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4953A - 발효 한방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발효 한방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4953A
KR20140054953A KR1020120121079A KR20120121079A KR20140054953A KR 20140054953 A KR20140054953 A KR 20140054953A KR 1020120121079 A KR1020120121079 A KR 1020120121079A KR 20120121079 A KR20120121079 A KR 20120121079A KR 20140054953 A KR20140054953 A KR 201400549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ck
eggplant
cosmetic composition
extract
bokbunj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10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세영
Original Assignee
김세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세영 filed Critical 김세영
Priority to KR10201201210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54953A/ko
Publication of KR201400549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4953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5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fermentation, e.g. yoghurt, beer, win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이 발명은 홍국균 발효를 이용한 검은콩, 검은깨, 흑미, 오미자, 가지, 복분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안전성과 안정성을 모두 만족할수 있게 한 항산화 화장료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Description

발효 한방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화장료 조성물{Antioxidant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Mixture of Fermented Herbal Extracts}
본 발명은 발효 한방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홍국균 발효 과정을 거쳐 제조되는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고령화 사회의 도래로 웰빙 트랜드가 사회 전반에 걸쳐서 뿌리를 내리고 있는데, 이는 식품, 화장품, 주거 환경 등의 모든 분야에서 천연 식물성 소재 및 전통적인 민간 요법으로 전래 되는 한약재에 대한 관심을 증폭시켰다. 상대적으로 천연 식물소재의 제품화가 용이한 화장품 산업 분야에서 오래전부터 이를 원료로 사용한 시도들이 있어 왔으며, 기능식품 및 예방의학, 치료의학의 분야에서도 동양의 식물성 약재(Herbal medicine)가 미국 및 유럽에서까지 허가 및 제품화되기 시작하면서, 천연 식물소재 및 한약재의 인체 유용성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였다. 천연 식물소재 또는 한약재는 다양한 생리활성 물질과 항산화 물질을 함유하고 있어 항노화, 항암, 항염, 면역기능 개선 등 다양한 효과를 보이지만, 추출된 이후에는 불안정하고 때론 자극적이어서, 인체에 독성을 띄는 경우도 종종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천연 추출물을 안정화시키거나, 독성을 줄이거나, 안정한 유도체로 전환시켜 효과를 높이려는 시도가 많이 진행되고 있으며, 그 일환으로 미생물이나 효소를 이용한 생물학적 전환(Biological transformation) 방법이 개발되고 있으며, 대표적 방법으로 발효를 예로 들 수 있다. 발효는 미생물이 가지고 있는 효소를 이용하여 유기물을 분해시켜서 인간 생활에 유용하게 사용되는 물질을 제조하는 과정으로서, 인체에 유용한 물질을 만들어내는 대표적인 발효 미생물로는 홍국균, 효모 등이 있고, 다양한 식품들이 발효 과정에 의해서 생산된다. 또한, 발효는 유용 물질을 만들어 내는 것 이외에도 발효에 관여하는 홍국균이 장 내에서 면역 및 독소제거(Detoxification)의 역할을 담당하기도 한다. 더 나아가, 장내 미생물에 의한 발효를 통해 섭취된 성분은 분해되어 인체 세포에 흡수가 용이한 저분자 물질로 전환되거나, 불안정하거나 불활성인 형태에서 활성 형태로 전환되어 흡수되기도 하며, 이러한 결과는 장내 미생물에 의한 생물전환의 중요성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것이라 볼 수 있다. 따라서, 홍국균 및 효모 등의 미생물 발효에 의해서 천연 식물소재 및 한약재의 효능을 극대화시키거나, 안전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시도는 다양한 식품, 화장품, 약품 등의 개발에 있어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하겠다. 특히, 우수한 항암 효과, 항염증 효과, 항노화 효과, 면역력 증강 효과 등을 갖는 것으로 보고되는 김치나 된장등의 한국전통식품에서 번식하는 미생물은 생물학적 활성이 뛰어난 것으로 보고되고 있어, 전통 발효 식품에서 분리한 미생물을 이용하려는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홍국균(Monascus)속의 곰팡이는 진균류문 Ascomytina강 Plectomycetes목 Monascaseae과에 속하는 미생물로 유성생식과 무성생식을 통해 생육하며 2차대사산물로 monacolin K, mevinolin, lovastatin, γ-aminobutyric acid(GABA), acethylcholine과 같은 생리활성물질은 콜레스테롤 생합성 효소(HMG-CoA reductase)활성 억제, 혈압상승 억제 및 항산화 활성과 같은 유효성 검증에 관한 많은 연구결과가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홍국의 우수한 생리활성 효능 때문에 이를 새로운 건강기능식품 개발에 활용 하려는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가운데 홍국을 소재로 한 된장, 고추장, 발효메밀, 발효 콩 등이 상품화 되고 있다.
특히, 우리 인체는 외부 환경과 밀접하게 접하고 있고 자외선이나 환경 오염,화학 물질, 세제, 꽃가루 등의 노출로 인해 쉽게 민감화 되는 것은 기지의 사실이다. 이러한 외부 환경에 의해 노출된 피부는 활성 산소종에 쉽게 노출 되고, 발생된 활성 산소종은 정상적인 세포 조직이나 세포막을 공격하게 되어 피부는 결국 염증 (inflammation)을 일으키게 된다. 염증화된(inflammated) 조직은 피부에 단백질이나 유전자 물질 등을 파괴하여 주름 등을 형성하는 등 피부 노화가 일어난다. 일반적으로 피부노화를 설명하는 이론은 여러 가지가 있으나 그 중에서도 체내외의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하여 발생되는 자유 라디칼에 의하여 피부가 노화된다는 자유 라디칼 이론이 가장 타당성 있는 이론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자유 라디칼은 화학적으로 반응성이 매우 큰 화학물질로 피부가 자외선에 조사되었을 때나 피부내 세포의 호흡 과정에서도 발생된다. 피부의 노화와 관련이 있는 자유 라디칼의 대부분은 활성 산소종(Reactive OxygenSpecies, ROS)으로 그 종류로는 수퍼 옥사이드 라디칼(Superoxide Radical), 과산화수소(H2O2 ), 하이드록시라디칼(Hydroxy Radical), 일중항 산소(Single Oxygen) 등이 있다. 이러한 활성 산소종들은 자외선 조사시 혹은 호흡과정에서 발생되어 다단계의 연쇄 반응을 통하여 세포막의 구성 성분인 지질의 과산화를 일으키게 된다. 지질의 과산화는 라디칼, 과산화물, 알데하이드(Aldehyde), 에폭사이드(Epoxide) 등의 다양한 활성종을 발생시키고 DNA, RNA, 단백질, 세포막 및 세포구조에 손상을 입힌다. 이러한 활성 산소종들의 독성은 암, 조직손상, 노화 등의 주원인으로 생각되어지고 있다.
이러한 활성 산소종의 중화를 목적으로 토코페롤, 폴리페놀류, Coenzyme Q 10, BHT, BHA 등 항 산화제가 폭 넓게 이용되고 있으나 이들은 대부분 합성품으로서 장기간 인간의 피부에 적용할 경우 안전성이 문제화되므로 사용이 제한된다.
특히, 페놀계 합성 항산화제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BHA(butylated hydroxy anisol)와BHT(butylated hydroxy tolunene)는 그 효과와 경제성 그리고 안전성 때문에 많이 사용해 왔지만 합성 첨가물의일반적인 기피 현상뿐만 아니라 과량 섭취시간, 위장점막, 폐, 신장, 순환계 등에 심각한 독성작용을 일으키는것으로 알려져 있다.
BHA 및 BHT는 앞서 본 바와 같은 문제가 있으므로, 주로 방부제로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고, 현재까지는 화장품등에 첨가되는 항산화제로서는 합성비타민C가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나, 이는 천연 원료가 아닌 인공적으로 얻어지는 합성화합물이라는 점에서 천연 추출물에 비해 비교적 안전하게 사용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화장료에 수퍼옥사이드 디스뮤테이즈(SOD), 비타민 E 유도체 등을 화장료에 배합함으로써 피부노화방지 효과를 얻어 보려는 노력이 많이 있었으나 안정화시키기 어렵거나 용해도가 좋지 않아 실제 제품 적용시 농도의 제한으로 인하여 실질적인 효과를 거두기 어려운 점이 있는 등 지금까지 알려진 항산화제는 피부 안전성 면에서나 화장료 배합시 안정성 면에서 대부분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어서 그 사용이 제한되고 있다.
따라서 피부에 안전성을 부여하면서 화장료 배합시 안정성 또한 부여하는 화장료의 개발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제반 결점들을 해소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 결과 개발한 것으로, 홍국균 발효를 이용한 검은콩, 검은깨, 흑미, 오미자, 가지 및 복분자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여 안전성과 안정성 모두를 만족하는 항산화 효과를 발휘하게 한 발효 한방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발효 한방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화장료 조성물은, 홍국균 발효를 이용한 검은콩, 검은깨, 흑미, 오미자, 가지, 및 복분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홍국균 발효를 이용한 검은콩, 검은깨, 흑미, 오미자, 가지, 복분자 추출물의 혼합 중량비는 다양하게 변할 수 있으나, 건조 중량비로 1:1:1:1:1:1 ~ 5:1:1:1:1:1로 혼합된 것이 바람직하며, 홍국균 발효를 이용한 검은콩, 검은깨, 흑미, 오미자, 가지, 복분자 추출물은 추출물의 건조 중량비가 1:1:1:1:1:1로 혼합된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 가능한 홍국균(KTCT 6120 Monascus purpureus) 또는 홍국균(KTCT 26768 Monascus pilosus)의 접종량은 접종 초기 균수가 105 내지 108 cfu/g 또는 105 내지 108 cfu/㎖인 것이 바람직한데, 접종 초기 균수가 105 cfu/g 또는 105 cfu/㎖ 미만인 경우에는 발효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고, 108 cfu/g 또는 108cfu/㎖를 초과하는 때에는 효과의 증가가 크지 않음에도 접종량이 과도한 문제가 있다.
홍국균 배양을 통한 발효 단계는, 최적의 홍국균 발효 조건을 고려할 때에, 통기가 용이한 25℃의 온도에서 24~720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추출 용매는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에틸아세테이트, 글리세린,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및 이들의 혼합용매 예를 들어, 함수알코올, 함수글리세린, 함수에틸렌글리콜, 함수프로필렌글리콜, 함수 부틸렌글리콜 중에서 선택된 것일 수 있고, 물, 탄소수 1 내지 4의 무수알코올 또는 함수알코올에서 선택된 용매로 추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은 메탄올, 에탄올, n-프로판올, iso-프로판올, n-부탄올, iso-부탄올, tert-부탄올일 수 있으며, 에탄올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함수 알코올은 물을 0.3 내지 90중량% 함유할 수 있다.
이들 추출용매 중 함수 에탄올이 가장 바람직하며, 함유된 물의 양은 30 내지 90중량% 내가 바람직하며, 80중량%가 보다 더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홍국균 발효를 이용한 검은콩, 검은깨, 흑미, 오미자, 가지, 복분자 추출물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진 공지의 추출법에 의해 제조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의 홍국균 발효를 이용한 검은콩, 검은깨, 흑미, 오미자, 가지, 복분자 추출물은, 각 건조물을 세절하고, 혼합 건조 중량의 1~50배 부피량의 물, 탄소수 1~4의 알코올 또는 이들의 함수 알코올과 중에서 선택된 추출용매를 부가하여 4∼30℃에서 3∼20일간 침적시켜 유효성분을 추출한 후, 추출용매를 감압농축기로 농축하여 수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홍국균 발효를 이용한 검은콩, 검은깨, 흑미, 오미자, 가지, 복분자 추출물은, 각 건조물을 분쇄하여 혼합하고, 이들의 혼합 건조 중량의 1~30배 부피량의 물, 탄소수 1~4의 알코올, 에틸아세테이트, 물, 글리세린,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용매를 사용하며, 이어서 용매가 증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냉각 콘덴서를 구비한 추출기로 30∼100℃에서 3∼48시간 동안 가열 추출하거나 5∼30℃에서 1~5일간 침적시켜 유효성분을 추출하고, 추출 용매를 감압농축기로 농축하여 수득 될 수 있다.
또한, 위에서 열거한 추출용매에 공지된 초음파 추출법등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홍국균 발효를 이용한 검은콩, 검은깨, 흑미, 오미자, 가지, 복분자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의 무수 또는 함수알코올로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추출온도는 추출용매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50 내지 100℃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서 홍국균 발효를 이용한 검은콩, 검은깨, 흑미, 오미자, 가지, 복분자 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01~10.0중량%의 양으로 화장료에 첨가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001∼5.0중량%의 양으로 화장료에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그 제형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는 바가 없으며, 예를 들면,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로션, 영양크림, 맛사지크림, 영양세럼, 에센스, 팩 등의 제형을 가질 수 있다.
또한, 각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의 홍국균 발효를 이용한 검은콩, 검은깨, 흑미, 오미자, 가지, 복분자 추출물 외에 다른 성분들을 기타 화장료의 제형 또는 사용목적 등에 따라 임의로 선정하여 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착색제(색소), 착향제(향료), 현탁화제, 유화제, 용해보조제, 안정제, 등장제, pH조절제, 점도조절제, 용제, 방부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홍국균 발효를 이용한 검은콩, 검은깨, 흑미, 오미자, 가지, 복분자 추출물에는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는 다른 유효성분을 1이상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검은콩 (Glycine max (L.) Merr.)에는 플라보노이드계 색소인 '안토시아닌'과 '이소플라본' 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혈액순환 개선 및 노화방지 효과가 탁월하다. 안토시아닌 색소는 블랙푸드가 검정색을 띠게 해주는 색소로 주로 검정콩 껍질에 많다. 또한 '식물성 에스트로겐'이라 불리는 '이소플라본'은 피부를 매끄럽게 하는 효능은 물론 갱년기 장애를 앓는 여성에게도 좋다. 더불어 이들 플라보노이드 성분은 비타민C의 흡수를 돕고 혈관의 투과성을 낮춰 세균의 침입을 막는 역할을 한다. 뿐만 아니라 강력한 항산화 기능을 가진 물질로 혈액 속 침전물이 생기는 것을 예방하고 소염 작용 및 노화 방지에도 탁월한 효과가 있다.
상기 검은깨(Sesamum indicum Linnaeus)는 가루로 내어 음식을 조리할 때 넣거나 생식에 포함되었던 것 외에는 별로 쓰이지 않던 식재료이다. 검은콩 음료와 함께 검은깨를 함유한 음료가 등장했고, 콩만 들어간 음료에 비해 텁텁함도 덜하고, 맛도 고소해 더욱 인기를 모았다. 검은깨는 건강과 입맛을 동시에 챙길 수 있는 블랙푸드로 급부상했다. 검은깨는 소화효소가 많고 지방질이 풍부하여 위장을 매끄럽게 해준다. 또한 간장과 신장을 보호해주는 기능으로 간장과 신장이 허해서 생기는 탈모나 눈이 침침할 때 먹으면 좋다. 특히 검은깨는 머리카락이 빠지는 것을 막아주는데 검은깨의 단백질은 머리카락의 성분인 케라틴의 원료로 혈중콜레스테롤 수치도 떨어뜨려 준다. 뿐만 아니라 피부를 윤택하게 해주며, 검은깨 속에 들어 있는 레시틴 성분은 뇌를 이루는 성분으로 신경을 많이 쓰거나 정신노동을 하는 사람들에게 기억력과 집중력을 향상시키는 등 큰 도움이 된다. 또한 검은깨에 함유된 칼슘성분은 빈혈과 골다공증을 예방한다. 이러한 기초적인 효능 외에도, 검은깨에 다량 함유된 항산화물질인 리그난 및 폴리페놀 성분은 생체 내에서 산화적 스트레스를 억제하는데 탁월한 효과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와 연관된 항암, 항노화, 항심혈관계 질환, 지질산화 방지 작용, 간의 해독작용, 장내 콜리스테롤 흡수 억제작용등과 같은 인체 내의 핵심적인 생리활성 기능을갖고 있다.
상기 흑미(Black Rice)에는 항산화,항암,항궤양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안토시아닌이라는 수용성 색소가 있어 검은색을 띠게 된다. 검은쌀에는 안토시아닌이 검은콩보다 4배 이상 들어 있으며, 비타민 B군을 비롯하여 철,아연,셀레늄 등의 무기염류는 일반 쌀의 5배 이상 함유되어 있다. 이것은 노화와 여러 질병을 일으키는 체내의 활성산소를 효과적으로 중화시킬 뿐만 아니라 심장질병, 뇌졸중, 성인병, 암 예방에도 좋은 성분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오미자(Schizandra chinensis, ruprecht)는 오미자는 목련과(Magnoliaceae) 식물로서, 한방에서는 이의 열매를 전신쇠약, 정신 육체적 피로, 기관지염, 기관지천식, 신경쇠약, 저혈압, 심장기능저하, 영양실조궤양과 상처의 치료 및 시력을 증진시키는데이용하며, 주로 차 또는 하절기의 화채재료 및 그 색소를 이용한 녹말다식과 오미자주로 가공,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오미자 약리활성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예를 들어, 오미자에는 다량의 유기산 및 안토시아닌(anthocyanin) 색소가 함유되어 있고, 오미자가 간장보호작용, 알콜해독작용, 항당뇨작용을 나타냄이 보고된 바 있다
상기 가지(Eggplant)는 쌍떡잎식물 통화식물목 가지과의 한해살이풀로 온대에서는 한해살이풀이나 열대에서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인도 원산이며, 열대에서 온대에 걸쳐 재배한다. 높이는 60~100cm로, 식물 전체에 별 모양의 회색털이 나고 가시가 나기도 한다. 줄기는 검은 빛이 도는 짙은 보라색이다. 잎은 어긋나고 달걀 모양이며 길이 15~35cm로 잎자루가 있고 끝이 뾰족하다. 꽃은 6~9월에 피는데, 줄기와 가지의 마디 사이에서 꽃대가 나와 여러 송이의 연보라색 꽃이 달리며 꽃받침은 자줏빛으로 예로부터 기침 및 가래등을 다스리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복분자(Rubus coreanus Miquel)는 예로부터 복분자를 먹고 소변을 보면 거센 소변 줄기 때문에 요강이 엎어진다는 말이 있다. 복분자의 효능을 한마디로 표현해 주는 예라고 할 수 있다. 한의학 에서도 복분자를 신장의 기능이 약해져서 발생한 성기능장애와 여성의 불임을 치료하는데 쓰이기도 한다. 최근 복분자 효능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면서 다양한 복분자의 효능에 대한 결과들이 발표가 되고 있는데, 이 결과에 의하면 복분자는 항암작용 및 면역활성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고 한다. 또한 복분자의 효능으로 강력한 항산화작용 및 남성호르몬의 분비를 촉진시키는 것 으로도 보고가 되고 있다. 복분자는 여성과 남성 모두의 성기능강화에 도움을 주며, 성호르몬 분비를 촉진시켜주며 정력감퇴, 조루증 등을 해결해 준다.
본 발명에 의하면 홍국균 발효를 이용한 검은콩, 검은깨, 흑미, 오미자, 가지 및 복분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에 의하여, 피부에 대한 안전성은 물론 화장료 배합시의 안정성을 모두 만족하면서도 우수한 항산화 기능을 발휘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발효 한방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화장료 조성물을 실시예 및 비교예 및 제형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한다.
<홍국균 발효를 이용한 검은콩, 검은깨, 흑미, 오미자, 가지 및 복분자 추출물의 분말 제조>
경동시장에서 구매한 검은콩, 검은깨, 흑미, 오미자, 가지, 복분자를 각각 20g을 정제수로 세척하여 건조 후, 멸균기 121℃의 1.5기압에서 15분간 멸균하고, 이후 생명자원센터에서 분양받은 KTCT 6120 홍국균(Monascus purpureus)을 potato dextrose Broth medium(PDB)에서 18시간 배양한 홍국균(Monascus purpureus)의 균수가 107 이 되게 접종하고 25℃에서 720시간 동안 통기가 용이한 곳에서 고체 발효 한다. 홍국균 발효된 검은콩, 검은깨, 흑미, 오미자, 가지 및 복분자 120g을 증류수 2.8㎏에 넣고 냉각 콘덴서가 달린 추출기에서 80℃로 2시간 끓여서 3회 추출한 후 300메쉬 여과지로 여과하고, 1주일간 실온에서 방치하여 침전물을 에드벤텍 5번 여과지와 와트만 GFC 150mm 여과지로 2번 여과하였다.
그리고 감압 농축기(제품명: Coolace CCA-1100, 제조사: EYELA)를 이용하여 40~50℃의 온도에서 농축한 후 이를 모델명:B-290, BUCHI 사 제품 을 다음 조건으로 이용하여 건조시킨 표제의 추출 분말 12g을 얻었다.
-Inlet 온도 180℃,
-Aspirator 효율 100%(35㎤/hour),
-Pump 효율 25% (7.5㎖/min),
-Nozzle Cleaner 4,
-Rotameter 30㎜ (357Liter/hour)
<검은콩, 검은깨, 흑미, 오미자, 가지 및 복분자 추출물의 분말제조>
검은콩, 검은깨, 흑미, 오미자, 가지 및 복분자 추출물을 상기 실시예 1 의 방법중에서 홍국균 발효를 제외하고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 및 여과하여 분말을 제조하였다. 결과는 하기 표1과 같다.
구 분 분말(g)
실시예 2 10
<실시예3 내지 6: 추출 용매에 따른 홍국균 발효를 이용한 검은콩, 검은깨, 흑미, 오미자, 가지, 복분자 추출물의 분말제조>
홍국균 발효를 이용한 검은콩, 검은깨, 흑미, 오미자, 가지 및 복분자를 추출용매를 제외한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하여, 분말을 제조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2와 같다.
구분 추출용매 수득량(g)
실시예3 30% 함수 에탄올 13g
실시예4 50% 함수 에탄올 14g
실시예5 70% 함수 에탄올 18g
실시예6 80% 함수 에탄올 17g
홍국균 발효를 이용한 검은콩, 검은깨, 흑미, 오미자, 가지 및 복분자를 추출용매를 제외한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하여, 분말을 제조하였다. 그 결과는 상기 표 2와 같다.
홍국균 발효를 이용한 검은콩, 검은깨, 흑미, 오미자, 가지 및 복분자를 추출용매를 제외한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하여, 분말을 제조하였다. 그 결과는 상기 표 2와 같다.
홍국균 발효를 이용한 검은콩, 검은깨, 흑미, 오미자, 가지 및 복분자를 추출용매를 제외한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하여, 분말을 제조하였다. 그 결과는 상기 표 2와 같다.
<제형예1> 홍국균 발효를 이용한 검은콩, 검은깨, 흑미, 오미자, 가지, 복분자 추출물을 이용한 화장수 제조
홍국균 발효를 이용한 검은콩, 검은깨, 흑미, 오미자, 가지 및 복분자 추출물 (실시예 5)을 함유한 화장수(스킨로션)를 하기의 표3의 함량으로 하기 제조 방법을 이용하여 1kg을 제조하였다.
번호 원료 함량(중량%)
1 홍국균 발효를 이용한 검은콩, 검은깨, 흑미, 오미자, 가지 및 복분자 추출물(실시예5) 1.0
2 글리세린 3.0
3 부틸렌글리콜 2.0
4 프로필렌글리콜 2.0
5 폴리옥시에칠렌 경화피마자유 1.0
6 에탄올 10.0
7 트리에탄올아민 0.1
8 방부제 미량
9 색소 미량
10 향료 미량
11 정제수 잔량
상기 표 3에서 일정량의 11번 물질에 2, 3, 4, 8번 물질을 순서대로 반응용기에 투입하고 교반하여 용해시킨 후, 5번 물질을 60℃ 정도로 가열하여 용해시켰다. 이 후, 10번 물질을 반응용기에 투입하여 용해한 후 잔량의 11번 물질을 투입하였다. 마지막으로 1, 6, 7, 9번 물질을 투입하여 충분히 교반시킨 뒤 25℃에서 3일간 숙성시켜 표제의 화장수를 제조하였다.
<제형예2> 홍국균 발효를 이용한 검은콩, 검은깨, 흑미, 오미자, 가지, 복분자 추출물을 이용한 영양 로션 제조
홍국균 발효를 이용한 검은콩, 검은깨, 흑미, 오미자, 가지 및 복분자 추출물 (실시예 5)을 함유한 영양로션을 하기 표 4의 함량으로 하기 제조 방법을 이용하여 1kg을 제조하였다.
번호 원료 함량(중량%)
1 홍국균 발효를 이용한 검은콩, 검은깨, 흑미, 오미자, 가지 및 복분자 추출물(실시예5) 1.0
2 밀납 1.0
3 폴리솔베이트 60 1.5
4 솔비탄 세스퀴올레이트 0.5
5 유동파라핀 10.0
6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1.0
7 친유형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 0.5
8 스테아린산 1.5
9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피이지-400 스테아레이트 1.0
10 프로필렌글리콜 3.0
11 카르복시 폴리머 0.1
12 트리에탄올아민 0.2
13 방부제 미량
14 색소 미량
15 향료 미량
16 정제수 잔량
상기 [표 4]에서 10, 11, 13, 16번 물질을 혼합 교반 하면서 80 ~ 85℃ 사이로 가열하여 제조부에 투입한 후 유화기를 작용시키고 2, 3, 4, 5, 6, 7, 8, 9, 12번 물질을 80 ~ 85℃사이로 가열 용해한 후 유화시켰다. 유화가 끝나면 교반기를 이용하여 교반 하면서 50℃까지 냉각한 뒤 15번 물질을 투입하고 45℃까지 냉각한 뒤 14번 물질을 투입하고 35℃에서 1번 물질을 투입하여 25℃까지 냉각한 뒤 25℃에서 3일간 숙성시켜 표제의 영양로션을 제조하였다.
<제형예 3> 홍국균 발효를 이용한 검은콩, 검은깨, 흑미, 오미자, 가지, 복분자 추출물을 이용한 영양 세럼 제조
홍국균 발효를 이용한 검은콩, 검은깨, 흑미, 오미자, 가지, 복분자 추출물 (실시예 5)을 함유한 영양세럼을 하기의 표5의 함량으로 하기 제조 방법을 이용하여 1kg을 제조하였다.
번호 원료 함량(중량%)
1 홍국균 발효를 이용한 검은콩, 검은깨, 흑미, 오미자, 가지 및 복분자 추출물(실시예5) 1.0
2 잔탄검 0.02
3 부틸렌글리콜 10.0
4 소이빈포스포리피드 10.0
5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즈 0.1
6 소디움히아루로네이트 5.0
7 정제수 잔량
상기 표5에서 2, 3, 5번 물질을 혼합 교반 하면서 40 ~ 45℃ 사이로 가열하여 제조부에 투입한 후 유화기를 작용시키고 4, 6, 7번 물질을 제조부에 투입하고 유화시켰다. 유화가 끝나면 교반기를 이용하여 교반 하면서 35℃까지 냉각하고 1번 물질을 투입하여 25℃까지 냉각한 뒤 25℃에서 3일간 숙성시켜 표제의 영양 세럼을 제조하였다.
<제형예 4> 홍국균 발효를 이용한 검은콩, 검은깨, 흑미, 오미자, 가지, 복분자 추출물을 이용한 에센스 제조
홍국균 발효를 이용한 검은콩, 검은깨, 흑미, 오미자, 가지, 복분자 추출물 (실시예 5)을 함유한 에센스를 하기 표6의 함량으로 하기 제조 방법을 이용하여 1kg을 제조하였다.
번호 원료 함량(중량%)
1 홍국균 발효를 이용한 검은콩, 검은깨, 흑미, 오미자, 가지 및 복분자 추출물(실시예5) 1.0
2 시토스테롤 1.7
3 폴리에칠렌글리콜 1.5
4 세라마이드 0.7
5 스테아르산 1.2
6 콜레스테롤 1.5
7 디세틸포스페이트 0.4
8 농글리세린 5.0
9 마카다미아오일 15.0
10 카르복시 폴리머 0.2
11 산탄검 0.2
12 방부제 미량
13 향료 미량
14 정제수 잔량
상기 표에서 2, 3, 4, 5 및 6번 물질을 일정한 온도에서 균질화하여 비이온계 양친매성 지질을 제조하였다. 이 비이온계 양친매성 지질과 1, 7, 8 및 14번 물질을 혼합하고 일정한 온도에서 균질화하여 마이크로플루이다이져를 통과시키고 이어 9번 물질을 50 ~ 60℃로 가온하여 서서히 첨가하여 균질화한 후 다시 마이크로플루이다이져에 재차 통과시켰다. 그 후, 10, 11, 12, 13번 물질을 투입하여 분산시켜 안정화하고 25℃에서 3일간 숙성시켜 표제의 에센스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1> 항산화 효과 실험
상기 실시예1 내지 6에 대하여 프리라디칼 소거능을 측정하였다.
0.1 mL에 4.1 X 10-5M의 DPPH용액 0.9 mL를 가한 후 상온에서 30분간 반응시켜 517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대조군으로는 L-ascorbic acid(100㎍/㎖)를 사용하였으며, 각 시료의 라디칼 소거능은 아래의 식에 의해 라디칼 소거능으로 계산하여 나타내었다.
<식 1>
라디컬 소거능(%)=(1-시료첨가구의 흡광도 / 무처리구의 흡광도)X100
구분 라디칼 소거능(%)
실시예1 53.60
실시예2 12.10
실시예3 72.70
실시예4 84.90
실시예5 93.40
실시예6 89.10
상기 표 7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홍국균 발효 검은콩, 검은깨, 흑미, 오미자, 가지 및 복분자 추출물은 대부분 높은 소거율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70% 함수 에탄올을 용매로한 실시예 5가 가장 높은 소거율을 나타내었다. 대조군인 L-ascorbic acid(100㎍/㎖)의 경우 90.20%의 소거율을 나타내었다.
<실험예 2> 세포 독성 및 증식 실험
세포 독성 및 증식 실험을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배양하고 인체 정상 섬유아세포를 96-웰 마이크로 플레이트의 각 웰에 1 x 104 세포가 되도록 접종하고, DMEM(Dulbeco"s Modified Eagle"s Medium)배지에서 37℃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어, 최종 농도를 0.1, 0.5, 1.0, 2.0, 5.0%로 하여 혈청이 2.5%함유되어 있는 DMEM 배지로 교체한 실험군과 혈청이 없는 DMEM 배지로 교체한 대조군을 24시간 동안 추가로 배양하였다. 배양 후, 세포의 생존율을 비교하기 위하여 MTT(시그마, 미합중국) 솔루션(3mg/ml)을 첨가하여 세포 생존율을 ELISA READER(Molecular Devices, 미합중국)를 이용하여 57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고 세포 성장의 최적 조건인 위과 같은 조건으로 동시배양을 하였으며, 대조군의 세포증식을 100%로 하고 시료 투입실험군의 세포 증식률을 아래 식에 의하여 계산하였다.
<식 2>
세포생존율(%)=시료첨가군의 O.D at 570nm/시료무첨가군의 O.D at 570nmX100
농도(%)
세포증식율(%)
대조군 0.1 0.5 1.0 2.0 5.0
실시예1 100 101.6 101.0 100.8 99.4 98.6
실시예2 100 101.2 100.7 100.5 100.8 97.8
실시예3 100 102.9 101.4 100.1 99.5 99.8
실시예4 100 101.6 101.8 100.9 100.4 99.6
실시예5 100 102.4 101.3 99.8 99.7 100.1
실시예6 100 103.4 102.4 101.0 100.7 100.5
표8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세포 성장 최적 조건에서의 세포 증식을 100%로 하였을 때, 측정 오차범위를 고려하면 홍국균 발효 검은콩, 검은깨, 흑미, 오미자, 가지, 복분자 추출물은 모두 세포 무독성이며, 세포 증식 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실험예 3> 제형 안정도 확인
홍국균 발효 검은콩, 검은깨, 흑미, 오미자, 가지, 복분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제형예 1 내지 4에서 제조한 제형에 대하여 실온(25℃), 4℃ 및 45℃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실내, 냉장고 및 항온수조에서 불투명 초자 용기에 담아 12주 동안 보관후 육안으로 변색, 및 분리를 관찰하고, 후각으로 변취를 확인하여 이들 제형의 안정성을 확인 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9와 같다.
온도 조건
세포증식율(%)
제형예1 제형예2 제형예3 제형예4
실온 0 0 0 0
4℃ 0 0 0 0
45℃ 0 0 0 0
<제형 안정 등급>
0 : 변화 없음, 1 : 미세한 변화, 2 : 변화, 3: 극심한 변화
상기 표 9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제형예 1 내지 4 제형 모두 실온, 4℃ 및 45℃ 온도 조건하에서 변색, 변취 및 분리 현상이 나타나지 않고 안정하였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하였으나, 당업자라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여러 가지 특징을 참조하고 조합하여 다양하고 변형된 구성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가 설명된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함을 지적해둔다.

Claims (6)

  1. 홍국균 발효를 이용한 검은콩, 검은깨, 흑미, 오미자, 가지, 복분자의 한방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 항산화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홍국균 발효를 이용한 검은콩, 검은깨, 흑미, 오미자, 가지, 복분자 추출물이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및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된 추출용매로 추출된 것임을 특징으로하는 발효 한방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화장료.
  3. 제2항에 있어서, 추출 용매는 물, 탄소수 1내지 4의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된 것임을 특징으로하는 발효 한방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화장료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홍국균 발효를 이용한 검은콩, 검은깨, 흑미, 오미자, 가지, 복분자의 건조 중량비는 1:1:1:1:1:1 내지 5:1:1:1:1:1 로 혼합된 것임을 특징으로하는 발효 한방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화장료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홍국균 발효를 이용한 검은콩, 검은깨, 흑미, 오미자, 가지, 복분자이 혼합 추출물을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 5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 한방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화장료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는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로션, 영양크림, 맛사지크림, 영양세럼, 엔센스 또는 팩의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 한방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화장료 조성물.


KR1020120121079A 2012-10-30 2012-10-30 발효 한방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화장료 조성물 KR2014005495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1079A KR20140054953A (ko) 2012-10-30 2012-10-30 발효 한방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1079A KR20140054953A (ko) 2012-10-30 2012-10-30 발효 한방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4953A true KR20140054953A (ko) 2014-05-09

Family

ID=50886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1079A KR20140054953A (ko) 2012-10-30 2012-10-30 발효 한방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5495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86422A (zh) * 2018-01-15 2018-06-22 北京东方淼森生物科技有限公司 红曲霉发酵产物提取物、制备方法及其用途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86422A (zh) * 2018-01-15 2018-06-22 北京东方淼森生物科技有限公司 红曲霉发酵产物提取物、制备方法及其用途
CN108186422B (zh) * 2018-01-15 2021-03-30 北京东方淼森生物科技有限公司 红曲霉发酵产物提取物、制备方法及其用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23384C2 (ru) Фитокомплекс из плодов бергамота,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и применение в качестве пищевой добавки и в области фармакологии
KR101423573B1 (ko) 항산화 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1566320B1 (ko) 봉선화, 영실, 마카, 비파나무 잎 및 얌빈 뿌리 복합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재생, 진정 및 자극완화용 화장료조성물
KR101965059B1 (ko) 다이드제인 및 제니스테인을 고함량으로 포함하는 파바톤 콩잎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갱년기 증후군 개선 유효성분 강화 콩잎 조성물
KR101425486B1 (ko) 발효 청미래덩굴 잎 추출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KR101914344B1 (ko) 발효보리, 발효배즙, 발효콩 및 발효석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 보습력과 주름 개선 효능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JP2023549130A (ja) 5‐アミノレブリン酸塩酸塩を含む組成物
KR102269270B1 (ko) 항산화 활성이 증진된 고구마 추출물 제조방법
KR101333676B1 (ko) 달맞이꽃, 갈근, 솔잎 및 유근피 혼합추출물을 포함하는 모공축소 및 피지분비 억제용 화장료조성물
JP2006062984A (ja) 老化防止組成物およびそれを含有する化粧料ならびに飲食品
KR100899278B1 (ko) 화장료 조성물
KR102174660B1 (ko) 천연식물 발효액 및 천연식물 분말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76938B1 (ko) 천연식물 발효액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98700B1 (ko) 천마 및 적하수오를 이용한 기능성 액상 건강식품의 제조 방법
KR101921518B1 (ko) 스피루리나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436798B1 (ko) 피부 진정, 안티에이징 효과가 개선된 율무, 화산 송이 복합 발효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KR101954275B1 (ko) 골드키위 껍질 및 용과 껍질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40054951A (ko) 발효 한방 혼합 추출물이 함유된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1578464B1 (ko) 홍국 발효 오일이 함유된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60571B1 (ko) 살구 추출물의 제조방법, 이로부터 제조된 살구 추출물 및 이를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피부미용 또는 화장료 조성물
KR20160121633A (ko) 황칠액 발효대사체를 포함하는 항노화 기능성 조성물
KR101666783B1 (ko) 한방과실발효물이 함유된 미백 및 항산화 화장료 조성물
KR101797526B1 (ko) 황칠나무 발효추출물을 함유한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KR20140054953A (ko) 발효 한방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화장료 조성물
KR101744392B1 (ko) 발효 선복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