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2737Y1 - 안전모용 머리받침 내피 - Google Patents

안전모용 머리받침 내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2737Y1
KR200462737Y1 KR2020110004364U KR20110004364U KR200462737Y1 KR 200462737 Y1 KR200462737 Y1 KR 200462737Y1 KR 2020110004364 U KR2020110004364 U KR 2020110004364U KR 20110004364 U KR20110004364 U KR 20110004364U KR 200462737 Y1 KR200462737 Y1 KR 20046273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ehead
head
headrest
fixing band
sweatshi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43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화진
Original Assignee
정종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종오 filed Critical 정종오
Priority to KR20201100043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273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27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273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0Linings
    • A42B3/12Cushioning devices
    • A42B3/125Cushioning devices with a padded structure, e.g. foam
    • A42B3/127Cushioning devices with a padded structure, e.g. foam with removable or adjustable pad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28Ventilating arrangements
    • A42B3/281Air ducting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CMANUFACTURING OR TRIMMING HEAD COVERINGS, e.g. HATS
    • A42C5/00Fittings or trimmings for hats, e.g. hat-bands
    • A42C5/02Sweat-bands

Landscapes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모시와 같은 천연섬유를 이용하며, 만곡형상으로 형성되는 머리받침부; 머리받침부의 전면에 형성되는 이마땀받이부; 및 머리받침부의 후면에 형성하며, 안전모 내부에 위치한 머리고정밴드의 길이 가변에 따라 두부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탄성부;를 포함하며, 이마땀받이부는 일부가 접혀 머리고정밴드의 외측면에 맞닿는 이마땀받이부 외측; 이마땀받이부 외측의 반대면에 형성되며, 이마에 맞닿는 이마땀받이부 내측; 및 머리고정밴드와 맞닿는 이마땀받이부 외측 하부에 형성되며, 머리고정밴드를 고정하는 클립이 관통되어 결합되는 클립삽입홀이 형성되는 고정부;를 구현한 바, 머리받침밴드가 머리를 눌러 압박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안전모 착용으로 인한 두피 통증 및 압박을 완화시키고, 통풍이 잘되므로 높은 온도의 환경에서 작업하는 사용자의 두피에서 땀을 적게 발생시키며, 안전모에 결합시 결합시간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안전모용 머리받침 내피{Inner layer of safety cap}
본 고안은 안전모 내측의 머리받침밴드에 체결되어 얼굴로 땀이 흘러내리거나 머리받침밴드에 의해 머리카락이 눌려 줄무늬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안전모용 머리받침 내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머리받침 내피를 보다 편리하게 머리받침밴드에 체결할 수 있도록 하는 안전모용 머리받침 내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공사장의 작업현장이나 건설현장 또는 소방현장 등과 같이 위험 부담이 항시적으로 노출되어 있는 곳에서는 작업자들의 안전을 도모하기 위해서 안전모를 착용하도록 하고 있고, 또한 군인들이나 레저활동 중에도 각종 안전모를 착용하도록 하고 있는데, 이러한 안전모는 주로 착용자의 머리부위를 외부 충격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하여 인사사고 등과 같은 대형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안전모는 작업자가 이를 용이하게 착용한 상태에서 작업에 불편함을 주지 않도록 하기 위해 비교적 경량성을 갖도록 제작하게 됨과 아울러, 우수한 강도를 지니도록 하여 외부 충격으로부터 작업자의 머리부위를 충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은, 안전모는 착용자의 머리부위를 덮어 외부 충격으로부터 머리를 보호할 수 있도록 높은 강도의 재질로 이루어진 반구형상의 안전모 외피, 안전모 외피의 안쪽으로 내장되어 안전모 외피를 착용하였을 때 안전모 외피가 직접 머리에 닿지 않고 그 중량을 분산시키면서 착용자의 머리에 고정할 수 있도록 된 머리받침띠, 머리받침띠의 하단에 고정되면서 원형으로 형성되어 머리둘레를 감싸 머리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그 직경을 조절할 수 있도록 된 머리고정띠, 그리고 안전모의 착용상태를 보다 견고히 유지시켜 주기 위한 턱끈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머리받침띠는 밴드형의 합성수지재 또는 직물을 방사형으로 교차시켜 반구형을 이루도록 함과 아울러 그 끝단을 머리둘레를 감싸는 원형의 머리고정띠에 결합시킨 구조로 이루어져 안전모를 머리에 착용하였을때 안전모의 무게에 의하여 머리받침띠가 머리카락을 누르게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장시간 안전모를 착용하였다가 벗게 되면 머리카락은 머리받침띠에 의해 눌려진 상태의 골이 형성되어 미관상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주로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머리받침띠 및 머리고정띠는 머리에서 흐르는 땀을 흡수하지 못하여 얼굴로 흘러내리게 되어 작업상 불편하였다. 그리고, 직물로 이루어진 머리받침띠는 충분히 땀을 흡수하지도 못하지만 세척이 곤란하여 장기간 사용하는 경우 땀이 배어 불결하게 될 뿐만 아니라 여러 사람이 사용할 경우 더더욱 불쾌감을 느끼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하여 2003년 9월 23일자로 등록공고된 실용신안등록 제20-0327892호에는 머리받침띠에 의해 머리카락이 눌려 자국이 남는 것을 방지하고 땀을 흡수할 수 있도록 된 내피를 안전모 외피의 내측에 착탈가능하게 결합하여 사용하도록 된 방탄 헬멧용 내피에 관한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앞서 설명한, 등록실용신안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구형 부유대(12)의 테두리부(12a)에 고정되는 머리고정띠(14)상에 설치되어 머리보호 및 이마의 땀을 흡수하는 방탄 헬멧(10)의 내피(20)를 구성함에 있어서, 머리가 닿는 면이 머리와 면접촉상태가 될 수 있도록 전체적으로 유선형으로 이루어지고, 그 가장자리측에 반구형 부유대(12)의 테두리부(12a)에 걸쳐지도록 정착돌부(21)가 형성된 머리보호부(22)와; 머리보호부(22)의 전방에 각각 독립적으로 다수 재봉되고, 반구형 부유대(12)의 테두리부(12a)와 머리고정띠(14)의 사이공간에 끼워지면서 그 머리고정띠(14)에 걸쳐지도록 길이가 서로 다른 정착편(24a)과; 독립상태의 정착편(24a)과 정착편(24a) 사이에 형성되어 외부의 공기의 통풍흐름을 용이하게 하는 통풍 공간부(27);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장변 정착편(24a)상에는 어떤 외압이 가해지지 않는 한 머리고정띠(14)상에 서로 간섭상태가 유지되어 정착하는 딱딱한 재질의 간섭편(26a)이 구비되어 있으며, 반구형 부유대(12)의 내측 테두리에는 사용자의 머리 크기에 따라 착용상태를 조절할 수 있는 머리고정띠(14)가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고정클립(15)에 의해 고정 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조의 내피(20)는 길이가 서로 다른 정착편(24a)을 반구형 부유대(12)의 테두리부(12a)와 머리고정띠(14)의 사이공간에 끼워지면서 그 머리고정띠(14)에 걸쳐지도록 결합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구조가 복잡하고 체결이 불편하였을 뿐만 아니라, 반 구형으로 이루어진 머리보호부(22)는 머리고정띠(14)의 직경을 줄였을 때 접힘이 발생하여 머리보호부(22)가 머리에 접촉하였을때 접힘부위가 머리를 눌러 불편함을 초래하였다.
본 고안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머리받침밴드가 머리를 눌러 압박하지 않도록 하고, 통풍이 잘되며, 안전모에 결합시 결합시간을 줄일 수 있는 안전모용 머리받침 내피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모시와 같은 천연섬유를 이용하며, 만곡형상으로 형성되는 머리받침부; 머리받침부의 전면에 형성되는 이마땀받이부; 및 머리받침부의 후면에 형성하며, 안전모 내부에 위치한 머리고정밴드의 길이 가변에 따라 두부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탄성부;를 포함하며, 이마땀받이부는 일부가 접혀 머리고정밴드의 외측면에 맞닿는 이마땀받이부 외측; 이마땀받이부 외측의 반대면에 형성되며, 이마에 맞닿는 이마땀받이부 내측; 및 머리고정밴드와 맞닿는 이마땀받이부 외측 하부에 형성되며, 머리고정밴드를 고정하는 클립이 관통되어 결합되는 클립삽입홀이 형성되는 고정부;를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머리받침밴드가 머리를 눌러 압박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안전모 착용으로 인한 두피 통증 및 압박을 완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통풍이 잘되므로 높은 온도의 환경에서 작업하는 사용자의 두피에서 땀을 적게 발생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안전모에 결합시 결합시간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안전모용 머리받침 내피의 종래 기술에 대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안전모용 머리받침 내피를 안전모에 결합하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은 안전모용 머리받침 내피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7은 안전모용 머리받침 내피가 안전모에 결합된 투영사시도이다.
도 8은 안전모용 머리받침 내피가 안전모에 결합된 배면사시도이다.
도 9a는 안전모용 머리받침 내피와 머리고정밴드가 결합된 사시도이다.
도 9b은 도 9a에 대한 A-A 방향의 단면도이다.
본 고안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 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고안의 안전모용 머리받침 내피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안전모용 머리받침 내피를 안전모에 결합하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3 내지 도 6은 안전모용 머리받침 내피에 대한 사시도이며, 도 7은 안전모용 머리받침 내피가 안전모에 결합된 투영사시도이며, 도 8은 안전모용 머리받침 내피가 안전모에 결합된 배면사시도이며, 도 9a는 안전모용 머리받침 내피와 머리고정밴드가 결합된 사시도와 결합단면도이며, 도 9b는 도 9에 대한 A-A 방향의 단면도이다.
안전모용 머리받침 내피(100)는 머리받침부(110), 이마땀받이부(120) 및 탄성부(130)를 포함한다.
머리받침부(110)는 모시와 같은 천연섬유를 이용하며, 만곡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이와 같은 머리받침부(110)의 외면은 안전모(200)의 머리받침밴드(210)에 맞닿고 내면은 안전모(200)를 착모하는 사용자의 두피에 맞닿아 사용자의 두피가 머리받침밴드(210)에 눌려서 발생하는 통증 및 압박을 완화시킨다.
또한, 머리받침부(110)를 모시와 같은 천연섬유로 제작하여 공기소통을 원활하게 함으로써, 높은 온도의 환경에서 작업하는 사용자의 두피에서 땀을 적게 발생시키고 통풍이 잘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두피를 건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마땀받이부(120)는 머리받침부(110)의 전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이와 같은, 이마땀받이부(120)는 머리받침부(110) 전면의 가장자리와 접하는 부분만 봉제된다. 이러한, 이마땀받이부(120)는 이마땀받이부 외측(121), 이마땀받이부 내측(122) 및 고정부(123)를 포함한다.
이마땀받이부 외측(121)은 이마땀받이부(120)의 일부가 접혀 머리고정밴드(220)의 외측면에 맞닿는 것으로, 이와 같은, 이마땀받이부 외측(121)의 다른 일부는 머리고정밴드(220)의 내측면에 맞닿는다. 따라서, 이마땀받이부 외측(121)은 머리고정밴드(220)를 감싸며 접히게 된다.
이와 같이, 이마땀받이부 외측(121)의 일부가 접혀서 머리고정밴드(220)의 외측면 방향으로 접히는 것은 후술할 고정부(123)를 통해 이마땀받이부(120)가 머리고정밴드(220)에 고정되기 위함이다.
이마땀받이부 내측(122)은 머리받침부(110)의 전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사용자의 이마에 맞닿아 사용자가 작업중 두피 또는 이마에서 발생하는 땀이 흡수된다. 넓이 크기로 형성되며 땀을 잘 흡수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된다.
고정부(123)는 머리고정밴드(220) 방향으로 접히는 이마땀받이부 외측(121) 하부에 형성되며, 머리고정밴드(220)를 고정하는 클립(230)이 관통하여 결합되는 클립삽입홀(123-1)이 형성된다.
여기서, 고정부(123)는 이마땀받이부 외측(121) 가장자리와 접하는 부분만 봉제되고 이마땀받이부 외측(121) 가장자리와 접하지 않는 부분은 봉제가 되지 않고 뚫려있는 형상이다. 여기서, 고정부(123)에서 이마땀받이부 외측(121) 가장자리와 접하지 않는 부분을 개방부(123-2)라 명명하여 설명한다.
이와 같은, 개방부(123-2)를 통해 머리고정밴드(220)를 고정하는 클립(230)이 삽입되어 클립삽입홀(123-1)을 관통하여 빠져나와 클립(230)을 탈착 결합함으로써 이마땀받이부(120)가 안전모(200)의 머리고정밴드(220)에 고정이 된다. 이와 같이, 머리고정밴드(220)에 고정된 이마땀받이부(120)는 앞서 설명한 머리받침부(110), 탄성부(130)와 연결되어 있으므로 결국 안전모용 머리받침 내피(100)가 머리고정밴드(220)에 고정되어 안전모(200) 내부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결합됨을 의미한다.
또한, 앞서 설명한 이마땀받이부 외측(121)이 머리고정밴드(220)의 외측면 방향으로 접힐때는 개방부(123-2)를 기준으로 접혀 고정부(123)가 머리고정밴드(220)와 맞닿게 된다.
이와 같은, 안전모용 머리받침 내피(100)는 안전모(200)에 고정할 때 안전모(200) 내부에 위치하는 머리고정밴드(220)에 위치하는 클립(230)을 이용하여 결합함으로써, 머리고정밴드(220)를 분리하지 않고 안전모(200)에 고정할 수 있으므로 안전모용 머리받침 내피(100)를 안전모(200)에 결합하는 시간이 줄어든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안전모용 머리받침 내피(100)는 머리고정밴드(220)에 위치하는 클립(230)의 탈착결합만을 해제시켜 고정하므로, 안전모용 머리받침 내피(100)를 머리고정밴드(220)에 고정하기 위해 클립(230)을 머리고정밴드(220)로부터 이탈시키지 않아도 된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고안의 안전모용 머리받침 내피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고안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방탄 헬멧 12 : 반구형 부유대
12a : 테두리부 14 : 머리고정띠
20 : 내피 22 : 머리보호부
24a : 정착편 26a : 간섭편
27 : 통풍 공간부
100 : 안전모용 머리받침 내피 110 : 머리받침부
120 : 이마땀받이부 121 : 이마땀받이부 외측
122 : 이마땀받이부 내측 123 : 고정부
123-1 : 클립삽입홀 123-2 : 개방부
130 : 탄성부
200 : 안전모 210 : 머리받침밴드
220 : 머리고정밴드 230 : 클립

Claims (1)

  1. 모시와 같은 천연섬유를 이용하며, 만곡형상으로 형성되는 머리받침부(110);
    상기 머리받침부(110)의 전면에 형성되는 이마땀받이부(120); 및
    상기 머리받침부(110)의 후면에 형성하며, 안전모(200) 내부에 위치한 머리고정밴드(220)의 길이 가변에 따라 두부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탄성부(130);를 포함하며,
    상기 이마땀받이부(120)는,
    일부가 접혀 상기 머리고정밴드(220)의 외측면에 맞닿는 이마땀받이부 외측(121);
    상기 이마땀받이부 외측(121)의 반대면에 형성되며, 이마에 맞닿는 이마땀받이부 내측(122); 및
    상기 머리고정밴드(220)와 맞닿는 상기 이마땀받이부 외측(121)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머리고정밴드(220)를 고정하는 클립(230)이 관통되어 결합되는 클립삽입홀(123-1)이 형성되는 고정부(1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모용 머리받침 내피.
KR2020110004364U 2011-05-20 2011-05-20 안전모용 머리받침 내피 KR20046273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4364U KR200462737Y1 (ko) 2011-05-20 2011-05-20 안전모용 머리받침 내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4364U KR200462737Y1 (ko) 2011-05-20 2011-05-20 안전모용 머리받침 내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2737Y1 true KR200462737Y1 (ko) 2012-09-26

Family

ID=47559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4364U KR200462737Y1 (ko) 2011-05-20 2011-05-20 안전모용 머리받침 내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273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0099U (ko) 2016-12-19 2017-01-06 주식회사 세이프일일구 안전모용 내피
KR102390769B1 (ko) 2020-10-28 2022-04-25 김영수 헬멧용 머리 지지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5902Y1 (ko) 2006-04-12 2006-09-08 이상은 군 방탄모용 머리보호대
KR200444807Y1 (ko) 2007-11-14 2009-06-08 아테크 주식회사 안전모용 머리받침 내피
KR200455017Y1 (ko) 2010-09-10 2011-08-10 정종오 안전모용 머리받침 내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5902Y1 (ko) 2006-04-12 2006-09-08 이상은 군 방탄모용 머리보호대
KR200444807Y1 (ko) 2007-11-14 2009-06-08 아테크 주식회사 안전모용 머리받침 내피
KR200455017Y1 (ko) 2010-09-10 2011-08-10 정종오 안전모용 머리받침 내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0099U (ko) 2016-12-19 2017-01-06 주식회사 세이프일일구 안전모용 내피
KR102390769B1 (ko) 2020-10-28 2022-04-25 김영수 헬멧용 머리 지지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5844B1 (ko) 안전모
KR101260163B1 (ko) 용접두건
KR100925855B1 (ko) 방탄모 및 안전모 겸용 내피
KR200462737Y1 (ko) 안전모용 머리받침 내피
KR200444807Y1 (ko) 안전모용 머리받침 내피
KR200485146Y1 (ko) 챙을 갖는 안면마스크
KR101369204B1 (ko) 착탈가능한 차양을 갖는 착용구
KR200469566Y1 (ko) 마스크 일체형 편직 모자
KR200462392Y1 (ko) 마스크 탈부착형 모자
KR200425902Y1 (ko) 군 방탄모용 머리보호대
JP3113728U (ja) 帽子
KR200455017Y1 (ko) 안전모용 머리받침 내피
KR200473814Y1 (ko) 가발 탈착 모자
KR200430641Y1 (ko) 안전모
KR200468171Y1 (ko) 땀흡수부재 탈부착 모자
KR101230446B1 (ko) 헬멧의 접착식 내피
CN217906466U (zh) 一种防掉落防护帽
KR200462391Y1 (ko) 마스크 탈부착형 모자
KR101040757B1 (ko) 안전모
KR200467724Y1 (ko) 안전모 방한대
KR20170000099U (ko) 안전모용 내피
KR200412891Y1 (ko) 방한용 안전모
KR101102367B1 (ko) 사이즈조절부가 형성된 모자
CN201602196U (zh) 一种安全帽用的吸汗带
KR200463253Y1 (ko) 이중구조 크라운 모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