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0974A - 투명 턱끈을 갖는 안전모 - Google Patents

투명 턱끈을 갖는 안전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0974A
KR20110010974A KR1020090068373A KR20090068373A KR20110010974A KR 20110010974 A KR20110010974 A KR 20110010974A KR 1020090068373 A KR1020090068373 A KR 1020090068373A KR 20090068373 A KR20090068373 A KR 20090068373A KR 20110010974 A KR20110010974 A KR 201100109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in strap
transparent
strap
helmet
hard h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83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수은
Original Assignee
서수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수은 filed Critical 서수은
Priority to KR10200900683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10974A/ko
Publication of KR201100109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09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8Chin straps or similar retention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0Linings
    • A42B3/14Suspension devices
    • A42B3/142Suspension devices with restraining or stabilizing means, e.g. nape strap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28Ventilating arrangements
    • A42B3/281Air ducting systems
    • A42B3/283Air inlets or outlets, with or without closure shutters

Landscapes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전모를 착용하게 되더라도 얼굴의 검게 그을리는 피부 농도가 균일하게 되는 투명 턱끈을 갖는 안전모에 관한 것으로, 반구 형상으로 된 모체와 상기 모체에 고정되는 헤드밴드와 상기 헤드밴드에 고정되는 머리받침부재를 포함하는 안전모로서, 상기 모체의 아래쪽으로 연결되는 투명한 턱끈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안전모에 연결되는 턱끈이 투명하게 이루어져 있어 햇빛에 의해 얼굴 부위가 전체적으로 검게 그을리게 되고, 이에 따라 턱끈에 의해 얼굴의 피부 농도가 달라지지 않게 되어 작업자의 안전모 착용을 보다 높일 수 있게 되며, 특히 젊은 근로자들에게 안전모 착용의 기피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안전모, 턱끈, 모체, 폴리우레탄, 실리콘

Description

투명 턱끈을 갖는 안전모{Safety Helmet with Chin Strap}
본 발명은 투명 턱끈을 갖는 안전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산업현장 등에서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머리에 착용하는 투명 턱끈을 갖는 안전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전모는 각종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는 건설현장 등에서 작업자의 머리를 보호하기 위하여 의무적으로 착용하도록 되어 있다.
종래의 안전모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낙하물이나 구조물과의 충돌 시 그 충격으로부터 머리를 보호해주는 경질의 모체(11), 단열·방음 및 완충 성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상기 모체(11)의 내측에 부착된 완충용 내피(17), 상기 모체(11) 내부에 결합되어 착용자의 머리에 상기 모체(11)가 정착될 수 있도록 정수리 및 머리 둘레를 감싸주는 헤드밴드(20), 상기 헤드밴드(20)에 결합되어 착용자의 얼굴과 턱 부위를 감싸며 밀착됨에 의해 착용자의 머리로부터 모체가 벗겨지지 않도록 고정시켜주는 턱끈(25)을 포함하는 구조를 이룬다.
상기 모체(11) 둘레에는 챙(11a)이 형성되고, 그 내부를 가로질러 상기 완충 용 내피(17)와 소정의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지탱해주는 이격지지밴드(Support Band)(18)가 고정되며, 상기 이격지지밴드(18)에 의해 지지된 채로 상기 헤드밴드(20)가 상기 모체(11)의 내측 둘레에 결합된다.
상기 헤드밴드(20)는 상기 모체(11)의 내측 둘레에 설치되어 착용자의 머리 둘레에 밀착되는 링형의 헤드홀딩밴드(Head Holding Band)(21), 밴드연결구(Band Coupler)(23)를 매개로 상기 헤드홀딩밴드(21)에 고정되어 착용자 머리의 정수리를 감싸주는 오버헤드밴드(Overhead Band)(22), 상기 헤드홀딩밴드(21)의 후위에 고정되어 착용자의 후두부를 감싸며 상기 헤드밴드(20)가 착용자의 머리에 밀착되도록 죄어주는 밴드텐셔너(Band Tensioner)(미도시됨)를 포함하는 구조로 되어있다.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안전모의 모체(11)와 헤드밴드(20)간의 결합구조는 어느 한쪽 부재에 형성된 후크 또는 체결공, 이에 대응되는 1조 형태의 체결공 또는 후크가 나머지 한쪽 부재에 각각 형성되어 상호 결속 및 분리조작에 의해 탈착 가능하도록 된 것으로서, 상기 모체(11)와 헤드밴드(20)가 매우 약한 정도의 결속상태로 결합된 구조를 이루고 있다.
그리고 상기 모체(11)에 취약하게 결합된 헤드밴드(20)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턱끈(25)이 고정된다. 즉, 상기 헤드밴드(20)와 턱끈(25)의 결합구조는 상기 헤드홀딩밴드(21)의 외주 상에 형성된 다수의 체결돌기 또는 체결공, 이에 대응되는 1조 형태의 체결공 또는 체결돌기가 상기 턱끈(25)의 일단에 각각 형성되어 상호 결속 및 분리조작에 의해 탈착 가능하도록 된 것으로서, 상기 헤드밴드(20)와 턱끈(25)도 역시 매우 약한 정도의 결속상태로 결합된 구조를 이루고 있다.
이와 같은 안전모에는 턱끈이 필수적으로 구비되는데, 턱끈은 안전모가 착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하여 그 재질을 직물 등의 재질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직물로 된 턱끈은 강도를 가짐으로써 안전모를 안정되게 착용할 수 있는 이점은 있으나, 외부에 노출된 건설 현장이나 작업 현장 등에서 안전모를 착용하게 되면 턱끈이 접촉되는 얼굴의 볼 또는 귀 둘레의 피부가 검게 그을리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얼굴의 볼 또는 귀 둘레에는 턱끈이 햇빛을 차단하게 되고, 턱끈으로 가려지지 않은 얼굴 부위는 피부가 햇빛에 의해 검게 그을리게 된다.
이와 같이 안전모를 착용함에 따라 얼굴의 피부 농도가 달라지게 되어 건설 현장이나 작업 현장 등에서 20~30대의 젊은 근로자들이 안전모 착용을 기피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안전모를 착용하게 되더라도 얼굴의 검게 그을리는 피부 농도가 균일하게 되는 투명 턱끈을 갖는 안전모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안전모용 턱끈을 투명하게 하여 턱끈과 접촉되는 얼굴 부위가 검게 그을리게 함은 물론 안전모 착용에 필요한 강도를 갖는 투명 턱끈을 갖는 안전모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투명 턱끈을 갖는 언전모는 반구 형상으로 된 모체와 상기 모체에 고정되는 헤드밴드와 상기 헤드밴드에 고정되는 머리받침부재를 포함하는 안전모로서, 상기 모체의 아래쪽으로 연결되는 투명한 턱끈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턱끈은 일정 두께와 폭을 가지며, 상기 폭을 중심으로 하여 여러 번 겹치게 감아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턱끈은 여러 번 겹치게 접어진 상태에서 그 외면을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턱끈은 폴리우레탄 또는 실리콘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체에는 공기가 유입되는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모체의 정면과 배면 또는 좌우 측면 또는 상기 모체의 상측에 돌출된 부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안전모에 연결되는 턱끈이 투명하게 이루어져 있어 햇빛에 의해 얼굴 부위가 전체적으로 검게 그을리게 되고, 이에 따라 턱끈에 의해 얼굴의 피부 농도가 달라지지 않게 되어 작업자의 안전모 착용을 보다 높일 수 있게 되며, 특히 젊은 근로자들에게 안전모 착용의 기피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은 안전모에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어 통풍이 이루어지므로 땀의 배출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여름철 또는 온도가 높은 작업 현장 등 장소에 구애됨이 없이 사용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의 투명 턱끈을 갖는 안전모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3은 본 발명의 안전모에 결합된 투명 턱끈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4는 본 발명의 안전모에 결합된 투명 턱끈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2 내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안전모(100)에는 반구 형상으로 이루어진 모체(110), 모체(110) 내부의 테두리에 고정되는 헤드밴드(도면상 미 도시됨), 상기 헤드밴드에 고정되는 머리받침부재(도면상 미도시됨) 및 착용자의 턱 밑을 지나는 턱끈(150)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상기 모체(110)에는 다수의 구멍(111)이 형성되는데, 구멍(111)은 모체(110)의 좌우 양측 및 정면과 배면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들 구멍(111)은 안전모(100) 내부에 공기가 유입되어 통풍이 이루어지게 되고, 구멍(111)이 안전모(100)의 네 방향에 형성되어 있어 공기 통풍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되며, 안전모(100) 착용으로 배출되는 땀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멍(111)은 필요에 따라 정면과 배면, 좌측과 우측 어느 한 곳에 형성되거나 모체(110)의 상측으로 돌출된 부분에 일직선상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아울러 헤드밴드 및 머리받침부재는 통상의 것을 사용하므로, 본 발명에서는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턱끈(150)은 모체(110) 아래쪽으로 늘어지도록 고정되는 것으로, 모체(110) 내측에 직접 고정될 수도 있고, 모체(110)에 고정되어 있는 연결끈(152)에 조립될 수도 있다.
즉, 턱끈(150)은 모체(110)에 고정되어 있는 연결끈(152)과 일체로 조립되므로, 본 발명에서는 연결끈(152)을 포함하여 일체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턱끈(150)은 폴리우레탄 또는 실리콘 등의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햇빛을 차단하지 않는 것이면 족하다.
아울러 턱끈(150)은 안전모(100)에 가해지는 충격의 정도에 따라 적정 강도까지는 파단 되지 않고, 적정 강도 이상에서는 파단 되는 강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 하다.
상기 턱끈(150)의 강도가 적정 강도 이하이면, 안전모(100) 외부로부터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안전모(100)의 착용 상태를 유지할 수 없어 안전모(100) 착용에 의한 방호 효과를 얻을 수 없게 된다.
또 턱끈(150)의 강도가 적정 강도 이상이면, 안전모(100) 외부로부터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안전모(100)의 턱끈(150)이 착용자의 목을 조이거나 가압하게 됨으로써 착용자가 압사(壓死) 되는 안전사고의 우려가 있게 된다.
또한 턱끈(150)은 폴리우레탄 또는 실리콘 등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므로 적정 강도를 가져야 되는데, 충분한 강도를 갖도록 하기 위하여 다수 겹쳐 줌으로써 충분한 강도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즉, 턱끈(150)은 도4a에서와 같이 일정 두께와 폭을 가지며, 폭을 중심으로 여러 번 겹치게 감아줌으로써 그 강도를 높이거나 도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러 번 겹치게 접어줌으로써 턱끈(150)에 요구되는 강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이때 도4b에서와 같이, 턱끈(150)에는 접힌 부위가 벌어지지 않도록 그 외부를 동일한 재질 또는 투명한 다른 재질로 감싸 주어도 무방하다.
아울러 턱끈(150)에는 좌우 양측으로 분리되어 있는 턱끈(150)을 조이기 위한 클립 등과 같은 연결부재(151)가 마련되어 있으며, 작업자가 턱끈(15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투명 턱끈을 갖는 안전모(100)는 작 업자가 공사 현장, 건설 현장 등에서 물체의 낙하, 비래 또는 추락에 의한 위험을 방지 또는 경감하거나 감전에 의한 위험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착용하게 된다.
이때 작업자는 안전모(100)에 고정되어 있는 턱끈(150)을 이용하여 머리에 안전모(100)를 착용하게 되며, 턱끈(150)의 길이를 조절함은 물론 연결부재(151)를 이용하여 안전모(100)가 착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턱끈(150)을 연결하게 된다.
이렇게 작업자가 안전모(100)를 착용한 상태에서 작업을 진행하게 되며, 작업자의 얼굴에는 햇빛이 비추게 되고, 이에 따라 햇빛에 얼굴이 노출되는 정도에 따라 검게 그을리게 된다.
이때 안전모(100)의 턱끈(150)은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져 있어 햇빛이 턱끈(150)에 의해 차단되지 않고, 턱끈(150)과 접촉된 얼굴 부위에도 햇빛을 받게 되어 검게 그을리게 된다.
이에 따라 작업자의 얼굴 부위가 전체적으로 그을리게 되어 안전모(100) 착용에 따라 얼굴의 그을리는 부위가 없게 되어 젊은 근로자들에게 안전모 착용에 따른 기피 현상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작업자는 안전모(100)를 지속적으로 착용할 수 있게 되어 건설 현장이나 작업 현장 등에서 발생되는 안전사고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안전모(100)에는 다수의 구멍(111)이 형성되어 있어 모체(110)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어 통풍이 이루어지므로 여름철 또는 온도가 높은 작업 현장 등에서 안전모(100) 착용으로 인한 머리에서 발생되는 땀의 배출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안전모뿐만 아니라 끈이나 밴드 등에 의해 일부분을 보이고자 하는 데에도 적용할 수 있다.
도1은 종래의 안전모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투명 턱끈을 갖는 안전모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안전모에 결합된 투명 턱끈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안전모에 결합된 투명 턱끈을 도시한 단면도로써,
도4a는 턱끈의 폭을 중심으로 겹쳐진 단면도이고,
도4b는 턱끈이 여러 겹 중첩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안전모 110: 모체
111: 구멍 120: 헤드밴드
130: 머리받침부재 150: 턱끈
151: 연결부재 160: 연결끈

Claims (5)

  1. 반구 형상으로 된 모체와 상기 모체에 고정되는 헤드밴드와 상기 헤드밴드에 고정되는 머리받침부재를 포함하는 안전모로서,
    상기 모체의 아래쪽으로 연결되는 투명한 턱끈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턱끈을 갖는 안전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턱끈은 일정 두께와 폭을 가지며, 상기 폭을 중심으로 하여 여러 번 겹치게 감아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턱끈을 갖는 안전모.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턱끈은 여러 번 겹치게 접어진 상태에서 그 외면을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턱끈을 갖는 안전모.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턱끈은 폴리우레탄 또는 실리콘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턱끈을 갖는 안전모.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체에는 공기가 유입되는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구멍은 상기 모체의 정면과 배면 또는 좌우 측면 또는 상기 모체의 상측에 돌출된 부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턱끈을 갖는 안전모.
KR1020090068373A 2009-07-27 2009-07-27 투명 턱끈을 갖는 안전모 KR2011001097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8373A KR20110010974A (ko) 2009-07-27 2009-07-27 투명 턱끈을 갖는 안전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8373A KR20110010974A (ko) 2009-07-27 2009-07-27 투명 턱끈을 갖는 안전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0974A true KR20110010974A (ko) 2011-02-08

Family

ID=43771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8373A KR20110010974A (ko) 2009-07-27 2009-07-27 투명 턱끈을 갖는 안전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1097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99674A (zh) * 2012-03-23 2012-07-25 上海工程技术大学 一种防护帽
CN110613202A (zh) * 2018-06-18 2019-12-27 贝尔运动股份有限公司 骑行头盔配合系统的延伸连接器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99674A (zh) * 2012-03-23 2012-07-25 上海工程技术大学 一种防护帽
CN102599674B (zh) * 2012-03-23 2014-07-09 上海工程技术大学 一种防护帽
CN110613202A (zh) * 2018-06-18 2019-12-27 贝尔运动股份有限公司 骑行头盔配合系统的延伸连接器
CN110613202B (zh) * 2018-06-18 2022-08-16 贝尔运动股份有限公司 骑行头盔配合系统的延伸连接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75469B2 (en) Adjustable hat
UA108651C2 (uk) Внутрішнє пристосування для захисного шолома, зокрема для робітників лісового господарства
US11666112B2 (en) Headborne attachment platform including system, devices and methods
KR101290323B1 (ko) 안전모용 내피
KR100925855B1 (ko) 방탄모 및 안전모 겸용 내피
KR20110010974A (ko) 투명 턱끈을 갖는 안전모
US3613113A (en) Protective helmet
CN209933171U (zh) 一种头带以及应用所述头带的焊接面罩
CN210301403U (zh) 一种焊接面罩
KR101397142B1 (ko) 안전모
KR200462737Y1 (ko) 안전모용 머리받침 내피
KR200430641Y1 (ko) 안전모
KR200444807Y1 (ko) 안전모용 머리받침 내피
KR200467724Y1 (ko) 안전모 방한대
KR100920307B1 (ko) 안전모
KR200479141Y1 (ko) 안전모
KR200455017Y1 (ko) 안전모용 머리받침 내피
SU1475575A1 (ru) Защитный головной убор
CN219578363U (zh) 安全帽
JP3114670U (ja) ヘルメットの内装具
KR200264552Y1 (ko) 안전모 또는 헬멧용 머리 보호대 겸 땀받이
CN209449738U (zh) 透气安全帽
KR101093078B1 (ko) 안전모
CN219661031U (zh) 一种下颏带透气型安全帽
JP2019108621A (ja) 作業用ヘルメ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