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2356B1 - 자동차 공기조화용 송풍유니트 - Google Patents

자동차 공기조화용 송풍유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2356B1
KR101292356B1 KR1020070062427A KR20070062427A KR101292356B1 KR 101292356 B1 KR101292356 B1 KR 101292356B1 KR 1020070062427 A KR1020070062427 A KR 1020070062427A KR 20070062427 A KR20070062427 A KR 20070062427A KR 101292356 B1 KR101292356 B1 KR 1012923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motor housing
duct
air
blo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24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113666A (ko
Inventor
한규익
김영근
이남준
윤길상
Original Assignee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624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2356B1/ko
Publication of KR200801136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136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23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23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457Ventilation unit, e.g. combined with a radiator
    • B60H1/00471The ventilator being of the radial type, i.e. with radial expulsion of the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 B60H1/04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from cooling liquid of the plant
    • B60H1/08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from cooling liquid of the plant from other radiator than main radiator
    • B60H1/1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from cooling liquid of the plant from other radiator than main radiator the other radiator being situated in a duct capable of being connected to atmosphere outside vehicle
    • B60H1/1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from cooling liquid of the plant from other radiator than main radiator the other radiator being situated in a duct capable of being connected to atmosphere outside vehicle using an air blow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60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 F04D29/62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of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624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of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626Mounting or removal of f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2001/00078Assembling, manufacturing or layout details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공기조화용 송풍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케이스(50)의 개구부(54)에 모터하우징(80)이 회전에 의해 결합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개구부(54)와 모터하우징(80)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체결편(56,82)을 다수개 둔다. 상기 케이스(50)에는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의 일부를 도입하는 도입덕트부(60)가 형성되고, 상기 모터하우징(80)에는 상기 도입덕트부(60)와 연통되는 연결덕트부(88)가 형성된다. 상기 연결덕트부(88)는 상기 모터하우징(80)에 모터커버(84)가 장착됨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도입덕트부(60)와 연결덕트부(88)의 결합은 제1 및 제2 슬라이드삽입리브(90,91)가 제1 및 제2 삽입채널(64,65)에 삽입됨에 의해 이루어지고, 이들의 결합된 상태의 잠금은 걸이턱(74)을 구비하는 걸이부(70)와 걸림턱(97)을 구비하는 걸림부(94)의 결합에 의해 이루어진다.
공기조화, 송풍유니트, 걸이부, 걸림부

Description

자동차 공기조화용 송풍유니트{Blower unit for air-conditioning of vehicle}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자동차 공기조화용 송풍유니트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송풍유니트의 요부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공기조화기용 송풍유니트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의 요부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에서 도입덕트부와 연결덕트부가 체결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6 및 도 7은 각각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도입덕트부와 연결덕트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 실시예에서 걸이부와 걸림부가 서로 결합되는 것을 보인 동작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0: 케이스 52: 송풍공간
54: 개구부 56: 체결편
58: 출구덕트 60: 도입덕트부
62: 연통로 64: 제1삽입채널
64': 제1스톱단 65: 제2삽입채널
65': 제2스톱단 66: 단부스톱단
70: 걸이부 72: 걸이몸체
73: 연장리브 74: 걸이턱
76: 안착채널 80: 모터하우징
82: 체결편 84: 모터커버
86: 모터수납부 88: 연결덕트부
90: 제1슬라이드삽입리브 90': 제1안착단
91: 제2슬라이드삽입리브 91': 제2안착단
92: 단부안착단 94: 걸림부
96: 걸림몸체 96': 안착공간
97: 걸림턱 98: 손잡이
본 발명은 자동차의 공기조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에서 공기조화를 위해 공기를 강제로 유동시키는 송풍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용 공기조화기에서는 공조케이스 내에 송풍유니트, 증발기유니트 및 히터유니트 등이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송풍유니트는 공조케이스 내부 및 공기조화를 위한 공간 등의 사이에서 공기가 원활하게 유동할 수 있도록 공기유동력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 및 도 2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송풍유니트의 구성이 개시되어 있는데, 이는 본 출원인이 2002년 5월10일자에 출원번호 10-2002-25906로 출원한 송풍기 모우터의 냉각장치이다.
이에 따르면, 송풍유니트의 외관을 케이스(10)가 형성한다. 상기 케이스(10)는 상부케이스(10a)와 하부케이스(10b)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케이스(10a)와 하부케이스(10b)가 서로 결합함에 의해 그 내부에 송풍공간(12)이 형성된다. 상기 케이스(10)의 일측, 즉 상기 상부케이스(10a)에는 상기 송풍공간(12)의 내부로 공기가 들어가는 입구(13)가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10)의 타측에는 송풍공간(12)에서 가압된 공기가 빠져나가는 출구(13')가 형성된다.
상기 케이스(10)의 송풍공간(12)에서 출구(13')로 나가는 유로 일측에는 공기도입공(14)이 형성되고, 상기 공기도입공(14)과 연통되게 상기 케이스(10)에는 공기통로(16)가 형성된다. 상기 공기통로(16)는 상기 송풍공간(12)의 공기 일부를 상기 공기도입공(14)을 통해 전달받게 된다.
상기 케이스(10)의 입구(13)에는 흡입케이스(18)가 설치된다. 상기 흡입케이스(18)에는 내기도입구(19)와 외기도입구(19')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내기도입구(19)와 외기도입구(19')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해 도어(20)가 구비된다. 상기 도어(20)에 의해 상기 내기도입구(19)와 외기도입구(19')가 개폐되어 송풍공간(12) 의 내부로 자동차 내부에 있던 공기인 내기와 자동차 외부에 있던 공기인 외기가 각각 유입된다.
상기 하부케이스(10b)를 관통하여서는 모터하우징(22)이 설치된다. 상기 모터하우징(22)은 상기 하부케이스(10b)에 스크류와 같은 체결구에 의해 체결된다. 상기 모터하우징(22)에는 그 중앙이 외면으로는 돌출되고 내면으로는 요입되게 모터수납부(23)가 형성된다. 상기 모터수납부(23)의 일측에는 연통공(23')이 형성된다. 상기 연통공(23')은 모터수납부(23)의 내부와 아래에서 설명될 덕트(28)의 연통로(30)를 서로 연통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연통공(23')의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걸이채널(24)이 형성된다. 상기 모터하우징(22)의 가장자리 일측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덕트(28)의 장착을 위한 걸이홈(24')이 형성된다.
상기 모터하우징(22)의 모터수납부(23)에는 송풍모터(25)가 설치된다. 상기 송풍모터(25)는 그 일부가 모터수납부(23)에 위치되고 나머지 부분은 상기 송풍공간(12)에 위치된다. 상기 송풍모터(25)의 회전축에는 송풍팬(26)이 설치된다. 상기 송풍팬(26)은 상기 송풍공간(12)에 설치되어 송풍공간(12)으로 흡입된 공기를 가압하여 출구(13')로 배출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공기통로(16)와 상기 모터수납부(23)를 서로 연통시키기 위해 덕트(28)가 구비된다. 상기 덕트(28)는 상기 모터하우징(22)에 장착되어 그 내부의 연통로(30)가 상기 공기통로(16)와 모터수납부(23)를 서로 연통시키게 된다. 상기 덕트(28)의 일단에는 상기 연통공(23')의 양단에 길게 형성된 걸이채널(24)에 삽입되어 걸어지는 걸이리브(32)가 구비되고, 타단에는 상기 걸이홈(24')에 걸어지는 걸이후크(33)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종래 기술에서 상기 송풍모터(25)의 방열을 수행하는 것을 간단하게 설명한다. 상기 송풍모터(25)가 구동되면 상기 송풍팬(26)이 회전하면서 공기를 상기 송풍공간(12)의 내부로 흡입한다. 즉, 상기 흡입케이스(18)의 내기도입구(19)나 외기도입구(19')를 통해 흡입된 공기가 상기 송풍공간(12)으로 들어가고, 송풍팬(26)에 의해 가압된 후 출구(13')를 통해 공기조화기의 다른 부분으로 전달된다.
이때, 상기 출구(13')로 유동되는 공기중 일부는 상기 공기도입공(14)을 통해 상기 공기통로(16)로 전달되고, 상기 공기통로(16)로 전달된 공기는 상기 덕트(28)의 연통로(30)를 통해 상기 모터수납부(23)로 전달되어, 상기 송풍모터(25)의 열을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송풍유니트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송풍유니트는 대쉬패널의 배면에 해당되는 엔진룸에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송풍모터(25)의 유지보수를 위해 상기 송풍유니트에 작업자가 접근하려면 조수석의 글로브박스 하부를 통하여야 하고, 이 경우 작업자는 상체를 상기 글로브박스 하부에 위치시켜야 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스크류 등을 해제하여 모터하우징(22)을 케이스(10)로 부터 분리하는 것은 매우 번거로운 일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모터하우징(22)을 상기 케이스(10)에 스크류를 사용하지 않고 결합하는 방식이 안출되었다. 일명 트위스트록(twist lock)방식으로 모터하우징(22)과 케이스(10)의 대응되는 위치에 상대 회전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는 구조를 두는 것이다. 하지만, 이와 같은 트위스트록 방식의 경우에는 상기 모터하우징(22)과 케이스(10)가 결합된 상태가 자동차의 주행에 따른 진동 등에 의해 임의로 해제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송풍유니트의 케이스에 송풍모터를 트위스트록 방식으로 장착함에 있어서 송풍모터의 고정상태가 견고하면서도 쉽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별도의 체결구를 사용하지 않고 모터하우징과 케이스를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내부에 송풍공간이 형성되고 일면에 외부로 개구되게 형성된 개구부의 내주 가장자리를 따라 다수개의 체결편이 형성되는 케이스와, 상기 개구부의 체결편과 결합되는 체결편을 가장자리를 따라 다수개 구비하고 상기 송풍공간에서 공기를 가압하는 송풍팬을 구동하는 송풍모터가 설치되며 상기 케이스에 대해 상대회전함에 의한 상기 체결편들의 결합에 의해 케이스에 결합되는 모터하우징과,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돌출되어 형성되어 상기 송풍공간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일부를 도입시켜 유동시키는 도입덕트부와, 상기 모터하우징에 구비되고 상기 모터하우징이 상기 케이스에 대해 상대 회전함에 의해 상기 도입덕트부와 결합되어 상기 송풍모터로 공기 를 전달하는 연결덕트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공기조화용 송풍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도입덕트부의 출구와 상기 연결덕트부의 입구에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삽입채널과 슬라이드삽입리브가 형성되어 상기 도입덕트부와 연결덕트부가 서로 결합되고, 상기 케이스와 상기 모터하우징의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는 상기 케이스와 모터하우징 사이의 결합상태를 체결시키는 걸이부와 걸림부가 구비된다.
상기 도입덕트부와 연결덕트부의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는 상기 삽입채널과 슬라이드삽입리브의 결합위치를 안내하고 도입덕트부와 연결덕트부 사이의 누설을 방지하는 스톱단과 안착단이 각각 다수곳에 형성된다.
상기 걸이부가 상기 걸림부에 결합되고 분리되는 방향은 상기 케이스와 모터하우징의 결합과 분리방향과 동일하다.
상기 걸이부는 걸이몸체와, 상기 걸이몸체의 선단에서 수직방향으로 걸이몸체의 길이 전체에 걸쳐 연장되고 선단에 곡면이 구비되는 연장리브와, 상기 연장리브의 선단에 상기 걸이몸체의 돌출방향 반대쪽으로 연장되는 걸이턱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걸림부는 내부에 상기 걸이부가 안착되는 안착공간이 형성되고 일측 외면으로 소정 폭만큼 길이방향으로 개구되어 형성되는 걸림몸체와, 상기 안착공간 중심으로 연장되게 걸림몸체에서 돌출되어 형성되어 상기 걸이턱이 걸어지는 걸림턱과, 상기 걸림턱의 연장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상기 걸림몸체에 형성되는 손잡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걸이부는 상기 도입덕트부의 출구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는 상 기 연결덕트부 입구 일측에 형성된다.
상기 모터하우징에는 모터커버가 장착되어 적어도 상기 연결덕트부를 형성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송풍유니트의 케이스에 송풍모터를 트위스트록방식으로 장착함에 있어서 각각 걸이턱과 걸림턱을 구비한 걸이부와 걸림부를 사용하므로 송풍모터의 체결상태가 견고하게 되고, 걸림부의 손잡이를 사용하여 걸이턱과 걸림턱의 결합이 해제되도록 하였으므로 송풍모터를 케이스에서 보다 쉽게 분리할 수 있게 되어 제품의 동작신뢰성이 높아지고 유지보수성이 개선된다. 그리고, 케이스와 송풍모터를 별도의 체결구를 사용하지 않고 단지 상대 회전에 의해 결합하므로 결합공정을 자동화할 수 있게 되어 조립생산성을 크게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공기조화용 송풍유니트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공기조화기용 송풍유니트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발명 실시예의 요부 구성이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5에는 본 발명 실시예에서 도입덕트부와 연결덕트부가 체결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6 및 도 7에는 각각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도입덕트부와 연결덕트부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케이스(50)는 송풍유니트의 골격과 외관을 형성한다. 상기 케이스(50)는 일반적으로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도면부호 부여 하지 않음)로 구성된다. 상기 케이스(50)의 내부에는 송풍공간(52)이 형성된다. 상기 송풍공간(52)에는 송풍모터와 송풍팬(도시되지 않음)이 위치된다.
상기 케이스(50)에는 원형상으로 개구부(54)가 형성되는데, 상기 개구부(54)는 아래에서 설명될 모터하우징(80)이 장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송풍공간(52)과 외부를 연통시킨다. 상기 개구부(54)의 내주면을 둘러서는 다수개의 체결편(56)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편(56)은 대략 사각 기둥형상인데, 반드시 그러할 필요는 없다. 상기 체결편(56)은 아래에서 설명될 모터하우징(80)의 체결편(82)과 결합되는 부분이다.
도 3에서 보듯이, 상기 케이스(50)의 일측으로는 출구덕트(58)가 길게 연장된다. 상기 출구덕트(58)는 상기 케이스(50)의 송풍공간(52)에서 가압된 공기가 케이스(50)의 외부로 빠져나가는 부분이다. 상기 케이스(50)에서 입구측(59)은 상기 송풍공간(52)으로 공기가 흡입되는 부분이고, 출구측(59')은 상기 송풍공간(52)에서 가압된 공기가 케이스(50)에서 빠져 나가는 부분이다.
상기 케이스(50)의 일측에는 대략 상기 개구부(54)의 중심을 향해 개구되도록 도입덕트부(60)가 형성된다. 상기 도입덕트부(60)는 상기 케이스(50)에서 상기 출구덕트(58)를 향해 유동되는 공기중의 일부를 도입시켜 송풍모터의 냉각을 위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도입덕트부(60)는 상기 케이스(50)의 일측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내부에 공기가 유동되는 연통로(62)를 구비한다.
도 6에 따르면, 상기 연통로(62)의 출구에 해당되는 상기 도입덕트부(60)에는 제1삽입채널(64)과 제2삽입채널(65)이 각각 요입되게 형성된다. 상기 삽입채 널(64,65)은 본 실시예에서는 서로 약간 어긋난 상태로 마주보게 형성된다. 하지만, 상기 삽입채널(64,65)은 서로 정확하게 마주보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참고로, 상기 삽입채널(64,65)의 궤적은 상기 개구부(54)의 중심과 동심인 반지름을 가지는 원주로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는 아래에서 설명될 모터하우징(80)이 케이스(50)의 개구부(54)에 삽입되어 일정 각도 회전함에 의해 케이스(50)에 결합되는데, 이와 같은 과정에서 상기 삽입채널(64,65)에 아래에서 설명될 슬라이드삽입리브(90,91)가 동시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1삽입채널(64)과 제2삽입채널(65) 각각의 입구에 해당되는 부분에는 제1스톱단(64')과 제2스톱단(65')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삽입채널(64,65)의 끝부분을 서로 연결하도록 단부스톱단(66)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스톱단(64',65',66)은 아래에서 설명될 연결덕트부(88)가 도입덕트부(60)와 결합되는 위치를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도입덕트부(60)의 출구 일측에는 걸이부(70)가 형성된다. 상기 걸이부(70)는 대략 상기 제1 및 제2 스톱단(64',65')의 일단부를 연결하는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걸이부(70)의 걸이몸체(72)는 상기 도입덕트부(60)의 외면에 직육면체 형상으로 일방향으로 길게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걸이몸체(72)의 선단에는 걸이몸체(72)의 길이 거의 전체에 걸쳐 수직방향으로 연장리브(73)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연장리브(73)의 선단에는 걸이턱(74)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연장리브(73)의 선단중 상기 걸이턱(74)이 형성된 반대쪽은 곡면으로 된다. 이는 아래에서 설명될 걸림부(94)의 걸림턱(97)을 안내하기 위함이 다.
상기 걸이턱(74)의 선단은 상기 도입덕트부(60)의 외면을 향하도록 된다. 즉, 상기 걸이턱(74)의 선단은 상기 걸이몸체(72)가 도입덕트부(60)에서 연장된 방향과 반대방향을 향해 연장된다. 물론, 상기 걸이턱(74)도 상기 걸이몸체(72)의 길이방향 전체에 걸쳐 형성된다. 상기 연장리브(73)에는 상기 걸이턱(74)과 상기 걸이몸체(72)에 의해 안착채널(76)이 형성된다.
모터하우징(80)은 송풍모터(도시되지 않음)가 장착되는 부분이다. 상기 모터하우징(80)은 대략 상기 케이스(50)의 개구부(54)와 대응되는 원판형상으로 된다. 상기 모터하우징(80)의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다수개의 체결편(82)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편(82)은 상기 케이스(50)의 체결편(56)과 서로 결합되어 모터하우징(80)이 상기 케이스(50)에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모터하우징(80)에는 모터커버(84)가 구비된다. 상기 모터커버(84)는 본 실시예에서 상기 모터하우징(80)과 결합하여 송풍모터가 수납되는 공간을 형성함과 동시에 아래에서 설명될 연결덕트부(88)도 형성한다. 하지만, 상기 모터커버(84)가 반드시 송풍모터가 안착되는 공간까지 형성할 필요는 없다. 즉, 적어도 아래에서 설명될 연결덕트부(88)를 형성할 수만 있어도 된다.
상기 모터하우징(80)과 상기 모터커버(84)에 의해 상기 모터하우징(80)의 중심에는 송풍모터가 안착되는 모터수납부(86)가 형성된다. 즉, 도 3을 기준으로 모터하우징(80)의 중심을 포함하는 영역에 대략 원통형의 공간을 형성하도록 모터수납부(86)가 형성된다. 상기 모터수납부(86) 내부는 상기 송풍공간(52)과 연통된다.
상기 모터수납부(86)의 내부와 연통되게 상기 모터하우징(80)에는 연결덕트부(88)가 형성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모터하우징(80)에 상기 모터커버(84)가 설치됨에 의해 연결덕트부(88)가 형성된다. 상기 연결덕트부(88)는 상기 도입덕트부(60)와 상기 모터수납부(86)의 내부를 연통시켜 송풍모터를 냉각시키기 위한 공기를 공급하게 된다.
상기 연결덕트부(88)의 입구에는 상기 도입덕트부(60)와의 결합을 위한 구성이 구비된다. 즉, 도 7에 잘 도시되어 있듯이, 상기 연결덕트부(88)의 입구에는 제1 및 제2 슬라이드삽입리브(90,91)가 상기 제1 및 제2삽입채널(64,65)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 슬라이드삽입리브(90,91)가 서로 약간 어긋난 상태로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슬라이드삽입리브(90,91) 역시 상기 케이스(50)의 개구부(54)중심과 같은 중심의 반지름에 의해 형성되는 원주의 궤적을 가지도록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슬라이드삽입리브(90)가 제2슬라이드삽입리브(91)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반지름을 가진다.
상기 슬라이드삽입리브(90,91) 각각의 일단에는 제1 및 제2 안착단(90',91')이 각각 구비된다. 상기 안착단(90',91')은 각각 상기 스톱단(64',65')에 안착되어 도입덕트부(60)와 연결덕트부(88)의 결합위치를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안착단(90',91')의 반대쪽에 해당되는 슬라이드삽입리브(90,91)의 타단 사이에는 단부안착단(92)이 형성된다. 상기 단부안착단(92)은 상기 단부스톱단(66)에 안착되어 도입덕트부(60)와 연결덕트부(88)의 결합위치를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안착단(90',91',92)이 상기 스톱단(64',65',66)에 안착됨에 의해 도입덕트부(60)와 연결덕트부(88)사이에서 공기 누설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도 한다.
상기 연결덕트부(88)의 입구 일측에는 상기 걸이부(70)에 걸어져 체결되는 걸림부(94)가 구비된다. 상기 걸림부(94)는 상기 모터하우징(80)이 상기 케이스(50)에 체결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물론, 상기 연결덕트부(88)와 도입덕트부(60)가 결합된 상태를 유지시켜주는 역할도 한다.
상기 걸림부(94)가 상기 걸이부(70)에 체결되고 분리되는 방향은 상기 케이스(50)에 상기 모터하우징(80)이 체결되고 분리디는 방향과 동일하게 된다. 즉, 상기 케이스(50)에 상기 모터하우징(80)이 체결되고 분리되는 동작과 함께 상기 걸림부(94)와 걸이부(70)가 체결되고 분리되는 동작이 일어나는 것이다.
상기 걸림부(94)의 걸림몸체(96)는 대략 측면 일부가 개구된 원통형상으로 된다. 상기 걸림몸체(96)의 내부에는 안착공간(96')이 형성되는데, 상기 안착공간(96')에는 상기 걸이부(70)가 안착된다. 상기 걸림몸체(96)의 개구된 일측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길게 상기 걸이부(70)의 걸이턱(74)에 걸어지는 걸림턱(97)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턱(97)은 도 6에 잘 도시되어 있듯이, 상기 안착공간(96')의 내부를 향하도록 연장되어 있어 상기 걸이부(70)가 안착공간(96')에 안착됨에 의해 상기 걸이턱(74)에 상기 걸림턱(97)이 걸어지게 된다.
상기 걸림턱(97)이 상기 안착공간(96')의 내부를 향해 연장되게 형성되어 있음과는 반대로 상기 걸림몸체(96)의 외면으로 연장되게 손잡이(98)가 형성된다. 상기 손잡이(98)는 상기 걸림몸체(96)에 일체로 형성된 것으로, 상기 걸림턱(97)의 연장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손잡이(98)에 힘을 가해 걸림몸체(96)가 탄성변형되게 하면 상기 걸림턱(97)이 상기 걸이턱(74)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공기조화용 송풍유니트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상기 케이스(50)에 상기 모터하우징(80)을 결합하는 것을 설명한다. 상기 케이스(50)의 개구부(54)에 상기 모터하우징(80)을 위치시킨다. 이때, 상기 모터하우징(80)에는 송풍모터와 모터커버(84)가 이미 장착된 상태이다. 즉, 상기 연결덕트부(88)가 상기 모터하우징(80)에 만들어진 상태이다.
상기 개구부(54)의 가장자리 내면을 둘러 형성된 체결편(56)의 사이사이에 상기 모터하우징(80)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체결편(82)이 위치되게 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모터하우징(80)을 회전시키면 상기 체결편(82)이 상기 케이스(50)의 체결편(56)에 걸어져 모터하우징(80)이 케이스(50)에서 빠지지 않게 된다. 물론, 상기 모터하우징(80)과 케이스(50)의 결합을 위해서는 상기 체결편(56,82)만이 사용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모터하우징(80)이 상기 케이스(50)의 특정 위치에 안착될 수 있도록 하는 구조가 또한 필요한다. 즉, 상기 모터하우징(80)이 상기 케이스(50)의 특정 위치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편(56,82)이 서로 걸어짐에 의해 체결이 이루어진다.
상기 모터하우징(80)이 상기 케이스(50)에 대해 일정 각도만큼 회전하여 체결편(56,82)이 서로 결합되는 것과 동시에, 상기 연결덕트부(88)는 상기 도입덕트 부(60)에 결합된다. 즉, 상기 모터하우징(8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연결덕트부(88)의 제1 및 제2슬라이드삽입리브(90,91)는 각각 상기 제1 및 제2 삽입채널(64,65)에 삽입되기 시작한다.
계속되는 상기 모터하우징(80)의 회전은 상기 제1 및 제2 삽입채널(64,65)을 따라 상기 슬라이드삽입리브(90,91)의 삽입이 계속되게 한다. 이와 같은 삽입과정은 상기 안착단(90',91',92)이 상기 스톱단(64',65',66)에 안착될 때까지 계속된다.
상기 슬라이드삽입리브(90,91)가 상기 삽입채널(64,65)에 거의 다 삽입되었을 때, 상기 걸이부(70)와 걸림부(94)의 결합이 이루어진다. 즉, 상기 걸이부(70)가 상기 걸림부(94)의 걸림몸체(96) 내부에 형성된 안착공간(96')에 안착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연장리브(73) 선단의 곡면은 상기 걸림턱(97)을 안내하여 상기 안착공간(96')의 입구가 더 벌어지도록 한다. 다시 말해 상기 걸림턱(97)이 상기 안착공간(96') 외부쪽으로 이동되게 안내한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드삽입리브(90,91)가 삽입채널(64,65)에 완전히 삽입되는 순간에 상기 걸이부(70)도 상기 걸림부(94)의 걸림몸체(96) 내부의 안착공간(96')에 안착된다. 이와 같은 상태는 도 5에서 볼 수 있다. 즉, 상기 걸이부(70)가 상기 걸림부(94)에 걸어질 때, 작업자가 별도의 조작을 하지 않아도 된다. 물론, 상기 걸이부(70)가 상기 걸림부(94)에 걸어지는 동작이 작업자에 의해 별도로 수행되도록 거이부(70)와 걸림부(94)의 위치가 설계될 수도 있다. 상기 걸림몸체(96)의 내부에 걸이부(70)가 안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걸림턱(97)이 상기 걸이턱(74)에 걸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됨에 의해 상기 걸이부(70)와 걸림부(94)의 체결상태가 임의로 해제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모터하우징(80)이 케이스(50)에 조립된 상태에서 송풍유니트가 공기조화기에 설치되어 사용된다. 공기조화기가 동작될 때, 상기 송풍유니트에 의해 공기가 가압되어 전달됨에 의해 공기조화기에서 공기의 유동을 달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송풍유니트가 동작될 때는, 상기 연결덕트부(88)와 도입덕트부(60)가 서로 연통되어 있어, 송풍팬에 의해 가압되어 출구덕트(58)로 유동되는 공기중의 일부가 상기 도입덕트부(60)와 연결덕트부(88)를 통해 상기 모터수납부(86)로 전달된다. 상기 모터수납부(86)로 전달된 공기는 송풍모터를 식히고 모터하우징(80)과 모터커버(84) 사이의 틈새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상기 송풍모터의 유지보수를 위해 상기 걸이부(70)와 걸림부(94) 사이의 체결상태를 해제하기 위해서는 상기 손잡이(98)을 조작하면 된다. 상기 손잡이(98)를 도 5의 화살표 A방향으로 제껴주면, 상기 걸림턱(97)이 상기 걸이부(70)의 걸이턱(74)으로부터 벗어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걸림부(94)를 잡아당기면 상기 슬라이드삽입리브(90,91)가 상기 삽입채널(64,65)에서 빠져나오게 된다.
이에 의해 상기 모터하우징(80)이 상기 케이스(50)에 대해 회전하여, 체결편(56,82)사이의 체결이 해제되어 모터하우징(80)이 케이스(50)에서 분리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상기 모터하우징(80)을 상기 케이스(50)에서 분리하여 송풍모터를 유지보수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예를 들어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걸이부(70)가 상기 도입덕트부(60)에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94)가 연결덕트부(88)에 형성되어 있으나, 반드시 그러할 필요는 없고, 상기 걸이부(70)가 상기 케이스(50)의 일측에 상기 걸림부(94)가 상기 모터하우징(80)의 일측에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삽입채널(64,65)과 슬라이드삽입리브(90,91)의 형성 위치는 도시된 실시예와 반대로 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삽입채널(64,65)이 연결덕트부(88)측에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삽입리브(90,91)가 도입덕트부(60)측에 형성될 수도 있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공기조화용 송풍유니트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케이스에 모터하우징을 상대 회전에 의해 트위스트록방식으로 장착함에 있어서, 케이스에 형성된 도입덕트부와 모터하우징에 구비된 연결덕트부를 동시에 결합되도록 하고 도입덕트부와 연결덕트부에 각각 구비된 걸이부와 걸림부가 서로 체결되도록 하였다. 따라서, 케이스와 모터하우징의 결합상태가 견고하게 되어 제품의 동작신뢰성이 높아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걸이부와 걸림부가 결합된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손잡이를 걸림부에 형성하여, 걸이부의 걸이턱과 걸림부의 걸림턱의 체결이 손잡이의 조작에 의해 쉽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하였다. 따라서, 모터하우징을 케이스로부터 분리하는 것이 용이하게 되어 송풍모터의 유지보수 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되어 작업자의 작업성이 좋아지는 효과가 있다. 특히, 송풍유니트는 작업자가 접근하기 어려운 위치, 예를 들어 글로브박스의 하부에 해당되는 대쉬패널의 배면 등에 있어 상기 손잡이를 사용한 걸이부와 걸림부의 체결해제는 송풍모터의 유지보수작업성을 크게 높이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케이스와 모터하우징의 체결과 분리가 이루어지는 동작과 함께 걸이부와 걸림부의 체결과 분리가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따라서, 특히 걸이부와 걸림부가 서로 체결되는 동작에서는 별도로 걸림부를 동작시키지 않아도 되어 작업자의 작업편의성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케이스와 모터하우징을 상대 회전만으로도 서로 결합되도록 하였으므로, 별도의 체결구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케이스와 모터하우징의 결합을 자동화할 수 있어, 제품의 생산성을 크게 높일 수 있는 효과도 있다.

Claims (6)

  1. 내부에 송풍공간이 형성되고 일면에 외부로 개구되게 형성된 개구부의 내주 가장자리를 따라 다수개의 체결편이 형성되는 케이스와,
    상기 개구부의 체결편과 결합되는 체결편을 가장자리를 따라 다수개 구비하고 상기 송풍공간에서 공기를 가압하는 송풍팬을 구동하는 송풍모터가 설치되며 상기 케이스에 대해 상대회전함에 의한 상기 체결편들의 결합에 의해 케이스에 결합되는 모터하우징과,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돌출되어 형성되어 상기 송풍공간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일부를 도입시켜 유동시키는 도입덕트부와,
    상기 모터하우징에 구비되고 상기 모터하우징이 상기 케이스에 대해 상대 회전함에 의해 상기 도입덕트부와 결합되어 상기 송풍모터로 공기를 전달하는 연결덕트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공기조화용 송풍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도입덕트부의 출구와 상기 연결덕트부의 입구에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삽입채널과 슬라이드삽입리브가 형성되어 상기 도입덕트부와 연결덕트부가 서로 결합되고,
    상기 케이스와 상기 모터하우징의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는 상기 케이스와 모터하우징 사이의 결합상태를 체결시키는 걸이부와 걸림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공기조화용 송풍유니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입덕트부와 연결덕트부의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는 상기 삽입채널과 슬라이드삽입리브의 결합위치를 안내하고 도입덕트부와 연결덕트부 사이의 누설을 방지하는 스톱단과 안착단이 각각 다수곳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공기조화용 송풍유니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부가 상기 걸림부에 결합되고 분리되는 방향은 상기 케이스와 모터하우징의 결합과 분리방향과 동일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공기조화용 송풍유니트.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부는,
    걸이몸체와, 상기 걸이몸체의 선단에서 수직방향으로 걸이몸체의 길이 전체에 걸쳐 연장되고 선단에 곡면이 구비되는 연장리브와, 상기 연장리브의 선단에 상기 걸이몸체의 돌출방향 반대쪽으로 연장되는 걸이턱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걸림부는,
    내부에 상기 걸이부가 안착되는 안착공간이 형성되고 일측 외면으로 소정 폭만큼 길이방향으로 개구되어 형성되는 걸림몸체와, 상기 안착공간 중심으로 연장되게 걸림몸체에서 돌출되어 형성되어 상기 걸이턱이 걸어지는 걸림턱과, 상기 걸림턱의 연장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상기 걸림몸체에 형성되는 손잡이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공기조화용 송풍유니트.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부는 상기 도입덕트부의 출구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는 상기 연결덕트부 입구 일측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공기조화기용 송풍유니트.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하우징에는 모터커버가 장착되어 적어도 상기 연결덕트부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공기조화용 송풍유니트.
KR1020070062427A 2007-06-25 2007-06-25 자동차 공기조화용 송풍유니트 KR1012923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2427A KR101292356B1 (ko) 2007-06-25 2007-06-25 자동차 공기조화용 송풍유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2427A KR101292356B1 (ko) 2007-06-25 2007-06-25 자동차 공기조화용 송풍유니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13666A KR20080113666A (ko) 2008-12-31
KR101292356B1 true KR101292356B1 (ko) 2013-08-01

Family

ID=40370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2427A KR101292356B1 (ko) 2007-06-25 2007-06-25 자동차 공기조화용 송풍유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235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46791B2 (en) * 2019-06-18 2023-09-05 Valeo North America, Inc. Scroll housing subassembly and method for servicing a scroll housing subassembly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1124Y1 (ko) * 1999-11-29 2000-05-15 대우기전공업주식회사 자동차 공조장치용 블로워모터 냉각장치
KR20030087829A (ko) * 2002-05-10 2003-11-15 한라공조주식회사 송풍기 모우터의 냉각장치
KR20040107632A (ko) * 2003-06-09 2004-12-23 한라공조주식회사 차량 공조장치용 송풍기 모터의 냉각장치
KR20070034353A (ko) * 2005-09-23 2007-03-28 주식회사 캄코 자동차 공기 조화기의 모터 냉각용 모터 커버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1124Y1 (ko) * 1999-11-29 2000-05-15 대우기전공업주식회사 자동차 공조장치용 블로워모터 냉각장치
KR20030087829A (ko) * 2002-05-10 2003-11-15 한라공조주식회사 송풍기 모우터의 냉각장치
KR20040107632A (ko) * 2003-06-09 2004-12-23 한라공조주식회사 차량 공조장치용 송풍기 모터의 냉각장치
KR20070034353A (ko) * 2005-09-23 2007-03-28 주식회사 캄코 자동차 공기 조화기의 모터 냉각용 모터 커버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13666A (ko) 2008-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2377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0651684B1 (ko) 송풍기 모우터의 냉각장치
KR101292356B1 (ko) 자동차 공기조화용 송풍유니트
KR102024096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430004B1 (ko) 차량용 공조장치
EP1306243B1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 and method for attaching the same
EP2439089B1 (de) Kraftfahrzeugklimaanlage
KR20110129034A (ko) 차량 공조장치용 드레인 호스 결합구조
JP4085896B2 (ja) 車両用空調装置
JP2008296712A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1856442B1 (ko) 차량의 공기조화장치용 메인레버와 액츄에이터의 결합 구조체
JP6844356B2 (ja) 車両用空調装置
KR20200129998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100006265A (ko) 자동차 공조장치의 송풍유니트
KR102330702B1 (ko) 차량용 공조기의 송풍장치
CN112240607B (zh) 送风装置、空气调节机的室内机
KR101997426B1 (ko) 철도 차량용 리턴덕트 그릴
JP4276861B2 (ja) 車両用空調ダクトの取付構造
KR102298988B1 (ko) 분리형 공조장치의 정비성 및 차음성 개선 구조
KR102365016B1 (ko) 차량용 공조기의 송풍장치
CN218864455U (zh) 一种空调面板及空调器
JP6718337B2 (ja) 車両用空調装置
CN213513211U (zh) 流体流通壳体和包括所述壳体的组件
KR20100029881A (ko) 차량용 송풍장치
KR20200120364A (ko) 차량용 후석 공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