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9229B1 - 차량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이를 위한 모터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이를 위한 모터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9229B1
KR101289229B1 KR1020110010663A KR20110010663A KR101289229B1 KR 101289229 B1 KR101289229 B1 KR 101289229B1 KR 1020110010663 A KR1020110010663 A KR 1020110010663A KR 20110010663 A KR20110010663 A KR 20110010663A KR 101289229 B1 KR101289229 B1 KR 1012892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or
motor
step motor
control unit
tur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06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92232A (ko
Inventor
가즈끼 오오모리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Publication of KR201100922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22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92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92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60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ir location or relative disposition in or on vehicl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2Viewing or reading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20Optical features of instruments
    • B60K2360/33Illumination features
    • B60K2360/334Project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77Instrument locations other than the dashboard
    • B60K2360/785Instrument locations other than the dashboard on or in relation to the windshield or window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4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information/image processing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Instrument Panels (AREA)
  • Control Of Stepping Motors (AREA)

Abstract

스텝 모터(12)와 모터 제어 유닛(13)은 해당 스텝 모터(12)와 해당 모터 제어 유닛(13)에 전력이 계속 공급되도록 배터리(B)에 연결된다. 모터 제어 유닛(13)은, 스텝 모터(12)의 로터가 후속 여자 안정점(D3, E3)으로 이동 중에 있을 때 표시 위치 조절 스위치(14) 또는 시동키 스위치(5)가 꺼지는 경우, 스텝 모터(12)의 로터가 후속 여자 안정점(D3, E3)에 도달할 때까지 스텝 모터(12)를 계속 구동한다.

Description

차량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이를 위한 모터 제어 장치 {VEHICLE DISPLAY SYSTEM AND MOTOR CONTROL DEVICE THEREFOR}
본 발명은 영상이 미러에 반사되고 해당 영상이 차량의 전면 유리에 표시(소위 헤드 업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이런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위한 모터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일본 특허 제4309909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종래의 공지 기술 중 하나에 따르면, 헤드 업 디스플레이("HUD"로도 지칭됨) 시스템은 표시 위치를 조절하는 미러와 미러의 반사각을 변경시키는 전기 모터를 구비한다. 전기 모터는 예컨대 스텝 모터로 구성된다.
스텝 모터용 구동 시스템으로서, 종래 기술에 풀-스텝(full step) 구동 시스템과 마이크로-스텝 구동 시스템이 알려져 있다. 마이크로-스텝 구동 시스템에 따르면, 인접하는 여자 안정점(excitation stable points) 사이의 간격인, 스텝 모터의 고정자 코어의 인접하는 금속 치형부 사이의 간격이 하나의 스텝 각도로서 형성되고, 이 스텝 각도는 다수의 미소 각도로 분할된다. 스텝 모터의 로터는 이런 미소 각도에 대해 회전된다. 마이크로-스텝 구동 시스템은 전면 유리 상의 영상의 표시 위치를 원활하게 조절하기 위한 구동 모터에 적용된다.
마이크로-스텝 구동 시스템은 차량의 시동키 스위치가 꺼질 때 영상이 사라지도록 HUD 시스템을 위한 스텝 모터에 적용될 수 있다. HUD 시스템의 경우, 전면 유리 상에서 영상의 표시 위치를 조절하기 위해 표시 위치 조절 스위치를 켜면, 스텝 모터의 로터가 하나의 여자 안정점에서 다른 (인접하는) 여자 안정점으로 이동된다.
표시 위치 조절 스위치는 물론 시동키 스위치는 임의의 선택적 타이밍에서 사용자(차량 운전자)에 의해 꺼지기 때문에, 표시 위치 조절 스위치는 스텝 모터의 로터가 여전히 하나의 여자 안정점에서 다른 여자 안정점으로의 이동 중에 있을 때 꺼질 수 있다. 그런 경우, 스텝 모터의 로터에 지연 토크(detent torque)(홀딩 토크)가 적용되고, 로터는 여자 안정점 중 어느 하나로 이끌린다. 결국, 영상의 표시 위치가 일시적으로 변위될 수 있다.
또한, 시동키 스위치는 스텝 모터의 로터가 하나의 여자 안정점에서 다른 여자 안정점으로 이동 중에 있을 때 마찬가지로 꺼질 수 있으며, 스텝 모터로의 전력 공급이 차단된다. 그런 경우, 스텝 모터의 로터에 지연 토크가 마찬가지로 인가되고, 로터는 여자 안정점 중 어느 하나로 이끌린다. 결국, 영상의 표시 위치가 일시적으로 변위될 수 있다.
또한, 마이크로-스텝 구동 시스템은 스텝 모터의 전기 각도의 상한(quadrant)(현재의 로터의 위치에 대한 여자 안정점에 대응)이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에 기억되도록 HUD 시스템을 위한 스텝 모터에 적용될 수 있다. HUD 시스템에서, 전면 유리 상의 영상의 표시 위치를 조절하기 위해 표시 위치 조절 스위치가 켜질 때, 스텝 모터의 로터는 하나의 여자 안정점에서 다른 (인접한) 여자 안정점으로 이동된다.
이상의 경우와 같은 방식으로, 스텝 모터의 로터가 하나의 여자 안정점으로부터 다른 여자 안정점으로 이동하는 기간의 동안에 표시 위치 조절 스위치가 꺼지거나 시동키 스위치가 꺼져서 스텝 모터로의 전력 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 그런 경우, 지연 토크가 마찬가지로 스텝 모터의 로터에 인가되고, 로터는 여자 안정점 중 어느 하나로 이끌린다. 결국, 현재 로터 위치의 여자 안정점에 대응하는 전기 각도의 상한으로부터 변위될 수 있는 스텝 모터의 전기 각도의 상한이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에 기억될 수 있다.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에 기억되는 스텝 모터의 전기 각도의 상한은 표시 위치의 조절을 위한 후속 프로세스에서 스텝 모터를 구동하는 데 사용된다. 따라서, 영상의 표시 위치는 표시 위치의 조절을 위한 후속 프로세스의 시작시에 변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안출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스텝 모터의 로터가 후속 여자 안정점으로 이동 중에 있을 때 표시 위치 조절 스위치 또는 시동키 스위치가 꺼지는 경우에도 영상의 표시 위치가 순간적으로도 변위될 수 없도록 하는 차량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위한 모터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텝 모터의 로터가 후속 여자 안정점으로 이동 중에 있을 때 표시 위치 조절 스위치 또는 시동키 스위치가 꺼지는 경우에도 영상의 표시 위치가 해당 표시 위치의 조절을 위한 후속 프로세스의 시작시에 변위될 수 없도록 하는 차량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위한 모터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예컨대 첨부된 청구항 제1항에 한정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차량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디스플레이 장치(3)의 영상을 반사시켜 해당 영상을 차량(C)의 전면 유리(4)에 표시하는 미러(11)와, 영구 자석이 마련된 로터를 구비하고 해당 로터의 회전시 미러(11)의 반사 각도를 변경시키는 스텝 모터(12)와, 스텝 모터(12)를 마이크로-스텝 구동 방식으로 구동하는 모터 제어 유닛(13)으로서 상기 스텝 모터(12)의 스텝 각도는 스텝 모터(12)의 로터가 각각의 미소 스텝 각도만큼씩 회전되도록 다수의 미소 스텝 각도로 분할되어 있는 모터 제어 유닛(13)과, 표시 위치 조절 스위치(14)를 포함한다.
차량 디스플레이 시스템에서, 전면 유리(4) 상의 영상의 표시 위치는 표시 위치 조절 스위치(14)가 켜질 때 조절된다. 모터 제어 유닛(13)뿐만 아니라 스텝 모터(12)는 해당 스텝 모터(12)와 해당 모터 제어 유닛(13)에 전력이 계속 공급되도록 차량의 배터리(B)에 연결된다. 모터 제어 유닛(13)은, 스텝 모터(12)의 로터가 후속 여자 안정점(D3, E3)으로 이동 중에 있을 때 표시 위치 조절 스위치(14) 또는 시동키 스위치(5)가 꺼지는 경우, 스텝 모터(12)의 로터가 후속 여자 안정점(D3, E3)에 도달할 때까지 스텝 모터(12)를 계속 구동한다.
전술한 특징에 따르면, 스텝 모터와 모터 제어 유닛은 배터리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표시 위치 조절 스위치 또는 시동키 스위치의 상태에 무관하게 모터 제어 유닛이 스텝 모터를 구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스텝 모터의 로터가 후속 여자 안정점으로 이동 중에 있을 때 표시 위치 조절 스위치와 시동키 스위치 중 어느 하나가 꺼지는 경우에도, 모터 제어 유닛은 스텝 모터의 로터가 후속 여자 안정점에 도달할 때까지 스텝 모터를 계속 구동시킬 수 있다.
결국, 스텝 모터의 로터는 표시 위치 조절 스위치 또는 시동키 스위치가 꺼질 때에도 후속 여자 안정점으로 확실히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스텝 모터의 로터는 여자 안정점 중 어떤 포인트에도 지연 토크에 의해 이끌리지 않을 것이다. 영상의 표시 위치는 순간적으로도 변위되지 않을 수 있다.
스텝 모터의 전기 각도의 상한(quadrant)(현재 로터의 위치에 대한 여자 안정점에 대응함)이 비휘발성 메모리에 기억된다. 스텝 모터의 전기 각도의 상한은 표시 위치의 조절을 위한 후속 프로세스의 시작시 판독된다. 따라서, 스텝 모터의 로터가 후속 여자 안정점으로 이동 중에 있을 때 표시 위치 조절 스위치 또는 시동키 스위치가 꺼지면, 영상의 표시 위치가 표시 위치의 조절을 위한 후속 프로세스의 시작시 변위될 수 있는 경우를 줄일 수 있게 된다.
예컨대, 첨부된 청구항 제2항에 한정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모터 제어 유닛(13)은 스텝 모터(12)의 로터가 후속 여자 안정점(D3, E3)에 도달할 때까지 스텝 모터(12)의 로터의 회전 속도를 표시 위치 조절 스위치(14) 또는 시동키 스위치(5)가 꺼질 때의 로터의 회전 속도에 대응하는 속도로 유지하고, 모터 제어 유닛(13)은 스텝 모터(12)의 로터의 회전 방향을 표시 위치 조절 스위치(14) 또는 시동키 스위치(5)가 꺼지는 시점에서의 로터의 회전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유지한다.
이런 특징에 따르면, 스텝 모터의 회전 방향뿐만 아니라 회전 속도는 표시 위치 조절 스위치 또는 시동키 스위치가 꺼지기 전후 사이에 동일한 속도와 방향으로 유지된다. 따라서, 전면 유리에 표시되는 영상은 순간적으로도 변위되지 않을 수 있거나, 전면 유리에 표시되는 영상은 표시 위치 조절 스위치 또는 시동키 스위치가 꺼지기 전의 초기 위치로 변위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스텝 모터의 로터가 후속 여자 안정점으로 이동될 때에도 사용자(차량 운전자)의 눈에 불편한 느낌을 주지 않을 것이다.
예컨대, 첨부된 청구항 제3항에 한정된 본 발명의 추가의 특징에 따르면, 모터 제어 유닛(13)은 스텝 모터(12)의 로터가 후속 여자 안정점(D3, E3)에 도달할 때까지 스텝 모터(12)의 로터의 회전 속도를 표시 위치 조절 스위치(14) 또는 시동키 스위치(5)가 꺼질 때의 로터의 속도보다 낮은 속도로 감소시키고, 모터 제어 유닛(13)은 스텝 모터(12)의 로터의 회전 방향을 표시 위치 조절 스위치(14) 또는 시동키 스위치(5)가 꺼지는 시점에서의 로터의 회전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유지한다.
이런 특징에 따르면, 스텝 모터의 회전 속도는 표시 위치 조절 스위치 또는 시동키 스위치가 꺼지기 전후 사이에 동일한 방향으로 유지된다. 따라서, 전면 유리 상에 표시되는 영상은 순간적으로도 변위될 수 없거나, 전면 유리 상에 표시되는 영상은 표시 위치 조절 스위치 또는 시동키 스위치가 꺼지기 전의 초기 위치로 변위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스텝 모터의 로터가 후속 여자 안정점으로 이동시에도, 사용자(차량 운전자)의 눈에 불편한 느낌을 주지 않을 것이다.
예컨대 첨부된 청구항 제4항에 한정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추가의 특징에 따르면, 모터 제어 유닛(13)은 시동키 스위치(5)가 온(ON) 상태이고 표시 위치 조절 스위치(14)가 꺼져 있을 때, 스텝 모터(12)의 로터가 후속 여자 안정점(D3, E3)에 도달할 때까지 스텝 모터(12)를 계속 구동한다.
그런 특징에 따르면, 스텝 모터의 회전 속도는 시동키 스위치가 온(ON) 상태에 있는 동안 표시 위치 조절 스위치가 꺼지기 전후 사이에 동일한 회전 방향으로 동일한 속도로 유지되거나 낮은 속도로 감소된다. 따라서, 전면 유리 상에 계속 표시되는 영상은 시동키 스위치가 나중에 꺼질 때 즉각적으로 변위되지 않거나, 전면 유리 상에 표시되는 영상은 시동키 스위치가 나중에 꺼질 때 초기 위치로 변위되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스텝 모터의 로터가 후속 여자 안정점으로 이동시에도, 사용자(차량 운전자)의 눈에 불편한 느낌을 주지 않을 것이다.
예컨대, 첨부된 청구항 제5항에 한정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차량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시동키 스위치(5)가 꺼질 때 배터리로부터 전력이 계속 공급되고, 상기 시동키 스위치(5)가 꺼질 때 영상의 표시 휘도를 점차 감소시키는 휘도 제어 유닛(13)을 더 포함한다.
전술한 휘도 제어 유닛은 모터 제어 유닛과 함께 구현되거나 모터 제어 유닛과 별개로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첨부된 청구항 제6항에 한정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특징 중 임의의 특징을 가질 수 있는 차량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모터 제어 장치가 제공된다.
전술한 것과 그렇지 않은 기타의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장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기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분명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를 위한 모터 제어 장치의 개략도.
도 2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모터 제어 장치의 블록도.
도 3은 표시 위치 조절 스위치가 꺼질 때의 제1 실시예의 작동을 보여주는 타이밍 차트.
도 4는 시동키 스위치가 꺼질 때의 제1 실시예의 작동을 보여주는 타이밍 차트.
도 5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로터의 회전 각도와 시간 사이의 관계를 보여주는 그래프.
도 5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로터의 회전 속도(즉, 시간에 따른 회전 각도의 변화율)와 시간 사이의 관계를 보여주는 그래프.
도 6a 및 도 6b는 도 5a 및 도 5b에 각기 대응하는 도면으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그래프.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표시 휘도와 시간 사이의 관계를 보여주는 그래프.
(제1 실시예)
도 1 내지 4를 참조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것을 위한 모터 제어 장치를 설명한다. 제1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시스템(1)은 소위 HUD 시스템으로, 이 시스템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3)에 의해 표시된 영상은 미러(11)에 의해 반사되고 해당 영상은 차량의 전면 유리(4) 상에 표시된다. 우선, 디스플레이 시스템(1)을 포함하는 전체 시스템을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시스템(1)은 차량(C)의 계기판(2)에 배열되며, 미러(11), 스텝 모터(12), 모터 제어 장치(유닛)(13) 및 표시 위치 조절 스위치(14)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장치(3)는 공지된 디스플레이 장치, 예컨대, 백라이트를 가지고 계기판(2)에 배열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백라이트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사용된다. 그러나, 다른 종류의 디스플레이 장치, 예컨대 전계 방출(FE) 디스플레이, 형광 특성 디스플레이 튜브, 전자 발광(EL) 소자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미러(11)는 예컨대 오목 미러로 구성되고 계기판(2)에 배열된다. 미러(11)는 디스플레이 장치(3)에 의해 표시되는 영상의 디스플레이 광(L)을 반사함으로써, 해당 영상은 전면 유리(4) 상에 표시된다. 미러(11)는 계기판(2)의 내부 공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됨으로써 미러(11)는 제한 부재(도시 생략)에 의해 형성된 미리 정해진 회전 범위 내에서 회전 가능하다. 결국, 미러(11)는 디스플레이 광(L)에 대한 반사 각도를 변경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오목 미러가 사용되지만, 본 발명은 그렇게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평면 미러가 사용될 수 있다.
스텝 모터(12)는 배터리(B)에 연결되는데, 해당 배터리는 차량(C) 내에 설치된 다양한 차내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정상 상태 기준으로 해당 차내 구성요소에 전력을 공급함으로써 전력은 스텝 모터(12)에 계속 공급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스텝 모터(12)는 모터 제어 유닛(13)을 통해 배터리(B)에 연결된다. 그러나, 스텝 모터(12)는 배터리(B)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배터리(B)가 계속 전력을 공급한다" 또는 "전력은 배터리(B)로부터 계속 공급된다"라는 어구의 의미는 시동키 스위치(5)가 켜지는 것(액세서리(ACC) 스위치가 켜지는 상태를 포함)뿐만 아니라 시동키 스위치(5)가 꺼진 이후에도 배터리(B)가 다양한 차내 구성요소로 전력을 공급한다는 것이다.
스텝 모터(12)는 예컨대, 원주 방향으로 자화된(원주 방향의 N극(들)과 S극(들)을 갖는) 영구 자석을 갖는 로터(도시 생략)를 구비하는 영구 자석(PM)형 스텝 모터를 포함한다. 스텝 모터(12)는 내주부에 다수의 철치부(iron teeth)를 갖는 고정자(도시 생략)를 더 구비하고, 철치부는 로터에 대향되게 원주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배열된다. 각각의 철치부에는 코일이 권취되어 여자 코일을 형성한다. 모터 제어 유닛(13)에 의해 전류가 여자 코일을 통해 흐르면, 여자 코일은 N극 또는 S극으로 여자된다. 다른 한편으로, 모터 제어 유닛(13)에 의해 전류가 여자 코일을 통해 흐르면, 지연 토크(홀딩 토크)가 발생되어 로터의 N극과 S극은 인접하는 철치부로 이끌리고 로터는 해당 로터의 N극과 S극이 철치부에 대해 대향되는 위치에서 안정 상태가 된다. 따라서, 철치부가 제공되는 위치는 여자 안정점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PM 타입 스텝 모터가 스텝 모터(12)로 사용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른 종류의 스텝 모터, 예컨대 영구 자석을 갖는 로터를 포함하는 HB 타입 스텝 모터, 선형 스텝 모터 등도 마찬가지로 사용될 수 있다.
스텝 모터(12)는 전달 부재(도시 생략)에 의해 미러(11)의 반사 각도를 변경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스텝 모터(12)의 로터의 N극(및 S극)이 하나의 여기 안정점에서 다른 여기 안정점으로 이동시, 스텝 모터(12)에서 출력(회전)이 발생된다. 스텝 모터(12)의 출력(회전력)은 전달 부재에 의해 미러(11)로 전달된다. 미러(11)는 회전력에 의해 스텝 모터(12)로부터 회전되어 디스플레이 광(L)에 대한 반사 각도를 변경시킨다. 반사 각도의 변경 결과, 전면 유리(4) 상에 표시된 영상은 차량(C)의 운전석에 착석한 차량 운전자 측으로 수평 또는 수직 방향으로 이동된다.
본 실시예에서, 전면 유리(4) 상에 표시된 영상은 운전석에 착석한 차량 운전자로 수직으로 조절될 수 있다. 그러나, 영상은 수평 방향으로 또는 수직 및 수평 방향 모두로 조절될 수 있다.
모터 제어 유닛(13)은 MPU(13a), 모터용 드라이버 회로(13b) 및 플래시 메모리 등의 비휘발성 메모리(13c)를 포함한다. 모터 제어 유닛(13)은 시동키 스위치(IGSW)(5), 스텝 모터(12), 표시 위치 조절 스위치(14) 및 배터리(B)에 연결된다. 모터 제어 유닛(13)이 배터리(B)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전력은 스텝 모터(12)로의 공급과 같은 방식으로 모터 제어 유닛(13)으로 계속 공급된다.
표시 위치 조절 스위치(14)는 전면 유리(4) 상에 표시된 영상의 표시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스위치이다. 표시 위치 조절 스위치(14)는 예컨대 공지된 누름식 스위치를 포함하며, 차량(C)의 탑승자 객실에 배열된다. 표시 위치 조절 스위치(14)가 작동시(차량 운전자에 의해 푸쉬될 때), 명령 신호가 모터 제어 유닛(13)(구체적으로, MPU(13a))으로 출력된다.
시동키 스위치(IGSW)(5)는 차량(C) 내에 설치된 엔진의 작업을 개시하는 널리 공지된 스위치이고, 차량의 탑승자 객실에 배열된다. 시동키 스위치(5)가 작동시(켜지거나 꺼질 때), 마찬가지로 대응하는 신호가 모터 제어 유닛(13)(보다 구체적으로 MPU(13a))으로 출력된다.
MPU(13a)는 비휘발성 메모리(13c)에 기억된 프로그램에 따른 다양한 종류의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공지된 MPU이다. MPU(13a)는 비휘발성 메모리(13c), 표시 위치 조절 스위치(14), 시동키 스위치(5) 및 모터용 드라이버 회로(13b)에 각각 연결됨으로써 MPU(13a)는 표시 위치 조절 스위치(14)와 시동키 스위치(5)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따라 드라이버 회로(13b)로 마이크로-스텝 구동 신호를 출력한다.
드라이버 회로(13b)는 다중 스위칭 요소를 포함하는 공지된 모터 드라이버 회로이고, 스텝 모터(12)에 연결된다. 드라이버 회로(13b)는 MPU(13a)로부터의 마이크로-스텝 구동 신호에 따라 스텝 모터(12)의 여자 코일을 통해 흐르는 전류를 제어한다.
전술한 마이크로-스텝 구동 신호에 대해 더 설명한다. MPU(13a)는 스텝 모터(12)가 마이크로-스텝 구동 방식으로 작동되도록 드라이버 회로(13b)에 마이크로-스텝 구동 신호를 출력한다. 마이크로-스텝 구동 신호에 따르면, 스텝 모터(12)의 다수의 철치부에 의해 형성되는 하나의 스텝 각도(예, 본 실시예의 경우 90°)는 다수의 미소 각도로 분할되며, 스텝 모터(12)는 해당 미소 각도만큼 회전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스텝 각도는 5개의 미소 각도로 분할된다. 미소 각도의 분할 수는 변경될 수 있다. 분할 수가 커질수록 스텝 모터(12)의 작동은 부드러워질 수 있다.
시동키 스위치(5)가 켜져 있는 시간 동안(시동키 스위치(5)가 꺼져 있을 때), 즉 차량의 엔진이 작동 중에, 표시 위치 조절 스위치(14)로부터 MPU(13a)로 명령 신호(ON 신호)가 입력되면, MPU(13a)는 비휘발성 메모리(13c)로부터 스텝 모터(12)의 전기 각도의 상한(quarant)(현재 로터 위치에 대한 여자 안정점에 대응함)을 읽어들인다. 표시 위치 조절 스위치(14)로부터 MPU(13a)로 명령 신호가 입력되는 한, MPU(13a)는 드라이버 회로(13b)로 마이크로-스텝 구동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스텝 모터(12)는 계속 작동된다. 이에 따라, 스텝 모터(12)의 로터는 비휘발성 메모리(13c)로부터 읽어 들인, 스텝 모터의 전기 각도의 상한에 대응하는 여자 안정점에서 그에 인접하는 제1 여자 안정점으로 이동된다. 스텝 모터(12)의 로터는 인접하는 제1 여자 안정점에서 인접하는 제1 여자 안정점에 후속하는 인접하는 제2 여자 안정점으로 추가로 이동된다. 로터가 하나의 여자 안정점에서 후속 여자 안정점으로 계속 이동함에 따라 로터는 회전된다. 스텝 모터(12)의 로터가 여자 안정점 중 하나에 도달시 표시 위치 조절 스위치(14)가 꺼지는 경우, MPU(13a)는 여자 안정점에 대응하는 스텝 모터(12)의 전기 각도의 상한을 비휘발성 메모리(13c)에 기억한다.
표시 위치 조절 스위치(14)와 시동키 스위치(5)는 임의의 선택적 타이밍에 사용자에 의해 꺼진다. 따라서, 스텝 모터(12)의 로터가 여자 안정점 중 하나에 도달시 표시 위치 조절 스위치(14) 또는 시동키 스위치(5)가 언제나 꺼지는 것은 아니다. 다시 말해, 스텝 모터(12)의 로터가 하나의 여자 안정점에서 다른 여자 안정점으로 이동 중일 때 표시 위치 조절 스위치(14) 또는 시동키 스위치(5)가 꺼질 수 있다. 그런 경우,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영상의 표시 위치는 일시적으로 변위되거나, 영상의 표시 위치는 표시 위치의 조절을 위한 후속 프로세스의 시작시 변위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르면, 모터 제어 유닛(13)뿐만 아니라 스텝 모터(12)는 배터리(B)에 연결됨으로써, 전력은 계속해서 스텝 모터(12)와 모터 제어 유닛(13)으로 공급된다. 또한, 모터 제어 유닛(13)(MPU(13a))은 스텝 모터(12)의 로터가 여자 안정점 중 어느 하나로부터 (인접하는) 후속 여자 안정점으로 이동하고 있는 기간 중에 표시 위치 조절 스위치(14)와 시동키 스위치(5) 중 적어도 하나가 꺼지면, 스텝 모터(12)의 로터가 후속 여자 안정점에 도달할 때까지 계속해서 스텝 모터(12)를 구동한다.
이상과 같이, 스텝 모터(12)의 로터는 스텝 모터(12)의 로터가 후속 여자 안정점으로 이동 중에 있을 때 표시 위치 조절 스위치(14)와 시동키 스위치(5) 중 어느 하나가 꺼지는 경우에도 로터가 후속 여자 안정점에 도달할 때까지 계속 작동된다. 따라서, 로터가 지연 토크에 의해 여자 안정점 중 어느 하나로 이끌리는 것이 방지되어 영상의 표시 위치가 일시적으로 변위될 수 있는 요인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스텝 모터(12)의 전기 각도의 상한(실제 로터의 위치에 대한 여자 안정점에 대응함)이 스텝 모터(12)의 로터가 후속 여자 안정점으로 이동 중에 있을 때 표시 위치 조절 스위치(14)와 시동키 스위치(5) 중 어느 하나가 꺼지는 경우에도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13c)에 기억될 수 있다. 따라서, 영상의 표시 위치가 해당 표시 위치의 조절을 위한 후속 프로세스의 시작시 변위될 수 있는 경우를 줄일 수 있다.
스텝 모터(12)의 로터가 후속 여자 안정점으로 이동 중에 있을 때 표시 위치 조절 스위치(14)가 꺼지는 경우, 도 3을 참조로 하여 차량 디스플레이 시스템(1)(보다 구체적으로, 모터 제어 유닛(13))의 작동을 설명한다.
도 3의 (b) 내지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위치 조절 스위치(14)는 스텝 모터(12)의 로터가 여자 안정점(D2)로부터 후속 여자 안정점(D3)로 이동 중에 있을 때의 시점(t1)에서 꺼진다.
종래의 마이크로-스텝 구동 시스템에 따르면, 시점(t1)에서 모터 제어 유닛은 마이크로-스텝 구동 신호의 출력을 멈춘다. 따라서, 스텝 모터(12)의 고정자는 비-여자 상태가 되어 스텝 모터(12)의 로터는 지연 토크에 의해 여자 안정점(D2, D3) 중 어느 하나로 급속히 이끌리게 된다. 결국, 전술한 바와 같이, 영상의 표시 위치는 일시적으로 변위되거나 또는 영상의 표시 위치는 해당 표시 위치의 조절을 위한 후속 프로세스의 시작시 변위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 3의 (c) 및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 제어 유닛(13)은 스텝 모터(12)의 로터가 후속 여자 안정점(D3)에 도달할 때까지, 시점(t1) 이후에도 계속해서 마이크로-스텝 구동 신호을 출력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종래의 마이크로-스텝 구동 시스템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스텝 모터(12)의 로터가 후속 여자 안정점으로 이동 중에 있을 때 시동키 스위치(5)가 꺼지는 경우, 도 4를 참조로 하여 차량 디스플레이 시스템(1)(보다 구체적으로 모터 제어 유닛(13))의 작동을 설명한다.
도 4의 (a), (c) 내지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동키 스위치(5)는 스텝 모터(12)의 로터가 여자 안정점(E2)에서 후속 여자 안정점(E3)으로 이동 중에 있을 때의 시점(t2)에서 꺼진다.
종래의 마이크로-스텝 구동 시스템에 따르면, 시점(t2)에서 모터 제어 유닛은 마이크로-스텝 구동 신호의 출력을 멈춘다. 따라서, 스텝 모터(12)의 고정자는 비-여자 상태가 되어 스텝 모터(12)의 로터는 지연 토크에 의해 여자 안정점(E2, E3) 중 어느 하나로 급속하게 이끌리게 된다. 결국, 전술한 바와 같이, 영상의 표시 위치는 일시적으로 변위되거나 또는 영상의 표시 위치는 해당 표시 위치의 조절을 위한 후속 프로세스의 시작시 변위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 4의 (c) 및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 제어 유닛(13)은 스텝 모터(12)의 로터가 후속 여자 안정점(E3)에 도달할 때까지, 시점(t2) 이후에도 계속해서 마이크로-스텝 구동 신호를 출력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종래의 마이크로-스텝 구동 시스템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이하, 도 5a 및 도 5b를 참조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5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스텝 모터(12)의 로터의 회전 각도와 시간 사이의 관계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스텝 모터(12)의 로터의 회전 속도(즉, 시간에 따른 회전 각도의 변화율)와 시간 사이의 관계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5a 및 도 5b에서 시점(t11)은 도 3의 시점(t1)에 대응한다. 도 5a 및 도 5b에서 시점(t12)은 스텝 모터(12)의 로터가 여자 안정점(D3)에 도달하였을 때, 즉 스텝 모터(12)의 A 위상과 B 위상의 전기 각도가 상기 여자 안정점(D3)에 대응하는 전기 각도에 도달하였을 때의 시점을 의미한다.
시동키 스위치(5)가 (시동키 스위치(5)가 꺼질 때까지) 켜져 있는 기간 중에, 명령 신호(ON 신호)가 표시 위치 조절 스위치(14)로부터 MPU(13a)로 입력시, 모터 제어 유닛(13)(보다 구체적으로 MPU(13a))은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13c)로부터 (현재 로터 위치에 대한 여자 안정점에 대응하는) 스텝 모터(12)의 전기 각도의 상한을 읽어들인다. 표시 위치 조절 스위치(14)로부터 MPU(13a)로 명령 신호가 입력되는 한, MPU(13a)는 드라이버 회로(13b)로 마이크로-스텝 구동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스텝 모터(12)는 계속 작동된다. 그러면, 스텝 모터(12)의 로터는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13c)로부터 읽어 들인, 스텝 모터의 전기 각도의 상한에 대응하는 여자 안정점에서 그에 인접하는 제1 여자 안정점으로 이동된다. 스텝 모터(12)의 로터는 인접하는 제1 여자 안정점에서 해당 인접하는 제1 여자 안정점에 후속하는 인접하는 제2 여자 안정점으로 추가로 이동된다. 로터가 하나의 여자 안정점에서 후속 여자 안정점으로 계속 이동함에 따라, 로터는 회전된다.
스텝 모터(12)의 로터가 후속 여자 안정점으로 이동 중인 시점(t11)에서 표시 위치 조절 스위치(14)가 꺼지면, MPU(13a)는 스텝 모터(12)의 로터가 후속 여자 안정점(D3)에 도달하는 시점(t12)까지 계속해서 마이크로-스텝 구동 신호를 드라이버 회로(13b)로 출력한다. 이상의 작동에서, MPU(13a)는 스텝 모터(12)의 로터의 회전 속도를, 시점(t11), 즉 표시 위치 조절 스위치(14)가 꺼질 때의 시점에서 로터의 회전 속도에 대응하는 그런 속도로 유지한다. 다시 말해, MPU(13a)는 표시 위치 조절 스위치(14)가 꺼지는 시점에서의 그것과 동일한 시간 간격으로 마이크로-스텝 구동 신호를 드라이버 회로(13b)로 계속 출력한다.
스텝 모터(12)의 로터가 여자 안정점(D3)에 도달시, MPU(13a)는 여자 안정점(D3)에 대응하는 스텝 모터(12)의 전기 각도의 상한을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13c)에 기억한다.
모터 제어 유닛(13)은 스텝 모터(12)를 상기한 바와 같이 작동시키므로, 시점(t11)과 시점(t12) 사이의 시간에 대한 로터의 회전 각도의 변화율은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점(t11) 이전의 값과 같은 값으로 제어된다. 즉, 로터의 회전 속도(즉, 회전 각도의 변화율)는 일정하게 제어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시동키 스위치(5)가 온(ON) 상태에 있는 동안 표시 위치 조절 스위치(14)가 (시점(t11)에서) 꺼지면, 스텝 모터(12)는 해당 스텝 모터(12)의 로터가 후속 여자 안정점(D3)에 도달할 때까지 계속 작동된다. 또한, (표시 위치 조절 스위치(14)가 꺼지는) 시점(t11)에서 로터는 회전 속도가 유지되고, 로터는 해당 시점(t11)에서의 회전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상과 같이, 스텝 모터(12)의 로터의 회전 방향뿐만 아니라 회전 속도는 표시 위치 조절 스위치(14)가 꺼지는 전후의 경우 사이에 동일한 속도와 방향으로 유지된다. 따라서, 전면 유리에 계속해서 표시되는 영상은 시동키 스위치(5)가 온(ON) 상태에 있는 동안 표시 위치 조절 스위치(14)가 꺼질 때 즉각적으로 변위되지 않을 것이다. 또한, 전면 유리에 계속 표시되는 영상은 표시 위치 조절 스위치(14)가 꺼지기 전의 초기 위치로 변위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스텝 모터(12)의 로터가 후속 여자 안정점으로 계속 이동되는 경우에도, 사용자(차량 운전자)의 눈에 불편한 느낌을 주지 않을 것이다.
(제3 실시예)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르면, 시동키 스위치(5)가 온(ON) 상태에 있는 동안 표시 위치 조절 스위치(14)가 꺼질 때, 스텝 모터(12)는 해당 스텝 모터(12)의 로터가 후속 여자 안정점(D3)에 도달할 때까지 마찬가지로 계속 작동된다. 또한, (표시 위치 조절 스위치(14)가 꺼질 때의) 시점(t1)에서 로터의 회전 속도는 감소되고, 로터는 해당 시점(t1)에서의 회전 방향과 동일한 회전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하, 도 6a 및 도 6b를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6a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스텝 모터(12)의 로터의 회전 각도와 시간 사이의 관계를 보여주는 그래프이고, 도 6b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스텝 모터(12)의 로터의 회전 속도(즉, 시간에 따른 회전 각도의 변화율)와 시간 사이의 관계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6a 및 도 6b에서 시점(t21)은 도 3의 시점(t1)에 대응한다. 도 6a 및 도 6b에서 각각의 시점(t22 내지 t24)은 스텝 모터(12)의 로터가 여자 안정점(D3)에 도달하였을 때, 즉 스텝 모터(12)의 A 위상과 B 위상의 전기 각도가 여자 안정점(D3)에 대응하는 전기 각도에 도달한 시점을 의미한다. 도 5a 및 도 5b와의 비교를 위해, 도 5a 및 도 5b의 실선 A1과 a1을 각각 도 6a 및 도 6b에 지시하고 있다.
제1 및 제2 실시예와 동일한 방식으로, MPU(13a)는 다음 방식으로 작동한다. 시동키 스위치(5)가 (시동키 스위치(5)가 꺼질 때까지) 켜져 있는 기간 중에, 명령 신호(ON 신호)가 표시 위치 조절 스위치(14)로부터 MPU(13a)로 입력시, 모터 제어 유닛(13)(보다 구체적으로 MPU(13a))은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13c)로부터 (현재 로터 위치에 대한 여자 안정점에 대응하는) 스텝 모터(12)의 전기 각도의 상한을 읽어들인다. 표시 위치 조절 스위치(14)로부터 MPU(13a)로 명령 신호가 입력되는 한, MPU(13a)는 드라이버 회로(13b)로 마이크로-스텝 구동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스텝 모터(12)는 계속 작동된다. 그 후, 스텝 모터(12)의 로터는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13c)로부터 읽어 들인, 스텝 모터(12)의 전기 각도의 상한에 대응하는 여자 안정점에서 그에 인접하는 제1 여자 안정점으로 이동된다. 스텝 모터(12)의 로터는 인접하는 제1 여자 안정점에서 해당 인접하는 제1 여자 안정점에 후속하는 인접하는 제2 여자 안정점으로 추가로 이동된다. 로터가 하나의 여자 안정점에서 후속 여자 안정점으로 계속 이동함에 따라, 로터는 회전된다.
스텝 모터(12)의 로터가 후속 여자 안정점으로 이동 중인 시점(t21)에서 표시 위치 조절 스위치(14)가 꺼지면, MPU(13a)는 스텝 모터(12)의 로터가 후속 여자 안정점(D3)에 도달한 시점(t22)까지 계속해서 마이크로-스텝 구동 신호를 드라이버 회로(13b)로 출력한다. 이상의 작동에서, MPU(13a)는 스텝 모터(12)의 로터의 회전 속도를 감소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 MPU(13a)는 로터의 회전 속도를 도 6b의 실선(b1)으로 지시된 바와 같이 예컨대 시점(t21)에서의 로터 회전 속도의 60%에 대응하는 시점(t21)에서보다 작은 일정 속도로 감속시킨다. MPU(13a)는 스텝 모터(12)의 로터가 후속 여자 안정점(D3)에 도달한 시점(t22)까지 계속해서 이런 마이크로-스텝 구동 신호를 드라이버 회로(13b)로 출력한다. 즉, MPU(13a)는 표시 위치 조절 스위치(14)가 꺼지는 시점(t21)에서의 시간 간격보다 긴 시간 간격으로 계속해서 마이크로-스텝 구동 신호를 드라이버 회로(13b)로 출력한다.
스텝 모터(12)의 로터가 여자 안정점(D3)에 도달시, MPU(13a)는 여자 안정점(D3)에 대응하는 스텝 모터(12)의 전기 각도의 상한을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13c)에 기억한다.
모터 제어 유닛(13)은 스텝 모터(12)를 상기한 바와 같이 작동시키므로, 시점(t21)과 시점(t22) 사이의 시간에 대한 로터의 회전 각도의 변화율은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점(t21) 이전의 값보다 작은 값으로 제어된다. 즉, 로터의 회전 속도(즉, 회전 각도의 변화율)는 감소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3 실시예에 따르면, 시동키 스위치(5)가 온(ON) 상태에 있는 동안 표시 위치 조절 스위치(14)가 꺼지면, 모터 제어 유닛(13)은 스텝 모터(12)의 로터가 후속 여자 안정점에 도달할 때까지 계속해서 스텝 모터(12)를 구동한다. 또한, 이상의 작동에서, 로터의 회전 속도는 동일한 회전 방향으로 감속된다.
스텝 모터(12)의 로터의 회전 속도가 동일한 회전 방향으로 감속되는 결과, 시동키 스위치(5)가 온(ON) 상태에 있는 동안 표시 위치 조절 스위치(14)가 꺼지면, 전면 유리에 계속 표시되는 영상은 표시 위치 조절 스위치(14)가 꺼질 때 즉각적으로 변위되지 않을 것이다. 또한, 전면 유리에 계속 표시되는 영상은 표시 위치 조절 스위치(14)가 꺼지기 전의 초기 위치로 변위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스텝 모터(12)의 로터가 후속 여자 안정점으로 계속 이동되는 경우에도, 사용자(차량 운전자)의 눈에 불편한 느낌을 주지 않을 것이다.
제3 실시예에 따르면, 도 6b의 실선(b1)에 의해 지시되는 바와 같이, 스텝 모터(12)의 로터의 회전 속도는 표시 위치 조절 스위치(14)가 꺼지는 시점에서의 로터의 회전 속도보다 낮은 일정한 속도로 감소된다. 본 발명은 본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도 6b의 일점쇄선(b2)에 의해 나타낸 바와 같이, 로터의 회전 속도는 일정한 감속도로 점진적으로 감소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도 6b의 이점쇄선(b3)에 의해 지시되는 바와 같이, 로터의 회전 속도는 포물선 궤도를 그리면서 감소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로터의 회전 속도는 표시 위치 조절 스위치(14)가 꺼지는 시점에서 로터의 회전 속도보다 낮은 영역으로 임의의 방법으로 감속될 수 있다.
(제 4 실시예)
전술한 제1 실시예에 따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 제어 유닛(13)은 스텝 모터(12)의 로터가 후속 여기 안정점에 도달할 때까지 스텝 모터(12)를 계속 구동하며, 로터의 회전 속도는 시동키 스위치(5)가 시점(t2)에서 꺼질 때의 회전 속도에 대응하는 속도로 유지된다. 로터의 회전 방향도 동일한 방향으로 유지된다.
제4 실시예에 따르면, 모터 제어 유닛(13)은 스텝 모터(12)의 제어는 물론 영상의 표시 휘도의 제어를 수행한다. 시동키 스위치(5)가 꺼지면, 전력은 영상의 표시 휘도가 점차적으로 감소되는 방식으로 계속 공급된다.
이하, 도 7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라 전면 유리(4) 상에 표시된 영상의 표시 휘도와 시간 사이의 관계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7에서 시점(t31)는 도 4의 시점(t2)에 대응한다. 도 7에서 각각의 시점(t32-t34)는 스텝 모터(12)의 로터가 여자 안정점(E3)에 도달하였을 때, 즉 스텝 모터(12)의 A 위상과 B 위상의 전기 각도가 여자 안정점(E3)에 대응하는 전기 각도에 도달한 시점을 의미한다.
시동키 스위치(5)가 (시동키 스위치(5)가 꺼질 때까지) 켜진 기간 동안, 전력이 배터리(B)에서 모터 제어 유닛(13)(보다 구체적으로 MPU(13a))으로 공급된다. MPU(13a)는 전면 유리(4) 상의 영상의 표시 휘도를 일정 값으로 제어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장치(3)의 백라이트의 휘도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 장치(3)에 의해 생성되는 영상을 형성하는) 각각의 화소의 변화도(gradient) 역시 제어한다. 따라서, 차량(C)의 차량 운전자는 전면 유리(4) 상의 영상을 인식할 수 있다.
시동키 스위치(5)가 꺼졌을 때에도 전력은 배터리(B)로부터 MPU(13a)로 계속 공급됨으로써, MPU(13a)는 전면 유리(4) 상의 영상의 표시 휘도가 점차 감소되는 방식으로, 디스플레이 장치(3)에 의해 생성되는 영상을 형성하는 화소의 변화도는 물론 디스플레이 장치(3)의 백라이트의 휘도를 계속 제어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전면 유리(4) 상의 영상의 표시 휘도는 시간에 대한 일정한 변화율로 감소된다.
도 7에서 실선(c1)으로 지시된 바와 같이, 전면 유리(4) 상의 영상의 표시 휘도는 차량 운전자가 자신의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표시 휘도로부터 차량 운전자가 자신의 눈으로 인식할 수 없는 표시 휘도로 일정한 변화율로 감소된다. 이상과 같이, 전방 유리(4) 상의 영상은 사라진다. 일정한 변화율에 대한 예로서, 표시 휘도가 5초 내에 감소되어 차량 운전자가 전면 유리(4) 상에 표시되는 영상을 더 이상 인식할 필요가 없을 수 있는 휘도로 감소될 수 있는 그런 값을 바람직하게 사용한다. 본 발명은 5초로 한정되지 않으며, 임의의 다른 값으로 변화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4 실시예에 따르면, 모터 제어 유닛(13)은 스텝 모터(12)의 로터가 후속 여자 안정점에 도달할 때까지 스텝 모터(12)를 계속 구동한다. 전술한 작동에서, 로터의 회전 속도는 시동키 스위치(5)가 꺼지고 로터의 회전 방향도 동일한 방향으로 유지될 때, 회전 속도에 대응하는 속도로 유지된다.
또한, 모터 제어 유닛(13)은 스텝 모터(12)의 제어는 물론 영상의 표시 휘도의 제어를 수행한다. 즉, 시동키 스위치(5)가 꺼지면, 배터리(B)로부터 모터 제어 유닛(13)과 디스플레이 장치(3)로 전력이 계속 공급되므로 영상의 표시 휘도는 점차 감소된다.
시동키 스위치(5)가 꺼지고 회전 속도가 동일 방향으로 유지될 때 전력의 계속적 공급에 의해 영상의 표시 휘도가 점차 감소되는 결과, 전면 유리(4) 상에 표시되는 영상은 이런 표시 휘도의 점진적 감소 중에 즉각적으로 변위되지 않거나, 전면 유리(4) 상에 표시되는 영상은 시동키 스위치(5)가 꺼지기 이전의 초기 위치로 변위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스텝 모터(12)의 로터가 후속 여자 안정점으로 연속 이동시에도, 사용자(차량 운전자)의 눈에 불편한 느낌을 주지 않을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MPU(13a)는 디스플레이 장치(3)의 백라이트의 휘도 제어는 물론 디스플레이 장치(3)에 의해 생성되는 영상을 형성하는 화소의 구배에 대한 제어를 행한다. 그러나, 이런 제어 모두를 반드시 행할 필요는 없으며, 하나의 제어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전면 유리(4) 상의 영상의 표시 휘도는 시간에 대한 일정한 변화율로 감소된다. 본 발명은 이런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도 7에서 일점쇄선(c2)으로 지시된 바와 같이, 전면 유리(4) 상의 영상의 표시 휘도는 시간에 대한 변화율의 절대치가 스텝 모터(12)의 로터가 후속 여자 안정점(E3)에 가깝게 이동됨에 따라 작아지는 방식으로 감소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이점쇄선(c3)으로 지시된 바와 같이, 전면 유리(4) 상의 영상의 표시 휘도는 시간에 대한 변화율의 절대치가 스텝 모터(12)의 로터가 후속 여자 안정점(E3)에 가깝게 이동됨에 따라 커지는 그런 시간에 대한 변화율로 감소될 수 있다. 이상에서처럼, 전면 유리(4) 상의 영상의 표시 휘도는 시간에 대해 변할 수 있는 임의의 변화율로 감소될 수 있다.
(기타 변형례)
본 발명은 영상의 표시 휘도를 제어하는 모터 제어 유닛(13)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모터 제어 유닛과 별개로 휘도 제어 유닛이 제공될 수 있다.
3: 디스플레이 장치
4: 전면 유리
5: 시동키 스위치
11: 미러
12: 스텝 모터
13: 모터 제어 유닛
14: 표시 위치 조절 스위치

Claims (6)

  1. 디스플레이 장치(3)의 영상을 반사시켜 해당 영상을 차량(C)의 전면 유리(4) 상에 표시하는 미러(11)와,
    영구 자석이 마련된 로터를 구비하고 해당 로터의 회전시 미러(11)의 반사 각도를 변경시키는 스텝 모터(12)와,
    스텝 모터(12)를 마이크로-스텝 구동 방식으로 구동하는 모터 제어 유닛(13)으로서 스텝 모터(12)의 스텝 각도는 스텝 모터(12)의 로터가 각각의 미소 스텝 각도만큼 회전되도록 다수의 미소 스텝 각도로 분할되어 있는 모터 제어 유닛(13)과,
    표시 위치 조절 스위치(14)를 포함하며,
    전면 유리(4) 상의 영상의 표시 위치는 표시 위치 조절 스위치(14)가 켜질 때 조절되고,
    모터 제어 유닛(13)뿐만 아니라 스텝 모터(12)는 해당 스텝 모터(12)와 해당 모터 제어 유닛(13)에 전력이 계속 공급되도록 차량의 배터리(B)에 연결되며,
    모터 제어 유닛(13)은, 스텝 모터(12)의 로터가 후속 여자 안정점(D3, E3)으로 이동 중에 있을 때 표시 위치 조절 스위치(14) 또는 시동키 스위치(5)가 꺼지는 경우, 스텝 모터(12)의 로터가 후속 여자 안정점(D3, E3)에 대응하는 후속 전기 각도에 도달할 때까지 스텝 모터(12)에 구동 신호를 계속 출력하는 차량 디스플레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모터 제어 유닛(13)은, 스텝 모터(12)의 로터가 후속 여자 안정점(D3, E3)에 도달할 때까지 스텝 모터(12)의 로터의 회전 속도를 표시 위치 조절 스위치(14) 또는 시동키 스위치(5)가 꺼질 때의 로터의 회전 속도에 대응하는 속도로 유지하고,
    모터 제어 유닛(13)은 스텝 모터(12)의 로터의 회전 방향을 표시 위치 조절 스위치(14) 또는 시동키 스위치(5)가 꺼지는 시점에서의 로터의 회전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유지하는 차량 디스플레이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모터 제어 유닛(13)은, 스텝 모터(12)의 로터가 후속 여자 안정점(D3, E3)에 도달할 때까지 스텝 모터의 로터의 회전 속도를 표시 위치 조절 스위치(14) 또는 시동키 스위치(5)가 꺼질 때의 로터의 속도보다 낮은 속도로 감소시키고,
    모터 제어 유닛(13)은 스텝 모터(12)의 로터의 회전 방향을, 표시 위치 조절 스위치(14) 또는 시동키 스위치(5)가 꺼지는 시점에서의 로터의 회전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유지하는 차량 디스플레이 시스템.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모터 제어 유닛(13)은, 시동키 스위치(5)가 온(ON) 상태이고 표시 위치 조절 스위치(14)가 꺼져 있을 때, 스텝 모터(12)의 로터가 후속 여자 안정점(D3, E3)에 도달할 때까지 스텝 모터(12)를 계속 구동하는 차량 디스플레이 시스템.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시동키 스위치(5)가 꺼질 때 배터리로부터 전력이 계속 공급되고 시동키 스위치(5)가 꺼질 때 영상의 표시 휘도를 점차 감소시키는 휘도 제어 유닛(13)을 더 포함하는 차량 디스플레이 시스템.
  6.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차량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제공되는 모터 제어 장치.
KR1020110010663A 2010-02-08 2011-02-07 차량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이를 위한 모터 제어 장치 KR1012892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025567 2010-02-08
JP2010025567 2010-02-08
JPJP-P-2010-199195 2010-09-06
JP2010199195A JP5126323B2 (ja) 2010-02-08 2010-09-06 車両用表示システム及びモータ制御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2232A KR20110092232A (ko) 2011-08-17
KR101289229B1 true KR101289229B1 (ko) 2013-07-29

Family

ID=443531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0663A KR101289229B1 (ko) 2010-02-08 2011-02-07 차량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이를 위한 모터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674646B2 (ko)
JP (1) JP5126323B2 (ko)
KR (1) KR101289229B1 (ko)
DE (1) DE102011000523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93279B2 (ja) * 2010-03-30 2012-12-12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JP5099165B2 (ja) * 2010-03-30 2012-12-12 株式会社デンソー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TW201345578A (zh) 2012-01-31 2013-11-16 Sanofi Aventis Deutschland 施配組件之限制使用壽命
JP5464219B2 (ja) * 2012-02-03 2014-04-09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JP5464222B2 (ja) * 2012-02-08 2014-04-09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JP2015047010A (ja) * 2013-08-28 2015-03-12 日本精機株式会社 表示装置
JP6326936B2 (ja) * 2014-04-23 2018-05-23 日本精機株式会社 表示装置
KR101543159B1 (ko) * 2014-05-02 2015-08-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카메라를 이용한 영상 조정 시스템 및 방법
WO2017033718A1 (ja) * 2015-08-24 2017-03-02 株式会社デンソー 電源制御装置および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JP6376173B2 (ja) * 2015-08-24 2018-08-22 株式会社デンソー 電源制御装置および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CA3006560C (en) * 2016-01-16 2020-08-25 Leia Inc. Multibeam diffraction grating-based head-up display
CN111566538B (zh) 2017-12-18 2023-09-08 镭亚股份有限公司 基于多光束元件的抬头显示器、系统、与方法
JP6888785B2 (ja) * 2018-02-01 2021-06-16 アルパイン株式会社 車載用表示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6891A (ja) * 1993-07-29 1995-02-14 Mitsubishi Electric Corp ステップモータの駆動制御装置
JPH11262297A (ja) * 1998-03-13 1999-09-24 Oriental Motor Co Ltd ステッピングモータの制御装置
JP2004090713A (ja) * 2002-08-30 2004-03-25 Nippon Seiki Co Ltd 車両用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09909A (ja) 1991-04-09 1992-11-02 Hitachi Ltd ズームレンズ鏡筒
DE19521445A1 (de) * 1995-06-16 1996-12-19 Moto Meter Gmbh Verfahren zur Ansteuerung eines Schrittmotors und Vorrichtung dazu
JP3477995B2 (ja) * 1996-05-23 2003-12-10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指針装置
JP3625272B2 (ja) * 2000-09-29 2005-03-02 矢崎総業株式会社 ステッパモータの初期設定装置及び初期設定方法
EP1500548B1 (en) 2002-04-22 2007-04-25 Nippon Seiki Co., Ltd. Display for vehicle
JP2006158019A (ja) 2004-11-26 2006-06-15 Konica Minolta Photo Imaging Inc ステッピングモータの駆動方法、駆動機構及び撮像装置
JP4309909B2 (ja) 2006-12-01 2009-08-05 矢崎総業株式会社 車両用表示装置及びその表示位置調整支援方法
JP4241888B2 (ja) * 2008-06-05 2009-03-18 株式会社デンソー 液晶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6891A (ja) * 1993-07-29 1995-02-14 Mitsubishi Electric Corp ステップモータの駆動制御装置
JPH11262297A (ja) * 1998-03-13 1999-09-24 Oriental Motor Co Ltd ステッピングモータの制御装置
JP2004090713A (ja) * 2002-08-30 2004-03-25 Nippon Seiki Co Ltd 車両用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674646B2 (en) 2014-03-18
JP5126323B2 (ja) 2013-01-23
US20110193508A1 (en) 2011-08-11
DE102011000523B4 (de) 2020-01-23
DE102011000523A1 (de) 2012-02-16
JP2011178380A (ja) 2011-09-15
KR20110092232A (ko) 2011-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9229B1 (ko) 차량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이를 위한 모터 제어 장치
JP5464219B2 (ja) 車両用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JP5464222B2 (ja) 車両用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JP5093279B2 (ja) 車両用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WO2015029737A1 (ja) 表示装置
KR101704366B1 (ko) 차량용 헤드업 디스플레이 장치
JP5488279B2 (ja) 車両用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JP5099165B2 (ja)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JP6326936B2 (ja) 表示装置
JP6265601B2 (ja)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JP5799864B2 (ja) 車両用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JP5394642B2 (ja) ステッピングモータ制御装置、アクチュエータ装置、及び車両用ヘッドランプ装置
JP2004246294A (ja) カメラ移動装置
JP2018184061A (ja) 車両用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