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8382B1 - 사진 교체가 가능한 장신구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사진 교체가 가능한 장신구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8382B1
KR101288382B1 KR1020120059131A KR20120059131A KR101288382B1 KR 101288382 B1 KR101288382 B1 KR 101288382B1 KR 1020120059131 A KR1020120059131 A KR 1020120059131A KR 20120059131 A KR20120059131 A KR 20120059131A KR 101288382 B1 KR101288382 B1 KR 1012883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cture
jewel
circular
convex lens
photograp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91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미하
전덕호
Original Assignee
전덕호
전미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덕호, 전미하 filed Critical 전덕호
Priority to KR10201200591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83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83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83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5/00Miscellaneous fancy ware for personal wear, e.g. pendants, crosses, crucifixes, charms
    • A44C25/001Pendants
    • A44C25/002Pendants forming a container, e.g. for picture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7/00Making jewellery or other personal adorn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79Improving the user comfort or ergonomics
    • H04M1/0283Improving the user comfort or ergonomics for providing a decorative aspect, e.g. customization of casings, exchangeable facepl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사진이나 그림을 소지하고 있다가 싫증이 날 때마다 사진이나 그림을 쉽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장신구를 분실하지 않는 이상 언제나 새로운 느낌의 반영구적인 장신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플라스틱을 이용하여 장신구용 테두리에 보석 취부용 홈이 형성되고, 중앙에 단턱이 형성된 원형의 구멍이 형성된 장신구용 몸체를 사출 성형하는 단계; 상기한 원형의 구멍의 단턱에 일치하는 턱을 가진 투시용 원형 볼록렌즈를 조립하는 단계; 상기한 투시용 원형 볼록렌즈의 내면에 일치하도록 사진 또는 그림을 끼우는 단계; 사진 또는 그림을 끼운 후 상기한 원형 구멍의 단턱 및 볼록렌즈의 단턱에 일치하는 원형 뚜껑을 회전 가능하도록 조립하는 단계; 상기한 보석 취부용 홈에 통상의 방법으로 보석 알을 부착시키는 알 물리기 단계; 및 상기한 몸체(1)의 연결고리 취부공에 연결고리와 목걸이 또는 열쇠고리를 결합하고, 확대경을 이용하여 보석 알 물림 상태의 정밀검사 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사진 교체가 가능한 장신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사진 교체가 가능한 장신구 및 그 제조방법{An Accessory and making process of it's}
본 발명은 사진 교체가 가능한 장신구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나의 장신구로 관광지의 기념사진이나 가족사진 또는 좋아하는 그림을 교체하여 내장함으로 보는 각도에 따라 1.5배 내지 3배로 확대하여 보이며 입체적으로 보일 뿐만 아니라 사진이나 그림이 싫증이 나면 쉽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신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장신구는 인간의 몸치장을 하는데 쓰는 도구로써, 구석기 시대로부터 몸의 각 부분을 치레하는 여러 가지 장신구가 발달하여 왔으며, 오늘날 인류의 생활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인간의 외모를 치장하기 위한 그 수요가 급증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신석기시대의 유적에서부터 목걸이 등의 장신구가 발견되고 있어 장신구 산업분야는 날로 급증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와 같은 장신구는 비녀, 빗, 반지, 팔지, 목걸이, 머리핀, 귀걸이 등과 같이 신체에 직접 착용하여 아름다움, 세련된 감각으로 직접적으로 외모를 부각시키는 것과, 옷, 가방, 휴대폰 등과 같은 보조적인 수단에 부착하여 간접적으로 시각적 미감과 심미감을 불러일으키는 것으로 사용되고 있다.
목걸이나 휴대폰 줄에 달아 사용하는 장신구는 일반적으로 정면에 여러 장식효과를 가지는 보석류 등을 크기 색상에 따라 여러 가지 방식으로 배치하여 장식효과를 나타내는 것이지만 급변하는 유행에 적절히 따르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상기한 목걸이나 휴대폰 줄에 달아 사용하는 장신구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 0316388호 “홀로그램을 이용한 인조보석 장신구”가 게시되어 있다.
상기 홀로그램을 이용한 인조보석 장신구는 내부에 홀로그램 시트에 의해 반사되는 빛을 투명한 재질로 구성된 볼록한 표면의 장식부재를 통해 전달하게 되어 시각적 미감을 줄 수 있도록 하는 것이지만, 이는 단순히 홀로그램 시트 주위를 일정한 두께로 일체 마감하여 이중구조를 갖도록 구성한 것으로 이는 단색의 홀로그램 시트에 의해서만 심미감을 전달함으로 다양한 색체 및 입체감을 줄 수 없다는 문제점이 내재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 0210902호에는 “투명 장식창을 가진 장신구”가 게시되어 있다.
상기 투명 장식창을 가진 장신구는 중앙이 통공되고 정면이 임의의 보석류로 장식된 테두리의 내측면에 일체로 원환상의 돌출모양으로 된 장식테와 투명성을 갖는 투명 장식판을 각각 따로 제조하여 상기한 투명 장식판을 상기한 장식테의 고정턱 부분에 삽입 접착 고정하는 것으로 상기한 투명 장식판의 재질과 배면에 인쇄되는 장식을 바꾸면 저렴하게 새로운 장신구를 얻게 되는 효과가 있지만, 이 역시 한 가지 장신구로 다양한 문양을 나타내지 못하고 다양한 입체감을 느낄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05-0093584호에는 “내부 문양을 갖는 장신구 및 제조방법”이 출원된 바 있다.
상기 내부 문양을 갖는 장신구 및 제조방법의 구성은 장신구 몸체 내부에 다양한 문양, 그림을 인쇄하는 최대한 몸체의 크기보다 작은 문양 인쇄부를 형성하여 되는 것으로, 이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의 외장 내면에 형성된 다양한 그림, 문양에 의해 심미감을 줄 수 있도록 한 것이나, 이는 상기한 “홀로그램을 이용한 인조보석 장신구”를 개량한 것으로 인쇄된 다양한 문양, 그림을 볼 수는 있지만 문양이나 그림을 보는 각도에 따라 각기 다르게 보이거나 입체적으로는 볼 수 없어 시각적으로 단조로움을 벗어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3134343호에는 “귀금속의 기반, 이 기반 상에 배설되는 회화 또는 사진 및 이 회화 또는 사진을 피복하는 수정판으로 되는 장식품에 대해, 이 수정판은 표리면 측을 거의 동일한 곡률로 한 볼록한 모양의 원활한 만곡체로 하고, 이 수정판의 단연부에 의해 회화 또는 사진의 주연부를 누르는 한편 이 수정판은 그 단연부의 표면 측을 이 기반의 주위로부터 시작한 귀금속제의 입상부에 의해 고정되는 장식품”에 관한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귀금속제의 입상부에 의해 고정되는 장식품은 장신구의 보는 각도와 방향에 따라 내부의 사진이나 그림을 다르게 확대하여 볼 수 있음으로 입체적인 느낌을 주는 효과 및 장신구를 홍보용으로 이용할 수 있는 효과 등이 결여되어 있어 널리 활용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일본 등록실용신안공보 실용신안등록 제3125675호에는 “용기상 본체와, 용기상 본체의 상부 외주에 경첩으로 개폐가능하게 설치되어 해당 경첩 부분의 상부에 체인류를 삽통하기 위한 관 모양 부분이 형성된, 용기상 본체의 개구부분에 장착 가능하도록 한 장식 프레임과 해달 장식 프레임의 상기 관 모양 부분에 조환을 끼워 넣어 상기 용기상 본체의 개구 부분에 매달리는 장식체를 갖추고, 상기 장식 프레임의 관 모양 부분의 체인류 삽통부와 장식체의 조환의 체인류 삽통부가 연통하도록 장식체의 조환을 장식 프레임의 상기 관 모양 부분에 흔들림이 자재하도록 설치한 팬던트”에 관한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이 역시 장식체만을 이용하는 모양 외에, 장식 프레임의 개구 부분 내에 장식체를 매달아 장식체와 장식 프레임을 일체로 한 모양으로도 사용할 수가 있어 다양하게 변화할 수 있는 펜던트를 얻을 수 있는 효과만 있을 뿐 장신구의 보는 각도와 방향에 따라 내부의 사진이나 그림을 다르게 확대하여 볼 수 있음으로 입체적인 느낌을 주는 효과 및 장신구를 홍보용으로 이용할 수 있는 효과 등이 결여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사진이나 그림을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는 기재나 암시가 없는 것이다.
한편, 이건 발명의 출원인이 선출원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0-0046401호(장신구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중앙에 볼록렌즈 조립용 단턱이 형성된 호형의 요홈이 형성된 장신구용 몸체와, 상기한 호형의 요홈에 일치하도록 한 사진 또는 그림과, 상기한 사진 또는 그림의 외측에 호형 요홈의 볼록렌즈 조립용 단턱에 일치하는 호형 볼록렌즈를 조립하고, 상기한 보석 취부용 홈에 보석 알을 물려서 구성”되는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상기 선출원 장신구는 보는 각도와 방향에 따라 내부의 사진이나 그림을 다르게 확대하여 볼 수 있음으로 입체적인 느낌을 주는 효과 및 장신구를 홍보용으로 이용할 수 있는 효과는 있지만, 사진이나 그림이 싫증이 나면 쉽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없어 사용자가 하나의 장신구로 여러 개의 장신구 효과를 기대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장신구의 보는 각도와 방향에 따라 내부의 사진이나 그림을 다르게 확대하여 볼 수 있음으로 입체적인 느낌을 주어 인쇄된 다양한 문양, 그림을 볼 수 있으면서, 사진이나 그림이 싫증이 나면 쉽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장신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장신구에 회사, 영업소의 홍보 사진을 넣어 판촉 및 홍보용으로 이용할 수 있는 효과와, 일반인들에게는 본인이나, 가족사진, 좋아하는 연예인 또는 운동선수의 사진을 항상 휴대하면서 싫증이 날 때마다 쉽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신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장신구를 제조함에 있어서,
플라스틱을 이용하여 장신구용 테두리에 보석 취부용 홈이 형성되고, 중앙에 단턱이 형성된 원형의 구멍이 형성된 장신구용 몸체를 사출 성형하는 단계;
상기한 원형의 구멍의 단턱에 일치하는 턱을 가진 투시용 원형 볼록렌즈를 조립하는 단계;
상기한 투시용 원형 볼록렌즈의 내면에 일치하도록 사진 또는 그림을 끼우는 단계;
사진 또는 그림을 끼운 후 상기한 원형 구멍의 단턱 및 볼록렌즈의 단턱에 일치하는 원형 뚜껑을 회전 가능하도록 조립하는 단계; 및
상기한 보석 취부용 홈에 통상의 방법으로 보석 알을 부착시키는 알 물리기 단계;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 교체가 가능한 장신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되는 장신구에 알 물림은 정확한지 여부의 정밀검사 및 장신구용 몸체에 연결고리 끼우기 및 목걸이 줄 연결 공정이 추가됨은 주지 관용기술에 속하는 것이며, 제품을 최종적으로 검사하여 포장하여 상품으로 판매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사진이나 그림이 블록렌즈의 원형의 홈 내부에 끼워져 조립되기 때문에 장신구의 보는 각도와 방향에 따라 내부의 사진이나 그림을 다르게 확대하여 볼 수 있음은 물론 뚜껑을 회전하여 사진이나 그림을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여러 가지 사진이나 그림을 소지하고 있다가 싫증이 날 때마다 사진이나 그림을 쉽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장신구를 분실하지 않는 이상 언제나 새로운 느낌의 반영구적인 장신구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성의 일예를 보인 분해도.
도 2는 본 발명을 조립한 상태의 일예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이면 및 뚜껑을 보인 예시도.
이하에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겸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구성의 일예를 보인 분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을 조립한 상태의 일예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이면 및 뚜껑을 보인 예시도이다.
본 발명은 장신구를 제조함에 있어서,
플라스틱을 이용하여 장신구용 테두리에 보석(5) 취부용 홈(4)이 형성되고, 중앙에 단턱(2, 9)이 형성된 원형의 구멍(3)이 형성된 장신구용 몸체(1)를 사출 성형하는 단계;
상기한 원형의 구멍(3)의 단턱(2)에 일치하는 턱을 가진 투시용 원형 볼록렌즈(7)를 조립하는 단계;
상기한 투시용 원형 볼록렌즈(7)의 내면에 일치하도록 사진 또는 그림(6)을 끼우는 단계;
사진 또는 그림(7)을 끼운 후 상기한 원형 구멍의 단턱(9) 및 볼록렌즈(7)의 단턱에 일치하는 원형 뚜껑(8)을 회전 가능하도록 조립하는 단계;
상기한 보석(5) 취부용 홈(4)에 통상의 방법으로 보석 알을 부착시키는 알 물리기 단계; 및
상기한 몸체(1)의 연결고리 취부공에 연결고리와 목걸이 또는 열쇠고리를 결합하고, 확대경을 이용하여 보석 알 물림의 정밀검사와 최종 제품의 합격여부를 통상의 방법으로 검사하여 포장 후 출시하는 단계;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 교체가 가능한 장신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에서 원형 뚜껑(8)의 이면(뒷면) 중앙에는 뚜껑을 조립하거나 해체할 때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돌기가 형성된 손잡이(10)홈을 형성하고 뚜껑(8)의 회전방향을 나타내는 회전표시를 함으로 보다 쉽게 뚜껑(8)의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투시용 렌즈(7)는 평면렌즈도 가능하지만 평면렌즈는 사진이나 그림이 확대되지 않으므로 볼록렌즈를 사용하는 것이 보는 방향에 따라 사진이나 그림(6)이 다르게 확대되어 보이므로 신비감을 자아낼 수 있는 효과를 더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에서 보석 알은 실질적인 보석(5)을 사용할 수도 있지만 가격이 고가임으로 플라스틱이나 유리로 된 인조보석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조립이 끝난 후에는 연결고리의 연결고리 취부공에 연결고리와 목걸이 또는 열쇠고리를 결합하고, 확대경을 이용하여 보석 알 물림의 정밀검사와 최종 제품의 합격여부를 검사하여 포장 후 상품으로 출하하는 것이다.
도면에서는 본 발명의 장신구의 몸체를 대략 다이아몬드 형으로 도시하였지만 그 형상은 여러 가지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장신구의 구조는, 장신구용 테두리에 보석 취부용 홈이 형성되고, 중앙에 볼록렌즈 조립용 단턱이 형성된 원형의 구멍이 형성된 장신구용 몸체와, 상기한 투시용 원형 볼록렌즈와 일치하도록 한 사진 또는 그림과, 상기한 사진 또는 그림의 이면 중앙에 돌기가 형성된 손잡이가 형성되고 회전방향을 나타내는 회전표시를 한 뚜껑을 조립하고, 상기한 보석 취부용 홈(4)에 보석(5) 알을 물려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를 제공한다.
1: 몸체 2: 단턱
3: 구멍 4: 보석 취부용 홈
5: 보석 6: 사진 또는 그림
7: 볼록렌즈 8: 뚜껑
9: 단턱 10: 손잡이

Claims (2)

  1. 장신구를 제조함에 있어서,
    플라스틱을 이용하여 장신구용 테두리에 보석(5) 취부용 홈(4)이 형성되고, 중앙에 단턱(2, 9)이 형성되고 원형의 구멍(3)이 형성된 장신구용 몸체(1)를 사출 성형하는 단계;
    상기한 원형의 구멍의 단턱(2)에 일치하는 턱을 가진 투시용 원형 볼록렌즈(7)를 조립하는 단계;
    상기한 투시용 원형 볼록렌즈(7)의 내면에 일치하도록 사진 또는 그림(6)을 끼우는 단계;
    사진 또는 그림(6)을 끼운 후 상기한 원형 구멍(3)의 단턱(2)과 볼록렌즈의 단턱에 일치하는 손잡이(10)가 형성된 원형 뚜껑(8)을 회전 가능하도록 조립하는 단계;
    상기한 보석 취부용 홈(4)에 통상의 방법으로 보석(5) 알을 부착시키는 알 물리기 단계; 및
    상기한 몸체(1)의 연결고리 취부공에 연결고리와 목걸이 또는 열쇠고리를 결합하고, 확대경을 이용하여 보석 알 물림 상태의 정밀검사와 최종 제품의 합격여부를 통상의 방법으로 검사하여 포장 후 출시하는 단계;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 교체가 가능한 장신구의 제조방법.
  2. 장신구의 구조는 장신구용 테두리에 보석(5) 취부용 홈(4)이 형성되고, 중앙에 볼록렌즈(7) 조립용 단턱(2)이 형성되고 원형의 구멍(3)이 형성된 장신구용 몸체(1)와, 상기한 투시용 원형 볼록렌즈(7)와 일치하도록 한 사진 또는 그림(6)과, 상기한 사진 또는 그림(6)의 이면 중앙에 돌기가 형성된 손잡이(10)가 형성되고 회전방향을 나타내는 회전표시를 한 뚜껑(8)을 조립하고, 상기한 보석 취부용 홈(4)에 보석(5) 알을 물려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
KR1020120059131A 2012-06-01 2012-06-01 사진 교체가 가능한 장신구 및 그 제조방법 KR1012883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9131A KR101288382B1 (ko) 2012-06-01 2012-06-01 사진 교체가 가능한 장신구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9131A KR101288382B1 (ko) 2012-06-01 2012-06-01 사진 교체가 가능한 장신구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8382B1 true KR101288382B1 (ko) 2013-07-22

Family

ID=489977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9131A KR101288382B1 (ko) 2012-06-01 2012-06-01 사진 교체가 가능한 장신구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838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097654A (ja) * 2017-11-29 2019-06-24 万博 古谷 装身具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90119716A (ko) 2018-04-13 2019-10-23 이종보 이미지 확대 기능을 갖는 장신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25675U (ko) * 1990-04-02 1991-12-18
KR200210902Y1 (ko) 2000-07-29 2001-01-15 임지언 투명장식창을 가진 장신구
KR20090005402U (ko) * 2007-11-30 2009-06-03 주식회사 에이치오엔 장식판을 교체할 수 있는 액세서리용 펜던트
KR20110126892A (ko) * 2010-05-18 2011-11-24 전미하 장신구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25675U (ko) * 1990-04-02 1991-12-18
KR200210902Y1 (ko) 2000-07-29 2001-01-15 임지언 투명장식창을 가진 장신구
KR20090005402U (ko) * 2007-11-30 2009-06-03 주식회사 에이치오엔 장식판을 교체할 수 있는 액세서리용 펜던트
KR20110126892A (ko) * 2010-05-18 2011-11-24 전미하 장신구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097654A (ja) * 2017-11-29 2019-06-24 万博 古谷 装身具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90119716A (ko) 2018-04-13 2019-10-23 이종보 이미지 확대 기능을 갖는 장신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26803B2 (en) Your view
US20130263625A1 (en) Magnetically interchangeable jewelry and accessories
CN110325068A (zh) 颈饰和紧固件
KR101288382B1 (ko) 사진 교체가 가능한 장신구 및 그 제조방법
KR101345128B1 (ko) 펜던트
KR20110126892A (ko) 장신구 및 그 제조방법
KR20210037852A (ko) 비즈가 장식되는 브러시
JP2009028521A (ja) 真珠母貝表面にアートを施した宝飾具および/または装飾具
JP2596305Y2 (ja) 貴金属光沢を備えた装飾珠
KR20210056091A (ko) 온도에 따라 색이 변하는 펜던트 및 이를 포함한 목걸이
KR102211510B1 (ko) 회전표시판이 구비된 펜던트
CN211747424U (zh) 一种戒指
KR102187413B1 (ko) 장식구 고정구
KR200316388Y1 (ko) 홀로그램을 이용한 인조보석 장신구
KR102210833B1 (ko) 장신구용 장식구의 카멜레온 세팅방법
JP3134343U (ja) 装飾品
KR102383077B1 (ko) 특정 부위를 기부에 사용할 수 있는 반지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기부 반지
JP3021234U (ja) 数珠状装身具
KR200280848Y1 (ko) 악세사리용 비드
KR20110043915A (ko) 반지
JP3170401U (ja) 彩絵飾りエレメント
TW202207834A (zh) 飾件載體
KR200285967Y1 (ko) 악세사리용 비드
TW552153B (en) Mounting structure and method of eye accessory for decoration and doll
TWM608335U (zh) 飾件載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