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2200B1 - 구판에 함유된 항노화, 항산화 및 항염증 생리활성에 관여하는 유효성분 추출 효율이 증가된 구판 발효물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구판에 함유된 항노화, 항산화 및 항염증 생리활성에 관여하는 유효성분 추출 효율이 증가된 구판 발효물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2200B1
KR101292200B1 KR1020130039682A KR20130039682A KR101292200B1 KR 101292200 B1 KR101292200 B1 KR 101292200B1 KR 1020130039682 A KR1020130039682 A KR 1020130039682A KR 20130039682 A KR20130039682 A KR 20130039682A KR 101292200 B1 KR101292200 B1 KR 1012922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rmentation
solid
plate
powder
spher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96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수
강명화
채종걸
심태경
한진택
전영석
이철우
고대경
이재석
김현창
황성준
백영미
장성일
정택근
조은숙
안선규
이수형
장승호
김근홍
허정은
서지영
황성연
김기정
Original Assignee
김용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수 filed Critical 김용수
Priority to KR10201300396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22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22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220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56Materials from animals other than mammals
    • A61K35/58Repti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56Materials from animals other than mammals
    • A61K35/58Reptiles
    • A61K35/586Turtles; Tortoises, e.g. terrapi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yc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판 효소 반응물에 황국균(Aspergillus oryzae), 효모(yeast) 및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의 혼합균주를 접종한 후 고상 발효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상 발효 구판 발효물의 제조방법,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고상 발효 구판 발효물 및 상기 고상 발효 구판 발효물을 이용한 가공식품에 관한 것으로, 상기 고상 발효 구판 발효물은 의약품, 식품, 화장품 산업 등에 총 플라보노이드 및 총 페놀 화합물 함량의 증진 및 항산화 활성이 증진된 기능성 원료로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Description

구판에 함유된 항노화, 항산화 및 항염증 생리활성에 관여하는 유효성분 추출 효율이 증가된 구판 발효물의 제조방법{Method for producing fermented Testudinis plastrum with increased extraction efficency of active ingredient related to anti-aging,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y contained in Testudinis plastrum}
본 발명은 구판에 함유된 항노화, 항산화 및 항염증 생리활성에 관여하는 유효성분 추출 효율이 증가된 구판 발효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구판 효소 반응물에 황국균(Aspergillus oryzae), 효모(yeast) 및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의 혼합균주를 접종한 후 고상 발효하여 제조하는 고상 발효 구판 발효물의 제조방법,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고상 발효 구판 발효물 및 상기 고상 발효 구판 발효물을 이용한 가공식품에 관한 것이다.
항산화제에 대한 연구는 1969년 SOD 발견을 계기로 시작되었다. 항산화제는 활성산소의 독작용을 제거하여 생체를 보호하게 되는데 항산화 물질이 활성산소를 적절히 제거하지 못할 경우 축적되는 활성산소에 의해 여러 가지 질병이나 노화가 초래된다고 알려져 있다. 항산화제는 인체 내에 자연적으로 존재하는 것과 외부에서 투여해 주는 것으로 나눌 수 있다. 인체 내에 자연적으로 존재하는 항산화제로는 SOD, 글루타치온 및 페록시다제 등의 효소와 요산, 빌리루빈 등이 있으며 외부에서 투여해 주는 것으로 비타민 E, C, 베타카로틴이 있으며 미네랄 중에는 셀레니움이 대표적이다. 그 밖에도 멜라토닌 같은 호르몬, 천연물에 많이 들어 있는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성분 등이 대표적인 항산화제들이다.
최근 합성물질의 부작용 등으로 인하여 천연에서 유래되는 활성물질들이 주목을 받고 있다. 페놀 화합물은 플라보노이드류, 안토시아닌류, 탄닌류, 카테킨류, 이소플라본류 및 리그닌류 등을 총칭하며, 페놀 화합물에 존재하는 다수의 히드록실기(-OH)는 여러 화합물과 쉽게 결합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어 항산화, 항암 및 항염 효과가 뛰어나다. 그 중 사람이 섭취하는 음식에 매우 다양하게 존재하는 플라보노이드류(flavonoids)의 기능성 및 생리활성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데, 매우 강력한 항산화 및 항균효과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플라보노이드류는 특히 심혈관계 질환, 뇌혈관계 질환, 암, 그리고 천식, 백내장, 당뇨, 관절염 등 다양한 만성질환에 효과를 보이고 있으므로 인구고령화에 따른 만성질환의 예방식품소재로서 매우 높은 가능성과 산업적 가치를 지니고 있다.
구판은 남생이과에 속한 남생이(Geoclemys reevesii Gray)의 복갑을 육을 제거하고 건조한 것으로 원형의 방사형을 이루며 길이는 15cm, 너비는 5~8cm 정도를 이룬다. 외표면의 엷은 황색으로 그물망의 무늬를 가지며, 각판은 12쪽으로 되어 있다. 질은 견고하여 부수기 힘들며 힘을 주면 벌어지기도 한다. 연중 가능하나, 가을과 겨울에 많이 포획하며 중국의 호북, 호남, 강소 및 절강 등에서 주로 생산되며, 우리나라에서도 소량 생산된다.
구판은 주로 신장(콩팥)에 작용하여 신의 음기를 보강해 주는 효능이 큰 약재로 신장을 보하면서 큰골을 튼튼하게 하고 성질이 서늘하여 발열증에도 응용된다. 또한 혈분이 부족한 것을 충만하게 하고 양기가 위로 솟구쳐 오르는 것을 막아주고, 신이 허하여 허리와 다리가 약해지면서 식은땀이 나고 뼈 속에서 후끈거리는 듯한 열감, 목안이 아픈 증상, 어지럼증, 귀 울음, 가슴 두근거림, 유정, 자궁출혈, 치질 및 학질(말라리아) 등에 응용된다.
상기와 같은 구판은 구판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이 쥐 골수유래 간엽줄기세포의 증식을 향상시킨다는 보고가 있으며, 구판의 LPS로 유도된 염증반응 억제 효과를 입증한 바 있다. 또한, 구판의 95% 에탄올 추출물에서 항산화 효과가 보고되었으나, 현재로는 구판의 발효 및 고상 발효에 대한 기능성 생리활성 효과는 보고된 바 없다.
한편, 한국등록특허 제1160249호에는 자라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질환의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과 같이 구판에 함유된 항노화, 항산화 및 항염증 생리활성에 관여하는 유효성분 추출 효율이 증가된 구판 발효물의 제조방법에 대해서는 밝혀진 바가 없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구판 효소 반응물에 황국균(Aspergillus oryzae), 효모(yeast) 및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의 혼합균주를 접종한 후 고상 발효한 구판 발효물이 비발효 구판 효소 반응물에 비해 항산화 활성, 총 플라보노이드 및 페놀 함량이 증진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구판 효소 반응물에 황국균(Aspergillus oryzae), 효모(yeast) 및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의 혼합균주를 접종한 후 고상 발효하여 제조하는 고상 발효 구판 발효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고상 발효 구판 발효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고상 발효 구판 발효물을 이용한 가공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상 발효 구판 발효물은 항산화 활성, 총 플라보노이드 및 총 페놀 화합물 함량이 증진되어, 소비자들의 건강에 유익한 발효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의 몇 개월에서 수년 소요되었던 발효기간을 2~6일 내로 획기적으로 단축시켜 보다 경제적인 방법으로 구판 발효물을 제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고상 발효 구판 발효물은 의약품, 식품, 화장품 산업 등에 항산화 활성, 총 플라보노이드 및 페놀 함량이 증진된 기능성 원료로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한 구판 발효물의 유효 성분의 함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A) 총 페놀 화합물 함량; (B)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Bf0, 발효 전 0배 희석액; Bf10, 발효 전 10배 희석액; Bf50, 발효 전 50배 희석액; AF0, 발효 후 0배 희석액; AF10, 발효 후 10배 희석액; AF50, 발효 후 50배 희석액)
도 2는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한 구판 발효물의 생리활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A) ABTS 라디칼 소거능; (B) DPPH 라디컬 소거능; (C) SOD 유사활성 (Bf0, 발효 전 0배 희석액; Bf10, 발효 전 10배 희석액; Bf50, 발효 전 50배 희석액; AF0, 발효 후 0배 희석액; AF10, 발효 후 10배 희석액; AF50, 발효 후 50배 희석액)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 구판 분말에 물을 첨가하여 침지하는 단계;
(b) 상기 (a)단계의 구판 분말 침지물을 건조한 후 분쇄하여 구판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c) 상기 (b)단계의 구판 분말을 가온하는 단계;
(d) 상기 (c)단계의 가온한 구판분말에 단백질 분해효소를 첨가하여 1차 효소 반응하고, 케라틴 분해효소를 첨가하여 2차 효소 반응하는 단계;
(e) 상기 (d)단계의 2차 효소 반응물에 황국균(Aspergillus oryzae), 효모(yeast) 및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의 혼합균주를 접종한 후 고상 발효하는 단계; 및
(f) 상기 (e)단계의 고상 발효물을 열수 추출한 열수 추출물을 농축 및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상 발효 구판 발효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고상 발효 구판 발효물의 제조방법은 구체적으로는
(a) 구판 분말에 물을 첨가하여 7~9시간 동안 침지하는 단계;
(b) 상기 (a)단계의 구판 분말 침지물을 건조한 후 180~200 메쉬(mesh) 입자 크기로 분쇄하여 구판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c) 상기 (b)단계의 구판 분말을 수분함량 35~45%, 55~65℃의 반응기에서 2~4시간 동안 가온하는 단계;
(d) 상기 (c)단계의 가온한 구판분말에 단백질 분해효소를 첨가하여 50~60℃에서 45~50시간 동안 1차 효소 반응하고, 케라틴분해효소를 첨가하여 50~60℃에서 45~50시간 동안 2차 효소 반응하는 단계;
(e) 상기 (d)단계의 2차 효소 반응물에 황국균(Aspergillus oryzae), 효모(yeast) 및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의 혼합균주를 접종한 후 55~65℃에서 42~54시간 동안 고상 발효하는 단계; 및
(f) 상기 (e)단계의 고상 발효물을 열수 추출한 열수 추출물을 농축 및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상 발효 구판 발효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상기 방법은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총 페놀 화합물 함량 등의 기능성 성분 및 항산화 활성 등의 생리활성 효능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당도가 급증하여 기호도가 우수한 발효물로 제조할 수 있으나, 균주의 종류 및 발효조건이 상기 조건을 벗어나 발효물을 제조하는 경우 기능성 및 기호도가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고상발효(solid-state fermentation)는 액상발효(submerged fermentation)와 달리 흐르는 액체없이 고체기질을 대상으로 미생물을 배양하는 것을 의미하며, 구판 효소 반응물에 비해 상기와 같이 고상 발효하여 발효물을 제조하는 것이 총 플라보노이드, 총 페놀 화합물 함량 등의 기능성 성분 및 항산화 활성 등의 생리활성 효능을 증진시킬 수 있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고상 발효 구판 발효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고상 발효 구판 발효물을 이용한 가공식품을 제공한다. 상기 가공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고상 발효 구판 발효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쵸코렛,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가공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제조예 1: 구판 효소 반응물 제조
구판을 분쇄 및 가수분해하여 효소처리가 가능하도록 분말을 제조하였다. 상기 분말로 제조한 구판 분말이 물에 잠길 정도로 물을 첨가하여 7~9시간 동안 가수분해하였다. 상기 침출액을 건조한 후 180~200 메쉬(mesh) 입자 크기로 분쇄하여 구판 분말을 제조하고, 구판 분말을 반응기에 넣어 수분함량을 35~45%로 만든 후, 55~65℃에서 2~4시간 동안 가온하였다. 상기 가온 습윤 구판분말에 프로테아제(protease)를 첨가하여 50~60℃에서 45~50시간 동안 1차 효소 반응하고, 케라티네이즈(keratinase)를 첨가하여 50~60℃에서 45~50시간 동안 2차 효소 반응시켰다.
제조예 2: 고상 발효 구판 발효물 제조
상기 제조예 1의 방법으로 제조된 구판 효소 반응물에 황국균(Aspergillus oryzae), 효모(yeast) 및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의 혼합균주를 무균적으로 접종하고 교반하였다. 교반한 배양물을 55~65℃ 배양기에 넣고 42~54시간 3차 고상 발효하였다. 상기 고상 발효한 발효물을 섞은 후 추출기에 넣어 정제수를 넣어 85~95℃에서 1차 열수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추출물을 여과한 후 다시 정제수를 넣어 2차 열수 추출하였다. 상기 1차, 2차 열수 추출물을 혼합하여 15brix가 되도록 농축하고, 이를 Spray Dryer를 사용하여 수분 4~8%로 건조한 후, 건조된 고상 발효 구판 발효물을 미립자분쇄기로 분쇄하였다.
실험방법
1. 시료의 추출
상기 제조예 1 내지 2의 방법으로 제조된 시료와 증류수를 1:20으로 하여 60℃로 맞춘 항온수조에 24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추출물은 각각 0배, 10배 및 50배로 연속 희석액을 제조하였다.
2. 총 페놀 화합물 함량
1㎎/㎖의 농도로 제조된 시료 추출물 0.1㎖를 취하여 2%(w/v) Na2CO3 용액 2㎖를 가하고 2분간 방치한 후, 50% 폴린 시오칼토 시약 0.2㎖를 첨가하여 30분간 상온에서 방치하였다. 이 혼합물을 7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3.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90% 디에틸렌 글리콜 10㎖에 구판 추출물 0.2㎖을 가하여 혼합 후 4N-NaOH 용액 0.2㎖을 가하여 30℃에서 5분 방치 후 42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플라보노이드 성분 정량을 위한 검량성은 0~1.0㎎/㎖의 농도의 루틴(rutin)을 이용하여 작성하였고, 모든 과정은 3회 반복 측정하였다.
4. ABTS 라디컬 소거능
시료 0.2㎖에 0.1M 인산 완충 용액(pH 0.5) 1㎖과 10mM의 과산화수소 0.2ml을 가한 후 이 혼합물을 37℃에서 5분간 반응시켰다. 그 후 1.25 mM ABTS 0.3㎖와 페록시다아제(1U/ml) 0.3㎖를 가하여 37℃에서 10분간 반응시키고 40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ABTS 라디칼 소거능(%) = ( A - B ) / A * 100
A : 시료 무 첨가군의 흡광도
B : 시료 첨가군의 흡광도
5. DPPH 소거능 측정
항산화 활성은 하이드라질(hydrazyl)에 불안정한 상태의 질소원자가 수소원자를 받아들이는 성질을 이용해 항산화물질과 반응하여 자체의 정색성을 소실하는 DPPH(1,1-diphenyl-2-picrydrazyl)의 환원력을 이용하는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분광광도계를 사용하여 517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다음 식으로 계산하였다.
EDA (Electro donating ability, %) = (1-A/B) × 100
A: 시료의 흡광도
B: 대조군의 흡광도
6. SOD 유사활성 실험
시료 0.2ml에 Tris-HCl 버퍼(50mM tris[hydroxymethyl] amino-methane + 10mM EDTA, pH8.5) 3㎖과 7.2mM 피르갈롤 0.2㎖를 첨가하여 25℃에서 10분간 반응시킨 후 1N HCl 1㎖을 가하여 반응을 정지시켰다. 반응액 중 산화된 피르갈롤의 양은 42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모든 과정은 3회 반복 측정하였다.
SOD 유사활성 실험= ( A - B ) / A * 100
A : 시료무 첨가군의 흡광도
B : 시료 첨가군의 흡광도
7. pH 및 당도 측정
상기 제조예 1 내지 2의 방법으로 제조된 시료와 증류수를 1:20(v/v)으로 하여 60℃로 맞춘 항온수조에 24시간 동안 추출하여, pH 측정은 pH 측정기(pH-720L, Inolab WTW, Germany)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당도 측정은 당도계(Atago Pocket PAL-03S, Atago Co, Tokyo, Japan)를 사용하였다.
실시예 1: 총 페놀 함량
상기 제조예 1 내지 2의 방법으로 제조된 0배, 10배, 50배로 제조한 연속희석액의 총 페놀 화합물 함량을 비교한 결과, 고상 발효하여 제조된 구판 발효물(제조예 2; AF0, AF10, AF50)이 발효 처리를 하지 않은 구판 효소 반응물(제조예 1; Bf0, Bf10, Bf50)보다 총 페놀 화합물 함량이 약 15배, 3배 및 2배로 각각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 (도 1A 및 표 1).
실시예 2: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상기 제조예 1 내지 2의 방법으로 제조된 0배, 10배, 50배로 제조한 연속희석액의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비교한 결과, 고상 발효하여 제조된 구판 발효물(제조예 2; AF0, AF10, AF50)이 발효 처리를 하지 않은 구판 효소 반응물(제조예 1; Bf0, Bf10, Bf50)보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대략 2배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 (도 1B 및 표 1).
구판 발효물 및 구판 비발효물의 총 페놀 화합물 함량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시료 총 페놀 화합물 함량 (mg/mL)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mg/mL)
Bf0 0.6 ± 0.02 0.98 ± 0.04
Bf10 0.44 ± 0.00 0.54 ± 0.03
Bf50 0.37 ± 0.01 0.46 ± 0.03
AF0 8.99 ± 0.11 2.44 ± 0.31
AF10 1.35 ± 0.02 1.51 ± 0.06
AF50 0.76 ± 0.05 0.84 ±0.01
실시예 3: ABTS 라디컬 소거능
상기 제조예 1 내지 2의 방법으로 제조된 0배, 10배, 50배로 제조한 연속희석액의 ABTS 라디컬 소거능을 비교한 결과, 고상 발효하여 제조된 구판 발효물(제조예 2; AF0)에서 58.86±0.61%로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다(도 2A 및 표 2).
실시예 4: DPPH 소거능 측정
상기 제조예 1 내지 2의 방법으로 제조된 0배, 10배, 50배로 제조한 연속희석액의 DPPH를 이용한 항산화 활성 측정 결과, 흡광도 측정값의 차가 고상 발효하여 제조된 구판 발효물(제조예 2; AF0)에서 31.40%로 다른 시료에 비해 3배 이상 차이나는 것을 보아 가장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도 2B 및 표 2).
실시예 5: SOD 유사활성 측정
상기 제조예 1 내지 2의 방법으로 제조된 0배, 10배, 50배로 제조한 연속희석액의 SOD 유사활성 측정 결과, 고상 발효하여 제조된 구판 발효물(제조예 2; AF0)에서 89.61±0.49%로 가장 높은 결과가 보였다. 제조예 1 내지 2의 방법으로 제조된 희석액의 0배, 10배, 50배로 갈수록 항산화력이 낮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2C 및 표 2).
구판 발효물 및 구판 비발효물의 ABTS 라디컬 소거능, DPPH 소거능 및 SOD 유사활성
시료 ABTS
라디컬 소거능(%)
DPPH 소거능(%) SOD 유사활성 (%)
0min 30min
Bf0 1.03 ± 0.79 28.65 41.16 79.55 ± 0.03
Bf10 2.02 ± 0.39 34.44 45.97 33.08 ± 1.65
Bf50 10.16 ± 3.11 34.01 43.51 8.76 ± 6.73
AF0 58.86 ± 0.61 53.86 85.26 89.61 ± 0.49
AF10 2.75 ± 0.23 24.49 31.11 79.26 ± 2.24
AF50 2.08 ± 0.09 24.33 34.49 58.78 ± 6.67
실시예 6: pH 및 당도 측정
상기 제조예 1 내지 2의 방법으로 제조된 시료의 pH 및 당도 측정 결과는 표 3과 같다. 그 결과 제조예 1의 효소 반응물은 pH 6.97로 중성이었고, 고상 발효하여 제조된 구판 발효물인 제조예 2의 발효물은 pH 5.02로 산성을 나타냈다. 제조예 1의 효소 반응물은 당도는 0.3brix이었고, 고상 발효하여 제조된 구판 발효물인 제조예 2의 발효물은 제조예 1의 효소 반응물에 비해 18배 이상 증가한 5.6brix로 당도가 급증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구판 발효물 및 구판 비발효물의 pH 및 당도
시료 pH 당도
Bf 6.97 0.3
AF 5.02 5.6

Claims (4)

  1. (a) 구판 분말에 물을 첨가하여 침지하는 단계;
    (b) 상기 (a)단계의 구판 분말 침지물을 건조한 후 분쇄하여 구판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c) 상기 (b)단계의 구판 분말을 가온하는 단계;
    (d) 상기 (c)단계의 가온한 구판분말에 단백질 분해효소를 첨가하여 1차 효소 반응하고, 케라틴 분해효소를 첨가하여 2차 효소 반응하는 단계;
    (e) 상기 (d)단계의 2차 효소 반응물에 황국균(Aspergillus oryzae), 효모(yeast) 및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의 혼합균주를 접종한 후 고상 발효하는 단계; 및
    (f) 상기 (e)단계의 고상 발효물을 열수 추출한 열수 추출물을 농축 및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상 발효 구판 발효물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a) 구판 분말에 물을 첨가하여 7~9시간 동안 침지하는 단계;
    (b) 상기 (a)단계의 구판 분말 침지물을 건조한 후 180~200 메쉬(mesh) 입자 크기로 분쇄하여 구판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c) 상기 (b)단계의 구판 분말을 수분함량 35~45%, 55~65℃의 반응기에서 2~4시간 동안 가온하는 단계;
    (d) 상기 (c)단계의 가온한 구판분말에 단백질 분해효소를 첨가하여 50~60℃에서 45~50시간 동안 1차 효소 반응하고, 케라틴분해효소를 첨가하여 50~60℃에서 45~50시간 동안 2차 효소 반응하는 단계;
    (e) 상기 (d)단계의 2차 효소 반응물에 황국균(Aspergillus oryzae), 효모(yeast) 및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의 혼합균주를 접종한 후 55~65℃에서 42~54시간 동안 고상 발효하는 단계; 및
    (f) 상기 (e)단계의 고상 발효물을 열수 추출한 열수 추출물을 농축 및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상 발효 구판 발효물의 제조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의 방법으로 제조된 고상 발효 구판 발효물.
  4. 제3항의 고상 발효 구판 발효물을 이용한 가공식품.
KR1020130039682A 2013-04-11 2013-04-11 구판에 함유된 항노화, 항산화 및 항염증 생리활성에 관여하는 유효성분 추출 효율이 증가된 구판 발효물의 제조방법 Active KR1012922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9682A KR101292200B1 (ko) 2013-04-11 2013-04-11 구판에 함유된 항노화, 항산화 및 항염증 생리활성에 관여하는 유효성분 추출 효율이 증가된 구판 발효물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9682A KR101292200B1 (ko) 2013-04-11 2013-04-11 구판에 함유된 항노화, 항산화 및 항염증 생리활성에 관여하는 유효성분 추출 효율이 증가된 구판 발효물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92200B1 true KR101292200B1 (ko) 2013-08-01

Family

ID=492196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9682A Active KR101292200B1 (ko) 2013-04-11 2013-04-11 구판에 함유된 항노화, 항산화 및 항염증 생리활성에 관여하는 유효성분 추출 효율이 증가된 구판 발효물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220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899118A (zh) * 2024-01-22 2024-04-19 合肥工业大学 一种提高与评价龟甲抗氧化和抗炎活性的方法
CN118086185A (zh) * 2024-04-29 2024-05-28 广州中医药大学(广州中医药研究院) 龟板提取物诱导多能干细胞分化形成皮肤类器官的用途及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0249B1 (ko) 2010-11-26 2012-06-26 김용수 자라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질환의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0249B1 (ko) 2010-11-26 2012-06-26 김용수 자라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질환의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899118A (zh) * 2024-01-22 2024-04-19 合肥工业大学 一种提高与评价龟甲抗氧化和抗炎活性的方法
CN118086185A (zh) * 2024-04-29 2024-05-28 广州中医药大学(广州中医药研究院) 龟板提取物诱导多能干细胞分化形成皮肤类器官的用途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6294B1 (ko) 애기수영 또는 산수국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개선 또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KR101891408B1 (ko) 영지버섯균사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항염증 조성물
KR20200128998A (ko) 천마 및 적하수오를 이용한 기능성 액상 건강식품의 제조 방법
KR101377586B1 (ko) 고상 발효에 의한 항산화 활성 및 총 페놀 화합물 함량이 증진된 차가버섯 발효물의 제조방법
KR101292200B1 (ko) 구판에 함유된 항노화, 항산화 및 항염증 생리활성에 관여하는 유효성분 추출 효율이 증가된 구판 발효물의 제조방법
KR101396807B1 (ko) 두류, 곡류 및 차가버섯을 주원료로 하여 항산화능 및 총 페놀성 화합물이 증가한 효소식품의 제조방법
KR101713176B1 (ko) 항산화 활성을 갖는 한방발효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55143B1 (ko) 대추씨 발효물의 제조방법
KR101668034B1 (ko) 발효소재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KR102058022B1 (ko) 백산차 추출물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및 항염증용 조성물
KR101428486B1 (ko) 초임계 유체 추출법을 이용한 기능성이 증진된 클로렐라 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1276157B1 (ko) 청국장 고유의 색과 풍미를 개선하고 기능성을 유지한 청국장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위한 배지 조성물
KR20100102890A (ko) 약용식물 추출액을 이용한 기능성 음료 제조방법
KR20160121633A (ko) 황칠액 발효대사체를 포함하는 항노화 기능성 조성물
KR20150073438A (ko) 미생물을 이용한 단삼 발효산물을 제조하는 방법
KR101611881B1 (ko) 상지 배지에 배양한 항산화 및 미백 활성이 증진된 상황버섯 균사체 가압 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2175244B1 (ko) 황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40093437A (ko) 간세포 보호작용을 갖는 민들레 복합식물 발효추출 조성물
JP2009007268A (ja) キサントンの吸収性を向上させたサラシア加工物及びその製造方法
CN111955629A (zh) 一种稳定的多功能枸杞复合汁制作方法
KR102748903B1 (ko) 피지크기를 줄이고 피지선을 억제함으로써 늘어난 모공을 수축시키는 모공축소 및 피부노화 완화용 식품 조성물
KR100801435B1 (ko) 높은 유해 산소 제거 능력을 갖는 차가버섯 발효 음료의 제조방법
KR20140054953A (ko) 발효 한방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화장료 조성물
KR101610737B1 (ko) 항산화 활성을 갖는 으름열매식초의 제조방법, 제조된 으름열매식초 및 이를 함유하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
KR102401490B1 (ko) 당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 개선 및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41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30523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30411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3062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726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7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07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1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62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6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7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8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50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1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52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62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52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623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711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