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2106B1 - 다리 구조 - Google Patents

다리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2106B1
KR101292106B1 KR1020127004989A KR20127004989A KR101292106B1 KR 101292106 B1 KR101292106 B1 KR 101292106B1 KR 1020127004989 A KR1020127004989 A KR 1020127004989A KR 20127004989 A KR20127004989 A KR 20127004989A KR 101292106 B1 KR101292106 B1 KR 1012921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movable
leg
fixed
leg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49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49305A (ko
Inventor
시게미츠 사카이리
Original Assignee
에스엠씨 가부시키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엠씨 가부시키 가이샤 filed Critical 에스엠씨 가부시키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493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93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21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21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0External fittings
    • B65D25/24External fittings for spacing bases of containers from supporting surfaces, e.g. le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2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with approximately constant height, e.g. with constant length of column or of le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다리 구조(10)는, 저부에 배관 포트(38)를 가지는 용기(22)을 기립 자세 상태로 지지한다. 다리 구조(10)는, 용기(22)에 대해서 고정되고 또는 착탈 가능한 고정다리(12a, 12b)와, 용기(22)를 지지한 채로 고정다리(12a, 12b)에 대해서 수평방향으로 근접 이간하도록 이동 가능한 가동다리(14)와, 고정다리(12a, 12b)에 대해서 용기(22)의 기립 자세를 유지하도록 용기(22)와 고정다리(12a, 12b)를 연결하는 연결부(70)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다리 구조 {LEG STRUCTURE}
본 발명은, 용기를 기립시킨 상태로 지지하기 위한 다리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용기를 기립시킨 상태로 지지하기 위한 다리 구조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용기는, 예를 들면, 액체 중의 이물(고형 성분)을 제거하는 필터를 수용하는 것으로, 이 용기의 외주면 하부측에 복수의 다리를 고정함으로써 용기가 기립 자세로 지지된다.
이러한 용기를 지지하는 다리 구조의 제1 종래예로서 고정식의 다리 구조(예를 들면 일본 특허공개 제 2001-353640 호 공보를 참조)가 알려져 있다.
도 1은, 고정식의 다리 구조(104)를 구비한 필터(100)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필터(100)는, 용기(102)와, 용기(102)를 지지하는 다리 구조(104)를 구비하고 있다. 용기(102)는, 외주면 상부측에 설치되고 처리해야 할 액체를 도입하기 위한 도입구(106)와, 외주면 하부측에 설치되고 여과한 액체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108)를 가진다. 또, 용기(102)의 하부에는, 유지보수시에 용기(102) 내에 모인 액체를 배출하기 위한 액체 제거 포트(110)가 설치되어 있다. 도입구(106), 배출구(108) 및 액제 제거 포트(110)에는, 각각 배관(도시하지 않음)이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용기(102)의 외주면 하부측에는, 다리 구조(104)가 부착되어 있다. 다리 구조(104)는, 서로 외주방향으로 간격을 두어 배열설치된 복수(도시예에서는 3개)의 다리(112a, 112b, 112c)를 가지고 있다. 각 다리(112a~c)는, 용접에 의해 용기(102)의 외주면에 고정장착되어 있다.
용기를 지지하는 다리 구조의 제2 종래예로서 착탈식의 다리 구조가 알려져 있다. 도 2는, 착탈식의 다리 구조(122)를 갖춘 필터(120)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리 구조(122)는, 2개의 반원형 부재(124)와, 각 반원형 부재(124)에 고정된 복수의 다리(126a~d)를 가진다. 2개의 반원형 부재(124)는, 용기(102)를 사이에 끼워 볼트(128) 및 너트(130)의 체결에 의해 서로 연결됨으로써 용기(102)에 고정되는 한편, 볼트(128) 및 너트(130)에 의한 체결을 해제함으로써 용기(102)로부터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2에 나타낸 용기(102)의 구성은, 도 1에 나타낸 용기(102)의 구성과 같다.
그런데, 용기(102)의 저부에 설치된 액체 제거 포트(110)에 대해서 배관을 접속하는 작업(배관 시공)을 실시할 때에는, 양호한 작업성을 얻는 관점에서, 액체 제거 포트(110)의 주변에 작업 스페이스가 확보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렇지만, 도 1에 나타낸 고정식의 다리 구조(104)에서는, 다리(112a~c)가 각각 용기(102)에 용접으로 고정장착되어 있고, 게다가 다리(112a~c) 간에 각각의 간격이 좁고, 충분한 작업 스페이스가 확보될 수 없기 때문에, 배관 시공 작업을 실시하기 어렵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도 2에 나타낸 착탈식의 다리 구조(122)에서는, 용기(102)로부터 다리(126a~d)를 분리함으로써 액체 제거 포트(110)의 배관 시공을 위한 작업 스페이스를 확보할 수 있지만, 다리(126a~d)를 제거한 상태에서는 용기(102)를 기립 자세 상태로 유지할 수 없다. 이 때문에, 용기(102)를 기립시킨 채로 배관 시공을 실시하지 못하고, 작업성이 나쁘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용기를 기립시킨 채로 용기의 저부에 설치된 배관 포트에 대한 배관 시공 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하는 것이 가능한 다리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저부에 배관 포트를 가지는 용기를 기립 자세 상태로 지지하기 위한 다리 구조로서, 상기 용기에 대해서 고정되고 또는 착탈 가능한 고정다리와, 상기 용기를 지지한 채로 상기 고정다리에 대해서 수평 방향으로 근접 이간하도록 이동 가능한 가동다리와, 상기 고정다리에 대해서 상기 용기의 기립 자세를 유지하도록 상기 용기와 상기 고정다리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가동다리가 고정다리에 대해서 수평 방향으로 근접 이간하도록 개폐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용기의 저부에 설치된 배관 포트에 대한 배관 시공 시에는, 가동다리를 수평 방향으로 엶으로써 가동다리와 고정다리의 간격을 넓힐 수가 있다. 즉, 다리와 다리의 간격을 넓힘으로써, 용기 하부의 작업 스페이스를 확대할 수가 있다. 따라서, 용기의 저부에 설치된 배관 포트의 주위에, 배관 시공을 위한 충분한 작업 스페이스를 확보할 수가 있고, 이것에 의해 작업성을 향상할 수 있으므로, 배관 시공 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가 있다.
또, 상기의 다리 구조에 대해, 상기 용기를 둘러싸는 포위부재(surrounding member)를 구비하고, 이 포위부재는, 상기 고정다리가 연결된 고정부와, 상기 가동다리가 연결된 가동부와, 이 가동부를 상기 고정부에 대해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부를 가지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용기의 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용기가 기립 자세로 지지되도록 위쪽으로부터 상기 고정부에 걸리는 걸어맞춤부에 의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가동다리가 부착된 가동부가 힌지부를 통하여 회동 가능하게 고정부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힌지부를 중심으로 가동부를 회동시키면, 가동부에 부착된 가동다리도 일체가 되어 회동한다. 따라서, 다리 구조에 의해 용기를 기립 자세로 하여 지지한 상태로, 가동다리의 개폐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가 있다. 또, 용기의 측면에 설치된 걸어맞춤부가 고정부와 걸어맞춰짐으로써 용기가 기립 자세로 지지되므로, 가동다리를 연 상태에 있어서도 용기를 기립시킨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또, 상기의 다리 구조에 있어서, 상기 포위부재는, 상기 가동다리가 소정 각도 이상 열리지 않게 상기 가동부의 회전을 규제하는 스토퍼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스토퍼에 의해 가동다리의 열림 상태가 제한되므로, 가동다리가 지나치게 열리는 것에 의한 용기의 전도를 방지할 수가 있다. 즉, 다리 구조는, 복수의 다리에 있어서 설치면에 접지하여, 용기를 기립 자세로 지지하도록 자세 밸런스를 취할 필요가 있지만, 자세 밸런스를 유지할 수 없을 정도로 가동다리가 너무 열려 버리면, 다리 구조가 용기와 함께 전도할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가동다리의 지나친 열림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를 마련하는 것은, 용기의 전도를 미연에 방지하기에 유효하다.
본 발명의 다리 구조에 의하면, 용기를 기립시킨 채로 용기의 하부에 대한 배관 시공 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가 있다.
도 1은 다리 구조의 제1 종래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다리 구조의 제2 종래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다리 구조를 구비한 필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다리 구조를 구비한 필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다리 구조에 있어서의 고정다리, 가동다리 및 포위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a는 수용부가 포위부재와 걸어맞춰지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생략 사시도이다.
도 6b는 수용부가 포위부재와 걸어맞춰진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생략 사시도이다.
도 7은 힌지부 및 그 주변 부분을 나타내는 일부 생략 확대 사시도이다.
도 8a는 다리 구조에 있어서 가동부를 닫은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설명도이다.
도 8b는 다리 구조에 있어서 가동부를 연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해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다리 구조(10)을 갖춘 필터(20)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다리 구조(10)를 구비한 필터(2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필터(20)는, 용기(22)와, 용기(22)의 하부에 부착된 다리 구조(10)를 가진다.
용기(22)는, 필터(20)의 본체(필터 본체)로서 기능하는 부분으로, 상단이 개구된 원통형의 케이스(24)와, 케이스(24) 상단의 개구를 기밀로 폐쇄하는 돔 형상의 커버(26)로 구성되어 있다. 케이스(24)의 상단에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테두리부(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다. 커버(26)의 하단부에는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테두리부(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다. 커버(26)와 케이스(24) 사이에는, 환상의 개스킷(도시하지 않음)이 개재되어 있다. 커버(26)와 케이스(24)의 테두리부에는, 래치(latch)부(30)를 가지는 조임 밴드(28)가 감겨지고, 래치부(30)에 의해 조임 밴드(28)를 조임 상태로 구속함으로써, 커버(26)가 케이스(24)에 강고하게 고정되어 용기(22)가 기밀 폐쇄된다. 커버(26)의 정수리부에는, 유지보수 등을 위해서 용기(22)를 개방할 때에 내압을 제로로 하기 위한 공기방출 밸브(31)가 설치되어 있다.
케이스(24)의 내부에는, 처리해야 할 액체로부터 이물(고형 성분)을 제거하기 위한 필터 엘리먼트(32)가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처리해야 할 액체는, 예를 들면, 쿨런트액, 세정액, 절삭유, 공업용수 등으로, 고형 성분 등의 이물이 혼입해 있는 액체이다.
처리해야 할 액체를 도입하기 위한 도입구(34)가, 케이스(24) 외주면의 상부측에 돌출되어 설치되어 있다. 처리된 액체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36)가, 케이스(24) 외주면의 하부측에 돌출되어 설치되어 있다. 필터 엘리먼트(32)는, 용기(22) 내에 있어서의 도입구(34)와 배출구(36) 사이의 액체 유로 상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케이스(24)의 하부에는, 유지보수를 실시할 때에, 용기(22) 내에 모인 액체를 배출하기 위한 액체 제거 포트(38)(배관 포트)가 설치되어 있다. 도입구(34), 배출구(36) 및 액체 제거 포트(38)에는, 각각 전용의 배관(도시하지 않음)이 접속되게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용기(22)(필터 본체)에 있어서, 이물(고형 성분)을 포함하는 처리해야 할 액체가 도입구(34)를 통해 용기(22) 내에 도입되면, 필터 엘리먼트(32)에 의해 이물이 포착됨으로써 고액분리가 이루어진다. 즉, 액체가 여과되어, 액체 중의 이물이 제거된다. 그리고, 필터 엘리먼트(32)에 의해 여과된 액체는, 배출구(36)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되어 있다.
또 케이스(24)에는, 필터 엘리먼트(32)를 통과하기 전의 액체의 압력을 계측하는 제1 압력계(40)와, 필터 엘리먼트(32)를 통과한 후의 액체의 압력을 계측하는 제2 압력계(42)가 설치되어 있다.
다리 구조(10)는, 용기(22)를 기립시킨 상태로 지지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한 쌍의 고정다리(12a, 12b)와, 가동다리(14)와, 연결부(70)를 가진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고정다리(12a, 12b)는, 용기(22)에 대해서 포위부재(16)를 통하여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가동다리(14)는, 용기(22)의 지지 상태에 있어서 고정다리(12a)에 대해서 수평 방향으로 근접 이간하도록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리 구조(10)에 의해 용기(22)를 지지했을 때, 액체 제거 포트(38)(배관 포트)의 주위에 고정다리(12a, 12b)와 가동다리(14)가 서로 간격을 두고 위치하는 상태, 즉 복수의 다리(고정다리(12a, 12b)와 가동다리(14))의 사이에 액체 제거 포트(38)가 위치하는 상태가 된다. 도 4에서는, 가동다리(14)가 열린 상태, 즉 가동다리(14)가 수평 방향으로 열려 가동다리(14)와 고정다리(12a)의 간격이 퍼진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다리 구조(10)는 용기(22)를 둘러싸는 포위부재(16)를 구비한다. 도 5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다리 구조(10)에 있어서의 고정다리(12a, 12b), 가동다리(14) 및 포위부재(16)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위부재(16)는, 고정다리(12a, 12b)가 각각 연결된 고정부(44)와, 가동다리(14)가 연결된 가동부(46)와, 가동부(46)를 고정부(44)에 대해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부(48)를 가지고 있다.
도 5에 나타낸 구성예에 있어서, 포위부재(16)는, 닫은 상태에 있어서 용기(22)의 원통 외주면에 적합하도록 전체적으로 대략 환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시 말해서, 포위부재(16)는, 닫은 상태에 있어서의 내경이, 케이스(24)의 외경과 대략 동일한 정도로 설정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고정부(44)와 가동부(46)는, 각각 포위부재(16)의 반원 부분을 구성하고 있고, 고정부(44)에는 고정다리(12a, 12b)가 120도의 간격으로 고정되어, 가동부(46)에는 1개의 가동다리(14)가 가동부(46)의 전체 길이의 거의 중앙 부분에 고정되어 있다. 포위부재(16)를 닫은 상태에 있어서의 가동다리(14)와 2개의 고정다리(12a, 12b)와의 간격은 120도이다. 따라서, 포위부재(16)의 외주부에는, 가동다리(14)와 고정다리(12a, 12b)가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고정다리(12a, 12b)는 각각, 그 상단부에 있어서, 고정부(44)의 외주면에 고정되어 있다. 가동다리(14)는, 그 상단부에 있어서, 가동부(46)의 외주면에 고정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포위부재(16)는 케이스(24)의 원통 외주면에 적합하도록 원주 방향으로 연장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용기(22)가 원통 이외의 형상, 예를 들면 사각통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사각통형상의 외주면에 적합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고정부(44)와 고정다리(12a, 12b)는 용접에 의해 고정장착되어 있지만, 볼트에 의한 체결 등, 다른 고정 수단에 의해 고정되어도 괜찮다. 마찬가지로, 가동부(46)와 가동다리(14)는 용접에 의해 고정장착되어 있지만, 볼트에 의한 체결 등, 다른 고정 수단에 의해 고정되어도 괜찮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고정다리(12a, 12b)와 가동다리(14)는 연직방향으로 연장하고, 서로 평행으로 배치되어 있지만, 이러한 구성에 대신해, 고정다리(12a, 12b)와 가동다리(14)는 아래쪽을 향하여 끝이 넓어지는 형상이 되도록 배치되어도 괜찮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고정측의 다리로서 2개의 고정다리(12a, 12b)가 설치되고, 가동측의 다리로서 1개의 가동다리(14)가 설치되어 있지만, 고정다리(12a, 12b) 중 어느 한 쪽을 생략하는 한편, 가동다리(14)를 2개로 늘려도 괜찮다. 또 고정다리(12a, 12b)와 가동다리(14)의 합계수는, 3으로 한정되지 않고, 4 이상이어도 괜찮다. 이 경우, 용기(22)를 안정되어 지지할 수 있도록, 고정다리(12a, 12b)와 가동다리(14)는 외주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이 좋다.
힌지부(48)는, 고정부(44)와 가동부(46)를, 연직 축심을 중심으로 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부분이다. 따라서, 가동부(46)는, 힌지부(48)를 중심으로 수평 방향으로 회동한다, 즉 수평 선회하는 것이 가능하다.
고정부(44)와 가동부(46)에 있어서, 힌지부(48)가 설치된 쪽의 단부와는 반대쪽의 단부에는,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플랜지부(44a, 46a)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각 플랜지부(44a, 46a)에는, 두께 방향(플랜지부(44a, 46a)에 대해서 수직인 수평 방향)으로 관통하는 볼트구멍(50, 52)(도 4 참조)이 형성되어 있다. 이 볼트구멍(50, 52)에 볼트(54)를 삽입하고, 볼트(54)와 너트(56)를 나사결합시킴으로써 플랜지부(44a, 46a)가 강고하게 체결된다. 이것에 의해, 가동다리(14)의 움직임이 구속된다.
도 6a 및 도 6b는, 용기(22)와 다리 구조(10)의 걸어맞춤 상태를 설명하는 일부 생략 사시도이다.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24)의 외주면에는, 고정다리(12a, 12b)에 대해서 용기(22)의 기립 자세를 유지하도록 용기(22)와 고정다리(12a, 12b)를 연결하는 연결부(70)의 한 형태로서 수용부(70A)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수용부(70A)는, 용접에 의해 케이스(24)의 외주면에 고정장착되어 있지만, 체결 등의 다른 고정 수단에 의해 용기(22)의 외주면에 고정되어도 괜찮다.
도 6a 및 도 6b에 나타낸 수용부(70A)는, 케이스(24)의 외주면을 따라 외주방향으로 연장하는 베이스부(72)와, 베이스부(72)의 양단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고 또한 하부로 연장하는 걸어맞춤부(74)의 한 형태로서의 후크부(74A)를 가진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구성의 수용부(70A)가, 다른 쪽의 고정다리(12b)에 대응하는 위치에도 설치되어 있어, 합계 2개의 수용부(70A)가 케이스(24)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있다.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부(72) 양측의 후크부(74A)는, 고정다리(12a(12b))를 넘는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다. 수용부(70A)는, 수용부(70A)에 용기(22)의 하중이 작용하였을 때에도 그 형상을 유지하는데 충분한 강도(강성)를 가져, 수용부(70A)가 고정부(44)에 걸림으로써 용기(22)를 기립 자세 상태로 확실히 유지할 수 있도록, 재질, 형상 등이 설정되어 있다.
다리 구조(10)에 의해 용기(22)를 지지하는 경우,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포위부재(16)의 내측에, 위쪽으로부터 용기(22)를 삽입한다. 그러면,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부(70A)의 후크부(74A)가 포위부재(16)의 고정부(44) 상부 둘레에 위쪽으로부터 걸리고, 고정부(44)의 내주면과 케이스(24)의 외주면이 맞닿음과 함께 고정부(44)의 외주면과 후크부(74A)의 내면이 맞닿음으로써, 용기(22)가 기립 자세 상태로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수용부(70A)는 2개가 설치되어 있지만, 수용부(70A)의 수를 늘려 용기(22)를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해도 괜찮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수용부(70A)는, 베이스부(72)의 양단에 후크부(74A)가 연결된 구성으로, 베이스부(72)가 케이스(24)의 외주면에 고정되어 있지만, 베이스부(72)를 생략하고 후크부(74A)를 직접 케이스(24)의 외주면에 고정해도 괜찮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고정부(44)의 상부 둘레에 걸리는 걸어맞춤부(74)의 한 형태로서 후크부(74A)를 설명했지만, 걸어맞춤부(74)의 다른 형태로서 케이스(24)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된 위치에서 아래쪽으로 연장하는 핀 형상 또는 바 형상의 삽입부재를 케이스(24)의 외주면에 설치하는 한편, 이 삽입부재가 위쪽으로부터 삽입되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하는 삽입 구멍을 가지는 끼워맞춤부를 고정부(44)의 외주면에 설치하고, 이러한 구성에 의해 용기(22)가 기립 자세 상태로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하여도 괜찮다.
도 7은, 힌지부(48) 및 그 주변 부분을 나타내는 일부 생략 확대 사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부(48)는, 포위부재(16)의 고정부(44)의 일단부와 결합하고 연직방향으로 관통하는 핀 구멍(58a)을 가지는 고정측 통부(58)와, 포위부재(16)의 가동부(46)의 일단부와 결합하고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는 핀 구멍(60a)을 가지는 가동측 통부(60)와, 고정측 통부(58)의 핀 구멍(58a) 및 가동측 통부(60)의 핀 구멍(60a)에 삽입된 힌지 핀(62)와, 힌지 핀(62)의 빠짐을 방지하기 위한 멈춤 핀(64)을 가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힌지부(48)에 의해, 가동부(46)가 고정부(44)에 대해서 연직 축심을 중심으로 하여 매끄럽게 수평 선회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포위부재(16)는, 가동다리(14)가 소정각도 이상 열리지 않게 가동부(46)의 회전을 규제하는 스토퍼(66)를 가진다. 스토퍼(66)는, 가동측 통부(60)의 외주면에 설치된 돌기형상 구조물로서, 도 7에 나타낸 구성에서는, 상하방향으로 연장하는 원통형이다. 스토퍼(66)는 다른 형상의 돌기형상 구조물이어도 괜찮다. 스토퍼(66)는, 돌기형상 구조물은 아니고, 가동부(46)의 회동 각도를 제한하는 다른 수단이어도 괜찮다.
도 8a는, 가동다리(14)(가동부(46))가 닫혀진 상태의 다리 구조(10)(도 5 참조)의 힌지부(48) 및 그 주변을 평면에서 본 개략 설명도이다.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상태에서는, 스토퍼(66)는 고정부(44)와 접촉하고 있지 않다.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부(46)가 고정부(44)에 대해서 열리는 방향으로 소정각도까지 회동하면, 스토퍼(66)가 고정부(44)의 외주면에 맞닿으므로, 가동부(46)가 더 이상 회동하는 것이 저지된다. 따라서, 스토퍼(66)에 의해, 가동부(46)에 고정된 가동다리(14)의 지나친 열림이 방지된다. 가동측 통부(60)에 있어서의 스토퍼(66)의 고정 위치는, 가동다리(14)가 지나치게 열리는 것에 의한 용기(22)의 전도를 방지할 수 있도록 설정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형태의 다리 구조(10)에 의하면, 가동다리(14)가 고정다리(12a)에 대해서 수평 방향으로 근접 이간하도록 개폐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용기(22)의 저부에 설치된 액체 제거 포트(38)(배관 포트)에 대한 배관 시공 시에는, 가동다리(14)를 수평 방향으로 엶으로써 가동다리(14)와 고정다리(12a)의 간격을 넓힐 수가 있다. 즉, 가동다리(14)와 고정다리(12a)의 간격을 넓힘으로써, 용기(22) 하부의 스페이스를 확대할 수가 있다. 따라서, 용기(22)의 저부에 설치된 배관 포트의 주위에, 배관 시공을 위한 충분한 작업 스페이스를 확보할 수가 있고, 이것에 의해 작업성을 향상할 수 있으므로, 배관 시공 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가 있다.
본 실시형태의 다리 구조(10)에 의하면, 가동다리(14)가 장착된 가동부(46)가 힌지부(48)를 통하여 회동 가능하게 고정부(44)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가동부(46)를 연직 축심을 중심으로 회동시키면, 가동부(46)에 장착된 가동다리(14)도 일체가 되어 회동한다. 따라서, 다리 구조(10)에 의해 용기(22)를 기립 상태로 지지한 상태로, 가동다리(14)의 개폐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가 있다. 또, 용기(22)의 수용부(70A)가 고정부(44)와 걸어맞춰짐으로써 용기(22)가 기립 자세로 지지되므로, 가동다리(14)를 연 상태에 있어서도 용기(22)를 기립시킨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다리 구조(10)에 의하면, 스토퍼(66)에 의해 가동다리(14)의 열림 상태가 제한되므로, 가동다리(14)가 지나치게 열리는 것에 의한 용기(22)의 전도를 방지할 수가 있다. 즉, 다리 구조(10)는, 복수의 다리에 있어서 설치면에 접지하여, 용기(22)를 기립 자세로 지지하도록 자세 밸런스를 취할 필요가 있지만, 자세 밸런스를 유지할 수 없을 정도 가동다리(14)가 지나치게 열려 버리면, 다리 구조(10)가 용기(22)와 함께 전도할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가동다리(14)의 지나친 열림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66)를 마련하는 것은, 용기(22)의 전도를 미리 막는데 유효하다.
본 발명에 따른 다리 구조(10)는, 상술의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는 일 없이, 여러 가지의 구성을 채택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다리 구조(10)는, 필터(20)의 용기(22)를 지지하는 것 이외에, 다른 종류의 장치의 용기나 탱크를 지지하기 위해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의 실시형태에서는, 고정다리(12a, 12b)와 가동다리(14)가 포위부재(16)에 고정되어 일체로 구성되고, 케이스(24)의 외주면에 설치된 수용부(70A)가 포위부재(16)에 걸어맞춰짐으로써, 용기(22)를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이러한 구성에 대신해, 다음과 같은 구성을 채용해도 괜찮다.
즉, 연결부(70)의 다른 형태로서 용접 혹은 볼트 등의 고정 수단에 의해 고정부(44)를 케이스(24)의 외주면에 고정해도 괜찮다.
또, 케이스(24)에 고정다리(12a, 12b)를 각각 용접 등으로 고정장착하거나, 혹은 케이스(24)에 대해서 고정다리(12a, 12b)를 각각 볼트 등의 적절한 고정수단으로 착탈 가능하게 고정하고, 연직 축심을 중심으로 요동 자유롭게 되도록 힌지 구조를 통하여 요동부재의 일단을 케이스(24)에 연결하고, 요동부재의 타단에 가동다리(14)를 고정한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도, 가동다리(14)가 고정다리(12a)에 대해서 수평 방향으로 근접 이간하도록 개폐 가능하게 구성되므로, 용기(22)의 저부에 설치된 액체 제거 포트(38)(배관 포트)에 대한 배관 시공 시에는, 가동다리(14)를 수평 방향으로 엶으로써 가동다리(14)와 고정다리(12a)의 간격을 넓힐 수가 있다. 즉, 가동다리(14)와 고정다리(12a)의 간격을 넓힘으로써, 용기(22) 하부의 스페이스를 확대할 수가 있다. 따라서, 용기(22)의 저부에 설치된 액체 제거 포트(38)(배관 포트)의 주위에, 배관 시공을 위한 충분한 작업 스페이스를 확보할 수가 있고, 이것에 의해 작업성을 향상할 수 있으므로, 배관 시공 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가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포위부재(16)는 케이스(24)의 외주면을 한바퀴 감싸도록 형성되어 있지만, 케이스(24)의 외주면을 한바퀴 못 미친 범위에서 감싸하도록 형성되어도 괜찮다. 예를 들면, 도 5에 나타낸 포위부재(16)에 있어서, 가동부(46)는, 가동다리(14)와의 연결부로부터 고정부(44)의 타단부(플랜지부(44a)가 설치된 단부)까지 연장하는 부분(46b)을 가지지만, 이 부분(46b)을 짧게 하거나, 생략해도 괜찮다. 이 경우, 플랜지부(46a)와 플랜지부(44a)를 연결할 수 없지만, 대신에, 가동부(46)를 케이스(24)에 고정하기 위한 적절한 수단을, 가동부(46)의 타단부(힌지부(48)와 반대쪽의 단부)에 설치해도 좋다.

Claims (3)

  1. 저부에 배관 포트(38)를 가지는 용기(22)를 기립 자세 상태로 지지하기 위한 다리 구조(10)로서,
    상기 용기(22)에 대해서 고정되고 또는 착탈 가능한 고정다리(12a, 12b)와,
    상기 용기(22)를 지지한 채로 상기 고정다리(12a, 12b)에 대해서 수평방향으로 근접 이간하도록 이동 가능한 가동다리(14)와,
    상기 고정다리(12a, 12b)에 대해서 상기 용기(22)의 기립 자세를 유지하도록 상기 용기(22)와 상기 고정다리(12a, 12b)를 연결하는 연결부(7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리 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용기(22)를 둘러싸는 포위부재(16)를 구비하고,
    이 포위부재(16)는, 상기 고정다리(12a, 12b)가 연결된 고정부(44)와, 상기 가동다리(14)가 연결된 가동부(46)와, 이 가동부(46)를 상기 고정부(44)에 대해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부(48)를 가지며,
    상기 연결부(70)는, 상기 용기(22)의 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용기(22)가 기립 자세로 지지되도록 위쪽으로부터 상기 고정부(44)에 걸리는 걸어맞춤부(74)에 의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리 구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포위부재(16)는, 상기 가동다리(14)가 소정각도 이상 열리지 않게 상기 가동부(46)의 회전을 규제하는 스토퍼(66)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리 구조.
KR1020127004989A 2009-08-27 2009-08-27 다리 구조 KR1012921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9/064930 WO2011024274A1 (ja) 2009-08-27 2009-08-27 脚構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9305A KR20120049305A (ko) 2012-05-16
KR101292106B1 true KR101292106B1 (ko) 2013-08-09

Family

ID=436274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4989A KR101292106B1 (ko) 2009-08-27 2009-08-27 다리 구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840073B2 (ko)
JP (1) JP5419025B2 (ko)
KR (1) KR101292106B1 (ko)
CN (1) CN102712390B (ko)
DE (1) DE112009005166B4 (ko)
WO (1) WO201102427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41344A (zh) * 2015-06-01 2015-08-19 侯如升 一种不锈钢反应锅锅体调节组件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712521U (ko) * 1971-03-13 1972-10-14
JPH0293231U (ko) * 1988-12-31 1990-07-24
JP2001353640A (ja) 2000-06-16 2001-12-25 Koike Engineering & Service Kk 逆流洗浄機能を具備した濾過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8284A (en) * 1895-10-22 Combined oil-can and lamp-filler
US1609207A (en) * 1926-01-26 1926-11-30 L Z Schlabaugh Foldable holder and manipulator for bottles
US2324747A (en) * 1940-06-10 1943-07-20 Sewall Paint & Varnish Company Drum rack
US3167205A (en) * 1963-10-03 1965-01-26 Smith Clarence Combination refuse receiving receptacle and supporting rack
US4162796A (en) * 1978-03-02 1979-07-31 Nixdorff Krein Industries, Inc. Tank mounting apparatus for tractors
US4744536A (en) * 1986-06-25 1988-05-17 Icu Medical, Inc. Collapsable pole and stand combination
JP2593204B2 (ja) 1988-09-29 1997-03-26 富士工業株式会社 温度調節機能を有するレンジフード
US6511606B2 (en) * 1999-07-02 2003-01-28 Mechanical Manufacturing Corp. Simple, economical and rapid method for determining the contaminate particle size in fluids being filtered
US6517036B1 (en) * 2001-08-24 2003-02-11 Senovio Ramirez, Jr. Water cooler holders
US6776379B2 (en) * 2002-02-14 2004-08-17 Phillips Mfg. And Tower Co. Container with adjustable legs
JP2004284656A (ja) * 2003-03-24 2004-10-14 Yuyama Manufacturing Co Ltd 薬剤包装装置
US7032259B1 (en) * 2004-03-18 2006-04-25 Elisheva Kilion Collapsible infant tub
US20060196997A1 (en) * 2005-03-04 2006-09-07 Johnson Sheila E Movable and adjustable cooler stand
US7350671B2 (en) * 2005-06-20 2008-04-01 Mika Timothy D Multi-user transformable water cooler
US20100276513A1 (en) * 2009-05-01 2010-11-04 Kevin Huff Liquid-dispensing statio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712521U (ko) * 1971-03-13 1972-10-14
JPH0293231U (ko) * 1988-12-31 1990-07-24
JP2001353640A (ja) 2000-06-16 2001-12-25 Koike Engineering & Service Kk 逆流洗浄機能を具備した濾過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840073B2 (en) 2014-09-23
DE112009005166T5 (de) 2012-09-13
CN102712390B (zh) 2014-08-13
CN102712390A (zh) 2012-10-03
JP5419025B2 (ja) 2014-02-19
DE112009005166B4 (de) 2014-05-15
US20120153100A1 (en) 2012-06-21
WO2011024274A1 (ja) 2011-03-03
KR20120049305A (ko) 2012-05-16
JPWO2011024274A1 (ja) 2013-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23663B2 (en) Convertible filtration system
KR101931383B1 (ko) 스윙볼트 스플래시 실드
US8763850B2 (en) Portable manway cover hinge device and methods
ES2856876T3 (es) Dispositivo de filtración para fluidos
KR101292106B1 (ko) 다리 구조
JP2010527768A (ja) 安全機能がついた流体ろ過装置および方法
CA2629106A1 (en) Portable manway cover hinge device
JP2013504016A (ja) 容器、特に圧力容器
KR101870287B1 (ko) 여과기를 갖춘 위험물 운반용기
US8640764B2 (en) Fluid pressure vessel employing filter bags
KR101658451B1 (ko) 수직형 자동 고액분리장치
US8557185B2 (en) Pressure vessel arrangement comprising an external pressure vessel and at least one insert basket
JP5988687B2 (ja) 弁装置
JP3599723B2 (ja) 濾過装置およびその使用方法
EP1718388A4 (en) DRAIN VALVE INSERTION ELEMENT
US20140191000A1 (en) Container for liquid chemicals
JPH0353756Y2 (ko)
KR200472463Y1 (ko) 선박
RU2618631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запирания крышки сосуда, работающего под давлением
JP2022122636A (ja) ストレーナ
KR20170044453A (ko) 스트레이너
JP2002177715A (ja) ストレーナ
KR20160001030U (ko) 맨홀 커버
KR20120124216A (ko) 선박용 오일 필터 및 이를 구비한 오일 스트레이너
KR20090001146U (ko) 산업용 유체 여과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