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3457B1 - 터치스크린패널 제조용 로딩/언로딩 장치 - Google Patents

터치스크린패널 제조용 로딩/언로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3457B1
KR101293457B1 KR1020130043265A KR20130043265A KR101293457B1 KR 101293457 B1 KR101293457 B1 KR 101293457B1 KR 1020130043265 A KR1020130043265 A KR 1020130043265A KR 20130043265 A KR20130043265 A KR 20130043265A KR 101293457 B1 KR101293457 B1 KR 1012934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supply
discharge
disposed
loa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32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피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피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피에스
Priority to KR10201300432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34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34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34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5/00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 B25J15/06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with vacuum or magnetic hold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B65G47/91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incorporating pneumatic, e.g. suction, gri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obo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upply And Installment Of Electrical Compon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패널 제조용 로딩/언로딩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패널 제조용 로딩/언로딩 장치는 연성회로기판이 본딩된 터치스크린패널이 복수 위치에 안치되는 트레이를 복수로 적층하여 수납 지지하여 대기 상태를 유지하다가 개별적으로 하나씩 공급되도록 설치된 트레이공급부, 상기 트레이공급부의 하부에 일측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트레이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상기 트레이를 지지한 상태에서 로딩/언로딩 위치를 거쳐서 일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설치된 트레이이송부, 상기 트레이공급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디스펜싱 장치에 로딩/언로딩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트레이이송부의 작동으로 상기 트레이가 로딩/언로딩되는 위치에 도달하면 흡착압력을 흡착 픽업한 상태에서 회전한 후에 상기 트레이와 상기 디스펜싱 장치 사이로 이송시키면서 로딩/언로딩 작업을 실시하도록 설치된 흡착픽업부, 및 상기 흡착픽업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흡착픽업부에서 상기 디스펜싱 장치에 로딩/언로딩 작업을 마친 상기 트레이를 상부 방향으로 복수 수량으로 적층 수납하여 배출시키도록 설치된 트레이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터치스크린패널 제조용 로딩/언로딩 장치{Loading/unloading apparatus of manufacturing touch screen panel}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패널 제조용 로딩/언로딩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터치 스크린이 적용되는 전자 제품의 터치스크린패널과 연성회로기판을 디스펜싱하기 위해서 로딩 및 언로딩 작업을 자동으로 실시함에 따라 공정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터치스크린패널 제조용 로딩/언로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은 화면을 건드려 사용자가 건드린 위치를 찾아내는 화면을 말한다. 이 용어는 일반적으로 손가락이나 손으로 기기의 화면에 접촉하는 것을 가리키는 용어이다.
터치 스크린은 전자 기기에서 송출되는 화상에 위치 정보를 입력한 상태에서 스크린 상에 표시되면 사용자가 화면을 확인하면서 터치에 의해 발생되는 신호 위치를 확인하여 위치 정보와 대조한 후에 위치 위치 정보에서 나타내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직관적인 조작이 가능하고, 터치에 의해 조작함에 따라 노약자나 어린이도 쉽게 조작할 수 있어 조작 편의성이 향상되며, 조작에 따른 정보를 화상에 표시한 상태에서 터치에 의해 조작함에 따라 조작이 어려운 장치도 매뉴얼 없이 조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술된 장점 때문에 최근에는 휴대폰, 태블렛, 컴퓨터 등의 전자 기기에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수요가 증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런, 터치 스크린이 설치된 장치에는 화상이 표시되는 패널의 터치되는 면으로 터치되는 위치를 감지하여 신호를 발생시키는 터치스크린패널이 설치되고, 터치스크린패널의 일측에는 발생되는 신호를 장치에 전달하는 연성회로기판이 연결 설치된다. 화상이 표시되는 패널에서 표시된 화상 위치에 터치를 하면 터치스크린패널에서 터치되는 위치 신호를 발생시켜 연성회로기판을 통해서 전달하여 장치를 작동시킨다.
상술된 터치스크린패널과 연성회로기판을 연결시키기 위해서는 전도성 경화형 접착 필름인 이방성 도전필름(Anisotropic Conductive Film, ACF)을 이용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상호 가압 본딩시켜 접합시키는 공정이 수행되었다.
그러나, 본딩 과정에서 연성회로기판과 터치스크린패널의 연결 위치에서 두께 차이로 인한 단차가 발생되고, 단차 발생으로 인해 연성회로기판과 터치스크린패널 사이에 간극이 발생되어 간극으로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유입되어 오염됨으로써, 신호의 단락 현상에 의해 신호가 단절되거나, 연결 부분에 오염으로 통전되어 쇼트의 발생으로 장치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터치스크린패널과 연성회로기판 사이에 간극이 발생되어 결합 성능이 저하된 상태에서 장시간 사용에 의해 내부 진동이나 외부 충격이 발생되면 터치스크린패널과 연성회로기판 사이에 간극이 넓어지면서 신호 전달 효율이 저하되고, 간극이 넓어지면서 접합 위치에도 이탈력이 작용되어 연성회로기판이 이탈되면서 불량이 발생됨에 따라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최근에는 터치스크린패널과 연성회로기판의 접합 위치에 간극을 메우면서 단차를 없애고 결합 성능을 향상시키도록 터치스크린패널과 연성회로기판의 접합 위치에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접착제를 도포하는 디스펜싱 작업을 실시하고 있다. 그러나, 수작업에 의해 디스펜싱을 진행하게되면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디스펜싱되는 면에 접착제가 일정하게 도포되지 않는 불량이 많이 발생되고, 작업 속도가 지연되어 생산량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여전히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터치스크린패널과 인쇄회로기판과의 접합 위치에 단차를 없애면서 접합 성능을 향상시키는 디스펜싱 작업을 자동화하여 공정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터치스크린패널 제조용 디스펜싱 장치의 개발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종래의 수작업에 의한 디스펜싱 작업을 자동화하기 위해서는 박형의 필름 형태로 구비된 연성회로기판이 본딩된 터치스크린패널의 로딩과 언로딩 시에 손상을 최소화하면서 기설정된 속도로 지속적으로 공급하는 터치스크린패널 제조용 로딩/언로딩 장치가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터치스크린패널과 연성회로기판을 디스펜싱하기 위해서 로딩 및 언로딩 작업 시 손상을 최소화하면서 자동으로 실시함에 따라 공정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터치스크린패널 제조용 로딩/언로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패널 제조용 로딩/언로딩 장치는 연성회로기판이 본딩된 터치스크린패널이 복수 위치에 안치되는 트레이를 복수로 적층하여 수납 지지하여 대기 상태를 유지하다가 개별적으로 하나씩 공급되도록 설치된 트레이공급부, 상기 트레이공급부의 하부에 일측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트레이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상기 트레이를 지지한 상태에서 디스펜싱 장치에 로딩/언로딩 위치를 거쳐서 일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설치된 트레이이송부, 상기 트레이공급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디스펜싱 장치에 로딩/언로딩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트레이이송부의 작동으로 상기 트레이가 로딩/언로딩되는 위치에 도달하면 흡착압력을 흡착 픽업한 상태에서 회전한 후에 상기 트레이와 상기 디스펜싱 장치 사이로 이송시키면서 로딩/언로딩 작업을 실시하도록 설치된 흡착픽업부, 및 상기 흡착픽업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흡착픽업부에서 상기 디스펜싱 장치에 로딩/언로딩 작업을 마친 상기 트레이를 상부 방향으로 복수 수량으로 적층 수납하여 배출시키도록 설치된 트레이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트레이공급부는, 상기 트레이가 공급되는 위치에서 상기 디스펜싱 장치 방향인 한쪽 측면에 격벽 형태로 상기 트레이의 한쪽 측면을 지지하도록 설치된 공급지지프레임, 상기 공급지지프레임의 다른쪽 측면에 떨어져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트레이가 수납되는 공급수납공간이 형성되도록 다른쪽 측면으로 떨어진 위치에 한쪽 측면이 상기 공급지지프레임으로 지지되는 상기 트레이의 다른쪽 측면이 지지되도록 설치된 공급조절프레임, 상기 공급조절프레임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디스펜싱 장치 방향인 한쪽 측면과 다른 쪽 측면으로 상기 공급조절프레임의 이송을 지지하도록 레일 형태로 설치된 공급조절레일, 상기 공급조절레일과 상기 공급조절프레임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트레이의 크기에 따라 상기 공급조절프레임이 상기 공급조절레일 상에서 한쪽 측면과 다른쪽 측면으로 이송되도록 설치된 공급조절이송체, 및 상기 공급조절이송체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공급조절레일 상에서 상기 공급조절프레임과 함께 이송되는 상기 공급조절이송체가 상기 트레이의 크기에 따라 이송된 위치에서 작동에 의해 정지 상태가 유지되도록 설치된 공급조절고정체를 포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트레이공급부는, 상기 공급지지프레임과 상기 공급조절프레임의 상부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공급수납공간으로 수납되는 상기 트레이가 상부를 향해서 복수로 적층되면 각 모서리 위치를 지지하도록 상기 공급지지프레임과 상기 공급조절프레임에 각각 상부 방향으로 돌출된 공급적층가이드체, 상기 공급지지프레임과 상기 공급조절프레임에 서로 마주보는 면에 각각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공급지지프레임과 상기 공급조절프레임의 일측과 타측에서 떨어진 복수 위치에서 서로 마주보는 바깥 면에서 안쪽 방향으로 관통 이동되도록 구비되어 각각의 위치에서 서로 마주보는 방향인 안쪽 방향으로 이동되면 복수로 적층 위치한 상기 트레이 중 최하부에 위치한 상기 트레이의 하부면이 걸림 고정되고, 바깥방향으로 이동되면 걸림 고정력이 해제되어 걸림 고정된 트레이가 하부로 낙하하여 상기 트레이이송부로 공급되도록 설치된 공급하부고정체, 상기 공급지지프레임과 상기 공급조절프레임의 서로 마주보는 방향에 바깥 측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일측과 타측으로 떨어져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각각 구비된 복수의 상기 공급하부고정체의 바깥 면을 각각 연결하여 함께 이송되도록 설치된 공급고정연결체, 및 상기 공급지지프레임과 상기 공급조절프레임의 서로 마주보는 바깥면과 각각 설치된 상기 공급고정연결체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작동에 의해 상기 공급고정연결체가 한쪽 측면과 다른쪽 측면인 서로 마주보는 바깥 면에서 안쪽 방향으로 이송되어 복수의 상기 공급하부고정체가 이송되는 동력을 제공하는 공급고정작동체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트레이이송부는, 상기 트레이공급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트레이공급부에서 상기 트레이배출부로 이동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트레이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상기 트레이가 안치된 상태에서 상기 흡착픽업부를 거쳐서 상기 트레이배출부로 이송되도록 설치된 이송브라켓, 상기 이송브라켓의 일측과 타측 끝에 각각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트레이가 안치된 상태에서 일측으로 이송 시 걸림 지지되어 안치 상태를 유지하도록 설치된 이송돌기, 상기 이송브라켓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이송브라켓이 상기 트레이공급부와 상기 트레이배출부 위치에서 상기 트레이를 공급 및 배출하도록 상하로 구동시키도록 설치된 상하구동장치, 상기 이송브라켓의 하부 다른쪽 측면 방향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트레이공급부에서 상기 트레이배출부 위치까지 가로질러 배치되어 상기 이송브라켓을 일측방향으로 이송되는 것이 지지되도록 레일 형태로 설치된 이송레일, 상기 이송레일과 상기 이송브라켓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이송브라켓의 하부에 고정되어 상기 이송레일 상에서 상기 이송브라켓을 이송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도록 설치된 이송작동체, 상기 이송브라켓의 하부 한쪽 측면 방향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이송레일과 떨어진 한쪽 측면을 지지하도록 레일 형태로 설치된 지지레일, 및 상기 지지레일과 상기 이송브라켓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이송작동체의 작동으로 이송되는 상기 이송브라켓에 한쪽 측면을 지지하면서 상기 지지레일 상에서 함께 이송되로록 설치된 이송지지체를 포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 흡착픽업부는, 상기 트레이공급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디스펜싱 장치에 로딩/언로딩되는 위치에 상기 트레이이송부로 이송된 상기 연성회로기판이 본딩된 상기 터치스크린패널의 상부를 지지하는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트레이와 상기 디스펜싱 장치 사이에서 로딩/언로딩되도록 이송되도록 설치된 흡착브라켓, 상기 흡착브라켓에 고정되어 하부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복수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며, 흡착압력의 공급으로 상기 연성회로기판이 본딩된 상기 터치스크린패널을 픽업하도록 흡착시키는 흡착체, 상기 흡착브라켓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흡착체가 복수 위치에 구비된 상태에서 상기 디스펜싱 장치의 로딩/언로딩 위치에 따라서 회전되는 동력을 제공하도록 설치된 회전작동체, 상기 회전작동체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흡착체로 흡착되는 상기 연성회로기판이 본딩된 상기 터치스크린패널의 픽업 시와 픽업 해제 시 상기 흡착브라켓, 상기 흡착체, 및 상기 회전작동체를 함께 상하로 이송시키도록 설치된 흡착상하이송장치, 상기 흡착상하이송장치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트레이의 다른쪽 측면 끝에서 상기 디스펜싱 장치가 로딩/언로딩되는 위치인 한쪽 측면으로 이송되는 것이 지지되도록 레일 형태로 설치된 흡착이송레일, 및 상기 흡착상하이송장치와 상기 흡착이송레일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흡착상하이송장치가 타측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흡착이송레일 상에서 이송하여 상기 흡착체에서 흡착되는 상기 연성회로기판이 본딩된 상기 터치스크린패널을 상기 디스펜싱 장치 위치로 로딩/언로딩하는 위치로 이송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도록 설치된 흡착작동체를 포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트레이배출부는, 상기 흡착픽업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흡착픽업부에서 상기 디스펜싱 장치에 로딩/언로딩 작업을 마친 상기 트레이가 배출되는 위치에 상기 디스펜싱 장치 방향인 한쪽 측면에 격벽 형태로 상기 트레이의 한쪽 측면을 지지하도록 설치된 배출지지프레임, 상기 배출지지프레임의 다른쪽 측면에 떨어져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트레이가 수납되는 배출수납공간이 형성되도록 다른쪽 측면으로 떨어진 위치에 한쪽 측면이 상기 배출지지프레임으로 지지되는 상기 트레이의 다른쪽 측면이 지지되도록 설치된 배출조절프레임, 상기 배출지지프레임과 상기 배출조절프레임의 타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배출지지프레임과 상기 배출조절프레임을 상기 트레이공급부와 각각 연결시키도록 설치된 연결프레임, 상기 배출조절프레임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디스펜싱 장치 방향인 한쪽 측면과 다른쪽 측면으로 상기 배출조절프레임의 이송을 지지하도록 레일 형태로 설치된 배출조절레일, 상기 배출조절레일과 상기 배출조절프레임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트레이의 크기에 따라 상기 배출조절프레임이 상기 배출조절레일 상에서 한쪽 측면과 다른쪽 측면으로 이송되로록 설치된 배출조절이송체, 및 상기 배출조절이송체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배출조절레일 상에서 상기 배출조절프레임과 함께 이송되는 상기 배출조절이송체가 상기 트레이의 크기에 따라 이송된 위치에서 작동에 의해 정지 상태가 유지되도록 설치된 배출조절고정체를 포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패널 제조용 로딩/언로딩 장치에 따르면, 본딩 작업을 마친 터치스크린패널과 연성회로기판의 디스펜싱 작업을 실시하기 위해서 로딩 및 언로딩 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박형의 필름 형태인 터치스크린패널과 연성회로기판의 손상을 최소화하면서 기설정된 주기로 디스펜싱되는 장치에 로딩 및 언로딩시킴에 따라 불량을 최소화하고, 디스펜싱 작업을 자동화 시킬 수 있다.
또한, 연성회로기판이 본딩된 터치스크린패널이 복수 수량으로 안치되는 트레이를 이송하면서 픽업 장치에서 로딩 및 언로딩되는 작업을 실시하고, 로딩 및 언로딩 작업을 마친 트레이를 다시 이송하여 외부로 인출하는 작업을 반복적으로 실시함에 따라 로딩 및 언로딩 작업을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로딩 및 언로딩 위치에서 트레이를 공급 및 배출하는 위치에 복수로 상부 방향으로 적층 대기하도록 수납 구비되어 로딩 및 언로딩 작업 시에 이송 장치의 작동에 의해 트레이를 공급함에 따라 작업자가 공급 및 배출하는 주기를 연장하여 작업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트레이가 로딩 및 언로딩 위치에 이송 장치로 이송되면 박형의 필름 형태인 터치스크린패널과 연성회로기판에 손상을 최소화하도록 흡착 압력을 이용하여 흡착 픽업하고, 픽업 후에 디스펜싱의 로딩 및 언로딩 되는 위치의 방향에 따라 회전하면서 위치를 변화할 수 있어 손상 방지로 인해 불량을 방지하고, 연성회로기판이 본딩된 터치스크린패널의 로딩 및 언로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더불어, 복수의 연성회로기판이 본딩된 터치스크린패널이 안치되는 트레이는 연성회로기판이 본딩된 터치스크린패널의 크기와 형태에 따라 다른 크기로 구비되어 있는 것으로, 트레이를 이송하기 위한 이송장치의 지지 격벽의 간격을 조절하여 다양한 크기의 트레이가 수납된 상태로 이송할 수 있음에 따라 범용성이 확대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패널 제조용 로딩/언로딩 장치가 설치된 디스펜싱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패널 디스펜싱용 로딩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2의 터치스크린패널 디스펜싱용 로딩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4는 도 2의 터치스크린패널 디스펜싱용 로딩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5는 도 2의 터치스크린패널 디스펜싱용 로딩 장치의 주요부분인 흡착픽업부의 일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도 5의 터치스크린패널 디스펜싱용 로딩 장치의 주요부분인 흡착픽업부의 일부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7은 도 5의 터치스크린패널 디스펜싱용 로딩 장치의 주요부분인 흡착픽업부의 일부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8은 도 5의 터치스크린패널 디스펜싱용 로딩 장치의 주요부분인 흡착픽업부의 일부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9는 도 2의 터치스크린패널 디스펜싱용 로딩 장치의 주요부분인 트레이공급부, 트레이이송부, 및 트레이배출부를 나타내는 일부 생략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패널 디스펜싱용 언로딩 장치를 나타내는 일부 생략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터치스크린패널 디스펜싱용 언로딩 장치의 주요부분인 트레이공급부, 트레이이송부, 및 트레이배출부를 나타내는 일부 생략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터치스크린패널 제조용 로딩/언로딩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패널 제조용 로딩/언로딩 장치가 설치된 디스펜싱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패널 디스펜싱용 로딩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터치스크린패널 디스펜싱용 로딩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터치스크린패널 디스펜싱용 로딩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5는 도 2의 터치스크린패널 디스펜싱용 로딩 장치의 주요부분인 흡착픽업부의 일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터치스크린패널 디스펜싱용 로딩 장치의 주요부분인 흡착픽업부의 일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7은 도 5의 터치스크린패널 디스펜싱용 로딩 장치의 주요부분인 흡착픽업부의 일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8은 도 5의 터치스크린패널 디스펜싱용 로딩 장치의 주요부분인 흡착픽업부의 일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도 9는 도 2의 터치스크린패널 디스펜싱용 로딩 장치의 주요부분인 트레이공급부, 트레이이송부, 및 트레이배출부를 나타내는 일부 생략 평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패널 디스펜싱용 언로딩 장치를 나타내는 일부 생략 사시도이며, 도 11은 도 10의 터치스크린패널 디스펜싱용 언로딩 장치의 주요부분인 트레이공급부, 트레이이송부, 및 트레이배출부를 나타내는 일부 생략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1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패널 제조용 로딩/언로딩 장치(100)는 터치에 의해 신호가 발생되는 터치스크린패널과 터치스크린패널에서 발생된 신호를 전달하도록 연결되는 연성회로기판의 연결부분으로 디스펜싱을 실시하도록 터치스크린패널과 인쇄회로기판을 복수 위치에 안치되는 트레이에서 디스펜싱 장치(20)로 로딩/언로딩하는 장치이다.
상기 도시된 도면은 도 1의 디스펜싱 장치를 기준으로, 도 2 내지 도 9는 터치스크린패널 디스펜싱용 로딩 장치를 나타내고, 도 10 및 11은 터치스크린패널 디스펜싱용 언로딩 장치를 나타내고 있다. 이는 로딩과 언로딩 되는 작업의 특성 상 트레이가 공급되어 이송되는 방향과 디스펜싱 장치에서 로딩 및 언로딩 작업에 따라 터치스크린패널과 인쇄회로기판이 픽업되어 이송되는 방향이 상호 다름에 따라 도시된 것이다. 이와 같이 도시된 도면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제시된 것으로, 디스펜싱 장치의 로딩 방향과 언로딩 방향이 변동되면 함께 변동될 수 있으며, 로딩과 언로딩되는 기술적 원리가 동일함에 따라 하기에 상세한 설명에서는 로딩과 언로딩 장치에 따른 기술적 구성에 구분없이 로딩/언로딩 장치(100)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런, 터치스크린패널 제조용 로딩/언로딩 장치(100)는 터치스크린패널과 연결된 연성회로기판이 복수 위치에 안치되는 트레이(10)를 공급하는 트레이공급부(110), 트레이이송부(120), 흡착픽업부(130), 및 트레이배출부(140)를 포함한다. 트레이공급부(110)는 트레이(10) 공급 위치에서 트레이(10)의 디스펜싱 장치(20) 방향인 한쪽 측면을 지지하는 공급지지프레임(111), 공급조절프레임(112), 공급조절레일(113), 공급조절이송체(114), 공급조절고정체(115), 공급적층가이드체(116), 공급하부고정체(117), 공급고정연결체(118), 및 공급고정작동체(119)를 포함한다.
공급지지프레임(111)은 트레이(10)가 공급되는 위치에서 디스펜싱 장치(20) 방향인 한쪽 측면에 격벽 형태로 트레이(10)의 한쪽 측면을 지지하도록 설치된다. 공급지지프레임(111)은 로딩 시 복수 위치에 연성회로기판이 본딩된 터치스크린패널이 안치된 트레이(10)의 디스펜싱 장치(20)로 로딩되는 측면과 언로딩 시에는 비어있는 트레이(10)의 디스펜싱으로 언로딩되는 측면을 지지하도록 격벽형태로 구비된다.
공급조절프레임(112)은 공급지지프레임(111)의 다른쪽 측면에 떨어져 배치되어 있으며, 트레이(10)가 수납되는 공급수납공간(112a)이 형성되도록 다른쪽 측면으로 떨어진 위치에 한쪽 측면이 공급지지프레임(111)으로 지지되는 트레이(10)의 다른쪽 측면이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공급조절프레임(112)은 디스펜싱 장치(20)가 위치한 한쪽 측면 방향으로 공급된 트레이(10)의 다른쪽 측면을 지지하면서 공급지지프레임(111) 사이에 트레이(10)가 수납되는 공급수납공간(112a)이 형성되도록 격벽 형태로 설치된다.
공급조절레일(113)은 공급조절프레임(112)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디스펜싱 장치(20) 방향인 한쪽 측면과 다른 쪽 측면으로 공급조절프레임(112)의 이송을 지지하도록 레일 형태로 설치된다. 공급조절레일(113)은 트레이(10)의 크기에 따라 이송되는 공급조절프레임(112)을 한쪽 측면 방향과 다른쪽 측면 방향으로 지지하도록 공급조절프레임(112)의 하부에 레일 형태로 설치된다.
공급조절이송체(114)는 공급조절레일(113)과 공급조절프레임(112)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트레이(10)의 크기에 따라 공급조절프레임(112)이 공급조절레일(113) 상에서 한쪽 측면과 다른쪽 측면으로 이송되도록 설치된다. 공급조절이송체(114)는 공급조절프레임(112)의 하부에 고정된 상태로 공급조절레일(113) 상에서 이송되면서 공급수납공간(112a)의 크기를 조절하여 다양한 크기의 트레이(10)를 수납할 수 있음에 따라 터치스크린패널과 연성회로기판의 크기에 따라 크기가 달라지는 다양한 크기의 트레이(10)를 공급할 수 있어 범용성을 확대시킬 수 있다.
공급조절고정체(115)는 공급조절이송체(114)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공급조절레일(113) 상에서 공급조절프레임(112)과 함께 이송되는 공급조절이송체(114)가 트레이(10)의 크기에 따라 이송된 위치에서 작동에 의해 정지 상태가 유지되도록 설치된다. 트레이(10)의 크기에 따라 공급수납공간(112a)을 확보하도록 공급조절프레임(112)이 이송되는 이송 거리로 공급조절레일(113) 상에서 공급조절이송체(114)를 이송한 후에 일측에 구비된 공급조절고정체(115)를 작동시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여 지속적으로 트레이(10)를 수납하도록 설치된다.
공급적층가이드체(116)는 공급지지프레임(111)과 공급조절프레임(112)의 상부로 돌출되어 있으며, 공급수납공간(112a)으로 수납되는 트레이(10)가 상부를 향해서 복수로 적층되면 각 모서리 위치를 지지하도록 공급지지프레임(111)과 공급조절프레임(112)에 각각 상부 방향으로 돌출 설치된다. 공급적층가이드체(116)는 복수의 연성회로기판이 본딩된 터치스크린패널이 안치되는 트레이(10)가 대략 판 형태로 구비되어 한쪽 측면을 지지하는 공급지지프레임(111)과 다른쪽 측면을 지지하는 공급조절프레임(112)에서 각 모서리 위치에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트레이(10)의 상부 방향으로 복수 수량으로 적층 시 모서리 부분을 지지하도록 설치된다.
공급하부고정체(117)는 공급지지프레임(111)과 공급조절프레임(112)에 서로 마주보는 면에 각각 배치되어 있으며, 공급지지프레임(111)과 공급조절프레임(112)의 일측과 타측에서 떨어진 복수 위치에서 서로 마주보는 바깥 면에서 안쪽 방향으로 관통 이동되도록 구비되어 각각의 위치에서 서로 마주보는 방향인 안쪽 방향으로 이동되면 복수로 적층 위치한 트레이(10) 중 최하부에 위치한 트레이(10)의 하부면이 걸림 고정되고, 바깥방향으로 이동되면 걸림 고정력이 해제되어 걸림 고정된 트레이(10)가 하부로 낙하하여 트레이이송부(120)로 공급되도록 설치된다. 공급하부고정체(117)는 돌기 형태로 구비되어 공급지지프레임(111)과 공급조절프레임(112)에 트레이(10)가 공급되어 배출되는 방향으로 각각 복수 위치에 삽입되어 서로 마주보는 안쪽 방향과 바깥 쪽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비된다. 이런, 공급하부고정체(117)가 안쪽으로 이송되면 복수로 적층된 트레이(10)가 걸림되어 대기된 상태를 유지하고, 바깥 쪽으로 이송되면 걸림이 해제되면서 최하부의 트레이(10)가 하부 방향으로 통과되어 공급되도록 설치된다.
공급고정연결체(118)는 공급지지프레임(111)과 공급조절프레임(112)의 서로 마주보는 방향에 바깥 측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일측과 타측으로 떨어져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각각 구비된 복수의 공급하부고정체(117)의 바깥 면을 각각 연결하여 함께 이송되도록 설치된다. 공급고정연결체(118)는 복수의 공급하부고정체(117)를 공급지지프레임(111)과 공급조절프레임(112)의 바깥 방향에서 각각 연결하여 함께 이송하면서 트레이(10)를 적층 대기 및 공급시키도록 설치된다.
공급고정작동체(119)는 공급지지프레임(111)과 공급조절프레임(112)의 서로 마주보는 바깥면과 각각 설치된 공급고정연결체(118)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작동에 의해 공급고정연결체(118)가 한쪽 측면과 다른쪽 측면인 서로 마주보는 바깥 면에서 안쪽 방향으로 이송되어 복수의 공급하부고정체(117)가 이송되는 동력을 제공하도록 설치된다. 공급고정작동체(119)가 작동되면 공급고정연결체(118)가 서로 마주보는 바깥 방향과 안쪽 방향으로 각각 이송되면서 공급고정연결체(118)로 연결되어 있는 공급하부고정체(117)가 한쪽 측면과 다른쪽 측면 방향으로 이송되어 복수로 적층되어 있는 트레이(10)를 수납 대기한 상태를 유지하다가 하나씩 하부 방향으로 공급한다.
트레이이송부(120)는 트레이공급부(110)의 하부에서 트레이배출부(140) 방향으로 트레이(10)를 수납 이송시키는 이송브라켓(121), 이송돌기(122), 상하구동장치(123), 이송레일(124), 이송작동체(125), 지지레일(126), 및 이송지지체(127)를 포함한다. 이송브라켓(121)은 공급지지프레임(111)과 공급조절프레임(112) 사이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트레이공급부(110)에서 트레이배출부(140)로 이동되도록 구비되어 트레이공급부(110)에서 공급되는 트레이(10)가 안치된 상태에서 흡착픽업부(130)를 거쳐서 트레이배출부(140)로 이송되도록 설치된다. 이송브라켓(121)은 공급하부고정체(117)의 이송에 따라 하나씩 공급되는 트레이(10)가 상부에 안치된 상태에서 흡착픽업부(130)를 거쳐서 트레이배출부(140)로 배출되도록 구비된다.
이송돌기(122)는 이송브라켓(121)의 일측과 타측 끝에 각각 돌출되어 있으며, 트레이(10)가 안치된 상태에서 일측으로 이송 시 걸림 지지되어 안치 상태를 유지하도록 설치된다. 이송돌기(122)는 이송브라켓(121)이 이송되는 방향을 일측과 타측 방향으로 각각 돌출 구비되어 이송브라켓(121)에 안치되어 있는 트레이(10)가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걸림 지지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비된다.
상하구동장치(123)는 이송브라켓(121)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이송브라켓(121)이 트레이공급부(110)와 트레이배출부(140) 위치에서 트레이(10)를 공급 및 배출하도록 상하로 구동시키도록 설치된다. 상하구동장치(123)는 이송브라켓(121)의 하부에서 상하로 이송되는 동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트레이공급부(110)에서 하강되는 트레이(10)를 상승 위치에서 받아서 이송간섭이 최소화되는 위치까지 하강하여 트레이배출부(140) 위치에 이송되면 상승하면서 적층되도록 작동된다.
이송레일(124)은 이송브라켓(121)의 하부 다른쪽 측면 방향에 배치되어 있으며, 트레이공급부(110)에서 트레이배출부(140) 위치까지 가로질러 배치되어 이송브라켓(121)을 일측방향으로 이송되는 것이 지지되도록 레일 형태로 설치된다. 이송레일(124)은 트레이공급부(110)에서 흡착픽업부(130)를 거쳐서 트레이배출부(140)로 이송되는 이송브라켓(121)을 지지한 상태로 이송되는 위치를 가이드하도록 레일 형태로 설치된다.
이송작동체(125)는 이송레일(124)과 이송브라켓(121)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이송브라켓(121)의 하부에 고정되어 이송레일(124) 상에서 이송브라켓(121)을 이송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도록 설치된다. 이송작동체(125)는 이송브라켓(121)의 하부에 고정된 상태에서 이송레일(124) 상에서 작동에 의해 이송브라켓(121)이 트레이공급부(110)에서 흡착픽업부(130)를 거쳐서 트레이배출부(140)로 이송되도록 구비된다.
지지레일(126)은 이송브라켓(121)의 하부 한쪽 측면 방향에 배치되어 있으며, 이송레일(124)과 떨어진 한쪽 측면을 지지하도록 레일 형태로 설치된다. 지지레일(126)은 이송레일(124) 상에서 이송되는 이송브라켓(121)의 다른쪽 측면을 지지하는 위치로 설치되어 한쪽 방향으로 이송브라켓(121)이 편중된 상태로 이송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구비된다.
이송지지체(127)는 지지레일(126)과 이송브라켓(121)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이송작동체(125)의 작동으로 이송되는 이송브라켓(121)에 한쪽 측면을 지지하면서 지지레일(126) 상에서 함께 이송되로록 설치된다. 이송지지체(127)는 이송브라켓(121)이 이송작동체(125)의 작동에 의해 이송 시 한쪽 측면을 지지한 상태로 함께 이송되어 이송브라켓(121)이 유동없이 지지된 상태에서 이송되도록 구비된다.
흡착픽업부(130)는 트레이이송부(120)로 로딩/언로딩 위치로 이송되는 트레이(10)와 디스펜싱 장치(20) 사이로 이송되도록 설치된 흡착브라켓(131), 흡착체(132), 회전작동체(133), 흡착상하이송장치(134), 흡착이송레일(135), 및 흡착작동체(136)를 포함한다. 흡착브라켓(131)은 트레이공급부(110)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디스펜싱 장치(20)에 로딩/언로딩되는 위치에 트레이이송부(120)로 이송된 연성회로기판이 본딩된 터치스크린패널의 상부를 지지하는 형태로 구비되어 트레이(10)와 디스펜싱 장치(20) 사이에서 로딩/언로딩되도록 이송되도록 설치된다.
흡착체(132)는 흡착브라켓(131)에 고정되어 하부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복수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며, 흡착 압력의 공급으로 연성회로기판이 본딩된 터치스크린패널을 픽업하기 위해 흡착시키도록 설치된다. 흡착체(132)는 흡착브라켓(131)에 복수 위치에 설치되어 로딩 시 트레이이송부(120)에서 이송되는 트레이(10)에 안치된 연성회로기판이 본딩된 터치스크린패널을 흡착 픽업하여 디스펜싱 장치(20)로 이송시키고, 언로딩 시 디스펜싱 장치(20)에서 디스펜싱을 마친 연성회로기판이 본딩된 터치스크린패널을 흡착 픽업하여 트레이이송부(120)로 이송된 빈 트레이(10)에 이송시키도록 구비된다.
회전작동체(133)는 흡착브라켓(131)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흡착체(132)가 복수 위치에 구비된 상태에서 디스펜싱 장치(20)의 로딩/언로딩 위치에 따라서 회전되는 동력을 제공하도록 설치된다. 회전작동체(133)는 디스펜싱 장치(20)에 따라 로딩/언로딩되는 위치가 트레이(10)에서 안치 공급되는 위치와 상이한 경우에는 연성회로기판이 본딩된 터치스크린패널가 흡착 픽업하는 흡착체(132)와 흡착브라켓(131)을 회전하면서 트레이(10) 위치와 디스펜싱 장치(20)의 로딩/언로딩 되는 위치로 공급하도록 구비된다.
흡착상하이송장치(134)는 흡착브라켓(131)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흡착체(132)로 흡착되는 연성회로기판이 본딩된 터치스크린패널의 픽업 시와 픽업 해제 시 흡착브라켓(131), 흡착체(132), 및 회전작동체(133)를 함께 상하로 이송시키도록 설치된다.
흡착이송레일(135)은 흡착상하이송장치(134)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트레이(10)의 다른쪽 측면 끝에서 디스펜싱 장치(20)가 로딩/언로딩되는 위치인 한쪽 측면으로 이송되는 것이 지지되도록 레일 형태로 설치된다.
흡착작동체(136)는 흡착상하이송장치(134)와 흡착이송레일(135)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흡착상하이송장치(134)가 타측에 고정된 상태에서 흡착이송레일(135) 상에서 이송하여 흡착체(132)에서 흡착되는 연성회로기판이 본딩된 터치스크린패널을 디스펜싱 장치(20) 위치로 로딩/언로딩하는 위치로 이송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도록 설치된다. 흡착작동체(136)가 작동되면 흡착체(132)와 흡착상하이송장치(134)가 흡착이송레일(135) 상에서 이송되면서 터치스크린패널과 연성회로기판을 디스펜싱 장치(20)로 로딩/언로딩하도록 구비된다.
트레이배출부(140)는 디스펜싱 장치(20)로 로딩/언로딩을 마친 트레이(10)의 디스펜싱 장치(20) 방향인 한쪽 측면이 지지되도록 설치된 배출지지프레임(141), 배출조절프레임(142), 연결프레임(143), 배출조절레일(144), 배출조절이송체(145), 배출조절고정체(146), 배출적층가이드체(147), 배출하부고정체(148), 및 회전지지체(149)를 포함한다. 배출지지프레임(141)은 흡착픽업부(130)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흡착픽업부(130)에서 디스펜싱 장치(20)에 로딩/언로딩 작업을 마친 트레이(10)가 배출되는 위치에 디스펜싱 장치(20) 방향인 한쪽 측면에 격벽 형태로 트레이(10)의 한쪽 측면을 지지하도록 설치된다. 배출지지프레임(141)은 로딩 연성회로기판이 본딩된 터치스크린패널을 픽업하여 비어있는 트레이(10)와 언로딩 시 디스펜싱을 마친 연성회로기판이 본딩된 터치스크린패널이 안치된 트레이(10)가 트레이이송부(120)로 배출 위치로 이송되면 한쪽 측면이 지지되는 격벽 형태로 구비된다.
배출조절프레임(142)은 배출지지프레임(141)의 다른쪽 측면에 떨어져 배치되어 있으며, 트레이(10)가 수납되는 배출수납공간(142a)이 형성되도록 다른쪽 측면으로 떨어진 위치에 한쪽 측면이 배출지지프레임(141)으로 지지되는 트레이(10)의 다른쪽 측면이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연결프레임(143)은 배출지지프레임(141)과 배출조절프레임(142)의 타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배출지지프레임(141)과 공급지지프레임(111)을 연결하고, 배출조절프레임(142)과 공급조절프레임(112)을 연결하도록 설치된다. 연결프레임(143)은 공급지지프레임(111)과 배출지지프레임(141)을 연결하고, 공급조절프레임(112)과 배출조절프레임(142)을 각각 연결하여 트레이(10)의 공급 위치와 배출 위치의 간격을 동일하게 유지하여 트레이이송부(120)로 이송되는 이송 간섭을 최소화한다.
배출조절레일(144)은 배출조절프레임(142)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디스펜싱 장치(20) 방향인 한쪽 측면과 다른쪽 측면으로 배출조절프레임(142)의 이송을 지지하도록 레일 형태로 설치된다. 배출조절레일(144)은 트레이(10)의 크기에 따라 한쪽 측면과 다른쪽 측면으로 이송되는 배출조절프레임(142)의 이송을 지지하도록 레일 형태로 구비된다.
배출조절이송체(145)는 배출조절레일(144)과 배출조절프레임(142)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트레이(10)의 크기에 따라 배출조절프레임(142)이 배출조절레일(144) 상에서 한쪽 측면과 다른쪽 측면으로 이송되로록 설치된다.
배출조절고정체(146)는 배출조절이송체(145)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배출조절레일(144) 상에서 배출조절프레임(142)과 함께 이송되는 배출조절이송체(145)가 트레이(10)의 크기에 따라 이송된 위치에서 작동에 의해 정지 상태가 유지되도록 설치된다. 즉, 배출조절프레임(142)은 트레이(10)의 크기에 따라 하부에 고정된 배출조절이송체(145)가 배출조절레일(144) 상에서 이송되어 연결프레임(143)으로 연결된 공급조절프레임(112)과 동일한 위치로 이송되면 배출조절고정체(146)를 작동시켜 이송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설치된다.
배출적층가이드체(147)는 배출지지프레임(141)과 배출조절프레임(142)의 상부로 돌출되어 있으며, 배출수납공간(142a)으로 수납되는 트레이(10)가 상부를 향해서 복수로 적층되면 각 모서리 위치를 지지하도록 배출지지프레임(141)과 배출조절프레임(142)에 각각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된다. 배출적층가이드체(147)는 판형태의 트레이(10)의 각 모서리 위치를 지지하도록 돌출 구비되어 트레이이송부(120)로 이송에 의해 상승되어 복수로 적층되는 트레이(10)가 지지된 상태로 대기하도록 구비된다.
배출하부고정체(148)는 배출지지프레임(141)과 배출조절프레임(142)에 서로 마주보는 면에 각각 배치되어 있으며, 상호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각각 돌출되어 트레이이송부(120)에서 이송된 트레이(10)가 상부 방향에 복수 수량으로 적층되도록 하부가 고정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배출하부고정체(148)는 트레이이송부(120)로 이송되는 트레이(10)를 상승시켜 배출하면 걸림이 해제되고, 하강하면 걸림된 상태에서 배출되는 위치에 적층되도록 설치된다.
회전지지체(149)는 배출지지프레임(141)과 배출조절프레임(142)에 각각 배출하부고정체(148)가 지지 위치에 설치되어 있으며, 배출하부고정체(148)가 배출지지프레임(141)과 배출조절프레임(142)에 각각의 지지되는 위치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트레이(10) 상승 시에 배출하부고정체(148)가 회전되면서 트레이(10)의 걸림이 해제되어 상부로 이동하고, 하강 시에는 배출하부고정체(148)가 걸림 위치로 회전되어 트레이(10)의 하부를 고정 지지하도록 설치된다. 회전지지체(149)는 디스펜싱 장치(20)에서 로딩/언로딩 작업을 마친 트레이(10)가 적층된 상태에서 배출되도록 걸림 지지되는 배출하부고정체(148)가 회전되도록 설치되어 트레이(10) 상승 시 회전에 의해 배출하부고정체(148)의 걸림 상태가 해제되고, 트레이(10)가 하강되면 배출하부고정체(148)가 걸림 위치로 회전하여 배출된 트레이(10)가 적층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비되어 배출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로딩/언로딩 장치 110 : 트레이공급부
111 : 공급지지프레임 112 : 공급조절프레임
112a : 공급수납공간 113 : 공급조절레일
114 : 공급조절이송체 115 : 공급조절고정체
116 : 공급적층가이드체 117 : 공급하부고정체
118 : 공급고정연결체 119 : 공급고정작동체
120 : 트레이이송부 121 : 이송브라켓
122 : 이송돌기 123 : 상하구동장치
124 : 이송레일 125 : 이송작동체
126 : 지지레일 127 : 이송지지체
130 : 흡착픽업부 131 : 흡착브라켓
132 : 흡착체 133 : 회전작동체
134 : 흡착상하이송장치 135 : 흡착이송레일
136 : 흡착작동체 140 : 트레이배출부
141 : 배출지지프레임 142 : 배출조절프레임
142a : 배출수납공간 143 : 연결프레임
144 : 배출조절레일 145 : 배출조절이송체
146 : 배출조절고정체 147 : 배출적층가이드체
148 : 배출하부고정체 149 : 회전지지체

Claims (7)

  1. 연성회로기판이 본딩된 터치스크린패널이 복수 위치에 안치되는 트레이를 복수로 적층하여 수납 지지하여 대기 상태를 유지하다가 개별적으로 하나씩 공급되도록 설치된 트레이공급부,
    상기 트레이공급부의 하부에 일측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트레이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상기 트레이를 지지한 상태에서 디스펜싱 장치에 로딩/언로딩 위치를 거쳐서 일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설치된 트레이이송부,
    상기 트레이공급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디스펜싱 장치에 로딩/언로딩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트레이이송부의 작동으로 상기 트레이가 로딩/언로딩되는 위치에 도달하면 흡착압력을 흡착 픽업한 상태에서 회전한 후에 상기 트레이와 상기 디스펜싱 장치 사이로 이송시키면서 로딩/언로딩 작업을 실시하도록 설치된 흡착픽업부, 및
    상기 흡착픽업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흡착픽업부에서 상기 디스펜싱 장치에 로딩/언로딩 작업을 마친 상기 트레이를 상부 방향으로 복수 수량으로 적층 수납하여 배출시키도록 설치된 트레이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패널 제조용 로딩/언로딩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공급부는,
    상기 트레이가 공급되는 위치에서 상기 디스펜싱 장치 방향인 한쪽 측면에 격벽 형태로 상기 트레이의 한쪽 측면을 지지하도록 설치된 공급지지프레임,
    상기 공급지지프레임의 다른쪽 측면에 떨어져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트레이가 수납되는 공급수납공간이 형성되도록 다른쪽 측면으로 떨어진 위치에 한쪽 측면이 상기 공급지지프레임으로 지지되는 상기 트레이의 다른쪽 측면이 지지되도록 설치된 공급조절프레임,
    상기 공급조절프레임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디스펜싱 장치 방향인 한쪽 측면과 다른 쪽 측면으로 상기 공급조절프레임의 이송을 지지하도록 레일 형태로 설치된 공급조절레일,
    상기 공급조절레일과 상기 공급조절프레임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트레이의 크기에 따라 상기 공급조절프레임이 상기 공급조절레일 상에서 한쪽 측면과 다른쪽 측면으로 이송되도록 설치된 공급조절이송체, 및
    상기 공급조절이송체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공급조절레일 상에서 상기 공급조절프레임과 함께 이송되는 상기 공급조절이송체가 상기 트레이의 크기에 따라 이송된 위치에서 작동에 의해 정지 상태가 유지되도록 설치된 공급조절고정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패널 제조용 로딩/언로딩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공급부는,
    상기 공급지지프레임과 상기 공급조절프레임의 상부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공급수납공간으로 수납되는 상기 트레이가 상부를 향해서 복수로 적층되면 각 모서리 위치를 지지하도록 상기 공급지지프레임과 상기 공급조절프레임에 각각 상부 방향으로 돌출된 공급적층가이드체,
    상기 공급지지프레임과 상기 공급조절프레임에 서로 마주보는 면에 각각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공급지지프레임과 상기 공급조절프레임의 일측과 타측에서 떨어진 복수 위치에서 서로 마주보는 바깥 면에서 안쪽 방향으로 관통 이동되도록 구비되어 각각의 위치에서 서로 마주보는 방향인 안쪽 방향으로 이동되면 복수로 적층 위치한 상기 트레이 중 최하부에 위치한 상기 트레이의 하부면이 걸림 고정되고, 바깥방향으로 이동되면 걸림 고정력이 해제되어 걸림 고정된 트레이가 하부로 낙하하여 상기 트레이이송부로 공급되도록 설치된 공급하부고정체,
    상기 공급지지프레임과 상기 공급조절프레임의 서로 마주보는 방향에 바깥 측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일측과 타측으로 떨어져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각각 구비된 복수의 상기 공급하부고정체의 바깥 면을 각각 연결하여 함께 이송되도록 설치된 공급고정연결체, 및
    상기 공급지지프레임과 상기 공급조절프레임의 서로 마주보는 바깥면과 각각 설치된 상기 공급고정연결체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작동에 의해 상기 공급고정연결체가 한쪽 측면과 다른쪽 측면인 서로 마주보는 바깥 면에서 안쪽 방향으로 이송되어 복수의 상기 공급하부고정체가 이송되는 동력을 제공하는 공급고정작동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패널 제조용 로딩/언로딩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이송부는,
    상기 트레이공급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트레이공급부에서 상기 트레이배출부로 이동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트레이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상기 트레이가 안치된 상태에서 상기 흡착픽업부를 거쳐서 상기 트레이배출부로 이송되도록 설치된 이송브라켓,
    상기 이송브라켓의 일측과 타측 끝에 각각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트레이가 안치된 상태에서 일측으로 이송 시 걸림 지지되어 안치 상태를 유지하도록 설치된 이송돌기,
    상기 이송브라켓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이송브라켓이 상기 트레이공급부와 상기 트레이배출부 위치에서 상기 트레이를 공급 및 배출하도록 상하로 구동시키도록 설치된 상하구동장치,
    상기 이송브라켓의 하부 다른쪽 측면 방향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트레이공급부에서 상기 트레이배출부 위치까지 가로질러 배치되어 상기 이송브라켓을 일측방향으로 이송되는 것이 지지되도록 레일 형태로 설치된 이송레일,
    상기 이송레일과 상기 이송브라켓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이송브라켓의 하부에 고정되어 상기 이송레일 상에서 상기 이송브라켓을 이송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도록 설치된 이송작동체,
    상기 이송브라켓의 하부 한쪽 측면 방향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이송레일과 떨어진 한쪽 측면을 지지하도록 레일 형태로 설치된 지지레일, 및
    상기 지지레일과 상기 이송브라켓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이송작동체의 작동으로 이송되는 상기 이송브라켓에 한쪽 측면을 지지하면서 상기 지지레일 상에서 함께 이송되로록 설치된 이송지지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패널 제조용 로딩/언로딩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픽업부는,
    상기 트레이공급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디스펜싱 장치에 로딩/언로딩되는 위치에 상기 트레이이송부로 이송된 상기 연성회로기판이 본딩된 상기 터치스크린패널의 상부를 지지하는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트레이와 상기 디스펜싱 장치 사이에서 로딩/언로딩되도록 이송되도록 설치된 흡착브라켓,
    상기 흡착브라켓에 고정되어 하부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복수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며, 흡착압력의 공급으로 상기 연성회로기판이 본딩된 상기 터치스크린패널을 픽업하도록 흡착시키는 흡착체,
    상기 흡착브라켓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흡착체가 복수 위치에 구비된 상태에서 상기 디스펜싱 장치의 로딩/언로딩 위치에 따라서 회전되는 동력을 제공하도록 설치된 회전작동체,
    상기 회전작동체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흡착체로 흡착되는 상기 연성회로기판이 본딩된 상기 터치스크린패널의 픽업 시와 픽업 해제 시 상기 흡착브라켓, 상기 흡착체, 및 상기 회전작동체를 함께 상하로 이송시키도록 설치된 흡착상하이송장치,
    상기 흡착상하이송장치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트레이의 다른쪽 측면 끝에서 상기 디스펜싱 장치가 로딩/언로딩되는 위치인 한쪽 측면으로 이송되는 것이 지지되도록 레일 형태로 설치된 흡착이송레일, 및
    상기 흡착상하이송장치와 상기 흡착이송레일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흡착상하이송장치가 타측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흡착이송레일 상에서 이송하여 상기 흡착체에서 흡착되는 상기 연성회로기판이 본딩된 상기 터치스크린패널을 상기 디스펜싱 장치 위치로 로딩/언로딩하는 위치로 이송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도록 설치된 흡착작동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패널 제조용 로딩/언로딩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배출부는,
    상기 흡착픽업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흡착픽업부에서 상기 디스펜싱 장치에 로딩/언로딩 작업을 마친 상기 트레이가 배출되는 위치에 상기 디스펜싱 장치 방향인 한쪽 측면에 격벽 형태로 상기 트레이의 한쪽 측면을 지지하도록 설치된 배출지지프레임,
    상기 배출지지프레임의 다른쪽 측면에 떨어져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트레이가 수납되는 배출수납공간이 형성되도록 다른쪽 측면으로 떨어진 위치에 한쪽 측면이 상기 배출지지프레임으로 지지되는 상기 트레이의 다른쪽 측면이 지지되도록 설치된 배출조절프레임,
    상기 배출지지프레임과 상기 배출조절프레임의 타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배출지지프레임과 상기 배출조절프레임을 상기 트레이공급부와 각각 연결시키도록 설치된 연결프레임,
    상기 배출조절프레임의 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디스펜싱 장치 방향인 한쪽 측면과 다른쪽 측면으로 상기 배출조절프레임의 이송을 지지하도록 레일 형태로 설치된 배출조절레일,
    상기 배출조절레일과 상기 배출조절프레임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트레이의 크기에 따라 상기 배출조절프레임이 상기 배출조절레일 상에서 한쪽 측면과 다른쪽 측면으로 이송되도록 설치된 배출조절이송체, 및
    상기 배출조절이송체의 일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배출조절레일 상에서 상기 배출조절프레임과 함께 이송되는 상기 배출조절이송체가 상기 트레이의 크기에 따라 이송된 위치에서 작동에 의해 정지 상태가 유지되도록 설치된 배출조절고정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패널 제조용 로딩/언로딩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배출부는,
    상기 배출지지프레임과 상기 배출조절프레임의 상부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배출수납공간으로 수납되는 상기 트레이가 상부를 향해서 복수로 적층되면 각 모서리 위치를 지지하도록 상기 배출지지프레임과 상기 배출조절프레임에 각각 상부 방향으로 돌출된 배출적층가이드체,
    상기 배출지지프레임과 상기 배출조절프레임에 서로 마주보는 면에 각각 배치되어 있으며, 상호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각각 돌출되어 상기 트레이이송부에서 이송된 상기 트레이가 상부 방향에 복수 수량으로 적층되도록 하부가 고정 지지되도록 설치된 배출하부고정체, 및
    상기 배출지지프레임과 상기 배출조절프레임에 각각 상기 배출하부고정체가 지지 위치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배출하부고정체가 상기 배출지지프레임과 상기 배출조절프레임에 각각의 지지되는 위치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트레이 상승 시에 상기 배출하부고정체가 회전되면서 상기 트레이의 걸림이 해제되어 상부로 이동하고, 하강 시에는 상기 배출하부고정체가 걸림 위치로 회전되어 상기 트레이의 하부를 고정 지지하도록 설치된 회전지지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패널 제조용 로딩/언로딩 장치.
KR1020130043265A 2013-04-19 2013-04-19 터치스크린패널 제조용 로딩/언로딩 장치 KR1012934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3265A KR101293457B1 (ko) 2013-04-19 2013-04-19 터치스크린패널 제조용 로딩/언로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3265A KR101293457B1 (ko) 2013-04-19 2013-04-19 터치스크린패널 제조용 로딩/언로딩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93457B1 true KR101293457B1 (ko) 2013-08-06

Family

ID=492199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3265A KR101293457B1 (ko) 2013-04-19 2013-04-19 터치스크린패널 제조용 로딩/언로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3457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74548A (zh) * 2015-05-19 2015-09-02 东北大学 用于pcb板自动分拣机的送料装置
CN107826745A (zh) * 2017-12-01 2018-03-23 昆山精讯电子技术有限公司 一种面板检测装置
CN112919117A (zh) * 2021-01-22 2021-06-08 深圳中科飞测科技股份有限公司 抓取装置及转运系统
CN113562246A (zh) * 2021-07-29 2021-10-29 邵东智能制造技术研究院有限公司 背光板快速装盘设备
CN115741178A (zh) * 2022-12-06 2023-03-07 北京航空材料研究院股份有限公司 复杂曲面薄壁件柔性定位装置
KR20230119348A (ko) * 2022-02-07 2023-08-16 주식회사 엠피에스 카메라 모듈용 코일 어태칭 장치
KR102627017B1 (ko) * 2022-09-26 2024-01-19 에스에스오트론 주식회사 반도체 칩과, 트레이 커버의 자동 로딩 및 언로딩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27971A (ko) * 2009-09-11 2011-03-17 주식회사 모린스 터치패널용 fpc 본딩장치
KR101235877B1 (ko) 2012-03-28 2013-02-21 주식회사 이엔지코리아 터치스크린 패널의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27971A (ko) * 2009-09-11 2011-03-17 주식회사 모린스 터치패널용 fpc 본딩장치
KR101235877B1 (ko) 2012-03-28 2013-02-21 주식회사 이엔지코리아 터치스크린 패널의 제조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74548A (zh) * 2015-05-19 2015-09-02 东北大学 用于pcb板自动分拣机的送料装置
CN107826745A (zh) * 2017-12-01 2018-03-23 昆山精讯电子技术有限公司 一种面板检测装置
CN107826745B (zh) * 2017-12-01 2024-02-02 昆山精讯电子技术有限公司 一种面板检测装置
CN112919117A (zh) * 2021-01-22 2021-06-08 深圳中科飞测科技股份有限公司 抓取装置及转运系统
CN113562246A (zh) * 2021-07-29 2021-10-29 邵东智能制造技术研究院有限公司 背光板快速装盘设备
KR20230119348A (ko) * 2022-02-07 2023-08-16 주식회사 엠피에스 카메라 모듈용 코일 어태칭 장치
KR102657502B1 (ko) * 2022-02-07 2024-04-15 주식회사 엠피에스 카메라 모듈용 코일 어태칭 장치
KR102627017B1 (ko) * 2022-09-26 2024-01-19 에스에스오트론 주식회사 반도체 칩과, 트레이 커버의 자동 로딩 및 언로딩 장치
CN115741178A (zh) * 2022-12-06 2023-03-07 北京航空材料研究院股份有限公司 复杂曲面薄壁件柔性定位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3457B1 (ko) 터치스크린패널 제조용 로딩/언로딩 장치
US7329083B2 (en) Loader and unloader for workpiece
CN110978484A (zh) 一种曲面屏贴膜设备
KR101403890B1 (ko) 트레이 공급 장치
CN106044228B (zh) 一种无间歇面板物料自动上下料机构
JP2012148900A (ja) 電界放出ディスプレイ用のスペーサ自動実装システム及びスペーサ自動実装方法
TWI608965B (zh) Electronic parts packaging equipment and labeling equipment
CN103298326A (zh) 电子部件供给装置及电子部件安装装置
CN108689112A (zh) 自动上料装置
CN111306160A (zh) 静置固化设备
KR101100863B1 (ko) 간지를 자동분리할 수 있는 세라믹 가공장치
JP2012043930A (ja) ウェハ供給装置およびチップボンディング装置
KR20060065285A (ko) 백라이트유니트 조립장치 및 방법
KR101127116B1 (ko) 기판용 보호테이프 부착장치
KR101499637B1 (ko) 전자부품 공급장치
CN211168892U (zh) 一种上料装置
JP2008153557A (ja) リードフレーム供給装置
KR101429917B1 (ko) Lcd 제조장치와 그의 구동방법
JP4585496B2 (ja) 半導体チップの実装装置
KR101457867B1 (ko) 간지 적재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웨이퍼 패킹 시스템
KR101144620B1 (ko) 트레이 공급장치
JP5980933B2 (ja) 部品実装機の制御システム及び制御方法
KR101984467B1 (ko) 포장용 로봇시스템
KR100987836B1 (ko) 캐리어 테이프 로딩장치
JP7349770B2 (ja) 容器供給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米飯処理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