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2347B1 - 웹 서버로부터 콘텐츠를 취득하고 그것을 표시 유닛에 표시하는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및 기억 매체 - Google Patents

웹 서버로부터 콘텐츠를 취득하고 그것을 표시 유닛에 표시하는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및 기억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2347B1
KR101292347B1 KR1020100118900A KR20100118900A KR101292347B1 KR 101292347 B1 KR101292347 B1 KR 101292347B1 KR 1020100118900 A KR1020100118900 A KR 1020100118900A KR 20100118900 A KR20100118900 A KR 20100118900A KR 101292347 B1 KR101292347 B1 KR 1012923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dress
content
display
unit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89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59554A (ko
Inventor
사또시 오오꾸마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595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95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23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23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405Output means
    • H04N1/00408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 H04N1/00464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using browsers, i.e. interfaces based on mark-up langua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94Multifunctional device, i.e. a device capable of all of reading, reproducing, copying, facsimile transception, file transcep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정보 처리 장치는, 미리 설정된 신뢰할 수 있는 웹 서버로부터 콘텐츠를 취득하는 경우, 콘텐츠를 표시하는 조작 유닛의 표시 영역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어드레스 바를 숨긴다. 지정된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콘텐츠는 웹 서버로부터 취득된다. 취득된 콘텐츠는 해석되고 표시 유닛에 표시된다. 지정된 어드레스는 표시 유닛에 표시된다. 지정된 어드레스가 특정한 어드레스인 경우, 콘텐츠의 취득이 허가되고, 지정된 어드레스가 특정한 어드레스가 아닌 경우, 콘텐츠의 취득이 금지되도록 취득 제어가 행해진다. 취득 제어가 실행되는 상태에서 콘텐츠가 표시되는 경우, 어드레스가 숨겨지고, 취득 제어가 실행되지 않는 상태에서 콘텐츠가 표시되는 경우, 어드레스가 표시된다.

Description

웹 서버로부터 콘텐츠를 취득하고 그것을 표시 유닛에 표시하는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및 기억 매체{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THAT OBTAINS CONTENTS FROM WEB SERVER AND DISPLAYS SAME ON DISPLAY UNIT, CONTROL METHOD FOR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본 발명은, 웹 서버로부터 콘텐츠를 취득하고 그것을 표시 유닛에 표시하는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억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억 매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개인용 컴퓨터(PC) 등의 정보 처리 장치는, 네트워크를 통해 웹 서버에 접속된 환경에서 다양한 경우들에 사용된다. 이러한 정보 처리 장치는, 웹 서버로부터,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 등의 구조화 언어 파일들 및 화상 데이터 파일들을 콘텐츠로서 취득한다. 정보 처리 장치는, 정보 처리 장치에 탑재된 웹 브라우저를 사용하여 웹 서버로부터 취득된 콘텐츠를 표시 유닛에 표시한다.
이러한 웹 브라우저의 표시는, 웹 서버로부터 취득된 콘텐츠를 표시하는 영역을 구비한다. 또한, 웹 브라우저의 표시는, 콘텐츠를 취득한 웹 서버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어드레스를 표시하는 영역(어드레스 바)을 구비한다.
웹 브라우저의 표시에서, 유저는, 어드레스 바에 표시된 URL 어드레스를 보고 현재 웹 브라우저에 표시되고 있는 콘텐츠가 어느 웹 서버로부터 취득된 것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최근, 스캐너 및 프린터를 구비한 MFP(multifunctional peripheral) 등의 일부의 정보 처리 장치들에서도, 내장형 웹 브라우저를 탑재한 것이 있다. 이러한 MFP에서는, MFP가 접속된 웹 서버로부터의 콘텐츠를 MFP의 조작 표시 유닛에 표시한다.
그러나, MFP의 조작 표시 유닛은, 섀시(chassis)의 크기 및 비용 절감에 대한 제한들로 인해 표시 화면의 크기가 작다.
이로 인해, MFP의 표시 유닛은, 일반적인 PC들의 웹 브라우저들에 비해 콘텐츠의 가시성 및 미관이 떨어진다. 또한, MFP의 표시 유닛이, MFP 자체가 갖는 기능들에 관한 조작들을 수행하기 위한 조작 화면을 웹 서버로부터 취득하고 그것을 표시하는 경우가 존재할 수 있다. 이 경우, 어드레스 바에 URL 어드레스가 표시되기 때문에, 조작 화면이 웹 서버로부터 취득된 콘텐츠인 것이 유저에게 알려지게 된다. 즉, MFP 내에 미리 유지된 조작 화면이 표시되는지, 또는 웹 서버로부터 취득된 조작 화면이 표시되는지의 여부에 따라, 어드레스 바가 표시되거나 또는 숨겨지며, 이것은 유저를 혼란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MFP의 표시 유닛은, 조금이라도 콘텐츠 표시 영역을 확장하기 위해 또는 콘텐츠가 웹 서버로부터 취득된 것임을 유저가 의식하지 않게 하기 위해, 웹 브라우저의 어드레스 바를 숨길 수 있다.
또한, 복사기 및 프린터 등의 종래의 화상 처리 장치들에는, 웹 서버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어드레스 바를 포함하는 조작 수단을 숨기도록 제어하는 것이 제안되어 왔다. 이러한 화상 처리 장치들에 관하여, 콘텐츠 취득원인 웹 서버로부터 송신된 특정한 지시에 응답하여 웹 브라우저에서의 어드레스 바를 포함하는 화면 천이를 위해 조작 유닛을 숨기는 것이 제안되어 왔다(예를 들어,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2008-186065호 참조).
그러나, 최근, 소위 피싱(phishing) 등에 의한 콘텐츠 템퍼링(tempering)의 문제가 지적되어 왔다. 이로 인해, 정보 처리 장치들에서, 현재 표시 유닛에 표시되고 있는 콘텐츠가 정당한 웹 서버로부터 취득된 것인지의 여부를 유저가 확인할 수 있도록, 어드레스 바에 의해 URL 어드레스를 표시하는 것이 중요시되어 있다.
또한, 정보 처리 장치들에서, 어드레스 바를 숨기면, 현재 표시되고 있는 콘텐츠가 정당한 웹 서버로부터 취득된 것인지의 여부를 유저가 확인할 수 없으므로, 유저에게 불신감을 주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정보 처리 장치들에서, 신뢰할 수 있는 웹 서버로부터의 콘텐츠를 표시하고 있는 경우에도, 항상 어드레스 바가 표시된다.
이로 인해, 종래의 정보 처리 장치들에서, 표시 유닛에 표시된 콘텐츠의 표시 영역이 어드레스 바의 표시를 위해 좁아지게 되므로, 표시 항목들 모두를 1 페이지에 표시할 수 없게 되어, 가시성이 저하된다.
또한, 종래의 정보 처리 장치들 중 일부는, 웹 서버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어드레스 바를 숨길 수 있다. 이러한 정보 처리 장치들은, 악의적인 웹 서버가 어드레스 바를 숨기는 지시를 보내 정당한 웹 서버로 위장하는 경우, 유저가 그 URL 어드레스를 확인할 수 없는 문제점을 갖는다.
본 발명은, 미리 설정된 신뢰할 수 있는 웹 서버로부터 콘텐츠를 취득하는 경우, 콘텐츠를 표시하는 조작 유닛의 표시 영역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어드레스 바를 숨기고, 미리 설정된 웹 서버들 이외의 웹 서버로부터 콘텐츠를 취득하는 경우, 어드레스 바에 URL 어드레스를 표시하여, 현재 표시되고 있는 콘텐츠가 어느 웹 서버로부터 취득된 것인지를 유저가 확인할 수 있는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억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억 매체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양태는, 지정된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상기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웹 서버로부터 취득하도록 구성된 콘텐츠 취득 유닛, 상기 콘텐츠 취득 유닛에 의해 취득된 콘텐츠를 해석하고, 상기 콘텐츠를 표시 유닛에 표시하도록 구성된 콘텐츠 표시 유닛, 상기 지정된 어드레스를 상기 표시 유닛에 표시하도록 구성된 어드레스 표시 유닛, 상기 지정된 어드레스가 특정한 어드레스인 경우, 상기 콘텐츠 취득 유닛이 콘텐츠를 취득하는 것을 허가하고, 상기 지정된 어드레스가 상기 특정한 어드레스가 아닌 경우, 상기 콘텐츠 취득 유닛이 콘텐츠를 취득하는 것을 금지하는 취득 제어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취득 제어 유닛, 및 상기 취득 제어 유닛이 취득 제어를 수행하는 상태에서 상기 콘텐츠 표시 유닛이 콘텐츠를 표시하는 경우, 상기 어드레스 표시 유닛이 어드레스를 표시하는 것을 금지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취득 제어 유닛이 취득 제어를 수행하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콘텐츠 표시 유닛이 콘텐츠를 표시하는 경우, 상기 어드레스 표시 유닛이 어드레스를 표시하게 제어하도록 구성된 표시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정보 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 양태는, 지정된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상기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웹 서버로부터 취득하는 콘텐츠 취득 단계, 상기 콘텐츠 취득 단계에서 취득된 콘텐츠를 해석하고, 상기 콘텐츠를 표시 유닛에 표시하는 콘텐츠 표시 단계, 상기 지정된 어드레스를 상기 표시 유닛에 표시하는 어드레스 표시 단계, 상기 지정된 어드레스가 특정한 어드레스인 경우, 상기 콘텐츠 취득 단계에서 콘텐츠를 취득하는 것을 허가하고, 상기 지정된 어드레스가 상기 특정한 어드레스가 아닌 경우, 상기 콘텐츠 취득 단계에서 콘텐츠를 취득하는 것을 금지하는 취득 제어를 수행하는 취득 제어 단계, 및 상기 취득 제어 단계에서 취득 제어를 수행하는 상태에서 상기 콘텐츠 표시 단계에서 콘텐츠를 표시하는 경우, 상기 어드레스 표시 단계에서 어드레스를 표시하는 것을 금지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취득 제어 단계에서 취득 제어를 수행하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콘텐츠 표시 단계에서 콘텐츠를 표시하는 경우, 상기 어드레스 표시 단계에서 어드레스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 단계를 포함하는 정보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3 양태는, 전술된 정보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비일시적인(non-transitory) 기억 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미리 설정된 신뢰할 수 있는 웹 서버로부터 취득된 콘텐츠가 표시되는 경우 어드레스 바를 숨긴다. 이것은, 콘텐츠의 가시성 및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고, 콘텐츠를 표시하는데 조작 유닛의 표시 영역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미리 설정된 웹 서버들 이외의 웹 서버로부터 취득된 콘텐츠가 표시되는 경우, 표시 화면에 어드레스 바를 표시하여 웹 서버의 URL 어드레스를 유저가 확인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유저는 정당한 웹 서버들로부터 취득된 콘텐츠만을 열람할 수 있기 때문에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의 특징들은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는) 이하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의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정보 처리 장치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캐너 및 프린터를 구비한 MFP를 포함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제1 실시예에 따른 MFP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예에 따른 MFP에 설치된 웹 브라우저의 소프트웨어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정보 처리 장치의 제1 실시예에 따른 MFP가 유저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웹 브라우저에서의 콘텐츠 화면 표시 및 데이터 설정을 행하는 일련의 프로세스의 수순들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의 정보 처리 장치에 따른 스캐너 및 프린터를 구비한 MFP의 웹 브라우저에 의해 조작 표시 유닛에 표시되는 각각의 예시적인 화면들을 설명하는데 유용한 도면들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MFP가 유저로부터의 지시 에 따라 웹 브라우저에서의 콘텐츠 화면 표시 및 데이터 설정을 행하는 일련의 프로세스의 수순들을 도시하는 흐름도들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6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정보 처리 장치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캐너 및 프린터를 구비한 MFP(multifunctional peripheral)를 설명한다.
제1 실시예에 따른 MFP는, 미리 설정된 URL 어드레스의 웹 서버로부터 취득된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표시하는 경우 어드레스 바를 숨기도록 구성된다. 또한, MFP는 미리 설정된 웹 서버들 이외의 웹 서버로부터 취득된 콘텐츠를 표시하는 경우 어드레스 바를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MFP를 포함하는 시스템 전체를 도시하는 도 1의 블록도를 참조하면, MFP(101) 및 웹 서버들(102, 103)은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 접속되어 있다. 네트워크는 LAN(local area network)(104), 인터넷(105) 등으로 구성된다.
MFP(101)는, 용지 매체를 스캔하고, 그 스캔된 데이타에 기초하여 용지에 화상을 형성하고, 화상을 출력하는 카피 기능을 갖는다. MFP(101)는 웹 브라우저(300)를 탑재하여, 웹 서버들(102, 103)에 유지된 콘텐츠를 취득하고 그것을 조작 표시 유닛(211)에 표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의 블록도를 참조하여 MFP(101)의 구성을 설명한다. MFP(101)는, 스캐너(213) 및 프린터(214)에 접속되고, 조작 표시 유닛(211), 조작 입력 유닛(212) 및 LAN(104)에 접속될 수 있는 컨트롤러 유닛(200)을 구비한다.
컨트롤러 유닛(200)은, 시스템 버스(210) 상에 다양한 디바이스들과 함께 배치되고 다양한 제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하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201)를 구비한다. CPU(201)는, 시스템 버스(210)를 통해 ROM(read-only memory)(203)에 기억된 부트 프로그램(boot program)에 기초하여 MFP(101)를 기동한다. CPU(201)는, HDD(하드 디스크 드라이브)(204)에 기억된 제어 프로그램들을 판독하고, RAM(random access memory)(202)을 작업 영역으로서 사용하여 미리 결정된 프로세스들을 실행한다.
HDD(204)는, 웹 브라우저(300)의 기능들을 포함하는 다양한 제어 프로그램들을 기억한다. 요컨대, 컨트롤러 유닛(200)은 웹 브라우저(300)의 기능들 및 동작들을 구현한다. 또한, HDD(204)는, 스캐너(213)로부터 읽어들인 스캔된 데이터, 네트워크 I/F(207)를 통해 장치 외부의 웹 서버로부터 취득된 콘텐츠 데이터 등을 기억한다.
시스템 버스(210) 상에 배치된 조작 유닛 출력 I/F(205)는, 조작 표시 유닛(211)으로 데이터를 출력하는 통신을 제어한다. 조작 유닛 출력 I/F(205)에 접속된 조작 표시 유닛(211)은 유저를 위한 표시 인터페이스이다. 조작 표시 유닛(211)은, LCD(liquid crystal display) 및 LED(light emitting diode) 등의 표시 디바이스들을 구비한다.
시스템 버스(210) 상에 배치된 조작 유닛 입력 I/F(206)는, 조작 입력 유닛(212)으로부터의 데이터를 입력하는 통신을 제어한다. 조작 유닛 입력 I/F(206)에 접속된 조작 입력 유닛(212)은, 터치 패널 및 하드웨어 키들을 구비하며 유저가 지시들을 입력하는 인터페이스이다.
시스템 버스(210) 상에 배치된 네트워크 I/F(207)는 LAN(104)에 접속되고, LAN(104)을 통해 정보를 입출력하는 제어를 행한다.
시스템 버스(210) 상에 배치된 스캐너 I/F(208)는, 스캐너(213)로부터의 화상 데이터를 입력하고, 스캐너 제어 데이터의 입출력을 행한다. 스캐너(213)는, CCD(charge coupled device) 등의 광학 판독기를 구비하고, 용지 매체를 전자 화상 데이터로서 광학적으로 스캐닝하는 기능을 갖는다.
시스템 버스(210) 상에 배치된 프린터 I/F(209)는, 출력 화상 데이터를 프린터(214)로 출력하고, 프린터 제어 데이터의 입출력을 행한다. 프린터(214)는, 전자 화상 데이터를 용지 등의 기록 매체 위에 화상으로서 형성하는 기능을 갖는다.
다음으로, 도 3을 참조하여, MFP(101)에 탑재되는 웹 브라우저의 소프트웨어 구성을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웹 브라우저(300)는, 정보 처리 장치(101)의 컨트롤러 유닛(200)에 포함되는 CPU(201)가 ROM(203) 또는 HDD(204)에 기억된 제어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실행함으로써 구현된다.
웹 브라우저(300)에 탑재된 콘텐츠 취득 유닛(301)은, 네트워크 I/F(207)를 통해 장치 외부의 웹 서버와 통신을 실행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콘텐츠 취득 유닛(301)은 유저로부터의 지시에 응답하여 웹 서버로부터 콘텐츠를 요구하고, 요구에 기초하여 웹 서버로부터 송신된 콘텐츠를 수신한다.
웹 브라우저(300)의 콘텐츠 해석 유닛(302)은, 콘텐츠 취득 유닛(301)에 의해 취득된 콘텐츠를 해석하고, 조작 표시 유닛(211)에 표시될 화면을 형성한다. 즉, 웹 브라우저(300)는, 콘텐츠가 취득되는 웹 서버의 어드레스를 조작 표시 유닛(211)에 표시하기 위한 화면을 생성하는 어드레스 묘화 유닛을 구비한다. 웹 서버로부터 취득된 콘텐츠는, 주로 HTML 등의 구조화 언어 파일 및 화상 데이터 파일로 작성되며, 조작 표시 유닛(211)에 표시될 조작 화면의 콘텐츠를 기술한다.
웹 브라우저(300)의 화면 표시 처리 유닛(303)은, 콘텐츠 해석 유닛(302)에 의해 해석되고 형성된 표시 화면을 조작 표시 유닛(211)에 표시하도록, 조작 유닛 출력 I/F(205)에 지시한다. 즉, 웹 브라우저(300)는, 콘텐츠 취득 유닛(301)에 의해 취득된 콘텐츠를 해석하고, 조작 표시 유닛(211)에 표시될 화면을 생성하는 콘텐츠 묘화 유닛을 구비한다.
이에 의해, 웹 서버로부터 취득된 콘텐츠가 조작 표시 유닛(211)에 표시된다. 또한, 화면 표시 처리 유닛(303)은 웹 브라우저(300)의 다양한 설정들을 행하는 설정 화면의 표시를 조작 표시 유닛(211)에 지시한다.
웹 브라우저(300)의 조작 지시 입력 유닛(304)은, 조작 유닛 입력 I/F(206)를 통해 유저에 의해 입력된 지시들을 접수한다. 조작 지시 입력 유닛(304)에 의해 접수된 지시들의 일례들은, URL 어드레스(어드레스 정보)를 입력하고 설정하는 지시, 조작 표시 유닛(211)에 표시된 콘텐츠 표시 화면에 포함되는 링크를 액세스하는 지시, 및 웹 브라우저(300)의 설정 화면에서의 설정들을 행하는 지시를 포함한다.
웹 브라우저(300)의 숨김 어드레스 제어 유닛(305)은, 유저에 의해 입력된 지시인, 어드레스 바를 숨기는 웹 서버의 URL 어드레스(어드레스 정보)의 등록 지시를 접수한다. 숨김 어드레스 제어 유닛(305)은, 어드레스 바를 숨기는 웹 서버의 URL 어드레스(어드레스 정보)의 등록 지시를, 숨김 어드레스 데이터(307)로서 RAM(202) 또는 HDD(204)에 기억한다. 또한, 숨김 어드레스 제어 유닛(305)은, 필요에 따라, 기억되어 있는 숨김 어드레스 데이터(307)를 RAM(202) 또는 HDD(204)로부터 판독한다. 즉, 웹 브라우저(300)는, 조작 표시 유닛(211)에 어드레스를 표시하지 않는 콘텐츠 취득원의 어드레스 정보를 취득하는 숨김 어드레스 정보 취득 유닛을 구비한다.
또한, 액세스 제어 어드레스 설정 유닛(306)은, 유저에 의해 입력된 지시인, 액세스를 허가하는 웹 서버의 URL 어드레스의 등록 지시를 접수한다. 액세스 제어 어드레스 설정 유닛(306)은, 액세스를 허가하는 웹 서버의 URL 어드레스의 정보를 액세스 허가 어드레스 데이터(308)로서 RAM(202) 또는 HDD(204)에 기억한다.
요컨대, 웹 브라우저(300)는, 콘텐츠의 취득을 허가하는 웹 서버의 어드레스 정보를 기억하는 취득가능한 어드레스 정보 기억 유닛을 구비한다.
또한, 액세스 제어 어드레스 설정 유닛(306)은, 필요에 따라, 기억되어 있는 액세스 허가 어드레스 데이터(308)를 RAM(202) 또는 HDD(204)로부터 판독한다.
다음으로, 도 4a 및 도 4b의 흐름도들을 참조하여, MFP(101)가 유저로부터의 지시를 접수하고, 그 지시에 따라 웹 브라우저에서의 콘텐츠 화면 표시 및 데이터 설정을 행하는 일련의 프로세스를 설명한다. 도 4a 및 도 4b의 흐름도들에서의 프로세스들은, MFP(101)의 CPU(201)가 ROM(203) 또는 HDD(204)에 기억된 제어 프로그램들을 판독하고 실행함으로써 구현된다.
이 콘텐츠 화면 표시 및 데이터 설정 프로세스에서, 웹 브라우저(300)는, 유저로부터 조작 지시를 접수할 때까지 대기한다(단계 S401에서, 아니오).
다음으로, 조작 지시 입력 유닛(304)은, 조작 유닛 입력 I/F(206)를 통해 유저로부터 웹 브라우저(300)에 대한 다양한 조작들을 수행하는 지시를 접수하는 경우(단계 S401에서, 예), 프로세스는 다음 단계 S402로 진행한다.
단계 S402에서, 웹 브라우저(300)는, 조작 지시 입력 유닛(304)을 통해 유저에 의해 입력된 조작 지시를 판정한다. 여기에서, 웹 브라우저(300)는, 유저에 의해 입력된 조작 지시가 어드레스 바 숨김 어드레스를 설정하고 등록하는 지시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도 5a 내지 도 5d는, 웹 브라우저(300)에 의해 조작 표시 유닛(211)에 표시되는 예시적인 조작 화면들을 도시한다. 조작 화면들은, 웹 브라우저(300)의 화면 표시 처리 유닛(303)에 의해 조작 유닛 출력 I/F(205)를 통해 조작 표시 유닛(211)에 표시된다.
웹 브라우저(300)는, 도 5a에 도시된 어드레스 바 숨김 어드레스를 설정하기 위한 설정 화면을 조작 표시 유닛(211)에 표시한다.
여기에서, 어드레스 바 숨김 어드레스는, 웹 브라우저(300)에 의해 조작 표시 유닛(211)에 어드레스 바를 표시하지 않는 URL 어드레스를 의미한다. 어드레스 바 숨김 어드레스가 콘텐츠를 취득한 웹 서버의 URL 어드레스와 매칭되는 경우, 웹 브라우저(300)는, 조작 표시 유닛(211)에 어드레스 바를 표시하지 않도록 제어한다.
어드레스 바 숨김 어드레스를 설정할 때, 통상, 유저가 URL 어드레스를 확인할 필요가 없는, 신뢰할 수 있는 웹 서버의 URL 어드레스가 설정된다.
요컨대, 웹 브라우저(300)는, 콘텐츠 취득 유닛에 의해 콘텐츠가 취득되는 웹 서버의 어드레스가, 취득가능한 어드레스 정보 기억 유닛의 어드레스 정보와 매칭되는 경우에만 콘텐츠를 취득한다. 웹 브라우저(300)는, 전술된 방법으로 콘텐츠 취득 유닛을 제어하는 취득 제어 유닛(액세스 제어 유닛)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설정이 행해지는 경우, 미리 URL 어드레스(어드레스 정보)를 등록한 신뢰할 수 있는 웹 서버로부터 취득된 콘텐츠를 표시하고 있는 경우에만 어드레스 바를 표시하지 않도록 구성할 수 있다. 조작 표시 유닛(211)에 어드레스 바가 표시되지 않는 경우, 그 표시 영역의 일부는 표시중인 어드레스 바에 의해 점유되지 않으므로, 표시 영역 전체를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콘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도 5a에 도시된 어드레스 바 숨김 어드레스 설정 다이얼로그(500)에는, 어드레스 바 숨김 설정 스위치(501) 및 어드레스 바 숨김 어드레스 설정 편집 박스(502)가 표시된다.
어드레스 바 숨김 설정 스위치(501)는, 어드레스 바 숨김 어드레스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URL 어드레스들을 비교하여 어드레스 바 숨김 프로세스를 실행할 것인지의 여부를 설정하기 위한 스위치이다.
요컨대, 웹 브라우저(300)는, 조작 입력 유닛을 통해 유저에 의해 입력된, 조작 표시 유닛(211)에 어드레스를 표시하지 않는 콘텐츠 취득원의 어드레스를, 숨김 어드레스 정보 기억 유닛에 기억하는 숨김 어드레스 설정 유닛을 구비한다.
어드레스 바 숨김 설정 스위치(501)가 인에이블되는 경우, 웹 브라우저(300)는, 숨김 어드레스 데이터(307)의 등록된 URL 어드레스와, 콘텐츠를 취득한 웹 서버의 URL 어드레스를 비교한다. 비교의 결과로서, 그것들이 서로 매칭되는 경우, 웹 브라우저(300)는 어드레스 바를 숨기는 프로세스를 실행한다.
도 5a에 도시된 어드레스 바 숨김 어드레스 설정 편집 박스(502)는, 어드레스 바를 숨기는 콘텐츠 취득원인 웹 서버의 URL 어드레스를 지정하기 위한 편집 영역이다. 어드레스 바 숨김 어드레스 설정 편집 박스(502)에서는, 복수의 웹 서버의 URL 어드레스를 지정할 수 있다.
복수의 URL 어드레스가 설정되는 경우, 웹 브라우저(300)는, 콘텐츠를 취득하는 웹 서버의 URL 어드레스가 어드레스 바 숨김 어드레스들 중 임의의 URL 어드레스와 매칭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다음으로, 취득된 웹 서버의 URL 어드레스가 지정된 어드레스 바 숨김 어드레스들 중 임의의 어드레스와 매칭되는 경우, 어드레스 바를 숨겨 콘텐츠를 표시한다.
도 5a에 도시된 어드레스 바 숨김 어드레스 설정 OK 버튼(503)은, 어드레스 바 숨김 어드레스 설정 다이얼로그(500)에서 유저에 의해 설정된 항목들을 확정하기 위한 버튼이다.
다음으로, 도 4a의 흐름도에서의 단계 S402에서, 웹 브라우저(300)는, 유저에 의해 입력된 조작 지시가 어드레스 바 숨김 어드레스 설정 OK 버튼(503)을 누르는 지시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다음으로, 웹 브라우저(300)가, 유저에 의해 입력된 조작 지시가 어드레스 바 숨김 어드레스 설정 OK 버튼(503)을 누르는 지시라고 판정하는 경우(단계 S402에서, 예), 프로세스는 다음 단계 S410으로 진행한다.
단계 S410에서, 숨김 어드레스 제어 유닛(305)은, 어드레스 바 숨김 어드레스 설정을 등록하는 유저의 지시에 따라 숨김 어드레스 데이터(307)를 RAM(202) 또는 HDD(204)에 기억하고, 다음으로, 프로세는 단계 S401로 복귀한다. 숨김 어드레스 데이터(307)는, 어드레스 바 숨김 설정 스위치(501)의 값 및 어드레스 바 숨김 어드레스 설정 편집 박스(502)의 URL 어드레스의 데이터를 포함한다.
또한, 단계 S402에서, 웹 브라우저(300)가, 유저에 의해 입력된 조작 지시가 어드레스 바 숨김 어드레스 설정을 등록하는 지시가 아니라고 판정하는 경우(단계 S402에서, 아니오), 프로세스는 단계 S403으로 진행한다.
단계 S403에서, 웹 브라우저(300)는, 유저에 의해 입력된 조작 지시가 URL 어드레스를 액세스하는 지시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여기에서, URL 어드레스를 액세스하는 지시는, 조작 표시 유닛(211)에 표시된 콘텐츠 내의 링크를 액세스하는 지시, 및 유저가 URL 어드레스를 직접 입력한 웹 서버를 액세스하는 지시를 포함한다.
웹 브라우저(300)가, 유저에 의해 입력된 조작 지시가 URL 어드레스를 액세스하는 지시가 아니라고 판정하는 경우(단계 S403에서, 아니오), 프로세스는 단계 S401로 복귀한다.
웹 브라우저(300)가, 유저에 의해 입력된 조작 지시가 URL 어드레스를 액세스하는 지시라고 판정하는 경우(단계 S403에서, 예), 프로세스는 단계 S404로 진행한다. 단계 S404에서, 콘텐츠 취득 유닛(301)은, 유저에 의해 액세스가 지시된 URL 어드레스의 웹 서버로부터 콘텐츠를 취득한다.
다음으로, 프로세스는 단계 S405로 진행하고, 웹 브라우저(300)는, 단계 S410에서 기억된 숨김 어드레스 데이터(307)의 값에 기초하여, 어드레스 바 숨김 어드레스 설정 스위치(501)의 값이 유효한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즉, 웹 브라우저(300)는, 콘텐츠를 취득한 웹 서버의 URL 어드레스와 비교를 수행하여 어드레스 바가 표시되지 않도록 구성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웹 브라우저(300)가, 어드레스 바 숨김 어드레스 설정 스위치(501)의 값이 무효라고 판정하는 경우(단계 S405에서, 아니오), 프로세스는 후술하는 단계 S407로 진행한다.
웹 브라우저(300)가, 어드레스 바 숨김 어드레스 설정 스위치(501)의 값이 유효하다고 판정하는 경우(단계 S405에서, 예), 프로세스는 단계 S406으로 진행한다.
단계 S406에서, 웹 브라우저(300)는, 콘텐츠를 취득한 웹 서버의 URL 어드레스가 숨김 어드레스 데이터(307)의 URL 어드레스와 매칭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웹 브라우저(300)가, 콘텐츠를 취득한 웹 서버의 URL 어드레스가 숨김 어드레스 데이터(307)의 URL 어드레스와 매칭되지 않는다고 판정하는 경우(단계 S406에서, 아니오), 프로세스는 단계 S407로 진행한다.
단계 S407에서, 웹 브라우저(300)는, 콘텐츠 해석 유닛(302)에 대하여, 웹 서버로부터 취득한 콘텐츠의 해석과 콘텐츠 표시 화면의 생성을 지시한다. 또한, 웹 브라우저(300)는, 화면 표시 처리 유닛(303)에 대하여, 콘텐츠 해석 유닛(302)에 의해 생성된 콘텐츠 표시 화면 데이터를 조작 표시 유닛(211)에 표시하도록 지시한다.
다음으로, 단계 S408에서, 웹 브라우저(300)는, 단계 S404에서 콘텐츠를 취득한 웹 서버의 URL 어드레스를 표시하는 어드레스 바 표시 화면을 형성한다. 또한, 웹 브라우저(300)는, 화면 표시 처리 유닛(303)에 대하여, 어드레스 바 표시 화면의 표시를 지시한다. 요컨대, 웹 브라우저(300)는, 콘텐츠 묘화 유닛 및 어드레스 묘화 유닛으로부터 화면들을 취득하고 그것을 조작 유닛에 표시하는 표시 유닛을 구비한다.
그 후, 단계 S409에서, 화면 표시 처리 유닛(303)은, 조작 유닛 출력 I/F(205)를 통해, 지정된 콘텐츠 표시 화면과 어드레스 바 표시 화면을 조작 표시 유닛(211)에 표시한다.
여기에서, 웹 브라우저(300)는, 도 5b에 도시된 웹 브라우저의 화면을 조작 표시 유닛(211)에 표시한다. 이 웹 브라우저의 화면에서, 콘텐츠 표시 영역(510)과 어드레스 바 표시 영역(511)이 조작 표시 유닛(211)에 표시된다.
콘텐츠 표시 영역(510)에는, 단계 S407에서 생성된 콘텐츠 표시 화면이 표시된다. 또한, 어드레스 바 표시 영역(511)에는, 단계 S408에서 생성된 어드레스 바 표시 화면이 표시된다.
이 표시에서는, 현재 콘텐츠 표시 영역(510)에 표시되고 있는 콘텐츠를 취득한 웹 서버의 URL 어드레스가 어드레스 바 표시 영역(511)에 표시된다. 이에 의해, 유저는 자신이 열람하고 있는 콘텐츠가 어느 웹 서버에 의해 제공되는지를 알 수 있어, 안심하게 된다. 콘텐츠 표시 영역(510)은 어드레스 바 표시 화면으로 인해 좁아진다는 것에 유의한다.
다음으로, 웹 브라우저(300)가, 콘텐츠를 취득한 웹 서버의 URL 어드레스가 숨김 어드레스 데이터(307)의 URL 어드레스와 매칭된다고 판정하는 경우(단계 S406에서, 예), 프로세스는 단계 S411로 진행한다.
단계 S411에서, 웹 브라우저(300)는, 콘텐츠 해석 유닛(302)에 대하여, 웹 서버로부터 취득된 콘텐츠의 해석과 콘텐츠 표시 화면의 생성을 지시한다. 이때, 웹 브라우저(300)는, 어드레스 바 표시 영역(511)이 표시되지 않는다고 가정하면, 확대된 콘텐츠 표시 화면의 생성을 지시한다. 또한, 웹 브라우저(300)는, 화면 표시 처리 유닛(303)에 대하여, 콘텐츠 해석 유닛(302)에 의해 생성된 콘텐츠 표시 화면 데이터를 조작 표시 유닛(211)에 표시하도록 지시한다.
다음으로, 프로세스는 단계 S412로 진행하고, 화면 표시 처리 유닛(303)은 조작 유닛 출력 I/F(205)를 통해 조작 표시 유닛(211)에, 지정된 콘텐츠 표시 화면을 표시한다.
여기에서, 웹 브라우저(300)는, 조작 표시 유닛(211)에 도 5c에 도시된 웹 브라우저 화면을 표시한다. 이 웹 브라우저 화면에서, 콘텐츠 표시 영역(520)에 콘텐츠 표시 화면만이 표시되며, 어드레스 바는 조작 표시 유닛(211)의 화면에 표시되지 않는다.
요컨대, 웹 브라우저(300)는, 콘텐츠 취득 유닛에 의해 콘텐츠가 취득된 웹 서버의 어드레스 정보와, 숨김 어드레스 정보 취득 유닛에 의해 취득된 어드레스 정보를 비교한 다음, 콘텐츠 취득원의 어드레스가 숨김 어드레스 정보와 매칭되는 경우, 어드레스 묘화 유닛에 의해 생성된 화면을 표시 유닛에 표시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어드레스 표시 제어 유닛을 구비한다.
이에 의해, 콘텐츠 표시 영역(520)은 조작 표시 유닛(211)에 넓게 표시될 수 있고, 콘텐츠 표시 시의 가시성 및 조작성이 향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작 표시 유닛(211)의 화면 전체에 걸쳐 콘텐츠를 표시할 수 있으므로, 콘텐츠의 일부가 숨겨질 일이 없기 때문에, 표시된 콘텐츠를 일람할 수 있다.
또한, 도 4a 및 도 4b의 일련의 프로세스에 의해, 유저가 미리 등록한 URL 어드레스와 URL 어드레스가 매칭되는 웹 서버로부터 취득된 콘텐츠를 표시하는 경우에만, 어드레스 바를 숨길 수 있다. 따라서, 제1 실시예에 따른 MFP는, 어드레스 바가 표시되지 않는 경우에도, 유저가 의도한 웹 서버로부터 취득된 콘텐츠를 열람할 때 유저를 안심시킨다.
도 6a 및 도 6b의 흐름도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2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정보 처리 장치인 MFP가, 미리 등록된 웹 서버들에만 액세스를 허가하도록 액세스를 제한하는 경우에만 어드레스 바를 숨긴다. 그외의 경우들에서는, 어드레스 바를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제2 실시예는 전술된 제1 실시예와 시스템 구성 등이 유사하므로, 공통의 특징들의 설명은 생략되며 제1 실시예와 상이한 특징들만이 후술된다는 것에 유의한다.
도 6a 및 도 6b의 흐름도들의 프로세스들은, MFP(101)의 CPU(201)가 ROM(203) 또는 HDD(204)에 기억된 제어 프로그램들을 판독하고 실행함으로써 구현된다.
이 콘텐츠 화면 표시 및 데이터 설정 프로세스에서, 웹 브라우저(300)는 유저로부터의 조작 지시를 접수할 때까지 대기한다(단계 S601에서, 아니오).
다음으로, 조작 지시 입력 유닛(304)이 조작 유닛 입력 I/F(206)를 통해 유저로부터의 웹 브라우저(300)에 대한 다양한 조작들을 수행하는 지시를 접수하는 경우(단계 S601에서, 예), 프로세스는 다음 단계 S602로 진행한다.
단계 S602에서, 웹 브라우저(300)는, 조작 지시 입력 유닛(304)을 통해 유저에 의해 입력된 조작 지시에 대한 판정을 행한다. 여기에서, 웹 브라우저(300)는, 유저에 의해 입력된 조작 지시가 미리 등록된 웹 서버들로부터의 콘텐츠만을 열람할 수 있게 하는 액세스 제한의 설정 지시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웹 브라우저(300)에 의해 조작 표시 유닛(211)에 표시되는 액세스 제한 설정 어드레스를 설정하기 위한 예시적인 설정 화면이 도 5d에 도시된다. 액세스 제한 설정 어드레스는, 액세스 제한 설정 어드레스가 콘텐츠를 취득하는 웹 서버의 URL 어드레스와 매칭되는 경우에만, 웹 브라우저(300)에 의해 액세스가 허가되는 웹 서버의 어드레스임을 의미한다.
액세스 제한 설정 어드레스가 콘텐츠를 취득하는 웹 서버의 URL 어드레스와매칭되지 않는 경우, 웹 서버에 대한 액세스 자체가 금지된다. 통상, 액세스 제한 설정 어드레스로서, 신뢰할 수 있는 웹 서버의 URL 어드레스가 지정된다.
도 5d에 도시된 액세스 제한 설정 어드레스 설정 다이얼로그(530) 상에는, 액세스 제한 설정 스위치(531)와 액세스 허가 어드레스 설정 편집 박스(532)가 표시된다. 액세스 제한 설정 스위치(531)는, 등록된 URL 어드레스와의 비교 결과로서, 웹 서버에 대한 액세스를 제한할지의 여부를 설정하기 위한 스위치이다. 액세스 제한 설정 스위치(531)가 인에이블된 상황에서, 웹 브라우저(300)는, 등록된 URL 어드레스와 URL 어드레스가 매칭되는 웹 서버에 대해서만 액세스하는 취득 제어를 행한다.
도 5d에 도시된 액세스 허가 어드레스 설정 편집 박스(532)는, 콘텐츠를 취득할 때에 액세스를 허가하는 콘텐츠 취득원인 웹 서버의 URL 어드레스를 지정하기 위한 편집 영역이다. 액세스 허가 어드레스 설정 편집 박스(532)에서, 복수의 웹 서버의 URL 어드레스를 지정할 수 있다.
도 5d에 도시된 액세스 제한 설정 OK 버튼(533)은, 액세스 제한 설정 어드레스 설정 다이얼로그(530)에서 유저에 의해 설정된 항목들을 확인하기 위한 버튼이다.
다음으로, 도 6a의 흐름도에서의 단계 S602에서, 웹 브라우저(300)는, 유저에 의해 입력된 조작 지시가 액세스 제한 설정 OK 버튼(533)을 누르는 지시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다음으로, 웹 브라우저(300)가, 액세스 제한 설정 어드레스 설정 다이얼로그(530)에서, 유저에 의해 입력된 조작 지시가 액세스 제한 설정 OK 버튼(533)을 누르는 지시라고 판정하는 경우, 프로세스는 단계 S609로 진행한다.
단계 S609에서, 액세스 제어 어드레스 설정 유닛(306)은, 액세스 제한 설정을 등록하는 유저의 지시에 따라 액세스 허가 어드레스 데이터(308)를 RAM(202) 또는 HDD(204)에 기억하고, 다음으로, 프로세스는 단계 S601로 복귀한다. 액세스 허가 어드레스 데이터(308)는, 액세스 제한 설정 스위치(531)의 값 및 액세스 허가 어드레스 설정 편집 박스(532)의 URL 어드레스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한다.
또한, 단계 S602에서, 웹 브라우저(300)가, 유저에 의해 입력된 조작 지시가 액세스 제한 설정 OK 버튼(533)을 누르는 지시가 아니라고 판정하는 경우(단계 S602에서, 아니오), 프로세스는 단계 S603으로 진행한다.
단계 S603에서, 웹 브라우저(300)는, 유저에 의해 입력된 조작 지시가 URL 어드레스를 액세스하는 지시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웹 브라우저(300)가, 유저에 의해 입력된 조작 지시가 URL 어드레스를 액세스하는 지시가 아니라고 판정하는 경우(단계 S603에서, 아니오), 프로세스는 단계 S601로 복귀한다.
웹 브라우저(300)가, 유저에 의해 입력된 조작 지시가 URL 어드레스를 액세스하는 지시라고 판정하는 경우(단계 S603에서, 예), 프로세스는 단계 S604로 진행한다.
단계 S604에서, 웹 브라우저(300)는, 액세스 제한 설정 스위치(531)의 값이 유효한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웹 브라우저(300)가, 액세스 허가 어드레스 데이터(308)의 액세스 제한 설정 스위치(531)의 값이 무효라고 판정하는 경우(단계 S604에서, 아니오), 즉, URL 어드레스를 사용하여 웹 서버에 대해 액세스 제한이 행해지지 않고 있다고 판정하는 경우, 프로세스는 단계 S610으로 진행한다.
단계 S610에서, 콘텐츠 취득 유닛(301)은, 유저에 의해 액세스가 지시된 URL 어드레스의 웹 서버로부터 콘텐츠를 취득한다.
다음으로, 단계 S611으로부터 단계 S613까지의 프로세스들에서, 우선, 웹 브라우저(300)는, 단계 S610에서 취득된 콘텐츠의 해석과 콘텐츠 표시 화면의 생성을, 콘텐츠 해석 유닛(302)에 지시한다. 다음으로, 웹 브라우저(300)는, 화상 표시 처리 유닛(303)에 대하여, 콘텐츠 해석 유닛(302)에 의해 생성된 콘텐츠 표시 화면의 표시를 지시한다. 다음으로, 웹 브라우저(300)는, 화상 표시 처리 유닛(303)에 대하여, 어드레스 바 표시 화면의 표시를 지시한다. 다음으로, 화상 표시 처리 유닛(303)은, 조작 유닛 출력 I/F(205)를 통해 조작 표시 유닛(211)에 콘텐츠 표시 화면 및 어드레스 바 표시 화면을 표시한다.
전술된 일련의 프로세스는, 제1 실시예의 설명에서 참조한 도 4b의 단계 S407 내지 단계 S409의 프로세스와 유사하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단계 S613의 프로세스 후에,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텐츠 표시 영역(510)과 어드레스 바 표시 영역(511)이 표시된 화면이 조작 표시 유닛(211)에 표시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에서, 조작 표시 유닛(211)의 화면에 어드레스 바가 표시된다. 이에 의해, 유저는, 콘텐츠 표시 영역(510)에 현재 표시되고 있는 콘텐츠를 취득한 웹 서버의 URL 어드레스를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유저는, 웹 서버에 대하여 액세스 제한이 행해지지 않는 경우 의도하지 않는 웹 서버에 유저가 액세스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그 결과, 유저는 안심하고 콘텐츠를 열람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a의 단계 S604에서, 액세스 제한 설정 스위치(531)의 값이 유효하다고 판정되는 경우(단계 S604에서, 예), 프로세스는 단계 S605로 진행한다. 즉, 이 경우, URL 어드레스를 사용하여 웹 서버에 대한 액세스 제한이 행해지지 않는다고 판정된다.
다음으로, 단계 S605에서, 웹 브라우저(300)는, 액세스가 지시된 URL 어드레스가 액세스 허가 어드레스 데이터(308)의 URL 어드레스와 매칭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액세스가 지시된 URL 어드레스가 액세스 허가 어드레스 데이터(308)의 URL 어드레스와 매칭되지 않는다고 판정되는 경우(단계 S605에서, 아니오), 승인되지 않은 액세스로 판정되며 아무것도 행하지 않고 프로세스가 종료된다.
유저에 의해 액세스가 지시된 URL 어드레스가 액세스 허가 어드레스 데이터(308)의 URL 어드레스와 매칭된다고 판정되는 경우(단계 S605에서, 예), 프로세스는 단계 S606으로 진행한다.
다음으로, 단계 S606에서, 콘텐츠 취득 유닛(301)은, 유저에 의해 액세스가 지시된 URL 어드레스의 웹 서버로부터 콘텐츠를 취득한다.
또한, 웹 브라우저(300)는, 콘텐츠 해석 유닛(302)에 대하여, 단계 S606에서 취득된 콘텐츠의 해석과 콘텐츠 표시 화면의 생성을 지시한다. 또한, 웹 브라우저(300)는, 화면 표시 처리 유닛(303)에 대하여, 생성된 콘텐츠 표시 화면의 표시를 지시한다(단계 S607).
화면 표시 처리 유닛(303)은, 조작 유닛 출력 I/F(205)를 통해 조작 표시 유닛(211)에 콘텐츠 표시 화면을 표시한다.
단계 S607 내지 단계 S608의 일련의 프로세스는, 전술된 제1 실시예의 단계 S411 내지 S412의 프로세스와 동일하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단계 S608에서의 프로세스 후에, 도 5c에 도시된 웹 브라우저 화면이 조작 표시 유닛(211)에 표시된다. 이 화면에서는, 콘텐츠 표시 영역(520)만이 표시되며 어드레스 바는 표시되지 않는다.
또한, 액세스 제한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 액세스가 허가된 웹 서버의 콘텐츠만이 표시된다.
요컨대, 웹 브라우저(300)는, 취득가능한 어드레스 정보 기억 유닛이 모든 어드레스들에 대한 액세스를 허가하도록 구성되는 경우, 어드레스 묘화 유닛에 의해 생성된 화면을 표시 유닛에 표시하고, 특정한 어드레스들에 대해서만 액세스가 허가되는 경우, 어드레스 묘화 유닛에 의해 생성된 화면을 표시 유닛에 표시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어드레스 표시 제어 유닛을 구비한다.
따라서, 제2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에서, 유저가 의도하지 않는 웹 서버의 콘텐츠가 표시될 가능성이 없기 때문에, 어드레스 바가 표시되지 않는 경우에도 유저에게 불신감을 주지 않는다. 또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에서, 액세스 제한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 유저에게 불안감을 주지 않고 콘텐츠 표시 영역(520)이 넓게 표시되므로, 콘텐츠 표시에서의 가시성 및 조작성이 향상될 수 있다.
그외의 실시예들
또한, 본 발명의 양태들은, 전술된 실시예(들)의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해 메모리 디바이스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판독하고 실행하는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또는, CPU 또는 MPU 등의 디바이스들)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에 의해, 예를 들어, 전술된 실시예(들)의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해 메모리 디바이스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판독하고 실행함으로써, 단계들이 수행되는 방법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예를 들어, 네트워크를 통해 또는 메모리 디바이스(예를 들어,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로서 기능하는 다양한 유형의 기록 매체로부터 컴퓨터로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개시된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이하의 청구범위의 범주는 모든 그러한 변경들 및 등가 구조물들 및 기능들을 포함하도록 최광의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출원은, 2009년 11월 27일 출원된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2009-270304호의 이익을 주장하며 명세서에 그 전체가 참조로서 포함된다.

Claims (6)

  1. 지정된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상기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웹 서버로부터 취득하도록 구성된 콘텐츠 취득 유닛;
    상기 콘텐츠 취득 유닛에 의해 취득된 콘텐츠를 해석하고, 상기 콘텐츠를 표시 유닛에 표시하도록 구성된 콘텐츠 표시 유닛;
    상기 지정된 어드레스를 상기 표시 유닛에 표시하도록 구성된 어드레스 표시 유닛;
    상기 지정된 어드레스가 특정한 어드레스인 경우, 상기 콘텐츠 취득 유닛이 콘텐츠를 취득하는 것을 허가하고, 상기 지정된 어드레스가 상기 특정한 어드레스가 아닌 경우, 상기 콘텐츠 취득 유닛이 콘텐츠를 취득하는 것을 금지하는 취득 제어를 수행하도록 구성된 취득 제어 유닛; 및
    상기 취득 제어 유닛이 취득 제어를 수행하는 상태에서 상기 콘텐츠 표시 유닛이 콘텐츠를 표시하는 경우, 상기 어드레스 표시 유닛이 어드레스를 표시하는 것을 금지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취득 제어 유닛이 취득 제어를 수행하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콘텐츠 표시 유닛이 콘텐츠를 표시하는 경우, 상기 어드레스 표시 유닛이 어드레스를 표시하게 제어하도록 구성된 표시 제어 유닛
    을 포함하는 정보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유저에 의한 조작에 따라, 상기 특정한 어드레스를 입력하도록 구성된 입력 유닛 및
    상기 입력 유닛에 의해 입력된 상기 특정한 어드레스를 유지하도록 구성된 유지 유닛
    을 더 포함하는 정보 처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취득 제어 유닛이 취득 제어를 행할지 여부에 대해 설정하도록 구성된 설정 유닛을 더 포함하는 정보 처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정된 어드레스 및 상기 특정한 어드레스는 URL 어드레스들인 정보 처리 장치.
  5. 정보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이며,
    지정된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상기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웹 서버로부터 취득하는 콘텐츠 취득 단계;
    상기 콘텐츠 취득 단계에서 취득된 콘텐츠를 해석하고, 상기 콘텐츠를 표시 유닛에 표시하는 콘텐츠 표시 단계;
    상기 지정된 어드레스를 상기 표시 유닛에 표시하는 어드레스 표시 단계;
    상기 지정된 어드레스가 특정한 어드레스인 경우, 상기 콘텐츠 취득 단계에서 콘텐츠를 취득하는 것을 허가하고, 상기 지정된 어드레스가 상기 특정한 어드레스가 아닌 경우, 상기 콘텐츠 취득 단계에서 콘텐츠를 취득하는 것을 금지하는 취득 제어를 수행하는 취득 제어 단계; 및
    상기 취득 제어 단계에서 취득 제어를 수행하는 상태에서 상기 콘텐츠 표시 단계에서 콘텐츠를 표시하는 경우, 상기 어드레스 표시 단계에서 어드레스를 표시하는 것을 금지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취득 제어 단계에서 취득 제어를 수행하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콘텐츠 표시 단계에서 콘텐츠를 표시하는 경우, 상기 어드레스 표시 단계에서 어드레스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 단계
    를 포함하는 정보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6. 제5항에 따른 정보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비일시적인(non-transitory) 기억 매체.
KR1020100118900A 2009-11-27 2010-11-26 웹 서버로부터 콘텐츠를 취득하고 그것을 표시 유닛에 표시하는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및 기억 매체 KR1012923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270304A JP5455582B2 (ja) 2009-11-27 2009-11-27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JP-P-2009-270304 2009-11-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9554A KR20110059554A (ko) 2011-06-02
KR101292347B1 true KR101292347B1 (ko) 2013-07-31

Family

ID=440686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8900A KR101292347B1 (ko) 2009-11-27 2010-11-26 웹 서버로부터 콘텐츠를 취득하고 그것을 표시 유닛에 표시하는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및 기억 매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867068B2 (ko)
JP (1) JP5455582B2 (ko)
KR (1) KR101292347B1 (ko)
CN (1) CN10208289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55253B (zh) * 2011-06-30 2016-04-13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浏览器及其浏览方法
CN103793436B (zh) * 2012-11-02 2019-04-02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浏览页面的方法及浏览器
US20140129927A1 (en) * 2012-11-02 2014-05-08 Tencent Technology (Shenzhen) Company Limited Page browsing method and browser
WO2014075510A1 (zh) 2012-11-16 2014-05-22 北京奇虎科技有限公司 文件管理方法及装置
CN103023972B (zh) * 2012-11-16 2015-11-25 北京奇虎科技有限公司 一种对文件进行管理的方法和装置
CN102999591B (zh) * 2012-11-16 2016-07-06 北京奇虎科技有限公司 文件管理方法及装置
JP2014157581A (ja) * 2013-02-18 2014-08-28 Sato Holdings Corp キャンペーンシステム、抽選媒体およびキャンペーン方法
CN104063151B (zh) * 2014-07-07 2017-03-01 可牛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一种浏览器页面处理方法及装置
JP6229695B2 (ja) * 2015-06-17 2017-11-15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通信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KR200488196Y1 (ko) 2016-04-14 2018-12-28 주식회사 충주목재산업 화환 받침대
KR200484826Y1 (ko) 2017-02-28 2017-10-30 김택수 화환받침대
CN111694531A (zh) * 2020-06-09 2020-09-22 重庆锐云科技有限公司 基于以太坊区块链的大屏展示控制系统、方法及存储介质
CN113760596B (zh) * 2021-09-10 2022-06-17 深圳市晶联讯电子有限公司 一种控制液晶显示屏显示方法、装置及介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39430A1 (en) * 2005-04-21 2006-10-26 Robert Gue Systems and methods of providing online protection
US20070130327A1 (en) * 2005-12-05 2007-06-07 Kuo Cynthia Y Browser system and method for warning users of potentially fraudulent websites
JP2008186065A (ja) * 2007-01-26 2008-08-14 Fuji Xerox Co Ltd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システムおよび表示制御プログラム
JP2009020741A (ja) * 2007-07-12 2009-01-29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015370A1 (en) * 2003-07-14 2005-01-20 Stavely Donald J.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JP4732155B2 (ja) * 2004-12-28 2011-07-2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制御方法
CN100474302C (zh) 2004-12-28 2009-04-01 佳能株式会社 图像处理装置及控制方法
JPWO2006087908A1 (ja) * 2005-02-18 2008-07-03 デュアキシズ株式会社 通信制御装置
JP4940639B2 (ja) * 2005-09-30 2012-05-3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CN100419758C (zh) 2005-11-25 2008-09-17 凌阳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嵌入式浏览装置及方法
US20100083383A1 (en) * 2008-09-30 2010-04-01 Apple Inc. Phishing shield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39430A1 (en) * 2005-04-21 2006-10-26 Robert Gue Systems and methods of providing online protection
US20070130327A1 (en) * 2005-12-05 2007-06-07 Kuo Cynthia Y Browser system and method for warning users of potentially fraudulent websites
JP2008186065A (ja) * 2007-01-26 2008-08-14 Fuji Xerox Co Ltd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システムおよび表示制御プログラム
JP2009020741A (ja) * 2007-07-12 2009-01-29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128573A1 (en) 2011-06-02
US8867068B2 (en) 2014-10-21
JP5455582B2 (ja) 2014-03-26
KR20110059554A (ko) 2011-06-02
JP2011114674A (ja) 2011-06-09
CN102082890A (zh) 2011-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2347B1 (ko) 웹 서버로부터 콘텐츠를 취득하고 그것을 표시 유닛에 표시하는 정보 처리 장치, 정보 처리 장치의 제어 방법 및 기억 매체
US9578084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for starting up a browser, user terminal,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US8607063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mage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for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JP5423746B2 (ja) 画像処理装置、アクセス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10142501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storage medium
JP5317802B2 (ja) 情報処理装置、画像形成システム、及び画面データ管理プログラム
JP5821904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6089769B2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システム
JP5812731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16024730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30125054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that displays icon,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image processing system, and storage medium
JP2011039679A (ja) 画像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5684766B2 (ja) 複合機およびシステム
JP2008186065A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システムおよび表示制御プログラム
JP5777741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
JP6582906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9157804A (ja) 印刷ジョブ管理装置、プログラム及び印刷システム
JP2016134117A (ja) 画像形成装置、情報処理装置及び構成情報更新システム
JP2015065542A (ja)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システムおよび画像形成プログラム
JP2011130326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7167684A (ja) 情報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505534B2 (ja) ジョブ管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15165383A (ja) オリジナルの選択を表示しつつアイテムを追加または削除して選択リストを修正するためのユーザーインターフェース方法
JP6134259B2 (ja) 文書管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2009077397A (ja) 画像処理ノード、および画像処理ノードを制御するための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