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8271B1 - 빈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빈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8271B1
KR101368271B1 KR1020130010795A KR20130010795A KR101368271B1 KR 101368271 B1 KR101368271 B1 KR 101368271B1 KR 1020130010795 A KR1020130010795 A KR 1020130010795A KR 20130010795 A KR20130010795 A KR 20130010795A KR 101368271 B1 KR101368271 B1 KR 1013682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coupled
door
bin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07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태연
강진호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107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82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82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82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5/00Loading or unloading
    • B65G65/30Methods or devices for filling or emptying bunkers, hoppers, tanks, or like container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use in particular 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or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e.g.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B65G65/32Fill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1/00Chutes
    • B65G11/20Auxiliary devices, e.g. for deflecting, controlling speed of, or agitating articles or solids
    • B65G11/206Auxiliary devices, e.g. for deflecting, controlling speed of, or agitating articles or solids for bul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00Storing bulk material or loose, i.e. disorderly, articles
    • B65G3/04Storing bulk material or loose, i.e. disorderly, articles in bunkers, hoppers, or like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9/00Rollers, e.g. drive rollers, or arrangements thereof incorporated in roller-ways or other types of mechanical conveyors 
    • B65G39/10Arrangements of rollers
    • B65G39/12Arrangements of rollers mounted on frame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9/00Auxiliary measures taken, or devices used, in connection with loading or unloading
    • B65G69/18Preventing escape of du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65G2201/045Sand, soil and mineral o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Emptying Of Bunkers, Hoppers, And Tan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빈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복수개의 빈 상방에 설치되는 고정부와, 고정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도어부와, 도어부에 연결되고 도어부와 연동되어 회전되는 무게부와, 고정부에 결합되는 지지부와, 지지부에 장착되어 상하 이동되는 롤러부와, 롤러부와 무게부를 연결하여 무게부를 이동시키는 와이어부와, 빈 상방에서 이동되면서 빈에 이송물을 배출하는 슈트에 장착되고, 롤러부를 가압하는 가압부를 포함하여, 슈트의 위치에 따라 빈을 개폐할 수 있다.

Description

빈 개폐장치{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BIN}
본 발명은 빈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송물의 분진이 비산되는 것을 막고 외부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빈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벨트 컨베이어는 다수개의 롤러에 의해 지지되어 무한궤도 운동되는 벨트에 의해 다량의 이송물을 이송시키는데 널리 사용되며, 특히 제철산업에서 철광석 및 석탄과 같은 원료를 이송시키는데 사용된다.
벨트 컨베이어는 레일을 따라 반복적으로 정해진 구간을 주행하면서 이송물을 다수의 빈에 배분하는 트리퍼에 설치된다.
트리퍼에는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대차, 대차에 설치되고 벨트 컨베이어를 통해 공급되는 이송물을 각 빈으로 안내하는 슈트가 구비된다.
한편,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2010-0076237호(2010.07.06 공개, 발명의 명칭 : 트리퍼 이송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이송물 공급시 빈을 개방하고, 이송물 공급이 완료되면 빈을 폐쇄하여 분진이 비산되는 것을 막고 외부 이물질이 빈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빈 개폐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빈 개폐장치는 복수개의 빈 상방에 설치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도어부; 상기 도어부에 연결되고, 상기 도어부와 연동되어 회전되는 무게부; 상기 고정부에 결합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장착되어 상하 이동되는 롤러부; 상기 롤러부와 상기 무게부를 연결하여 상기 무게부를 이동시키는 와이어부; 및 상기 빈 상방에서 이동되면서 상기 빈에 이송물을 배출하는 슈트에 장착되고, 상기 롤러부를 가압하는 가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어부는 상기 고정부에 장착되는 도어지지대; 상기 도어지지대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도어회전축; 및 상기 도어회전축에 결합되고, 상기 빈을 개폐하는 도어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롤러부는 상기 지지부에 삽입되는 삽입봉; 상기 삽입봉에 결합되는 롤러판; 상기 롤러판에 결합되고, 상방으로 돌출되는 롤러대; 상기 롤러대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가압부와 접촉되어 하방 이동되는 접촉롤러; 및 상기 지지부에 안착되고, 상기 롤러판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와이어부는 상기 지지부에 결합되는 와이어대; 상기 와이어대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풀리; 및 상기 풀리에 지지되고, 일단부가 상기 롤러부에 결합되며, 타단부가 상기 무게부에 결합되는 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압부는 상기 슈트에 결합되는 슈트연결대; 상기 슈트연결대에 결합되고, 하방으로 돌출되는 연장대; 상기 연장대에 결합되고, 상기 롤러부를 가압하는 가압판; 및 상기 가압판의 양단부에 결합되고, 경사를 갖는 경사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빈 개폐장치는 슈트의 위치에 따라 도어부가 빈을 개폐하여, 이송물이 공급되지 않는 빈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빈 개폐장치는 가압부가 롤러부를 가압하지 않는 경우, 무게부의 하중에 의해 도어부가 빈을 폐쇄하는 상태를 유지한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은 롤러부 또는 와이어부의 파손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도어부가 빈을 폐쇄하는 상태를 유지하므로, 파손부위에 대한 수리기간동안 빈으로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빈 개폐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빈 개폐장치에서 도어부가 빈을 폐쇄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빈 개폐장치에서 도어부가 빈을 개방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빈 개폐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빈 개폐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빈 개폐장치에서 도어부가 빈을 폐쇄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빈 개폐장치에서 도어부가 빈을 개방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빈 개폐장치(1)에는 고정부(10), 도어부(20), 무게부(30), 지지부(40), 롤러부(50), 와이어부(60) 및 가압부(70)가 구비된다.
참고로, 빈(100)은 슈트(200)에서 배출되는 이송물을 저장하는 것으로서, 복수개가 이격되어 배치된다.
트리퍼(tripper)는 각 빈(100)에 번갈아가며 이송물을 공급하는 것으로서, 주행레일을 따라 왕복 이동되는 대차와, 대차에 장착되어 이송물을 공급하는 벨트 컨베이어와, 벨트 컨베이어에서 공급된 이송물을 빈(100)으로 배출하는 슈트(200)가 구비된다.
따라서, 대차가 이동됨에 따라 슈트(200)는 각 빈(100)의 상방에 순차적으로 배치되면서 이송물을 빈(100) 내부에 공급한다.
고정부(10)는 일렬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빈(100) 상방에 설치된다. 예를 들어, 고정부(10)는 지면과 같은 고정물에 장착되어 위치가 고정되고, 한 쌍이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이때, 고정부(10) 사이로 빈(100)의 입구가 위치된다.
도어부(20)는 고정부(10)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이러한 도어부(20)는 고정부(10)의 길이방향으로 복수개가 인접된다.
예를 들어, 한 쌍의 고정부(10)에는 도어부(20)가 대칭되도록 장착되어 빈(100)을 개폐한다.
무게부(30)는 도어부(10)에 연결된다. 이러한 무게부(30)는 도어부(20)와 연동되어 회전된다.
지지부(40)는 고정부(10)에 결합된다. 이러한 지지부(40)는 각 도어부(10)와 일직선상에 배치된다. 즉, 고정부(10)의 길이방향으로 복수개의 지지부(40)가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롤러부(50)는 지지부(40)에 장착되어 상하 이동된다. 이러한 롤러부(50)는 각 지지부(40)에 삽입되고,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어 가압부(70)의 이동경로상에 배치된다.
와이어부(60)는 롤러부(50)와 무게부(30)를 연결한다. 이러한 와이어부(60)는 롤러부(50)의 상하 이동에 의해 발생되는 장력변화를 통해 무게부(30)를 상하 이동시킨다.
이때, 무게부(30)는 도어부(20)와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무게부(30)가 상하 이동됨에 따라 도어부(20)가 회전된다.
가압부(70)는 빈(100) 상방에서 왕복 이동되고, 빈(100)에 이송물을 제공하는 슈트(200)에 장착된다. 이러한 가압부(70)는 슈트(200)와 연동되어 이동되면서 롤러부(50)를 가압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부(20)에는 도어지지대(21), 도어회전축(22) 및 도어판(23)이 구비된다.
도어지지대(21)는 고정부(10)에 장착된다. 예를 들어, 도어지지대(21)는 관 형상을 하며, 한 쌍이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도어회전축(22)은 도어지지대(21)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예를 들어, 도어회전축(22)의 양단부는 도어지지대(21)에 삽입된다.
도어판(23)은 도어회전축(22)에 결합되고, 빈(100) 상방에 배치된다. 이러한 도어판(23)은 도어회전축(22)과 연동되어 회전되면서 빈(100)을 개폐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게부(30)에는 무게추(31) 및 무게바(32)가 구비된다.
무게추(31)는 도어판(23)이 빈(100)을 폐쇄하는 상태가 유지되도록 도어회전축(22)의 회전을 제한하는 하중을 갖는다. 그리고, 무게바(32)는 일단부가 무게추(31)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도어회전축(22)에 연결된다.
따라서, 외력에 의해 무게추(31)가 상방 이동되면, 도어회전축(22)을 중심으로 도어판(23)이 회전되어 빈(100)이 개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40)는 관 형상을 하고, 하단부가 고정부(10)에 결합된다. 이러한 지지부(40)에는 롤러부(50)와 와이어부(60)가 연결되도록, 상하 길이방향으로 관통홀(41)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부(50)에는 삽입봉(51), 롤러판(52), 롤러대(53), 접촉롤러(54) 및 탄성체(55)가 구비된다.
삽입봉(51)은 지지부(40)에 삽입된다. 이때, 삽입봉(51)에 형성되는 삽입돌기(56)가 지지부(40)의 관통홀(41)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다.
롤러판(52)은 삽입봉(51)의 상단부에 결합되고, 롤러대(53)는 롤러판(52)의 양단부에 결합되어 상방으로 돌출된다.
접촉롤러(54)는 롤러대(53)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이러한 접촉롤러(54)는 가압부(70)의 이동경로상에 배치되고, 가압부(70)와의 접촉에 의해 하방 이동된다.
탄성체(55)는 지지부(40)에 안착되고, 롤러판(52)을 탄성 지지한다. 예를 들어, 탄성체(55)는 삽입봉(51)을 감싸는 코일스프링 형상을 하되, 하단부가 지지부(40)에 안착되고 상단부가 롤러판(52)을 지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부(60)에는 와이어대(61), 풀리(62) 및 와이어(63)가 구비된다.
와이어대(61)는 지지부(40)에 결합되고, 측방향으로 돌출되어 무게부(30)의 상방에 위치된다. 예를 들어, 와이어대(61)는 한 쌍이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풀리(62)는 와이어대(61)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이러한 풀리(62)는 와이어대(61)의 길이 또는 무게부(30)의 위치를 고려하여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와이어(63)는 풀리(62)에 지지된다. 이러한 와이어(63)의 일단부는 삽입봉(51)에서 돌출되는 삽입돌기(56)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무게부(30)의 무게추(31)에 결합된다.
따라서, 롤러부(50)가 하방 이동되면, 와이어(63)가 무게추(31)를 잡아당겨 도어부(20)가 빈(100)을 개방시킨다.
그리고, 롤러부(50)가 탄성체(55)의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되면, 무게추(31)의 하중에 의해 도어부(20)가 회전되어 빈(100)을 폐쇄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압부(70)에는 슈트연결대(71), 연장대(72), 가압판(73) 및 경사판(74)이 구비된다.
슈트연결대(71)는 슈트(200)에 결합되어 측방향으로 돌출된다. 이러한 슈트연결대(71)는 고정부(10) 방향으로 각각 형성되고, 복수개의 롤러부(50)가 배치되는 라인 상방에 위치된다.
연장대(72)는 슈트연결대(71)에 결합되고, 하방으로 돌출된다. 가압판(73)은 연장대(72)에 결합되고, 복수개의 롤러부(50)와 동일선상으로 길이를 갖는다.
이러한 가압판(73)은 슈트(200) 이동시 롤러부(50)의 접촉롤러(54)를 가압하도록, 접촉롤러(54)보다 낮게 위치된다.
경사판(74)은 가압판(73)의 양단부에 결합되고, 경사를 갖는다. 이러한 경사판(74)의 상단부는 롤러부(50)의 접촉롤러(54) 보다 높게 위치된다.
한편, 고정부(10)의 길이방향으로 가이드부(80)가 배치된다. 이러한 가이드부(80)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지면과 같은 고정물에 고정 설치된다(도 1 참조).
슈트(200)는 가이드부(80) 사이를 통과하여 좌우 유동이 억제된다. 그리고, 슈트(200)에서 배출되는 이송물은 가이드부(80)에 의해 빈(100) 외부로의 낙하가 차단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빈 개폐장치의 작용과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빈(100) 상방으로 한 쌍의 고정부(10)가 배치되고, 고정부(10)의 길이방향으로 복수개의 도어부(20)가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어 빈(100)을 개폐한다. 이때, 도어부(20)에 연결된 무게부(30)가 도어부(20)의 회전을 제한한다.
슈트(200)는 복수개의 빈(100) 상방에 위치되어 이송물을 공급하는데, 슈트(70)의 측방향으로 가압부(70)가 장착된다.
한편, 가압부(70)의 이동경로 상에는 롤러부(50)가 위치되고, 와이어부(60)는 롤러부(50)와 무게부(30)를 연결한다.
상기한 상태에서, 슈트(200)가 어느 하나의 빈(100) 상방에 위치될 때, 가압부(70)가 롤러부(50)의 접촉롤러(54)를 가압한다.
그리하면, 가압부(70)와 접촉롤러(54)의 높이차에 의해 롤러부(50)가 하강되면서 탄성체(55)가 수축된다(도 2 참조).
롤러부(50)가 하강되면, 와이어부(60)가 무게부(30)를 잡아당기게 되므로, 무게부(30)가 상승하여 도어부(20)는 빈(100)을 개방하도록 회전된다. 빈(100)이 개방되면 슈트(200)는 빈(100)에 이송물을 공급한다.
한편, 어느 하나의 빈(100)에 대한 이송물 공급이 완료되어 슈트(200)가 이동되면, 롤러부(50)에 대한 가압부(70)의 가압이 해제된다(도 3 참조).
롤러부(50)에 대한 외력이 제거되면, 탄성체(55)의 복원력에 의해 롤러부(50)가 원위치로 상승하여, 와이어부(60)의 장력이 소멸한다.
그리하면, 무게부(30)의 하중에 의해 도어부(20)는 빈(100)을 폐쇄하도록 회전되어 빈(100) 내부로 이물질 유입을 차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빈 개폐장치(1)는 슈트(200)의 위치에 따라 도어부(20)가 빈을 개폐하여, 이송물이 공급되지 않는 빈(200)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빈 개폐장치(1)는 가압부(70)가 롤러부(50)를 가압하지 않는 경우, 무게부(30)의 하중에 의해 도어부(20)가 빈(200)을 폐쇄하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롤러부(50) 또는 와이어부(60)의 파손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도어부(20)가 빈(200)을 폐쇄하는 상태를 유지하므로, 파손부위에 대한 수리기간동안 빈(200)으로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고정부 20 : 도어부
21 : 도어지지대 22 : 도어회전축
23 : 도어판 30 : 무게부
31 : 무게추 32 : 무게바
40 : 지지부 50 : 롤러부
51 : 삽입봉 52 : 롤러판
53 : 롤러대 54 : 접촉롤러
55 : 탄성체 60 : 와이어부
61 : 와이어대 62 : 풀리
63 : 와이어 70 : 가압부
71 : 슈트연결대 72 : 연장대
73 : 가압판 74 : 경사판
80 : 가이드부

Claims (5)

  1. 복수개의 빈 상방에 설치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도어부;
    상기 도어부에 연결되고, 상기 도어부와 연동되어 회전되는 무게부;
    상기 고정부에 결합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장착되어 상하 이동되는 롤러부;
    상기 롤러부와 상기 무게부를 연결하여 상기 무게부를 이동시키는 와이어부; 및
    상기 빈 상방에서 이동되면서 상기 빈에 이송물을 배출하는 슈트에 장착되고, 상기 롤러부를 가압하는 가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빈 개폐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부는
    상기 고정부에 장착되는 도어지지대;
    상기 도어지지대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도어회전축; 및
    상기 도어회전축에 결합되고, 상기 빈을 개폐하는 도어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빈 개폐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부는
    상기 지지부에 삽입되는 삽입봉;
    상기 삽입봉에 결합되는 롤러판;
    상기 롤러판에 결합되고, 상방으로 돌출되는 롤러대;
    상기 롤러대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가압부와 접촉되어 하방 이동되는 접촉롤러; 및
    상기 지지부에 안착되고, 상기 롤러판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빈 개폐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부는
    상기 지지부에 결합되는 와이어대;
    상기 와이어대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풀리; 및
    상기 풀리에 지지되고, 일단부가 상기 롤러부에 결합되며, 타단부가 상기 무게부에 결합되는 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빈 개폐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슈트에 결합되는 슈트연결대;
    상기 슈트연결대에 결합되고, 하방으로 돌출되는 연장대;
    상기 연장대에 결합되고, 상기 롤러부를 가압하는 가압판; 및
    상기 가압판의 양단부에 결합되고, 경사를 갖는 경사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빈 개폐장치.
KR1020130010795A 2013-01-31 2013-01-31 빈 개폐장치 KR1013682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0795A KR101368271B1 (ko) 2013-01-31 2013-01-31 빈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0795A KR101368271B1 (ko) 2013-01-31 2013-01-31 빈 개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8271B1 true KR101368271B1 (ko) 2014-03-03

Family

ID=50647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0795A KR101368271B1 (ko) 2013-01-31 2013-01-31 빈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827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0331Y1 (ko) 2000-08-17 2001-01-15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빈의 그리지리바 개폐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0331Y1 (ko) 2000-08-17 2001-01-15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빈의 그리지리바 개폐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7726B1 (ko) 운송설비의 운송물 탑재 유도장치
KR101299048B1 (ko) 트리퍼
KR101504423B1 (ko) 빗물 유입 방지 기능을 갖는 벨트 컨베이어 어셈블리
KR101082977B1 (ko) 벨트 컨베이어 장치
KR101355517B1 (ko) 트리퍼 장치
KR101388022B1 (ko) 트리퍼 장치
KR101938065B1 (ko) 벨트컨베이어
KR101277495B1 (ko) 트리퍼용 집진장치
KR101368271B1 (ko) 빈 개폐장치
KR20120127822A (ko) 벨트 컨베이어의 이송물 분리장치
KR20120121553A (ko) 슈트용 스커트개폐장치
KR101175799B1 (ko) 벨트컨베이어용 이물질 제거장치
KR101399858B1 (ko) 벨트컨베이어용 낙광 제거장치
KR101344337B1 (ko) 철편 선별장치
KR101246256B1 (ko) 벨트 컨베이어용 분배장치
KR101039714B1 (ko) 사행방지기구가 구비된 컨베이어장치
KR102057775B1 (ko) 컨베이어용 사행 방지 장치
KR101357540B1 (ko) 트리퍼용 슈트장치
KR101424430B1 (ko) 벨트컨베이어용 낙광 제거장치
KR101237063B1 (ko) 벨트 컨베이어용 분배장치
KR101553151B1 (ko) 벨트컨베이어용 낙광 제거장치
CN203593363U (zh) 连续输砂装置
KR101245312B1 (ko) 원료탄 장입 장치
KR101388037B1 (ko) 누적광 제거장치
KR101291548B1 (ko) 벨트 컨베이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