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1836B1 - 전자 장치 내의 광원을 조명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전자 장치 내의 광원을 조명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1836B1
KR101291836B1 KR1020087022217A KR20087022217A KR101291836B1 KR 101291836 B1 KR101291836 B1 KR 101291836B1 KR 1020087022217 A KR1020087022217 A KR 1020087022217A KR 20087022217 A KR20087022217 A KR 20087022217A KR 101291836 B1 KR101291836 B1 KR 1012918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signal
light sources
duty cycle
illumination control
illumin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222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111447A (ko
Inventor
크리스 제이. 그리바스
에릭 에이. 촐르윈
앤드류 에스. 룬드홀름
Original Assignee
모토로라 모빌리티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토로라 모빌리티 엘엘씨 filed Critical 모토로라 모빌리티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0801114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114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18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18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40Details of LED load circuits
    • H05B45/44Details of LED load circuits with an active control inside an LED matrix
    • H05B45/46Details of LED load circuits with an active control inside an LED matrix having LEDs disposed in parallel lin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30Driver circuits
    • H05B45/32Pulse-control circuits
    • H05B45/325Pulse-width modulation [PWM]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30Driver circuits
    • H05B45/355Power factor correction [PFC]; Reactive power compensat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30Driver circuits
    • H05B45/37Converter circuits
    • H05B45/3725Switched mode power supply [SMPS]
    • H05B45/38Switched mode power supply [SMPS] using boost topolo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Abstract

전자 장치(100) 내의 복수의 광원(102, 103, 104, 105)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의 광원(102, 103, 104, 105)은 조명 디스플레이(101)를 백라이팅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다수의 광원을 동시에 스위치 온 시킴으로써, 전원(219)의 출력 전압을 떨어뜨려, 전자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에 잠재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조명 컨트롤러(107)은 각각의 작동 시간이 고유하도록 조명 제어 신호(204, 205, 206, 207)에 관련되는 작동 시간을 분포시킨다. 제어 신호 발생기(201)는 이에 저장되는 광원 작동 정보를 갖는 제어 신호(202)를 생성한다. 조명 컨트롤러(107)는 그 후 복수의 광원(102, 103, 104, 105)을 작동시킬 수 있는 복수의 조명 제어 신호(204, 205, 206, 207)를 발생시킨다. 각각의 조명 제어 신호(204, 205, 206, 207)는 이에 관련되는 작동 시간과 듀티 사이클을 갖는다. 조명 컨트롤러(107)는 복수의 광원(102, 103, 104, 105)에 의해 도입되는 순시 전류를 줄이도록 제어 신호에 걸쳐서 작동 시간을 분포시킨다.
광원, 전자 장치, 신호, 조명 컨트롤러

Description

전자 장치 내의 광원을 조명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ILLUMINATING LIGHT SOURCES WITHIN AN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은, 예를 들어, 발광 다이오드와 같은 광원을 작동시키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복수의 펄스폭 변조 신호를 스태거(stagger)시킴으로써 전자 장치 상의 디스플레이 또는 경보기(annunciator)를 조명하기 위한 광원을 작동시키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동 전화, PDA, 및 휴대용 컴퓨터 등의 많은 전자 장치들은, 사용자에게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를 포함한다. 이들 디스플레이 중 다수는, 디스플레이가 어두운 환경에서 쉽게 보여질 수 있도록 조명기구(lighting)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액정 표시장치 등의 일부 디스플레이들은 환경에 무관하게 그 동작을 위한 조명기구의 사용을 필요로 한다. 투과형 액정 디스플레이는 형광 램프, 발광 다이오드,또는 디스플레이 후면으로부터 광을 투사하는 기타의 유사한 장치 등의 백라이트형 및 가변형의 반투명 픽실레이티드(pixilated) 디스플레이를 포함한다. 어느 픽셀들이 광을 통과시키고 통과시키지 않는지를 선택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상에 이미지가 생성된다.
많은 장치들에 있어서, 백라이트 용으로 다수의 광원들이 사용된다. 일부 액정 디스플레이 TV에서는 단일 벌브를 채용할 수 있는 반면, 더 작은 휴대용 장치들에서는 자신의 디스플레이를 조명하기 위하여 수개의 발광 다이오드를 사용하기도 한다. 디스플레이를 조명하는 하나의 종래 기술의 방법으로서, 디스플레이가 활성화 되는 때에 광원 전부를 ON 시켜, 디스플레이 상에서 정보가 활성화되는 한 ON 상태로 남도록 하는 것이 있다. 예를 들어, 사람이 플립형 전화를 여는 경우, 광원이 전부 ON 되게 되고, 전화가 닫힐 때까지 ON 상태로 유지될 수도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 해결책의 문제점은, 광원이 전력을 소모한다는 사실로 기인한다. 예를 들어, 휴대형 전화와 같이 장치가 배터리로 전원공급되는 장치인 경우, 광원으로 소모되는 에너지는 전화 통화를 위해 사용될 수 없다. 그 결과, 배터리 재충전 간의 가동 시간이 더 짧아진다.
이러한 감소된 가동 시간 문제에 대한 하나의 종래 기술 해결책으로서는, 디스플레이가 활성화되는 동안에 광원을 펄스로 온/오프시키는 것이 있다. 사람의 눈은, 모든 광원들을 턴온시켜 ON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아니라, 빨리 지나가는 화상들을 취합하기 때문에, 장치가 광원들을 빠르게 펄스로 온/오프, 온/오프, 계속 온/오프 시킬 수 있다. 그 결과로서, 사람의 눈에 조명되는 것으로 보이지만, 계속 조명되는 것보다는 적게 전력을 소모하는 디스플레이가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 해결책의 문제점은, 다수의 광원을 빠르게 온/오프시키는 것이 전원으로부터 큰 전류의 펄스를 가져온다는 것이다. 충전지의 경우와 같이, 전원이 내재적인 내부 임피던스를 갖는 경우, 큰 순시 전류가 전원의 출력 전압을 떨어뜨릴 수도 있다. 따라서, 수개의 광원을 동시에 작동시킴으로써, 전원 전압이 급강하(dipping)하거나, 오류로 될 수 있다. 급강하가 심각하게 되는 경우, 장치 내의 다른 동작들이 보상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전원 전압의 급강하는 광원 자체 내에서 소망하지 않는 깜박거림(flickering)을 일으킬 수 있다. 또한, 오디오 버즈, 디지털 카메라 노이즈, 통신 문제, 및 기타 문제점들이 일어날 수 있다.
따라서, 휴대용 전자장치 내에서 디스플레이 및 다른 장치들을 조명하는 개선된 방법 및 장치에 대한 요구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컨트롤러 및 관련 회로를 나타낸다.
도 3,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서 조명 제어 신호의 활성화 부분이 제어 신호의 활성화 부분보다 작은 경우의 타이밍도를 나타낸다.
도 6,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서 조명 제어 신호의 활성화 부분과 제어 신호의 활성화 부분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경우의 타이밍도를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과 종래 기술에 따른 일례의 전류 파형을 나타낸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광원을 조명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시 경보기를 나타낸다.
당업자라면, 도면 내의 구성요소들은 간단 명료성을 위하여 도시된 것으로서, 반드시 스케일되도록 작도된 것은 아니라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이해를 증진시키는데 도움을 주기 위하여 도면 내의 일부 구성요소의 치수는 다른 구성요소에 비하여 과장될 수 있다.
실시예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기에 앞서, 실시예들은 주로 전자 장치 내의 디스플레이 및 경보기를 조명하는 방법 및 장치와 관련되는 방법 단계들과 장치 성분들의 조합으로 존재한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기재의 잇점을 갖는 당업자에게 자명한 세부 사항들로 인해 본 개시를 모호하게 하지 않도록, 장치 성분들과 방법 단계들은 적절한 경우 도면 내에서 종래의 심볼들로 표현되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이해에 속하는 상세 세부사항들만을 나타내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특정의 비프로세서 회로와 연계하여, 본 명세서에 기재된 복수의 광원을 조명하는 기능들 중 일부, 대부분, 또는 전부를 구현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제어하는 하나 이상의 종래의 프로세서 및 고유한 저장 프로그램 인스트럭션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비프로세서 회로로서는, 이에 한하지는 않지만, 무선 수신기, 무선 송신기, 신호 구동기, 클록 회로, 전원 회로, 및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이러한 기능들은 본 발명에 다른 광원을 조명하는 방법의 단계들로 해석될 수도 있다. 대안으로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들은 저장 프로그램 인스트럭션을 갖지 않는 상태 머신으로서, 또는 각 기능 또는 특정 기능들 중 일부 조합이 커스텀 로직으로 구현되는 하나 이상의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예를 들어, 활용가능한 시간, 현재의 기술, 및 경제적 고려사항들에 의해 자극받는 많은 설계 선택사항들과 상당한 노력의 가능성에도 불구하고, 당업자라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개념과 원리에 의해 안내되는 경우, 이러한 소프트웨어 인스트럭션과 프로그램 및 IC들을 최소의 실험으로서 쉽게 생성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을 참조하면, 도면들을 통해서 동일한 번호는 동일한 부분을 지칭한다. 본 명세서의 설명부와 청구항들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이하의 용어는 문맥에서 달리 명백히 지칭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명시적으로 관련되는 의미들을 취한다: "a", "an", 및 "the"라는 의미는, 복수의 참조를 포함하며, "in"이라는 의미는 "in"과 "on"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문서에 있어서, 제1 및 제2, 최상부 및 최하부, 등의 관계 용어들은 이러한 개체 또는 조치들 사이에서 실제 이러한 관계 또는 순서를 요구하거나 의미하지는 않고, 또 다른 개체 또는 조치로부터 하나의 개체 또는 조치를 구별하기 위해서만 사용될 수도 있다. 괄호안의 참조 지정자는 당시 논의되는 것이 아닌 도면내의 구성요소들을 지칭한다. 예를 들어, 도 2의 설명에서 성분 A(110)이라고 하면, 도 2가 아닌 다른 도면에서 성분 A가 나타난다는 것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광원을 조명하는 방법 및 장치는, 각종 신호들의 작동 시간들이 상이하도록 복수의 펄스폭 변조 신호의 가동 시간을 스태거링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러한 스태거링은, 임의의 하나의 순간에서 전원으로부터의 순시 전류를 감소시켜, 전원 출력 전압의 변동성을 감소시킨다. 전류원에 의해 이끌어지는 평균 전류는 여전히 동일할지라도, 임의의 순간에서 이끌어지는 피크 전류는 종래 기술의 해결책에 비하여 감소된다.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더 균일한 전류 드레인은 특히 배터리 전원 장치에 적합하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방법과 장치는 배터리에 대한 순시 전류 부담을 경감시키는 역할을 한다(큰 피크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의 필요성을 제거함으로써). 또한, 커패시터와 인덕터를 포함한 하드웨어 전력 관리 회로와 관련된 성분들은 크기가 감소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장치의 전반적인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향상된 신뢰도 또한 가져올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성분들과 장치들은 더 낮은 전류 레벨에서 증가된 결함간 평균 시간(mean time between failures)을 시현한다.
본 발명의 방법 및 장치는 다양한 종류의 광원에 적합하다. 예를 들어, 일부 장치들은 휴대용 전자장치 내의 발광 다이오드와 함께 사용하기 위하여 본 발명을 채용하기도 하는 한편, 다른 장치들은 백열 전구 또는 전계발광 패널을 갖는 더 큰 장치들과 함께 본 발명을 채용하기도 한다. 물론, 본 발명의 개념과 범주 내에서 이들 조명 기술들과 다른 것들의 조합을 혼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전자 장치(100)의 일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무선 통신 장치(100)로서 예시를 위해 도시되어 있지만, 본 개시의 잇점을 갖는 당업자에게는 이에 한하지 않는다는 것이 명백하게 될 것이다. 휴대용 컴퓨터, PDA, 페이저, 2방향 라디오, TV, MP3 플레이어, DVD 플레이어, 등을 포함하는 다른 장치들이 본 발명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적합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무선 통신 장치(100)는 휴대 전화이다.
무선 통신 장치(100)는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조명 디스플레이(101)를 포함한다. 백라이트형의(backlit) 사용자 판독가능한 디스플레이일 수 있는 조명 디스플레이(101)는 복수의 광원(102, 103, 104, 105)에 의해 조명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전계발광 패널 및 기타 균등물을 포함하는 다른 광원들로 대체될 수 있지만, 복수의 광원(102, 103, 104, 105)은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한다. 복수의 광원(102, 103, 104, 105)이 활성화한 때에, 사용자에 의해 인지가능한 평균 광도(109)를 성취하도록 조명 디스플레이(101)를 통해 광을 투영한다.
조명 디스플레이(101)는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08)를 포함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08)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패드일 수 있다. 대안으로서, 사용자 인터페이스(108)는 터치 감지 디스플레이 또는 음성 작동 모듈일 수 있다. 이하의 기재에서 볼 수 있듯이,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08)를 통해 복수의 광원(102, 103, 104, 105)에 대한 작동 시간 또는 주기를 변경하기 위한 장치에 대하여 조명 정보를 공급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장치(100)는 장치(100)의 동작을 담당하는 내부 회로를 포함한다. 내부 회로는 기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106) 및 관련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 내부에 배치된 펌웨어 코드는 운영 프로그램, 어플리케이션, 및 운영 체제에 대한 인스트럭션을 포함할 수 있다. 조명 컨트롤러(107)은 마이크로프로세서(106)에 결합된다. 조명 컨트롤러(107)는 마이크로프로세서(106)와 연계하여 광원(102, 103, 104, 105)들을 적절하게 제어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조명 디스플레이(101)의 내부 회로의 서브셋트의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마이크로프로세서(106), 조명 컨트롤러(107), 및 복수의 광원(102, 103, 104, 105)이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도 2의 회로는 다양한 전자 장치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드롭-인 모듈(200)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명 컨트롤러(107), 마이크로프로세서(106), 또는 그 양측 모두는 다른 어플리케이션 내의 다른 전자 성분들과 사용하기 위한 ASIC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마이크로컨트롤러(106)는 적어도 제어 신호(202)를 생성할 수 있는 제어 신호 발생기(201)를 포함한다. 제어 신호 발생기(201)는 독립형의 IC 이거나, 다른 성분에 임베드될 수 있지만, 조명 컨트롤러(107)는 이 펄스폭 변조 신호(202)를 이용하여 제어 신호(202) 내의 광원 작동 정보에 따라서 복수의 광원(102, 103, 104, 105)들을 작동시킨다.
제어 신호(202)는 이에 기억된 광원 작동 정보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이 광원 작동 정보는 펄스폭 변조 파형 자체 내에 포함된다. 펄스폭 변조 제어 신호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일 실시예일 뿐이며, 다른 형태의 제어 신호 또한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신호(202)는 조명 컨트롤러에 지시하는 디지털 신호, 즉, 디지털 비트, 바이트, 또는 워드의 시리얼 또는 패러렐 통신을 포함할 수 있다. 대안으로서, 제어 신호(202)는 간단한 아날로그 신호일 수 있으며, 여기서, 아날로그 신호의 레벨이 조명 정보를 나타낸다. 광학 신호, RF 신호, 및 기타의 통신 메카니즘이 제어 신호 발생기(201)로부터 조명 컨트롤러(107)에 제어 신호(202)를 전달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펄스폭 변조 신호가 제어 신호(202)로서 사용되는 경우, 제어 신호(202)의 주기 및 소정의 듀티 사이클은 복수의 광원(102, 103, 104, 105) 각각이 작동되어야 하는 시간량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서 구성요소(203)으로 나타낸 듀티 사이클은 제어 신호(202)가 활성화되는 시간량을 제어 신호(202)가 비활성화되는 시간량으로 나눈 것으로 정의된다. 이와 같이, 광원 작동 정보는 활성화 신호 시간의 비율에 의해 정의되는 소정의 듀티 사이클(203)에 의해 나타내어질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소정의 듀티 사이클(203)이 활성화된 경우, 복수의 광원(102, 103, 104, 105) 각각은 동일한 시간량 동안, 부분적인 시간량 동안, 더 긴 시간량 동안, 또는 더 적은 시간량 동안 활성화될 수 있다.
제어 신호 발생기(201)와 복수의 광원(102, 103, 104, 105) 사이에 결합되는 조명 컨트롤러(107)는 입력(218)을 통해 이에 저장되는 조명 정보를 갖는 제어 신호(202)를 수신한다. 제어 신호(202)의 수신에 따라서, 조명 컨트롤러(107)는 복수의 광원(102, 103, 104, 105)을 작동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복수의 조명 제어 신호(204, 205, 206, 207)를 발생시킨다. 조명 제어 신호(204, 205, 206, 207) 각각은 이하 도 3 내지 도 8의 기재에서 상세하게 설명하는 바와 같이 이와 관련되는 조명 제어 듀티 사이클을 갖는다.
조명 제어 듀티 사이클은 활성화 부분, 비활성화 부분, 및 작동 시간을 포함한다. 작동 시간은 비활성화 부분과 다음의 활성화 부분 사이의 스위칭 시간이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조명 컨트롤러(107)는 작동 시간 각각이 고유하도록, 복수의 광원(102, 103, 104, 105) 각각이 고유하게 상이한 시간에서 동작가능하게 되도록 복수의 조명 제어 신호(204, 205, 206, 207)를 발생시킨다.
고유한 작동 시간은 분배기(217)를 통해서 성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분배기(217)는 조명 제어 신호의 비활성화 부분에서부터 조명 제어 신호의 활성화 부분으로 작동이 각각 전환되는 스태거에 포함된다. 작동 시간의 스태거링은 각각의 작동 전환이 상이한 시간에서 발생하도록 함으로써, 전원(219)으로부터의 순시 전류를 감소시킨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분배기(217)는 제어 신호(202)의 주기에 걸쳐서 골고루 작동 전환을 분포시킨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조명 컨트롤러(107)는 복수의 광원(102, 103, 104, 105)에 결합되는 복수의 전류원(208, 209, 210, 211)을 포함한다. 복수의 전류원(208, 209, 210, 211) 각각은 복수의 출력(213, 214, 215, 216)을 통해서 복수의 광원(102, 103, 104, 105) 각각 사이에 직렬로 결합된다. 도 2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복수의 전류원(208, 209, 210, 211)이 복수의 광원(102, 103, 104, 105)의 캐소드에 결합되지만, 마찬가지로 애노드에 결합될 수도 있다. 복수의 전류원(208, 209, 210, 211)의 작동을 통해서, 복수의 광원(102, 103, 104, 105)이 온/오프될 수 있다. 복수의 전류원(208, 209, 210, 211)은 트랜지스터의 조합으로서 구성될 수 있기 때문에, 조명 컨트롤러(107)가 스탠드얼론 모듈로 구성되는 경우, 복수의 출력(213, 214, 215, 216)이 복수의 조명 제어 신호(204, 205, 206, 207)를 발생시킬 수도 있다. 따라서, 모듈의 각각의 출력(213, 214, 215, 216)은 복수의 광원(102, 103, 104, 105)을 작동시킬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전류원이 활성화된 경우, 해당 광원을 통해 전류가 도입되어, 이를 조명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전류원(208, 209, 210, 211)을 제어함으로써, 조명 컨트롤러(107)는 해당하는 복수의 광원(102. 103, 104, 105)들을 제어할 수 있다. 복수의 전류원(208, 209, 210, 211)을 복수의 조명 제어 신호(204, 205, 206, 207)로 구동함으로써, 각 전류원(208, 209, 210, 211)은 해당 조명 듀티 사이클이 활성화된 때에 활성화될 수 있다.
전원(219)이 복수의 광원(102. 103, 104, 105)에 결합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레귤레이터(212)가 전원(219)과 복수의 광원(102. 103, 104, 105) 사이에 직렬로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광원(102. 103, 104, 105)의 밝기를 잠재적으로 증가시키기 위하여, 승압 레귤레이터가 사용될 수 있으며, 전원(219)과 복수의 광원(102. 103, 104, 105) 사이에 결합될 수 있다. 다른 적용예들에서는, 버크 레귤레이터(buck regulator), 선형 레귤레이터, 등을 포함하여 다른 전력 조정 시스템의 사용을 언급하고 있다. 레귤레이터(212)가 채용되는 경우, 전류원(208, 209, 210, 211)이 작동되는 때에, 복수의 광원(102. 103, 104, 105) 각각이 레귤레이터(212)로부터 전류를 도전시킨다. 레귤레이터(212)가 채용되지 않는 경우, 전류원(208, 209, 210, 211)의 작동은 전류가 전원(219)으로부터 직접 도입되도록 한다. 작동 시간을 스태거함으로써, 조명 컨트롤러(107)는 전원(219), 레귤레이터(212), 또는 그 양자로부터 도입되는 순시 전류, 곧, 그 출력 전압 리플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한번에 하나의 광원만을 ON시켜, 복수의 광원(102, 103, 104, 105)에 의해 도입되는 순시 전류의 량을 최소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조명 컨트롤러(107)는 하나의 광원이 또 다른 광원이 OFF 됨에 따라서만 ON되도록 작동 시간을 분산시킬 수 있다. 이렇게 함에 있어서, 하나의 광원만이 한번에 활성화되어, 전원(219)으로부터 도입되는 전류를 최소화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도 2로부터의 제어 신호(202)와 조명 제어 신호(204, 205, 206, 207)의 일례의 파형이 도시되어 있다. 도 3 내지 도 8의 파형은 조명 컨트롤러(107)에 의해 발생되는 다양한 조명 제어 신호(204, 205, 206, 207)로부터 수집될 수 있는 파형과 작동 시간의 일부의 예시적인 연구를 위한 것이다. 도시된 예들은 포괄적으로 의도된 것은 아니다. 본 개시의 잇점을 갖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른 파형 조합이 취해질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설명을 위하여, 제어 신호는 구성요소(202) 및 차별화된 문자로서 참조되는 반면, 조명 제어 신호는 구성요소(204, 205, 206, 207) 및 차별화된 문자로서 참조될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일례의 제어 신호(202A) 및 제어 신호(202A)의 수신 시 본 발명에 따라서 조명 컨트롤러(107)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조명 제어 신호(204A, 205A, 206A, 207A)가 도시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 신호(202A)는 광원 작동 정보를 포함하며, 이는 제어 신호(202A)의 활성화된 부분(301)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광원 작동 정보는, 도 3 내지 도 5의 경우와 같이, 복수의 광원(102. 103, 104, 105)이 조명되어야 하는 주기적인 시간량을 표상할 수 있다. 대안으로서, 광원 작동 정보는 도 6 내지 도 8의 경우와 같이 복수의 광원(102. 103, 104, 105)이 조명되어야 하는 주기적인 시간량을 단지 지시할 뿐일 수 있다.
도 3에 있어서, "301/302"로 표상된 활성화 신호 시간의 부분은, 시간(302)으로 시간(301)을 나눈 부분이므로, 소정의 평균 광도를 성취하기 위해 복수의 광원(102. 103, 104, 105)이 조명되어야 하는 주기적인 시간량에 해당한다. 도 3의 실시예에 있어서, 신호(204A)의 조명 제어 듀티 사이클, 예컨대, 307/308은 제어 신호(202A)의 소정의 듀티 사이클(301/302)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다른 조명 제어 신호의 듀티 사이클, 예컨대, 조명 제어 신호(205A)의 듀티 사이클(309/310), 조명 제어 신호(206A)의 듀티 사이클(311/312), 및 조명 제어 신호(206A)의 듀티 사이클(313/314)은 제어 신호(202A)의 듀티 사이클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그러나, 각 조명 제어 신호(204A, 205A, 206A, 207A)의 각 작동 시간(303, 304, 305, 306)이 상이하도록 작동 시간(303, 304, 305, 306)은 제어 신호(202A)의 주기(315)에 걸쳐 분포되어 있다. 이러한 작동 시간의 스태거링은 전원(219)으로부터 도입되는 순시 전류를 감소시킨다.
도 3의 예에 있어서, 작동 시간(303, 304, 305, 306)은 제어 신호(202A)의 주기(315)에 걸쳐 골고루 분포되어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 신호(202A)가 소정의 주기(319)를 갖는 펄스폭 변조 신호인 경우, 신호(202A)의 활성화 부분(301)은 각각의 개별 광원(102, 103, 104, 105)이 활성화되는 시간 주기를 표상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조명 제어 신호(204A, 205A, 206A, 207A)는 각 광원의 ON 시간을 최대화하도록 제어 신호(202A)의 소정 주기(315)에 걸쳐 비례적으로 분포되어 있다.
또한, 작동 시간(303, 304, 305, 306)은 한번에 하나의 광원(102, 103, 104, 105)만이 활성화되도록 분포되어 있다. 이는 선행하는 광원이 OFF되는 때에 각각각의 작동 시간이 발생하도록 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즉, 조명 제어 신호(204A)가 자신의 활성화 상태(307)에서 비활성화 상태(308)로 전환하는 등의 때에 작동 시간(304)이 발생한다. 이러한 "한번에 하나의 광"이라는 시나리오는 복수의 광원(102, 103, 104, 105)을 통해 도입되는 순시 전류를 감소시키고 최소화하는데 도움을 준다.
도 4를 참조하면, 대안의(altenate) 제어 신호(202B) 및 제어 신호(202B)의 수신 시 본 발명에 따라서 조명 컨트롤러(107)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조명 제어 신호(204B, 205B, 206B, 207B)를 나타낸다. 도 3의 조명 제어 신호(204A, 205A, 206A, 207A)는 한번에 하나의 광원만이 활성화되도록 분포된 반면, 도 4의 조명 제어 신호(204B, 205B, 206B, 207B)는 각각의 조명 제어 신호가 서로 중첩되도록 스태거된다. 이는 필요한 광도를 성취하기 위해 중첩하는 조명이 요구되는 경우 당연한 것일 수 있다. 전원(219)으로부터 도입되는 순시 전류는 도 3의 파형에 관련된 것보다 더 높은 반면, 각각의 광원이 동시에 ON되는 경우 종래 기술의 해결책보다 더 낮다.
제어 신호(202B)는 활성화 부분(401)과 비활성화 부분(402)을 포함한다. 도 4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조명 제어 신호(204B)의 활성화 부분(407)과 비활성화 부분(408) 양자 모두는 제어 신호(202B)와 동일하다. 조명 제어 신호(204B, 205B, 206B, 207B)인 경우, 작동 시간(403, 404, 405, 406)은 제어 신호(202B)의 활성화 시간(401)에 걸쳐 비례적으로 분포되어 있다. 그러나, 이를 행함에 있어서, 일부 조명 제어 신호(204B, 205B, 206B, 207B)는 중첩한다. 예를 들어, 하나의 점에서, 제어 신호(204B)에 의해 구동되는 광원은 제어 신호(205B 및 206B)에 의해 구동되는 광원들과 동시에 ON 된다. 제어 신호(202B)의 듀티 사이클(401/402)은 광원 작동 정보를 지시하기 때문에, 조명 제어 신호(204B, 205B, 206B, 207B)의 듀티 사이클(407/408, 409/410, 411/412, 413/414)은 제어 신호(202B)의 듀티 사이클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실제에 있어서, 전류 드레인의 최소화가 중요한 경우, 중첩량이 최소로 유지된다.
도 5를 참조하면, 대안의 제어 신호(202C) 및 제어 신호(202C)의 수신 시 본 발명에 따라서 조명 컨트롤러(107)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조명 제어 신호(204C, 205C, 206C, 207C)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의 조명 제어 신호(204A, 205A, 206A, 207A)는 한번에 하나의 광원만이 활성화되도록 분포되어 있고, 도 4의 조명 제어 신호(204B, 205B, 206B, 207B)는 각각의 조명 제어 신호가 중첩되도록 스태거되어 있는 반면, 도 5의 제어 신호는 중첩없이 제어 신호(202C)의 주기(515)에 걸쳐 골고루 확산되어 있다. 제어 신호(202C)의 듀티 사이클(501/502)은 각각의 광원이 활성화되게 되는 시간량을 지시하므로, 조명 제어 신호(204C, 205C, 206C, 207C)의 듀티 사이클(507/508, 509/510, 511/512, 513/514)은 제어 신호(202C)의 듀티 사이클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작동 시간(503, 504, 505, 506)은 각각의 조명 제어 신호(204C, 205C, 206C, 207C)가 중첩하지 않도록 스태거된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평균 광원 광도와 관련되는 활성화 조명 제어 신호에 의해 조명 제어 신호 듀티 사이클이 특성화되는 경우 제어 신호들이 도시되어 있다. 도 3 내지 도 5에서는 조명 제어 듀티 사이클이 제어 신호의 듀티 사이클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반면, 도 6 내지 도 8에서는 조명 제어 듀티 사이클이 제어 신호의 소정의 듀티 사이클보다 작다.
본 발명에 따라서 다양한 방법으로 전자 장치들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조명 컨트롤러(107)는 각각의 광원이 활성화되는 시간량을 정확하게 지시하는 듀티 사이클을 갖는 제어 신호(202)를 수신한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 신호(202)를 발생시키는 성분에 대하여 인텔리전스가 설계된다. 예를 들어, 메모리에 저장되는 펌웨어 커맨드를 실행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106)는 장치 내에 어떤 종류의 광원이 배치되는지, 복수의 광원(102, 103, 104, 105)으로부터 소정의 광도를 성취하기 위해 얼마나 오래 광원이 작동되어야 하는지를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 신호 발생기(201)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듀티 사이클로 제어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조명 컨트롤러(107)에 인텔리전스가 설계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어 신호 발생기(201)는 활성화 부분이, 예를 들어, 광원이 ON 되어야 하는 전체 시간량을 표상하는 펄스폭 변조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조명 컨트롤러(107)는 조명 제어 신호(204, 205, 206, 207)를 세분화하거나 그렇지 않다면 소망하는 평균 광도를 성취하도록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명 컨트롤러(107)는 활성화 신호 시간의 차이를 발생되는 조명 제어 신호(204, 205, 206, 207)의 수로 나누어, 제어 신호(202)의 활성화 부분에 걸쳐 조명 제어 신호(204, 205, 206, 207)를 골고루 분산시키도록 할 수 있다. 조명 제어 신호(204, 205, 206, 207)의 활성화 부분은 그 듀티 사이클이 적어도 소정의 활성화 주작동안 활성화되도록 될 수 있으며, 여기서, 활성화 주기은 복수의 광원(102, 103, 104, 105)으로부터 적어도 소정의 최소 광도를 설정하기에 충분하다. 이 후자의 실시예에 관련된 파형이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일례의 제어 신호(202D) 및 해당 조명 제어 신호(204D, 205D, 206D, 207D)가 도시되어 있으며, 여기서, 조명 제어 신호(204D, 205D, 206D, 207D)의 활성화 부분(607, 609, 611, 613)은 제어 신호(202D)의 활성화 부분(601)보다 작다. 도 6에서, 듀티 사이클(607/608, 609/610, 611/612, 613/614)은 따라서 제어 신호(202D)의 듀티 사이클(601/602)보다 작다.
조명 컨트롤러(107)는 제어 신호(202D)의 수신 시 제어 신호(202D)의 활성화 부분(601)에 걸쳐 골고루 비례적으로 조명 제어 신호(204D, 205D, 206D, 207D)를 분포시켰다. 예를 들어, 4개의 조명 제어 신호(204D, 205D, 206D, 207D)가 존재하므로, 조명 컨트롤러(107)는 제어 신호(202D)의 활성화 부분(601)을 조명 제어 신호(204D, 205D, 206D, 207D)의 수로 나누어 조명 제어 신호 활성화 시간, 즉, 607을 얻을 수 있다. 전원(219)의 리플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조명 컨트롤러(107)는 그 후 한번에 하나의 광원만이 활성화되도록 작동 시간(603, 604, 605, 606)을 스태거 또는 분포시킬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대안의 제어 신호(202E) 및 제어 신호(202E)의 수신 시 본 발명에 따라서 조명 컨트롤러(107)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조명 제어 신호(204E, 205E, 206E, 207E)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의 조명 제어 신호(204D, 205D, 206D, 207D)는 한번에 하나의 광원만이 활성화되도록 분포된 반면, 도 7의 조명 제어 신호(204E, 205E, 206E, 207E)는 각 조명 제어 신호(204E, 205E, 206E, 207E)가 서로 중첩하도록 스태거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소망하는 광도를 성취하기 위해 중첩하는 조명이 요구되는 경우 그러할 수 있다. 전원(219)으로부터 도입되는 순시 전류는 도 6의 파형에 관련된 것보다 더 높은 반면, 각각의 광원이 동시에 ON 되는 종래 기술의 해결책보다는 여전히 낮다.
제어 신호(202E)는 활성화 부분(701)과 비활성화 부분(702)을 포함한다. 도 7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조명 제어 신호(204E)의 활성화 부분(707)과 비활성화 부분(708) 양자 모두는 제어 신호(202E)보다 작다. 조명 제어 신호(204E, 205E, 206E, 207E)인 경우 활성화 시간(703, 704, 705, 705)은 제어 신호(202E)의 활성화 시간(701)에 걸쳐 비례적으로 분포되어 있다. 그러나, 이를 행함에 있어서, 조명 제어 신호(204E, 205E, 206E, 207E)의 일부는 중첩한다. 예를 들어, 하나의 점에서, 제어 신호(204E)에 의해 구동되는 광원은 제어 신호(205E 및 206E)에 의해 구동되는 광원들과 동시에 ON 된다. 제어 신호(202E)의 듀티 사이클(701/702)은 광원 작동 정보를 단지 표상하므로, 조명 제어 신호(204E, 205E, 206E, 207E)의 듀티 사이클(707/708, 709/710, 711/712, 713/714)은 제어 신호(202E)의 듀티 사이클보다 작다.
도 8을 참조하면, 대안의 제어 신호(202F) 및 제어 신호(202F)의 수신 시 본 발명에 따라서 조명 컨트롤러(107)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조명 제어 신호(204F, 205F, 206F, 207F)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의 조명 제어 신호(204D, 205D, 206D, 207D)는 한번에 하나의 광원만이 활성화되도록 분포되어 있고, 도 7의 조명 제어 신호(204E, 205E, 206E, 207E)는 각 조명 제어 신호가 중첩하도록 스태거된 반면, 도 8의 제어 신호는 중첩하지 않고 제어 신호(202F)의 주기(815)에 걸쳐 골고루 확산되어 있다. 제어 신호(202F)의 듀티 사이클(801/802)은 각각의 광원이 활성화되어야 하는 시간량을 표상하므로, 조명 제어 신호(204F, 205F, 206F, 207F)의 듀티 사이클(807/808, 809/810, 811/812, 813/814)은 제어 신호(202F)의 듀티 사이클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작동 시간(803, 804, 805, 806)은 각각의 조명 제어 신호(204F, 205F, 206F, 207F)가 중첩하지 않도록 스태거된다.
도 9를 참조하면, 내부 임피던스를 갖는 전원에 대한 다양한 전류 곡선(901, 902, 903, 904) 및 해당 전압 곡선(905, 906, 907, 908)이 도시되어 있다. 전류 곡선(902)으로부터 시작하여, 이 전류 곡선은 종래 기술의 장치들로 얻어질 수 있는 전류 곡선을 나타내며, 여기서, 다수의 광원이 동시에 ON 된다(조명 제어 신호(921, 922, 923, 9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명을 위하여 4개의 광원을 이용한다면, 4개의 광원이 작동되는 때에 큰 순시 전류(909)가 전원으로부터 비롯된다. 이 큰 전류(909)는 전원의 출력 전압(906)을 점 910에서 급락시킨다. 전원 내의 전원 조정 회로는 전류 요구를 따라가기 때문에, 전압에서 스파이크(911)가 발생한다. 큰 순시 전류 드레인(909)에 기인한 이러한 출력 전압에서의 과격한 변화는 전자 장치 내의 불안정성과 비신뢰성을 발생시킨다.
전류 파형(903)을 참조하면, 이 전류 파형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작동 시간 분포에 의해 시현될 수 있는 것과 동일하다. (조명 제어 신호(925, 926, 927, 928)에 의해 나타낸) 상이한 시간에서 광원이 스위치 온 됨에 따라서, 갑작스러운 쇄도하는 피크 전류(909)는 존재하지 않는다. 제1 광원(925)이 스위치되어, 피크(912)를 일으킨다. 제2 광원이 그 후 스위치 온 되어(926), 피크(913)를 일으킨다. 제3 광원이 스위치 온 되는 때에(927), 피크(914)가 발생한다. 타이밍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점에서, 4개 광원 모두 ON 되어(925, 926, 927, 928), 모두 중첩함으로써, 피크(915)를 일으킨다. 그 후 광원이 스위치 오프됨에 따라서, 전류는 0으로 다시 떨어진다. 작동 시간을 분포시킴으로써, 절대 전류가 피크(915)에서 전류 파형(902)일 때와 대략 동일하지만, 출력 전압 리플(916)은 한번에 4개 모두가 아니라 하나의 광원이 스위치 온 된다는 사실로 인해 더 작다. 이러한 계단형 전류는 전원의 내재 임피던스와 합하여 종래 기술보다 더 작은 전압 전원 리플을 생성한다.
파형(901)을 참조하면, 이 파형은 도 3에 관련된 타이밍 도를 나타낸다. 작동 시간(조명 제어 신호(929, 930, 931, 932)에 도시된 바와 같이)은 초기 전류 피크(917) 후에 한번에 하나의 전원만이 ON 되도록 분포되어 있기 때문에, 전류 파형(901)은 소수의 스위칭 잡음을 제외하고는 기본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된다. 그 효과는 전압 출력(905) 상의 더 작은 리플(918)이며, 따라서, 향상된 신뢰성을 가져온다.
전류 파형(904)을 참조하면, 이 파형은 여기서는 조명 제어 신호(933 및 934)로 도시된 도 5의 타이밍 도를 나타낸다. 파형(901)에서와 같이 한번에 하나의 광원만이 ON 되며, 따라서, 최대 전류 피크는 피크(919)이다. 다음의 작동 시간 전에 전체 램프 다운으로 인하여, 전류 파형(904)은 전류 파형(901)보다 이와 관련되는 더 많은 리플(920)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전체 리플(920)은 여전히 종래 기술(910, 911)보다 상당히 작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광원(102, 103, 104, 105)을 작동시키는 방법이 도시되어 있다. 단계 1001에서 제어 신호(202)가 수신된다. 제어 신호(202)는 이에 저장된 광원 작동 정보를 포함한다. 광원 작동 정보는 활성화 신호 시간의 일부에 의해 정의되는 적어도 소정의 듀티 사이클(203)을 지시한다.
단계 1002에서, 활성화 조명 시간이 판정된다. 이는 제어 신호(202) 자체를 조사하여 판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신호(202)는 광원이 조명되어야 하는 시간량을 지시하는 듀티 사이클을 포함할 수 있다. 대안으로서, 사용자 또는 시스템(예를 들어, 광 미터기가 장치에 임베드된 경우)이 제어 신호(202)에 포함된 정보를 오버라이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108) 또는 키패드를 통해 조명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제어 신호 발생기(201)는 이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108)에 응답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는 단계 1002에서 판독되어 저장되게 된다. 사용자 입력은 제어 신호(202)와 관련되는 소정의 듀티 사이클(203)을 변경시키도록 사용될 수 있다.
단계 1003에서, 복수의 조명 제어 신호(204, 205, 206, 207)가 발생된다. 각각의 조명 제어 신호(204, 205, 206, 207)는 작동 시간뿐만 아니라 이와 관련되는 조명 제어 듀티 사이클을 갖는다. 조명 제어 듀티 사이클은 소정의 듀티 사이클(203)에 비례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조명 제어 듀티 사이클은 소정의 듀티 사이클(203)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조명 제어 듀티 사이클은 소정의 듀티 사이클(203)보다 작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조명 제어 듀티 사이클은 소정의 듀티 사이클(203)보다 더 긴 주기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들 중 어떠한 것이든, 각각의 조명 제어 듀티 사이클에 관련되는 작동 시간은 고유하게 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조명 제어 신호(204, 205, 206, 207)는 펄스폭 변조 신호를 포함한다. 이러한 펄스폭 변조 신호는 복수의 광원(102, 103, 104, 105)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도록 채용될 수 있다. 조명 제어 신호와 해당하는 듀티 사이클이 활성화되는 때에, 복수의 광원(102, 103, 104, 105) 중 하나가 조명되게 된다.
단계 1004에서, 조명 제어 신호 각각에 대한 작동 시간이 분포된다. 작동 시간은 제어 신호의 활성화 부분 또는 주기에 걸쳐 골고루 분포된다. 대안으로서, 시스템 또는 사용자가 이 정보를 오버라이드한다면, 소망하는 광도를 성취하도록 피드백 루프에 따라서 분포될 수 있다.
상기 명세서에 있어서,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들을 설명하였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이하 청구항에 명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범주를 일탈하지 않고서 다양한 개조와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도시하고 설명하는 동안, 본 발명은 그렇게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이 명백하다. 수많은 개조예, 변경예, 변동예, 치환예, 및 균등물이 이하의 청구항에 정의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개념과 범주를 일탈하지 않고서 당업자에 대하여 일어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광원(102, 103, 104, 105)은 디스플레이를 후광(backlight)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다른 대체의 실시예들이 본 개시의 잇점을 갖는 당업자들에 대하여 자명할 것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가시 경보기(1102)가 이에 결합되는 전자 장치(1101)가 도시되어 있다. 경보기(1102)는 인입하는 메시지들과 통화들이 수신되는 때에 작동시키는 외부 경보일 수 있다. 광원(1103, 1104, 1105, 1106)은 광원(1103, 1104, 1105, 1106) 중 임의의 광원이 활성화되는 때에 경보를 지시할 수 있다. 따라서, 명세서와 도면들은 한정적 의미가 아니라 예시적 의미로서 간주되어야 하며, 모든 이러한 개조예들은 본 발명의 범주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의도된 것이다.

Claims (20)

  1. 무선 통신 장치로서,
    조명 디스플레이(illuminated display) - 상기 조명 디스플레이는 복수의 광원들에 의해 조명됨 - ;
    제어 신호 발생기 - 상기 제어 신호 발생기는 연관된 광원 작동 정보를 갖는 제어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고, 상기 광원 작동 정보는 적어도, 활성화 신호 시간의 비율에 의해 정의되는 미리 결정된 듀티 사이클을 나타냄 -; 및
    상기 제어 신호 발생기와 상기 복수의 광원들 사이에 결합되는 조명 컨트롤러
    를 포함하고,
    상기 조명 컨트롤러는, 상기 제어 신호의 수신 시 복수의 조명 제어 신호들을 발생시키며, 상기 조명 제어 신호들 각각은 조명 제어 듀티 사이클 및 작동 시간을 가지며, 상기 작동 시간 각각은, 상기 복수의 광원들 각각이 상이한 시간에서 동작가능하게 되도록 고유한 무선 통신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화 신호 시간의 비율은, 상기 복수의 광원들이 미리 결정된 평균 광도(luminous intensity)를 성취하도록 조명되어야 하는 주기적인 시간량에 대응하며, 상기 조명 제어 듀티 사이클은 상기 미리 결정된 듀티 사이클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무선 통신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제어 듀티 사이클 각각은 평균 광원 광도에 관련되는 활성화 조명 제어 신호 시간에 의해 특징지어지며, 상기 조명 제어 듀티 사이클은 상기 미리 결정된 듀티 사이클보다 작은 무선 통신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는 미리 결정된 주기를 갖는 펄스폭 변조 신호를 포함하며, 상기 광원 작동 정보는 각각의 개별 광원이 활성화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간을 포함하며, 상기 각각의 개별 광원이 활성화되는 기간은 상기 미리 결정된 주기에 걸쳐 비례적으로 분산되어 있는 무선 통신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는 펄스폭 변조 신호를 포함하고, 각각의 작동 시간은 상기 복수의 광원들 각각에 대한 개별 조명 시간에 대응하며, 상기 개별 조명 시간은 조명 컨트롤러에 의해 선택되어 상기 복수의 광원들에 의해 도입되는 순시 전류를 감소시키도록 분산되는 무선 통신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장치는 모바일 전화를 포함하며, 상기 조명 디스플레이는 상기 복수의 광원들에 의해 조명되는 백라이트형의(backlit) 사용자 판독가능한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광원들은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들을 포함하고, 복수의 전류원들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전류원들 각각은 상기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들 각각과 상기 조명 제어 신호들 각각의 사이에 직렬로 결합되어서, 대응하는 조명 듀티 사이클이 활성화될 때에 각각의 전류원이 작동되게 하는 무선 통신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광원들에 결합되는 레귤레이터를 더 포함하며,
    각각의 전류원이 작동될 때에, 상기 복수의 광원들 각각은 상기 레귤레이터로부터 전류를 도통시키는 무선 통신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 신호 발생기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로부터 수신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미리 결정된 듀티 사이클이 변경될 수 있도록,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응답하는 무선 통신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디스플레이는 가시 경보기(visible annunciator)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광원들 중 임의의 광원이 활성화될 때에 알람(alarm)이 표시되는 무선 통신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광원들에 결합되는 전원을 더 포함하며,
    각각의 작동 시간은, 한번에 상기 복수의 광원들 중 하나의 광원만이 활성화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 장치.
  11. 복수의 광원들을 작동시키는 방법으로서,
    조명 디스플레이를 제공하는 단계 - 상기 조명 디스플레이는 상기 복수의 광원들에 의해 조명됨 - ;
    광원 작동 정보가 저장된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 상기 광원 작동 정보는 활성화 신호 시간의 비율에 의해 정의되는 적어도 미리 결정된 듀티 사이클을 나타냄 -; 및
    상기 제어 신호의 수신 시, 복수의 조명 제어 신호들을 발생시켜 상기 복수의 광원들을 구동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조명 제어 신호들 각각은 조명 제어 듀티 사이클 및 작동 시간을 가지며, 상기 조명 제어 듀티 사이클은 상기 미리 결정된 듀티 사이클에 비례하고, 상기 작동 시간 각각은 고유한 광원 작동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제어 듀티 사이클은, 적어도 미리 결정된 활성화 기간 동안 상기 조명 제어 듀티 사이클이 활성화되도록 하며, 상기 미리 결정된 활성화 기간은 상기 복수의 조명 제어 신호들에 의해 제어되는 복수의 광원들로부터 적어도 미리 결정된 최소 광도를 설정하기에 충분한 광원 작동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조명 제어 신호들 각각은 복수의 광원들 중 하나의 광원을 제어할 수 있는 펄스폭 변조 신호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광원들 중 상기 하나의 광원은 상기 조명 제어 신호가 활성화되는 동안 조명되는 광원 작동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제어 듀티 사이클은 상기 미리 결정된 듀티 사이클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광원 작동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제어 듀티 사이클은 상기 미리 결정된 듀티 사이클보다 작은 광원 작동 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제어 듀티 사이클은 상기 미리 결정된 듀티 사이클보다 큰 광원 작동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사용자 입력과 시스템 입력 중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미리 결정된 듀티 사이클을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광원 작동 방법.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시간들을 분산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분산시키는 단계는, 상기 활성화 신호 시간과 상기 작동 시간의 차이를 개별 조명 제어 신호들의 수로 나누는 단계를 포함하는 광원 작동 방법.
  19. 제어 신호로부터 수신되는 정보에 응답하여 복수의 광원들의 작동을 촉진시키는 모듈로서,
    상기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입력부;
    복수의 출력부들 - 상기 복수의 출력부들 각각은 복수의 조명 제어 신호들 중 하나의 조명 제어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고, 조명 제어 신호 각각은 복수의 광원들 중 적어도 하나의 광원을 작동시킬 수 있음 - ;
    분배기 - 상기 분배기는, 조명 제어 신호의 비활성화 부분으로부터 조명 제어 신호의 활성화 부분으로의 각각의 작동 전환을 스태거(stagger)시켜, 상기 제어 신호의 활성화 주기 내에서 상이한 시간에 각각의 작동 전환이 발생하게 함 - ; 및
    상기 조명 제어 신호들에 응답하여 상기 복수의 광원들에 의해 조명되는, 상기 분배기에 응답하는 조명 디스플레이
    를 포함하는 광원 작동 촉진 모듈.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기는 상기 제어 신호의 활성화 주기에 걸쳐서 각각의 작동 전환을 골고루 분산시키는 광원 작동 촉진 모듈.
KR1020087022217A 2006-03-16 2007-03-05 전자 장치 내의 광원을 조명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2918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377,802 2006-03-16
US11/377,802 US7439679B2 (en) 2006-03-16 2006-03-16 Method and apparatus for illuminating light sources within an electronic device
PCT/US2007/063276 WO2007109407A2 (en) 2006-03-16 2007-03-05 Method and apparatus for illuminating light sources within an electronic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11447A KR20080111447A (ko) 2008-12-23
KR101291836B1 true KR101291836B1 (ko) 2013-07-31

Family

ID=38517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2217A KR101291836B1 (ko) 2006-03-16 2007-03-05 전자 장치 내의 광원을 조명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439679B2 (ko)
EP (1) EP1999549A4 (ko)
KR (1) KR101291836B1 (ko)
CN (1) CN101410777B (ko)
BR (1) BRPI0708867A2 (ko)
TW (1) TWI422274B (ko)
WO (1) WO2007109407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00820826A (en) * 2006-10-18 2008-05-01 Advanced Analog Technology Inc Dimming method for light emitting diodes
US7528555B2 (en) * 2007-08-01 2009-05-05 Micrel, Inc. LED controller IC using only one pin to dim and set a maximum LED current
JP4687735B2 (ja) * 2008-03-24 2011-05-25 東芝ライテック株式会社 電源装置及び照明器具
JP4636102B2 (ja) 2008-03-24 2011-02-23 東芝ライテック株式会社 電源装置及び照明器具
EP2134144A1 (en) * 2008-06-12 2009-12-16 Pyroswift Holding Co., Limited Switching LED driver circuit
JP4600583B2 (ja) * 2008-09-10 2010-12-15 東芝ライテック株式会社 調光機能を有する電源装置及び照明器具
JP5515931B2 (ja) * 2009-04-24 2014-06-11 東芝ライテック株式会社 発光装置及び照明装置
JP2010267415A (ja) * 2009-05-12 2010-11-25 Toshiba Lighting & Technology Corp 照明装置
WO2011021075A1 (en) 2009-08-18 2011-02-24 Freescale Semiconductor, Inc. Controller system, integrated circuit and method therefor
JP2012023001A (ja) 2009-08-21 2012-02-02 Toshiba Lighting & Technology Corp 点灯回路及び照明装置
JP5333769B2 (ja) * 2009-09-04 2013-11-06 東芝ライテック株式会社 Led点灯装置および照明装置
JP5333768B2 (ja) 2009-09-04 2013-11-06 東芝ライテック株式会社 Led点灯装置および照明装置
JP5641180B2 (ja) 2009-09-18 2014-12-17 東芝ライテック株式会社 Led点灯装置および照明装置
US8493000B2 (en) 2010-01-04 2013-07-23 Cooledge Lighting Inc. Method and system for driving light emitting elements
CN105144021A (zh) * 2012-09-28 2015-12-09 英特尔公司 显示亮度的基于内容的动态控制方法和系统
WO2015074881A1 (en) 2013-11-25 2015-05-28 Koninklijke Philips N.V. A method of controlling a lighting arrangement, a lighting controller and a lighting system
US20150345724A1 (en) * 2014-04-02 2015-12-03 Abl Ip Holding Llc Composite light source systems and methods
CN110269505B (zh) * 2018-03-15 2021-09-24 浙江绍兴苏泊尔生活电器有限公司 Led控制方法和系统、烹饪器具
DE102019105953A1 (de) * 2019-03-08 2020-09-10 HELLA GmbH & Co. KGaA Steuer- und/oder Regelungsmittel, Schaltungsanordnung und Verfahren zur Ansteuerung von Leuchtdioden in einem Leuchtdiodenfeld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7320A (en) * 1901-05-20 1901-11-26 Seng Co Hinge adjustment.
US20050057539A1 (en) 2003-09-03 2005-03-17 Ong Dee Nai Selective illumination of regions of an electronic display
US20050122060A1 (en) 2003-12-08 2005-06-09 Andre Yu [pwm illumination control circuit with low visual noise for driving led]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08595A (en) * 1985-12-18 1991-04-16 Laser Link, Inc. Ornamental light display apparatus
JP3731619B2 (ja) 1996-03-19 2006-01-05 ソニー株式会社 携帯型の無線通信装置およびその照明制御方法
JP2877195B2 (ja) * 1996-03-19 1999-03-31 日本電気株式会社 ディジタル携帯無線端末装置及びそのバックライト駆動方法
US6404145B1 (en) * 1999-04-06 2002-06-11 Fuji Photo Film Co., Ltd. Apparatus for and method of controlling backlight for liquid crystal display
JP3659472B2 (ja) * 1999-06-22 2005-06-15 京セラ株式会社 情報端末機器のバックライト制御方式
PT1422975E (pt) * 2000-04-24 2010-07-09 Philips Solid State Lighting Produto ‚ base de leds
US6347882B1 (en) * 2000-08-16 2002-02-19 Motorola, Inc. Display backlighting system
US20040001040A1 (en) * 2002-06-28 2004-01-01 Kardach James P.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viding light to a display
US7076234B2 (en) * 2002-12-13 2006-07-11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peak current levels in a communication unit
JP2005150774A (ja) * 2002-12-27 2005-06-09 Casio Comput Co Ltd 照明装置及び撮像装置
JP3912325B2 (ja) * 2003-05-15 2007-05-0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電子機器、及び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
US6873203B1 (en) 2003-10-20 2005-03-29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Integrated device providing current-regulated charge pump driver with capacitor-proportional current
US7348949B2 (en) * 2004-03-11 2008-03-25 Avago Technologies Ecbu Ip Pte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n LED based light system
US7233115B2 (en) * 2004-03-15 2007-06-19 Color Kinetics Incorporated LED-based lighting network power control methods and apparatus
JP4501525B2 (ja) * 2004-05-12 2010-07-14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制御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7320A (en) * 1901-05-20 1901-11-26 Seng Co Hinge adjustment.
US20050057539A1 (en) 2003-09-03 2005-03-17 Ong Dee Nai Selective illumination of regions of an electronic display
US20050122060A1 (en) 2003-12-08 2005-06-09 Andre Yu [pwm illumination control circuit with low visual noise for driving l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70216320A1 (en) 2007-09-20
TWI422274B (zh) 2014-01-01
CN101410777B (zh) 2011-08-03
BRPI0708867A2 (pt) 2011-06-14
WO2007109407A2 (en) 2007-09-27
TW200746903A (en) 2007-12-16
US7439679B2 (en) 2008-10-21
WO2007109407A3 (en) 2008-04-17
EP1999549A2 (en) 2008-12-10
EP1999549A4 (en) 2013-05-01
KR20080111447A (ko) 2008-12-23
CN101410777A (zh) 2009-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1836B1 (ko) 전자 장치 내의 광원을 조명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945205B1 (ko) 발광소자 구동 장치 및 그들을 이용한 휴대 장치
FI106770B (fi) Valaiseva elektroninen laite ja valaisumenetelmä
US20070171180A1 (en) Light source driving circuit, lighting apparatus, display apparatus, field sequential color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and information appliance
US8144112B2 (en) Backlight modulation circuit having rough and fine illumination signal processing circuit
TWI577121B (zh) 發光元件驅動電路、發光裝置、顯示裝置、及發光控制方法
JP2008077862A (ja) 調光回路
JP2003332623A (ja) 発光素子駆動装置及び、発光素子を備えた電子機器
TW201220282A (en) Backlight system for a display
JP5279217B2 (ja) 発光素子制御回路
JP2006005381A (ja) 携帯装置
US20110279041A1 (en) Illumination apparatus and brightness adjusting method thereof
CN100576857C (zh) 具有照明功能的移动终端
US20110109669A1 (en) Display driving circuit and display driving system
JP5645200B2 (ja) 照明装置
US9642228B2 (en) Light-emitting element driving circuit system
KR100975353B1 (ko) 발광 다이오드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발광 다이오드 조명 장치
GB2381138A (en) Driver circuit for light emitting devices
EP2733760A1 (en) Lighting device and light emission control method for same
JP5334507B2 (ja) 発光素子駆動回路及び携帯電話
KR101520164B1 (ko) Led 조명 장치 구동 시스템
KR20040089383A (ko) 외부 조도에 따른 백라이트 자동 조절 장치 및 그 방법
KR200325755Y1 (ko) 플래시 기능이 구비된 휴대 단말기
JP2010067750A (ja) 発光素子駆動回路及び携帯電話
JP2001077914A (ja) 移動体通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