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0902Y1 - 투명장식창을 가진 장신구 - Google Patents

투명장식창을 가진 장신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0902Y1
KR200210902Y1 KR2020000021688U KR20000021688U KR200210902Y1 KR 200210902 Y1 KR200210902 Y1 KR 200210902Y1 KR 2020000021688 U KR2020000021688 U KR 2020000021688U KR 20000021688 U KR20000021688 U KR 20000021688U KR 200210902 Y1 KR200210902 Y1 KR 2002109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parent
decorative
decorative frame
window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16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지언
Original Assignee
임지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지언 filed Critical 임지언
Priority to KR20200000216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090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09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0902Y1/ko

Link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투명장식창을 가진 장신구에 관한 것으로서, 중앙이 통공되고 정면이 임의의 보석류로 장식된 원환상의 테두리모양으로 형성되어, 상기 테두리의 내측면에 일체로 원환상의 돌출모양으로된 고정턱이 형성된 장식테와 투명성을 갖는 원판모양으로 형성되어, 상기 장식테의 고정턱부분에 삽입, 접착고정되는 배면 가장자리부분의 접착부와 임의의 장식모양이 인쇄되는 배면 중앙부분의 장식부(23)로 형성된 투명장식판으로 구성되므로서, 상기 투명장식판의 재질과 배면에 인쇄되는 장식을 바꾸어 상기 장식테에 접착, 고정시키면 새로운 장신구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상기 투명장식판의 재질을 저렴한 유리, 투명아크릴, 투명플라스틱등의 재질과 고급스런 크리스탈, 투명한 옥 등의 재질로 손쉽게 다양화 할 수 있으므로해서 장신구의 제품가치를 높이거나, 낮추는 것이 용이하고, 급변하는 최신유행의 문자, 그림 등을 손쉽게 배면에 인쇄하는 방식으로 빠르게 새로운 장신구를 제공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투명장식창을 가진 장신구 {Accessory having transparent ornament window}
본 고안은 투명장식창을 가진 장신구에 관한 것으로서, 중앙이 통공되고 정면이 임의의 보석류로 장식된 원환상의 테두리모양의 장식테에 투명성을 갖는 원판모양의 투명장식판이 삽입,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목걸이, 브로우치 등의 장신구는 장신구 정면에 여러 장식효과를 가지는 보석류 등을 형성하여 제공하고 있다. 즉, 종래의 이러한 형태의 장신구들은 정면에 다양한 모양의 보석류들을 크기, 색상 등에 따라 배치하는 방식으로 여러 장식효과를 나타내는 장신구를 경쟁적으로 제공하므로서 사용자의 급변하는 유행을 만족시키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목걸이 등의 장신구들은 대부분 수작업으로 다량으로 제조되고, 장식효과를 나타내는 장신구 정면의 전체에 일일이 수작업으로 보석류를 접착제로 부착시키므로해서 급변하는 유행에 적절히 따르기에는 제조시간과 디자인의 변화에 따른 비용이 많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고, 장식효과를 바로 표현할 수 있는 문자나 그림 등의 장식을 표현하는 것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장신구는 정면에 보석류 등이 돌출되는 형식으로 제조되어, 장시간 착용하면 그 돌출면이 변색되거나, 훼손되어 장신구로서의 기능을 상실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중앙이 통공되고 정면이 임의의 보석류로 장식된 원환상의 테두리모양으로 형성되어, 상기 테두리의 내측면에 일체로 원환상의 돌출모양으로된 고정턱이 형성된 장식테와 투명성을 갖는 원판모양으로 형성되어, 상기 장식테의 고정턱부분에 삽입, 접착고정되는 배면 가장자리부분의 접착부와 임의의 장식모양이 인쇄되는 배면 중앙부분의 장식부로 형성된 투명장식판으로 구성된 투명장식창을 가진 장신구를 제공하고, 상기 투명장식판의 재질과 배면에 인쇄되는 장식을 바꾸어 상기 장식테에 접착, 고정시키므로서 손쉽게 새로운 장신구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종래 기술은 상기한 바와같이 수작업으로 다량으로 제조되고, 장식효과를 나타내는 장신구 정면의 전체에 일일이 수작업으로 보석류를 접착제로 부착시키므로해서 급변하는 유행에 적절히 따르기에는 제조시간과 디자인의 변화에 따른 비용이 많이 소요된다는 문제점과, 장식효과를 바로 표현할 수 있는 문자나 그림 등의 장식을 표현하는 것이 불가능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투명장식창을 가진 장신구는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여 투명장식판의 배면에 다양한 종류의 문자, 그림, 사진 등을 인쇄하는 방법으로 장식하므로서, 종래 기술에서는 수작업이 많이 소요되는 장신구 정면과 비교하여 더욱 손쉽고, 저렴하게 장식효과를 나타내도록 할 수 있고, 장신구 정면이 평평한 투명장식판으로 되므로서 장시간 착용하여도 변색되거나, 훼손됨이 없이 사용할 수 있는 탁월한 장신구를 제공하는데 특징이 있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투명장식창을 가진 장신구의 분해 사시도
도2는 도1에 따른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
도3은 도1의 투명장식창의 배면을 도시한 사시도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제2실시예로 착탈가능한 고정홈을 가진 장신구를 도시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A. 투명장식창을 가진 장신구
11. 장식테
12. 보석류
13. 고정턱
21. 투명장식창
22. 배면 접착부
23. 배면 장식부
31. 고정홈
본 고안에 따른 투명장식창을 가진 장신구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1 내지 도3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고안에 따른 투명장식창을 가진 장신구(A)는 중앙이 통공되고 정면이 임의의 보석류(12)로 장식된 원환상의 테두리모양으로 형성되어, 상기 테두리의 내측면에 일체로 원환상의 돌출모양으로된 고정턱(13)이 형성된 장식테(11)와 투명성을 갖는 원판모양으로 형성되어, 상기 장식테의 고정턱부분에 삽입, 접착고정되는 배면 가장자리부분의 접착부(22)와 임의의 장식모양이 인쇄되는 배면 중앙부분의 장식부(23)로 형성된 투명장식판(21)으로 구성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투명장식창을 가진 장신구는 먼저, 테두리의 내측면에 일체로 원환상의 돌출모양으로된 고정턱을 가진 중앙이 통공된 원환상의 테두리모양의 장식테를 성형제작하고 상기 성형제작된 장식테에 임의의 보석류를 접착하는 방식으로 장식하고, 별도로 성형제작된 투명성을 갖는 원판모양의 투명장식판의 배면의 중앙부에 임의의 그림, 문자, 도형 등의 장식을 인쇄하고 상기 장식이 인쇄된 투명장식판을 상기 장식테의 고정턱부분에 삽입하여 접착, 고정시키므로서 목거리, 브로취 등의 다양한 장신구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같은 본 고안에 따른 투명장식창을 가진 장신구의 제2실시예는 도4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장식테의 내측면에 고정홈(31)이 일체로 형성되므로서, 상기 다양한 종류의 장식이 배면에 인쇄된 투명아크릴 등의 탄성이 있는 재질로된 투명장식판이 장식테의 고정홈에 억지끼워지는 방식으로 고정되고, 그 후에 다른 장식이 인쇄된 투명장식판으로 바꾸어 탈부착할 수 있는 장신구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투명장식창을 가진 장신구(A)는 타원형, 마름모형, 삼각형, 사각형 등의 모양을 가진 장식테(11) 및 투명장식창(21)으로 형성될 수 있고, 장식 테의 재질은 금속재, 은 등의 귀금속제, 은색 등으로 도색된 플라스틱재, 아크릴재, 나무재 등으로 제조될 수 있고, 투명장식창의 재질은 유리, 투명아크릴, 투명플라스틱, 크리스탈, 옥 등으로 제조될 수 있고, 상기 장식테의 외측면의 일단에는 본 고안에 따른 투명장식창을 가진 장신구의 용도에 따라서 목거리, 팔찌 등의 줄을 지지하는 고리가 일체로 성형제작될 수 있고, 브로치나 뺏지 등의 용도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장식테의 고정턱의 배면에 핀을 별도로 고정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고안에 따른 투명장식창을 가진 장신구는 중앙이 통공되고 정면이 임의의 보석류로 장식된 원환상의 테두리모양으로 형성되어, 상기 테두리의 내측면에 일체로 원환상의 돌출모양으로된 고정턱이 형성된 장식테와 투명성을 갖는 원판모양으로되어, 장식모양이 인쇄되는 배면 중앙부분의 장식부로 형성된 투명장식판이 각각 따로 제조되어 상기 투명장식판의 배면 가장자리부분의 접착부가 상기 장식테의 고정턱부분에 삽입, 접착고정되어 제공되므로서, 상기 장식테와 별도로 투명장식판을 저렴한 비용으로, 대량으로 제조할 수 있고, 투명장식판의 배면에는 다양한 종류의 문자, 그림, 사진 등을 인쇄하는 방법으로 장식하므로서, 종래 기술에서는 수작업이 많이 소요되는 장신구 정면과 비교하여 더욱 손쉽고, 저렴하게 장식효과를 나타내도록 할 수 있고, 장신구 정면이 평평한 투명장식판으로 되므로서 장시간 착용하여도 변색되거나, 훼손됨이 없이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장신구의 정면의 모양에 따라 장신구 자체의 제품가치가 결정되고, 유행이 자주 바뀌는 장신구업의 특성으로 볼 때, 본 고안에 따른 투명장식창을 가진 장신구는 투명장식판의 재질과 배면에 인쇄되는 장식을 바꾸면 되므로서 유행의 급변에 저렴한 비용으로 장신구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상기 투명장식판의 재질을 저렴한 유리, 투명아크릴, 투명플라스틱등의 재질과 고급스런 크리스탈, 투명한 옥 등의 재질로 손쉽게 다양화 할 수 있으므로해서 장신구의 제품가치를 높이거나, 낮추는 것이 용이하고, 급변하는 최신유행의 문자, 그림 등을 손쉽게 배면에 인쇄하는 방식으로 빠르게 제공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한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투명장식판을 장식테에 탈부착할 수 있는 투명장식창을 가진 장신구의 경우에는 투명장식판만을 따로 제조하여 제공하므로서 하나의 장식테로 다양한 장식효과를 제공하는 결과를 갖고, 고급재질의 장식테에 투명크리스탈재질의 배면에 장식인쇄가 안된 투명장식판을 제공하므로서 사용자가 고유의 개성에 따른 사진, 소속단체의 표식문자 등의 장식을 장식테의 고정턱과 고정홈에 고정하고 그 상단에 투명장식판을 삽입, 고정하므로서 사용자 자신만의 장신구를 갖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고안에 따른 투명장식창을 가진 장신구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같이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고안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Claims (3)

  1. 중앙이 통공되고 정면이 임의의 보석류로 장식된 원환상의 테두리모양으로 형성되어, 상기 테두리의 내측면에 일체로 원환상의 돌출모양으로된 고정턱이 형성된 장식테와
    투명성을 갖는 원판모양으로 형성되어, 상기 장식테의 고정턱부분에 삽입, 접착고정되는 배면 가장자리부분의 접착부와 임의의 장식모양이 인쇄되는 배면 중앙부분의 장식부로 형성된 투명장식판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장식창을 가진 장신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테와 투명장식창은 다각형상으로 구성되어 다각형상의 투명장식창이 상기 다각형상의 장식테의 고정턱부분에 삽입된 후 접착고정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장식창을 가진 장신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테의 내측면에는 고정홈이 일체로 원환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투명장식판이 상기 장식테의 고정홈에 억지끼워지는 방식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장식창을 가진 장신구.
KR2020000021688U 2000-07-29 2000-07-29 투명장식창을 가진 장신구 KR20021090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1688U KR200210902Y1 (ko) 2000-07-29 2000-07-29 투명장식창을 가진 장신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1688U KR200210902Y1 (ko) 2000-07-29 2000-07-29 투명장식창을 가진 장신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0902Y1 true KR200210902Y1 (ko) 2001-01-15

Family

ID=730865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1688U KR200210902Y1 (ko) 2000-07-29 2000-07-29 투명장식창을 가진 장신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090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8382B1 (ko) 2012-06-01 2013-07-22 전덕호 사진 교체가 가능한 장신구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8382B1 (ko) 2012-06-01 2013-07-22 전덕호 사진 교체가 가능한 장신구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40194500A1 (en) Article of jewelry
US7596966B2 (en) Interchangeable jewelry clip
KR100698963B1 (ko) 스크린 인쇄를 이용한 장식부재에 도형, 글씨, 테두리 형성방법
KR200210902Y1 (ko) 투명장식창을 가진 장신구
KR200488439Y1 (ko) 액세서리용 펜던트
KR20210037852A (ko) 비즈가 장식되는 브러시
EP2135519A9 (en) Jewelry setting for detachable ornament and jewelry comprising such setting
KR200385575Y1 (ko) 장신구의 보석결합구조
KR200437300Y1 (ko) 액세서리용 펜던트
KR101985738B1 (ko) 장식부 내측에 외측으로 투시되는 문양이 형성된 장신구 제조 방법
KR0134998B1 (ko) 장식체가 교체 가능한 장신구
KR200193566Y1 (ko) 기념반지
KR200199993Y1 (ko) 자개에 색상이 도입된 장식용 유리판
KR101949161B1 (ko) 점자 교체형 쥬얼리
KR200241317Y1 (ko) 손발톱 장신구
KR200363084Y1 (ko) 목걸이용 장식구
KR101965641B1 (ko) 스마트 주얼리
KR100538559B1 (ko) 장식부재 교체형 장신구
CN2855918Y (zh) 带装饰环的瓶体
KR20200001991U (ko) 보석십자수 세트
KR200277085Y1 (ko) 장식 교체구조를 갖는 장신용구
KR101844826B1 (ko) 아이웨어용 탈착 가능한 액세서리
JP3082987U (ja) 歯面装飾品
KR20220053397A (ko) 다양한 디자인이 가능한 가방 및 이의 제조방법
JP3070479U (ja) 念 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