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1551B1 - 원료 흘러내림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원료 흘러내림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1551B1
KR101291551B1 KR1020120020603A KR20120020603A KR101291551B1 KR 101291551 B1 KR101291551 B1 KR 101291551B1 KR 1020120020603 A KR1020120020603 A KR 1020120020603A KR 20120020603 A KR20120020603 A KR 20120020603A KR 101291551 B1 KR101291551 B1 KR 1012915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w material
conveyor belt
support plate
bar
upw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06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식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206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15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15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15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16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materials in bulk
    • B65G47/18Arrangements or applications of hoppers or chutes
    • B65G47/19Arrangements or applications of hoppers or chutes having means for controlling material flow, e.g. to prevent overloa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20Means incorporated in, or attached to, framework or housings for guiding load-carriers, traction elements or loads supported on moving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9/00Rollers, e.g. drive rollers, or arrangements thereof incorporated in roller-ways or other types of mechanical conveyors 
    • B65G39/10Arrangements of rollers
    • B65G39/12Arrangements of rollers mounted on frame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65G2201/045Sand, soil and mineral o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2Control or detection
    • B65G2203/0208Control or detection relating to the transported articles
    • B65G2203/0233Position of the art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eeding Of Articles To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료 흘러내림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경사지게 설치된 컨베이어 벨트의 폭방향 양측에 설치되는 지지대와, 지지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바와, 회동바의 일단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하부가 컨베이어 벨트에 근접하게 위치되고, 컨베이어 벨트상에서 상향 이송 중인 원료와의 접촉에 의해 상향 회동되며 원료 이송경로를 개방시키는 받침판과, 회동바가 일단부측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균형을 유지하게 회동바의 타측부에 중량을 부여하는 무게추와, 상향 회동된 받침판이 원위치로 복귀되게 받침판을 탄성 가압하는 탄성가압수단을 포함하는 원료 흘러내림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원료 흘러내림 방지장치{APPARATUS FOR PREVENTING SLIPPING OF MATERIALS}
본 발명은 원료 흘러내림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컨베이어 벨트상에서 상향 경사지게 이송 중인 원료가 자중에 의해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원료 흘러내림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컨베이어 벨트 설비는 일정한 거리를 연속적으로 이동하는 컨베이어 벨트의 구동에 의해 운송물을 이송시키는 운송장치이다.
컨베이어 벨트 설비는 석탄, 코크스, 석회석, 철광석 등을 소결공장, 코크스공장, 전기로 등으로 이송시키는 원료 수송과정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관련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0848631호(2008.07.21. 등록, 발명의 명칭 : 경사벨트컨베이어의 낙석처리장치)가 있다.
본 발명은 경사지게 설치된 컨베이어 벨트상에서 상향 이송 중인 원료가 자중에 의해 컨베이어 벨트 상면을 따라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원료 흘러내림 방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원료 흘러내림 방지장치는, 경사지게 설치된 컨베이어 벨트의 폭방향 양측에 설치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바; 상기 회동바의 일단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하부가 상기 컨베이어 벨트에 근접하게 위치되고, 상기 컨베이어 벨트상에서 상향 이송 중인 원료와의 접촉에 의해 상향 회동되며 원료 이송경로를 개방시키는 받침판; 상기 회동바가 일단부측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균형을 유지하게 상기 회동바의 타측부에 중량을 부여하는 무게추; 및 상향 회동된 상기 받침판이 원위치로 복귀되게 상기 받침판을 탄성 가압하는 탄성가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받침판은,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폭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상부가 상기 회동바에 힌지결합되고, 하부가 자중에 의해 처진 상태에서 상기 컨베이어 벨트에 근접하게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무게추는, 상기 회동바의 타단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컨베이어 벨트상에서 이송 중인 원료와의 접촉에 의해 회전되는 롤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탄성가압수단은, 상기 지지대에 힌지결합되는 실린더부; 일단부가 상기 받침판의 하부에 힌지결합되며, 타단부가 상기 실린더부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실린더부 내면부를 따라 이동되는 피스톤부; 및 상기 실린더부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피스톤부를 상기 실린더부 외측으로 탄성 가압하는 제1탄성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회동바의 상부에 연결되며, 상기 회동바의 일단부를 탄성적으로 상향 가압하는 상향탄성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상향탄성수단은, 상기 지지대에 연결되며, 상기 회동바의 일단부측으로 연장형성되는 고정대; 상기 고정대에 형성된 관통홀부를 상하로 관통하여 설치되며, 하부가 상기 회동바에 연결되고, 상부에 상기 관통홀부보다 확장된 크기를 가지는 스토퍼부가 형성되는 연결바; 및 상기 스토퍼부와 상기 고정대 사이에서 상기 연결바 둘레에 설치되며, 상기 스토퍼부를 상측으로 탄성 가압하는 제2탄성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받침판에 작용하는 가압력에 따라 받침판이 회동되면서 받침판과 컨베이어 벨트 상면 사이의 공간, 즉 원료 이송경로를 차단시키거나 개방시키게 된다.
경사지게 설치된 컨베이어 벨트상에서 상향 이송 중인 원료가 컨베이어 벨트 상면을 따라 흘러내리는 경우, 받침판에 받쳐지게 되므로 받침판 하측으로의 원료 흘러내림을 방지할 수 있다.
흘러내린 원료의 양이 점차 증가하여 받침판에 작용하는 하향력이, 상향 이송 중인 원료와의 접촉에 의해 받침판에 작용하는 상향력보다 커지면 받침판이 하향 회동되어 원료 이송경로를 차단하면서 원료의 흘러내림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료 흘러내림 방지장치의 설치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료 흘러내림 방지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료 흘러내림 방지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컨베이어 벨트에 의해 원료가 상향 이송 중인 상태에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료 흘러내림 방지장치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고자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5는 원료가 컨베이어 벨트 상면을 따라 흘러내릴 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료 흘러내림 방지장치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고자 도시한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원료 흘러내림 방지장치의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료 흘러내림 방지장치의 설치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료 흘러내림 방지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료 흘러내림 방지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컨베이어 벨트에 의해 원료가 상향 이송 중인 상태에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료 흘러내림 방지장치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고자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5는 원료가 컨베이어 벨트 상면을 따라 흘러내릴 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료 흘러내림 방지장치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고자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료 흘러내림 방지장치(200)는, 지지대(210), 회동바(220), 받침판(230), 무게추(240), 탄성가압수단(250), 상향탄성수단(26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료 흘러내림 방지장치(200)는 원료(30)를 상향 이송하기 위해 경사지게 설치된 컨베이어 벨트 설비(10)에 설치될 수 있다.
컨베이어 벨트 설비(10)는 제1벨트 풀리(11), 제2벨트 풀리(12), 컨베이어 벨트(13)를 포함한다.
제1벨트 풀리(11)는 원료(30)의 이송방향측에 설치되고, 제2벨트 풀리(12)는 컨베이어 벨트(13)상으로 원료(30)가 유입, 하적(荷積)되는 원료(30)의 유입방향측에 설치되며 제1벨트 풀리(11) 하측에 위치된다.
컨베이어 벨트(13)는 양단부가 제1벨트 풀리(11)와 제2벨트 풀리(12)에 각각 결합되며, 제1벨트 풀리(11) 또는 제2벨트 풀리(12)의 회전에 연동하여 무한궤도로 회전한다.
컨베이어 벨트(13)는 상면에 원료(30)를 적재시킨 상태로 제1벨트 풀리(11)측으로 이송하게 되는 상부벨트부와, 제1벨트 풀리(11)에 도달된 후 제2벨트 풀리(12)측으로 하향 이동되는 하부벨트부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료 흘러내림 방지장치(200)는 원료(30)를 이송하는 컨베이어 벨트(13)의 상부벨트부에 설치될 수 있다.
지지대(210)는 경사지게 설치된 컨베이어 벨트(13)의 폭방향 양측(도 1, 2에서 우측상부 방향, 좌측하부 방향)에 직립되게 설치된다.
회동바(220)는 직선형 막대형상을 가지고 중간부가 지지대(21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일단부는 제2벨트 풀리(12)측을 향하고, 타단부는 제1벨트 풀리(11)측을 향한다.
받침판(230)은 컨베이어 벨트(13)의 폭방향으로 연장된 패널형상을 가지고, 상부가 회동바(220)의 일단부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된다.
받침판(230)의 하부는 자중에 의해 하측으로 처진 상태에서 컨베이어 벨트(13)에 근접하게 위치된다.
이때, 받침판(230)은 탄성가압수단(250)에 의해 하부의 위치가 구속되어 경사면을 이루는 컨베이어 벨트(13)의 상면과 직각을 이루게 된다.
받침판(230)은 상기와 같이 컨베이어 벨트(13)의 상면과 직각을 이룬 상태에서, 컨베이어 벨트(13) 상면에 안착된 상태로 이송 중인 원료(30)의 이동경로, 즉, 원료(30) 이송경로를 차단하게 된다.
도 1,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베이어 벨트(13) 상면에 원료(30)가 안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받침판(230)은 컨베이어 벨트(13)의 상면과 직각을 이루게 된다.
받침판(230)은 컨베이어 벨트(13)상에서 상향 이송 중인 원료(30)와의 접촉되면, 원료(30)에 밀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향 회동되며 원료(30) 이송경로를 개방하게 된다.
무게추(240)는 회동바(220)의 일단부에 결합된 받침판(230)과 균형을 이루는 중량을 가지고 회동바(220)의 타단부에 결합된다.
회동바(220)는 양단부에 받침판(230)과 무게추(240)가 각각 결합된 상태에서 컨베이어 벨트(13)의 경사진 상면에 대응되는 기울기로 기울어진 상태로 균형을 유지하게 된다.
무게추(240)의 중량은, 지지대(210)와 회동바(220)간 힌지결합부(도면부호 미표기)를 기준으로 일측부와 타측부로 구분되는 회동바(220)의 길이 비, 받침판(230)의 중량, 컨베이어 벨트(13)의 기울기에 따라 달라진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무게추(240)는 회동바(220)의 타단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롤러부재를 포함한다.
롤러부재의 회전축 양단부는 한 쌍의 지지대(210) 각각에 설치된 회동바(220)에 각각 축결합되며, 컨베이어 벨트(13)상에서 이송 중인 원료(30)와 접촉 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료(30)의 이동에 연동하여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컨베이어 벨트(13)상에서 이송 중인 원료(30)는, 무게추(240)와 접촉되더라도 그 이송이 저해되지 않고 무게추(240)와 컨베이어 벨트(13) 사이의 공간을 원활하게 통과하게 된다.
탄성가압수단(25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향 회동된 받침판(230)이 도 3,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속하게 원위치로 복귀되게 받침판(230)을 탄성 가압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탄성가압수단(250)은, 실린더부(251), 피스톤부(252), 제1탄성스프링(254)을 포함한다.
실린더부(251)는 내부에 피스톤부(252)의 단부가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중공의 공간부를 가지며, 일단부가 지지대(210)에 힌지결합된다.
피스톤부(252)는 일단부가 받침판(230)의 하부에 힌지결합되며, 타단부가 실린더부(251) 내부에 삽입되어 실린더부(251) 내면부를 따라 이동가능한 직선형 막대형상을 가진다.
피스톤부(252)는 타단부가 실린더부(251)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실린더부(251) 내외측으로 이동하게 되며, 피스톤부(252)의 이동 위치에 따라 탄성가압수단(250)의 길이가 신축 변형된다.
탄성가압수단(250)의 양단부가 지지대(210)와 받침판(230)에 각각 결합됨에 따라, 탄성가압수단(250)의 길이는 지지대(210)와 받침판(230) 하부간 거리가 된다.
실린더부(251) 내부에 삽입된 피스톤부(252)의 타단부에는 확장부(253)가 형성되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장부(253)가 실린더부(251)의 개방단부에 접촉된 상태에서 탄성가압수단(250)은 최대 신장 길이를 가지게 된다.
즉, 확장부(253)가 실린더부(251)의 개방단부에 걸려 이동이 정지된 상태에서 지지대(210)와 받침판(230) 하부간 최대 거리가 결정된다.
탄성가압수단(250)이 최대로 신장된 상태에서 받침판(23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베이어 벨트(13)의 상면과 직각을 이루게 되는 기울기를 가지게 된다.
즉, 받침판(230)은 자중에 의해 하부가 처진 상태에서 상하로 직립된 형태를 가지는 것이 아니라, 탄성가압수단(250)에 의해 하부의 위치가 구속되어 상측으로 젖혀진 형태를 가지며 컨베이어 벨트(13)의 상면과 직각을 이루게 된다.
제1탄성스프링(254)은 실린더부(251) 내부에 설치되며, 피스톤부(252), 보다 구체적으로는 확장부(253)에 접촉되어, 피스톤부(252)를 실린더부(251) 외측으로 탄성 가압한다.
이에 따라, 상향 이송 중인 원료(30)는 제1탄성스프링(254)의 탄성 가압력보다 큰 힘으로 받침판(230)을 밀어내면서 받침판(230)과 컨베이어 벨트(13) 상면 사이를 통과하게 된다.
그리고, 이송 중인 원료(30)가 없어 받침판(230)을 상측으로 밀어내는 가압력이 작용하지 않으면, 받침판(230)은 제1탄성스프링(254)의 탄성 가압력에 의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속하게 복귀되어 원료(30) 이송경로를 차단하게 된다.
받침판(230) 상측에 위치되는 컨베이어 벨트(13)상의 원료(30)가 흘러내려 받침판(230)에 접촉되어 받침판(230)을 하측으로 밀어내거나 받침판(230)에 받쳐지게 되면, 흘러내린 원료(30)의 중량이 받침판(230)에 작용하게 된다.
흘러내린 원료(30)로 인해 받침판(230)에 하향 작용하는 힘이, 상향 이송 중인 원료(30)로 인해 받침판(230)에 상향 작용하는 힘보다 크면, 받침판(23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귀되어 원료(30) 이송경로를 차단하게 된다.
즉, 컨베이어 벨트(13)에 원료(30)가 적재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판(230)이 컨베이어 벨트(13) 상면과 직각을 이루며 원료(30) 이송경로를 차단하게 된다.
또한, 컨베이어 벨트(13)의 작동 중지 시에도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판(230)이 컨베이어 벨트(13) 상면과 직각을 이루며 원료(30) 이송경로를 차단하게 된다.
그리고, 컨베이어 벨트(13)를 가동시켜 원료(30)를 상향 이송하는 중에도, 원료(30)가 흘러내리게 되면 받침판(230)에 접촉되거나 받쳐지면서 그 흘러내림이 중지된다.
받침판(230)에 접촉되거나 받쳐지는 원료(30)의 양(중량)이 점차 증가하게 되어, 상향 이송 중인 원료(30)와의 접촉에 의해 받침판(230)에 작용하는 상향 회동력보다 커지면 받침판(230)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향 회동되어 원료(30) 이송경로를 차단하게 된다.
이때, 받침판(230)에는 탄성가압수단(250),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탄성스프링(254)에 의해 작용하는 탄성 가압력(복원력)이 항상 작용하고 있다.
즉, 흘러내린 원료(30)가 받침판(230)에 접촉되어 작용하는 중량(F1)과 탄성가압수단(250)에 의해 받침판(230)에 작용하는 탄성 가압력(복원력)(F2)의 합력(F1+F2)가, 상향 이송 중인 원료(30)와의 접촉에 의해 받침판(230)에 작용하는 상향 회동력(F3)보다 크면(F3<F1+F2), 받침판(230)은 상향 회동된 상태에서 원위치로 복귀되며 원료(30) 이송경로를 차단하게 된다.
상향탄성수단(260)은 회동바(220)의 일단부를 탄성적으로 상향 가압하도록 회동바(220)의 상부에 설치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향탄성수단(260)은, 고정대(261), 연결바(262), 제2탄성스프링(264)을 포함한다.
고정대(261)는 회동바(220)와 지지대(210)간 힌지결합부 상측에서 지지대(210)에 연결되며, 회동바(220)의 일단부측으로 연장형성된다.
고정대(261)에는 장공(長孔)형상을 가지는 관통홀부(261a)가 상하로 관통형성되며, 연결바(262)는 관통홀부(261a)를 상하로 관통하여 설치된다.
연결바(262)의 하부는 회동바(220)에 연결되며, 고정대(261) 상측에 위치되는 연결바(262)의 상부에는 관통홀부(261a)보다 확장된 크기(폭)을 가지는 스토퍼부(263)가 형성된다.
회동바(220)의 기울기가 달라지게 되면, 회동바(220)에 연결된 연결바(262)의 기울기도 함께 달라지게 된다.
이때, 연결바(262) 중 관통홀부(261a)를 관통하게 되는 중간부는 장공(長孔)형상을 가지는 관통홀부(261a)에 의해 직선 경로로 가이드되면서 관통홀부(261a)상에서의 위치가 달라지게 된다.
제2탄성스프링(264)은 스토퍼부(263)와 고정대(261) 사이에서 연결바(262) 둘레에 설치되어, 연결바(262) 보다 구체적으로는 스토퍼부(263)를 상측으로 탄성 가압한다.
제2탄성스프링(264)이 연결바(262)에 상향 탄성 가압력을 부여함으로써, 연결바(262)와 연결된 회동바(220) 또한 제2탄성스프링(264)에 의해 상향 가압력을 받게 된다.
이에 따라, 무게추(240)와 컨베이어 벨트(13) 상면 사이를 통과하는 원료(30)와의 접촉에 의해 무게추(240)가 상측으로 들리면서 회동바(220) 일단부가 순간적으로 하향 이동되더도 상향탄성수단(260)(제2탄성스프링(264))에 의해 신속하게 상향 복귀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료 흘러내림 방지장치(200)에 의하면, 받침판(230)에 작용하는 가압력에 따라 받침판(230)이 하향 또는 상향 회동되면서 원료(30) 이송경로를 차단시키거나 개방시키게 된다.
경사지게 설치된 컨베이어 벨트(13)상에서 상향 이송 중인 원료(30)가 컨베이어 벨트(13) 상면을 따라 흘러내리는 경우, 받침판(230)에 받쳐지게 되므로 받침판(230) 하측으로의 원료(30) 흘러내림을 방지할 수 있다.
흘러내린 원료(30)의 양이 점차 증가하여 받침판(230)에 작용하는 하향력이, 상향 이송 중인 원료(30)와의 접촉에 의해 받침판(230)에 작용하는 상향력보다 커지면, 받침판(230)이 하향 회동되어 원료(30) 이송경로를 차단하면서 원료(30)의 흘러내림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컨베이어 벨트 설비 11 : 제1벨트 풀리
12 : 제2벨트 풀리 13 : 컨베이어 벨트
30 : 원료 200 : 원료 흘러내림 방지장치
210 : 지지대 220 : 회동바
230 : 받침판 240 : 무게추
250 : 탄성가압수단 251 : 실린더부
252 : 피스톤부 253 : 확장부
254 : 제1탄성스프링 260 : 상향탄성수단
261 : 고정대 261a : 관통홀부
262 : 연결바 263 : 스토퍼부
264 : 제2탄성스프링

Claims (6)

  1. 경사지게 설치된 컨베이어 벨트의 폭방향 양측에 설치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바;
    상기 회동바의 일단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하부가 상기 컨베이어 벨트에 근접하게 위치되고, 상기 컨베이어 벨트상에서 상향 이송 중인 원료와의 접촉에 의해 상향 회동되며 원료 이송경로를 개방시키는 받침판;
    상기 회동바가 일단부측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균형을 유지하게 상기 회동바의 타측부에 중량을 부여하는 무게추; 및
    상향 회동된 상기 받침판이 원위치로 복귀되게 상기 받침판을 탄성 가압하는 탄성가압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료 흘러내림 방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은,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폭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상부가 상기 회동바에 힌지결합되고, 하부가 자중에 의해 처진 상태에서 상기 컨베이어 벨트에 근접하게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료 흘러내림 방지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게추는,
    상기 회동바의 타단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컨베이어 벨트상에서 이송 중인 원료와의 접촉에 의해 회전되는 롤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료 흘러내림 방지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가압수단은,
    상기 지지대에 힌지결합되는 실린더부;
    일단부가 상기 받침판의 하부에 힌지결합되며, 타단부가 상기 실린더부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실린더부 내면부를 따라 이동되는 피스톤부; 및
    상기 실린더부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피스톤부를 상기 실린더부 외측으로 탄성 가압하는 제1탄성스프링;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료 흘러내림 방지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바의 상부에 연결되며, 상기 회동바의 일단부를 탄성적으로 상향 가압하는 상향탄성수단;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료 흘러내림 방지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탄성수단은,
    상기 지지대에 연결되며, 상기 회동바의 일단부측으로 연장형성되는 고정대;
    상기 고정대에 형성된 관통홀부를 상하로 관통하여 설치되며, 하부가 상기 회동바에 연결되고, 상부에 상기 관통홀부보다 확장된 크기를 가지는 스토퍼부가 형성되는 연결바; 및
    상기 스토퍼부와 상기 고정대 사이에서 상기 연결바 둘레에 설치되며, 상기 스토퍼부를 상측으로 탄성 가압하는 제2탄성스프링;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료 흘러내림 방지장치.
KR1020120020603A 2012-02-28 2012-02-28 원료 흘러내림 방지장치 KR1012915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0603A KR101291551B1 (ko) 2012-02-28 2012-02-28 원료 흘러내림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0603A KR101291551B1 (ko) 2012-02-28 2012-02-28 원료 흘러내림 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91551B1 true KR101291551B1 (ko) 2013-08-08

Family

ID=49219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0603A KR101291551B1 (ko) 2012-02-28 2012-02-28 원료 흘러내림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155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28228A (zh) * 2017-08-31 2017-11-07 中山市程博工业产品设计有限公司 一种带式干燥机进料架
CN108016815A (zh) * 2017-12-27 2018-05-11 宁波浙达技术服务有限公司 一种防止原料滑落的自动上升装置
KR20200100357A (ko) * 2019-02-18 2020-08-26 현대제철 주식회사 트리퍼카용 낙광 방지장치
KR20210031035A (ko) * 2019-09-10 2021-03-19 설정배 물김 이송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42888A (ko) * 2008-10-17 2010-04-27 주식회사 포스코 정량 절출장치
KR20110028007A (ko) * 2009-09-11 2011-03-17 주식회사 포스코 리클레이머의 원료 균일 불출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42888A (ko) * 2008-10-17 2010-04-27 주식회사 포스코 정량 절출장치
KR20110028007A (ko) * 2009-09-11 2011-03-17 주식회사 포스코 리클레이머의 원료 균일 불출 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28228A (zh) * 2017-08-31 2017-11-07 中山市程博工业产品设计有限公司 一种带式干燥机进料架
CN108016815A (zh) * 2017-12-27 2018-05-11 宁波浙达技术服务有限公司 一种防止原料滑落的自动上升装置
KR20200100357A (ko) * 2019-02-18 2020-08-26 현대제철 주식회사 트리퍼카용 낙광 방지장치
KR102166610B1 (ko) * 2019-02-18 2020-10-16 현대제철 주식회사 트리퍼카용 낙광 방지장치
KR20210031035A (ko) * 2019-09-10 2021-03-19 설정배 물김 이송장치
KR102370472B1 (ko) * 2019-09-10 2022-03-03 설정배 물김 이송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1551B1 (ko) 원료 흘러내림 방지장치
KR101388015B1 (ko) 벨트 컨베이어
KR102110660B1 (ko) 벨트컨베이어
CN110342195A (zh) 一种自动化纺织机械用输送带的可调松紧装置
EP3231743A1 (en) Buffer conveyor
KR100678855B1 (ko) 컨베어벨트 텐션조정장치
KR101938065B1 (ko) 벨트컨베이어
US7682125B2 (en) Device for receiving and for transporting an article
KR101818374B1 (ko) 벨트컨베이어
KR101277537B1 (ko) 벨트 사행 방지장치
KR102057775B1 (ko) 컨베이어용 사행 방지 장치
JP7169148B2 (ja) 搬送装置
KR101455101B1 (ko) 벨트 컨베이어
KR101295744B1 (ko) 벨트 컨베이어용 슈트
KR101388040B1 (ko) 벨트 컨베이어용 사행 방지장치
JP5424449B2 (ja) 物品搬送装置
KR101675679B1 (ko) 하중 분산형 벨트 컨베이어장치
KR101553151B1 (ko) 벨트컨베이어용 낙광 제거장치
KR101355546B1 (ko) 벨트 컨베이어용 사행 방지장치
KR101357537B1 (ko) 컨베이어 벨트 손상 감지장치
KR101597428B1 (ko) 이송장치
KR101368271B1 (ko) 빈 개폐장치
KR102551512B1 (ko) 벨트컨베이어 손상방지장치
KR101246256B1 (ko) 벨트 컨베이어용 분배장치
KR101291548B1 (ko) 벨트 컨베이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