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3016B1 - 라벨용 포장필름의 제조방법,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라벨용 포장필름 및 상기 포장필름의 사용방법 - Google Patents

라벨용 포장필름의 제조방법,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라벨용 포장필름 및 상기 포장필름의 사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3016B1
KR100603016B1 KR1020040084952A KR20040084952A KR100603016B1 KR 100603016 B1 KR100603016 B1 KR 100603016B1 KR 1020040084952 A KR1020040084952 A KR 1020040084952A KR 20040084952 A KR20040084952 A KR 20040084952A KR 100603016 B1 KR100603016 B1 KR 1006030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packaging film
label
film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49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08203A (ko
Inventor
황호연
Original Assignee
황호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호연 filed Critical 황호연
Publication of KR200600082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82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30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30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paper or cardbo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aluminium or cop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14Printing or colouring
    • B32B38/145Pri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2Transpar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10/00Treatment by energy or chemical effects
    • B32B2310/08Treatment by energy or chemical effects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B32B2310/0806Treatment by energy or chemical effects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us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 B32B2310/0831Treatment by energy or chemical effects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us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using UV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19/00Labels, badges

Landscapes

  • Wrapper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장필름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포장용기를 감싸는 라벨로 사용되어 포장된 내용물의 보존기간을 연장시킬 수 있고 유광처리하여 광고효과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20-40℃에서 원단 변형과 컬링현상이 없는 라벨용 포장필름의 제조방법,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라벨용 포장필름 및 상기 포장필름의 사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라벨용 포장필름은 7-18㎛ 두께의 알루미늄 원단을 포함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원하는 디자인으로 라벨을 유광처리 되도록 인쇄한 후 상기 인쇄면을 보호하기 위한 상부필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본 발명에 따른 라벨용 포장필름으로 포장용기를 감싸게 되면 포장용기의 수분투과성이 현저히 낮아지며 자외선을 포함한 광을 차단하기 때문에 포장된 내용물의 보존성이 개선되는 동시에 유광 처리된 인쇄면이 보호되어 광고효과 또한 우수하고, 종래 라벨용 포장필름의 고질적인 문제점이었던 원단의 변형 및 컬링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라벨용 포장필름의 제조방법,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라벨용 포장필름 및 상기 포장필름의 사용방법{ Method for producing package film for label, the package film for label thereby, and the using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인 포장필름의 단면도.
도 2은 도 1에 따라 제조된 포장필름의 사용상태도.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포장필름 110 : 하부원단
120 : 알루미늄 원단 130 : 코어원단
140 : 인쇄층 150 : 접착제층
160 : 상부원단 200 : 용기
본 발명은 포장필름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포장용기를 감싸는 라벨로 사용되어 포장된 내용물의 보존기간을 연장시킬 수 있고 유광처리하여 광고효과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20-40℃에서 원단 변형과 컬링현상이 없는 라벨용 포장필름의 제조방법,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라벨용 포장필름 및 상기 포장필름의 사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음료 용기를 비롯하여 상품을 포장하는 용기는 용기 자체가 상품의 특징, 제조자 및 상표를 표시하기 위해 특정디자인을 가진 모양으로 제조되기도 하지만 통상적으로는 상품의 특징, 제조자 및 상표를 표시하기 위해 특정디자인을 인쇄한 라벨이 포장용기의 일부에 부착되거나 포장용기 전부를 감싸는 방식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라벨이 부착된 포장용기에 제품을 담아서 완성되면, 수송 및 보관 등의 과정을 거쳐 최종 사용자가 상기 제품을 사용하게 되는데, 이때 포장 용기는 외면적으로는 디자인이나 색상 등 광고효과에 대한 문제가 있고 내면적으로는 외부의 가시광선을 차단해 제품의 장기보관에 이상이 없어야 하고, 습기 또는 열등을 외부와 차단해야 한다.
그런데, 현재의 식품포장용기 특히 음료용기로는 주로 폴리에틸렌제 성형용기가 주로 사용되고 있는데, 폴리에틸렌은 여러 가지의 수지 중에서도 가장 수분 투과율이 작지만(30㎛당 수분투과율은 저밀도 폴리에틸렌의 경우에 예컨대 19g/㎡.24hrs 정도, 고밀도 폴리에틸렌의 경우에 예컨대 5g/㎡.24hrs 정도이다.), 광차단효과가 전혀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폴리에틸렌제 성형용기를 감싸는 라벨은 주로 종이와 배향되는 폴리프로필렌 필름이 결합된 것이거나 단순히 폴리프로필렌 필름에 불과하여 라벨을 부착하여도 광차단 효과가 전혀 없어, 장시간 수송시나 보관시에 자외선의 침투, 습기 또는 열의 침투로 말미암아 포장용기내부의 제품의 물성이 도중에 변화하거나 변질되는 경우가 있어 보존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노출되고 있다.
또한, 종래의 라벨 제조공정에서는 이형지와 접착제층과 투명필름으로 구성된 보호필름을 라벨의 인쇄면을 보호하기 위해 인쇄면위에 더 부착시키는데, 이 때 상기 보호필름은 업계에서 상용되고 있으나, 이형지로 인해 비용이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라벨을 용기에 부착시키는 방법은 접착제를 이용한 스티카 방식만이 알려져 있어, 사용자는 다른 방식을 선택할 여지가 없었을 뿐만 아니라, 라벨의 재질이 용기와 상이하므로 용기의 재활용이 어려우며 제조비용의 상승 및 라벨이 용기로부터 분리될 염려가 다수 있었다.
더욱이, 포장용 라벨을 제조하기 위한 원단의 변형 및 시간이 지남에 따라 포장필름의 단면이 말리는 컬링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의 단점을 해결할 수 있는 포장필름에 대한 당업계의 요구가 다수 존재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20-40℃에서 원단의 변형 현상이 일어나지 않는 라벨용 포장필름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라벨용 포장필름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인쇄면을 보호할 수 있는 접착제조성물을 개발하여 이형지와 접착제층과 투명필름으로 구성되어 상용되는 보호필름을 사용하지 않고 라벨의 제조공정 중에서 라벨의 인쇄면 위에 상기 새로운 조성의 접착제 층을 도포한 후 투명필름을 부착시킴으로써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라벨용 포장필름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라벨용 포장필름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자외선을 포함한 광을 차단하기 때문에 포장된 내용물의 보존성을 개선할 수 있는 라벨용 포장필름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라벨용 포장필름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시간이 흘러도 포장필름의 단면이 말리지 않도록 컬링문제를 해결하여 작업성이 우수한 라벨용 포장필름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라벨용 포장필름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인몰드 방식과 스티카 방식을 선택하여 포장필름을 부착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인몰드 방식의 경우 용기와 포장필름을 인몰드 방식으로 부착시킴으로써 포장필름의 사용방법을 단순화 하여 포장필름으로 포장된 용기의 제조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고, 상기 포장된 용기의 재활용을 용이하게 하는 라벨용 포장필름의 사용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부 원단과 알루미늄 원단을 합지하는 단계; 상기 합지된 알루미늄 원단과 코어 원단을 합지하는 단계; 상기 합지된 코어 원단에 인쇄하는 단계; 상기 코어 원단의 인쇄면에 접착제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접착제층에 상부 원단을 부착하는 단계; 및 상기 상부원단 표면에 UV 광선을 조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라벨용 포장필름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상부원단 표면에 조사되는 UV 광선은 파장이 200-450 ㎚이고, 상기 상 부원단 1㎠당 100-150W의 세기로 조사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접착제층은 우레탄아크릴레이트 30-35중량%,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15-20중량%, 트리프로필렌글리콜 아크릴레이트 18-22중량%, 2-HEMA (2-hydroxy - ethyl methacrylate) 16-20중량%, 광개시제 5-10중량%, 접착성증감제 1-2중량%를 포함하는 접착제 조성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원단은 폴리프로필렌계 합성수지 또는 폴리에틸렌계합성수지로서 그 두께가 20-4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코어원단은 지류 또는 합성수지로서 그 두께가 30-6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 원단은 투명한 특성을 가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폴리에틸렌수지 또는 OPP 로서 그 두께가 12-2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 원단의 표면에 인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술한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제조된 라벨용 포장필름을 제공한다.
상기 라벨용 포장필름은 20-40℃에서 변형 또는 컬링현상이 일어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술한 어느 하나의 라벨용 포장필름이 원하는 용기를 사출함과 동시에 부착되는 인몰드 방식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벨용 포장필름의 사용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하부원단은 본 발명에 의한 라벨용 포장필름이 부착되는 포장용기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재질인 것이 바람직한데, 라벨용 포장필름을 원하는 용기에 부착 사용하는 것을 비교적 단순한 공정으로 용이하게 하고, 포장용기의 재활용시 포장용기와 라벨의 분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통상적으로 포장용기의 재질로 흔히 쓰이는 폴리프로필렌계 합성수지 또는 폴리에틸렌계 합성수지로 된 원단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본 발명에서 하부원단으로 사용되는 폴리프로필렌 필름은 프로필렌을 촉매로 중합한 폴리프로필렌을 연신하여 제조된 공지된 구성의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사용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축 연신된 폴리프로필렌 필름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단순히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사용할 수도 있으나, 열접착온도가 낮은 랜덤 폴리프로필렌으로 된 표면을 갖도록 가공된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폴리에틸렌 필름은 시중에서 통용되고 있는 통상적인 폴리에틸렌 필름을 모두 사용할 수 있으나, 대기 중의 수분이 포장지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고밀도 폴리에틸렌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하부원단은 그 두께가 20-40㎛인 것이 바람직한데, 그 두께가 20㎛이하로 되면 라벨용 포장필름에 요구되는 강도 또는 두께보다 약하게 되어 합지하는 공정에서 또는 용기와 라벨을 부착하는 공정에서 기포가 발생하거나 주름이 생길 염려가 있고, 40㎛이상이 되면 용기와 라벨을 부착하는 공정에서 포장필름의 무게로 인해 원단을 끌어당기지 못해 작업이 불가능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경제성 또한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포장필름을 스티카 방식으로 사용하고자 할 경우 상기 하부원단은 그 하부에 당업계에서 공지된 구성의 접착제층을 형성하고 이형지를 부착하여 이형지부착층이 더 준비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알루미늄 원단은 공지된 방법으로 생성된 알루미늄박으로서 7-18 ㎛의 두께를 가진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알루미늄 원단의 두께가 7 마이크로 이하의 두께를 가지게 되면 광차단 효과가 약화되어 포장필름으로서의 우수한 특성이 약화되고, 18 마이크로미터 이상의 두께를 가지게 되면 경제성 및 작업성이 약화되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코어원단은 라벨용 포장필름의 일정한 두께와 강도를 유지하기 위한 지지체로서 그 소재는 지류 또는 합성수지류이고, 그 두께가 30-60㎛인 것이 바람직한데, 코어원단의 두께가 30㎛이하로 되면 라벨용 포장필름에 요구되는 강도 또는 두께보다 약하게 되어 합지하는 공정에서 또는 용기와 라벨을 부착하는 공정에서 기포가 발생하거나 주름이 생길 염려가 있고, 코어원단의 두께가 60㎛이상이 되면, 용기와 라벨을 부착하는 공정에서 포장필름의 무게로 인해 원단을 끌어당기지 못해 작업이 불가능 할 수 있어 작업성이 떨어 뿐만 아니라 경제성 또한 떨어지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코어원단으로 사용되는 지류는 합성수지필름 정도의 강도 및 매끄 러운 표면을 가진다면 특별히 제한됨 없이 사용가능하나, 보다 바람직하게는 평량이 50-100g/㎡인 지류로서 편면 코팅작업 후 슈퍼 캘린더 처리하여 고광택을 가지면 무형광 특성을 갖는 것이다. 이러한 특성을 가진 종이의 일례로서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하이그로스지(계성제지생산)가 있다.
또한 상기 코어원단으로 합성수지류가 사용되는 경우도 특별히 제한 없이 사용가능하나, 특히 폴리에틸렌계, 폴리프로필렌계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코어원단은 원하는 디자인의 라벨을 그 표면에 인쇄하게 되므로, 특히 인쇄면이 보다 잘 형성될 수 있는 표면을 가진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상부원단은 유광처리된 인쇄면을 보호하여 광고효과를 높이기 위한 것이거나 그 표면에 인쇄층이 형성될 수 있으므로, 투명성이 우수하고 그 표면에 인쇄층이 형성되기 용이한 합성수지필름으로서 그 두께는 12-20㎛인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상부원단의 두께가 12㎛이하로 되면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고, 20㎛이상이 되면 경제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이다. 여기서, 상기 상부원단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폴리에틸렌수지 또는 OPP 중 어느 하나를 소재로 하는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포장필름을 구성하는 하부원단, 알루미늄원단, 코어원단, 상부원단의 두께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정해진 범위내에서 사용되어야 하는데, 그 범위이하로 되면 포장필름을 제조하기 위해 각각 합지하는 공정에서 또는 용기 에 완성된 포장필름을 부착하는 공정에서 기포가 발생되거나 주름이 생겨 제품의 품질이 저하될 우려가 있고, 그 범위 이상이 되면 용기에 완성된 포장필름을 부착하는 자동화 공정에서 포장필름의 무게로 인해 원단을 끌어당기지 못해 작업이 불가능할 수 있어 작업성이 떨어질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라벨용 포장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은 먼저 준비된 하부 원단과 알루미늄 원단을 합지한다. 다음으로 상기 합지된 알루미늄 원단과 준비된 코어 원단을 합지하는데, 여기서 상기 하부원단과 알루미늄 원단의 합지단계와 상기 코어원단과의 합지단계는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합지된 코어원단 표면에 원하는 디자인의 라벨을 인쇄한 후, 상기 합지된 코어 원단의 인쇄면에 일정 조성의 접착제 조성물을 도포하여 접착제층을 형성하는데, 상기 접착제 조성물은 우레탄아크릴레이트 30-35중량%,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15-20중량%, 트리프로필렌글리콜 아크릴레이트 18-22중량%, 2-HEMA (2-hydroxy - ethyl methacrylate) 16-20중량%, 광개시제 5-10중량%, 접착성증감제 1-2중량%를 포함하며, 종래의 상용 보호필름(이형지, 접착제층, 투명필름)을 사용하는 대신 라벨 제조공정에서 바로 투명필름을 부착할 수 있도록 착안된 새로운 조성물로서, 코어 원단 상부에 인쇄된 인쇄면에 전혀 영향을 주지 않고 투명필름을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도록 하는 특성을 가진다.
다음으로 상기 형성된 접착제층 위에 상부원단을 부착한다.
그 후, 상기 합지된 코어원단과 상기 상부원단사이에 존재하는 상기 접착제 조성물을 매우 빠르게 경화시키기 위해, 상기 부착된 상부원단 표면에 UV광선을 조 사한다. 이 때, 상기 상부원단 표면에 조사되는 UV 광선은 파장이 200 - 450 ㎚이고, 상기 UV 광선의 세기는 상기 상부원단 1㎠당 100-150W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120W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UV 광선의 파장과 세기에 대한 한정은 경화시키고자 하는 접착제 조성물의 특성에 따른 것으로 실험적으로 상기 범위내에서 본 발명에 사용된 상기 접착제 조성물의 경화가 가장 빠르게 일어난다. 또한 상기 UV 광선의 조사는 공지된 구성의 UV램프를 사용하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포장필름의 단면도를 도시한 도1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하부 원단(110)과 알루미늄 원단(120)의 합지단계는 당업계에서 공지된 기술적 구성의 드라이 라미네이트 기법을 사용하는데, 즉 상기 하부원단(110)과 알루미늄 원단(120)사이에 결합바인더를 배열하고 이들 하부원단(110), 상기 결합바인더, 및 알루미늄 원단(120)이 동시에 가압되도록 하여 상기 하부원단(110)과 알루미늄원단이 합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하부원단(110)의 배면에 공지된 구성의 이형지부착층(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결합바인더는 특히 폴리에스테르 기반의 폴리우레탄 수지 또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가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하부원단과 합지된 알루미늄 원단과 준비된 코어원단(130)을 상술한 드라이 라미네이트 기법을 이용하여 합지한다.
다음으로, 상기 합지된 코어 원단(130) 표면에 원하는 디자인을 인쇄하여 인쇄층(140)을 형성한다. 이 때 상기 인쇄는 옵셋, 실크 스크린 등 공지된 인쇄방법을 사용한다. 상기 인쇄층(140)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하부원단과 합지된 알루미늄 원단과 상기 인쇄된 코어원단(130)을 상술한 드라이 라미네이트 기법으로 합지한 후 상기 코어원단(130)의 표면에 이루어질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합지된 코어원단(130)의 인쇄층(140)에 접착제조성물을 도포하여 접착제층(150)을 형성한다. 이 때 상기 접착제 조성물은 우레탄아크릴레이트 30-35중량%,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15-20중량%, 트리프로필렌글리콜 아크릴레이트 18-22중량%, 2-HEMA (2-hydroxy - ethyl methacrylate) 16-20중량%, 광개시제 5-10중량%, 접착성증감제 1-2중량%를 포함하는데, 상기 접착제조성물을 도포하기 위해 상기 접착제조성물을 에틸 아크릴레이트로 25-30중량% 농도가 되도록 희석하여 건조 후 2.0-4.0g/㎡인 조건으로 도포한다.
다음으로, 상기 접착제층(150)위에 상부원단(160)을 부착하는데, 상기 상부원단(160)은 투명필름으로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또는 OPP 중 어느 하나의 소재로 된 필름이 그 특성상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수지 소재의 필름이다.
그 후, 상기 합지된 코어원단(140)과 상기 상부원단(160)사이에 존재하는 상기 접착제 조성물을 경화시키기 위해, 상기 부착된 상부원단(160) 표면에 자외선램프(UV램프)를 이용하여 UV광선을 조사한다. 이 때, 상기 상부원단 표면에 조사되는 UV 광선은 바람직하게는 파장이 200 - 450 ㎚이고, 상기 UV 광선의 세기는 상기 상 부원단 1㎠당 100-150W이다.
이와 같은 공정을 거쳐 완성된 본 발명에 따른 포장필름(100)은 공지된 가공방법에 따라 적절한 형태로 가공한 후, 상기 하부원단(110)의 배면에 공지된 기술적 구성의 이형지부착층(미도시)이 형성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이형지부착층이 없는 경우에는 공지된 인몰드 방식에서 인쇄하고자 하는 필름을 넣는 곳에 본 발명에 따라 완성된 상기 포장필름(100)을 대신 적용하여 원하는 용기를 사출하는 동시에 상기 포장필름(100)을 부착시킬 수 있으며, 상기 하부원단(110)에 이형지부착층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이형지부착층의 이형지를 제거한 후 원하는 용기에 상기 포장필름(100)을 부착하는 스티카방식으로 상기 포장필름(100)을 원하는 용기에 부착시킬 수 있다.
여기서, 인몰드 방식 및 스티카방식 모두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 발명에 따른 포장필름(100)의 하부원단(110)과 사출된 용기(200)가 인접하도록 하여 부착되어야 한다. 특히 인몰드 방식의 경우는 상기 사출된 용기(200)와 상기 포장필름(100)의 하부원단(110)이 동일재질이므로, 상기 하부원단(110)과 상기 사출된 용기(200)가 서로 밀착하게 되어 상기 포장필름(100)이 상기 용기(200)와 일체형으로 인몰드 되게 형성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본 발명에 따른 포장필름(100)이 스티카 방식으로 제작된 경우에도, 상기 하부원단(110)의 배면에 형성된 이형지부착층으로부터 이형지를 제거한 후 상기 하부원단(110)의 배면이 사출된 용기(200)에 인접하도록 부착되는 것이 당연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기술적 구성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용기(200)에 보관되는 보관물의 보존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용기(200)에 부착된 상기 포장필름(100)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없고, 외양적으로도 미감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광고효과 효과 또한 뛰어나다.
따라서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 등이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등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라벨용 포장필름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생성된 라벨용 포장필름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먼저, 본 발명에 의한 라벨용 포장필름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라벨용 포장필름은 20-40℃에서 원단의 변형 현상이 일어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라벨용 포장필름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라벨용 포장필름은 인쇄면을 보호할 수 있는 새로운 접착제조성물을 사용함으로써 이형지와 접착제층과 투명필름으로 구성되어 상용되는 보호필름을 사용하지 않고 라벨의 제조공정 중에서 라벨의 인쇄면 위에 상기 새로운 접착제조성물을 도포한 후 투명필름을 부착시킴으로써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라벨용 포장필름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라벨용 포장필름은 자외선을 포함한 광을 차단하기 때문에 포장된 내용물의 보존성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라벨용 포장필름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라벨용 포장필름은 시간이 흘러도 포장필름의 단면이 말리지 않도록 컬링문제를 해결하여 작업성이 개선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라벨용 포장필름의 사용방법에 의하면,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인몰드방식과 스티카방식을 선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몰드 방식의 경우 용기와 포장필름을 인몰드 방식으로 부착시켜 사용하기 때문에 포장필름의 사용방법을 단순화 하여 포장필름으로 포장된 용기의 제조비용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상기 포장된 용기의 재활용을 용이하게 한다.

Claims (12)

  1. 하부 원단과 알루미늄 원단을 합지하는 단계;
    상기 합지된 알루미늄 원단과 지류 또는 합성수지로서 그 두께가 30-60㎛인 코어 원단을 합지하는 단계;
    상기 합지된 코어 원단에 인쇄하는 단계;
    상기 코어 원단의 인쇄면에 접착제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접착제층에 상부 원단을 부착하는 단계; 및
    상기 상부원단 표면에 UV 광선을 조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라벨용 포장필름의 제조방법.
  2. 제1항에서, 상기 상부원단 표면에 조사되는 UV 광선은 파장이 200 - 450 ㎚이고, 상기 상부원단 1㎠당 100-150W의 세기로 조사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벨용 포장필름의 제조방법.
  3. 제1항에서, 상기 접착제층은 우레탄아크릴레이트 30-35중량%,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15-20중량%, 트리프로필렌글리콜 아크릴레이트 18-22중량%, 2-HEMA (2-hydroxy - ethyl methacrylate) 16-20중량%, 광개시제 5-10중량%, 접착성증감제 1-2중량%를 포함하는 접착제 조성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벨용 포장필름의 제조방법.
  4. 제1항에서, 상기 하부원단은 폴리프로필렌계 합성수지 또는 폴리에틸렌계합성수지로서 그 두께가 20-4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벨용 포장필름의 제조방법.
  5. 삭제
  6. 제1항에서, 상기 상부 원단은 투명한 특성을 가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폴리에틸렌수지 또는 OPP 로서 그 두께가 12-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벨용 포장필름의 제조방법.
  7. 제1항에서, 상기 상부 원단의 표면에 인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벨용 포장필름의 제조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하부 원단은 상기 알루미늄원단과 인접하지 않는 배면측으로 형성된 이형지부착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벨용 포장필름의 제조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으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벨용 포장필름.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040084952A 2004-07-21 2004-10-22 라벨용 포장필름의 제조방법,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라벨용 포장필름 및 상기 포장필름의 사용방법 KR1006030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6921 2004-07-21
KR20040056921 2004-07-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8203A KR20060008203A (ko) 2006-01-26
KR100603016B1 true KR100603016B1 (ko) 2006-07-24

Family

ID=37119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4952A KR100603016B1 (ko) 2004-07-21 2004-10-22 라벨용 포장필름의 제조방법,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라벨용 포장필름 및 상기 포장필름의 사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301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0568B1 (ko) 2022-01-04 2022-04-27 승화프린팅(주) 라벨용 포장필름 ,그의 제조방법 및 그를 부착한 포장필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9699B1 (ko) * 2006-06-26 2007-09-17 율촌화학 주식회사 용이 찢김성 포장지와 이에 이용되는 합지 필름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32477A (ja) * 1994-09-14 1996-05-28 Dainippon Printing Co Ltd インモールドラベル容器およびその製法
US6090471A (en) 1993-08-13 2000-07-18 Johnson & Johnson Vision Products, Inc. Laminated foil package covering with double-sided printing
KR20010033678A (ko) * 1997-12-29 2001-04-25 데코 페턴트 인코포레이티드 개선된 접착성 및 내구성을 갖는 광선경화성 잉크로유리제품을 장식하기 위한 방법 및 조성물
KR200282896Y1 (ko) 2002-05-03 2002-07-23 주식회사 우성팩 김 포장지
KR20020073127A (ko) * 1999-09-17 2002-09-19 겐자임 트랜스제닉스 코포레이션 형질전환에 의하여 생성된 융합 단백질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90471A (en) 1993-08-13 2000-07-18 Johnson & Johnson Vision Products, Inc. Laminated foil package covering with double-sided printing
JPH08132477A (ja) * 1994-09-14 1996-05-28 Dainippon Printing Co Ltd インモールドラベル容器およびその製法
KR20010033678A (ko) * 1997-12-29 2001-04-25 데코 페턴트 인코포레이티드 개선된 접착성 및 내구성을 갖는 광선경화성 잉크로유리제품을 장식하기 위한 방법 및 조성물
KR20020073127A (ko) * 1999-09-17 2002-09-19 겐자임 트랜스제닉스 코포레이션 형질전환에 의하여 생성된 융합 단백질
KR200282896Y1 (ko) 2002-05-03 2002-07-23 주식회사 우성팩 김 포장지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08132477 *
1020010033678 *
2002731270000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0568B1 (ko) 2022-01-04 2022-04-27 승화프린팅(주) 라벨용 포장필름 ,그의 제조방법 및 그를 부착한 포장필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8203A (ko) 2006-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09119B1 (ko) 복합 프리폼, 복합 용기, 복합 프리폼, 플라스틱제 부재 및 복합 용기의 제조 방법
JP2010536677A (ja) 軟質包装複合材料
US20070252382A1 (en) Laminated multi-ply in-mold label
CA2906813A1 (en) Laminated foam insulating label
KR100603016B1 (ko) 라벨용 포장필름의 제조방법,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라벨용 포장필름 및 상기 포장필름의 사용방법
KR100603014B1 (ko) 라벨용 포장필름의 제조방법,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된라벨용 포장필름 및 상기 포장필름의 사용방법
PT883477E (pt) Processo para a preparacao de artigos moldados dotados de rotulos impressos segundo o denominado processo de rotulagem no molde (in-mould-labelling) (iml) assim como rotulo para um processo de rotulagem no molde (in-mould-labelling) (iml)
JP5109421B2 (ja) インモールドラベル付容器
US7866073B2 (en) Plastic containers with micro-optic identification
KR200364936Y1 (ko) 라벨용 포장필름
JP6478547B2 (ja) 可逆性感熱記録シート付き媒体
CN212112537U (zh) 一种热收缩性标签
JP7157934B2 (ja) 複合容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209973165U (zh) 一种复合型塑料包装袋
KR20060028471A (ko) 인몰드 사출라벨용 포장필름의 제조 방법
ES2239970T3 (es) Procedimiento para fabricacion de etiquetas.
JP2016120640A (ja) 複合容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プラスチック製部材、ならびに複合プリフォーム
JP2016124569A (ja) 複合容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ES1070593U (es) Estructura multicapa para el cierre de envases.
ITMI20121094A1 (it) Processo per ottenere un laminato multistrato per la realizzazione di contenitori, in particolare per il confezionamento di prodotti alimentari o farmaceutici e relativo laminato
WO2013025699A1 (en) Multiple step forming and labeling proces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00222

Effective date: 20101020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EXTG Extinguishment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01124

Effective date: 201108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