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5402U - 장식판을 교체할 수 있는 액세서리용 펜던트 - Google Patents

장식판을 교체할 수 있는 액세서리용 펜던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5402U
KR20090005402U KR2020070019269U KR20070019269U KR20090005402U KR 20090005402 U KR20090005402 U KR 20090005402U KR 2020070019269 U KR2020070019269 U KR 2020070019269U KR 20070019269 U KR20070019269 U KR 20070019269U KR 20090005402 U KR20090005402 U KR 2009000540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orative plate
pendant
main body
plate
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92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희옥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치오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치오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치오엔
Priority to KR20200700192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5402U/ko
Publication of KR2009000540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5402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5/00Miscellaneous fancy ware for personal wear, e.g. pendants, crosses, crucifixes, charms
    • A44C25/001Pendants
    • A44C25/002Pendants forming a container, e.g. for pi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4Ornamental plaques, e.g. decorative panels, decorative veneer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3/00Hook or eye fasteners
    • A44B13/0052Strips of hook or eye fastener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장식판을 교체할 수 있는 액세서리용 펜던트에 관한 것으로서, 원형판의 외주연이 단차를 이루어 내측 외주면에 전면측 나선(11)이 형성된 원형 테를 이루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일측 외주연에 설치되는 고리(20)와; 내주면에 나선(31)이 형성된 링 형상을 이루고 전면 선단이 중심부를 향하여 절곡 형성되어 걸림턱(32)을 이루는 전면 뚜껑(30)과; 상기 본체(10)와 전면 뚜껑(30) 사이에서 외주연이 상기 걸림턱(32)에 걸리어 설치되는 장식판(40)으로 구성되어 장식판을 용이하게 교체하여 사용함으로써 장기간 사용하여도 지루함을 느끼지 않고 타인과 차별화되는 독특한 개성을 표현할 수 있으며, 장식판이 광고물로 사용될 경우 소비자가 한번 쓰고 버린 후 또 다른 광고 기능을 갖는 펜던트를 구매할 필요 없이 광고물인 장식판을 교체하여 사용함으로써 제품의 폐기로 인한 자원의 낭비를 줄일 수 있으며, 필요로 하는 내용으로 다양한 광고의 효과를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본체와 구조가 간단하여 제품의 제조잡업이 용이하면서도 대량생산을 할 수 있어 제품의 가격이 저렴하고, 자주 새로운 펜던트를 구입하지 않고도 새로운 펜던트의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면서 외관이 미려한 각별한 장점이 있다.
장식판, 액세서리, 펜던트, 장신구.

Description

장식판을 교체할 수 있는 액세서리용 펜던트{A pendant for accessory with exchangeable decoration board}
본 고안은 목걸이나 열쇠고리, 휴대폰 고리 또는 어린이 이름표나 각종 표찰 등으로 사용되는 팬던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팬던트 본체의 전후면에 열고 닫을 수 있는 뚜껑을 체결하여 각종 장식판을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식판을 교체할 수 있는 액세서리용 펜던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펜던트(pendent)라 함은 목걸이, 귀걸이, 팔찌 등의 장신구에 장착되어 착용자의 외관을 돋보이게 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펜던트는 보석류로 이루어진 것이 대부분임에 따라 구입하는데에 드는 비용이 고가이기 때문에 일반소비자들이 자주 구입하여 착용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따르게 된다.
최근에는 상기 펜던트를 보석류가 아닌 준 보석류로 구성하여 소비자들로 하여금 구입하는데에 드는 비용부담을 어느 정도 저하되도록 하고는 있으나, 이 또한 구입가격이 만만하지 않기 때문에 널리 실용화되지는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열쇠나 휴대폰 등에는 열쇠고리나 휴대폰 고리로서 외관을 미려하게 연출하고 타인의 열쇠고리나 휴대폰 고리와 차별화될 수 있도록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된 펜던트가 구비된 장신구가 사용되고 있다.
특히 여성들은 자신의 외모를 돋보이게 하기 위하여 목걸이, 팔찌, 발찌 등의 각종 장신구를 몸에 착용하게 되는데, 상기 장신구 중 특히 목걸이는 대략 금, 은 등의 귀금속이 줄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양단에는 상기 줄을 신체의 소정 부위에 링형상으로 결합하여 착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형상의 연결부재가 각각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줄에는 그 장식의 효과를 배가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형상을 갖는 펜던트가 선택적으로 결합된다.
이때, 상기 펜던트는 진귀한 보석 등을 가공하여 제조하거나 또는 귀금속을 다양한 형상을 갖도록 가공하거나 상기 귀금속의 표면에 다양한 문양을 각인하는 등의 방법을 통하여 신미감을 줄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펜던트에 있어서는 상기 펜던트를 제조하는 재료가 보석이나 귀금속 등에 한정되어 있으므로, 장신구의 장기간 착용에 따라 사용자는 지루함을 느끼게 됨과 더불어, 타인과 차별화 되는 독특한 개성을 표현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으며, 또한 소비자의 호기심을 자극하거나 특별한 관심을 끌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상기한 펜던트 외에도 열쇠고리나 휴대폰 고리 또는 가방의 메달 등 각종 표찰에는 장식용 펜던트나 이름표가 부착되어 있는바, 종래에 사용되어온 제품은 표면에 인쇄를 하여 사용하거나 제품 제작시 내부에 장식판을 삽입하여 제작한 것이 주종을 이루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장신구는 장식판이 단순하고 장식판이 한번 제작되면 폐 기할 때까지 사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소비자가 쉽게 실증을 느끼게 되는 단점이 있었고, 이로 인하여 소비자가 한번 쓰고 버리게 되므로서 광고의 효과(장식판이 광고물인 경우)나, 액세서리로서의 효과를 얻을 수가 없는 단점이 있으며, 또한 제품의 폐기로 인하여 원자재를 낭비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종래의 제품들이 금속 또는 응고제품 및 사출형성 제품이라도 장식판을 삽입하여 수 작업으로 사출성형하거나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착 고정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제품의 제조 작업이 복잡하고 어려워 대량생산을 할 수가 없는 큰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품들은 틀을 제작하여야 함으로써 제작단가의 증가가 불가피하여 제품의 소비자 가격이 고가인 단점이 있으며 제작이 수작업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소량의 주문이 들어올 경우 제작용 틀의 제작으로 인하여 제작단가가 맞지 않음으로써 생산을 할 수가 없는 결점이 있으며 이 때문에 대량으로 주문을 할 경우 제품의 가격이 고가로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펜던트는 통상적으로 열쇠나 휴대폰에 연결하는 연결 끈과, 이 연결 끈의 일측에 체결되는 장신구로서 펜던트가 구성된다.
상기 열쇠고리나 휴대폰 고리에 설치되는 펜던트는 금속재질이나 가죽재질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연질의 합성수지재질로 형성되어 펜던트 몸체 자체를 동물이나 생활속의 물품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하고 또한 이들의 형상에 다양한 색상과 모양을 표현하여 전체적으로 미려한 형상이 연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 펜던트를 휴대폰에 연결할 경우, 펜던트가 갖고 있는 미려한 외관에 의해 휴대폰의 전체적인 미감이 수려하게 연출될 수 있음에 따라 사용자들은 자신의 취향에 맞는 펜던트를 저가로 구입하여 휴대폰을 아름답게 꾸밀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펜던트들은 사용자로 하여금 장신구 외관에 대해 바로 식상함을 느끼게 함으로써, 자주 새로운 장신구를 구입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비용부담이 가중되는 문제점을 수반하게 된다.
상기한 종래 펜던트들의 여러 가지 문제점 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장식판의 교체가 용이한 펜던트"가 실용신안 공개번호 제실1998-028931호(1998년 8월 5일 공개)로서 공개실용신안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장식판의 교체가 용이한 펜던트"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식판이 내장되어 있는 공지의 펜던트에 있어서, 팬던트 본체(1)의 상 하부가 볼록렌즈가 되게 형상하되 본체(1)의 상부에 장식판(2)을 넣을 수 있는 삽입부(3)와 인출홈(4)을 형성하며 삽입부(3)에는 뚜껑(5)을 억지끼워 맞춤식으로 결합하여 열고 닫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장식판을 소비자가 원하는 대로 교체할 수 있도록 하며 뚜껑과 본체의 저면을 볼록하게 제작하여 볼록렌즈의 역할을 하게 한 것으로서,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펜던트의 상,하부가 렌즈로 되게 하므로서 광고판의 효과를 최대로 할 수가 있으며 광고용으로 사용된 펜던트를 장식판을 소비자가 원하는 대로 교체하여 액세서리로 재사용할 수가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장식판의 교체가 용이한 펜던트"는 삽입부(3)에는 뚜껑(5)을 억지끼워 맞추게 됨으로써 삽입부(3)나 뚜껑(5)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탄성재질의 투명체로 제작할 수 밖에 없어 제품이 특정 재질로 한정되는 결점이 있고, 장식판 의 장기간의 빈번한 교체가 있게 되면, 뚜껑(5)의 가장자리부와 삽입부(3)의 테두리 내측 단부가 마모되게 됨으로써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장기간 사용할 수 없다고 하는 단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인출홈(4)로 인하여 펜던트의 전면과 이면이 동일하지 않으면서 외관이 수려하지 못하다고 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펜던트들에서 야기되는 여러 가지 결점 및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장식판을 용이하게 교체하여 사용함으로써 장기간 사용하여도 지루함을 느끼지 않고 타인과 차별화 되는 독특한 개성을 표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비자의 호기심을 자극하여 특별한 관심을 가지게 할 수 있는 장식판을 교체할 수 있는 액세서리용 펜던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장식판이 광고물로 사용될 경우 소비자가 한번 쓰고 버린 후 또 다른 광고 기능을 갖는 펜던트를 구매할 필요없이 광고물인 장식판을 교체하여 사용함으로써 제품의 폐기로 인한 자원의 낭비를 줄일 수 있고, 필요로 하는 내용으로 다양한 광고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장식판을 교체할 수 있는 액세서리용 펜던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펜던트의 본체와 뚜껑에 단순하게 나합되는 나선부를 형성한 구조이기 때문에 제품의 제조잡업이 용이하면서도 대량생산을 할 수 있어 제품의 가격이 저렴하면서도 장기간 사용할 수 있는 경제성이 탁월한 장식판을 교체할 수 있는 액세서리용 펜던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장식판을 용이하게 교체하여 사용함으로써 자주 새로운 펜던트를 구입하지 않고도 새로운 펜던트의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면서 외관이 미려한 장식판을 교체할 수 있는 액세서리용 펜던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장식판을 교체할 수 있는 액세서리용 펜던트는 원형판의 외주연이 단차를 이루어 내측 외주면에 전면측 나선(11)이 형성된 원형 테를 이루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일측 외주연에 설치되는 고리(20)와; 내주면에 나선(31)이 형성된 링 형상을 이루고 전면 선단이 중심부를 향하여 절곡 형성되어 걸림턱(32)을 이루는 전면 뚜껑(30)과; 상기 본체(10)와 전면 뚜껑(30) 사이에서 외주연이 상기 걸림턱(32)에 걸리어 설치되는 장식판(4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장식판을 용이하게 교체하여 사용함으로써 장기간 사용하여도 지루함을 느끼지 않고 타인과 차별화되는 독특한 개성을 표현할 수 있고, 호기심을 자극하여 특별한 관심을 가지게 할 수 있는 장식판을 교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식판이 광고물로 사용될 경우 소비자가 한번 쓰고 버린 후 또 다른 광고 기능을 갖는 펜던트를 구매할 필요 없이 광고물인 장식판을 교체하여 사용함으로써 제품의 폐기로 인한 자원의 낭비를 줄일 수 있고, 필요로 하는 내용으로 다양한 광고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각별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펜던트의 본체와 뚜껑에 단순하게 나합되는 나선부를 형성한 구조이기 때문에 제품의 제조잡업이 용이하면서도 대량생산을 할 수 있어 제품의 가격이 저렴하면서도 장기간 사용할 수 있는 경제성이 탁월하고, 장식판을 용이하게 교체하여 사용함으로써 자주 새로운 펜던트를 구입하지 않고도 새로운 펜던트의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면서 외관이 미려한 각별한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 장식판을 교체할 수 있는 액세서리용 펜던트를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장식판을 교체할 수 있는 액세서리용 펜던트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장식판을 교체할 수 있는 액세서리용 펜던트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장식판을 교체할 수 있는 액세서리용 펜던트의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장식판을 교체할 수 있는 액세서리용 펜던트의 분해 사시도, 도 7은는 본 고안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장식판을 교체할 수 있는 액세서리용 펜던트의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장식판을 교체할 수 있는 액세서리용 펜던트의 분해 사시도로서,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장식판을 교체할 수 있는 액세서리용 펜던트는 원형판의 외주연이 단차를 이루어 내측 외주면에 전면측 나선(11)이 형성된 원형 테를 이루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일측 외주연에 설치되는 고리(20)와; 내주면에 나선(31)이 형성된 링 형상을 이루고 전면 선단이 중심부를 향하여 절곡 형성되어 걸림턱(32)을 이루는 전면 뚜껑(30)과; 상기 본체(10)와 전면 뚜껑(30) 사이에서 외주연이 상기 걸림턱(32)에 걸리어 설치되는 장식판(40)으로 구 성되어 있다.
상기 본체(10)는 금속재, 귀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 중 어느 하나로서, 원형판의 외주연이 단차를 이루어 내측 외주면에 전면측 나선(11)이 형성된 원형 테를 이루고, 일측 외주연에 고리(2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전면 뚜껑(30)은 금속재, 귀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 중 어느 하나로서, 내주면에 나선(31)이 형성된 링 형상을 이루고 전면 선단이 중심부를 향하여 절곡 되어 걸림턱(3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장식판(40)은 원형의 판상으로 이루어진 금속판, 귀금속판 또는 원형 판상의 광고판 이어도 되고, 오팔, 청오팔, 자개, 청금석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원형판이어도 되며, 상기 장식판(40)이 귀금속판인 경우 귀금속판에 음각 또는 양각으로 문양이나 문자를 새겨 넣을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장식판을 교체할 수 있는 액세서리용 펜던트의 사시도, 도 6은 도 4에 도시한 제 2실시예의 분해 사시도로서 도 3에 도시한 제 1실시예에 따른 장식판을 교체할 수 있는 액세서리용 펜던트와 공통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5에 나타낸 제 2실시예의 펜던트는 도 3에 나타낸 제 1실시예의 것과 비교하여 본체(10)에 형성된 전면측 나선(11)에 추가로 원형판의 후면측 외주연이 단차를 이루어 그 내측 외주면에 후면측 나선(11')이 더 형성되어 있고, 후면측 나선(11')에 체결되는 상기 전면 뚜껑(30)과 동일한 후면 뚜껑(30')과, 상기 본체(10)와 후면 뚜껑(30') 사이에서 외주연이 상기 후면 뚜껑(30')의 걸림턱(32')에 걸리어 설치되는 장식판(40')을 더 구비하고 있는 점에서 상위하다.
이 제 2실시예의 펜던트에서 상기 후면 뚜껑(30')은 제 1실시예의 전면 두껑 (30)과 마찬가지로 금속재, 귀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 중 어느 하나이다.
상기 장식판(40')은 제 1실시예의 장식판(40)과 마찬가지로 원형의 판상으로 이루어진 귀금속판 또는 원형 판상의 광고판 이어도 되고, 오팔, 청오팔, 자개, 청금석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원형판이어도 되며, 상기 장식판(40')이 귀금속판인 경우 귀금속판에 음각 또는 양각으로 문양이나 문자를 새겨 넣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식판(40)과 장식판(40')은 서로 동일하여도 되고, 상이하여도 되며, 상기 장식판(40) 또는 장식판(40')이 귀금속판인 경우 귀금속판에 음각 또는 양각으로 문양이나 문자를 새겨 넣을 수 있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장식판을 교체할 수 있는 액세서리용 펜던트의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도시한 제 3실시예의 분해 사시도로서 도 5에 도시한 제 2실시예에 따른 장식판을 교체할 수 있는 액세서리용 펜던트와 공통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7에 나타낸 제 3실시예의 펜던트는 도 5에 나타낸 제 2실시예의 것과 비교하여 본체(10)에 형성된 후면측 나선(11)과 후면 뚜껑(30')의 구조가 상위하다. 즉, 본체(10)의 전면측은 상기 제 2실시예와 동일하고, 본체(100의 후면측은 제 2실시예에 있는 본체(10)의 후면측 나선(11) 대신에 원형판의 외주연이 후면으로 절곡되어 그 내주면에 형성된 나선(11a)과, 링의 전면측 외주연이 단차를 이루어 그 내측 외주면에 나선(31a)이 형성된 후면 뚜껑(30')이 구비되어 있으며, 이러한 구조를 편의상 2단 구조라 한다.
다음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 장식판을 교체할 수 있는 액세서리용 펜던트의 사용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는 펜던트의 사용용도 즉, 목걸이나 열쇠고리, 휴대폰 고리 등에 따라 필요로 하는 장식판(40)을 선택한다.
장식판(40)의 선택은 금속판, 귀금속판, 원형판상의 광고판이거나 오팔, 청오팔, 자개, 청금석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원형판에서 선택하며,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전면의 일면만으로 장식판(40)을 나타나 보이게 하거나(도 3, 4의 제1실시예), 전후면 양면으로 장식판(40, 40')을 나타내 보이게 하거나(도 5, 6의 제 2실시예) 또는 2단 구조(도 7, 8의 제 3실시예)를 선택하여 사용하게 된다.
도 3에 도시한 제 1실시예를 선택한 경우에는 본체(10)로부터 전면 뚜껑(30)을 분리하는데 이러한 분리는 본체(10)의 전면측 나선(11)과 전면 뚜껑(30)의 나선(31)과의 체결을 해체함으로써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이어 상기 본체(10)와 전면 뚜껑(30) 사이에 선택한 장식판(40)을 위치시켜 본체(10)에 전면 뚜껑(30)을 체결함으로써 상기 장식판(40)은 전면 뚜껑(30)의 걸림턱(32)에 걸린 상태로 본체(10)와 전면 뚜껑(30) 사이에 고정된다.
또한 도 5의 제 2실시예를 선택한 경우에는 상기 도 3의 제 1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본체(10)의 후면에 장식판을 하나 더 설치하는 것으로서, 상기 본체(10)와 후면 뚜껑(30') 사이에 선택한 장식판(40')을 위치시켜 본체(10)에 후면 뚜껑(30')을 체결함으로써 상기 장식판(40')은 후면 뚜껑(30')의 걸림턱(32')에 걸린 상태로 본체(10)와 후면 뚜껑(30') 사이에 고정된다. 따라서 이 실시예는 본체(10)의 전후면 각각에 장식판(40)과 장식판(40')이 설치되는 것이며, 장식판(40)과 장식판(40')은 동일하여도 되고, 상이하여도 된다.
그리고 도 7의 제 3실시예를 선택한 경우에는 본체(10)의 후면측에 장식판 없이 후면 뚜껑(30')을 체결하고, 상기 본체(10)의 전면측에 장식판을 설치한 것이며, 이 경우 전면과 후면은 편의상 구분한 것이므로 본체(10)와 전면 뚜껑(30) 및 후면 뚜껑(30')의 구성을 전후면 교환하여도 동일한 구성이 얻어지게 된다.
지금까지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고안의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종래 장식판의 교체가 용이한 펜던트의 사시도,
도 2는 종래 장식판의 교체가 용이한 펜던트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장식판을 교체할 수 있는 액세서리용 펜던트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장식판을 교체할 수 있는 액세서리용 펜던트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장식판을 교체할 수 있는 액세서리용 펜던트의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장식판을 교체할 수 있는 액세서리용 펜던트의 분해 사시도,
도 7은는 본 고안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장식판을 교체할 수 있는 액세서리용 펜던트의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장식판을 교체할 수 있는 액세서리용 펜던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 11, 11' : 전후면측 나선
11a, 31, 31a : 나선 20 : 고리
30 : 전면 뚜껑 30' 후면 뚜껑
32, 32' : 걸림턱 40, 40' : 장식판

Claims (7)

  1. 원형판의 외주연이 단차를 이루어 내측 외주면에 전면측 나선(11)이 형성된 원형 테를 이루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일측 외주연에 설치되는 고리(20)와; 내주면에 나선(31)이 형성된 링 형상을 이루고 전면 선단이 중심부를 향하여 절곡 형성되어 걸림턱(32)을 이루는 전면 뚜껑(30)과; 상기 본체(10)와 전면 뚜껑(30) 사이에서 외주연이 상기 걸림턱(32)에 걸리어 설치되는 장식판(4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판을 교체할 수 있는 액세서리용 펜던트.
  2. 제 1항에 있어서, 본체(10)의 원형판 후면측 외주연이 단차를 이루어 그 내측 외주면에 후면측 나선(11')이 더 형성되어 있고, 상기 후면측 나선(11')에 체결되는 상기 전면 뚜껑(30)과 동일한 후면 뚜껑(30')과, 상기 본체(10)와 후면 뚜껑(30') 사이에서 외주연이 상기 후면 뚜껑(30')의 걸림턱(32')에 걸리어 설치되는 장식판(40')을 더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판을 교체할 수 있는 액세서리용 펜던트.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는 금속재, 귀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판을 교체할 수 있는 액세서리용 펜던트.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판(40, 40') 각각은 원형의 판상으로 이루어진 금속판, 귀금속판 또는 원형판상의 광고판이거나 오팔, 청오팔, 자개, 청금석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원형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판을 교체할 수 있는 액세서리용 펜던트.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판(40)과 장식판(40')은 서로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판을 교체할 수 있는 액세서리용 펜던트.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판(40) 또는 장식판(40')이 귀금속판인 경우 귀금속판에 음각 또는 양각으로 문양이나 문자를 새겨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판을 교체할 수 있는 액세서리용 펜던트.
  7. 제 2항에 있어서, 본체(10)의 후면측 나선(11) 대신에 원형판의 외주연이 후면으로 절곡되어 그 내주면에 형성된 나선(11a)과, 링의 전면측 외주연이 단차를 이루어 그 내측 외주면에 나선(31a)이 형성된 후면 뚜껑(30')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판을 교체할 수 있는 액세서리용 펜던트.
KR2020070019269U 2007-11-30 2007-11-30 장식판을 교체할 수 있는 액세서리용 펜던트 KR2009000540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9269U KR20090005402U (ko) 2007-11-30 2007-11-30 장식판을 교체할 수 있는 액세서리용 펜던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9269U KR20090005402U (ko) 2007-11-30 2007-11-30 장식판을 교체할 수 있는 액세서리용 펜던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5402U true KR20090005402U (ko) 2009-06-03

Family

ID=41297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9269U KR20090005402U (ko) 2007-11-30 2007-11-30 장식판을 교체할 수 있는 액세서리용 펜던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5402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8382B1 (ko) * 2012-06-01 2013-07-22 전덕호 사진 교체가 가능한 장신구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8382B1 (ko) * 2012-06-01 2013-07-22 전덕호 사진 교체가 가능한 장신구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271964A1 (en) Apparatus Comprising Removable Light Source for Decorative Utility
US20130263625A1 (en) Magnetically interchangeable jewelry and accessories
US20170231338A1 (en) Panel bracelet with replaceable inserted panels
US7596966B2 (en) Interchangeable jewelry clip
US7988349B2 (en)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objects
KR101345128B1 (ko) 펜던트
KR20090005402U (ko) 장식판을 교체할 수 있는 액세서리용 펜던트
KR20010112038A (ko) 액세서리용 장식 부재
KR101288382B1 (ko) 사진 교체가 가능한 장신구 및 그 제조방법
GB2317325A (en) Ornament embodying a used cosmetics container
KR100538559B1 (ko) 장식부재 교체형 장신구
KR101540955B1 (ko) 손톱 장신구 및 그 제조방법
CN213487325U (zh) 一种可更换装饰件的首饰
CN211747424U (zh) 一种戒指
KR200235993Y1 (ko) 목걸이
KR200396524Y1 (ko) 장신구용 펜던트
KR200329758Y1 (ko) 커플용 장신구
KR20110043915A (ko) 반지
KR101949161B1 (ko) 점자 교체형 쥬얼리
KR200437300Y1 (ko) 액세서리용 펜던트
KR200335587Y1 (ko) 장신구용 줄
KR200368733Y1 (ko) 장신구용 홀로그램판
KR200289605Y1 (ko) 조개껍질을 이용한 펜던트
KR200326779Y1 (ko) 보석이 장식된 폴더형 휴대폰
KR200280848Y1 (ko) 악세사리용 비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00115

Effective date: 201103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