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2679B1 - 밀봉된 유골함 및 그의 밀봉 방법 - Google Patents

밀봉된 유골함 및 그의 밀봉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2679B1
KR101292679B1 KR1020110044014A KR20110044014A KR101292679B1 KR 101292679 B1 KR101292679 B1 KR 101292679B1 KR 1020110044014 A KR1020110044014 A KR 1020110044014A KR 20110044014 A KR20110044014 A KR 20110044014A KR 101292679 B1 KR101292679 B1 KR 1012926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container
inner space
ashes
container
capill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40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26314A (ko
Inventor
윤재일
Original Assignee
윤재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재일 filed Critical 윤재일
Priority to KR10201100440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2679B1/ko
Publication of KR201201263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63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26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26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7/00Coffins; Funeral wrappings; Funeral urns
    • A61G17/08Ur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7/00Coffins; Funeral wrappings; Funeral urns
    • A61G17/02Coffin closures; Packings therefor
    • A61G17/036Packings and sea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밀봉된 유골함 및 그의 밀봉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골함 내부에 저장된 유골이 변질되지 않고 최적의 상태로 장기간 보존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내부가 완전 밀봉되는 동시에 내부 공간을 안정화시킬 목적으로, 유골을 수용할 수 있도록 내부공간(14)이 형성되고 상단이 개방된 하부용기(11)와, 상기 하부용기의 상단을 덮어서 내부공간을 폐쇄 가능하게 마련된 상부용기(12)를 포함하되, 상기 하부용기와 상부용기는 금속재이고, 상기 하부용기와 상부용기 사이의 이음부(13)를 용접하여 내부공간을 밀봉시키며, 내부공간(14)은 진공 또는 불활성가스가 충진된 것이 특징인 밀봉된 유골함 및 그의 밀봉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밀봉된 유골함 및 그의 밀봉 방법{SEALED CINERARY URN AND SEAL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밀봉된 유골함 및 그의 밀봉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골함 내부에 저장된 유골이 변질되지 않고 최적의 상태로 장기간 보존될 수 있도록 한 밀봉된 유골함 및 그의 밀봉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통적으로 우리나라의 장묘 문화는 화장(火葬)보다는 매장(埋葬)을 선호하는 유교문화 속해 있으나 매장 문화는 국토의 면적이 좁은 우리나라 실정에는 적합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즉, 우리나라는 국토 면적에 대한 인구밀도가 높기 때문에 비교적 많은 공간이 소요되는 매장 문화는 묘지 부족현상을 심화시켜서 사회적인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최근 국가에서는 매장보다 화장을 권고하고 있으며, 점차 화장 문화가 확산됨에 따라 유골을 저장한 유골함을 장기간 보존할 수 있도록 하는 여러가지 방안이 마련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유골함은 석재나 목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만들기 때문에, 내부에 습기가 차서 유골이 부패하기 쉽고, 부패된 유골에서 악취가 발생하게 되며, 벌레가 생겨 장기간에 걸친 보관이 불가능한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유골함 내부 공간을 진공 상태로 유지시키는 방안이 마련되었고, 이러한 방식은 본체와 덮개 사이의 이음부는 에폭시와 같은 접착제를 이용하여 밀봉하고, 유약이나 코팅 등으로 처리된 본체의 덮개에 통공을 형성하고, 이 통공에 세라믹 재질의 마개를 만들어 완전 밀폐시킨 다음, 마개에 흡입바늘을 끼워 본체 내부의 공기를 완전히 제거함으로써, 진공 상태를 유지하여 유골의 변질 및 부식을 방지하고 벌레가 생기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본체와 덮개 사이의 이음부를 에폭시와 같은 접착제로 밀봉하게 되면, 장시간 경과시 에폭시 수지의 물성 변형으로 접착력이 상실되어 반영구적으로 기밀성을 유지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본체와 덮개 사이에 고무나 실리콘 재질의 패킹으로 밀봉한 경우에도 고무나 실리콘 재질의 특성상 장시간 경과시 탄성력이 저하되어 반영구적으로 기밀성을 유지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상기의 종래 유골함이 가지는 폐단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기밀성을 장기간 지속할 수 있도록 완벽하게 밀봉된 유골함 및 그의 밀봉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유골함 내부를 안정화시켜서 유골을 반영구적으로 보존할 수 있음과 동시에 유골함 외부 디자인을 사용자가 적의 선택하여서 각종 문양이나 모양을 용이하게 가공할 수 있도록 하는 밀봉된 유골함 및 그의 밀봉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밀봉된 유골함은, 유골을 수용할 수 있도록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상단이 개방된 하부용기와, 상기 하부용기의 상단을 덮어서 내부공간을 폐쇄 가능하게 마련된 상부용기를 포함하되, 상기 하부용기와 상부용기는 금속재이고, 상기 하부용기와 상부용기 사이의 이음부를 용접하여 내부공간을 밀봉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금속재는 동(銅), 동합금, 스테인리스(stainless)강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로서, 유골함의 내부공간인 진공상태이거나 불활성가스가 충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불활성가스는 아르곤, 헬륨, 네온, 크립톤, 라돈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유골함의 밀봉 방법은, 내부공간에 유골이 수용된 금속재의 하부용기 상에 금속재의 상부용기를 덮어 내부공간을 폐쇄하는 단계와, 상기 하부용기와 상부용기 사이의 이음부를 용접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한 실시로서, 상기 유골함 내부공간에 불활성가스를 충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이를 위한 불활성가스 충진 단계는, 상부용기에 연결된 흡기관을 개방하여 불활성가스를 내부공간에 주입하는 공정과, 상부용기에 연결된 배기관을 개방하여 내부공간의 기체를 외부로 방출하는 공정과, 상기 흡기관과 배기관을 각각 용접하여 밀봉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로서, 상기 유골함 내부공간을 진공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진공 형성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진공 형성 단계는, 상부용기에 연결된 배기관을 개방하여 내부공간의 기체를 외부로 방출하는 공정과, 상기 배기관을 용접하여 밀봉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금속재 하부용기와 상부용기 사이의 이음부를 용접 처리함으로써 내부 공간을 외기로부터 반영구적으로 밀봉시킬 수 있고, 내부를 불활성가스를 충진하거나 진공 상태를 유지하므로 유골이 부패하지 않게 된다.
또한 스테인리스나 동합금 등의 금속재의 특성상 레이저 표면 마킹 공법이나 에칭 등의 기술을 이용하여 표면 가공이 가능하므로 고인의 유지 혹은 고인의 친족이 희망하는 영정이나 약력 등 각종 문양을 유골함 외부 표면에 마킹(음각 혹은 양각)하거나 에칭하면 반영구적으로 보존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골함 및 그의 밀봉 과정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골함 및 그의 밀봉 완료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유골함 및 그의 밀봉 과정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유골함 및 그의 밀봉 완료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유골함의 밀봉 과정을 보인 부분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첨부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실시예이므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으며, 또한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기술이거나 용이하게 도출되는 정도의 기술에 대해서는 그에 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골함 및 그의 밀봉 과정을 보인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골함 및 그의 밀봉 완료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유골함(10)은 하부용기(11)와 상부용기(12)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용기(11)는 유골을 수용할 수 있도록 상단이 개방된 용기 형태로 되며, 상기 하부용기(12)는 상기 상부용기(11)의 상단을 덮어서 유골이 수용된 내부공간(14)을 폐쇄하도록 마련된다.
이때 상기 하부용기(11)와 상부용기(12)는 금속재료를 이용하여 제조하고, 이 금속재료는 부식이 되지 않는 재료인 것이 바람직하며, 제한적인 것은 아니지만 금속재료의 예로서 동(銅), 동합금, 스테인리스(stainless)강을 들 수 있다.
내부가 밀봉된 유골함을 형성하기 위해, 먼저 내부공간(14)에 유골이 수용된 금속재의 하부용기(11) 상에 금속재의 상부용기(12)를 덮어 내부공간(14)을 폐쇄한 다음, 상기 하부용기(11)와 상부용기(12) 사이의 이음부(13)를 용접 처리한다.
이와 같이 금속재인 하부용기(11)와 상부용기(12) 사이의 이음부(13) 전체를 용접 처리하면 내부공간(14)이 외부공간에서 완전히 밀봉된다.
유골의 부패를 방지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상기 내부공간은 진공 상태이거나 불활성가스를 충진할 수 있다.
불활성(不活性)가스는 비활성기체(非活性氣體)라고도 하며, 화학 계열로 주기율표의 18족 원소를 말한다. 최외각 전자가 모두 차 있는 형태로 전자 배치가 안정화되어 있기 때문에 다른 물질과 화학적인 반응을 하지 않는 특성이 있으며, 아르곤, 헬륨, 네온, 크립톤, 라돈과 같은 가스가 있다.
내부공간(14)에 불활성가스가 충진되면 불활성가스의 특성에 의해 유골이나 금속재 내벽과 화학적인 반응을 하지 않고 안정화 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유골이 부패하지 않는다.
상기 유골함 내부공간(14)에 불활성가스를 충진하는 방법은, 도 1과 같이 상부용기(12)에 연결된 흡기관(20)의 흡기밸브(21)를 개방하여 불활성가스를 내부공간(14)에 주입하고, 상부용기(12)에 연결된 배기관(30)의 배기밸브(31)를 개방하여 내부공간의 기체를 외부로 배출한다.
이때 상기 흡기관(20)은 불활성가스가 충진된 가스통과 연결되어 있고, 상기 배기관(30)은 진공펌프 등과 같이 흡입장치와 연결된다.
이와 같이 흡기관(20)을 통해서 불활성가스를 주입하는 동시에 배기관(30)으로 내부공간(14)의 기체를 방출하는 과정을 일정시간 지속하면 내부공간(14)에는 불활성가스가 충진되며, 이후 도 2와 같이 흡기관(20)과 배기관(30)의 각 밸브(21)(31)를 닫은 상태에서 흡기관(20) 단부를 용접(22)하는 동시에 배기관(30) 단부에 용접(32)을 실시한다.
미설명부호 '40'은 고인의 영정이나 약력 또는 고인의 유지나 문양, 기호 등을 표현한 '기록층'으로서, 상기 기록층(40)은 유골함(10)의 하부용기(11) 또는 상부용기(12)의 표면에 각인되거나 별도의 기록물이 부착된 것을 포함한다.
각인은, 금속재 종류에 따라 표면에 레이저 마킹(marking)이나 에칭(etching) 기술을 이용하여 유골함의 표면에 가공한 것으로, 이 경우 기록층(40)이 금속표면 자체에서 음각 혹은 양각으로 각인되어 영구적으로 보존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유골함 및 그의 밀봉 과정을 보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유골함 및 그의 밀봉 완료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상기 제1실시예와 같이 밀봉된 유골함의 내부공간(14)이 진공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따라서 제1실시예에서 설명된 유골함의 구성과 그 밀봉 방법에 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하부용기(11)와 상부용기(12) 사이의 이음부(13)를 용접하여 내부공간(14)이 밀봉된 상태에서 내부공간(14)이 진공 상태인 경우에도 유골의 부패를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유골함 내부공간(14)의 진공 형성 방법은, 도 3과 같이 상부용기(12)에 연결된 배기관(30)의 배기밸브(31)를 개방하여 내부공간의 기체를 외부로 방출함으로써 내부공간(14)의 진공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배기관(30)은 진공펌프와 같이 공기를 흡입할 수 있는 장치와 연결되어 있다.
만약, 상부용기(12)에 흡기관(20)이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는 흡기관(20)의 단부를 용접(22)하여 흡기관(20)을 폐쇄시킨 상태에서 위의 진공 형성 과정을 실시한다.
이후, 내부공간(14)이 진공 환경이 조성되면 도 4와 같이 상기 배기관(30)의 배기밸브(31)를 닫은 상태에서 배기관(30)의 단부를 용접(32)하여 내부공간(14)을 밀봉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유골함의 밀봉 과정을 보인 부분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흡기관(20)은 직경이 가느다란 형태의 모세관(毛細管)(20')일 수 있다. 모세관(20')은 상부용기(12)의 홈 부분에 형성될 수 있고, 털과 같이 가느다란 관 형태이므로 모관(毛管)이라고도 불린다.
흡기관(20)과 배기관(30)에 각각 모세관(20')을 적용한 후, 유골함 내부를 진공 상태 혹은 불활성가스를 주입한 다음, 도 5의 두번째 공정과 같이 모세관(20')의 중간 부분을 열로 압착(25)하여 밀봉하거나 끝 부분을 용접(22)하여 밀봉한다.
그리고 세번째 공정과 같이 모세관(20')을 열로 가열하여 구부려서 상부용기(12)의 홈에 안치시킨 후, 은납이나 유리를 녹인 용융물을 상부용기(12)의 홈에 부어서 모세관(20')을 홈에 매설(28)하면 흡기관이나 배기관이 유골함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완전 밀봉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비록 본 발명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본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10: 유골함
11: 하부용기 12: 상부용기
13: 이음부 14: 내부공간
20: 흡기관 20': 모세관
21: 흡기밸브 22: 용접
25: 압착 28: 매설
30: 배기관
31: 배기밸브 32: 용접
40: 기록층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내부공간에 유골이 수용된 금속재의 하부용기 상에 금속재의 상부용기를 덮어 내부공간을 폐쇄하는 단계와, 상기 하부용기와 상부용기 사이의 이음부를 용접하는 단계와, 상기 유골함 내부공간에 불활성가스를 충진하는 불활성가스 충진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불활성가스 충진 단계는, 상부용기에 연결된 흡기관을 개방하여 불활성가스를 내부공간에 주입하는 공정과, 상부용기에 연결된 배기관을 개방하여 내부공간의 기체를 외부로 방출하는 공정과, 상기 흡기관과 배기관을 각각 용접하여 밀봉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흡기관 및 배기관은 모세관이며, 상기 모세관은 상부용기의 홈에 형성되되,
    모세관의 중간 부분을 열로 압착하여 밀봉하거나 끝 부분을 용접하여 밀봉한 후, 상기 모세관을 열로 가열하여 구부려서 상부용기의 홈에 안치시킨 다음 용융물을 상부용기의 홈에 부어서 상기 모세관을 홈에 매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골함의 밀봉 방법.
  10. 내부공간에 유골이 수용된 금속재의 하부용기 상에 금속재의 상부용기를 덮어 내부공간을 폐쇄하는 단계와, 상기 하부용기와 상부용기 사이의 이음부를 용접하는 단계와, 상기 유골함 내부공간이 진공 상태가 되도록 하는 진공 형성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진공 형성 단계는, 상부용기에 연결된 배기관을 개방하여 내부공간의 기체를 외부로 방출하는 공정과, 상기 배기관을 용접하여 밀봉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배기관은 모세관이며, 상기 모세관은 상부용기의 홈에 형성되되,
    모세관의 중간 부분을 열로 압착하여 밀봉하거나 끝 부분을 용접하여 밀봉한 후, 상기 모세관을 열로 가열하여 구부려서 상부용기의 홈에 안치시킨 다음 용융물을 상부용기의 홈에 부어서 상기 모세관을 홈에 매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골함의 밀봉 방법.
KR1020110044014A 2011-05-11 2011-05-11 밀봉된 유골함 및 그의 밀봉 방법 KR1012926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4014A KR101292679B1 (ko) 2011-05-11 2011-05-11 밀봉된 유골함 및 그의 밀봉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4014A KR101292679B1 (ko) 2011-05-11 2011-05-11 밀봉된 유골함 및 그의 밀봉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6314A KR20120126314A (ko) 2012-11-21
KR101292679B1 true KR101292679B1 (ko) 2013-08-12

Family

ID=475116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4014A KR101292679B1 (ko) 2011-05-11 2011-05-11 밀봉된 유골함 및 그의 밀봉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267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9409B1 (ko) 2013-06-10 2014-09-11 염종두 유골함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355970B1 (ko) 2021-10-06 2022-02-08 (주)에스에이치산업 유골함
KR102355971B1 (ko) 2021-10-06 2022-02-08 (주)에스에이치산업 유골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73493A (ja) * 1994-10-28 1996-07-09 Komichi Shimamura 半永久保存用遺骨容器
KR200281058Y1 (ko) * 2002-02-05 2002-07-13 박태열 진공 납골함 및 이의 제조장치
KR200368479Y1 (ko) * 2004-09-06 2004-11-20 김우재 영구 보존형 수정재 납골함
KR20110001257U (ko) * 2009-07-29 2011-02-09 (주)두손모아 납골함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73493A (ja) * 1994-10-28 1996-07-09 Komichi Shimamura 半永久保存用遺骨容器
KR200281058Y1 (ko) * 2002-02-05 2002-07-13 박태열 진공 납골함 및 이의 제조장치
KR200368479Y1 (ko) * 2004-09-06 2004-11-20 김우재 영구 보존형 수정재 납골함
KR20110001257U (ko) * 2009-07-29 2011-02-09 (주)두손모아 납골함 어셈블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9409B1 (ko) 2013-06-10 2014-09-11 염종두 유골함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355970B1 (ko) 2021-10-06 2022-02-08 (주)에스에이치산업 유골함
KR102355971B1 (ko) 2021-10-06 2022-02-08 (주)에스에이치산업 유골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6314A (ko) 2012-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2679B1 (ko) 밀봉된 유골함 및 그의 밀봉 방법
KR920009830B1 (ko) 금속제 진공 2중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
US8575566B2 (en) Specimen box for electron microscope
DE60323872D1 (de) Rezirkulierendes target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radionuklids
ATE524813T1 (de) System und verfahren zur lagerung von hochradioaktivem abfall
NO20071640L (no) Fremgangsmate for styring av et pulvers oksygeninnhold
CN201473455U (zh) 放置在真空玻璃中的包封吸气剂
KR101292680B1 (ko) 밀봉된 유골함 및 그의 밀봉 방법
KR101255949B1 (ko) 유골부패방지용 진공 구조 납골함
KR101292681B1 (ko) 밀봉된 유골함 및 그의 밀봉 방법
US11278961B2 (en) Containment for hot isostatic pressing and vacuum degassing apparatus
CN102484238A (zh) 用于在能量存储装置的壁中制造充填孔的过程
ES2264996T3 (es) Procedimiento para la elaboracion por fundicion de un piston con un anillo soporte enfriado.
TWI252831B (en) Container having non-pressed sealing end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KR20100117466A (ko) 스테인레스 스틸의 이중통체에 의한 단열 밀봉구조를 갖는 납골함
KR200231795Y1 (ko) 진공 납골함
KR101439409B1 (ko) 유골함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0403946Y1 (ko) 납골함
KR102319742B1 (ko) 진공납골함
KR200256395Y1 (ko) 유골함
KR20030015665A (ko) 납골함 밀봉방법
US20240065342A1 (en) Purging the Inside of a Device with Nitrogen
KR100800265B1 (ko) 납골함
KR100661500B1 (ko) 멸균진공 납골함
TWI312906B (en) Coolant injection process and fixture for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