 위해 추가적으로 광원 등을 설치하는 경우, 헤드 램프의 구성이 복잡해지고 이로 인한 비용 상승 등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직광 타입의 헤드 램프의 구성을 간소화하면서 광의 조사 범위를 증가시킬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유럽 공개특허 EP 2306074호 (2011.04.06. 공개) 미국 공개특허 US 2013/0208493호 (2013.08.15. 공개) 미국 공개특허 US 2014/0169015호 (2014.06.19. 공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일체형으로 구성을 간소화하면서 광의 조사 범위를 증가시킬 수 있는 헤드 램프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헤드 램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 램프 어셈블리는, 제1 LED 모듈 및 제2 LED 모듈을 포함하는 광원부; 및 제1 렌즈 및 제2 렌즈를 포함하는 렌즈부를 포함하되, 상기 광원부에서 조사되는 광이 상기 제2 렌즈를 통과하여 상기 제1 렌즈를 투과하며, 상기 제2 렌즈는, 상기 제1 및 제2 LED 모듈에서 조사되는 광이 입사되는 입사면과, 상기 제1 LED 모듈에서 조사되는 광이 출사되는 제1 출사면 및 상기 제2 LED 모듈에서 조사되는 광이 출사되는 제2 출사면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LED 모듈은 복수의 LED 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제2 LED 모듈은 상기 제1 LED 모듈보다 적은 개수의 LED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렌즈는, 일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어 빛이 출사되는 볼록면과, 상기 제2 렌즈를 통과하여 조사되는 광이 입사하는 입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렌즈의 입사면은 가운데 부분은 평탄한 형상이고, 양 가장자리 부분 중 적어도 하나의 가장자리 부분은 만곡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렌즈의 볼록면은 다른 영역과 곡률이 상이한 적어도 하나의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렌즈는, 상기 입사면이 평탄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렌즈는, 상기 제1 및 제2 출사면이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출사면 중 적어도 하나의 출사면은, 비대칭으로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렌즈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제2 렌즈는, 플라스틱 재질 또는 글라스 재질 중 적어도 하나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렌즈는, 상기 제1 출사면의 중심이 상기 제1 LED 모듈의 중심과 일치하며, 상기 제2 출사면의 중심이 상기 제2 LED 모듈의 중심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렌즈는, 상기 제1 LED 모듈의 면 중심에서 조사되는 광이 상기 제1 출사면의 면 중심을 통과하며, 상기 제2 LED 모듈의 면 중심에서 조사되는 광이 상기 제2 출사면의 면 중심을 벗어나 통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LED 모듈만 점등하는 경우 또는 상기 제1 LED 모듈 및 상기 제2 LED 모듈을 모두 점등하는 경우에는 제1 빔을 조사하고, 상기 제2 LED 모듈만 점등하는 경우에는 제2 빔을 조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빔은 하이빔 또는 로우빔 중 하나의 빔이고, 상기 제2 빔은 포지셔닝빔일 수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 램프 장치는, 차량 전방의 내측에 배치되며,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 따른 헤드 램프 어셈블리 중 적어도 하나의 헤드 램프 어셈블리인 제1 헤드 램프 어셈블리; 및 상기 차량 전방의 외측에 배치되며,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 따른 헤드 램프 어셈블리 중 적어도 하나의 헤드 램프 어셈블리인 제2 헤드 램프 어셈블리를 포함하되, 상기 제1 헤드 램프 어셈블리는, 상기 제1 렌즈의 볼록면의 면 중심이 상기 제1 LED 모듈의 면 중심에서 벗어나 상기 차량의 내측으로 치우쳐 위치하며, 상기 제2 헤드 램프 어셈블리는, 상기 제1 렌즈의 볼록면의 면 중심이 상기 제1 LED 모듈의 면 중심에서 벗어나 상기 차량의 외측으로 치우쳐 위치한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헤드 램프의 구성을 간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렌즈의 형상을 볼록하게 하고, 렌즈의 출사면을 다양한 영역으로 분할하여 광의 조사 범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 램프 어셈블리의 상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 램프 어셈블리의 측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여러 방향에서 바라 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 램프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 램프 어셈블리에서 조사되는 광의 경로를 상면에서 바라 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 램프 어셈블리에서 조사되는 광의 경로를 측면에서 바라 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 램프 어셈블리에서 광원의 중심과 상기 광원에서 조사되는 광이 통과하는 렌즈의 면 중심과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 램프 어셈블리를 이용한 헤드 램프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소자, 구성요소 및/또는 섹션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을 다른 소자, 구성요소 또는 섹션들과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소자, 제1 구성요소 또는 제1 섹션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소자, 제2 구성요소 또는 제2 섹션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 램프 어셈블리의 상면도이다. 또한,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 램프 어셈블리의 측면도이다. 그리고, 도 3 내지 도 5는 여러 방향에서 바라 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 램프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 램프 어셈블리(10)는, 제1 LED 모듈(110) 및 제2 LED 모듈(120)을 포함하는 광원부(100)와, 제1 렌즈(210) 및 제2 렌즈(220)를 포함하는 렌즈부(200)를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 램프 어셈블리(10)는 광원인 LED 소자로부터 조사된 광을 일 지점으로 모으는 리플렉터를 구비하지 않고, 조사된 광을 직접 렌즈(210, 220)를 통해 조사시키는 다이렉트 타입(direct type)의 램프 어셈블리이다. 이때, 광원부(100)에서 조사되는 광이 제2 렌즈(220)를 통과하여 제1 렌즈(210)를 투과하며, 상기 제2 렌즈(220)는 제1 및 제2 LED 모듈(110, 120)에서 조사되는 광이 입사되는 입사면(223)과, 상기 제1 LED 모듈(110)에서 조사되는 광이 출사되는 제1 출사면(221) 및 상기 제2 LED 모듈(120)에서 조사되는 광이 출사되는 제2 출사면(222)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 LED 모듈(110) 및 제2 LED 모듈(120)은 제2 렌즈(220)의 입사면(223)이 공통이나, 제2 렌즈(220)의 출사면은 제1 및 제 2 LED 모듈(110, 120)에 각각 대응하여 분할되어 형성된다.
광원부(100)는 제1 LED 모듈(110) 및 제2 LED 모듈(120)의 2개의 광원으로 이루어진다. 제1 LED 모듈(110) 및 제2 LED 모듈(120)은 LED 소자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제1 LED 모듈(110)은 복수의 LED 소자를 포함하며, 제2 LED 모듈(120)은 상기 제1 LED 모듈(110)보다 적은 개수의 LED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하여, 제1 LED 모듈(110)의 조도가 제2 LED 모듈(120)의 조도보다 높게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제1 LED 모듈(110)만 점등하는 경우, 또는 제1 LED 모듈(110) 및 제2 LED 모듈(120)을 모두 점등하는 경우에는 제1 빔을 조사할 수 있고, 제2 LED 모듈(120)만 점등하는 경우에는 제2 빔을 조사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1 빔은 하이빔 또는 로우빔 중 하나의 빔일 수 있고, 상기 제2 빔은 포지셔닝빔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빔이 하이빔일 경우, 제1 LED 모듈(110)만 점등하여도 하이빔을 구현할 수 있지만, 제1 LED 모듈(110)만 점등하는 경우보다 제1 LED 모듈(110)과 제2 LED 모듈(120)을 모두 점등하는 경우가 차량 외측에서 본 점등 이미지가 더 미려하면, 제1 LED 모듈(110)과 제2 LED 모듈(120)을 모두 점등할 수도 있다.
LED는 주입된 전자와 정공이 재결합할 때 과잉 에너지를 빛으로 방출하는 다이오드로서, 저전압 및 소전력이라는 장점을 살려 광결합 소자용 광원으로 사용되고 있다. LED 소자를 포함한 광원부(100)의 제1 및 제2 LED 모듈(110, 120)은 높은 광변환 효율과 낮은 소비 전력 등 높은 에너지 효율을 가지고 있고, 수명은 길어지며, 저전압 및 소전력의 램프 어셈블리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LED(Light Emitting Diode) 외에도 OLED(Organic Light-Emitting Diode) 등 전계 발광 효과를 이용한 모든 종류의 소자를 포함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할 것이다. LED를 광원으로 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 램프 어셈블리(10)는 색 온도가 약 5500K로 태양광에 가까워 사람의 눈에 피로를 가장 적게 해주고, 크기가 작기 때문에 램프의 디자인 자유도를 높일 수 있으며, 반영구적인 수명을 가져 경제성도 있다.
제1 및 제2 LED 모듈(110, 120)의 LED 소자는 기판에 장착된다. LED 소자가 복수 개인 경우, 기판 위에 복수 개의 LED 소자가 일렬로 배열될 수 있으며, 또는 복수 개의 LED 소자가 격자 형태로 배열될 수도 있다. 기판은 외부 전원과 케이블(미도시) 등에 의해 연결되는 단자(미도시)를 구비하고 있어, 차량의 배터리 등 외부 전원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기판은 전기 에너지를 광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LED 소자에 전력을 공급하고 제어하는 역할을 하며, 이에 기판에는 회로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렌즈부(200)는 광원부(100)에서 조사되는 광이 통과하는 2개의 렌즈(210, 220)로 이루어진다. 이때, 광원부(100)에서 조사되는 광의 경로 상에서 제2 렌즈(220)에서 먼저 광이 투과한 후, 제1 렌즈(210)에서 광이 투과된다. 일반적으로, 제2 렌즈(220)가 광원부(100)와 제1 렌즈(210) 사이에 배치되나, 이에만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제1 및 제2 렌즈(210, 220)는 제1 및 제2 LED 모듈(110, 120)로부터 조사되는 광을 전방으로 통과시킨다. 제1 및 제2 LED 모듈(110, 120)의 소정의 위치로부터 조사된 광은 전방을 향하여 사방으로 퍼지게 된다.
제1 렌즈(210)는 제2 렌즈(220)를 통과한 광이 투과하며, 일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어 빛이 출사되는 볼록면(211)과, 상기 제2 렌즈(220)를 통과하여 조사되는 광이 입사하는 입사면(213)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렌즈(210)의 볼록면(211)은 다른 영역과 곡률(curvature)이 상이한 적어도 하나의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렌즈(210)에서 광이 출사되는 볼록면(211)에서, 상측과 하측의 곡률을 다르게 형성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전방으로 조사되는 빔 패턴을 변화시킬 수 있다. 일례로, 제1 LED 모듈(110)이 점등되어 하이빔이 조사되는 경우에 볼록면(211)의 상측의 곡률을 하측의 곡률보다 완만하게 하면, 하이빔의 빔 패턴이 상측이 넓게 형성되고, 하측은 상측보다 좁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하여, 상향 빔을 형성하는 하이빔 패턴에서 대향 차량 운전자의 눈부심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제1 렌즈(210)의 입사면(213)은 가운데 부분은 평탄한 형상이고, 양 가장자리 부분 중 적어도 하나의 가장자리 부분은 만곡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제1 렌즈(210)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만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제1 렌즈(210)는 글라스(glass) 재질 등 다른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2 렌즈(220)는 제1 및 제2 LED 모듈(110, 120)에 각각 대응하는 광의 출사 영역을 가지며, 제2 렌즈(220)를 통과한 광이 제1 렌즈(210)로 입사되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렌즈(220)는 제1 및 제2 LED 모듈(110, 120)에서 조사되는 광이 입사되는 입사면(223)과, 상기 제1 LED 모듈(110)에서 조사되는 광이 출사되는 제1 출사면(221) 및 상기 제2 LED 모듈(120)에서 조사되는 광이 출사되는 제2 출사면(222)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제2 렌즈(220)의 입사면(223)은 평탄하게 형성될 수 있고, 제1 출사면(221) 및 제2 출사면(222) 중 적어도 하나의 출사면은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렌즈(220)의 입사면(223)이 평평하고, 출사면(221, 222)이 볼록함에 따라, 제1 및 제2 LED 모듈(110, 120)에서 방사상으로 조사되는 광이 제2 렌즈(220)를 투과하여 전방을 향하여 조사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2 렌즈(220)의 제1 출사면(221) 및 제2 출사면(222) 중 적어도 하나는 비대칭으로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출사면(221) 및/또는 제2 출사면(222)이 비대칭으로 볼록하게 형성됨에 따라 제2 렌즈(220)를 통과한 광이 넓게 퍼져 광의 조사 범위를 증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2 렌즈(220)는 플라스틱 재질 또는 글라스 재질 중 적어도 하나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만 제한되지 않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 램프 어셈블리에서 조사되는 광의 경로를 상면에서 바라 본 도면이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 램프 어셈블리에서 조사되는 광의 경로를 측면에서 바라 본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제2 렌즈(220)를 통과한 광은 입사면(223)이 평탄하고, 출사면(221, 222)이 볼록하여 광축 상에 위치한 제1 렌즈(210)로 광이 입사되도록 하며, 출사면(221, 222)이 비대칭으로 형성되어 광의 조사 범위를 넓게 할 수 있다. 또한, 제1 렌즈(210)를 통과한 광은 빛이 출사되는 볼록면(211)과, 상기 볼록면(211)을 향해 빛이 입사하는 입사면(213)에 의해 광이 전방을 향하여 조사되도록 하며, 볼록면(211)의 곡률이 다르게 설계되어 빔 패턴을 변화시킬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 램프 어셈블리에서 광원의 중심과 상기 광원에서 조사되는 광이 통과하는 렌즈의 면 중심과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제2 렌즈(220)는 제1 출사면(221)의 중심이 제1 LED 모듈(110)의 중심과 일치하며, 제2 출사면(222)의 중심이 제2 LED 모듈(120)의 중심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렌즈(220)는 상기 제1 LED 모듈(110)의 면 중심에서 조사되는 광이 상기 제1 출사면(221)의 면 중심(C1)을 통과하며, 상기 제2 LED 모듈(120)의 면 중심에서 조사되는 광이 상기 제2 출사면(222)의 면 중심(C2)을 벗어나 통과할 수 있다. 이에, 제1 LED 모듈(110) 에서 조사되는 광이 제1 출사면(221)을 통과하여 직진성을 가질 수 있고, 제2 LED 모듈(120) 에서 조사되는 광이 제2 출사면(222)을 통과하여 퍼질(spread)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 램프 어셈블리를 이용한 헤드 램프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 램프 장치는 복수의 헤드 램프 어셈블리(10)를 가질 수 있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헤드 램프 장치는 차량(V) 전방의 좌우측에 설치될 수 있고, 각각의 헤드 램프 장치는 2개의 헤드 램프 어셈블리, 즉 제1 헤드 램프 어셈블리(10A) 및 제2 헤드 램프 어셈블리(10B)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헤드 램프 어셈블리(10)로 헤드 램프 장치를 구현함으로써, 차량(V) 전방을 보다 밝게 비출 수 있어 운전자의 안전 운전을 도모할 수 있고, 외관 디자인을 미려하게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헤드 램프 어셈블리(10A) 및 제2 헤드 램프 어셈블리(10B)는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헤드 램프 어셈블리와 그 구성요소는 동일하며, 단지 제1 헤드 램프 어셈블리(10A)는 차량(V) 전방의 내측에 배치되고, 제2 헤드 램프 어셈블리(10B)는 차량(V) 전방의 외측에 배치된다. 이에, 제1 헤드 램프 어셈블리(10A) 및 제2 헤드 램프 어셈블리(10B)의 구성요소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때, 차량(V) 전방의 내측에 배치된 제1 헤드 램프 어셈블리(10A)는 제1 렌즈(210)의 볼록면(211)의 면 중심(C3)이 제1 LED 모듈(110)의 면 중심에서 벗어나 차량(V)의 내측으로 치우쳐 위치하며, 차량(V) 전방의 외측에 배치된 제2 헤드 램프 어셈블리(10B)는 제1 렌즈(210)의 볼록면(211)의 면 중심(C3)이 제1 LED 모듈(110)의 면 중심에서 벗어나 차량(V)의 외측으로 치우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LED 모듈(110)에서 조사되는 광을 차량(V)의 좌우측으로 넓게 조사할 수 있다. 즉, 제1 LED 모듈(110)에서 조사되는 광의 조사 범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광원부
110: 제1 LED 모듈
120: 제2 LED 모듈
200: 렌즈부
210: 제1 렌즈
211: 제1 렌즈의 볼록면
213: 제1 렌즈의 입사면
220: 제2 렌즈
221: 제2 렌즈의 제1 출사면
222: 제2 렌즈의 제2 출사면
223: 제2 렌즈의 입사면

Claims (13)

  1. 제1 LED 모듈 및 제2 LED 모듈을 포함하는 광원부; 및
    제1 렌즈 및 제2 렌즈를 포함하는 렌즈부를 포함하되,
    상기 광원부에서 조사되는 광이 상기 제2 렌즈를 통과하여 상기 제1 렌즈를 투과하며,
    상기 제2 렌즈는, 상기 제1 및 제2 LED 모듈에서 조사되는 광이 입사되는 입사면과, 상기 제1 LED 모듈에서 조사되는 광이 출사되는 제1 출사면 및 상기 제2 LED 모듈에서 조사되는 광이 출사되는 제2 출사면을 포함하는, 헤드 램프 어셈블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LED 모듈은 복수의 LED 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제2 LED 모듈은 상기 제1 LED 모듈보다 적은 개수의 LED 소자를 포함하는, 헤드 램프 어셈블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는, 일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어 빛이 출사되는 볼록면과, 상기 제2 렌즈를 통과하여 조사되는 광이 입사하는 입사면을 포함하는, 헤드 램프 어셈블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의 입사면은 가운데 부분은 평탄한 형상이고, 양 가장자리 부분 중 적어도 하나의 가장자리 부분은 만곡 형상을 가지는, 헤드 램프 어셈블리.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의 볼록면은 다른 영역과 곡률이 상이한 적어도 하나의 영역을 포함하는, 헤드 램프 어셈블리.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렌즈는, 상기 입사면이 평탄하게 형성되는, 헤드 램프 어셈블리.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렌즈는, 상기 제1 및 제2 출사면이 볼록하게 형성되는, 헤드 램프 어셈블리.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출사면 중 적어도 하나의 출사면은, 비대칭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헤드 램프 어셈블리.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제2 렌즈는, 플라스틱 재질 또는 글라스 재질 중 적어도 하나의 재질로 형성되는, 헤드 램프 어셈블리.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렌즈는, 상기 제1 LED 모듈의 면 중심에서 조사되는 광이 상기 제1 출사면의 면 중심을 통과하며, 상기 제2 LED 모듈의 면 중심에서 조사되는 광이 상기 제2 출사면의 면 중심을 벗어나 통과하는, 헤드 램프 어셈블리.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LED 모듈만 점등하는 경우 또는 상기 제1 LED 모듈 및 상기 제2 LED 모듈을 모두 점등하는 경우에는 제1 빔을 조사하고,
    상기 제2 LED 모듈만 점등하는 경우에는 제2 빔을 조사하는, 헤드 램프 어셈블리.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빔은 하이빔 또는 로우빔 중 하나의 빔이고,
    상기 제2 빔은 포지셔닝빔인, 헤드 램프 어셈블리.
  13. 차량 전방의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 1항 내지 제 12항 중 어느 한 항의 헤드 램프 어셈블리인 제1 헤드 램프 어셈블리; 및
    상기 차량 전방의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 1항 내지 제 12항 중 어느 한 항의 헤드 램프 어셈블리인 제2 헤드 램프 어셈블리를 포함하되,
    상기 제1 헤드 램프 어셈블리는, 상기 제1 렌즈의 볼록면의 면 중심이 상기 제1 LED 모듈의 면 중심에서 벗어나 상기 차량의 내측으로 치우쳐 위치하며,
    상기 제2 헤드 램프 어셈블리는, 상기 제1 렌즈의 볼록면의 면 중심이 상기 제1 LED 모듈의 면 중심에서 벗어나 상기 차량의 외측으로 치우쳐 위치하는, 헤드 램프 장치.
KR1020140094863A 2014-07-25 2014-07-25 헤드 램프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헤드 램프 장치 KR1016383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4863A KR101638323B1 (ko) 2014-07-25 2014-07-25 헤드 램프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헤드 램프 장치
CN201520485770.XU CN205090285U (zh) 2014-07-25 2015-07-07 前照灯组件及利用该组件的前照灯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4863A KR101638323B1 (ko) 2014-07-25 2014-07-25 헤드 램프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헤드 램프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2752A true KR20160012752A (ko) 2016-02-03
KR101638323B1 KR101638323B1 (ko) 2016-07-12

Family

ID=553557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4863A KR101638323B1 (ko) 2014-07-25 2014-07-25 헤드 램프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헤드 램프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38323B1 (ko)
CN (1) CN205090285U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6201A (ko) * 2003-11-13 2005-05-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엘이디 램프를 이용한 자동차용 조명수단
EP2306074A2 (de) 2009-10-05 2011-04-06 Automotive Lighting Reutlingen GmbH Kraftfahrzeugscheinwerfer mit einem Halbleiterquellen, eine Primäroptik und eine Sekundäroptik aufweisenden Lichtmodul
JP2012199160A (ja) * 2011-03-23 2012-10-18 Ichikoh Ind Ltd 車両用灯具
US20130208493A1 (en) 2011-10-06 2013-08-15 Hella Kgaa Transformation optics assembly
KR101295827B1 (ko) * 2012-02-02 2013-08-16 주식회사 에스엘 서봉 차량용 램프
JP2014056754A (ja) * 2012-09-13 2014-03-27 Ichikoh Ind Ltd 車両用灯具
US20140169015A1 (en) 2012-12-18 2014-06-19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Vehicle headlamp system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6201A (ko) * 2003-11-13 2005-05-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엘이디 램프를 이용한 자동차용 조명수단
EP2306074A2 (de) 2009-10-05 2011-04-06 Automotive Lighting Reutlingen GmbH Kraftfahrzeugscheinwerfer mit einem Halbleiterquellen, eine Primäroptik und eine Sekundäroptik aufweisenden Lichtmodul
JP2012199160A (ja) * 2011-03-23 2012-10-18 Ichikoh Ind Ltd 車両用灯具
US20130208493A1 (en) 2011-10-06 2013-08-15 Hella Kgaa Transformation optics assembly
KR101295827B1 (ko) * 2012-02-02 2013-08-16 주식회사 에스엘 서봉 차량용 램프
JP2014056754A (ja) * 2012-09-13 2014-03-27 Ichikoh Ind Ltd 車両用灯具
US20140169015A1 (en) 2012-12-18 2014-06-19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Vehicle headlamp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05090285U (zh) 2016-03-16
KR101638323B1 (ko) 2016-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7602B1 (ko)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
US9243768B2 (en) Light source for headlight and headlight
US9623792B2 (en) Vehicle headlight
KR101307976B1 (ko) 다중 led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led 헤드램프
KR100961676B1 (ko) 배광을 원하는 대로 구현할 수 있는 엘이디 조명등용 렌즈
CN109027944A (zh) 混合式前照灯系统和方法
KR20180076708A (ko) 차량용 램프
KR102099792B1 (ko) 차량용 헤드 램프
KR20120049576A (ko) 도로조명용 가로등 유닛
KR101339159B1 (ko) 차량용 헤드램프
KR20160136900A (ko) 차량용 램프
JP2016051579A (ja) 照明装置及び自動車
CN103062695A (zh) 汽车用灯装置
KR20100122640A (ko) 헤드램프
KR20180073069A (ko) 차량용 램프
KR102099793B1 (ko) 차량용 헤드 램프
KR102036095B1 (ko) 차량용 램프
KR101986003B1 (ko) 차량용 헤드램프
KR101638323B1 (ko) 헤드 램프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헤드 램프 장치
KR102122412B1 (ko) 차량용 램프
KR20180078011A (ko) 차량용 램프
KR20100069471A (ko) 차량용 헤드램프
KR101615546B1 (ko) 차량용 리어 컴비네이션 램프
KR101461552B1 (ko) 차량용 램프
KR20150068118A (ko) 차량용 헤드 램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