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28007A - 리클레이머의 원료 균일 불출 장치 - Google Patents

리클레이머의 원료 균일 불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28007A
KR20110028007A KR1020090085894A KR20090085894A KR20110028007A KR 20110028007 A KR20110028007 A KR 20110028007A KR 1020090085894 A KR1020090085894 A KR 1020090085894A KR 20090085894 A KR20090085894 A KR 20090085894A KR 20110028007 A KR20110028007 A KR 201100280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w material
plate
reclaimer
blocking plate
bel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58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56615B1 (ko
Inventor
박지성
정지원
류재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900858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6615B1/ko
Publication of KR201100280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80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66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6615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08Control devices operated by article or material being fed, conveyed or dischar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30Details; Auxiliary devices
    • B65G17/32Individual load-carriers
    • B65G17/36Individual load-carriers having concave surfaces, e.g. buck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65G23/02Belt- or chain-engaging elements
    • B65G23/20Scre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5/00Loading or unloading
    • B65G65/28Piling or unpiling loose materials in bulk, e.g. coal, manure, timb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60Loading or unloading sh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65G2201/045Sand, soil and mineral o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4/00Indexing codes relating to loading or unloading articles or bulk materials
    • B65G2814/03Loading or unloading means
    • B65G2814/0301General arrangements
    • B65G2814/0326General arrangements for moving bulk material upwards or horizontally
    • B65G2814/0328Picking-up means
    • B65G2814/0331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4/0332Bucket convey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Emptying Of Bunkers, Hoppers, And Tanks (AREA)
  • Auxiliary Methods And Devices For Loading And Unloading (AREA)

Abstract

원료의 불출량을 항상 일정하게 하여 밸트컨베이어로 균일한 양의 원료가 이송되도록 함으로써 과불출에 의한 설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리클레이머의 붐을 따라 설치되는 밸트컨베이어에 폭방향으로 배치되며 하단에는 원료가 지나가도록 게이트가 절결 형성되어 원료의 불출량을 제한하는 차단판을 포함하는 리클레이머의 원료 균일 불출 장치를 제공한다.
Figure P1020090085894
차단판, 게이트, 조절판, 측판, 배출관

Description

리클레이머의 원료 균일 불출 장치{DEVICE FOR UNIFORM CONVEYANCE OF MATERIAL IN RECLAIMER}
본 발명은 야드에 적재된 원료를 불출하는 리클레이머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 본 발명은 원료를 항상 균일한 양으로 불출할 수 있도록 된 리클레이머의 원료 균일 불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소에서 선박이나 화차로 수송된 원료는 스태커로 야드 상에 적치된다. 이와같이 적치된 광석이나 석탄 등의 원료는 리클레이머(RECLAIMER)를 이용하여 불출되어 밸트컨베이어를 통해 고로 등의 후 공정으로 이송된다.
상기 리클레이머는 제철소의 야적장에서 운용되는 장비로, 야적장에 쌓여진 원료를 채집하여 야적장 외부로 반출하는 장비이다.
상기 리클레이머는 설치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주행부와 원료가 적치된 적치파일로 연장되는 붐과, 붐 선단에 설치되는 버켓, 붐을 따라 설치되어 원료를 이송하는 밸트컨베이어를 포함한다.
이에 버켓에 의해 퍼올려진 원료는 붐 상의 밸트컨베이어 위에 적재되어 이송된다.
여기서 리클레이머는 붐 선단에 설치된 휠에 통상 8개 정도의 버켓이 설치되어 있어서 휠의 회전에 따라 각 버켓이 차례로 원료를 퍼올려 밸트컨베이어 상에 불출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에는 상기 버켓을 이용하여 원료를 불출하는 과정에서 불출량에 편차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원료 불출 작업시 버켓을 통해 원료가 불출된 후 다음 버켓에 의해 원료가 불출되기까지는 원료의 불출이 이루어지지 않아 원료 불출량에 편차가 발생된다. 또한, 리클레이머는 붐의 선회속도나 휠의 회전수, 장비의 주행거리 등에 의해 원료 불출량이 조절되는 설비로 작어??의 기능도에 따라 불출량에 편차가 발생된다. 이에 버켓을 통해 원료가 밸트컨베이어의 밸트 위에 쌓여질 때와 그렇지 않을 때 그리고 많이 쌓여질 때와 적게 쌓여질 때 등 불출량의 차이가 발생하는 것이다.
또한, 리클레이머 작업시 작업자의 작업 부주의나 원료 적치 파일의 붕괴시 과 불출이 발생하며, 이 경우 밸트 상에 원료가 과 적재되어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원료가 밸트를 따라 이송 중에 하부로 떨어져 낙광이 발생하여 설비 사고나 원료의 손실을 야기하게 된다.
특히, 과불출된 원료가 밸트컨베이어의 연결구간에 설치된 슈트를 통과하면서 순간적인 배출장애를 일으켜 대형 설비사고를 발생시키게 된다.
이에 원료의 불출량을 항상 일정하게 하여 밸트컨베이어로 균일한 양의 원료가 이송되도록 함으로써 과불출에 의한 설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된 리클레이머의 원료 균일 불출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원료 이송과정에서 과불출에 의한 원료 낙광을 방지하여 원료의 손실을 최소화하고 설비 주변 환경을 개선할 수 있도록 된 리클레이머의 원료 균일 불출 장치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장치는 리클레이머의 붐을 따라 설치되는 밸트컨베이어에 폭방향으로 배치되며 하단에는 원료가 지나가도록 게이트가 절결 형성되어 원료의 불출량을 제한하는 차단판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밸트컨베이어 위로 적재된 원료는 차단판의 게이트를 통해서만 불출되므로 원료의 불출량을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본 장치는 상기 차단판의 양 측단에 각각 설치되고 밸트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밸트의 측면을 차단하는 측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판 중 적어도 한쪽 측판에는 측판과 제어판 사이에 쌓인 원료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관이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측판 하부의 밸트컨베이어에는 밸트를 받쳐 지지하기 위한 지지롤러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이에 측판과 제어판 사이에서 밸트 상에 원료가 쌓이더라도 지 지롤러가 밸트를 안정적으로 받쳐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본 장치는 상기 차단판의 게이트 크기를 변경하여 원료 불출량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절부는 차단판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차단판의 게이트 크기를 조절하는 조절판과, 차단판에 대해 상기 조절판을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절판은 하단이 원호형태로 절결된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이동부는 상기 조절판 상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수직으로 연장되는 이송스크류바와, 상기 차단판 상단에 설치되고 상기 이송스크류바가 치합되는 체결너트, 상기 체결너트에 체결되어 차단판 상부로 연장된 이송스크류바 선단에 설치되어 이송스크류바를 회전시키기 위한 손잡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장치는 원료가 균일한 양으로 밸트컨베이어로 불출되어 원료의 불출 편차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원료의 과불출에 의한 낙광을 방지하여 낙광에 따른 원료의 손실을 최소화하고, 설비 주변 환경을 개선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원료의 과불출시 발생할 수 있는 슈트 막힘 등의 설비 사고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 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들은 개략적이고 축적에 맞게 도시되지 않았다는 것을 일러둔다. 도면에 있는 부분들의 상대적인 치수 및 비율은 도면에서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해 그 크기에 있어 과장되거나 감소되어 도시되었으며 임의의 치수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지 한정적인 것은 아니다. 그리고 둘 이상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구조물, 요소 또는 부품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다른 실시예에서 대응하거나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사시도를 참조하여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 예를 들면 제조 방법 및/또는 사양의 변형이 예상된다. 따라서 실시예는 도시한 영역의 특정 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조에 의한 형태의 변형도 포함한다. 도면에 도시된 영역은 원래 대략적인 것에 불과하며, 이들의 형태는 영역의 정확한 형태를 도시하도록 의 도된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범위를 좁히려고 의도된 것이 아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라 리클레이머에 원료 균일 불출 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리클레이머(100)는 지면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주행부(110)와, 주행부에서 적치파일로 연장되는 붐(120), 붐(120) 선단에 설치되어 원료를 불출하는 버켓(140), 붐(120) 상단을 따라 설치되어 버켓(140)에 의해 불출된 원료를 이송하는 밸트컨베이어(150)를 포함한다. 상기 버켓(140)은 붐(120) 선단에 설치된 휠(130)에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이에 휠(130)이 회전되면 각 버켓(140)이 적치된 원료를 퍼담게 된다. 버켓(140)에 담겨진 원료는 휠(130) 회전에 따라 붐(120) 상단에 설치된 밸트컨베이어(150)의 밸트(도 2의 152 참조) 위에 불출된다. 그리고 밸트의 진행에 따라 이송된다. 상기 붐(120)의 선단에는 본 장치(10)가 설치되어 버켓(140)에 의해 밸트컨베이어(150)의 밸트로 불출된 원료를 균일하게 불출하게 된다.
이를 위해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장치(10)는 상기 붐(120)에 설치되어 밸트컨베이어(150)의 밸트(152)로 불출되는 원료의 불출량을 제한하는 차단판(12)을 포함한다.
상기 차단판(12)은 붐(120) 선단쪽에 설치된다. 이에 버켓(140)에 의해 불출된 원료는 바로 차단판(12)에 의해 균일한 양으로 밸트(152) 상에 불출된다. 따라서 밸트에는 적정량의 원료만이 고르게 적재되어 이송됨으로써, 붐(120)을 따라 밸트가 진행하는 과정에서 원료가 낙광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차단판(12)은 밸트(152) 위에 폭방향으로 배치되며 밸트에 수직으로 세워져 설치된다. 상기 차단판(12)의 높이는 버켓(140)으로부터 밸트 위로 불출되어 쌓인 원료를 차단할 수 있는 정도면 충분하며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차단판(12)의 하단에는 밸트와의 틈새를 형성하며 원료가 빠져나가는 게이트(14)가 형성된다. 상기 게이트(14)는 원호형태 또는 사각형태와 같이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게이트(14)는 그 크기를 가변시킬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는 데, 이러한 구조에 대해서는 뒤에서 다시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본 장치는 상기 차단판(12)의 양 측단에 측판(16)이 각각 설치되어 밸트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측판(16)은 상기 차단판(12)과 대응되는 높이로 형성된다. 상기 측판(16)의 하단은 밸트(152)의 폭방향 측단쪽에 놓여진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판(16)은 위쪽으로 갈수록 측판(16) 사이가 벌어지도록 경사져 배치된다.
상기 양 측판(16)과 차단판(12)에 의해 밸트의 진행방향을 따라 앞쪽과 옆쪽이 막혀 원료가 쌓이는 공간을 이룬다.
버켓(140)에 의해 밸트 위로 불출된 원료는 일단 차단판(12)에 의해 막혀 측판(16)과 차단판(12) 사이에 쌓이고 일정량만 차단판(12)의 게이트(14)를 통해 균일하게 불출된다.
또한, 상기 측판(16)을 지지하기 위하여 측판(16)의 후면에 지지부재(20)가 설치된다.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붐(120)을 구성하는 프레임(122)에 하단이 고정되 어 측판(16)을 프레임(122)에 고정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측판(16) 중 한쪽 측판(16)에는 비상시 측판(16)과 차단판(12) 사이에 쌓인 원료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관(18)이 설치된다.
상기 배출관(18)은 측판(16)과 연통되고 선단은 지면을 향하도록 설치된다. 이에 원료가 측판(16) 사이의 밸트(152) 상에 과하게 정체된 경우 원료의 일부가 상기 배출관(18)을 통해 다시 야적장으로 배출 처리된다. 상기 배출관(18)은 측판(16) 상부쪽으로 설치하여 일정 높이 이상 쌓인 경우에만 원료가 배출 처리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측판(16)이 설치된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의 밸트컨베이어(150)에는 밸트(152)를 받쳐 지지하기 위한 지지롤러(30)가 설치된다. 일반적으로 밸트컨베이어(150)는 밸트의 이동시 밸트(152)를 받쳐 지지하는 캐리어롤러(154)가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본 장치는 상기 캐리어롤러(154)와 별도로 밸트(152)를 받쳐 지지하는 지지롤러(30)을 측판(16)과 대응되는 위치에서 밸트(152) 하부에 설치한 구조로 되어 있다.
이는 측판(16)과 차단판(12) 사이에 원료가 정체되어 쌓여 밸트(152)에 하중을 가하기 때문이다. 이에 측판(16)과 제어판 사이에서 밸트 상에 원료가 쌓이더라도 지지롤러(30)가 밸트(152)를 안정적으로 받쳐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롤러는 상기 캐리어롤러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롤러는 한 개 또는 두 개 이상 설치될 수 있으며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본 장치(10)는 상기 차단판(12)의 게이트(14) 크기를 변경하여 원료 불출량을 조절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를 위해 본 장치는 차단판(12)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차단판(12)의 게이트(14) 크기를 조절하는 조절판(40)과, 차단판(12)에 대해 상기 조절판(40)을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이동부는 상기 조절판(40) 상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수직으로 연장되는 이송스크류바(42)와, 상기 차단판(12) 상단에 설치되고 상기 이송스크류바(42)가 치합되는 체결너트(44), 상기 체결너트(44)에 체결되어 차단판(12) 상부로 연장된 이송스크류바(42) 선단에 설치되어 이송스크류바(42)를 회전시키기 위한 손잡이(46)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차단판(12)에 형성되는 게이트(14)는 밸트로 이송할 수 있는 최대양의 원료가 배출될 수 있는 정도의 크기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조절판(40)은 상기 차단판(12)의 게이트(14)에 대응되는 크기로 이루어져 게이트(14)의 전면을 차단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에 상기 조절판(40)이 상하로 이동함에 따라 게이트(14)의 개방 정도가 달라져 불출량이 변경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조절판(40)은 하단이 위쪽으로 볼록한 원호형태로 절결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는 원료를 보다 안정적으로 이송하기 위한 것으로 밸트의 양 측단쪽으로 원료가 적게 적재되어 원료의 낙광을 더욱 줄일 수 있게 된다.
도 4는 상기 차단판(12)과 조절판(40)의 결합구조를 잘 예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절판(40)은 차단판(12)의 내측에 지지되어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조절판(40)의 상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이송스크류바(42)는 차단판(12)의 상단을 관통하여 외측으로 연장된다. 차단판(12)의 상단에는 체결너트(44)가 고정설치되어 상기 이송스크류바(42)와 치합된다.
이에 이송스크류바(42)를 회전시켜 조절판(40)을 상승 또는 하강시킴으로써 차단판(12)의 게이트(14) 크기를 변경할 수 있게 된다. 즉, 작업자가 손잡이(46)를 이용하여 이송스크류바(42)를 회전시키게 되면 차단판(12)에 설치된 체결너트(44)에 대해 이송스크류바(42)가 감기거나 풀리면서 체결너트(44)에 대해 이송스크류바(42)가 이동된다. 이송스크류바(42)가 이동함에 따라 이송스크류바(42)가 설치된 조절판(40)이 차단판(12)에 대해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조절판(40)이 차단판(12)의 게이트(14)에서 이동되어 게이트(14)를 필요한 정도로 개방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장치의 작용에 대해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리클레이머(100)의 붐(120) 선단에 설치된 휠(130)이 회전되면 버켓(140)이 적재되어 있는 파일에서 원료를 퍼올리게 된다. 버켓(140)에 의해 퍼올려진 원료는 휠(130) 회전에 따라 밸트컨베이어(150)의 밸트(152) 위로 적재된다.
이렇게 밸트 위에 적재된 원료는 밸트컨베이어(150)의 구동에 따라 진행하는 밸트에 의해 연속적으로 이송된다.
밸트로 불출된 원료는 일단 차단판(12)에 의해 막힌 후 조절판(40)에 의해 개방된 게이트(14)를 통해 일정량이 불출된다. 그리고 밸트(152)를 따라 계속 이송되는 원료는 밸트 위에서 차단판(12)과 양 측판(16) 사이의 공간에 정체되어 쌓이 게 된다.
이와같이 차단판(12)에 형성되어 조절판(40)에 의해 개방된 게이트(14)를 통해서만 원료가 배출됨에 따라 원료는 밸트(152) 상에 균일하고 일정한 양과 형태로 불출된다.
상기 차단판(12)과 측판(16) 사이에 원료가 과하게 정체되는 경우에는 측판(16)에 설치된 배출관(18)을 통해 원료가 빠져나가 원료 파일로 배출 처리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원료 균일 불출 장치가 설치된 리클레이머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원료 균일 불출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원료 균일 불출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원료 균일 불출 장치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리클레이머의 원료 균일 불출 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2 : 차단판 14 : 게이트
16 : 측판 18 : 배출관
20 : 지지부재 30 : 지지롤러
40 : 조절판 42 : 이송스크류바
44 : 체결너트 46 : 손잡이

Claims (6)

  1. 리클레이머의 붐을 따라 설치되는 밸트컨베이어에 폭방향으로 배치되며 하단에는 원료가 지나가도록 게이트가 형성되어 원료의 불출량을 제한하는 차단판을 포함하는 리클레이머의 원료 균일 불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판의 양 측단에 각각 설치되고 밸트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밸트의 측면을 차단하는 측판을 더 포함하는 리클레이머의 원료 균일 불출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측판 중 적어도 한쪽 측판에는 측판과 제어판 사이에 쌓인 원료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관이 더 설치된 리클레이머의 원료 균일 불출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판의 게이트 크기를 변경하여 원료 불출량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절부는 차단판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차단판의 게이트 크기를 조절하는 조절판과, 차단판에 대해 상기 조절판을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부를 포함하는 리클레이머의 원료 균일 불출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상기 조절판 상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수직으로 연장되는 이송스크류바와, 상기 차단판 상단에 설치되고 상기 이송스크류바가 치합되는 체결너트, 상기 체결너트에 체결되어 차단판 상부로 연장된 이송스크류바 선단에 설치되어 이송스크류바를 회전시키기 위한 손잡이를 포함하는 리클레이머의 원료 균일 불출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판은 하단이 원호형태로 절결된 구조의 리클레이머의 원료 균일 불출 장치.
KR1020090085894A 2009-09-11 2009-09-11 리클레이머의 원료 균일 불출 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12566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5894A KR101256615B1 (ko) 2009-09-11 2009-09-11 리클레이머의 원료 균일 불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5894A KR101256615B1 (ko) 2009-09-11 2009-09-11 리클레이머의 원료 균일 불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8007A true KR20110028007A (ko) 2011-03-17
KR101256615B1 KR101256615B1 (ko) 2013-04-22

Family

ID=439345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5894A Expired - Fee Related KR101256615B1 (ko) 2009-09-11 2009-09-11 리클레이머의 원료 균일 불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661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09370A1 (en) * 2011-07-08 2013-01-17 Crown Products & Services Llc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preparing materials transported in open top conveyance
KR101291551B1 (ko) * 2012-02-28 2013-08-08 현대제철 주식회사 원료 흘러내림 방지장치
US8549997B2 (en) 2008-12-29 2013-10-08 Crown Products & Services, Inc. System and method for compacting materials in open top transport conveyance
KR20210039153A (ko) * 2019-10-01 2021-04-09 주식회사 포스코플랜텍 공기막 구조의 원료밀폐장치
CN114261788A (zh) * 2021-10-14 2022-04-01 华能(浙江)能源开发有限公司玉环分公司 一种斗轮堆取料机中部料斗挡板系统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01839A (ja) * 1998-04-24 1999-11-02 Fujiwara Techno Art:Kk 蒸煮装置への原料投入方法及び原料投入装置
KR200377982Y1 (ko) * 2004-12-06 2005-03-11 현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개선된 호퍼를 가진 벨트컨베이어 이송장치
KR200436291Y1 (ko) * 2007-01-26 2007-07-20 (주)삼성정밀 검수용 작업대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49997B2 (en) 2008-12-29 2013-10-08 Crown Products & Services, Inc. System and method for compacting materials in open top transport conveyance
US9908724B2 (en) 2008-12-29 2018-03-06 Crown Products & Services, Inc. System and method for compacting materials in open top transport conveyance
US10974917B2 (en) 2008-12-29 2021-04-13 Crown Products & Services, Inc. System and method for compacting materials in open top transport conveyance
WO2013009370A1 (en) * 2011-07-08 2013-01-17 Crown Products & Services Llc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preparing materials transported in open top conveyance
US9382080B2 (en) 2011-07-08 2016-07-05 Crown Products & Services, Inc.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preparing materials transported in open top conveyance
US9624050B2 (en) 2011-07-08 2017-04-18 Crown Products & Services, Inc.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preparing materials transported in open top conveyance
KR101291551B1 (ko) * 2012-02-28 2013-08-08 현대제철 주식회사 원료 흘러내림 방지장치
KR20210039153A (ko) * 2019-10-01 2021-04-09 주식회사 포스코플랜텍 공기막 구조의 원료밀폐장치
CN114261788A (zh) * 2021-10-14 2022-04-01 华能(浙江)能源开发有限公司玉环分公司 一种斗轮堆取料机中部料斗挡板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56615B1 (ko) 2013-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6615B1 (ko) 리클레이머의 원료 균일 불출 장치
KR102060833B1 (ko) 자재 이송장치
WO2012070196A1 (ja) 粉粒体貯留サイロ用移動式搬出装置と粉粒体貯留サイロ
EP2834416B1 (en) Apparatus to feed inert material in a concrete mixing plant or an asphalt production plant
KR102039169B1 (ko) 골재 이송장치
KR101250869B1 (ko) 벨트 컨베이어의 이송물 분리장치
KR101410085B1 (ko) 벨트 컨베이어 편적 방지 기능을 갖는 리클레이머 장치 및 제어방법
KR20100074555A (ko) 제철원료 적치장치의 트리퍼 카
KR102190498B1 (ko) 연속식 하역기 과불출 제어 장치
KR20030042993A (ko) 편중이 방지된 리크레이머의 붐 벨트 컨베이어 웨이트장치
KR101415831B1 (ko) 원료 공급 장치 및 원료 공급 방법
KR100684417B1 (ko) 벨트 컨베이어 적재용 슈트댐퍼 자동조절장치
US10850426B2 (en) Dispenser for mixes
CN208704465U (zh) 一种环冷机的卸料装置
KR101670636B1 (ko) 우드칩 이송장치 및 이를 이용한 우드칩 하역방법
JP2003034426A (ja) スクレーパ装置
KR100940713B1 (ko) 언로더의 원형호퍼 게이트장치
KR20200046547A (ko) 컨베이어의 원료 편적 방지용 슈트장치
KR101377503B1 (ko) 스태커용 이송물 운반장치
JP7233996B2 (ja) ばら物荷揚げ装置、および、ばら物荷揚げ装置の据付方法
JP6798522B2 (ja) 粉体供給装置
KR101298705B1 (ko) 트리퍼용 분배장치
CN118907737B (zh) 大米生产用斗式提升机
JP7252804B2 (ja) ばら物荷揚げ装置
EP2604554B1 (en) Drum dispens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911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1031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9091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90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022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304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304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4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41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3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31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2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22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7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30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0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