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6892A - 장신구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장신구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6892A
KR20110126892A KR1020100046401A KR20100046401A KR20110126892A KR 20110126892 A KR20110126892 A KR 20110126892A KR 1020100046401 A KR1020100046401 A KR 1020100046401A KR 20100046401 A KR20100046401 A KR 20100046401A KR 20110126892 A KR20110126892 A KR 201101268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cture
arc
jewelry
convex lens
orna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64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미하
Original Assignee
전미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미하 filed Critical 전미하
Priority to KR10201000464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26892A/ko
Publication of KR201101268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689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7/00Gems or the like
    • A44C17/04Setting gems in jewellery; Setting-tool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5/00Miscellaneous fancy ware for personal wear, e.g. pendants, crosses, crucifixes, charms
    • A44C25/001Pendants
    • A44C25/002Pendants forming a container, e.g. for picture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7/00Making jewellery or other personal adornments
    • A44C27/001Materials for manufacturing jewellery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5/00Key-ring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9/00Finger-ring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신구의 보는 각도와 방향에 따라 내부의 사진이나 그림을 다르게 확대하여 볼 수 있음으로 입체적인 느낌을 주어 인쇄된 다양한 문양, 그림을 볼 수 있는 장신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플라스틱을 이용하여 장신구용 테두리에 보석 취부용 홈이 형성되고, 중앙에 단턱이 형성된 호형의 요홈이 형성된 장신구용 몸체를 사출 성형하는 단계; 상기한 호형의 요홈에 일치하도록 사진 또는 그림을 끼우는 단계; 사진 또는 그림을 끼운 후 상기한 호형 요홈의 단턱에 일치하는 호형 볼록렌즈를 조립하는 단계; 및 상기한 보석 취부용 홈에 보석 알을 부착시키는 알 물리기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장신구 및 그 제조방법{An Accessory and making process of it's}
본 발명은 장신구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관광지의 기념사진이나 가족사진 또는 좋아하는 그림을 내장하여 보는 각도에 따라 1.5배 내지 3배로 확대하여 보이며 입체적으로 보이는 목걸이나 키홀더 등으로 이용되는 장신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장신구는 생활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인간의 외모를 치장하기 위한 것으로 그 수요가 급증하여 장신구 산업분야가 급증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와 같은 장신구는 반지, 팔지, 목걸이, 머리핀, 귀걸이 등과 같이 신체에 직접 착용하여 아름다움, 세련된 감각으로 직접적으로 외모를 부각시키는 것과, 옷, 가방, 휴대폰 등과 같은 보조적인 수단에 부착하여 간접적으로 시각적 미감과 심미감을 불러일으키는 것으로 사용되고 있다.
목걸이나 휴대폰 줄에 달아 사용하는 장신구는 일반적으로 정면에 여러 장식효과를 가지는 보석류 등을 크기 색상에 따라 여러 가지 방식으로 배치하여 장식효과를 나타내는 것이지만 급변하는 유행에 적절히 따르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상기한 목걸이나 휴대폰 줄에 달아 사용하는 장신구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 0316388호 “홀로그램을 이용한 인조보석 장신구”가 게시되어 있다.
상기 홀로그램을 이용한 인조보석 장신구는 내부에 홀로그램 시트에 의해 반사되는 빛을 투명한 재질로 구성된 볼록한 표면의 장식부재를 통해 전달하게 되어 시각적 미감을 줄 수 있도록 하는 것이지만, 이는 단순히 홀로그램 시트 주위를 일정한 두께로 일체 마감하여 이중구조를 갖도록 구성한 것으로 이는 단색의 홀로그램 시트에 의해서만 심미감을 전달함으로 다양한 색채 및 입체감을 줄 수 없다는 문제점이 내재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 0210902호에는 "투명장식창을 가진 장신구"가 게시되어 있다.
상기 투명장식창을 가진 장신구는 중앙이 통공되고 정면이 임의의 보석류로 장식된 테두리의 내측면에 일체로 원환상의 돌출모양으로 된 장식테와 투명성을 갖는 투명 장식판을 각각 따로 제조하여 상기한 투명 장식판을 상기한 장식테의 고정턱 부분에 삽입 접착 고정하는 것으로 상기한 투명 장식판의 재질과 배면에 인쇄되는 장식을 바꾸면 저렴하게 새로운 장신구를 얻게 되는 효과가 있지만, 이 역시 한 가지 장신구로 다양한 문양을 나타내지 못하고 다양한 입체감을 느낄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05-0093584호에는 "내부 문양을 갖는 장신구 및 제조방법"이 출원된 바 있다.
상기 내부 문양을 갖는 장신구 및 제조방법의 구성은 장신구 몸체 내부에 다양한 문양, 그림을 인쇄하는 최대한 몸체의 크기보다 작은 문양 인쇄부를 형성하여 되는 것으로, 이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의 외장 내면에 형성된 다양한 그림, 문양에 의해 심미감을 줄 수 있도록 한 것이나, 이는 상기한 "홀로그램을 이용한 인조보석 장신구"를 개량한 것으로 인쇄된 다양한 문양, 그림을 볼 수는 있지만 문양이나 그림을 보는 각도에 따라 각기 다르게 보이거나 입체적으로는 볼 수 없어 시각적으로 단조로움을 벗어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장신구의 보는 각도와 방향에 따라 내부의 사진이나 그림을 다르게 확대하여 볼 수 있음으로 입체적인 느낌을 주어 인쇄된 다양한 문양, 그림을 볼 수 있는 장신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관광지에서 관광객의 관광 기념품 또는 선물용으로 구입함으로 관광지 홍보용 장신구를 제공하는 것을 제2의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장신구에 회사, 가게, 마켓, 음식점 등의 홍보 사진을 넣어 비즈니스 홍보용으로 이용할 수 있는 효과와, 일반인들에게는 본인이나, 가족사진, 좋아하는 연예인 또는 운동선수의 사진을 넣어 항상 휴대할 수 있는 장신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플라스틱을 이용하여 장신구용 테두리에 보석 취부용 홈이 형성되고, 중앙에 단턱이 형성된 호형의 요홈이 형성된 장신구용 몸체를 사출 성형하는 단계;
상기한 호형의 요홈에 일치하도록 사진 또는 그림을 끼우는 단계;
사진 또는 그림을 끼운 후 상기한 호형 요홈의 단턱에 일치하는 호형 볼록렌즈를 조립하는 단계; 및
상기한 보석 취부용 홈에 보석 알을 부착시키는 알 물리기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되는 장신구에 알 물림은 정확한지 여부의 정밀검사 및 장신구용 몸체에 연결고리 끼우기 및 목걸이 줄 연결 공정이 추가됨은 주지 관용기술에 속하는 것이며, 제품을 최종적으로 검사하여 포장하여 상품으로 판매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사진이나 그림이 호형의 요홈에 부착한 후 그 상면에 호형의 볼록렌즈를 조립하였기 때문에 장신구의 보는 각도와 방향에 따라 내부의 사진이나 그림을 다르게 확대하여 볼 수 있음으로 입체적인 느낌을 주어 인쇄된 다양한 문양, 그림을 볼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진을 관광지의 풍경사진으로 하는 경우에는 관광지 홍보용 장신구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으며, 사진을 회사, 가게, 마켓, 음식점 등의 홍보 사진으로 대치하면 비즈니스 홍보용으로 이용할 수 있는 또 다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성의 일예를 보인 분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을 조립한 상태의 일예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이다.
이하에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겸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구성의 일예를 보인 분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을 조립한 상태의 일예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플라스틱을 이용하여 장신구용 테두리에 보석 취부용 홈(1)이 형성되고, 중앙에 볼록렌즈(9) 조립용 단턱(7)이 형성된 호형의 요홈(3)이 형성된 장신구용 몸체(10)를 사출 성형하는 단계;
상기한 호형의 요홈(3)에 일치하도록 사진 또는 그림을 끼우는 부착하는 단계;
사진 또는 그림(8)을 부착한 후 상기한 호형 요홈(3)의 볼록렌즈(9) 조립용 단턱(7)에 일치하는 호형 볼록렌즈(9)를 조립하는 단계; 및
상기한 보석 취부용 홈(1)에 보석 알(2)을 취부시키는 알 물리기 단계;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에서 보석 알(2)은 실질적인 보석을 사용할 수도 있지만 가격이 고가임으로 플라스틱이나 유리로 된 인조보석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조립이 끝난 후에는 연결고리(5)의 연결고리 취부공(4)에 연결고리(5)와 목걸이 또는 열쇠고리(6)를 결합하고, 확대경을 이용하여 보석 알(2) 물림의 정밀검사와 최종 제품의 합격여부를 검사하여 포장 후 상품으로 출하하는 것이다.
도면에서는 본 발명의 장신구의 몸체(10)를 대략 다이아몬드 형으로 도시하였지만 그 형상은 여러 가지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장신구의 구조는 장신구용 테두리에 보석 취부용 홈(1)이 형성되고, 중앙에 볼록렌즈 조립용 단턱(7)이 형성된 호형의 요홈(3)이 형성된 장신구용 몸체(10)와, 상기한 호형의 요홈(3)에 일치하도록 한 사진 또는 그림과, 상기한 사진 또는 그림(8)의 외측에 호형 요홈(3)의 볼록렌즈 조립용 단턱(7)에 일치하는 호형 볼록렌즈(9)를 조립하고, 상기한 보석 취부용 홈(1)에 보석 알(2)을 물려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를 제공한다.
1: 보석 취부용 홈
2: 보석 알
3: 호형의 요홈
4: 연결고리 취부공
5: 연결고리
6: 열쇠고리 또는 목걸이 줄
7: 볼록렌즈 조립용 단턱
8: 사진 또는 그림
9: 볼록렌즈

Claims (2)

  1. 플라스틱을 이용하여 장신구용 테두리에 보석 취부용 홈이 형성되고, 중앙에 볼록렌즈 조립용 단턱이 형성된 호형의 요홈이 형성된 장신구용 몸체를 사출 성형하는 단계;
    상기한 호형의 요홈에 일치하도록 사진 또는 그림을 끼우는 사진 또는 그림을 부착하는 단계;
    사진 또는 그림을 부착한 후 상기한 호형 요홈의 볼록렌즈 조립용 단턱에 일치하는 호형 볼록렌즈를 조립하는 단계; 및
    상기한 보석 취부용 홈에 보석 알을 취부시키는 알 물리기 단계;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의 제조방법.
  2. 장신구의 구조는 장신구용 테두리에 보석 취부용 홈(1)이 형성되고, 중앙에 볼록렌즈 조립용 단턱(7)이 형성된 호형의 요홈(3)이 형성된 장신구용 몸체(10)와, 상기한 호형의 요홈(3)에 일치하도록 한 사진 또는 그림과, 상기한 사진 또는 그림(8)의 외측에 호형 요홈(3)의 볼록렌즈 조립용 단턱(7)에 일치하는 호형 볼록렌즈(9)를 조립하고, 상기한 보석 취부용 홈(1)에 보석 알(2)을 물려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신구.
KR1020100046401A 2010-05-18 2010-05-18 장신구 및 그 제조방법 KR201101268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6401A KR20110126892A (ko) 2010-05-18 2010-05-18 장신구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6401A KR20110126892A (ko) 2010-05-18 2010-05-18 장신구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6892A true KR20110126892A (ko) 2011-11-24

Family

ID=45395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6401A KR20110126892A (ko) 2010-05-18 2010-05-18 장신구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2689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0278B1 (ko) * 2012-06-21 2013-01-10 이재영 액세서리용 렌즈유닛
KR101288382B1 (ko) * 2012-06-01 2013-07-22 전덕호 사진 교체가 가능한 장신구 및 그 제조방법
KR20190119716A (ko) 2018-04-13 2019-10-23 이종보 이미지 확대 기능을 갖는 장신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8382B1 (ko) * 2012-06-01 2013-07-22 전덕호 사진 교체가 가능한 장신구 및 그 제조방법
KR101220278B1 (ko) * 2012-06-21 2013-01-10 이재영 액세서리용 렌즈유닛
WO2013191354A1 (en) * 2012-06-21 2013-12-27 Jae Young Lee Lens unit for accessory
KR20190119716A (ko) 2018-04-13 2019-10-23 이종보 이미지 확대 기능을 갖는 장신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26803B2 (en) Your view
KR20110126892A (ko) 장신구 및 그 제조방법
KR101288382B1 (ko) 사진 교체가 가능한 장신구 및 그 제조방법
JP3898730B1 (ja) 螺鈿様装飾品
KR101623852B1 (ko) 장신구용 메달 및 그 메달 제조방법
TW552153B (en) Mounting structure and method of eye accessory for decoration and doll
KR200316388Y1 (ko) 홀로그램을 이용한 인조보석 장신구
JP3235480U (ja) 宝飾体
KR200354319Y1 (ko) 내부 문양을 갖는 장신구
JP3021234U (ja) 数珠状装身具
KR102210833B1 (ko) 장신구용 장식구의 카멜레온 세팅방법
JP3134343U (ja) 装飾品
KR200368733Y1 (ko) 장신구용 홀로그램판
JP3151746U (ja) 重ね合せ装飾体
TWM608335U (zh) 飾件載體
JP2009254704A (ja) 鏡面装身具
KR101925844B1 (ko) 장식용 금덩이가 고정되는 장식용 카드
JP3026276U (ja) 装飾品
JP2022054861A (ja) メッセージを伝える装飾品および宝飾品
KR200280848Y1 (ko) 악세사리용 비드
KR200229321Y1 (ko) 장신구용 체인
TWI573583B (zh) Bone Gardening Tableware Group Structure
KR200285967Y1 (ko) 악세사리용 비드
KR101150835B1 (ko) 코디 귀걸이
TWD212464S (zh) 擺飾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