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4625B1 - 기모형성용 편성물 삽입장치 - Google Patents

기모형성용 편성물 삽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4625B1
KR101854625B1 KR1020170078718A KR20170078718A KR101854625B1 KR 101854625 B1 KR101854625 B1 KR 101854625B1 KR 1020170078718 A KR1020170078718 A KR 1020170078718A KR 20170078718 A KR20170078718 A KR 20170078718A KR 101854625 B1 KR101854625 B1 KR 1018546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fitting
moving
knitted fabric
elastic pla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87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주
이태문
Original Assignee
김형주
이태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형주, 이태문 filed Critical 김형주
Priority to KR10201700787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46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46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46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22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1/24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 D04B1/26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stocking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1/00Warp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21/20Warp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article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11/00Teasing, napping or otherwise roughening or raising pile of textile fabr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Abstract

기모형성용 편성물 삽입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끼움부를 갖는 끼움판체에 편성물을 삽입하는 장치에 있어서, 길이방향으로 제1안내슬릿을 절개형성한 적재판을 갖추고, 상기 적재판과 스페이서를 매개로 조립되고, 상기 제1안내슬릿과 대응하는 제2안내슬릿을 절개형성한 베이스판을 갖추어 상기 적재판에 상기 끼움판체가 복수개 적층배치되는 본체부 ; 상기 적재판의 최하부층에 위치하는 끼움판체와 동일한 수평선상에 위치하는 이동판을 갖추고, 상기 적재판에서 상기 제1,2안내슬릿을 따라 상기 이동판을 왕복이동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갖추어 상기 적재판으로부터 분리되도록 끼움판체를 수평이동시키는 작동부 ; 및 상기 편성물의 개방된 입구가 출구단에 끼워져 1차 끼움고정되는 상,하부 탄성판을 갖추고, 상기 상,하부 탄성판의 상하간격을 유지하도록 상기 상,하부 탄성판의 입구단과 결합되는 고정브라켓을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갖추어 상기 상,하부탄성판의 입구단으로 진입되는 끼움판체가 출구단을 통과하는 동안 상기 끼움판체의 끼움부에 상기 편성물을 삽입하는 삽입처리부 ;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기모형성용 편성물 삽입장치{knitted goods inserting apparatus for forming the napping}
본 발명은 편성물의 표면에 기모를 형성하기 위하여 편성물을 끼움체에 삽입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표면에 기모를 형성하고자 하는 편성물을 끼움체에 삽입하는 공정을 자동화하여 후공정인 기모형성 공정으로의 연계작업이 용이해지고, 전체적으로 작업자의 작업부하를 줄일 수 있는 기모형성용 편성물 삽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말과 같은 편성물은 외부 자극으로부터 발을 보호하고, 체온을 유지시키며, 땀과 습기를 흡수하여 신체를 쾌적하게 하기 위하여 널리 착용되는 생활 소모품이다.
최근에 피부에 밀착되어 사용되는 양말은 착용시 보온, 포근한 착용감으로 인하여 피부와 접하는 내면이 기모(起毛, napping)처리된 제품이 선호된다.
이러한 기모는 보통 직물을 긁거나 뽑아서 표면에 보풀이 일어나게 하는 것을 의미하며, 편성물의 기모는 일반적으로 직조 후에 후가공으로 기모를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1차 가공된 소재를 별도의 기모형성용 가공장치를 이용하여 소재표면에 기모를 형성하도록 후가공을 수행하게 된다.
(특허문헌 1) KR10-1289679 B1
특허문헌 1에는 무봉제 편성물이 끼워진 끼움체가 투입되는 투입부와, 상기 무봉제 편성물이 끼워진 끼움체를 이송시기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송롤러와, 상기 끼움체에 끼워진 무봉제 편성물의 표면을 1차로 가공하기 위한 것으로써, 롤러와 롤러 외주면을 감싸도록 부착되는 가공부를 포함하는 제1가공롤러와, 상기 제1가공롤러의 후류에 설치되어 상기 제1가공롤러를 지난 끼움체에 끼워진 무봉제 편성물의 표면을 2차로 가공하기 위한 것으로써, 롤러와 롤러 외주면을 감싸도록 부착되는 가공부를 포함하는 제2가공롤러 및 표면이 가공된 무봉제 편성물이 끼워진 끼움체를 배출되는 배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가공롤러 및 제2가공롤러의 가공부 각각은 상기 롤러와 접촉하는 저면부와, 상기 저면부로부터 일정길이 돌출되어 이송되는 무봉제 편성물과 접촉하는 다수의 신축성 있는 연질의 접촉부와, 상기 접촉부 내부에 심어지며 일부가 접촉부 표면에 노출되는 다수의 공업용 다이아몬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1가공롤러의 접촉부의 직경은 상기 제2가공롤러의 접촉부의 직경보다 더 크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봉제 편성물 표면 가공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장치를 이용하여 편성물의 표면에 기모를 형성하는 공정 이전에, 작업자가 끼움체에 편성물인 양말을 수작업으로 끼워서 삽입하여 작업준비해야만 하기 때문에 기모형성공정을 포함하는 전체적인 작업시간이 길어지고, 작업자의 작업부하를 가중시키며, 이로 인하여 편성물을 끼움체에 개별적으로 일일이 삽입하는 사전 준비작업에 대한 작업자의 기피현상을 초래하였다.
그리고 기모를 형성하고자 하는 편성물 소재가 끼워진 끼움체를 후공정인 기모형성 공정으로 이송하여 투입하는 과정에서 편성물이 끼워진 다수의 끼움체를 정렬 및 정리하여 후공정으로 이송하는 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작업자의 작업부하를 가중시키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기모형성 대상물인 편성물을 끼움체에 삽입하는 작업을 자동화하고, 편성물이 삽입된 끼움체를 정렬하여 후공정으로 이송하는 공정을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기모형성용 편성물 삽입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적어도 하나의 끼움부를 갖는 끼움판체에 편성물을 삽입하는 장치에 있어서,길이방향으로 제1안내슬릿을 절개형성한 적재판을 갖추고, 상기 적재판과 스페이서를 매개로 조립되고, 상기 제1안내슬릿과 대응하는 제2안내슬릿을 절개형성한 베이스판을 갖추어 상기 적재판에 상기 끼움판체가 복수개 적층배치되는 본체부 ; 상기 적재판의 최하부층에 위치하는 끼움판체와 동일한 수평선상에 위치하는 이동판을 갖추고, 상기 적재판에서 상기 제1,2안내슬릿을 따라 상기 이동판을 왕복이동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갖추어 상기 적재판으로부터 분리되도록 끼움판체를 수평이동시키는 작동부 ; 및 상기 편성물의 개방된 입구가 출구단에 끼워져 1차 끼움고정되는 상,하부 탄성판을 갖추고, 상기 상,하부 탄성판의 상하간격을 유지하도록 상기 상,하부 탄성판의 입구단과 결합되는 고정브라켓을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갖추어 상기 상,하부탄성판의 입구단으로 진입되는 끼움판체가 출구단을 통과하는 동안 상기 끼움판체의 끼움부에 상기 편성물을 삽입하는 삽입처리부 ;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모형성용 편성물 삽입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적재판은 선,후단 및 좌우양측에 좌우양쌍의 측벽과 전,후방벽을 포함하고, 상기 전,후방벽의 하단과 상기 적재판사이에는 상기 이동판의 이동통로를 형성하는 개구부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이동판은 상기 끼움판체의 단부와 선단이 접하도록 상기 적재판과 베이스판사이에 개재되는 이동대와 결합되고, 상기 구동부는 한쌍의 베어링블럭에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일정길이의 스크류축과, 상기 스크류축과 나사결합되면서 상기 스크류축의 좌우양측에 구비되는 좌우한쌍의 안내봉에 조립되는 이동블럭 및 상기 스크류축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구동시키는 모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작동부는 상기 끼움판체를 수평이동시키기 위한 이동판의 전진이동후 초기상태로 후진복귀되는 이동판, 이동대 및 이동블럭 중 어느 하나와의 위치를 감지하여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제1전,후방센서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상,하부 탄성판의 출구단은 상기 끼움판체가 통과하는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단면상으로 일정길이 연장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상,하부 탄성판의 입구단은 상기 적재판으로부터 수평이동되어 진입되는 끼움판체와의 간섭을 방지하도록 상하방향으로 각각 벌어진 단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고정브라켓은 상기 베이스판에 고정설치되는 좌우한쌍의 수직브라켓사이에 양단이 고정설치되어 상기 상,하부 탄성판의 입구단과 각각 결합되는 상,하부 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상,하부 탄성판의 출구단에 입구가 끼워져 1차 고정된 편성물을 2차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상,하부탄성판의 출구단에 끼워진 편성물의 입구와 접하여 2차 고정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상기 상,하부 탄성판과 대응하는 각 로드선단에 가압블럭을 각각 갖추어 상기 상,하부 탄성판의 상,하부에 각각 고정설치되는 상,하부 실린더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끼움판체의 끼움부에 편성물이 삽입되도록 전진된 이동판을 후진복귀시키는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복귀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귀부는 상기 상부 탄성판에 관통형성된 관통공에 하단부가 위치되도록 하방으로 탄력지지되는 수직바와, 상기 상,하부 탄성판사이를 통과하는 끼움체와의 접촉에 의해서 상승되는 수직바와 연결되는 피감지체 및 상기 피감지체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제2센서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수직바의 하부단에는 양단이 상부로 일정각도 경사지게 절곡된 절곡편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바닥면으로부터 일정높이를 갖는 수평판에 상기 베이스판이 탑재되는 작업대를 포함하고, 상기 작업대에는 상기 상,하부 탄성판을 통과하면서 끼움부에 편성물을 삽입한 상태로 낙하하는 끼움판체를 수거하는 판체수거부를 포함하며, 상기 판체수거부는 일정길이의 래크기어를 전후진 왕복작동시키는 엑추에이터와, 상기 수평판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어 상기 래크기어와 기어물림되는 피니언기어 및 상기 피니언기어에 일단이 연결되어 상기 상,하부 탄성판을 통과하면서 상기 작업대의 일측으로 낙하하는 끼움판체의 요홈이 걸림배치되는 걸림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모터부재의 구동력에 의해서 전진이동되는 이동판이 제1,2안내슬릿을 따라 수평이동되면서 복수개의 끼움판체중 최하층의 끼움판체를 개별적으로 분리하여 전진이동시킴으로써, 이동판과 더불어 전진이동되는 끼움판체의 끼움부가 편성물의 입구가 끼워진 상,하부탄성판을 통과하면서 편성물을 끼움부에 대응삽입하여 끼움판체를 배출할 수 있기 때문에 기모형성하고자 하는 편성물을 끼움판체의 끼움부에 일대일로 삽입하는 공정을 자동화하여 작업자의 작업부하를 경감시키고, 작업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2) 편성물이 끼움부에 일대일로 대응삽입하여 낙하되는 끼움판체를 정렬바에 수직상태로 전환하여 복수개 정렬할 수 있기 때문에 끼움체에 끼워진 편성물을 기모를 형성하는 후공정으로의 연계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하여 작업자의 작업부하를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기모형성용 편성물 삽입장치를 일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기모형성용 편성물 삽입장치를 타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기모형성용 편성물 삽입장치를 하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4a 와 도 4b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기모형성용 편성물 삽입장치에서 끼움판체가 수평이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작동상태도이다.
도 5a 와 도 5b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기모형성용 편성물 삽입장치에서이동판의 전,후진상태를 도시한 단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기모형성용 편성물 삽입장치에 구비되는 고정부와 복귀부를 도시한 상세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기모형성용 편성물 삽입장치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기모형성용 편성물 삽입장치를 작업대에 설치한 전체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구조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모형성용 편성물 삽입장치(100)는 도 1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끼움부(12)를 갖는 끼움판체(10)에 양말과 같은 편성물(S)을 일대일로 대응삽입하는 작업을 자동화할 수 있도록 본체부(110), 작동부(120) 및 삽입처리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110)는 몸체 중앙부에 길이방향으로 제1안내슬릿(111a)을 절개형성한 대략 사각판상의 적재판(111)을 갖추고, 상기 적재판(111)의 직하부에는 상기 적재판과의 사이에 후술하는 이동대가 간섭없이 왕복이동될 수 있는 일정크기의 간격을 형성하도록 스페이서(111b)를 매개로 하여 대략 사각판상의 베이스판(11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판(112)의 몸체 중앙부에는 제1안내슬릿(111a)과 대응하는 제2안내슬릿(112a)을 절개형성한다.
상기 적재판(111)의 선,후단 및 좌우양측에는 좌우양측 측벽(113), 전,후방벽(114a,114b)을 구비함으로써 기모형성 대상물인 편성물(S)을 끼우고자 하는 끼움부를 갖는 끼움판체(10)를 높이방향으로 적층배치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적재판에 적층되는 끼움판체(10)는 양말과 같은 편성물의 내부에 기모를 형성하기 위해서 내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뒤집어진 편성물이 각각 삽입되어 배치되도록 복수개의 끼움부(12)와 이들사이에 요홈(14)을 형성하는 수지소재의 판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적재판(111)의 선,후단에 각각 구비되는 전,후방벽(114a,114b) 중 어는 하나는 상기 끼움판체(10)를 높이방향으로 적층하는 작업이 걸림없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단일부가 외측으로 벌어지는 단면상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후방벽(114a,114b)의 하단과 상기 적재판(111)사이에는 후술하는 이동판(121)의 왕복이동시 간섭을 방지하면서 이동통로를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이동판의 판두께와 동일하거나 상대적으로 큰 크기를 갖는 개구부(G1,G2)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적재판(111)의 선,후단 및 좌우양측에 구비되는 좌우한쌍의 측벽(113)과 전,후방벽(114a,114b)은 상기 적재판의 상부면에 높이방향으로 적층하여 대기하고자 하는 복수개의 끼움판체의 최대높이에 맞추어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적재판의 후단에 구비되는 후방벽(114b)은 상기 적재판에 적재하고자 하는 끼움판체(10)의 길이에 맞추어 상기 전방벽측으로 근접하거나 멀어지도록 이동가능하게 조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작동부(120)는 상기 적재판(111)에 다층으로 적층된 복수개의 끼움판체 (10)중 최하층에 배치된 끼움판체만을 개별적으로 적재판으로부터 분리하도록 외력에 의해서 상기 끼움판체를 수평이동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작동부(120)는 상기 적재판(111)의 최하부층에 위치하는 끼움판체(10)와 동일한 수평선상에 위치하는 이동판(121)을 포함하고, 상기 적재판(111)의 상부면에서 상기 제1,2안내슬릿(111a,112a)을 따라 상기 이동판(121)을 수평방향으로 왕복이동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122)를 포함한다.
상기 이동판(121)은 상기 끼움판체(10)의 단부와 선단이 접하도록 상기 적재판과 베이스판사이에 개재되는 이동대(121a)와 결합되는 판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구동부(122)는 상기 베이스판(112)의 하부면에 설치되는 한쌍의 베어링블럭(123a)에 양단이 각각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일정길이의 스크류축(123)을 포함하고, 상기 스크류축과 나사결합되면서 상기 스크류축(123)의 좌우양측에 구비되는 좌우한쌍의 안내봉(124a)과 조립되는 이동블럭(124)을 갖추고, 상기 이동블럭(124)과 결합된 이동대(121a)를 이동판(121)과 더불어 수평방향으로 왕복이동시키도록 상기 스크류축(123)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구동시키는 모터부재(125)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동판(121)은 상기 끼움부의 정반대편에 해당하는 끼움판체(10)의 단부와 접하는 선단의 폭이 상기 이동대(121a)와 결합되는 후단의 폭보다 상대적으로 넓은 크기를 갖는 판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동대(121a)는 상기 이동판이 상단에 착탈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이동블럭과 하단이 착탈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적재판과 베이스판에 절개형성된 제1,2안내슬릿과의 접촉없이 상기 이동블럭과 더불어 왕복이동되는 것이다.
상기 이동블럭(124)은 상기 스크류축(123)과 나사결합되는 암나사부를 몸체 중앙에 관통형성하고, 상기 안내봉(124a)과 조립되는 부싱부재를 좌우양측에 갖추어 상기 스크류축의 회전구동시 상기 안내봉을 따라 왕복이동되는 것이다.
상기 모터부재(125)는 상기 스크류축의 일단에 구비되는 피동풀리와 벨트부재를 매개로 연결되는 구동풀리를 구동축에 갖추어 상기 스크류축(123)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구동시키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스크류축의 일단에 구동축의 선단이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재판에 적층된 끼움판체를 분리이탈시킬 수 있도록 상기 이동판(121)을 수평방향으로 왕복이동시키는 구동부(122)는 스크류축(123), 이동블럭(124), 및 모터부재(125)에 의해서 수행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이동판과 결합된 이동대를 직접적으로 왕복이동시키는 실린더부재와 같은 왕복구동수단에 의해서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작동부(120)는 상기 적재판(111)에 적층된 끼움판체를 분리이탈시키도록 이동판의 전진이동후에 초기상태로 후진복귀되는 이동판(121), 이동대(121a) 및 이동블럭(124) 중 어느 하나와의 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모터부재(125)의 회전구동을 중단시키거나 회전구동방향을 전환시키는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제1전,후방센서부재(126a,126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전,후방 센서부재(126a,126b)는 상기 끼움판체를 적재판으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한 이동판(121)의 전진이동시 전진이동되는 이동대와 더불어 이동되는 이동블럭(124)과 접촉되도록 상기 베이스판(112)의 하부면에 설치되거나 상기 분리판 낙하후에 후진복귀되는 이동대(121a)와 접촉되도록 상기 베이스판(112)의 상부면 일측에 설치되거나 상기 이동판의 전진복귀시 되는 리미트스위치로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동판의 전진이동후에 초기위치로 후진복귀되는 구조물을 직간접적으로 감지하여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다양한 형태의 센서부재를 상기 이동판(121), 이동대(121a) 및 이동블럭(124)이 직선 이동되는 경로상에 선택적으로 설치하여 적용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모터부재(125)의 정방향 회전구동에 의해서 스크류축(123)이 정방향으로 회전구동되면, 상기 스크류축에 나사결합된 이동블럭(124)은 이동대와 더불어 도면상 끼움판체측으로 전진이동됨과 동시에 제1,2안내슬릿을 따라 이동되는 이동대와 연결되는 이동판(121)이 상기 적재판(111)의 상부면을 따라 전진이동되기 때문에 상기 적재판에 다층으로 적층된 복수개의 끼움판체중 최하층의 끼움판체는 전진이동되는 이동판의 선단과 접하여 적재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분리되어 상기 삽입처리부측으로 이동되어 편성물을 끼움부에 대응삽입하는 공정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끼움판체의 끼움부에 편성물을 삽입하도록 상기 끼움판체를 전진이동시킨 이동판은 상기 모터부재(125)의 역방향 회전구동에 의한 스크류축(123)의 역방향으로 회전구동에 의해서 상기 적재판을 통과하여 원상태로 후진복귀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편성물이 끼움부에 대응삽입된 끼움판체의 낙하를 위한 이동판의 전진완료시 발생하는 제1전방센서부재의 감지신호에 의해서 상기 모터부재의 회전구동은 정방향에서 역방향으로 전환되어 이동판의 후진복귀가 이루어지고, 상기 이동판의 후진복귀 완료시 발생하는 제1후방센서부재의 감지신호에 의해서 상기 모터부재의 역방향 회전구동은 일시 정지되는 것이다.
상기 삽입처리부(130)는 기모를 형성하기 전에 끼움판체의 끼움부에 삽입하고자 하는 대상물인 편성물(S)의 개방된 입구가 출구단에 끼워져 1차 끼움고정되는 상하한쌍으로 이루어지는 상,하부탄성판(131a,131b)을 포함하고, 상기 상,하부 탄성판(131a,131b)의 입구단과 결합되는 고정브라켓(132)을 상기 본체부(110)의 일측인 베이스판에 고정설치한다.
상기 고정브라켓(132)에 입구단이 고정설치되는 상,하부 탄성판의 상하간격은 상기 이동판과 더불어 전진이동되는 끼움판체가 통과할 수 있도록 일정하게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상,하부 탄성판(131a,131b)의 출구단은 작업자가 상기 편성물(S)의 개방된 입구를 삽입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끼움체판가 통과하는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단면상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상,하부 탄성판(131a,1312b)의 입구단은 상기 이동판의 전진이동에 의해서 상기 적재판으로부터 수평이동되어 진입되는 끼움판체의 선단이 간섭을 방지하면서 걸림없이 진입되도록 상하방향으로 각각 벌어진 단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고정브라켓(132)은 상기 베이스판(112)에 고정설치되는 좌우한쌍의 수직브라켓(132a)사이에 양단이 고정설치되어 상기 상,하부 탄성판의 입구단과 각각 결합되는 상,하부 브라켓(132b,132c)을 포함하며, 상기 상,하부 브라켓의 상하간격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끼움판체의 판두께에 맞추어 상,하부 탄성판사이의 상하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상,하부 탄성판(131a,131b)은 좌우한쌍의 끼움부를 갖는 끼움판체에 맞추어 좌우한쌍으로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하나의 끼움부를 갖는 끼움판체에 맞추어 단일 구성으로 이루어지거나 3개이상의 끼움부를 갖는 끼움판체에 맞추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처리부(130)에는 상기 상,하부 탄성판의 출구단이 입구가 끼워져 1차 고정된 편성물을 2차 고정할 수 있는 2차 고정력을 제공하는 고정부(140)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140)는 상기 상,하부탄성판(131a,131b)의 출구단에 끼워진 편성물(S)의 입구와 접하여 상기 끼움판체의 끼움부가 편성물의 내부로 완전히 삽입되어 완료되기까지 2차 고정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상기 상,하부 탄성판과 대응하는 각 로드선단에 가압블럭(142a,142b)을 각각 갖추어 상기 상,하부탄성판의 직상부와 직하부에 각각 수직하게 고정설치되는 상,하부 실린더부재(141a,141b)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부실린더부재(141a)는 상기 상부탄성판(131a)의 출구단에 끼워진 편성물(S)의 입구 상부면과 가압블럭이 서로 접하여 2차 고정력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가압블럭(142a)을 상하왕복작동시키는 실린더형 엑추에이터이며, 이러한 상부 실린더부재(141a)는 상기 상부브라켓(132b)에 구비되는 상부 실린더브라켓(143)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하부 실린더부재(141b)는 상기 하부탄성판(131b)의 출구단에 끼워진 편성물(S)의 입구 하부면과 다른 가압블럭이 서로 접하여 상부실린더부재와 더불어 2차 고정력을 발생시키도록 상기 가압블럭을 상하왕복작동시키는 실린더형 엑추에이터이며, 이러한 하부 실린더부재(141b)는 상기 베이스판에 절개형성된 개구부를 통하여 노출되도록 상기 하부브라켓(132c)로부터 연장되는 하부 실린더브라켓(144)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가압블럭(142a,142b)은 상기 상,하부 탄성판의 출구단에 입구가 끼워진 편성물과의 접촉시 상기 편성물의 표면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수지재로 이루어지는 접촉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작업자에 의해서 상기 상,하부 탄성판의 출구단에 편성물(S)의 입구가 끼워져 편성물이 1차 고정되고, 상기 상,하부 실린더부재의 작동에 의해서 가압블럭이 편성물의 입구와 접하여 편성물이 2차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상,하부 탄성판까지 상기 이동판이 전진이동하게 되면, 상기 이동판의 선단과 접하여 수평이동되는 끼움판체의 끼움부가 상기 상,하부 탄성판사이의 상하간격을 통과하면서 상기 편성물의 입구를 통하여 진입되기 때문에 상기 끼움부에 편성물이 개별적으로 삽입되는 것이다.
연속하여, 상기 상,하부 탄성판까지 전진이동되는 이동판에 의해서 상기 끼움부에 편성물이 삽입된 끼움판체는 하부로 낙하처리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삽입처리부(130)에는 상기 끼움부(12)에 편성물이 삽입되도록 전진된 이동판의 후진복귀시키는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복귀부(150)를 포함하고, 상기 복귀부(150)는 상기 상부 탄성판(131a)에 관통형성된 관통공(135)에 하단부가 위치되도록 하방으로 탄력지지되는 수직바(151)를 갖추고, 상기 상,하부 탄성판사이를 통과하는 끼움판체와의 접촉에 의해서 일정높이 상승된 후 상기 끼움판체와의 접촉해제시 하강복귀되는 수직바(151)의 상단과 연결되는 피감지체(152)를 갖추고, 상기 피감지체(152)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상기 구동부와 상,하부 실린더부재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제2센서부재(15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직바(151)의 하부단에는 상기 상,하부 탄성판(131a,131b)의 출구단에 편성물의 입구를 끼워 1차 고정할 때 상기 편성물(S)의 입구와의 걸림을 방지하고, 상기 상기 상,하부 탄성판(131a,131b)의 입구단으로 진입되는 끼움판체의 끼움부와의 걸림을 방지하도록 양단이 상부로 일정각도 경사지게 절곡된 절곡편(151a)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수직바(151)는 상기 상부 실린더부재가 수직하게 설치되는 실린더브라켓(143)에 베어링부재를 매개로 하여 상하이동가능하게 조립되고 미도시된 탄성체에 의해서 항상 직하부로 탄력지지되는 일정길이의 바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피감지체(152)는 상기 수직바의 상단에 결합되고, 상기 상부 실린더부재로부터 연장되는 수평판에 대하여 수직하게 구비되는 한쌍의 안내바(152a)에 상하이동가능하게 조립되는 판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센서부재(153)는 상기 수직바의 상승이동과 더불어 이동되는 피감지체를 비접촉식으로 감지하는 근접센서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피감지체와 접촉식으로 감지하는 리미트스위치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기모형성용 편성물 삽입장치(100)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면으로부터 일정높이를 갖는 수평한 수평판(212)상에 탑재되고, 상기 수평판(212)은 이동횔을 갖는 작업대(210)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수평판(212)에는 제어판넬(220)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판넬(220)은 상기 수평판(212)의 상부면에 좌우한쌍으로 배치되는 삽입장치(100)사이에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작업대(210)에는 상기 상,하부 탄성판을 통과하면서 끼움부에 편성물을 삽입한 상태로 낙하하는 끼움판체를 수거하는 판체수거부(160)를 포함하며, 상기 판체수거부(160)는 일정길이의 래크기어(162)를 전후진 왕복작동시키는 엑추에이터(161)를 갖추고, 상기 래크기어(162)와 기어물림되도록 상기 수평판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피니언기어(163)를 갖추며, 상기 피니언기어에 일단이 연결되어 상기 상,하부 탄성판을 통과하면서 상기 작업대의 일측으로 낙하하는 끼움판체(10)의 요홈(14)이 걸림배치되어 편성물이 삽입된 끼움판체가 수직하게 정렬배치되는 걸림바(164)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상기 엑추에이터의 전진작동에 의해서 전진이동되는 래크기어와 기어물림되는 피니언기어가 정방향 회전되면 상기 걸림바는 상기 끼움판체의 이동방향과 나란하도록 선회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상,하부 탄성판을 통과하면서 끼움부에 편성물이 삽입딘 끼움판체가 낙하되면, 상기 끼움판체에 형성된 한쌍의 끼움부사이에 요홈을 형성하게 됨으로써 상기 끼움판체의 요홈이 걸림바에 자연스럽게 걸리어 수거되는 것이다.
연속하여, 전진이동된 이동판이 원상태로 후진복귀하는 과정에서 제1후방센서부재에서 발생하는 제어신호에 의해서 상기 엑추에이터가 후진복귀작동되면, 상기 피니언기어가 역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걸림바가 원상태로 선회복귀되기 때문에 상기 걸림바는 요홈이 걸려진 끼움판체와 더불어 외측으로 젖혀지게 된다.
이때, 상기 엑추에이터의 전진작동은 상기 제2센서부재의 감지신호에 의해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엑추에이터의 후진복귀작동은 상기 제1후방센서부재의 감지신호에 의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작업자가 상기 상,하부 탄성판의 출구단에 편성물의 입구를 1차 고정하는 작업은 걸림바와의 간섭없이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걸림바에 요홈이 걸려진 끼움판체가 복수개 수거되면, 이를 일괄적으로 모아서 후공정인 기모형성 공정으로 운반할 수 있기 때문에 끼움판체를 후공정으로 이송하는 작업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10 : 본체부
111 : 적재판
111a : 제1안내슬릿
112 : 베이스판
112a : 제2안내슬릿
113 : 측벽
114a,114b : 전,후방벽
120 : 작동부
121 : 이동판
121a : 이동대
122 : 구동부
123 : 스크류축
124 : 이동블럭
125 : 구동모터
126a,126b : 제1전,후방센서부재
130 : 삽입처리부
131a,131b : 상,하부 탄성판
132 : 고정브라켓
140 : 고정부
141a,141b : 상,하부실린더부재
142a,142b : 가압블럭
150 : 복귀부
151 : 수직바
152 : 피감지체
153 : 제2센서부재
160 : 판체수거부
161 : 엑추에이터
162 : 래크기어
163 : 피니언기어
164 : 걸림바
210 : 작업대
212 : 수평판
220 : 제어판넬
S : 편성물
10 : 끼움판체
12 : 끼움부
14 : 요홈

Claims (11)

  1. 적어도 하나의 끼움부를 갖는 끼움판체에 편성물을 삽입하는 장치에 있어서,
    길이방향으로 제1안내슬릿을 절개형성한 적재판을 갖추고, 상기 적재판과 스페이서를 매개로 조립되고, 상기 제1안내슬릿과 대응하는 제2안내슬릿을 절개형성한 베이스판을 갖추어 상기 적재판에 상기 끼움판체가 복수개 적층배치되는 본체부 ;
    상기 적재판의 최하부층에 위치하는 끼움판체와 동일한 수평선상에 위치하는 이동판을 갖추고, 상기 적재판에서 상기 제1,2안내슬릿을 따라 상기 이동판을 왕복이동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갖추어 상기 적재판으로부터 분리되도록 끼움판체를 수평이동시키는 작동부 ; 및
    상기 편성물의 개방된 입구가 출구단에 끼워져 1차 끼움고정되는 상,하부 탄성판을 갖추고, 상기 상,하부 탄성판의 상하간격을 유지하도록 상기 상,하부 탄성판의 입구단과 결합되는 고정브라켓을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갖추어 상기 상,하부탄성판의 입구단으로 진입되는 끼움판체가 출구단을 통과하는 동안 상기 끼움판체의 끼움부에 상기 편성물을 삽입하는 삽입처리부 ;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모형성용 편성물 삽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판은 선,후단 및 좌우양측에 좌우양쌍의 측벽과 전,후방벽을 포함하고, 상기 전,후방벽의 하단과 상기 적재판사이에는 상기 이동판의 이동통로를 형성하는 개구부를 각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모형성용 편성물 삽입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판은 상기 끼움판체의 단부와 선단이 접하도록 상기 적재판과 베이스판사이에 개재되는 이동대와 결합되고,
    상기 구동부는 한쌍의 베어링블럭에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일정길이의 스크류축과, 상기 스크류축과 나사결합되면서 상기 스크류축의 좌우양측에 구비되는 좌우한쌍의 안내봉에 조립되는 이동블럭 및 상기 스크류축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구동시키는 모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모형성용 편성물 삽입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는 상기 끼움판체를 수평이동시키기 위한 이동판의 전진이동후 초기상태로 후진복귀되는 이동판, 이동대 및 이동블럭 중 어느 하나와의 위치를 감지하여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제1전,후센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모형성용 편성물 삽입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 탄성판의 출구단은 상기 끼움판체가 통과하는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단면상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모형성용 편성물 삽입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 탄성판의 입구단은 상기 적재판으로부터 수평이동되어 진입되는 끼움판체와의 간섭을 방지하도록 상하방향으로 각각 벌어진 단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모형성용 편성물 삽입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라켓은 상기 베이스판에 고정설치되는 좌우한쌍의 수직브라켓사이에 양단이 고정설치되어 상기 상,하부 탄성판의 입구단과 각각 결합되는 상,하부 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모형성용 편성물 삽입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 탄성판의 출구단에 입구가 끼워져 1차 고정된 편성물을 2차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상,하부탄성판의 출구단에 끼워진 편성물의 입구와 접하여 2차 고정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상기 상,하부 탄성판과 대응하는 각 로드선단에 가압블럭을 각각 갖추어 상기 상,하부 탄성판의 상,하부에 각각 고정설치되는 상,하부 실린더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모형성용 편성물 삽입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판체의 끼움부에 편성물이 삽입되도록 전진된 이동판을 후진복귀시키는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복귀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귀부는 상기 상부 탄성판에 관통형성된 관통공에 하단부가 위치되도록 하방으로 탄력지지되는 수직바와, 상기 상,하부 탄성판사이를 통과하는 끼움체와의 접촉에 의해서 상승되는 수직바과 연결되는 피감지체 및 상기 피감지체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제2센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모형성용 편성물 삽입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바의 하부단에는 양단이 상부로 일정각도 경사지게 절곡된 절곡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모형성용 편성물 삽입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바닥면으로부터 일정높이를 갖는 수평판에 상기 베이스판이 탑재되는 작업대를 포함하고,
    상기 작업대에는 상기 상,하부 탄성판을 통과하면서 끼움부에 편성물을 삽입한 상태로 낙하하는 끼움판체를 수거하는 판체수거부를 포함하며,
    상기 판체수거부는 일정길이의 래크기어를 전후진 왕복작동시키는 엑추에이터와, 상기 수평판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어 상기 래크기어와 기어물림되는 피니언기어 및 상기 피니언기어에 일단이 연결되어 상기 상,하부 탄성판을 통과하면서 상기 작업대의 일측으로 낙하하는 끼움판체의 요홈이 걸림배치되는 걸림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모형성용 편성물 삽입장치.
KR1020170078718A 2017-06-21 2017-06-21 기모형성용 편성물 삽입장치 KR1018546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8718A KR101854625B1 (ko) 2017-06-21 2017-06-21 기모형성용 편성물 삽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8718A KR101854625B1 (ko) 2017-06-21 2017-06-21 기모형성용 편성물 삽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4625B1 true KR101854625B1 (ko) 2018-06-14

Family

ID=626292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8718A KR101854625B1 (ko) 2017-06-21 2017-06-21 기모형성용 편성물 삽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462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9679B1 (ko) * 2012-06-25 2013-07-26 (주)월드룩 무봉제 편직물 표면 가공 장치
KR101307383B1 (ko) * 2012-06-25 2013-09-11 (주)월드룩 무봉제 편직물의 기모 형성 방법 및 그에 의한 기모가 형성된 무봉제 편직물
KR101425198B1 (ko) * 2014-01-13 2014-08-01 이두상 기모 가공장치
KR101743899B1 (ko) * 2017-02-06 2017-06-07 김형주 기모형성용 편직물 가공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9679B1 (ko) * 2012-06-25 2013-07-26 (주)월드룩 무봉제 편직물 표면 가공 장치
KR101307383B1 (ko) * 2012-06-25 2013-09-11 (주)월드룩 무봉제 편직물의 기모 형성 방법 및 그에 의한 기모가 형성된 무봉제 편직물
KR101425198B1 (ko) * 2014-01-13 2014-08-01 이두상 기모 가공장치
KR101743899B1 (ko) * 2017-02-06 2017-06-07 김형주 기모형성용 편직물 가공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70578C1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снащения иглами игольных досок иглопробивных машин
KR101854625B1 (ko) 기모형성용 편성물 삽입장치
EP2540429B1 (en) A cutting machine for cutting wood panels or alike
BR112018068961A2 (pt) unidade de alimentação para a alimentação de um componente de um artigo absorvente de higiene
US20220396913A1 (en) Clothes folding apparatus
JP2010163222A (ja) ネジ類供給装置
KR20190027569A (ko) 연속 꼬치 제조장치
CN206219782U (zh) 一种双工位可调节包缝机
CN106041617A (zh) 一种具有上料装置的组合式自动进料机床
KR20170059105A (ko) 스틱형 식품을 설정된 수량 단위로 정렬하는 장치
CN217100808U (zh) 药板脱粒除包机
KR20160008116A (ko) 식품 성형 장치 및 식품 성형 장치용 말이 발
EP1473399B1 (en) Device for precise placement of the toe of a hosiery item during automated insertion thereof in the conveyor of a sewing machine for closing the toe
CN106364988B (zh) 剥纱管机
EP3387941B1 (en) Production method for stringer for woven slide fasteners and production device
EP3387940B1 (en) Production method for stringer for woven slide fasteners and production device
KR101349211B1 (ko) 이중직 관형 세폭직물의 열선절단장치
JPH10263239A (ja) タオルのクロスヘム形成装置
KR20120053491A (ko) 롤러 타입의 깔개 건조 및 다림질 장치의 롤러 배치 구조
US20160017525A1 (en) Drafting arrangement for a knitting machine
WO2013041952A3 (en) Textile machine for making woven or knitted fabrics and garments
CN104625850A (zh) 用于自动进料机床的上料装置
KR20160031260A (ko) 정전기방지 장갑편직기
CN104843472A (zh) 一种自动排片导出装置以及一种自动排片机构
EP3168351B1 (en) Flatbed knitting machine and knitt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