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0323B1 - 안전모용 내피 - Google Patents

안전모용 내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0323B1
KR101290323B1 KR1020120044776A KR20120044776A KR101290323B1 KR 101290323 B1 KR101290323 B1 KR 101290323B1 KR 1020120044776 A KR1020120044776 A KR 1020120044776A KR 20120044776 A KR20120044776 A KR 20120044776A KR 101290323 B1 KR101290323 B1 KR 1012903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clip
band
hard hat
helm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47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59470A (ko
Inventor
이삼준
이예지
Original Assignee
이예지
이삼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예지, 이삼준 filed Critical 이예지
Priority to KR10201200447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0323B1/ko
Publication of KR201200594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94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03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03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0Linings
    • A42B3/14Suspension devices
    • A42B3/147Anchor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0Linings
    • A42B3/12Cushion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0Linings
    • A42B3/14Suspension devices
    • A42B3/142Suspension devices with restraining or stabilizing means, e.g. nape strap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28Ventila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HARMOUR; ARMOURED TURRETS; ARMOURED OR ARMED VEHICLES; MEANS OF ATTACK OR DEFENCE, e.g. CAMOUFLAGE, IN GENERAL
    • F41H1/00Personal protection gear
    • F41H1/04Protection helm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전모용 내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안전모의 내측에 설치되어 머리의 상부에 얹히게 되는 머리받침밴드 내측에 머리받침밴드와 간격을 두고 안전모내피를 설치하되, 안전모내피를 머리의 상부를 전체적으로 감싸게 지지하며 머리받침밴드와 간격을 두게 설치되는 직물지로 된 머리커버와, 머리커버의 외곽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면서 이마 높이에서 머리둘레를 감싸는 밴드형 머리고정대에 견고하게 끼워지는 클립으로 구성함으로서, 안전모를 착용하였을 때, 종래에 머리받침밴드가 머리의 정수리에 접촉하면서 머리에 압박감을 주던 것을 머리커버가 머리의 상부 전체를 감싸면서 머리받침밴드와는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머리의 상부에 압박감을 주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안전모(1)의 머리받침밴드(4) 내측에는 머리의 상부를 감싸는 안전모내피(7)를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되, 이 안전모내피(7)는 머리의 상부 전체면을 감싸는 직물지로 된 머리커버(10)와, 머리커버(10)의 외곽에 간격을 두고 설치된 상태에서 타측 자유단부가 안전모본체(2)의 내측 소정위치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수개의 클립(30)으로 이루어지는 안전모용 내피에 있어서, 상기 클립(30)은 연질의 합성수지판으로 형성되는 클립본체(31)에 통공(34a)이 관통 형성되고, 통공(34a) 하부측의 클립본체(31) 외측에는 "ㄴ"자 형태로 절곡 형성되는 절곡고리부(33a)가 돌출되게 형성되되, 이 절곡고리부(33a)의 수평부가 클립본체(31)와 일체로 연결 형성되며, 상기 수개의 절곡고리부(33a)가 이마높이에 밴드형으로 설치되는 머리고정대(6)나, 또는 안전모본체(2)의 내면에 형성된 걸림부(2a)에 끼워지는 밴드고정구(5)에 걸리도록 안전모내피(7)를 머리받침밴드(4) 내측에 설치하되, 머리받침밴드(4)의 중앙부 저면과 머리커버(10)의 중앙부 상면 사이에 소정의 간격(C)이 형성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안전모용 내피{Inner layer for a safety helmet}
본 발명은 안전모용 내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안전모(군용 헬멧 포함)의 내측에 설치되어 머리의 상부에 얹히게 되는 머리받침밴드 내측에 머리받침밴드와 간격을 두고 안전모내피를 설치하되, 안전모내피를 머리의 상부를 전체적으로 감싸게 지지하며 머리받침밴드와 간격을 두게 설치되는 직물지로 된 머리커버와, 머리커버의 외곽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면서 이마 높이에서 머리둘레를 감싸는 밴드형 머리고정대에 견고하게 끼워지는 클립으로 구성함으로서, 안전모를 착용하였을 때, 종래에 머리받침밴드가 머리의 정수리에 접촉하면서 머리에 압박감을 주던 것을 머리커버가 머리의 상부 전체를 감싸면서 머리받침밴드와는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머리의 상부에 압박감을 주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과 대비할 수 있는 종래의 안전모는 특허등록 제10-1105844호(발명의 명칭 : 안전모)의 발명이 특허공보에 의해 알려지고 있으며, 이러한 종래발명은 안전모의 구조를 개선하여 제조비용의 상승을 억제하면서 탈착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체결의 효율성을 높이면서 착용자의 피부를 보호할 수 있는 안전모에 관한 것이다.
위와 같은 종래발명은 본 발명과 목적과 구성, 작용관계에서 상이하나, 일부 구성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점이 있어 종래발명에 대하여 살펴보되, 그 종래발명의 내용을 파악하기 위하여 그 특허공보에 기재된 기재사항을 발췌하여 기재하기로 한다.
즉, 상기 종래발명은 도 9의 (가)(나)에서 보는 바와 같이 외피모(202), 밴드부재(204), 커버부재(206), 땀 흡수부재(208)등을 포함하며, 외피모(202)는 착용자의 두부를 보호하도록 폴리카보네이트 계열 또는 금속계열 등의 단단한 재질로 제작된다.
밴드부재(204)는 외피모(202)의 내부에 장착되어 외력이 직접적으로 두부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고 착용자의 얼굴 형태에 맞게 고정되도록 조절 가능하게 제작되며, 머리의 상부를 감싸는 헤드밴드(204a)와 이마높이의 머리둘레를 감싸는 테두리밴드(204b)로 이루어진다.
상기 헤드밴드(204a)는 외피모(202)의 내부에 장착되어 외피모(202)에 가해진 외력이 직접적으로 두부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장착되고, 테두리밴드(204b)는 헤드밴드(204a)와 연결되어 착용자의 얼굴 형태에 맞게 고정되도록 조절 가능하게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부재(206)는 밴드부재(204)의 내부로 진입 가능하게 배치되며, 이 커버부재(206)는 망사형태의 신축성 재질로 제작되어 통풍을 원활하게 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땀흡수부재(208)는 커버부재(206)와 선택적으로 탈착되고 외피모(202)와 밴드부재(204)의 사이에 선택적으로 끼움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커버부재(206)의 내측 선단에 제1고정수단(206a)이 장착되고, 땀흡수부재(208)는 제1고정수단(206a)과 고정되도록 제2고정수단(208a)을 포함하도록 장착된다. 이때, 제1,2고정수단(206a,208a)은 서로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벨크로 테이프나, 걸림돌기와 걸림대와 같이 서로 끼움 되는 탈부착부재를 칭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종래발명은, 탈착을 위한 탈착시간을 단축시켜, 탈착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와, 간단한 구성으로 탈착을 가능하게 하여 제조비용의 상승을 억제시킬 수 있는 다른 효과와, 걸림부재를 빠지지 않게 하여 밴드부재 및 커버부재와의 체결성을 더욱 높일 수 있는 또 다른 효과와, 햇볕으로부터 착용자의 피부를 보호함과 동시에 목에서 발생하는 땀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선택적으로 커버부재 또는 땀흡수부재를 세척할 수가 있어 제품의 차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또 다른 효과가 있는 것이라고 기재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발명은 머리의 상부를 감싸고 있는 커버부재(206)가 헤드밴드(204a)의 저면에 접촉되게 설치되어 있고, 안전모(200)는 자중에 의해 하측으로 안전모의 무게가 작용하기 때문에 헤드밴드(204a)의 머리의 상부를 압박하게 되어 그렇게 압박되는 머리부가 아프고, 머리카락이 눌리게 된다.
참고로, 상기 헤드밴드는 2cm 내외의 좁은 폭으로 형성된 3줄의 합성섬유밴드가 120도 간격으로 육각별(*)모양으로 교차되면서 그 각각의 헤드밴드의 양단부는 안전모의 본체가 되는 외피모(202)의 내면에 고정구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상기 헤드밴드(204a)는 합성섬유를 직조하여 형성한 것임에 따라 머리곡선을 따라 둥글게 만곡되게 되는데, 헤드밴드(204a)의 양단부는 머리통보다 내경이 휠신 큰 외피모(202)의 내면에 고정되므로 3줄의 합성섬유밴드가 육각별(*) 모양으로 교차하는 부분이 정수리부분에 접촉되면서, 그 정수리부분에만 안전모의 무게(하중)가 집중되어 장시간동안 안전모를 하였을 때, 정수리부분이 아프게 되는 문제가 있다.
즉, 종래발명의 문제는 폭이 좁은 합성섬유밴드로 형성되는 헤드밴드가 머리의 정수리부분을 직접적으로 압박함에 따라 머리의 정수리부분이 아프게 되는 것이다.
특허등록 제10-1105844호(발명의 명칭 : 안전모) 특허등록 제10-0925855호(발명의 명칭 : 방탄모 및 안전모 겸용 내피)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안전모의 머리받침밴드(종래의 헤드밴드와 동일) 내측에 정수리부를 포함한 머리의 상부 전체를 감싸는 머리커버(종래의 커버부재와 동일)를 설치하되, 이 머리커버의 상부와 그 상측의 머리받침밴드가 소정의 간격을 두도록 하여 머리의 상부에 안전모의 무게가 분산되어 작용하게 하고, 머리커버를 안전모의 내측에 설치하게 하는 클립을 밴드형 머리고정대에 견고하게 끼워지게 함에 따라 장시간 안전모를 착용하는 경우에도 머리받침밴드와 정수리부분이 간격을 두게 되어 정수리에 집중하중이 작용하지 않게 되고, 그로인하여 머리가 아프지 않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안전모의 머리받침밴드 내측에는 머리의 상부를 감싸는 안전모내피를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되, 이 안전모내피는 머리의 상부 전체면을 감싸는 직물지로 된 머리커버와, 머리커버의 외곽에 간격을 두고 설치된 상태에서 타측 자유단부가 안전모본체의 내측 소정위치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수개의 클립으로 이루어지는 안전모용 내피에 있어서, 상기 클립은 연질의 합성수지판으로 형성되는 클립본체에 통공이 관통 형성되고, 통공 하부측의 클립본체 외측에는 "ㄴ"자 형태로 절곡 형성되는 절곡고리부가 돌출되게 형성되되, 이 절곡고리부의 수평부가 클립본체와 일체로 연결 형성되며, 상기 수개의 절곡고리부가 이마높이에 밴드형으로 설치되는 머리고정대나, 또는 안전모본체의 내면에 형성된 걸림부에 끼워지는 밴드고정구에 걸리도록 안전모내피를 머리받침밴드 내측에 설치하되, 머리받침밴드의 중앙부 저면과 머리커버의 중앙부 상면 사이에 소정의 간격이 형성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안전모용 내피는, 안전모의 머리받침밴드 내측에 정수리부를 포함한 머리의 상부 전체를 감싸는 머리커버를 설치하되, 이 머리커버의 상부와 그 상측의 머리받침밴드가 소정의 간격을 두도록 하여 머리의 상부에 안전모의 무게가 분산되어 작용하여 장시간 안전모를 착용하는 경우에도 머리의 정수리부분이 아프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머리커버의 외곽에 설치되는 클립이 밴드형 머리고정대에 견고하게 끼워지게 함에 따라, 장시간 안전모를 착용하는 경우에도 클립과 머리커버의 전체 높이가 늘어나거나 높아지지 않게 되어 안전모를 장기간 사용에도 경우에도 머리받침밴드가 정수리에 집중하중을 가할 수 없게 되어 머리를 아프지 않게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이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을 나타내는 저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에 설치되는 안전모내피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설치되는 클립의 일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위 (가)(나)는 도 5에 도시된 클립을 머리고정대에 설치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의 (가)(나)는 도 4에 도시된 안전모내피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8의 (가)(나)는 본 발명에 설치되는 클립의 다른 예와, 그 다른 예의 클립을 이용한 안전모내피의 다른 설치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와 단면도.
도 9의 (가)(나)는 종래발명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안전모용 내피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8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머리커버(10)와 땀흡수대(20)가 별도로 설치된 것으로서, 머리커버(10)만 안전모(1)의 내측에 설치하여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안전모(1)의 머리받침밴드(4) 내측에는 머리의 상부를 감싸는 안전모내피(7)를 착탈가능하게 설치하되, 이 안전모내피(7)는 머리의 상부 전체면을 감싸는 직물지로 된 머리커버(10)와, 머리커버(10)의 외곽에 간격을 두고 설치된 상태에서 타측 자유단부가 안전모(1)의 안전모본체(2)의 내측 소정위치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수개의 클립(30)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때, 상기 클립(30)은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절곡고리부(33a)가 클립본체(31)의 1개만 설치된 것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곡고리부(33,33a)가 클립본체(31)의 상하부측에 2개가 설치된 것을 모두 적용할 수 있는데, 먼저 도 8에 도시된 클립(30)부터 설명하기로 한다.
절곡고리부(33a)가 클립본체(31)에 1개만 설치된 클립(30)은,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연질의 합성수지판으로 형성되어 구부려짐이 자유로운 클립본체(31)의 통공(34a)이 관통 형성되고, 통공(34a) 하부측의 클립본체(31) 외측에는 "ㄴ"자 형태로 전방으로 돌출되게 절곡 형성되는 절곡고리부(33a)의 수평부가 클립본체(31)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때, 도 8은 안전모를 거꾸로 도시하여 도면상의 상하위치가 바뀐 상태로 설명되어 있음을 밝혀두며, 절곡고리부(33,33a)가 클립본체(31)의 전방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됨에 따라 클립본체(31)의 전면과 절곡고리부(33,33a)의 내면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게 되며, 이 공간으로 머리고정대(6)나, 또는 밴드고정구(5)가 삽입되어 걸리게 되는 것이다.
도 1 및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수개의 절곡고리부(33a)가 이마높이에 밴드형으로 설치되는 머리고정대(6)나, 또는 안전모본체(2)의 내면에 형성된 걸림부(2a)에 끼워지는 밴드고정구(5)에 걸리도록 안전모내피(7)를 머리받침밴드(4) 내측에 설치하되, 머리받침밴드(4)의 중앙부 저면과 머리커버(10)의 중앙부 상면 사이에 소정의 간격(C)이 형성되도록 머리커버(10)가 머리받침밴드(4) 내측에 설치된다.
이때, 상기 머리받침밴드(4)는 도 1 및 도 3,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2cm내외의 폭을 가지는 합성섬유밴드의 양단부에 밴드고정구(5)가 설치되고, 이렇게 양단부에 밴드고정구(5)가 설치된 3줄의 머리받침밴드(4)가 120도 간격으로 안전모본체(2)의 내측에 교차되게 설치되는데, 이 머리받침밴드(4)를 구성하는 합성섬유밴드의 양단부에 설치된 밴드고정구(5)의 걸림구(5a)가 안전모본체(2)의 내면에 형성된 걸림부(2a)에 끼움식으로 설치된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곡고리부(33,33a)가 상하부에 설치된 클립(30)은, 하부측 통공(34a)의 상측에 형성되는 연결부(35)를 기준으로 클립본체(31)의 하부측 통공(34a)과 절곡고리부(33a)에 대칭되는 상부측 통공(34)과 절곡고리부(33)가 추가로 형성된 것이다.
이와 같이 전방으로 돌출되게 절곡고리부(33,33a)가 상하부에 설치된 클립(30)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마에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밴드형 머리고정대(6)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머리고정대(6)의 상하부를 상하부측 절곡고리부(33,33a)로서 끼우는 것이다.
위와 같이 안전모본체(2)의 머리받침밴드(4) 내측에 머리커버(10)를 설치한 뒤에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머리고정대(6)의 전방에 땀흡수대(20)를 별도로 착탈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다.
이는 머리고정대(6)의 전방에 개별적으로 설치되는 땀흡수대(20)의 전방 외측에는 머리고정대(6)에 착탈식으로 끼워지는 클립(30)이 설치되는데, 이 클립(3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곡고리부(33,33a)가 클립본체(31)의 상하부측에 형성되어 머리고정대(6)에 개별적으로 설치하는 땀흡수대(20)가 머리고정대(6)에서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하였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이실시예는 머리커버(10)의 전방측 단부에 땀흡수대(20)가 재봉으로 결합 설치된 것으로서, 머리커버(10)의 외곽과 땀흡수대(20)의 전방 외측에 클립(30)을 설치한 것이다.
이때, 머리커버(10)의 외곽에 설치하는 클립(3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곡고리부(33,33a)가 상하부에 형성된 것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곡고리부(33a)가 하부측에 1개만 형성된 것 모두를 적용 설치할 수 있으며, 땀흡수대(20)에 설치하는 클립(3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곡고리부(33,33a)가 상하부에 형성된 것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의 이실시예는 외곽에 수개의 클립(30)을 간격을 두고 설치한 상기 머리커버(10)의 전방측 단부에는 이마를 감싸는 땀흡수대(20)가 수직방향으로 연결 설치되며, 상기 땀흡수대(20)의 외측 전면에는 머리고정대(6)에 착탈식으로 끼워지는 클립(30)이 설치된다.
이때, 땀흡수대(20)에 설치되는 클립(30)은 연질합성수지재로 형성되는 클립본체(31)의 상하부에 통공(34,34a)이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상하부측 통공(34,34a)의 상하부측의 클립본체(31) 외측에는 상하부측 절곡고리부(33,33a)의 수평부가 클립본체(31)와 일체로 연결 형성되는 것이다.
위에서 설명한 일, 이실시예에 따른 안전모내피(7)에 포함되는 머리커버(10)는 모두 이음매가 없는 단일의 메쉬원단으로 형성하는데, 이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메쉬원단을 이음매가 없이 원형으로 절단하여 머리커버(10)를 형성함에 따라, 이 머리커버(10)는 평평한 한 장의 직물지가 된다.
이러한 한 장의 직물지로 된 머리커버(10)를 구비한 안전모내피(7)를 안전모본체(2)의 내측에 설치하였을 때, 안전모를 착용하기 전에는 머리커버(10)가 자중에 의해 완만한 호형상으로 처지게 되나, 안전모를 착용하게 되면 머리의 곡면을 따라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소폭 늘어나 둥근 머리의 상부를 전체적으로 감싸게 되고, 그로인하여 머리 상부 전체에 안전모의 무게가 분산되어 작용하게 되는 것이다.
도 4 및 도 7의 (나)에서는 땀흡수대(20)의 전방하측에 설치되는 클립(30)의 설치위치를 나타내고 있는데, 이는 땀흡수대(20)의 외측 하단부에 클립(30)의 상단부를 결합 설치하되, 이 클립(3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부측 절곡고리부(33,33a)가 마주보게 형성된 것을 설치한다.
이때, 땀흡수대(20)의 외측 하단부에 클립(30)의 상단부를 결합 설치한다는 것은, 도 5에 도시된 기준표시부(32)가 형성된 부분을 클립(30)의 상단부라고 칭하고 그 상단부를 땀흡수대(20)의 외측 하단부에 재봉으로 설치하되, 하부측 통공(34a)이 상측을 향하게 설치한다.
이는, 도 7의 (나)에서 보는 바와 같이 땀흡수대(20)의 외측 하단부에 클립(30)를 상향 설치하였을 때, 면직물과 같이 부드러운 재질로 형성하여 땀을 흡수하게 되는 땀흡수대(20)가 도 7의 (가)와 같이 머리커버(10) 측으로 넘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면 부호중 미설명부호 "3"은 완충재이고, "8"은 땀흡수대(20)와 클립(30)을 연결하는 연결부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발명의 작용관계를 도 1 내지 도 8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안전모(1)의 안전모본체(2) 내측에는 도 1, 3 및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안전모본체(2)의 내면에 형성된 6개의 걸림부(2a)에 머리받침밴드(4)의 양단부에 설치된 밴드고정구(5)의 걸림구(5a)가 끼움식으로 설치되어 3줄의 머리받침밴드(4)가 120도 간격으로 교차되게 설치되어 육각별(*) 모양으로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6개의 밴드고정구(5) 안쪽에 이마를 감싸는 밴드형 머리고정대(6)가 설치되는데, 이 머리고정대(6)의 외주면에는 밴드고정구(5)의 밴드걸림구멍(5b)에 끼워져 걸리는 걸림고리(미도시)가 형성되어서 머리고정대(6)를 밴드고정구(5)의 안쪽에 설치할 수 있다.
위에서 머리받침밴드(4)와 머리고정대(6)가 설치되는 것에 대하여 설명하였는데, 이는 공지된 것으로 일반적인 안전모에 머리받침밴드(4)와 머리고정대(6)가 설치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공지된 안전모(1)에 본 발명에 따른 안전모내피(7)를 설치하는데,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머리커버(10)와 땀흡수대(20)가 별도로 구성되어 개별적으로 설치되는 예부터 설명한다.
이때, 상기 머리커버(10)에 설치되는 클립(30)은 도 5와 같이 절곡고리부(33,33a)가 상하부에 마주보게 형성된 경우는 도 1 및 도 3에서보는 바와 같이 머리고정대(6)에 끼움식으로 설치되고, 도 8과 같이 절곡고리부(33a)가 1개만 설치된 경우는 안전모본체(2)의 내측에 형성된 걸림부(2a)에 끼워지는 밴드고정구(5)에 끼워지는 것이다.
먼저, 도 5와 같이 절곡고리부(33,33a)가 상하부에 마주보게 형성된 클립(30)을 머리고정대(6)에 끼우는 경우에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클립(30)의 상부측 절곡고리부(33)을 밴드형으로 형성된 머리고정대(6)의 상부에서 하부측으로 끼우면서 클립본체(31)를 둥글게 구부린다.
이때, 클립(30)은 연질 합성수지재로 형성되었고 상하부측 절곡고리부(33,33a)에 대응되는 클립본체(31)에 통공(34,34a)이 각각 형성되었기 때문에 구부림이 자유로워 둥글게 구부려지게 되며, 이렇게 클립본체(31)를 구부리면 하부측 절곡고리부(33a)의 수직부분은 처음에 수직상태로 위치하던 것이 수평하게 되어 그 수평해진 하부측 절곡고리부(33a)를 머리고정대(6)의 하부측에서 상측으로 끼울 수 있게 된다.
이렇게 하부측 절곡고리부(33a)를 머리고정대(6)의 하부측에서 상측으로 끼우게 되면, 연질합성수지재로 형성되어 소정의 자체탄성을 지닌 클립(30)이 원위치로 복귀되어 도 6의 (나)와 같이 상하부측 절곡고리부(33,33a)가 머리고정대(6)의 상하부에 끼워져서 클립(30)이 머리고정대(6)에 견고하게 끼워지게 되어 상하부 어느 쪽으로든 클립(30)이 빠지지 않게 된다.
위와 같이 클립(30)을 구부리면서 하부측 절곡고리부(33a)를 머리고정대(6)의 하부측으로 끼울 때, 상기 통공(34a)으로 손가락을 삽입시키면서 절곡고리부(33a)의 수직부분을 하측으로 더 기울여지게 하면 하부측 절곡고리부(33a)의 끼움작업이 더욱더 용이하다.
다음은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클립(30)에 1개의 절곡고리부(33a)가 형성된 경우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는 안전모본체(2)의 내부면에 형성된 걸림부(2a)에 밴드고정구(5)가 걸림구(5a)에 의해 끼워진 뒤에는 밴드고정구(5)가 끼워진 걸림부(2a) 후방측, 즉 안전모본체(2) 내면과 밴드고정구(5)의 외면 사이에 3mm 내외의 틈새가 생기게 되는데, 그 틈새로 클립(30)의 절곡고리부(33a)를 끼울 수 있게 된다.
위와 같이 도 5에 도시된 클립(30)이나, 도 8에 도시된 클립(30)을 머리고정대(6)나 밴드고정구(5) 후방으로 끼움에 따라 안전모내피(7)의 설치를 완료하게 되는데, 이 안전모내피(7)를 끼웠을 때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머리받침밴드(4)의 저면 중앙과 머리커버(10)의 상면 중앙의 사이에 소정의 간격(C)이 형성되게 된다.
이렇게 간격(C)이 형성되게 되는 것은 머리받침밴드(4)의 전체길이보다 클립(30)이 설치된 머리커버(10)의 길이를 짧게 제작 형성함에 따라 상기 간격(C)이 형성되게 되는 것이다.
위와 같이 형성되는 간격에 두고 안전모내피(7)가 설치된 안전모(1)를 머리에 착용하게 되면, 직물지로 된 머리커버(10)가 머리의 상부에 감싸는 형태로 얹히게 되는데, 이 머리커버(10)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음매가 없는 1장의 직물원단으로 제작되었기 때문에 머리커버(10)의 신축이 균일하여 머리곡면에 맞게 늘어나게 된다.
이 머리커버(10)는 직물지 자체가 늘어나는 정도가 한계가 있기 때문에 그 늘어나는 한계를 감안한 크기로 머리커버(10)를 제작하여 안전모(1)를 착용하였을 때, 머리커버(10)가 머리곡면에 맞게 늘어나지만 그 머리커버(10)의 중앙상부가 머리받침밴드(4)에는 접촉하지 않아서 안전모(1)의 무게가 머리커버(10) 전체에서 분산된 상태로 머리의 상부에 그 무게가 얹히게 된다.
따라서, 종래에 좁은 폭으로 형성된 밴드형 머리받침밴드(4)가 머리의 상부(정수리)에 안전모(1)의 무게가 집중되어 얹히는 것보다 머리를 압박하는 정도가 약하여 머리의 상부가 아프거나 강하게 눌리지 않아 편안한 착용감을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음은 땀흡수대(20)를 설치하는 것에 대한 설명인데, 이 경우는 도 1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하부측에 절곡고리부(33,33a)가 형성된 클립(30)을 이마높이에 설치된 머리고정대(6)에 끼움에 따라 땀흡수대(20)의 설치를 완료하게 되며, 이렇게 땀흡수대(20)를 설치하게 되면, 면직물과 같이 부드러우면서 땀흡수가 잘 되는 소재로 만든 땀흡수대(20)가 이마와 접촉하여 이마에 흐르는 땀을 흡수하고 부드러운 착용감을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이실시예의 경우는 머리커버(10)의 전방 단부에 땀흡수대(20)가 설치되어 있고, 그들 머리커버(10)에 2개의 절곡고리부(33,33a)가 형성된 클립(30)이나, 1개의 절곡고리부(33,33a)가 형성된 클립(30)이 설치되고, 땀흡수대(20)에는 2개의 절곡고리부(33,33a)가 형성된 클립(30)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위에서 각각의 클립(30)을 설치하는 것과 동일하게 머리커버(10)와 땀흡수대(20)가 일체로 형성된 안전모내피(7)를 안전모(1)의 내측에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이실시예의 경우도 위에서 설명한 머리커버(10)와 땀흡수대(20)가 개별적으로 설치되는 것과 동일한 작용과 효과를 발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7에 도시된 도면은 클립(30)이 땀흡수대(20)의 상부측에 하향 설치된 경우와 하부측에 상향 설치된 경우를 나타내는 것인데, 이는 도 7의 (가)와 같이 클립(30)이 땀흡수대(20)의 상부측에 하향 설치되면 면직물과 같이 부드러워 잘 구부려지는 땀흡수대(20)가 머리커버(10)측으로 넘어져서 안전모(1)를 착용할 때 땀흡수대(20)를 수직하게 내려서 착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위에서 땀흡수대(20)가 머리커버(10)측으로 넘어진다고 한 것은 안전모를 착용하기 위하여 안전모의 개방된 하부가 상측을 향하도록 잡을 때, 부들부들한 땀흡수대(20)가 수직하게 서있지 못하고 머리커버(10)측으로 구부려지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그런데, 도 7의 (나)와 같이 클립(30)이 땀흡수대(20)의 하단부에 상향 설치되게 되면, 머리커버(10)는 머리고정대(6)의 상부측에 클립(30)에 의해 설치되어 있고, 땀흡수대(20)는 하단부가 머리고정대(6)의 하부측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부드러운 면직물로 된 땀흡수대(20)도 넘어지지 않고 머리고정대(6)와 동일한 수직방향을 유지하여 안전모(1)를 머리에 착용할 때, 도 7의 (가)와 같이 넘어진 땀흡수대(20)를 수직하게 세워서 착용하야 하는 불편함이 생기지 않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성하는 머리커버(10)가 메쉬원단으로 제작 형성됨에 따라 머리에 통풍이 자유로워 답답함을 최소화하게 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1 : 안전모 2 : 안전모본체 3 : 완충재
4 : 머리받침밴드 5 : 밴드고정구 6 : 머리고정대
7 : 안전모내피 10 : 머리커버 20 : 땀흡수대
30 : 클립 31 : 클립본체 32 : 기준표시부
33 : 절곡고리부 34 : 통공 35 : 연결부

Claims (6)

  1. 안전모(1)의 머리받침밴드(4) 내측에는 머리의 상부를 감싸는 안전모내피(7)를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되, 이 안전모내피(7)는 머리의 상부 전체면을 감싸는 직물지로 된 머리커버(10)와, 머리커버(10)의 외곽에 간격을 두고 설치된 상태에서 타측 자유단부가 안전모본체(2)의 내측 소정위치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수개의 클립(30)으로 이루어지는 안전모용 내피에 있어서,
    상기 클립(30)은 연질의 합성수지판으로 형성되는 클립본체(31)에 통공(34a)이 관통 형성되고, 통공(34a) 하부측의 클립본체(31) 외측에는 "ㄴ"자 형태로 절곡 형성되는 절곡고리부(33a)가 돌출되게 형성되되, 이 절곡고리부(33a)의 수평부가 클립본체(31)와 일체로 연결 형성되며,
    상기 수개의 절곡고리부(33a)가 이마높이에 밴드형으로 설치되는 머리고정대(6)나, 또는 안전모본체(2)의 내면에 형성된 걸림부(2a)에 끼워지는 밴드고정구(5)에 걸리도록 안전모내피(7)를 머리받침밴드(4) 내측에 설치하되, 머리받침밴드(4)의 중앙부 저면과 머리커버(10)의 중앙부 상면 사이에 소정의 간격(C)이 형성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모용 내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30)은 하부측 통공(34a)의 상측에 상부측 통공(34)이 형성되고, 이 통공(34) 상부측의 클립본체(31) 외측에는 절곡고리부(33)가 돌출되게 형성되되, 이 절곡고리부(33)의 수평부가 클립본체(31)와 일체로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모용 내피.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커버(10)의 전방측 단부에는 이마를 감싸는 땀흡수대(20)가 수직방향으로 연결 설치되며,
    상기 땀흡수대(20)의 외측 전면에는 머리고정대(6)에 착탈식으로 끼워지는 클립(30)을 설치하되, 상기 클립(30)은 연질합성수지재로 형성되는 클립본체(31)의 상하부에 통공(34,34a)이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상하부측 통공(34,34a)의 상하부측의 클립본체(31) 외측에는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상하부측 절곡고리부(33,33a)의 수평부가 클립본체(31)와 일체로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모용 내피.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고정대(6)의 전방에는 전방에 머리고정대(6)에 착탈식으로 끼워지는 클립(30)이 설치된 땀흡수대(20)가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되, 이 클립(30)은 연질합성수지재로 형성되는 클립본체(31)의 상하부에 통공(34,34a)이 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상하부측 통공(34,34a)의 상하부측의 클립본체(31) 외측에는 전방으로 돌출 형성된 상하부측 절곡고리부(33,33a)의 수평부가 클립본체(31)와 일체로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모용 내피.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땀흡수대(20)의 외측 하단부에 클립(30)의 상단부가 결합 설치되되, 하부측 통공(34a)이 상측을 향하도록 클립(30)이 상향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모용 내피.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커버(10)은 이음매가 없는 단일의 메쉬원단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모용 내피.
KR1020120044776A 2012-04-27 2012-04-27 안전모용 내피 KR1012903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4776A KR101290323B1 (ko) 2012-04-27 2012-04-27 안전모용 내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4776A KR101290323B1 (ko) 2012-04-27 2012-04-27 안전모용 내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9470A KR20120059470A (ko) 2012-06-08
KR101290323B1 true KR101290323B1 (ko) 2013-07-26

Family

ID=466107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4776A KR101290323B1 (ko) 2012-04-27 2012-04-27 안전모용 내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0323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7416B1 (ko) 2015-11-24 2016-08-10 (주) 성일앤풍아산업 개량 안전모
KR20170014314A (ko) 2015-07-29 2017-02-08 곽경환 안전모용 땀받이
KR20180030795A (ko) 2018-02-21 2018-03-26 이삼준 안전모용 머리지지패드
GB2573749A (en) * 2018-05-08 2019-11-20 Giles Paul A protective apparatus
KR102111674B1 (ko) 2018-11-20 2020-05-15 주식회사 하다텍 안전모 내피 및 이를 구비한 안전모
KR102390769B1 (ko) 2020-10-28 2022-04-25 김영수 헬멧용 머리 지지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9141Y1 (ko) * 2015-06-17 2015-12-23 안훈 안전모
CN107432521A (zh) * 2017-08-31 2017-12-05 杨吉兰 一种运动头盔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5902Y1 (ko) 2006-04-12 2006-09-08 이상은 군 방탄모용 머리보호대
JP3975369B2 (ja) * 1997-05-13 2007-09-12 ディックプラスチック株式会社 保安用ヘルメット
KR100925855B1 (ko) 2009-02-13 2009-11-06 박장호 방탄모 및 안전모 겸용 내피
JP2011246860A (ja) 2010-05-28 2011-12-08 Yamamoto Kogaku Co Ltd ヘルメットの保護具用クリップ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75369B2 (ja) * 1997-05-13 2007-09-12 ディックプラスチック株式会社 保安用ヘルメット
KR200425902Y1 (ko) 2006-04-12 2006-09-08 이상은 군 방탄모용 머리보호대
KR100925855B1 (ko) 2009-02-13 2009-11-06 박장호 방탄모 및 안전모 겸용 내피
JP2011246860A (ja) 2010-05-28 2011-12-08 Yamamoto Kogaku Co Ltd ヘルメットの保護具用クリップ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4314A (ko) 2015-07-29 2017-02-08 곽경환 안전모용 땀받이
KR101647416B1 (ko) 2015-11-24 2016-08-10 (주) 성일앤풍아산업 개량 안전모
KR20180030795A (ko) 2018-02-21 2018-03-26 이삼준 안전모용 머리지지패드
GB2573749A (en) * 2018-05-08 2019-11-20 Giles Paul A protective apparatus
KR102111674B1 (ko) 2018-11-20 2020-05-15 주식회사 하다텍 안전모 내피 및 이를 구비한 안전모
KR102390769B1 (ko) 2020-10-28 2022-04-25 김영수 헬멧용 머리 지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9470A (ko) 2012-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0323B1 (ko) 안전모용 내피
US8402564B2 (en) Adjustable hat
AU2013209080B2 (en) Protective helmet and support portion for said protective helmet
KR102142990B1 (ko) 가변형 헬멧
US20140310857A1 (en) Helmet with fire resistant safety shock absorbent chinstrap and a fire resistant safety shock absorbent chinstrap
US20050223474A1 (en) Elastic headwear
US7213270B2 (en) Headband with inserted lining tape for headwear
KR100925855B1 (ko) 방탄모 및 안전모 겸용 내피
US7039957B2 (en) Cap with tunnel shape band
KR100691901B1 (ko) 크라운 형태를 유지해주는 모자
JP2009120983A (ja) 乗車用および作業用ヘルメット
KR200471913Y1 (ko) 탈 부착용 헤어밴드커버를 갖는 모자
US20180064194A1 (en) Wig Cap
KR20220061818A (ko) 얼굴 햇빛 차단용 후드
KR200462737Y1 (ko) 안전모용 머리받침 내피
KR200469566Y1 (ko) 마스크 일체형 편직 모자
KR102409682B1 (ko) 신축성이 있는 땀밴드가 구비된 모자
KR200444807Y1 (ko) 안전모용 머리받침 내피
KR200455017Y1 (ko) 안전모용 머리받침 내피
JP3212618U (ja) 帽子用吸汗パッド
KR20110010974A (ko) 투명 턱끈을 갖는 안전모
JP2009030212A (ja) 滑り止め付き内帽子と蒸れ防止メッシュ二重帽子
KR100873002B1 (ko) 착용감을 개선시키는 모자용 탄성밴드 및 그 탄성밴드를사용한 모자
JP3169206U (ja) 帽子用衝撃緩和インナー
RU118520U1 (ru) Внутренняя оснастка защитной каск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