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3273B1 - 웨이퍼 프리얼라이너 - Google Patents

웨이퍼 프리얼라이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3273B1
KR101293273B1 KR1020130056916A KR20130056916A KR101293273B1 KR 101293273 B1 KR101293273 B1 KR 101293273B1 KR 1020130056916 A KR1020130056916 A KR 1020130056916A KR 20130056916 A KR20130056916 A KR 20130056916A KR 101293273 B1 KR101293273 B1 KR 1012932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wafer
fixed
hol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69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현
최대용
Original Assignee
최대용
이승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대용, 이승현 filed Critical 최대용
Priority to KR10201300569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32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32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32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8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ositioning, orientation or alignment
    • H01L21/681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ositioning, orientation or alignment using optical controll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로봇을 통해 이송배치된 웨이퍼를 고정한 후, 웨이퍼를 회전시킴으로써 웨이퍼에 형성된 노치를 탐색하여 위치정렬을 이루는 웨이퍼 프리얼라이너에 관한 것으로, 하판과, 상기 하판의 모서리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지지대와, 관통홀을 형성하여 지지대의 상부에 고정설치되며 관통홀을 중심으로 120°의 등 간격으로 설치되는 백라이트를 구성한 중판과, 측면에 개구홀을 형성한 지지판을 통해 중판의 상측으로 이격설치되는 상판으로 이루어진 설치대; 상기 설치대의 하판에 고정설치되는 좌우이동작동부와, 전후이동작동부로 이루어진 수평이동작동부; 상기 수평이동작동부에 고정설치되어 중판의 관통홀을 통해 상부로 돌출되되, 회전모터의 구동에 따라 회전작동하며 웨이퍼의 흡착고정을 위한 흡착홀이 형성된 회전안착대를 구성한 회전흡착작동부; 상기 설치대의 중판에 구성된 백라이트와 대응되는 위치의 상판에 고정설치되어 회전흡착작동부의 구동에 따라 회전작동하는 웨이퍼의 노치를 탐색하는 3개의 감지작동부;로 구성되되, 상기 좌우이동작동부는, 제1설치홀을 형성하여 하판에 고정설치되며, 이동홀을 좌우방향으로 형성한 고정설치판; 상기 고정설치판에 좌우방향으로 베어링결합되며, 제1설치홀에 대응되는 제2설치홀을 형성한 좌우이동판; 상기 고정설치판의 하면에 고정설치되는 제1모터와, 상기 제1모터의 제1축 끝단에 베어링결합되며 고정설치판의 하면에 고정설치되는 제1고정구와, 상기 제1축에 나사결합되는 제1너트부와, 상기 제1너트부에 고정결합된 상태로 고정설치판의 이동홀을 통해 좌우이동판의 하면에 고정결합되는 좌우이동브라켓으로 이루어진 좌우이동부;로 구성되고, 상기 전후이동작동부는, 상기 좌우이동작동부의 좌우이동판에 전후방향으로 베어링결합되며, 제2설치홀에 대응되는 제3설치홀을 형성한 전후이동판; 상기 좌우이동판의 상면에 고정설치되는 제2모터와, 상기 제2모터의 제2축 끝단에 베어링결합되며 좌우이동판의 상면에 고정설치되는 제2고정구와, 상기 제2축에 나사결합되는 제2너트부와, 상기 제2너트부에 고정결합된 상태로 전후이동판에 고정결합되는 전후이동브라켓으로 이루어진 전후이동부;로 구성된 것에 특징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이용하면, 120°의 등 간격으로 이격되어 3개로 구성된 카메라를 통해 웨이퍼의 120°회전만으로 검사를 이룰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카메라의 면 검사와 백라이트의 조명을 통해 광범위한 범위를 정밀하게 검사할 수 있으므로 웨이퍼의 회전속도를 빠르게 하여 신속정확한 검사는 물론, 웨이퍼의 정밀한 정렬배치를 이룰 수 있고, 수평이동작동부를 통해 웨이퍼가 흡착되어 회전작동하는 회전흡착작동부를 전,후,좌,우로 손쉽게 보정이동시킬 수 있으며, 감지작동부에 구성된 수평이동체와 승강이동체를 통해 카메라의 전,후,좌,우 이동과 더불어, 승강 이동을 이룰 수 있어 카메라의 위치보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웨이퍼 프리얼라이너{A wafer pre-aligner}
본 발명은 웨이퍼 프리얼라이너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120°의 등 간격으로 이격되어 3개로 구성된 카메라를 통해 웨이퍼의 120°회전만으로 검사를 이룰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카메라의 면 검사와 백라이트의 조명을 통해 광범위한 범위를 정밀하게 검사할 수 있으므로 웨이퍼의 회전속도를 빠르게 하여 신속정확한 검사는 물론, 웨이퍼의 정밀한 정렬배치를 이룰 수 있고, 수평이동작동부를 통해 웨이퍼가 흡착되어 회전작동하는 회전흡착작동부를 전,후,좌,우로 손쉽게 보정이동시킬 수 있으며, 감지작동부에 구성된 수평이동체와 승강이동체를 통해 카메라의 전,후,좌,우 이동과 더불어, 승강 이동을 이룰 수 있어 카메라의 위치보정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반도체 웨이퍼는 여러 개의 웨이퍼를 한꺼번에 가공하여 작업을 수행하고 있으며, 이러한 반도체 웨이퍼는 일정한 방향을 갖고 있으며, 이러한 방향에 맞추어 이동 및 공급되어야 정상적인 반도체 웨이퍼를 완성할 수 있다.
따라서, 반도체 웨이퍼 제조 공정에서 반도체 웨이퍼를 정렬하는 작업이 필수적이다.
이런 반도체 웨이퍼의 정렬을 위해 원형의 반도체 웨이퍼의 일측에는 플랫존이라는 평탄한 면을 형성하거나, 일부에 V자 또는 U자 모양의 쐐기형 노치를 형성하여 이 플랫존이나 노치를 감지하여 반도체 웨이퍼의 정렬 작업을 수행한다.
이러한 반도체 웨이퍼 정렬을 위한 얼라인 장치는 반도체 웨이퍼에 형성된 노치나 플랫존을 감지하는 감지센서와, 반도체웨이퍼를 회전시키는 진공 척 등의 회전장치를 구비하고 있어, 상기 회전장치에 의해 회전하는 반도체 웨이퍼의 노치나 플랫존을 상기 감지센서에서 감지하여 반도체 웨이퍼의 노치나 플랫존이 소정의 방향을 한향 상태에서 상기 얼라이너의 구동을 정지시킴에 의해 반도체 웨이퍼의 방향을 정렬시키고 있다.
이러한 얼라이너의 종래기술로는 "등록특허 10-0721567호"와 같은 반도체웨이퍼 얼라이너용 버퍼암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얼라인방법이 있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기술은 감지센서부가 웨이퍼에 형성된 노치를 직선형태로 검사를 이루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노치의 홈 크기와 부합되지 않아 웨이퍼의 정밀정렬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으며, 특히, 최근 들어서는 웨이퍼의 지름이 300mm에서 450mm로 상향조정된 웨이퍼를 많이 사용하기 때문에 웨이퍼의 정렬배치시 오차가 더욱 크게 발생하여 커져 제품에 하자가 발생할 우려가 높았다.
또한, 웨이퍼의 노치를 검사하는 감지센서부가 단독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웨이퍼의 정렬을 위해선 상기 웨이퍼를 360°즉, 한바퀴 회전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으며, 직선형태의 센서로 검사를 이루는 감지센서부로 인해 웨이퍼의 회전속도를 빠르게 할 수 없어 웨이퍼의 정렬에 따른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웨이퍼의 정렬을 신속 정확하게 이룰 수 있는 웨이퍼 프리 얼라이너를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은 120°의 등 간격으로 이격되어 3개로 구성된 카메라를 통해 웨이퍼의 120°회전만으로 검사를 이룰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카메라의 면 검사와 백라이트의 조명을 통해 광범위한 범위를 정밀하게 검사할 수 있으므로 웨이퍼의 회전속도를 빠르게 하여 신속정확한 검사는 물론, 웨이퍼의 정밀한 정렬배치를 이룰 수 있는 웨이퍼 프리얼라이너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평이동작동부를 통해 웨이퍼가 흡착되어 회전작동하는 회전흡착작동부를 전,후,좌,우로 손쉽게 보정이동시킬 수 있으며, 감지작동부에 구성된 수평이동체와 승강이동체를 통해 카메라의 전,후,좌,우 이동은 물론, 승강 이동을 이룰 수 있어 카메라의 위치보정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는 웨이퍼 프리얼라이너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웨이퍼 프리얼라이너는, 로봇을 통해 이송배치된 웨이퍼를 고정한 후, 웨이퍼를 회전시킴으로써 웨이퍼에 형성된 노치를 탐색하여 위치 정렬을 이루는 웨이퍼 프리얼라이너에 있어서, 하판과, 상기 하판의 모서리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지지대와, 관통홀을 형성하여 지지대의 상부에 고정설치되며 관통홀을 중심으로 120°의 등 간격으로 설치되는 백라이트를 구성한 중판과, 측면에 개구홀을 형성한 지지판을 통해 중판의 상측으로 이격설치되는 상판으로 이루어진 설치대; 상기 설치대의 하판에 고정설치되는 좌우이동작동부와, 전후이동작동부로 이루어진 수평이동작동부; 상기 수평이동작동부에 고정설치되어 중판의 관통홀을 통해 상부로 돌출되되, 회전모터의 구동에 따라 회전작동하며 웨이퍼의 흡착고정을 위한 흡착홀이 형성된 회전안착대를 구성한 회전흡착작동부; 상기 설치대의 중판에 구성된 백라이트와 대응되는 위치의 상판에 고정설치되어 회전흡착작동부의 구동에 따라 회전작동하는 웨이퍼의 노치를 탐색하는 3개의 감지작동부;로 구성되되, 상기 좌우이동작동부는, 제1설치홀을 형성하여 하판에 고정설치되며, 이동홀을 좌우방향으로 형성한 고정설치판; 상기 고정설치판에 좌우방향으로 베어링결합되며, 제1설치홀에 대응되는 제2설치홀을 형성한 좌우이동판; 상기 고정설치판의 하면에 고정설치되는 제1모터와, 상기 제1모터의 제1축 끝단에 베어링결합되며 고정설치판의 하면에 고정설치되는 제1고정구와, 상기 제1축에 나사결합되는 제1너트부와, 상기 제1너트부에 고정결합된 상태로 고정설치판의 이동홀을 통해 좌우이동판의 하면에 고정결합되는 좌우이동브라켓으로 이루어진 좌우이동부;로 구성되고, 상기 전후이동작동부는, 상기 좌우이동작동부의 좌우이동판에 전후방향으로 베어링결합되며, 제2설치홀에 대응되는 제3설치홀을 형성한 전후이동판; 상기 좌우이동판의 상면에 고정설치되는 제2모터와, 상기 제2모터의 제2축 끝단에 베어링결합되며 좌우이동판의 상면에 고정설치되는 제2고정구와, 상기 제2축에 나사결합되는 제2너트부와, 상기 제2너트부에 고정결합된 상태로 전후이동판에 고정결합되는 전후이동브라켓으로 이루어진 전후이동부;로 구성된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웨이퍼 프리얼라이너는 120°의 등 간격으로 이격되어 3개로 구성된 카메라를 통해 웨이퍼의 120°회전만으로 검사를 이룰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카메라의 면 검사와 백라이트의 조명을 통해 광범위한 범위를 정밀하게 검사할 수 있으므로 웨이퍼의 회전속도를 빠르게 하여 신속정확한 검사는 물론, 웨이퍼의 정밀한 정렬배치를 이룰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평이동작동부를 통해 웨이퍼가 흡착되어 회전작동하는 회전흡착작동부를 전,후,좌,우로 손쉽게 보정이동시킬 수 있으며, 감지작동부에 구성된 수평이동체와 승강이동체를 통해 카메라의 전,후,좌,우 이동은 물론, 승강 이동을 이룰 수 있어 카메라의 위치보정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웨이퍼 프리얼라이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감지작동부가 120°의 등 간격으로 이격되어 3개로 구성된 상태로를 도시한 평면도.
도 3, 4은 본 발명의 수평이동작동부와 회전흡착작동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수평이동작동부와 회전흡착작동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감지작동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7, 8은 본 발명의 감지작동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로봇(미도시)을 통해 이송배치된 웨이퍼(미도시)를 고정한 후, 웨이퍼를 회전시킴으로써 웨이퍼에 형성된 노치(미도시)를 탐색하여 위치 정렬을 이루는 웨이퍼 프리얼라이너(100)에 관한 것으로, 도 1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대(10)와, 수평이동부(40)와, 회전흡착작동부(50)와, 감지작동부(70)로 구성된다.
첫째, 설치대(10)는 본 발명을 고정 설치하기 위한 기본 설치구조로써, 바닥에 안착되는 하판과(11), 상기 하판(11)의 모서리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지지대(12)와, 상기 지지대(12)의 상부에 고정설치되는 중판(15)과, 상기 중판(15)의 상측으로 이격 설치되는 상판(19)을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중판(15)에는 회전흡착작동부(50)의 상부가 중판(15)의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하는 관통홀(13)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13)의 외측으로는 관통홀(13)을 중심으로 120°의 등 간격으로 설치되는 백라이트(14)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백라이트(14)는 조명을 통해 웨이퍼를 밝게 비추도록 함으로써, 감지작동부(70)를 통한 정밀검사를 이루게 하는 작용을 하는 것이며, 상기 관통홀(13)은 백라이트(14)와의 거리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음과 동시에, 크기가 큰 웨이퍼의 노치 탐색을 원활히 이룰 수 있도록 중판(15)의 중앙에서 전방으로 조금 치우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상판은 중판(15)과 상판(19) 사이에 위치하여 좌측면과 우측면 및 후면을 밀폐하도록 하는 지지판(17)을 통해 중판(15)의 상측으로 이격 설치되며, 상기 지지판(17) 중 좌, 우측면에 설치되는 지지판(17)에는 로봇을 통해 이송배치되는 웨이퍼의 원활한 이송배치를 위해 하측에 개구홀(16)이 관통 형성된다.
둘째, 수평이동작동부(40)는 상기 설치대(10)의 하판(11)에 고정설치되어 회전흡착작동부(50)를 전,후,좌,우 방향으로 수평이동시키는 구성으로, 좌우이동작동부(20)와, 전후이동작동부(30)로 구성되며,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수평이동작동부(40)에 구성된 좌우이동작동부(20)는 고정설치판(22)과, 좌우이동판(24)과, 좌우이동부(29)로 구성된다.
여기서, 좌우이동작동부(20)의 고정설치판(22)은 통상의 지지봉(22b)을 통해 설치대(10)에 구성된 하판(11)에 고정설치되는 구성으로, 이동홀(22a)을 좌우방향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좌우이동판(24)은 상기 고정설치판(22)의 제1설치홀(21)에 대응되는 제2설치홀(23)을 형성하여 고정설치판(22)의 상측에 배치되는 구성으로, 상기 고정설치판(22)에 좌우방향으로 결합되는 통상의 리니어 베어링(B)을 통해 고정설치판(22)에 슬라이드결합되어 좌우방향의 이동을 이룰 수 있도록 설치된다.
또한, 좌우이동부(29)는 상기 고정설치판(22)에 결합 설치되어 좌우이동판(24)의 좌우이동을 이루도록 하는 구성으로, 상기 고정설치판(22)의 하면에 고정설치되는 제1모터(25)와, 상기 제1모터(25)의 제1축(25a) 끝단에 베어링결합된 상태로 고정설치판(22)의 하면에 고정설치되는 제1고정구(26)를 구성한다.
아울러, 상기 제1모터(25)에 구성된 제1축(25a)에는 제1너트부(27)가 나사결합되어 설치되는데, 상기 제1너트부(27)에는 좌우이동판(24)의 하면에 고정결합되는 좌우이동브라켓(28)이 고정설치판(22)에 좌우방향으로 형성된 이동홀(22a)을 통해 제1너트부(27)에 고정결합되어 설치된다.
따라서, 제1모터(25)가 구동되면, 제1축(25a)의 회전작동에 의해 상기 제1축(25a)에 나사결합된 상태로 좌우이동브라켓(28)에 고정결합된 제1너트부(27)가 제1축(25a)을 따라 좌우로 이동되게 되어 좌우이동판(24)의 좌우이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수평이동작동부(40)에 구성된 전후이동작동부(30)는 전후이동판(34)과, 전후이동부(39)로 구성된다.
여기서, 전후이동작동부(30)의 전후이동판(34)은 좌우이동작동부(20)에 구성된 좌우이동판(24)의 제2설치홀(23)에 대응되는 제3설치홀(33)을 형성하여 좌우이동판(24)의 상측에 배치되는 구성으로, 상기 좌우이동판(24)에 전후방향으로 결합되는 통상의 리니어 베어링(B)을 통해 좌우이동판(24)에 슬라이드결합되어 전후방향의 이동을 이룰 수 있도록 설치된다.
또한, 전후이동부(39)는 상기 좌우이동판(24)에 결합 설치되어 전후이동판(34)의 전후이동을 이루도록 하는 구성으로, 상기 좌우이동판(24)의 상면에 고정설치되는 제2모터(35)와, 상기 제2모터(35)의 제2축(35a) 끝단에 베어링결합된 상태로 좌우이동판(24)의 상면에 고정설치되는 제2고정구(36)를 구성한다.
아울러, 상기 제2모터(35)에 구성된 제2축(35a)에는 제2너트부(37)가 나사결합되어 설치되는데, 상기 제2너트부(37)에는 전후이동판(34)의 상면에 고정결합되는 전후이동브라켓(38)이 결합설치된다.
따라서, 제2모터(35)가 구동되면, 제2축(35a)의 회전작동에 의해 상기 제2축(35a)에 나사결합된 상태로 전후이동브라켓(38)에 고정결합된 제2너트부(37)가 제2축(35a)을 따라 전후로 이동되게 되어 전후이동판(34)의 좌우이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셋째, 회전흡착작동부(50)는 로봇을 통해 이송배치된 웨이퍼를 흡착고정한 상태에서 회전시키는 작동을 하는 구성으로, 상기 수평이동작동부(40)에 구성된 전후이동작동부(30)의 전후이동판(34)에 고정설치된 상태로 중판(15)의 관통홀(13)을 통해 상부로 돌출됨으로써 웨이퍼의 흡착고정 및 회전을 이루는 작용을 하며, 수평이동작동부(40)의 작동에 따라 전,후,좌,우로 이동된다.
아울러, 웨이퍼의 회전 및 흡착고정을 위해서 상기 회전흡착작동부(50)에는 회전모터(51)와, 상기 회전모터(51)에 의해 회전작동하는 회전안착대(57)가 구성되는데, 상기 회전안착대(57)의 상부에는 흡착홀(55)이 관통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모터(51)는 수평이동작동부(40)에 구성된 제1, 2, 3설치홀(21, 23, 33)에 삽입 설치되어 회전흡착작동부(50)의 전,후,좌,우 이동에도 걸림이 발생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회전안착대(57)의 회전작동은 회전모터(51)의 모터축(미도시)과 결합되는 통상의 밸트풀리(미도시)를 통해 용이하게 이룰 수 있을 것이며, 상기 흡착홀(55)은 공지된 통상의 진공흡기장치(미도시)와 연결 설치하는 것을 통해 웨이퍼의 진공흡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넷째, 감지작동부(70)는 도 1, 2 또는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설치대(10)의 중판(15)에 구성된 백라이트(14)와 대응되는 위치의 상판(19)에 고정설치되어 회전흡착작동부(50)의 구동에 따라 회전작동하는 웨이퍼의 노치를 탐색하는 구성으로, 상기 백라이트와 마찬가지로 120°의 등 간격으로 이격되어 3개로 설치되며, 설치구(71)와, 수평이동체(73)와, 고정브라켓(74)과, 승강이동체(75)와, 설치브라켓(77)과, 카메라(79)로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감지작동부(70)의 구성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설치구(71)는 감지작동부(70)의 고정설치를 위해 상기 설치대(10)의 상판(19) 하면에 고정결합되는 구성이며, 수평이동체(73)는 상기 설치구(71)의 하부에 결합설치되어 카메라(79)의 위치를 전,후,좌,우로 미세이동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여기서, 상기 수평이동체(73)는 일측에 제1돌기(73a)를 형성한 제1수평플레이트(73b)와, 상기 제1수평플레이트(73b)의 상부에 전후방향의 리니어 베어링으로 결합되며 설치구(71)의 하면에 고정결합되는 제2수평플레이트(73c)와, 상기 제1플레이트(73b)의 하부에 좌우방향의 리니어 베어링으로 결합되며 일측이 제2돌기(73d)를 형성한 제3수평플레이트(73e)와, 상기 제2수평플레이트(73c)에 결합설치되어 제1돌기(73a)를 이동시키는 제1수평마이크로미터(73f)와, 상기 제1수평이동플레이트(73b)에 결합설치되어 제2돌기(73d)를 이동시키는 제2수평마이크로미터(73g)와, 상기 제1, 3수평플레이트(73b, 73e)를 각각 고정시키는 통상의 제1, 2고정부재(73h, 73i)를 통해 용이하게 이룰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고정브라켓(74)은 승강이동체(75)의 고정설치를 위해 상기 수평이동체(73)의 하부에 결합고정되는 구성이며, 승강이동체(75)는 상기 고정브라켓(74)의 일면에 결합설치되어 카메라의 설치높이를 조절하는 구성이다.
여기서, 상기 승강이동체(75)는 고정브라켓(74)에 결합설치되는 제1승강플레이트(75a)와, 상기 제1승강플레이트(75a)의 일면에 상하방향의 리니어 베어링으로 결합된 상태로 타측이 설치브라켓(77)에 결합설치되며 승강돌기(75b)를 형성한 제2승강플레이트(75c)와, 상기 제1승강플레이트(75a)에 결합설치되어 승강돌기(75b)를 이동시키는 승강마이크로미터(75d)와, 제2승강플레이트(75c)를 고정시키는 통상의 제3고정부재(75e)를 통해 용이하게 이룰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설치브라켓(77)은 카메라(79)의 고정설치를 위해 상기 승강이동체(75)에 결합고정되는 구성으로, 카메라(79)를 설치하기 위한 설치홀(76)을 형성하고 있으며, 카메라(79)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설치홀(76)에 삽입된 상태로 통상의 체결구(78)를 통해 설치브라켓(77)에 고정설치됨으로써 웨이퍼에 형성된 노치를 탐색하는 구성이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른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로봇을 통해 웨이퍼가 회전흡착작동부(50)의 회전안착대(57)에 이송배치되면, 진공흡기장치의 작동을 통해 상기 회전안착대(57)에 구성된 흡착홀(55)에서 웨이퍼를 흡착하는 진공이 형성되어 웨이퍼의 흡착고정이 이루어지고, 이후, 회전모터(51)가 구동되어 회전안착대(57)의 회전작동이 이루어진다.
이와 동시에, 설치대(10)의 상판에 결합되어 120°의 등 간격으로 이격설치되는 감지작동부(70)의 카메라(79)가 작동되어 상기 회전안착대(57)에 흡착고정된 상태로 회전작동하는 웨이퍼의 노치 탐색이 이루어지는데, 이때, 중판(15)에는 상기 카메라(79)와 대응되는 위치에 백라이트(14)가 각각 형성되어 웨이퍼에 조명을 비추므로, 회전안착대(57)의 빠른 회전시에도 카메라(79)의 광범위한 탐색이 정확히 이루어지며, 120°의 등 간격으로 이격되어 3개로 설치되는 카메라(79)로 인해 회전안착대의 120°회전만으로도 웨이퍼의 노치 탐색을 완벽하게 이룰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직경이 300mm이 웨이퍼 뿐만 아니라, 직경이 450mm로 상향 조정된 웨이퍼의 정렬 배치도 신속하고 정확하게 이룰 수 있으며, 배치에 따른 오차가 줄어들게 되어 제품의 하자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좌우이동작동부(20)에 구성된 제1모터(25)의 작동 및 전후이동작동부(30)에 구성된 제2모터(35)의 작동으로 회전흡착작동부(50)의 전,후,좌,우 이동배치를 용이하게 이룰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감지작동부(70)에 구성된 수평이동체(73)와 승강이동체(75)를 통해 카메라의 위치보정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으므로, 유지보수 및 설정 보정을 간편히 이룰 수 있는 장점도 있다.
B : 베어링
10 : 설치대
11 : 하판 12 : 지지대 13 ; 관통홀 14 : 백라이트 15 : 중판 16 : 개구홀 17 : 지지판 19 : 상판
20 : 좌우이동작동부 21 : 제1설치홀 22 : 고정설치판 22a : 이동홀 22b : 지지봉 23 : 제2설치홀 24 : 좌우이동판 25 : 제1모터 25a : 제1축 26 : 제1고정구 27 : 제1너트부 28 : 좌우이동브라켓 29 : 좌우이동부
30 : 전후이동작동부
33 : 제3설치홀 34 : 전후이동판 35 : 제2모터 35a : 제2축 36 : 제2고정구 37 : 제2너트부 38 : 전후이동브라켓 39 : 전후이동부
40 : 수평이동작동부
50 : 회전흡착작동부 51 : 회전모터 55 : 흡착홀
70 : 감지작동부
71 : 설치구 73 : 수평이동체 74 : 고정브라켓 75 : 승강이동체 76 : 설치홀 77 : 설치브라켓 78 : 체결구 79 : 카메라
100 : 웨이퍼 프리얼라이너

Claims (3)

  1. 로봇을 통해 이송배치된 웨이퍼를 고정한 후, 웨이퍼를 회전시킴으로써 웨이퍼에 형성된 노치를 탐색하여 위치 정렬을 이루는 웨이퍼 프리얼라이너에 있어서,
    하판(11)과, 상기 하판(11)의 모서리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지지대(12)와, 관통홀(13)을 형성하여 지지대(12)의 상부에 고정설치되며 관통홀(13)을 중심으로 120°의 등 간격으로 설치되는 백라이트(14)를 구성한 중판(15)과, 측면에 개구홀(16)을 형성한 지지판(17)을 통해 중판(15)의 상측으로 이격설치되는 상판(19)으로 이루어진 설치대(10);
    상기 설치대(10)의 하판(11)에 고정설치되는 좌우이동작동부(20)와, 전후이동작동부(30)로 이루어진 수평이동작동부(40);
    상기 수평이동작동부(40)에 고정설치되어 중판(15)의 관통홀(13)을 통해 상부로 돌출되되, 회전모터(51)의 구동에 따라 회전작동하며 웨이퍼의 흡착고정을 위한 흡착홀(55)이 형성된 회전안착대(57)를 구성한 회전흡착작동부(50);
    상기 설치대(10)의 중판(15)에 구성된 백라이트(14)와 대응되는 위치의 상판(19)에 고정설치되어 회전흡착작동부(50)의 구동에 따라 회전작동하는 웨이퍼의 노치를 탐색하는 3개의 감지작동부(70);로 구성되되,
    상기 좌우이동작동부(20)는,
    제1설치홀(21)을 형성하여 하판(11)에 고정설치되며, 이동홀(22a)을 좌우방향으로 형성한 고정설치판(22);
    상기 고정설치판(22)에 좌우방향으로 베어링(B)결합되며, 제1설치홀(21)에 대응되는 제2설치홀(23)을 형성한 좌우이동판(24);
    상기 고정설치판(22)의 하면에 고정설치되는 제1모터(25)와, 상기 제1모터(25)의 제1축(25a) 끝단에 베어링결합되며 고정설치판(22)의 하면에 고정설치되는 제1고정구(26)와, 상기 제1축(25a)에 나사결합되는 제1너트부(27)와, 상기 제1너트부(27)에 고정결합된 상태로 고정설치판(22)의 이동홀(22a)을 통해 좌우이동판(24)의 하면에 고정결합되는 좌우이동브라켓(28)으로 이루어진 좌우이동부(29);로 구성되고,
    상기 전후이동작동부(30)는,
    상기 좌우이동작동부(20)의 좌우이동판(24)에 전후방향으로 베어링(B)결합되며, 제2설치홀(23)에 대응되는 제3설치홀(33)을 형성한 전후이동판(34);
    상기 좌우이동판(24)의 상면에 고정설치되는 제2모터(35)와, 상기 제2모터(35)의 제2축(35a) 끝단에 베어링결합되며 좌우이동판(24)의 상면에 고정설치되는 제2고정구(36)와, 상기 제2축(35a)에 나사결합되는 제2너트부(37)와, 상기 제2너트부(37)에 고정결합된 상태로 전후이동판(34)에 고정결합되는 전후이동브라켓(38)으로 이루어진 전후이동부(39);로 구성된 것에 특징이 있는 웨이퍼 프리얼라이너.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작동부(70)는,
    설치대(10)의 상판(19)에 고정결합되는 설치구(71);
    상기 설치구(71)의 하부에 결합설치되는 수평이동체(73);
    상기 수평이동체(73)의 하부에 결합고정되는 고정브라켓(74);
    상기 고정브라켓(74)의 일면에 결합설치되는 승강이동체(75);
    상기 승강이동체(75)에 결합고정되며, 설치홀(76)을 형성한 설치브라켓(77);
    체결구(78)를 통해 상기 설치브라켓(77)의 설치홀(76)에 결합설치되는 카메라(79);로 각각 구성된 것에 특징이 있는 웨이퍼 프리얼라이너.
KR1020130056916A 2013-05-21 2013-05-21 웨이퍼 프리얼라이너 KR1012932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6916A KR101293273B1 (ko) 2013-05-21 2013-05-21 웨이퍼 프리얼라이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6916A KR101293273B1 (ko) 2013-05-21 2013-05-21 웨이퍼 프리얼라이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93273B1 true KR101293273B1 (ko) 2013-08-09

Family

ID=492198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6916A KR101293273B1 (ko) 2013-05-21 2013-05-21 웨이퍼 프리얼라이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327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38334A1 (ko) * 2016-08-26 2018-03-01 한화테크윈주식회사 틸팅 스테이지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3079U (ko) * 1997-06-30 1999-01-25 문정환 스테퍼의 프리얼라인 장치
KR19990011087A (ko) * 1997-07-16 1999-02-18 임채환 웨이퍼 플랫 확인 조명장치
JP2002280287A (ja) * 2001-03-19 2002-09-27 Nikon Corp 位置検出方法、位置検出装置、露光方法、露光装置、及びデバイス製造方法
JP2011108923A (ja) 2009-11-19 2011-06-02 Ulvac Japan Ltd 真空処理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3079U (ko) * 1997-06-30 1999-01-25 문정환 스테퍼의 프리얼라인 장치
KR19990011087A (ko) * 1997-07-16 1999-02-18 임채환 웨이퍼 플랫 확인 조명장치
JP2002280287A (ja) * 2001-03-19 2002-09-27 Nikon Corp 位置検出方法、位置検出装置、露光方法、露光装置、及びデバイス製造方法
JP2011108923A (ja) 2009-11-19 2011-06-02 Ulvac Japan Ltd 真空処理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38334A1 (ko) * 2016-08-26 2018-03-01 한화테크윈주식회사 틸팅 스테이지 시스템
CN109643684A (zh) * 2016-08-26 2019-04-16 韩华泰科株式会社 倾斜承载台系统
CN109643684B (zh) * 2016-08-26 2022-11-22 韩华精密机械株式会社 倾斜承载台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396246B (zh) 被檢查基板的對準裝置
KR101454823B1 (ko) 외관 검사 장치
KR100976604B1 (ko) 웨이퍼 에지영역 검사장치, 이를 이용하는 웨이퍼 에지영역검사방법 및 웨이퍼 정렬방법
CN110050336A (zh) 用于制造半导体装置的晶片边缘提升销设计
US20090016857A1 (en) Substrate-replacing apparatus, substrate-processing apparatus, and substrate-inspecting apparatus
TW201343023A (zh) 用於對準電子電路板之對準裝置及方法,及用於處理基板之設備
JP2012094770A (ja) 検査装置および基板の位置決め方法
TW201527776A (zh) 檢查裝置及檢查方法
JP4234190B1 (ja) 基板測定用ステージ
KR20140137873A (ko) 글라스와 마스크의 정렬장치
CN113835019B (zh) 一种芯片自动对位装置及对位方法
KR101293273B1 (ko) 웨이퍼 프리얼라이너
JP5344598B2 (ja) 基板保持装置、欠陥検査装置及び欠陥修正装置
JPS6085536A (ja) ウエハ位置決め装置
KR100803758B1 (ko) 반도체 웨이퍼 검사장치
KR101730039B1 (ko) 평판디스플레이 패널 에지 검사장치 및 방법
TWI685048B (zh) 一種低接觸晶圓翻轉系統
KR101543875B1 (ko) 기판 이송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기판 검사 장치
JP2011124298A (ja) プリアライナ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搬送システム
TWI493644B (zh) Built-in adjustment unit type loading room
KR20150135920A (ko) 웨이퍼 검사 장치
JP6057853B2 (ja) 切削装置
CN220438196U (zh) 晶圆检测装置
KR102657517B1 (ko) 기판 표면 검사 장치 및 방법
KR102634944B1 (ko) 기판 표면 검사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