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5490B1 - 인몰드 필름 - Google Patents

인몰드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5490B1
KR101295490B1 KR1020120102191A KR20120102191A KR101295490B1 KR 101295490 B1 KR101295490 B1 KR 101295490B1 KR 1020120102191 A KR1020120102191 A KR 1020120102191A KR 20120102191 A KR20120102191 A KR 20120102191A KR 101295490 B1 KR101295490 B1 KR 1012954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adhesive
adhesive layer
film
pri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21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근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명이노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9220322&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295490(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명이노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명이노텍
Priority to KR10201201021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54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54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54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9Laminat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2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23/02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9J1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9J123/12Poly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67/00Adhesives based on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2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electrical or magnetic properties, e.g. piezoelectric
    • B32B2307/21Anti-static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몰드 필름에 관한 것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인몰드 필름은, 투명성, 내열성 및 부착성이 우수하며, 산소, 수분, 빛 등의 투과에 대한 차단성이 뛰어나 내용물 보존성이 우수하다. 또한, 용기 성형과 동시에 필름이 부착되므로 제조 공정이 단축되고 원가 절감 효과가 높으며, 용기 유통 중에 필름이 떨어지는 외관 품질상의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인몰드 필름 {IN-MOLD FILM}
본 발명은 포장 용기 성형 시 몰드 내에 필름을 고정시키고 성형하여, 필름이 부착된 용기를 제조하는 인몰드 (In-mold) 성형에 사용되는 필름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라벨이 부착된 용기는 세제류, 각종 중소형 포장 용기와 같은 용기를 사출하여 제작하고 실크 스크린 인쇄 또는 스티커 형식의 필름을 부착시키는 방법으로 제작되어 왔다.
실크 스크린 인쇄법의 경우 인쇄 색상의 수 별로 추가 비용이 발생되므로 경제적인 면을 고려하여 다양한 색상을 사용하여 제품 생산자가 표현하고 싶은 디자인을 다 표현하지 못하는 어려움이 있다. 또한, 용기 표면에 스티커 형식의 필름을 부착하는 경우 용기 성형공정 후에 스티커 형식의 필름을 별도로 부착해야 하므로 용기 이동에 필요한 적재 공간, 운송 비용과 스티커 형식의 필름을 부착하는 비용이 추가로 발생되고, 운송하거나 보관하는 과정에서 스티커 형식의 필름끼리 접착될 수 있다. 그리고, 용기에 접착되는 스티커 형식의 필름의 가장자리에 이물질이 붙거나 스티커 형식의 필름 부착이 완벽하지 못할 경우 유통 중에 필름이 떨어지는 등 외관 품질상의 문제점이 있다.
이에, 최근에는 금형 내에 필름을 삽입하여 용기 성형과 동시에 필름을 부착하는 인몰드(In-mold) 성형 시스템이 개발되어 적용되고 있으나, 필름의 유연성 및 열 부착력이 취약하여 성형 시 필름이 완벽하게 부착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용기 성형과 동시에 부착가능한 인몰드 필름으로서, 투명성, 내열성 및 부착성이 우수한 인몰드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직접 언급되지 않았더라도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가 명확하게 이해 또는 예측할 수 있는 다른 과제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인몰드 필름은, 접착층; 및 상기 접착층 상에 형성된 인쇄층;을 포함한다.
상기 접착층은 MATT PET, MATT PP, 폴리프로필렌 (polypropylene; PP), PP 접착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및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착층의 두께는 2㎛ 내지 80 ㎛일 수 있다.
상기 인쇄층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카보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쇄층의 두께는 12 ㎛ 내지 80 ㎛일 수 있다.
상기 인쇄층은 안료 및 전색제를 포함하는 잉크로 인쇄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인몰드 필름은, 상기 접착층 및 상기 인쇄층 사이에 차단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단층은 알루미늄, 증착 PET 및 증착 CPP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단층의 두께는 6 ㎛ 내지 25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인몰드 필름은, 상기 접착층과 상기 차단층 사이, 및 상기 인쇄층과 상기 차단층 사이에 각각 독립적으로 접착제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착제층은 주제, 경화제 및 용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착제층의 두께는 2 ㎛ 내지 5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인몰드 필름은, 상기 인쇄층 상에 대전방지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인몰드 필름은, 상기 인쇄층 상에 UV 하드코팅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인몰드 필름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스티렌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용기에 접착가능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인몰드 필름은, 투명성, 내열성 및 부착성이 우수하며, 산소, 수분, 빛 등의 투과에 대한 차단성이 뛰어나 내용물 보존성이 우수하다. 또한, 용기 성형과 동시에 필름이 부착되므로 제조 공정이 단축되고 원가 절감 효과가 높으며, 용기 유통 중에 필름이 떨어지는 외관 품질상의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착층 및 인쇄층을 포함하는 인몰드 필름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단층을 더 포함하는 인몰드 필름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착제층을 더 포함하는 인몰드 필름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전방지층을 더 포함하는 인몰드 필름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UV 하드코팅층을 더 포함하는 인몰드 필름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제 1 측면은, 접착층; 및 상기 접착층 상에 형성된 인쇄층;을 포함하는 인몰드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접착층은 MATT PET, MATT PP, 폴리프로필렌 (polypropylene; PP), PP 접착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thermoplastic polyurethane),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ethylene-vinylacetate) 및 폴리에틸렌 (polyethyle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MATT PET란, PET (PET류)의 접착력 부재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MATT 처리를 한 것으로서, 그 과정에서 PE 성분이 포함되어 접착성이 부여된 것이고, MATT PP란, PP (PP류)의 필름 간의 분리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MATT 처리하여 접착성을 향상시킨 것이고, PP 접착제란, 기본적으로 PP (PP류)와 접착이 가능한 베이스 수지로서, PP (PP류)의 접착력을 증대시키기 위해서 액체로 만들어 도포하여 사용한다.
상기 접착층으로서, MATT PET 또는 MATT PP를 사용할 경우, PET 또는 PP 계열의 수지에 MATT(무광)처리 한 필름으로 인몰드 필름과 용기에 부착력이 우수하며, 용기 부착면 필름의 표면 거칠어 인몰드 필름끼리 분리가 용이하다. 또한, 상기 접착층으로서 PP를 사용할 경우, PP 계열의 용기와 접착력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접착층의 두께는 2 ㎛ 내지 80 ㎛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접착층의 두께가 약 2 ㎛ 미만인 경우에는 접착력이 약하여 박리현상이 발생하거나 기포가 발생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약 80 ㎛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경화 시간이 지나치게 길어져서 생산성이 저하되고 과량의 접착제가 층 외부로 빠져 나오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PP 접착층인 경우에는 그 두께가 약 2 ㎛ 내지 15 ㎛ 정도가 되고, 접착층으로 필름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 두께가 약 10 ㎛ 내지 80 ㎛ 정도가 될 수 있다.
상기 접착층은 접착특성을 부여하는 접착강화제 (Tackifer), 점도를 조절하는 왁스 및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접착층의 요구성능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염료, 가소제, 이형제, 산화방지제, 난연제 또는 자외선 흡수제의 첨가제를 첨가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인쇄층은 색상과 그림을 구현하는 층으로서, 상기 인쇄층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폴리프로필렌 (polypropylene; PP) 및 폴리카보네이트 (polycarbonate; PC)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인쇄층으로서, PET를 사용할 경우, 내용물 보존성이 뛰어나고, 투명성이 뛰어나 인쇄효과가 높으며, PET 계열의 용기에 부착 시, 분리배출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고, PP를 사용할 경우, PP 계열의 용기에 부착 시, 분리배출이 용이하며, 비교적 두꺼운 두께까지 적용할 수 있어 PP 단독으로 사용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인쇄층의 두께는 12 ㎛ 내지 80 ㎛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인쇄층의 두께가 약 12 ㎛ 미만인 경우에는 투과에 의하여 인쇄층 아래의 층에 의한 인쇄 품질 저하의 문제가 있을 수 있고, 약 80 ㎛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전체적인 인몰드 필름이 지나치게 두꺼워지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인쇄층은 안료 및 전색제를 포함하는 잉크로 인쇄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안료는 물이나 기름 등에 녹지 않는 광물질 또는 유기질의 착색제이고, 전색제는 안료를 분산시키고 유동성과 전성(展性, malleability)을 주어 인쇄면에 안료를 고착시키는 역할을 하는 액체 성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접착층 및 상기 인쇄층 사이에 차단층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차단층은 산소, 수분, 빛 등의 투과를 차단하여 포장된 내용물의 보존성을 개선하는 것으로서, 상기 차단층은 알루미늄, 증착 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및 증착 CPP (cast polypropylen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차단층으로서, 알루미늄을 사용할 경우, 차단성이 뛰어나 산소 투과도가 제로에 가까워 내용물 보존성이 뛰어나며, PET 필름에 알루미늄을 도포한 증착 PET를 사용할 경우, 내용물 보존성이 뛰어나며, 투명성을 가지게 할 수 있어 투명 용기에 부착 시 내용물을 보이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차단층의 두께는 6 ㎛ 내지 25 ㎛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알루미늄 차단층의 경우 6 ㎛ 내지 15 ㎛일 수 있는데, 약 6 ㎛ 미만인 경우에는 합지 과정에서 생산성 (작업성)이 저하될 수 있고, 차단 효과가 미흡할 수 있고, 약 15 ㎛보다 두꺼운 경우에는 유연성이 저하되어 인몰드 과정에서 에러 발생의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차단층으로 증착 필름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 두께가 12 ㎛ 내지 25 ㎛일 수 있는데, 약 12 ㎛ 미만인 경우에는 차단효과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을 수 있고, 25 ㎛보다 두꺼운 경우에는 역시 유연성 저하에 의한 인몰드 과정에서 에러 발생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접착층과 상기 차단층 사이, 및 상기 인쇄층과 상기 차단층 사이에 각각 독립적으로 접착제층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접착제층은 주제, 경화제 및 용제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접착제층의 두께는 2 ㎛ 내지 5 ㎛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접착제층층의 두께가 약 2 ㎛ 미만인 경우에는 접착력이 약하여 박리현상이 발생하거나 기포가 발생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약 5 ㎛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경화 시간이 지나치게 길어져서 생산성이 저하되고 과량의 접착제가 층 외부로 빠져나오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인쇄층 상에 대전방지층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대전방지층은 정전기 발생 방지를 위한 것으로서, 표면 저항이 약 109 Ω/㎠ 내지 약 1011 Ω/㎠ 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인쇄층 상에 UV 하드코팅층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UV 하드코팅층은 코팅제를 도포한 후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시켜 인쇄층을 보호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폴리프로필렌 (polypropylene; PP) 및 폴리스티렌 (polystylene; PS)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용기에 접착가능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인몰드 필름에 대하여 실시예와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예와 도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착층 및 인쇄층을 포함하는 인몰드 필름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몰드 필름은, 접착층(100) 및 상기 접착층(100) 상에 형성된 인쇄층(2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착층(100)은 예를 들어, MATT PET, MATT PP, 폴리프로필렌 (polypropylene; PP), PP 접착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thermoplastic polyurethane),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ethylene-vinylacetate) 및 폴리에틸렌 (polyethyle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착층(100)의 두께는 2 ㎛ 내지 80 ㎛일 수 있다.
상기 인쇄층(200)은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폴리프로필렌 (polypropylene; PP) 및 폴리카보네이트 (polycarbonate; PC)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쇄층(200)의 두께는 약 12 ㎛ 내지 약 80 ㎛일 수 있다.
상기 인쇄층(200)은 안료 및 전색제를 포함하는 잉크로 인쇄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인쇄층(200)의 인쇄는 예를 들어, 그라비아 인쇄, 옵셋 인쇄, 후렉소 인쇄, 스크린 인쇄, 잉크젯 인쇄 등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인몰드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공지 방법 중에서 선택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인플레이션 방법, 티다이 익스트루젼 방법, 마이크로 그라비아 방법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인몰드 필름의 상기 접착층(100) 및 상기 인쇄층(200)의 구체적인 예시로서, "PET / MATT PET" (실시예 1-1) (이하, 용기에 접하는 층의 반대 방향에서 용기에 접하는 층 방향으로 순서대로 "인쇄층 / 접착층"으로 표시), "PP / PP접착제" 실시예 1-2), "PP / PP" (실시예 1-3)로 이루어진 인몰드 필름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단층을 더 포함하는 인몰드 필름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와 같이 상기 접착층(100) 및 상기 인쇄층(200) 사이에 차단층(3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단층(300)은 알루미늄, 증착 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및 증착 CPP (cast polypropylen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단층(300)의 두께는 6 ㎛ 내지 25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인몰드 필름의 상기 접착층(100), 차단층(300) 및 상기 인쇄층(200)의 구체적인 예시로서, "PET / Al / MATT PP" (실시예 2-1) ("인쇄층 / 차단층 / 접착층"으로 표시), "PET / 증착 PET / PP접착제" (실시예 2-2), "PP / 증착PET / MATT PP" (실시예 2-3), "PP / 증착PET / PP 접착제" (실시예 2-4), "PP / Al / MATT PP" (실시예 2-5)로 이루어진 인몰드 필름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착제층을 더 포함하는 인몰드 필름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과 같이 상기 접착층(100)과 상기 차단층(300) 사이, 및 상기 인쇄층(200)과 상기 차단층(300) 사이에 각각 독립적으로 접착제층(400, 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착층(100)과 상기 차단층(300) 사이, 및 상기 인쇄층(200)과 상기 차단층(300) 사이에 각각 형성되어 각 층을 서로 붙여주는 상기 접착제층(400, 500)은, 주제, 경화제 및 용제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며, 재질과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접착제층(400, 500)의 두께는 2 ㎛ 내지 5 ㎛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전방지층을 더 포함하는 인몰드 필름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4와 같이 상기 인쇄층(200) 상에 대전방지층(6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UV 하드코팅층을 더 포함하는 인몰드 필름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와 같이 상기 인쇄층(200) 상에 UV 하드코팅층(7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인몰드 필름은 투명성, 내열성 및 부착성이 우수하며, 산소, 수분, 빛 등의 투과에 대한 차단성이 뛰어나 내용물 보존성이 우수하다. 또한, 용기 성형과 동시에 필름이 부착되므로 제조 공정이 단축되고 원가 절감 효과가 높으며, 용기 유통 중에 필름이 떨어지는 외관 품질상의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인몰드 필름은 각종 포장 용기, 예를 들어, 주방세제류, 화장품, 섬유유연제 등의 필름으로 적합하다.
본 발명에 따른 인몰드 필름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폴리프로필렌 (polypropylene; PP) 및 폴리스티렌 (polystylene; PS)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용기에 접착가능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인몰드 필름을 적용한 용기는 종래의 고밀도 폴리에틸렌 (high density polyethylene; HDPE) 용기에 비해 가볍고 자재 원자재의 소요량이 적으며, 용기의 밑면에 굴곡을 주어 충격 시 튼튼하다. 또한, 기존 스티커 형태의 필름에 적용하기 어려웠던 굴곡면에도 적용이 가능하여 제품의 품위를 고급스럽게 하면서 동시에 시각적 효과를 보다 크게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접착층
200: 인쇄층
300: 차단층
400:, 500: 접착제층
600: 대전방지층
700: UV 하드코팅층

Claims (15)

  1. MATT PET, MATT PP 및 PP 접착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접착층;
    상기 접착층 상에 형성된 인쇄층;
    상기 접착층 및 상기 인쇄층 사이에 형성된 증착 PET인 차단층; 및
    상기 인쇄층 상에 형성된 UV 하드코팅층;
    을 포함하고,
    상기 인쇄층은 안료 및 전색제를 포함하는 잉크로 인쇄된 것이고,
    상기 접착층의 두께는 35 ㎛ 내지 80 ㎛이고,
    상기 인쇄층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카보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차단층의 두께는 6 ㎛ 내지 25 ㎛인,
    인몰드 필름.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층의 두께는 12 ㎛ 내지 80 ㎛인 것인, 인몰드 필름.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과 상기 차단층 사이, 및 상기 인쇄층과 상기 차단층 사이에 각각 독립적으로 접착제층을 더 포함하는 것인, 인몰드 필름.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층은 주제, 경화제 및 용제를 포함하는 것인, 인몰드 필름.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층의 두께는 2 ㎛ 내지 5 ㎛인 것인, 인몰드 필름.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층 상에 대전방지층을 더 포함하는 것인, 인몰드 필름.
  14. 삭제
  15. 제 1 항에 있어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스티렌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용기에 접착가능한 것인, 인몰드 필름.
KR1020120102191A 2012-09-14 2012-09-14 인몰드 필름 KR1012954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2191A KR101295490B1 (ko) 2012-09-14 2012-09-14 인몰드 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2191A KR101295490B1 (ko) 2012-09-14 2012-09-14 인몰드 필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95490B1 true KR101295490B1 (ko) 2013-08-09

Family

ID=492203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2191A KR101295490B1 (ko) 2012-09-14 2012-09-14 인몰드 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549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3352A (ko) * 2015-03-18 2016-09-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102321613B1 (ko) * 2020-06-19 2021-11-03 김현종 택배용 라벨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96088A (ja) * 1998-04-09 1999-10-29 Nippla Co Ltd 遮光性インモールドラベル及びそれを貼着した複合容器の成形方法
JP2005037624A (ja) * 2003-07-18 2005-02-10 Dainippon Printing Co Ltd インモールド成形用ラベル、およびそれを使用したインモ−ルドラベル成形容器
KR101011464B1 (ko) * 2009-09-30 2011-01-28 삼광티엘티(주) 인서트 몰드 전사 필름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96088A (ja) * 1998-04-09 1999-10-29 Nippla Co Ltd 遮光性インモールドラベル及びそれを貼着した複合容器の成形方法
JP2005037624A (ja) * 2003-07-18 2005-02-10 Dainippon Printing Co Ltd インモールド成形用ラベル、およびそれを使用したインモ−ルドラベル成形容器
KR101011464B1 (ko) * 2009-09-30 2011-01-28 삼광티엘티(주) 인서트 몰드 전사 필름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3352A (ko) * 2015-03-18 2016-09-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102272470B1 (ko) 2015-03-18 2021-07-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102321613B1 (ko) * 2020-06-19 2021-11-03 김현종 택배용 라벨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X2010007682A (es) Etiqueta en molde metalizada y articulos moldeados que la utilizan.
JP5858469B2 (ja) 離型フィルム貼合両面粘着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773456B1 (ko) 데코레이션 필름
US11358770B2 (en) Contact lens blister pack label and method for adjoining blister packs
KR101295490B1 (ko) 인몰드 필름
JP5651797B1 (ja) ハードコート転写フィルムの製造方法及びハードコート転写フィルム並びにハードコート層を備えた高分子樹脂板又は高分子樹脂フィルム。
CN106147684B (zh) 具有金属表面的模内标签材料、模内标签及制备方法和包装容器
CN204196390U (zh) 一种印刷喷涂复合薄膜
KR101254724B1 (ko) 대전방지 및 투습방지 필름과 그 제조 방법
JP5109421B2 (ja) インモールドラベル付容器
EP3073471B1 (en) Stretch lab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CN105102220B (zh) 用于层压在图像支持物上的具有金属消光饰面的可印刷薄膜和制造方法
JP4957330B2 (ja) インモールドラベルおよびそれを用いたインモールド成形品
US9303193B2 (en) Waterproof tape for preventing leakage of light
CN104002532B (zh) 一种透明有色保护膜及其制备方法
KR102203464B1 (ko) 인몰드 라벨이 부착된 재활용이 용이한 저장 용기 및 그 저장 용기의 재활용 방법
JP2012247583A (ja) インモールドラベル及びラベル付き容器
JP2006350313A (ja) 高輝度なラベル、該ラベルが貼着した容器、及びそれらの製造方法
IT201800006996A1 (it) Accoppiato termolaminato in “monomateriale” a base di polietilene per imballaggi flessibili riciclabili
WO2018003803A1 (ja) インモールドラベル及びインモールド成形体
KR100603016B1 (ko) 라벨용 포장필름의 제조방법,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라벨용 포장필름 및 상기 포장필름의 사용방법
JP5502231B1 (ja) インキ組成物及び転写シート
CN202705283U (zh) 一种抗紫外线保护膜
KR101917386B1 (ko) 인몰드 사출성형용 필름
JP2003241666A (ja) 易剥離性筒状ラベル及び易剥離性筒状ラベル付き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5

Year of fee payment: 5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8

Year of fee payment: 6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0003381;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71026

Effective date: 20180727

J202 Request for trial for correction [limita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5000114; TRIAL DECISION FOR CORRECTION REQUESTED 20181109

Effective date: 20190411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200007606;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80918

Effective date: 201905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