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8196Y1 - 화환 받침대 - Google Patents

화환 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8196Y1
KR200488196Y1 KR2020160002007U KR20160002007U KR200488196Y1 KR 200488196 Y1 KR200488196 Y1 KR 200488196Y1 KR 2020160002007 U KR2020160002007 U KR 2020160002007U KR 20160002007 U KR20160002007 U KR 20160002007U KR 200488196 Y1 KR200488196 Y1 KR 2004881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triangular
bar
dummy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20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3656U (ko
Inventor
김성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충주목재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충주목재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충주목재산업
Priority to KR20201600020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8196Y1/ko
Publication of KR2017000365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365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81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819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5/00Floral handling
    • A01G5/04Mountings for wreaths, or the like; Racks or holders for flowe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1/00Artificial flowers, fruit, leaves, or trees; Garlands
    • A41G1/04Garlands; Assembly of garla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Toys (AREA)

Abstract

화환 받침대에 관한 고안이다. 본 고안의 화환 받침대는, 하단부가 지면에 지지되되 삼각구도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제1 내지 제3 삼각 지지대; 상기 제1 삼각 지지대의 양측에 경사지게 배치되어 상기 제1 삼각 지지대를 지지하는 한 쌍의 경사형 빗장대; 상기 한 쌍의 경사형 빗장대의 주변에 배치되며, 상기 제2 및 제3 삼각 지지대에 결합되어 상기 제2 및 제3 삼각 지지대를 보강하는 보강대; 및 하단부가 상기 제1 삼각 지지대의 상단부에 접촉지지되는 메인 돌출블록을 구비하며, 상기 제1 내지 제3 삼각 지지대와 상기 한 쌍의 경사형 빗장대 사이에서 하단부가 고정되고 상하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메인 바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화환 받침대{GARLAND SUPPORT}
본 고안은, 화환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종전과 다르게 콤팩트하면서도 효율적인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단가를 낮추면서도 차량에 많이 실을 수 있어서 물류비용을 현저하게 낮출 수 있으며, 특히 단수 조절이 용이하기 때문에 1단 화환을 비롯하여 3단 화환에 이르기까지 사용할 수 있어 편리할 뿐만 아니라 그 편의성을 확장시킬 수 있는 화환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화환 받침대의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사용상태도이다. 경조사에 사용되는 화환은 도 1 및 도 2와 같은 화환 받침대(1) 상에 장식될 수 있다.
통상의 화환 받침대(1)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대나무로 제작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가 일반적이다.
그 이유는 화환이 일시적으로 장식되는 장식체임에 불과하고, 그 소유의 주체는 화환을 재사용할 필요가 대부분 없는 관계로 굳이 화환 받침대(1)를 고가의 재질로 마련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제작업체가 이를 다시 회수할 수 있는 권리도 없기 때문이다.
또한 대나무가 무게가 가벼우면서도 탄성이 뛰어나 받침대로서의 기능을 충분히 담당하고 있기 때문이며, 별도의 가공을 가하지 않은 대나무 자체의 재질은 화환의 모양과도 조화를 이루기 때문이다.
이러한 화환 받침대(1)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도시된 것은 3단형 화환을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서 먼저 대나무가 교체된 삼각받침대로 마련된 하부 받침대(2)에 지지판(3)과 입상지지대(4)가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3단의 화환인 경우 입상지지대(4)가 분리되어 스페이서(5)를 통해 후방으로 이격되게 설치되고, 입상지지대(4)의 중단 및 상단에 지지판(3)이 더 설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지지판(3)들은 후방으로 단차지게 기울어지는 위치가 확보되며, 여기에 상기 보습지지체가 설치되고 화환이 마련되어, 전체적으로 뒤로 약간 기울어지면서 삼각지지대인 하부 받침대(2)에 의해 안정된 균형을 취하고 있는 것이다.
그런데, 도 1 및 도 2와 같은 종래의 화환 받침대(1)는 그 구조적인 한계로 인해 화환의 단수 조절이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 도 1 및 도 3처럼 3단 화환용으로 일체로 제작할 수밖에 없는데, 이럴 경우 차량에 많이 실리지 않아서 물류비용이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다.
최근에는 1단 화환도 많이 사용되는 추세에 있다는 점을 감안할 때, 종전처럼 단수가 명확하게 구분되어 있는 경우에는 사용상의 편의성이 현저하게 떨어지고, 특히 물류비용이 상승될 수밖에 없다는 점을 고려해볼 때, 좀 더 획기적으로 개선된 형태의 화환 받침대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된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1-0037934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1-0059554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3-0019729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09-0003791호
본 고안의 목적은, 종전과 다르게 콤팩트하면서도 효율적인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단가를 낮추면서도 차량에 많이 실을 수 있어서 물류비용을 현저하게 낮출 수 있으며, 특히 단수 조절이 용이하기 때문에 1단 화환을 비롯하여 3단 화환에 이르기까지 사용할 수 있어 편리할 뿐만 아니라 그 편의성을 확장시킬 수 있는 화환 받침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하단부가 지면에 지지되되 삼각구도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제1 내지 제3 삼각 지지대; 상기 제1 삼각 지지대의 양측에 경사지게 배치되어 상기 제1 삼각 지지대를 지지하는 한 쌍의 경사형 빗장대; 상기 한 쌍의 경사형 빗장대의 주변에 배치되며, 상기 제2 및 제3 삼각 지지대에 결합되어 상기 제2 및 제3 삼각 지지대를 보강하는 보강대; 및 하단부가 상기 제1 삼각 지지대의 상단부에 접촉지지되는 메인 돌출블록을 구비하며, 상기 제1 내지 제3 삼각 지지대와 상기 한 쌍의 경사형 빗장대 사이에서 하단부가 고정되고 상하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메인 바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환 받침대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메인 바아의 상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넥터; 및 상기 커넥터와 연결되고 상기 메인 바아와 동축적으로 배치되며, 상하부에 한 쌍의 더미 돌출블록이 마련되는 더미 바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 바아는 회전축 모듈을 축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다.
상기 커넥터의 내면에는 상기 메인 바아와 상기 더미 바아의 삽입깊이를 제한하는 제1 및 제2 스토퍼가 마련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종전과 다르게 콤팩트하면서도 효율적인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단가를 낮추면서도 차량에 많이 실을 수 있어서 물류비용을 현저하게 낮출 수 있으며, 특히 단수 조절이 용이하기 때문에 1단 화환을 비롯하여 3단 화환에 이르기까지 사용할 수 있어 편리할 뿐만 아니라 그 편의성을 확장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화환 받침대의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환 받침대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3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서 메인 바아가 회전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환 받침대의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A 영역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화환 받침대에서 커넥터 영역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화환 받침대에서 커넥터 영역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고안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화환 받침대의 분해 사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컨대,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기 때문에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고안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한편, 본 고안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사전적 의미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고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의 설명 중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도록 하며, 경우에 따라 동일한 참조부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환 받침대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3의 배면 사시도, 도 6은 도 3의 측면도, 그리고 도 7은 도 6에서 메인 바아가 회전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화환 받침대(100)는 종전과 다르게 콤팩트하면서도 효율적인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단가를 낮추면서도 차량에 많이 실을 수 있어서 물류비용을 현저하게 낮출 수 있으며, 특히 단수 조절이 용이하기 때문에 1단 화환을 비롯하여 3단 화환에 이르기까지 사용할 수 있어 편리할 뿐만 아니라 그 편의성을 확장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제1 내지 제3 삼각 지지대(111~113), 한 쌍의 경사형 빗장대(120), 보강대(130), 그리고 메인 바아(14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화환 받침대(100)들을 이루는 구성들은 목재로 제작될 수 있으나 금속이나 플라스틱으로 적용될 수도 있다.
제1 내지 제3 삼각 지지대(111~113)는 실질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화환 받침대(10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적은 구성으로 화환 받침대(1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3개의 제1 내지 제3 삼각 지지대(111~113)가 마련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내지 제3 삼각 지지대(111~113)는 하단부가 지면에 지지되되 삼각구도로 경사지게 배치되어 본 실시예에 따른 화환 받침대(1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참고로, 제1 내지 제3 삼각 지지대(111~113)는 120도씩 벌어질 수 있으나 반드시 이의 각도를 유지할 필요는 없다. 또한 제1 내지 제3 삼각 지지대(111~113)의 길이는 서로 다를 수 있다.
한 쌍의 경사형 빗장대(120)는 제1 삼각 지지대(111)의 양측에 경사지게 배치되어 제1 삼각 지지대(111)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경사형 빗장대(120) 상에 회전축 모듈(170)이 결합될 수 있다.
보강대(130)는 한 쌍의 경사형 빗장대(120)의 주변에 배치되며, 제2 및 제3 삼각 지지대(112,113)에 결합되어 제2 및 제3 삼각 지지대(112,113)를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보강대(130)가 제2 및 제3 삼각 지지대(112,113)에 결합되기 때문에 제2 및 제3 삼각 지지대(112,113)에 결합가 후방으로 밀리지 않는다. 이때, 제2 및 제3 삼각 지지대(112,113)는 한 쌍의 경사형 빗장대(120)와 결합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제1 내지 제3 삼각 지지대(111~113)는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하면서 지면에 지지될 수 있다.
메인 바아(140)는 제1 내지 제3 삼각 지지대(111~113)와 한 쌍의 경사형 빗장대(120) 사이에서 하단부가 고정되고 상하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부재이다.
메인 바아(140)에는 그 하단부가 제1 삼각 지지대(111)의 상단부에 접촉지지되는 메인 돌출블록(142)이 마련된다.
이러한 메인 바아(140)를 통해 화환이 결합될 수 있다. 이때, 화환은 메인 바아(140)를 뼈대로 하여 만들어질 수 있고, 혹은 별도로 만들어진 후에 메인 바아(140)에 결합될 수도 있다.
메인 바아(140)는 상하 방향으로 수직되게 배치되는 것이 일반적일 수 있지만 도 7처럼 일정한 각도로 회전될 수도 있다. 즉 설치 장소가 협소할 때, 혹은 물류 이송에 제약이 있을 때 메인 바아(140)는 도 7처럼 일정한 각도로 회전될 수도 있다. 이때는 회전축 모듈(170)을 축심으로 하여 메인 바아(140)가 회전될 수 있다. 회전축 모듈(170)은 조임과 풀림이 가능한 스크루인 것이 바람직하나 나사못이어도 무방하다.
한편, 메인 바아(140)만 단독으로 사용할 때는 1단 화환일 수 있다. 하지만, 필요에 따라 키가 큰 2단 화환이 사용될 수도 있다.
이처처럼 키가 큰 2단 화환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전술한 구조 외에 커넥터(150)와, 더미 바아(160)가 더 활용될 수 있다.
커넥터(150)는 메인 바아(140)의 상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부재로서, 메인 바아(140)와 더미 바아(160)를 연결한다. 이처럼 커넥터(150)는 연결 역할을 하기 때문에 강성이 있는 재질, 예컨대 금속이나 적어도 강성이 우수한 플라스틱으로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미 바아(160)는 그 하단부가 커넥터(150)와 연결되고 메인 바아(140)와 동축적으로 배치되는 부재로서, 상하부에 한 쌍의 더미 돌출블록(162)이 마련된다.
앞서 기술한 메인 돌출블록(142)과 더불어 더미 돌출블록(162)들에는 도 1과 같은 지지판이 앉혀질 수도 있다. 그리고 메인 돌출블록(142)과 더미 돌출블록(162)은 기본적으로 못 등을 통해 해당 위치에 고정되지만 돌기 및 홈의 구조를 통해 착탈식으로 구현할 수도 있을 것이다.
커넥터(150)에 의해 더미 바아(160)가 더 연결될 경우, 전술한 것처럼 키가 큰 2단 화환을 구현할 수 있다.
특히, 물류 이송 시 커넥터(150)와, 더미 바아(160)는 분리한 상태로 이송할 수 있기 때문에 물류 이송에 탁월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와 작용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종전과 다르게 콤팩트하면서도 효율적인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단가를 낮추면서도 차량에 많이 실을 수 있어서 물류비용을 현저하게 낮출 수 있으며, 특히 단수 조절이 용이하기 때문에 1단 화환을 비롯하여 3단 화환에 이르기까지 사용할 수 있어 편리할 뿐만 아니라 그 편의성을 확장시킬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환 받침대의 측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A 영역의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화환 받침대(200) 역시, 제1 내지 제3 삼각 지지대(111~113), 한 쌍의 경사형 빗장대(120), 보강대(130), 그리고 메인 바아(240)를 포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실시예에 따른 화환 받침대(200)는 2단 화환의 구현을 위해 커넥터(250)와, 더미 바아(2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커넥터(250)의 내면에는 메인 바아(240)와 더미 바아(260)의 삽입깊이를 제한하는 제1 및 제2 스토퍼(251,252)가 마련된다.
본 실시예처럼 커넥터(250)의 내면에 제1 및 제2 스토퍼(251,252)가 마련되면 제1 및 제2 스토퍼(251,252)까지만 메인 바아(240)와 더미 바아(260)를 삽입시키면 되기 때문에 조립 작업이 편리해지는 이점이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종전과 다르게 콤팩트하면서도 효율적인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단가를 낮추면서도 차량에 많이 실을 수 있어서 물류비용을 현저하게 낮출 수 있으며, 특히 단수 조절이 용이하기 때문에 1단 화환을 비롯하여 3단 화환에 이르기까지 사용할 수 있어 편리할 뿐만 아니라 그 편의성을 확장시킬 수 있다.
도 10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화환 받침대에서 커넥터 영역의 단면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화환 받침대(300) 역시, 2단 화환의 구현을 위해 커넥터(350)에 의해 메인 바아(340)와 더미 바아(360)가 연결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커넥터(350)의 내면에는 제1 및 제2 스토퍼(351,352)가 마련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커넥터(350)의 내면에는 제1 및 제2 스토퍼(351,352)에 이웃된 위치에 나사식 치형(353,354)이 마련된다. 나사식 치형(353,354)은 메인 바아(340)와 더미 바아(360)가 좀 더 견고하게 끼워질 수 있도록 하여 이들이 임의로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종전과 다르게 콤팩트하면서도 효율적인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단가를 낮추면서도 차량에 많이 실을 수 있어서 물류비용을 현저하게 낮출 수 있으며, 특히 단수 조절이 용이하기 때문에 1단 화환을 비롯하여 3단 화환에 이르기까지 사용할 수 있어 편리할 뿐만 아니라 그 편의성을 확장시킬 수 있다.
도 11은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화환 받침대에서 커넥터 영역의 단면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화환 받침대(400) 역시, 2단 화환의 구현을 위해 커넥터(450)에 의해 메인 바아(440)와 더미 바아(460)가 연결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커넥터(450)의 내면에는 상호간 대칭되게 경사부(451,452)가 형성된다. 경사부(451,452)는 스토퍼(stopper) 역할을 한다. 즉 메인 바아(440)와 더미 바아(460)가 끼워질 때, 경사부(451,452)의 경사구배로 인해 견고하게 끼워지도록 하여 이들이 임의로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종전과 다르게 콤팩트하면서도 효율적인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단가를 낮추면서도 차량에 많이 실을 수 있어서 물류비용을 현저하게 낮출 수 있으며, 특히 단수 조절이 용이하기 때문에 1단 화환을 비롯하여 3단 화환에 이르기까지 사용할 수 있어 편리할 뿐만 아니라 그 편의성을 확장시킬 수 있다.
도 12는 본 고안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화환 받침대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화환 받침대(500) 역시, 제1 내지 제3 삼각 지지대(111~113), 한 쌍의 경사형 빗장대(120), 보강대(130), 그리고 메인 바아(140)를 포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실시예에 따른 화환 받침대(500)는 2단 화환의 구현을 위해 커넥터(550)와, 다수의 더미 돌출블록(562)을 구비하는 더미 바아(5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커넥터(550)는 다수의 야광띠(561)가 마련된다. 이때, 야광띠(561)의 개수는 본 실시예의 화환 받침대(500)가 2단으로 사용됨으로써 2개가 될 수 있다.
그리고 더미 바아(560) 상에서 더미 돌출블록(562)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더미 돌출블록(562)에는 결합식 돌기(562a)가 마련되고, 더미 바아(560)에는 돌기홈(560a)이 마련될 수 있다. 이처럼 더미 돌출블록(562)가 착탈식으로 구현되면 필요에 따라 더미 돌출블록(562)을 다른 종류 혹은 다른 사이즈로 교체할 수 있어서 또 다른 효과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종전과 다르게 콤팩트하면서도 효율적인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단가를 낮추면서도 차량에 많이 실을 수 있어서 물류비용을 현저하게 낮출 수 있으며, 특히 단수 조절이 용이하기 때문에 1단 화환을 비롯하여 3단 화환에 이르기까지 사용할 수 있어 편리할 뿐만 아니라 그 편의성을 확장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고안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화환 받침대 111~113 : 삼각 지지대
120 : 경사형 빗장대 130 : 보강대
140 : 메인 바아 142 : 메인 돌출블록
150 : 커넥터 160 : 더미 바아
162 : 더미 돌출블록 170 : 회전축 모듈

Claims (4)

  1. 하단부가 지면에 지지되되 삼각구도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제1 내지 제3 삼각 지지대;
    상기 제1 삼각 지지대의 양측에 경사지게 배치되어 상기 제1 삼각 지지대를 지지하는 한 쌍의 경사형 빗장대;
    상기 한 쌍의 경사형 빗장대의 주변에 배치되며, 상기 제2 및 제3 삼각 지지대에 결합되어 상기 제2 및 제3 삼각 지지대를 보강하는 보강대; 및
    하단부가 상기 제1 삼각 지지대의 상단부에 접촉지지되는 메인 돌출블록을 구비하며, 상기 제1 내지 제3 삼각 지지대와 상기 한 쌍의 경사형 빗장대 사이에서 하단부가 고정되고 상하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메인 바아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바아의 상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넥터; 및
    상기 커넥터와 연결되고 상기 메인 바아와 동축적으로 배치되며, 상하부에 한 쌍의 더미 돌출블록이 마련되는 더미 바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더미 돌출블록에는 결합식 돌기가 마련되고, 상기 더미 바아에는 돌기홈이 마련되어 상기 더미 바아 상에서 상기 더미 돌출블록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메인 바아는 회전축 모듈을 축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며,
    상기 커넥터의 내면에는 상기 메인 바아와 상기 더미 바아의 삽입깊이를 제한하는 제1 및 제2 스토퍼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환 받침대.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2020160002007U 2016-04-14 2016-04-14 화환 받침대 KR2004881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2007U KR200488196Y1 (ko) 2016-04-14 2016-04-14 화환 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2007U KR200488196Y1 (ko) 2016-04-14 2016-04-14 화환 받침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3656U KR20170003656U (ko) 2017-10-24
KR200488196Y1 true KR200488196Y1 (ko) 2018-12-28

Family

ID=604080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2007U KR200488196Y1 (ko) 2016-04-14 2016-04-14 화환 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8196Y1 (ko)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78134B2 (ja) 2008-07-03 2014-04-2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乾燥機構を備えた衛生洗浄装置
KR20090003791U (ko) 2008-07-21 2009-04-22 이영구 건축용 판넬과 이의 설치구조
JP5455582B2 (ja) 2009-11-27 2014-03-26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KR20120120566A (ko) * 2011-04-25 2012-11-02 정승화 접철식 경조사용 화환대
KR20130019729A (ko) 2011-08-17 2013-02-27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평판표시장치용 세정액 조성물 및 평판표시장치의 세정 방법
KR20140005919U (ko) * 2013-05-15 2014-11-25 김영철 높이 조절 및 각도 조절이 용이한 화환 받침대
KR101686976B1 (ko) * 2014-07-29 2016-12-16 유석찬 화환 지지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3656U (ko) 2017-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532290S1 (en) Flat television wall mounting hardware with lockable bottom tilt positioning
USD545137S1 (en) Collapsible storage container
TW201710156A (zh) 強化型組合式棧板
KR200488196Y1 (ko) 화환 받침대
KR100683494B1 (ko) 넉다운 가구
KR200449031Y1 (ko) 포장운반상자의 고정장치
CN102578804A (zh) 可拆卸桌子
KR20090030379A (ko) 물품포장용 파레트의 모서리 연결구조
KR200404122Y1 (ko) 조립식 박스
KR20030021331A (ko) 다용도 조립식 수납 가구
KR102461622B1 (ko) 3방향 끼움 결합에 의한 간편 조립구조의 테이블 프레임
KR20130106117A (ko) 테이블
JP3214234U (ja) 組立式収納コンテナ
KR102270346B1 (ko) 연결 브라켓 기반의 데스크 다리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데스크
CN206880369U (zh) 全榫卯可拆装桌子
KR20060128674A (ko) 넉다운 가구의 조립구
KR102404696B1 (ko) 절첩식 화환 거치대
KR101677588B1 (ko) 조립식 가구
CN202514915U (zh) 可拆卸桌子
KR20120003802U (ko) 방송장비 보관용 랙
USD582997S1 (en) Support bars for a treadmill
KR200396163Y1 (ko) 넉다운 가구의 조립구
KR100825018B1 (ko) 침대
CN211544590U (zh) 一种插架
USD478998S1 (en) Shelter fr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1000225;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1000225;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70116

Effective date: 20180823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