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9679B1 - 무봉제 편직물 표면 가공 장치 - Google Patents

무봉제 편직물 표면 가공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9679B1
KR101289679B1 KR1020120068091A KR20120068091A KR101289679B1 KR 101289679 B1 KR101289679 B1 KR 101289679B1 KR 1020120068091 A KR1020120068091 A KR 1020120068091A KR 20120068091 A KR20120068091 A KR 20120068091A KR 101289679 B1 KR101289679 B1 KR 1012896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processing
knitted fabric
seamless knitted
seam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80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주
Original Assignee
(주)월드룩
김형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월드룩, 김형주 filed Critical (주)월드룩
Priority to KR10201200680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96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96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96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11/00Teasing, napping or otherwise roughening or raising pile of textile fabric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23/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pparatus o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the treating of textile materials, not restricted to a particular kind of apparatus, provided for in groups D06B1/00 - D06B21/00
    • D06B23/02Roll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23/00Making patterns or designs on fabrics
    • D06C23/02Making patterns or designs on fabrics by singeing, teasing, shearing, etching or brush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 Y02P70/62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related technologies for production or treatment of textile or flexible materials or products thereof, including footw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개시된 본 발명에 따른 무봉제 편직물 표면 가공 장치는, 무봉제 편직물(20)이 끼워진 끼움체(10)가 투입되는 투입부(110), 무봉제 편직물이 끼워진 끼움체(10)를 이송시기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송롤러(132,134,136), 끼움체(10)에 끼워진 무봉제 편직물의 표면을 1차로 가공하기 위한 것으로써 롤러(142)와 롤러 외주면을 감싸도록 부착되는 가공부(144)를 포함하는 제1가공롤러(140), 제1가공롤러(140)의 후류에 설치되어 제1가공롤러(140)를 지난 끼움체(10)에 끼워진 무봉제 편직물의 표면을 2차로 가공하기 위한 것으로써 롤러(162)와 롤러 외주면을 감싸도록 부착되는 가공부(164)를 포함하는 제2가공롤러(160), 및 표면이 가공된 무봉제 편직물(20)이 끼워진 끼움체(10)를 배출되는 배출부(190)를 포함한다. 제1가공롤러(140) 및 제2가공롤러(160)의 가공부(144,164) 각각은 롤러(142,162)와 접촉하는 저면부(146)와, 저면부로부터 일정길이 돌출되어 이송되는 무봉제 편직물과 접촉하는 다수의 신축성 있는 연질의 접촉부(147,167)와, 접촉부(147,167) 내부에 심어지며 일부가 접촉부 표면에 노출되는 다수의 공업용 다이아몬드(148,168)를 포함하며, 제1가공롤러(140)의 접촉부(147)의 직경(D1)은 제2가공롤러(160)의 접촉부(167)의 직경(D2)보다 더 크도록 형성된다.

Description

무봉제 편직물 표면 가공 장치{A face finish apparatus of no sewing knitted fabric}
본 발명은 무봉제 편직물 표면 가공 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환편기를 이용하여 무봉제로 만들어진 편직물의 표면을 기계적인 마찰을 이용하여 미세한 섬유조직에 기모를 내도록 가공하는 무봉제 편직물 가공 장치에 관한 것이다.
피부에 밀착되어 사용되는 직물은 보온, 포근한 착용감으로 인해 기모(起毛, napping) 제품이 선호된다. 기모는 보통 직물을 긁거나 뽑아서 표면에 보풀이 일어나게 하는 것을 의미한다. 직물의 기모는 일반적으로 직조 후에 후가공으로 기모를 하게 된다. 따라서, 직조된 원단을 기모 장치를 이용하여 기모를 한 후에, 필요한 주변부 바느질(봉제)을 하여 원하는 제품을 만들게 된다.
원단에 기모를 일으키는 방법은 다양하나 최근에는 침포 타입 기모기 또는 샌드 페이퍼 타입 기모기를 이용하여 기모를 발생시키며, 이러한 원단에 기모를 발생하는 방법는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05833호에 일 예가 개시되어 있다. 침포 기모기는 강성 재질의 수많은 침들을 롤러 표면에 설치 또는 부착시킨 침포롤러가 설치되어, 침포롤러를 통과하는 원단은 침과의 마찰에 의해 기모가 형성된게 된다. 샌드 페이퍼 기모기는 샌드 페이퍼가 롤러 표면에 설치 또는 부착된 샌드롤러가 설치되어, 샌드롤러의 표면에 부착된 샌드 페이퍼와 원단이 접촉되어지는 것에 의해 직물의 표면에 기모가 생성되어지게 된다.
그런데, 종래의 기모장치는 침포롤러 또는 샌드롤러의 손상이 잦은 단점이 있다. 즉, 샌드롤러의 경우 롤러 표면에 감겨진 샌드 페이퍼는 원단과의 잦은 마찰에 의해 쉽게 마모 및 손상되는 단점이 있으므로, 직물의 기모를 형성함에 있어 균일성이 떨이지게 되어 잦은 교체를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렇게 잦은 교체를 수반함으로 인하여 작업성 및 생산성이 크게 낮아질 뿐만 아니라 제조생산단가는 크게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침포롤러의 경우 역시 일정시간 사용하게 되면 롤러에 부착된 침포가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마모되지 못하고 따라서 원단에 형성되는 기모가 불균일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침포가 강성 금속재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필요 이상으로 원단을 긁게 되어 원단의 표면을 심각하게 훼손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이로 인해 침포롤러 역시 잦은 교체를 수반하므로 전술한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기모장치는 원단에 기모를 발생시키는 것으로써 원하는 형태의 완제품을 만들기 위해서는 봉제 공정이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위에서 살펴본 기존의 기모 장치는 봉제 공정이 필요하지 않은 양말, 스타킹, 타이즈, 레깅스(이하 '양말류 제품') 같은 무봉제 편직물에는 기모를 발생시킬 수 없었다.
한편, 편직기 상에서 찜과 동시에 기모하는 기술이 개시되는데, 일 예로 일본특허공보 특개 2002-20948호에는 환편기 내부에 기모 브러시를 설치한 환편기가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장치에는 환편기 특성상 기모 브러시를 설치하는 장소의 제약을 받아 원하는 위치나 피부에 접촉하는 내면에 기모를 발생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고, 또한 환편기 자체가 커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기모 브러시 역시 전술한 바와 같이 강성 금속재로 되어 있으므로 위에서 언급한 기모 브러시의 손상과 이에 따른 잦은 교체로 인한 문제 및 직물 훼손의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특히 양말류 제품과 같이 대다수가 면직물로 이루어진 제품의 경우, 직물 훼손의 문제점은 더욱 커지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양말류 제품과 같은 무봉제 편직물의 표면을 직물 훼손 없고 기모를 균일하게 나도록 하며, 또한 비용절감 및 생산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무봉제 편직물 표면 가공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무봉제 편직물 표면 가공 장치는, 무봉제 편직물(20)이 끼워진 끼움체(10)가 투입되는 투입부(110); 상기 무봉제 편직물이 끼워진 끼움체(10)를 이송시기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송롤러(132,134,136); 상기 끼움체(10)에 끼워진 무봉제 편직물의 표면을 1차로 가공하기 위한 것으로써, 롤러(142)와 롤러 외주면을 감싸도록 부착되는 가공부(144)를 포함하는 제1가공롤러(140); 상기 제1가공롤러(140)의 후류에 설치되어 상기 제1가공롤러(140)를 지난 끼움체(10)에 끼워진 무봉제 편직물의 표면을 2차로 가공하기 위한 것으로써, 롤러(162)와 롤러 외주면을 감싸도록 부착되는 가공부(164)를 포함하는 제2가공롤러(160); 및 표면이 가공된 무봉제 편직물(20)이 끼워진 끼움체(10)를 배출되는 배출부(190)를 포함한다.
상기 제1가공롤러(140) 및 제2가공롤러(160)의 가공부(144,164) 각각은 상기 롤러(142,162)와 접촉하는 저면부(146)와, 상기 저면부로부터 일정길이 돌출되어 이송되는 무봉제 편직물과 접촉하는 다수의 신축성 있는 연질의 접촉부(147,167)와, 상기 접촉부(147,167) 내부에 심어지며 일부가 접촉부 표면에 노출되는 다수의 공업용 다이아몬드(148,168)를 포함하며, 상기 제1가공롤러(140)의 접촉부(147)의 직경(D1)은 상기 제2가공롤러(160)의 접촉부(167)의 직경(D2)보다 더 크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봉제 편직물 표면 가공 장치는, 상기 제1가공롤러(140)와 제2가공롤러(160) 사이의 무봉제 편직물이 끼워진 끼움체(10)의 이송 경로상에 설치되며, 상기 제1가공롤러(140)를 통과한 무봉제 편직물의 표면을 연마하는 석재 재질로 이루어진 연마롤러(15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1가공롤러(140) 및 제2가공롤러(160)의 연질의 접촉부(147,167)는 우레탄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가공롤러(140)의 접촉부(147)의 직경(D1)은 1.0㎜ 이상 2.0㎜ 이하이며, 상기 제2가공롤러(160)의 접촉부(167)의 직경(D2)은 0.3㎜ 이상 0.7㎜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봉제 편직물 표면 가공 장치는, 상기 투입부(110) 전단에 설치되어 상기 무봉제 편직물(20)이 끼워진 끼움체(10)의 일단을 밀어서 상기 투입부로 투입시키는 푸시부(120)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봉제 편직물 표면 가공 장치는, 상기 배출부(190) 후단에 설치되어 배출부를 통해 나오는 끼움체(10)에 끼워진 무봉제 편직물(20)에 에어를 분사하는 에어 분사부(180)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회전하는 롤러에 부착된 접촉부가 종래의 강성의 금속재질이 아니라 신축성 있는 연질로 구성하고 그 속에 공업용 다이아몬드를 심어 이 공업용 다이아몬드가 무봉제 편직물의 표면을 때리고 긁게 함으로써, 직물 훼손 없이 무봉제 편직물 표면에 균일한 기모를 일으키게 하여, 무봉제 편직물 착용시 보온성과 부드러운 착용감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특히, 두 단계의 가공과정 즉, 제1가공롤러에 의해 무봉제 편직물의 표면에 기모를 일으키게 하고, 제2가공롤러에 의해 기모를 다듬고 광택이 나게 하므로, 보온성과 부드러운 착용감을 더욱 향상시키게 된다.
또한, 공업용 다이아몬드가 심어진 접촉부가 신축성 있는 연질로 형성되므로, 무봉제 편직물과의 접촉에 의해 닳게 되더라도 계속해서 그 속에 심어진 공업용 다이아몬드가 표면으로 나오게 되므로, 가공롤러를 자주 교체할 필요가 없게 된다. 따라서, 기존에 침포 롤러 또는 샌드 페이퍼 롤러를 자주 갈아주어야 함으로 인해 발생하게 되는 문제를 해결하고, 결국 비용절감 및 생산성을 향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가공롤러와 제2가공롤러 사이에 석재 재질의 연마롤러를 더 설치함으로 인해, 무봉제 편직물의 미세한 섬유조직에 나있는 기모를 연마하듯이 다듬어 기모를 일정하고 균일하게 다듬게 되고, 결국 무봉제 편직물의 표면 가공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봉제 편직물 가공 장치의 구성도,
도 2a는 끼움체의 예를 나타낸 도면,
도 2b는 도 2a의 끼움체에 무봉제 편직물이 끼워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
도 3은 도 1의 제1가공롤러의 가공부의 상세도,
도 4는 도 1의 제2가공롤러의 가공부의 상세도,
도 5는 무봉제 편직물이 제1가공롤러를 지날 때 제1가공롤러에 의해 표면이 가공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봉제 편직물 가공 장치의 구성도,
도 7은 도 6의 연마롤러의 상세도이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 특징 및 다른 장점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봉제 편직물 표면 가공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무봉제 편직물'이라 함은 환편기(circular knitting machine , 丸編機)를 이용하여 무봉제로 만들어진 양말류 제품(완제품), 예를 들어 양말, 스타킹, 타이즈, 레깅스 등을 의미한다. 또한, 무봉제 편직물 즉 양말류 제품은 100% 면으로 구성된 면직물, 면과 함성섬유가 포함된 혼방 면직물, 100% 합성섬유로 구성된 합성섬유 직물등 어느 것에 제한되지 않는다. 그러나, 시중에 판매되는 대부분의 양말류 제품은 면을 어느 정도 포함하므로 무봉제 편직물은 면사로 구성된 면직물(면제품)일 경우가 많은데, 면사로 구성된 면직물은 100% 면사로 구성된 것을 의미하지 않으며 일부가 면사로 구성되고 일부가 합성섬유, 모로 구성된 혼방 면직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표면 가공 장치는 이러한 양말류 완제품인 무봉제 편직물의 표면을 가공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봉제 편직물 표면 장치를 도시한 것으로써, 무봉제 편직물 표면 가공 장치는 본체(1)와, 투입부(110), 이송롤러(132,134,135,136), 제1가공롤러(140), 제2가공롤러(160), 배출부(190), 에어 분사부(180)를 포함한다.
도 2a는 무봉제 편직물이 끼워지는 끼움체(10)의 예들을 도시한 것이고, 도 2b는 무봉제 편직물의 일예인 양말(20)이 끼움체(10)에 끼워진 것을 도시한 것이다. 이와 같이 무봉제 편직물(20)은 끼움체(10)에 끼워진 채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로 투입되어 그 표면이 가공된 후 배출되게 된다. 끼움체(10)는 휘거나 구부러지지 않는 철판, 플라스틱 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끼움체(10)는 무봉제 편직물의 대상 즉, 양말, 스타킹, 레깅스 등에 따라 대응되는 다양한 형상 및 길이를 가질 수 있다.
투입부(110)는 무봉제 편직물(20)이 끼워진 끼움체(10)가 본체(1) 내부로 진입되는 곳으로써 투입구 개념으로도 이해할 수 있다. 한편, 투입부(110) 주위에는 개폐도어(112)가 설치될 수 있다.
무봉제 편직물(20)이 끼워진 끼움체(10)는 본체 내부로 수동 또는 자동으로 투입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는 어느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인건비 절감을 위해 자동으로 투입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푸시부(120)가 설치될 수 있는데, 푸시부(120)은 투입부(110) 전단에 설치되어 상기 무봉제 편직물이 끼워진 끼움체(10)의 일단을 밀어서 투입부(110)로 투입시키게 된다. 푸시부(120)은 에어나 유압 실린더가 적용되는 실린더 방식이나, 또는 스프링 방식 등이 적용될 수 있다.
본체(1) 내부에는 끼움체(10)를 이동시키거나 또한 끼움체에 끼워진 무봉제 편직물의 표면을 가공하기 위한 다양한 롤러들이 설치된다. 한편, 당연한 사실로써 롤러는 동력원과 연결된 회전축이 중심부에 형성되어 회전축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며, 또한 롤러는 한 쌍이 설치되어 동작하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과 도면부호를 생략하기로 한다.
이송롤러는 무봉제 편직물이 끼워진 끼움체(10)를 이송시키기 위한 것으로써, 적어도 한 개 이상이 설치된다. 이송롤러의 설치 개수나 위치 등은 장치의 크기, 끼움체의 길이 등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4개의 이송롤러가 설치되는데 즉, 투입부(110)의 바로 후류에 위치하는 제1이송롤러(132)와, 제1가공롤러(140)와 제2가공롤러(160) 사이에 위치하는 제2 및 제3이송롤러(134,135)와, 배출부(190)의 전류에 위치하는 제4이송롤러(136)가 설치된다. 여기서 전류, 후류의 의미는 무봉제 편직물이 끼워진 끼움체의 이송경로를 기준으로 한 것을 의미한다. 한편, 이송롤러 중 어느 하나의 이송롤러(134, 제2이송롤러)는 동력원과 연결되어 회전하는 것이 아니라, 동력원과 연결되지 않고 이송되는 끼움체(10)와의 마찰력에 의해 회전될 수 있는데, 이는 끼움체 이동시 중간에서 하방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역할을 하기 위한 것이다. 이송롤러는 보통 고무재질의 롤러가 적용된다.
제1가공롤러(140)는 끼움체(10)에 끼워진 무봉제 편직물(20)의 표면을 1차로 가공 즉 기모를 내기 위한 것으로써, 롤러(142)와 롤러 외주면을 감싸도록 부착되는 가공부(144)를 포함한다. 또한, 제2가공롤러(160)는 제1가공롤러(140)의 후류에 설치되어, 제1가공롤러(140)를 지난 끼움체(10)에 끼워진 무봉제 편직물의 표면을 2차로 가공 즉 기모를 다듬기 위한 것으로써, 이 역시 롤러(162)와 롤러 외주면을 감싸도록 부착되는 가공부(164)를 포함한다.
도 3 및 도 4는 제1가공롤러(140) 및 제2가공롤러(160)의 가공부(144,164)를 롤러(142,162)에서 제거한 상태의 확대도로써, 제1가공롤러(140) 및 제2가공롤러(160)의 가공부(144,164) 각각은, 각각의 롤러(142,162)와 접촉하는 저면부(146,166)와, 상기 저면부로부터 일정길이 돌출되어 이송되는 무봉제 편직물과 접촉하는 다수의 신축성 있는 연질의 접촉부(147,167)와, 상기 접촉부(147,167) 내부에 심어지며 일부가 접촉부 표면에 노출되는 다수의 공업용 다이아몬드(148,168)를 포함한다.
상기 저면부(146,166)와 접촉부(147,167)는 일체로 제조될 수 있다. 여기서 신축성 있는 연질의 접촉부란 의미는 철재 재질 등의 강성 재질이 아닌 연질 재질을 의미하는 것이며 또한 원래 상태로 돌아오려는 복원력이 있는 재질을 의미한다. 신축성 있는 연질의 경우 다양한 재질이 적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가공롤러(140) 및 제2가공롤러(160)의 연질의 접촉부(147,167)는 제조의 편의성, 가공의 용이성 및 가격적 측면을 고려할 때 우레탄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접촉부(147,167) 내부에는 다수의 공업용 다이아몬드(148,168)가 심어져 있으며, 일부는 접촉부 표면으로 노출된다. 공업용 다이아몬드(148,168))는 알갱이 또는 가루 형태로 접촉부에 심어지게 된다.
따라서, 연질의 접촉부(147,167)가 계속 사용되어 닳아 없어지면 내부에 심어진 공업용 다이아몬드가 다시 접촉부 표면으로 나오게 된다. 이 접촉부에 심어져 있는 공업용 다이아몬드가 무봉제 편직물의 표면을 긁고 때려서 무봉제 편직물의의 표면에 기모를 일으키고 다듬게 된다. 공업용 다이아몬드의 경우 단단한 재질로 인해 닳거나 훼손되지 않으므로 무봉제 편직물의 표면 가공하기 위한 제품 신뢰성이 높아지는 이점이 있다.
한편, 상기 제1가공롤러(140)의 접촉부(147)의 직경(D1)은 상기 제2가공롤러(160)의 접촉부(167)의 직경(D2)보다 더 크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가공롤러(140)의 접촉부(147)의 직경(D1)은 1.0㎜ 이상 2.0㎜ 이하인 것이 좋다. 접촉부(147)의 직경(D1)이 1.0㎜ 미만이면 무봉제 편직물이 표면 가공 효과가 떨어지고, 직경이 2.0㎜ 초과인 경우 원단 훼손의 우려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제2가공롤러(160)의 접촉부(167)의 직경(D2)은 0.3㎜ 이상 0.7㎜ 이하인 것이 바람직한데, 접촉부(167)의 직경(D2)이 0.3㎜ 미만인 경우 가공 및 연마의 효과가 미비하며, 0.7㎜ 초과인 경우 가공 및 연마의 효과가 과도하여 제품의 품질에 영향을 줄 우려가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배출부(190)는 본체(1)의 후단에 위치하여 표면이 가공된 무봉제 편직물(20)이 끼워진 끼움체(10)가 배출부(190)를 통해 본체 외부로 배출된다. 배출부(190) 주위에는 개폐도어(192)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에어 분사부(180)는 배출부(190) 후단 근방에 설치되어 배출부(190)를 통해 나오는 끼움체(10)에 끼워진 무봉제 편직물(20)에 에어를 분사하게 된다. 에어 분사부(180)에 의해 무봉제 편직물에 묻어있는 먼지나 이물질 등이 깨끗이 털어지게 된다.
본체(1) 상부에는 배기부(170)가 설치되는데, 배기부(170)은 본체(1) 내부에서 무봉제 편직물이 다양한 롤러들에 의해 가공, 연마 공정을 거치면서 발생되는 먼지, 이물질 들을 흡입하는 배기팬(172)과, 배기팬에 의해 흡입된 먼지, 이물질 등을 외부의 먼지 저장소 등으로 보내기 위한 배기덕트(174)를 포함한다. 한편, 도시되지 않았으나, 본체의 외측면 일부에는 각종 롤러들의 동작이나 회전속도, 기타 다른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패널이 설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제어패널의 구성 및 동작은 당업자들에게 주지의 사항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상기 구성을 갖는 무봉제 편직물 표면 가공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 도 2a 및 2b를 참조하면, 작업자가 무봉제 편직물(20)을 끼움체(10)에 끼운 후, 수동 또는 푸시부(120)에 의해 자동으로 본체(1) 내부로 무봉제 편직물(20)이 끼워진 끼움체(10)를 투입부(110)로 투입하게 되면, 제1이송롤러(132)에 의해 끼움체는 이송하여 제1가공롤러(140)로 진입하게 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진입하는 무봉제 편직물(20)은 회전하는 제1가공롤러(140)의 접촉부(147)와 접촉하게 되는데, 이 연질의 우레탄 재질의 수많은 접촉부(147)가 회전하면서 접촉부 내부에 심어있는 수많은 공업용 다이아몬드(148)가 미세한 무봉제 편직물(20)의 표면을 긁고 때리게 된다. 즉, 접촉부(147)가 회전하면서 무봉제 편직물(20)에 처음 접촉할 때 접촉부 표면에 노출된 공업용 다이아몬드(148)가 무봉제 편직물(20)의 표면을 때리게 되고, 그 후 접촉부(147)는 연질의 재질을 가지므로 휘어지면서 이송되는 무봉제 편직물(20)과 일정시간 면접촉하게 되는데 이때 접촉부 표면에 노출된 공업용 다이아몬드(148)가 무봉제 편직물의 표면을 긁게 된다.
이와 같이 공업용 다이아몬드(148)가 심어진 접촉부(147)로 인해 무봉제 편직물(20)의 표면은 미세하게 때려지고 긁히게 되는 가공과정을 거치게 되고, 이에 의해 미세한 기모가 균일하게 발생하게 됨으로써 결국 편직물의 착용시 부드럽고 따뜻함이 느껴지게 된다. 특히, 대다수의 양말은 면이 일부 포함된 면제품인데 면의 원재료는 솜이므로, 양말 표면에 미세하게 솜이 일어나게 됨으로써 뛰어남 착용감을 느낄 수 있게 된다.
제1가공롤러(140)를 거친 무봉제 편직물(20)은 제2 및 제3이송롤러(134,135)를 거쳐 제2가공롤러(160)로 진입하게 된다. 제2가공롤러(160)의 접촉부(167) 역시 수많은 공업용 다이아몬드(168)가 심어져 있으므로, 제1가공롤러(140)와 동일한 원리로 제2가공롤러(160)를 지나는 무봉제 편직물의 표면을 긁고 때리게 된다. 여기서, 제2가공롤러(160)의 접촉부(167)의 직경(D2)은 제1가공롤러(140)의 접촉부(147)의 직경(D1)보다 더 작으므로 즉 더 가늘고 부드러우므로, 제1가공롤러(140)가 무봉제 편직물의 표면에 기모를 일으킨 상태에서 제2가공롤러(160)가 무봉제 편직물의 섬유조직에 나있는 기모를 다듬고 광을 나게 함으로써, 무봉제 편직물은 더욱 부드럽고 포근해지며 기모에 광택이 나게 된다.
제2가공롤러(160)를 지난 무봉제 편직물(20)이 끼워진 끼움체(10)는 제4이송롤러(136)에 의해 이송되어 배출부(190)를 통해 본체 외부로 빠져나가고, 배출부(190) 근방에 있는 에서 분사부(180)에 의해 먼지 등이 깨끗이 털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봉제 편직물 가공 장치에 의하면, 회전하는 롤러에 부착된 가공부의 접촉부(147,167)가 종래의 강성의 금속재질이 아니라 신축성 있는 연질로 구성하고 그 속에 다수의 공업용 다이아몬드(148,168)를 심어 이 공업용 다이아몬드가 무봉제 편직물의 표면을 미세하게 때리고 긁게 함으로써, 직물 훼손 없이 무봉제 편직물 표면에 균일한 기모를 일으키게 하게 된다. 따라서, 무봉제 편직물 착용시 보온성과 부드러운 착용감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특히, 두 단계의 가공과정 즉, 제1가공롤러(140)에 의해 무봉제 편직물의 표면에 미세한 기모를 일으키게 하고, 제2가공롤러(160)에 의해 기모를 다듬고 광택이 나게 하므로, 보온성과 부드러운 착용감을 더욱 향상시키게 된다. 또한, 공업용 다이아몬드(148,168)가 심어진 접촉부(147,167)가 신축성 있는 연질로 형성되므로, 무봉제 편직물과의 접촉에 의해 닳게 되더라도 계속해서 그 속에 심어진 공업용 다이아몬드가 표면으로 나오게 되므로, 결국 가공롤러를 자주 교체할 필요가 없게 된다. 따라서, 기존에 침포 롤러 또는 샌드 페이퍼 롤러를 자주 갈아주어야 함으로 인해 발생하게 되는 문제를 해결하고, 결국 생산성을 향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봉제 편직물 가공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봉제 편직물 가공 장치는 앞선 실시예의 무봉제 편직물 가공장치에서 제1가공롤러(140)와 제2가공롤러(160) 사이에 이송롤러 대신 연마롤러(150)가 더 설치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다른 구성요소는 모두 동일하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병기하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연마롤러(150)는 제1가공롤러(140)와 제2가공롤러(160) 사이의 무봉제 편직물이 끼워진 끼움체(10)의 이송 경로상에 위치하며, 상기 제1가공롤러(140)를 통과한 무봉제 편직물의 표면을 연마하는 역할을 한다. 연마롤러(150)는 석재 재질로 형성되는데, 특정의 석재 재질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화강암 등과 같은 단단한 석재 재질로 형성되면 족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가공롤러(140)는 무봉제 편직물(20)의 표면을 미세하게 때리고 긁게 되므로 기모를 일으키게 하는데, 연마롤러(150)는 이러한 무봉제 편직물의 미세한 섬유조직에 나있는 기모를 연마하듯이 다듬어 기모를 일정하고 균일하게 다듬는 역할을 하게 된다. 그 후 제2가공롤러(160)는 섬유조직에 나있는 기모를 더욱 다듬고 광을 나게 함으로써, 무봉제 편직물은 더욱 부드럽고 포근해지며 솜에 광택이 나게 된다. 즉, 품질 향상을 일으키게 하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며,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의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 본체 10. 끼움체
20. 무봉제 편직물 110. 투입부
120. 푸시부 132,134,135,136. 이송롤러
140. 제1가공롤러 144,164. 가공부
147,167. 접촉부 148,168. 공업용 다이아몬드
150. 연마롤러 120. 제2가공롤러
180. 에어 분사부 190. 배출부

Claims (6)

  1. 무봉제 편직물(20)이 끼워진 끼움체(10)가 투입되는 투입부(110);
    상기 무봉제 편직물이 끼워진 끼움체(10)를 이송시기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송롤러(132,134,135,136);
    상기 끼움체(10)에 끼워진 무봉제 편직물의 표면을 1차로 가공하기 위한 것으로써, 롤러(142)와 롤러 외주면을 감싸도록 부착되는 가공부(144)를 포함하는 제1가공롤러(140);
    상기 제1가공롤러(140)의 후류에 설치되어 상기 제1가공롤러(140)를 지난 끼움체(10)에 끼워진 무봉제 편직물의 표면을 2차로 가공하기 위한 것으로써, 롤러(162)와 롤러 외주면을 감싸도록 부착되는 가공부(164)를 포함하는 제2가공롤러(160); 및
    표면이 가공된 무봉제 편직물(20)이 끼워진 끼움체(10)를 배출되는 배출부(190)를 포함하며,
    상기 제1가공롤러(140) 및 제2가공롤러(160)의 가공부(144,164) 각각은 상기 롤러(142,162)와 접촉하는 저면부(146)와, 상기 저면부로부터 일정길이 돌출되어 이송되는 무봉제 편직물과 접촉하는 다수의 신축성 있는 연질의 접촉부(147,167)와, 상기 접촉부(147,167) 내부에 심어지며 일부가 접촉부 표면에 노출되는 다수의 공업용 다이아몬드(148,168)를 포함하며,
    상기 제1가공롤러(140)의 접촉부(147)의 직경(D1)은 상기 제2가공롤러(160)의 접촉부(167)의 직경(D2)보다 더 크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봉제 편직물 표면 가공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공롤러(140)와 제2가공롤러(160) 사이의 무봉제 편직물이 끼워진 끼움체(10)의 이송 경로상에 설치되며, 상기 제1가공롤러(140)를 통과한 무봉제 편직물의 표면을 연마하는 석재 재질로 이루어진 연마롤러(1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봉제 편직물 표면 가공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공롤러(140) 및 제2가공롤러(160)의 연질의 접촉부(147,167)는 우레탄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봉제 편직물 표면 가공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공롤러(140)의 접촉부(147)의 직경(D1)은 1.0㎜ 이상 2.0㎜ 이하이며,
    상기 제2가공롤러(160)의 접촉부(167)의 직경(D2)은 0.3㎜ 이상 0.7㎜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봉제 편직물 표면 가공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부(110) 전단에 설치되어 상기 무봉제 편직물(20)이 끼워진 끼움체(10)의 일단을 밀어서 상기 투입부로 투입시키는 푸시부(12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봉제 편직물 표면 가공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190) 후단에 설치되어 배출부를 통해 나오는 끼움체(10)에 끼워진 무봉제 편직물(20)에 에어를 분사하는 에어 분사부(18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봉제 편직물 표면 가공 장치.
KR1020120068091A 2012-06-25 2012-06-25 무봉제 편직물 표면 가공 장치 KR1012896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8091A KR101289679B1 (ko) 2012-06-25 2012-06-25 무봉제 편직물 표면 가공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8091A KR101289679B1 (ko) 2012-06-25 2012-06-25 무봉제 편직물 표면 가공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9679B1 true KR101289679B1 (ko) 2013-07-26

Family

ID=489980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8091A KR101289679B1 (ko) 2012-06-25 2012-06-25 무봉제 편직물 표면 가공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967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3899B1 (ko) 2017-02-06 2017-06-07 김형주 기모형성용 편직물 가공장치
KR101854625B1 (ko) * 2017-06-21 2018-06-14 김형주 기모형성용 편성물 삽입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5716B1 (ko) * 1988-01-23 1990-08-06 안창기 섬유질 시이트의 긴털 기모방법
KR20000015056A (ko) * 1998-08-25 2000-03-15 장영발 직물지 버핑기
KR200275584Y1 (ko) 2002-01-21 2002-05-17 이정호 기모장치
KR20100045743A (ko) * 2008-10-24 2010-05-04 덕산엔터프라이즈 주식회사 원단의 양면에 파일을 갖는 양면 기모원단의 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한 양면 파일을 갖는 양면 기모원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5716B1 (ko) * 1988-01-23 1990-08-06 안창기 섬유질 시이트의 긴털 기모방법
KR20000015056A (ko) * 1998-08-25 2000-03-15 장영발 직물지 버핑기
KR200275584Y1 (ko) 2002-01-21 2002-05-17 이정호 기모장치
KR20100045743A (ko) * 2008-10-24 2010-05-04 덕산엔터프라이즈 주식회사 원단의 양면에 파일을 갖는 양면 기모원단의 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한 양면 파일을 갖는 양면 기모원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3899B1 (ko) 2017-02-06 2017-06-07 김형주 기모형성용 편직물 가공장치
KR101854625B1 (ko) * 2017-06-21 2018-06-14 김형주 기모형성용 편성물 삽입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08610B1 (ko) 비탄성얀및베어엘라스토머얀으로직물을편성하는방법및장치와스웨터편성물의구성
KR101289679B1 (ko) 무봉제 편직물 표면 가공 장치
TWI452190B (zh) 經編針織布之製造方法、經編針織布及作業服
RU2272855C2 (ru) Изоляционный материал-наполнитель из волокна со сверхтонким титром
US3010297A (en) Method of knitting pile fabrics
KR20200038460A (ko) 항필링천 및 그 제조법
KR101813451B1 (ko) 분진 포집기를 갖춘 기모사 가공장치
CN111020855A (zh) 一种经编氨纶超柔摇粒绒面料的生产工艺
KR101307383B1 (ko) 무봉제 편직물의 기모 형성 방법 및 그에 의한 기모가 형성된 무봉제 편직물
CN205258763U (zh) 一种摇粒绒麂皮绒面料
EP089703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rface finishing fabric with coated wires
US2953002A (en) Knitting machine for high pile fabrics
CN205368655U (zh) 一种水晶麂皮绒面料
US20100116001A1 (en) Sueded knitted fabrics
US3461693A (en) Pneumatic cleaning system
US5058329A (en) Machine and method to enhance fabric
KR20170001222A (ko) 기모원단과 표면원단을 터크편에서 실로 합포한 원단과 그 편직방법 및 편직기
US20160017525A1 (en) Drafting arrangement for a knitting machine
JP5963417B2 (ja) 起毛立体経編地の製造方法
JP6806369B2 (ja) 起毛生地及びそれを使用してなる衣服
IT201900005736A1 (it) Dispositivo di supporto e comando per macchine tessili circolari
IT201900005730A1 (it) Dispositivo di supporto e comando per macchine tessili circolari
CN106304837A (zh) 自附接织物及制造自附接织物的方法
CN214071801U (zh) 一种防静电针织上衣
KR100359694B1 (ko) 섬유 원단 무늬형성 후가공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