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2799B1 - 철도 차량 부품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철도 차량 부품 관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2799B1
KR101292799B1 KR1020110122612A KR20110122612A KR101292799B1 KR 101292799 B1 KR101292799 B1 KR 101292799B1 KR 1020110122612 A KR1020110122612 A KR 1020110122612A KR 20110122612 A KR20110122612 A KR 20110122612A KR 101292799 B1 KR101292799 B1 KR 1012927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container
management system
parts
warehouse mana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26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56948A (ko
Inventor
최양식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공사 filed Critical 한국철도공사
Priority to KR10201101226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2799B1/ko
Publication of KR201300569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69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27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27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30Comput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도 차량 부품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부품정보를 포함하는 컨테이너 태그(110)가 구비되는 부품 컨테이너(100); 상기 부품 컨테이너(100)가 보관되는 래크(400); 상기 부품 컨테이너(100)를 운반하며, 운반되는 상기 부품 컨테이너(100)의 상기 컨테이너 태그(110)로부터 상기 부품정보를 전송하는 제1 RF송수신부(210)가 구비되는 컨베이어 벨트(200); 상기 컨베이어 벨트(200)로부터 운반되는 상기 부품 컨테이너(100)를 상기 래크(400)로 이송하여 보관하거나 상기 래크(400)에 보관된 상기 부품 컨테이너(100)를 상기 컨베이어 벨트(200)에 이송하며, 상기 컨테이너 태그(110)를 읽어 들여 상기 부품정보를 전송하는 제2 RF송수신부(310)가 구비되는 스태커 크레인(300); 상기 제1 RF송수신부(210) 또는 상기 제2 RF송수신부(310)로부터 상기 부품정보를 전송받는 RF시스템(500); 상기 RF시스템(500)로부터 상기 부품정보를 전송받아 모니터링하고, 외부 요청시에 상기 부품정보를 갱신하여 갱신된 부품정보를 상기 컨테이너 태그(110)에 전송하는 창고관리시스템(600);을 포함하는 철도 차량 부품 관리 시스템(1000)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입출고시에 부품 컨테이너(100)로부터 RF 통신으로 부품정보를 전송받아 입출고 현황을 파악하여 재고 관리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철도 차량 부품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Railway maintenance item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
본 발명은 철도 차량 부품을 자동화 설비로 관리하기 위한 철도 차량 부품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철도 차량 검수를 위한 부품은 많은 인력이 투입되어 수작업으로 전사적 자원관리시스템(ERP, Enterprise Resource Planning)을 이용하여 관리를 하거나 일부 자동화 시스템을 도입하여 창고관리시스템(WMS, Warehouse Management System)를 이용하고 있다.
한편, 한국 공개 특허 2009-0090005호 ("항공기 생산 및 유지보수를 위한 현장 자재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이하 선행기술 1)에서는 항공기 생산 및 유지보수를 위해 현장 및 자재창고에 불출된 자재에 대한 모든 정보를 실시간으로 정확하게 제공함으로써 자재의 과잉 소모를 방지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현재 자동화 창고 운영 시스템은 자동차 완성품 및 부품 제조 공장, 전자제품 조립 공장 등 많은 제조 현장에서 사용하고 있는 시스템이나 철도 차량 정비소의 검수시설에서와 같이 철도 차량 검수를 위한 부품 관리에 최적화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제조회사의 일반적인 자동화 창고는 대부분 규격화된 다량의 비교적 적은 품목을 관리하는데 비해서, 철도 차량 검수 시설의 부품 관리 창고는 소량의 다품목을 관리한다. 게다가 철도 차량 검수 시설의 부품은 대부분이 금속성 재질이며, 형태가 대체로 상이하기 때문에 철도 차량 검수 업무를 위한 부품 관리 시스템은 업무 특성에 부합되게 개선할 필요성이 있다.
나아가 개선된 철도 차량 부품 관리 시스템을 이용하여 적절한 시기에 주기적으로 부품이 공급될 수 있도록 재고 계획을 수립할 필요성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 0090005호 (공개일자 2009.08.25)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RF 통신을 이용하여 입출고시에 부품 컨테이너(100)로부터 부품정보를 전송받아 입출고 현황 모니터링과 부품 재고를 관리하는 철도 차량 부품 관리 시스템(1000) 및 방법을 전송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철도 차량 부품 관리 시스템(1000)은
부품정보를 포함하는 컨테이너 태그(110)가 구비되는 부품 컨테이너(100); 상기 부품 컨테이너(100)가 보관되는 래크(400); 상기 부품 컨테이너(100)를 운반하며, 운반되는 상기 부품 컨테이너(100)의 상기 컨테이너 태그(110)로부터 상기 부품정보를 전송하는 제1 RF송수신부(210)가 구비되는 컨베이어 벨트(200); 상기 컨베이어 벨트(200)로부터 운반되는 상기 부품 컨테이너(100)를 상기 래크(400)로 이송하여 보관하거나 상기 래크(400)에 보관된 상기 부품 컨테이너(100)를 상기 컨베이어 벨트(200)에 이송하며, 상기 컨테이너 태그(110)를 읽어 들여 상기 부품정보를 전송하는 제2 RF송수신부(310)가 구비되는 스태커 크레인(300); 상기 제1 RF송수신부(210) 또는 상기 제2 RF송수신부(310)로부터 상기 부품정보를 전송받는 RF시스템(500); 상기 RF시스템(500)로부터 상기 부품정보를 전송받아 모니터링하고, 외부 요청 시에 상기 부품정보를 갱신하여 갱신된 부품정보를 상기 컨테이너 태그(110)에 전송하는 창고관리시스템(60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도 차량 부품 관리 방법은
(A) 창고관리시스템(600)으로부터 입고되는 부품의 부품정보를 초기 입력받는 단계; (B) 입력받은 부품정보를 부품 컨테이너(100)에 구비된 컨테이너 태그(110)에 전송하는 단계; (C) 외부 요청에 따라 부품 컨테이너(100)가 컨베이어 벨트(200)로 이송되는 단계; (D) 스태커 크레인(300)으로부터 상기 (C) 단계에서 이송된 부품 컨테이너(100)를 래크(400)로 이송하는 단계; (E) 상기 창고관리시스템(600)이 상기 래크(400)에 이송된 부품 컨테이너(100)의 입고 완료 명령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철도 차량 부품 관리 방법은
(a) 창고관리시스템(600)으로부터 출고되는 부품에 해당하는 부품 컨테이너(100)에 부품정보 요청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b) 해당 부품 컨테이너(100)에 설치된 컨테이너 태그(110)로부터 부품정보를 무선 전송받아 외부에 표시하는 단계; (c) 표시된 부품정보를 외부 요청에 의해 갱신하는 단계; (d) 갱신된 부품정보를 상기 컨테이너 태그(110)에 무선 전송하는 단계; (e) 상기 창고관리시스템(600)이 출고완료 명령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철도 차량 부품 관리 시스템(1000) 및 방법에 따르면, 입출고시에 부품 컨테이너(100)로부터 RF통신으로 부품정보를 전송받아 입출고 현황을 파악하여 재고 관리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설정되는 기준재고부품정보를 현재 부품정보와 비교를 통해 적정재고 수량인지를 판단하여 모니터에 표시함으로써, 재고 계획을 효과적으로 수립할 수 있어 부품 재고 관리가 용이하며, 나아가 부품 재고 관리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철도 차량 부품 관리 시스템(1000)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컨베이어 벨트(200) 작업의 모니터링 화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래크(400)의 모니터링 화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스태커 크레인(300) 작업의 모니터링 화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창고관리시스템(600)을 통하여 전송되는 적정 부품 재고 현황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창고관리시스템(600)을 통하여 전송되는 부품 이미지 정보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7은 도 1의 창고관리시스템(600)을 통하여 전송되는 창고별 부품 재고 현황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8은 도 1의 창고관리시스템(600)을 통하여 전송되는 재고 실사 현황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9는 도 1의 창고관리시스템(600)을 통하여 입고 명령을 위한 풋버튼 장치(610)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철도 차량 부품 관리 방법의 부품 입고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철도 차량 부품 관리 방법의 부품 출고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철도 차량 부품 관리 방법의 재고 실사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철도 차량 부품 관리 시스템(1000)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철도 차량 부품 관리 시스템(10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품 컨테이너(100), 컨베이어 벨트(200), 스태커 크레인(300), 래크(400), RF시스템(500), 창고관리시스템(600), 유지보수지원시스템(7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품 컨테이너(100)는 다수 개로 마련되어 각 상기 부품 컨테이너(100)별로 부품을 보관하며, 보관되는 해당 부품에 대한 부품정보가 저장된 컨테이너 태그(110)가 부착된다.
상기 부품 컨테이너(100)는 철도 차량 부품 종류에 따라 적합하도록 팔레트(Palette) 형태나 버켓(Bucket)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부품정보에는 부품고유코드, 부품명칭정보, 부품이미지정보, 재고수량정보, 래크 셀 위치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부품이미지정보에 대한 예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부품 컨테이너(100)에 부착되는 상기 컨테이너 태그(110)는 철도 차량 부품이 대부분 금속성 재질로 구성됨에 따라 RF 통신을 방해할 수 있어, 플라스틱과 같은 비전도체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부품 컨테이너(100)에 부착 시에 소정 거리 이격하여 RF 통신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다. 소정 거리는 5mm에서 10mm 정도로 이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컨베이어 벨트(200)는 입고 시 또는 출고 시에 상기 부품 컨테이너(100)를 운반한다. 또한, 제1 RF송수신부(210)가 적소에 마련되어 운반되는 상기 부품 컨테이너(100)에 부착된 상기 컨테이너 태그(110)를 식별하여 부품정보를 읽어 들인다. 읽어 들인 부품정보는 창고관리시스템(600)에 전송된다. 상기 창고관리시스템(600)의 모니터를 통해서 나타나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컨베이어 벨트(200)의 구간을 설정 입력하여 해당 구간의 이송중인 상기 부품 컨테이너(100)로부터 부품정보를 전송받을 수 있다.
상기 스태커 크레인(300)은 입고 시에 상기 컨베이어 벨트(200)로부터 운반되는 상기 부품 컨테이너(100)를 상기 래크(400)로 이송하며, 출고 시에는 상기 래크(400)에 보관된 상기 부품 컨테이너(100)를 상기 컨베이어 벨트(200)로 이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스태커 크레인(300)에는 제2 RF송수신부(310)가 구비되어 상기 부품 컨테이너(100) 이송 시에 상기 부품 컨테이너(100)에 부착된 상기 컨테이너 태그(110)를 식별하여 부품정보를 읽어 들이고, 해당 부품정보는 상기 RF시스템(500)을 통하여 상기 창고관리시스템(6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RF송수신부(310)는 상기 컨테이너 태그(110) 식별이 용이하도록 상기 스태커 크레인(300)의 헤드부(미도시)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입고 또는 출고를 위해 상기 부품 컨테이너(100)를 이송중인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태커 크레인(300)별로 해당 크레인 정보를 전송받은 상기 창고관리시스템(600)의 모니터를 통하여 나타 낼 수 있다. 상기 크레인 정보는 예컨대 크레인 고유번호, 작업 순번, 작업 실행 유무, 현재위치, 에러여부 등이 표시될 수 있으며, 작업자가 이를 통해 상기 스태커 크레인(300)의 작업 상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스태커 크레인(300)은, 상기 래크(400)의 각 셀 별로 보관된 상기 부품 컨테이너(100) 중 요청된 상기 부품 컨테이너(100)의 해당 상기 컨테이너 태그(110)를 헤드부의 상기 제2 RF송수신부(310)가 식별함으로써, 상기 부품 컨테이너(100)별로 부품 재고 수량을 지속적으로 검수(실사)작업을 할 수 있다. 즉, 상기 컨테이너 태그(110)에 포함된 부품 정보는 재고수량정보가 저장되는데, 작업자의 관리 부족이나 시스템 상의 오류 등의 문제로 인해 실제 부품 재고 수량과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이때,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스태커 크레인(300)을 이용하여 현재 재고수량정보가 정확한지 판단하도록 상기 래크(400)의 각 셀 별로 이동하면서 해당 셀에 위치한 상기 부품 컨테이너(100)의 상기 컨테이너 태그(110)를 읽어 들여 현재 읽어 들인 재고수량정보(도 8의 실사수량에 해당)를 상기 창고관리시스템(600)에 전송하고, 이전에 상기 창고관리시스템(600)에 기전송되어 저장된 구 재고수량정보(도 8의 재고수량에 해당)와 함께 외부 모니터에 나타 낼 수 있다.
상기 래크(400)는 상기 스태커 크레인(300)으로부터 이송되는 다수의 상기 부품 컨테이너(100)를 각 셀 단위로 보관한다. 또한, 상기 래크(400)의 각 셀에는 부품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제3 RF송수신부(410)가 구비된다. 상기 래크(4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품의 재고 현황을 파악할 수 있도록 상기 창고관리시스템(600)의 부품정보 전송요청을 받아 상기 래크(400)의 각 셀 별로 해당 부품정보를 상기 RF시스템(500)을 통하여 상기 창고관리시스템(600)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RF시스템(500)(Radio Frequency System)은 상기 래크(400), 상기 스태커 크레인(300), 상기 컨베이어 벨트(200)와 RF 통신에 의해 부품정보를 전송받아 상기 창고관리시스템(600)에 전송한다.
상기 창고관리시스템(600)은 상기 유지보수지원시스템(700)으로부터 창고의 철도 차량 부품을 관리하기 위한 정보를 전송받으며, 또한 상기 RF시스템(500)에 연결되어, 상기 RF시스템(500)을 통하여 수신된 부품정보를 전송받아 모니터를 통해 나타 낼 수 있다. 또한, 모니터를 통하여 입고되는 부품의 부품정보를 초기 입력하거나 부품의 출고 시에 부품정보를 갱신하여 갱신된 부품정보를 상기 컨테이너 태그(11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갱신된 부품정보를 상기 컨테이너 태그(110)에 전송 후 입고 명령을 위해 상기 창고관리시스템(600)의 모니터 하부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리자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누름 버튼 방식의 풋버튼 장치(610)가 마련되어 모니터링과 동시에 신속하게 부품 입고 명령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베이어 벨트(200)의 상기 제1 RF송수신부(210), 상기 스태커 크레인(300)의 상기 제2 RF송수신부(310), 상기 래크(400)의 상기 제3 RF송수신부(410)로부터 부품정보를 전송받은 상기 창고관리시스템(600)에서 부품 수요를 예측하여 부품의 조기 부족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부품 재고 공급 계획을 수립할 필요가 있는데, 이를 위해 상기 창고관리시스템(600)에 기준재고수량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할 수 있다.
즉, 상기 창고관리시스템(600)은 미리 입력 설정된 기준재고수량정보와 상기 컨테이너 태그(110)의 부품정보에 포함된 재고수량정보의 수치(현재 재고수량값)를 비교 연산하여 기준재고수량정보의 수치(기준재고수량값)에 미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판단 결과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창고관리시스템(600)의 모니터에 나타 낼 수 있다. 이때, 판단 결과에 따라 현재 남은 재고 수량에 따라 적색(재고수량 부족 상태), 황색(재고수량 적음 상태), 청색(재고수량 많음 상태)등으로 구별하여 나타냄으로써, 외부 관리자가 직관적으로 재고 수량 확인이 용이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창고관리시스템(600)은 복수 개의 창고가 구비됨에 따라 각 창고별로 상기 창고관리시스템(600)이 마련될 수 있으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고별 부품들의 부품정보를 전송받아 재고 현황을 통합하여 모니터에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유지보수지원시스템(700)은 전사적 자원관리시스템(ERP, Enterprise Resource Planning)으로서, 기업의 인력, 생산재, 물류, 회계 등의 모든 자원을 전산 관리하는 시스템으로 상기 창고관리시스템(600)과 연계하여 필요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다음, 도 10을 참고하여 철도 차량 부품 관리 방법의 부품 입고 과정을 설명하면,
먼저, 입고 시에 입고되는 부품에 대한 부품정보를 상기 창고관리시스템(600)을 통하여 초기 입력한다(S100). 입력된 부품정보는 상기 컨테이너 태그(110)에 전송되고(S102), 상기 컨테이너 태그(110)는 해당 부품이 보관되는 상기 부품 컨테이너(100)에 소정 거리 이격하여 설치된다(S104).
상기 컨테이너 태그(110) 설치 후 누름 버튼 방식의 상기 풋버튼 장치(610)를 이용해 입고 명령을 받아 상기 컨베이어 벨트(200)에서 상기 부품 컨테이너(100)를 이송한다(S106, S108).
이때, 이송중인 상기 부품 컨테이너(100)가 위치한 상기 컨베이어 벨트(200)의 구간에 따라 상기 창고관리시스템(600)에서 부품정보 요청 여부를 판단하고(S110), 부품정보를 요청 시에 해당 구간에 위치한 상기 부품 컨테이너(100)로부터 부품정보를 전송받는다. 전송받은 부품정보는 상기 창고관리시스템(600)의 모니터를 통해 표시되어 모니터링 할 수 있다(S112).
상기 컨베이어 벨트(200)에서 상기 래크(400)에 보관하기 위해 상기 스태커 크레인(300)이 이송 완료된 상기 부품 컨테이너(100)를 상기 래크(400)로 이송작업을 수행한다(S114).
상기 스태커 크레인(300)의 작업 도중 상기 창고관리시스템(600)으로부터 상기 스태커 크레인(300)의 현재 작업 상태에 대한 정보인 상기 스태커 크레인(300)정보 요청 여부를 판단하고(S116), 크레인 정보 요청시 현재 이송 작업 중인 상기 스태커 크레인(300)의 크레인 정보가 상기 창고관리시스템(600)으로 무선 전송되고, 모니터를 통해 표시된다(S118).
이후 상기 스태커 크레인(300)이 명령받은 상기 래크(400)의 해당 셀에 이송중인 상기 부품 컨테이너(100)를 보관 완료 작업을 수행한다(S120).
상기 창고관리시스템(600)은 외부로부터 입고 완료 명령을 받아 수행한다(S122).
도 11을 참고하여 부품 출고 과정을 설명하면,
차량 유지 보수 작업을 위해 해당 철도 차량 부품을 출고 시에 상기 창고관리시스템(600)으로부터 해당 부품의 부품정보 요청 여부를 판단하고(S200, S202), 해당 부품정보 요청 시에 해당 상기 래크(400)의 셀에 위치한 상기 부품 컨테이너(100)로부터 부품정보를 전송받아 모니터에 표시한다(S204).
표시된 부품정보를 외부 요청에 의해 출고되는 부품의 재고수량 변경 등의 갱신 작업을 수행하며(S206), 갱신된 부품정보는 해당 상기 부품 컨테이너(100)에 상기 컨테이너 태그(110)에 무선 전송되어 저장된다(S208).
상기 창고관리시스템(600)은 외부 요청에 출고 명령 완료를 수행한다(S210).
부품의 실사 과정을 도 12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입출고시에 상기 창고관리시스템(600)을 통하여 관리자가 부품정보를 전송받아 모니터링하고, 전송받은 부품정보는 상기 창고관리시스템(600)에 일괄 저장될 수 있다(S300). 저장된 부품정보는 시스템 오류나 관리자 부주의 등으로 인해 실제 보관중인 부품 재고 수량에 일치하지 않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창고관리시스템(600)은 외부 관리자의 요청에 의해 상기 스태커 크레인(300)을 이용하여 실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실사 작업을 위해 외부 관리자의 요청에 의해 상기 스태커 크레인(300)이 상기 래크(400)의 해당 셀로 이동된다(S302).
이동된 상기 스태커 크레인(300)은 상기 래크(400) 해당 셀의 상기 부품 컨테이너(100)(컨테이너 태그(110))로부터 부품정보를 판독한다(S304).
판독된 부품정보는 상기 창고관리시스템(600)으로 무선 전송되고, 모니터에 기저장된 부품정보와 함께 표시될 수 있다(S306, S308).
이를 통해 외부 관리자는 실사 작업을 수행하고(S310), 실제 재고 수량 차이를 확인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0 : 철도 차량 부품 관리 시스템
100 : 부품 컨테이너 110 : 컨테이너 태그
200 : 컨베이어 벨트 210 : 제1 RF송수신부
300 : 스태커 크레인 310 : 제2 RF송수신부
400 : 래크 410 : 제3 RF송수신부
500 : RF 시스템
600 : 창고관리시스템 610 : 풋버튼 장치
700 : 유지보수지원시스템

Claims (9)

  1. 부품정보를 포함하는 컨테이너 태그(110)가 구비되는 부품 컨테이너(100);
    상기 부품 컨테이너(100)가 보관되는 래크(400);
    상기 부품 컨테이너(100)를 운반하며, 운반되는 상기 부품 컨테이너(100)의 상기 컨테이너 태그(110)로부터 상기 부품정보를 전송하는 제1 RF송수신부(210)가 구비되는 컨베이어 벨트(200);
    상기 컨베이어 벨트(200)로부터 운반되는 상기 부품 컨테이너(100)를 상기 래크(400)로 이송하여 보관하거나 상기 래크(400)에 보관된 상기 부품 컨테이너(100)를 상기 컨베이어 벨트(200)에 이송하며, 상기 컨테이너 태그(110)를 읽어 들여 상기 부품정보를 전송하는 제2 RF송수신부(310)가 구비되는 스태커 크레인(300);
    상기 제1 RF송수신부(210) 또는 상기 제2 RF송수신부(310)로부터 상기 부품정보를 전송받는 RF시스템(500);
    상기 RF시스템(500)로부터 상기 부품정보를 전송받아 모니터링하고, 외부 요청시에 상기 부품정보를 갱신하여 갱신된 부품정보를 상기 컨테이너 태그(110)에 전송하는 창고관리시스템(600);
    을 포함하되,
    상기 부품정보는 부품고유코드, 부품명칭정보, 부품이미지정보, 재고수량정보, 래크(400) 셀 위치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창고관리시스템(600)은 외부 요청시에 미리 설정 입력된 기준재고수량정보를 상기 재고수량정보와 비교 판단하여, 판단 결과에 따라 기준재고수량 미달 여부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차량 부품 관리 시스템(100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래크(400)는
    다수의 상기 부품 컨테이너(100)를 각각 보관하도록 셀 단위로 구분하여 구비되며, 각 셀 별로 부품정보를 전송받도록 제3 RF송수신부(41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차량 부품 관리 시스템(1000).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철도 차량 부품 관리 시스템(1000)은 상기 창고관리시스템(600)과 연결되어, 입고시에 상기 컨베이어 벨트(200)를 통하여 상기 부품 컨테이너(100)가 이송되도록 입고 명령을 입력하는 풋버튼 장치(61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차량 부품 관리 시스템(1000).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 태그(110)는 비전도체로 구성되며, 상기 부품 컨테이너(100)로부터 5mm에서 10mm 범위 내에서 이격하여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차량 부품 관리 시스템(1000).
  7. (A) 창고관리시스템이 입고되는 부품의 부품정보를 초기 입력받는 단계;
    (B) 상기 창고관리시스템이 입력받은 상기 부품정보를 부품 컨테이너에 구비된 컨테이너 태그로 전송하는 단계;
    (C) 외부 요청에 따라 상기 부품 컨테이너가 컨베이어 벨트로 운반되는 단계;
    (D) 상기 창고관리시스템이 상기 컨베이어 벨트로 운반된 상기 부품 컨테이너를 스태커 크레인를 이용하여 래크로 이송하는 단계;
    (E) 상기 창고관리시스템이 상기 래크로 이송된 상기 부품 컨테이너의 입고 완료 명령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부품정보는 부품고유코드, 부품명칭정보, 부품이미지정보, 재고수량정보, 래크 셀 위치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창고관리시스템은 외부 요청시에 미리 설정 입력된 기준재고수량정보를 상기 재고수량정보와 비교 판단하여, 판단 결과에 따라 기준재고수량 미달 여부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차량 부품 관리 방법.
  8. (a) 창고관리시스템이 출고되는 부품에 해당하는 부품 컨테이너에 부품정보 요청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b) 상기 창고관리시스템이 해당하는 상기 부품 컨테이너에 구비된 컨테이너 태그로부터 부품정보를 무선 전송받아 외부에 표시하는 단계;
    (c) 상기 창고관리시스템이 표시된 부품정보를 외부 요청에 의해 갱신하는 단계;
    (d) 상기 창고관리시스템이 갱신된 부품정보를 상기 컨테이너 태그에 무선 전송하는 단계;
    (e) 상기 창고관리시스템이 출고완료 명령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부품정보는 부품고유코드, 부품명칭정보, 부품이미지정보, 재고수량정보, 래크 셀 위치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창고관리시스템은 외부 요청시에 미리 설정 입력된 기준재고수량정보를 상기 재고수량정보와 비교 판단하여, 판단 결과에 따라 기준재고수량 미달 여부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차량 부품 관리 방법.
  9. 삭제
KR1020110122612A 2011-11-23 2011-11-23 철도 차량 부품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2927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2612A KR101292799B1 (ko) 2011-11-23 2011-11-23 철도 차량 부품 관리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2612A KR101292799B1 (ko) 2011-11-23 2011-11-23 철도 차량 부품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6948A KR20130056948A (ko) 2013-05-31
KR101292799B1 true KR101292799B1 (ko) 2013-08-02

Family

ID=486647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2612A KR101292799B1 (ko) 2011-11-23 2011-11-23 철도 차량 부품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279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1550B1 (ko) 2021-08-18 2021-12-01 화인산업 주식회사 금속판재용 물류창고 보관 및 반출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85549A (ko) * 2004-12-02 2007-08-27 무라타 기카이 가부시키가이샤 보관 시스템
KR20080019788A (ko) * 2006-08-29 2008-03-05 (주)디유위더스 유에스엔 및 알에프아이디 기술을 이용한 철도 차량과부속물의 이력관리 및 상태감시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85549A (ko) * 2004-12-02 2007-08-27 무라타 기카이 가부시키가이샤 보관 시스템
KR20080019788A (ko) * 2006-08-29 2008-03-05 (주)디유위더스 유에스엔 및 알에프아이디 기술을 이용한 철도 차량과부속물의 이력관리 및 상태감시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1550B1 (ko) 2021-08-18 2021-12-01 화인산업 주식회사 금속판재용 물류창고 보관 및 반출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6948A (ko) 2013-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34992B2 (en) Cross-dock management system, method and apparatus
US7423534B2 (en) Electronic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containers and products
US7770792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managing stock transportation
CN101246563B (zh) 平面仓库的立体化运作方法
CN111091322A (zh) 一种基于rfid的智能仓储平台的管理方法
US20060224459A1 (en) Incoming/outgoing goods management system and incoming/outgoing goods management method
KR20090001569A (ko) 건설물류관리 자동화 시스템
CN108140164B (zh) 出入库管理系统、出入库管理方法以及程序
CN114707919A (zh) 基于rfid的物资检储配全链条可视化系统
JP5034585B2 (ja) 出庫管理プログラム、出庫管理装置および出庫管理方法
US10289882B2 (en) Cargo handling system
CN103455899B (zh) 货物运输监管方法
CN111429067A (zh) 一种智能物流管理系统
KR20140070817A (ko) 선박 의장 공정 및 자재 관리를 위한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KR20100062848A (ko) 물류 운영 방법 및 그 시스템
JPH10194411A (ja) 商品在庫管理装置
KR101292799B1 (ko) 철도 차량 부품 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8841564B1 (en) Weigh scaled vehicle calibration systems and methods
WO2017068950A1 (ja) 移動経路管理システム、移動経路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4862310A (zh) 物料配送方法、装置、自动运输设备及存储介质
KR20220074313A (ko) Ai 기반 지능형 물류 통합 관리 시스템
JP6149145B1 (ja) 資材搬送システム
CN110910078A (zh) 货车集货控制方法、系统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4596022B (zh) 一种基于aoa射频定位技术的智慧仓储管理方法及系统
CN218402163U (zh) 一种用于计量器具送检的仓储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