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8090B1 - 파 탈피장치 - Google Patents

파 탈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8090B1
KR101288090B1 KR1020120142213A KR20120142213A KR101288090B1 KR 101288090 B1 KR101288090 B1 KR 101288090B1 KR 1020120142213 A KR1020120142213 A KR 1020120142213A KR 20120142213 A KR20120142213 A KR 20120142213A KR 101288090 B1 KR101288090 B1 KR 1012880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xiliary
pulley
frame
wave
b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22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찬규
Original Assignee
고찬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찬규 filed Critical 고찬규
Priority to KR10201201422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80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80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80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7/00Peeling vegetables or fruit
    • A23N7/005Peeling with stea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7/00Peeling vegetables or fruit
    • A23N7/10Driv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BPREPARING GRAIN FOR MILLING; REFINING GRANULAR FRUIT TO COMMERCIAL PRODUCTS BY WORKING THE SURFACE
    • B02B3/00Hulling; Husking; Decorticating; Polishing; Removing the awns; Degerming
    • B02B3/12Hulling; Husking; Decorticating; Polishing; Removing the awns; Degerming by means of fl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BPREPARING GRAIN FOR MILLING; REFINING GRANULAR FRUIT TO COMMERCIAL PRODUCTS BY WORKING THE SURFACE
    • B02B7/00Auxiliary devices
    • B02B7/02Feeding or discharging devi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으로 뿌리를 절단하고 껍질을 벗겨내며, 잔 이파리를 자동 제거할 수 있는 파 탈피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파 탈피장치는 파의 뿌리부분의 껍질을 벗겨내기 위한 탈피유닛과, 상기 탈피유닛을 통과하여 탈피된 파에서 뿌리로부터 분리된 잔 이파리를 제거하기 위한 보조처리유닛을 구비하되, 상기 탈피유닛은 파를 이송하도록 상하로 배열된 제1, 제2 이송벨트부와, 상기 제1, 제2 이송벨트부의 사이에 끼워져 일측에서 타측으로 파가 이송되는 동안 파의 뿌리에 고압수 또는 고압공기를 분사하여 껍질을 벗기는 고압탈피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처리유닛은 탈피유닛을 통과한 파의 뿌리부분이 사이에 끼워져 이송되도록 상하로 배열되는 제3, 제4 이송벨트부와, 상기 제3, 제4 이송벨트부의 상부 또는 하부에서 물 또는 공기를 분사하여 상기 뿌리로부터 분리된 잔 이파리를 제거하는 보조분사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파 탈피장치 {Peeling apparatus for scallion}
본 발명은 파 탈피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으로 뿌리를 절단하고 껍질을 벗겨내며, 잔 이파리를 자동 제거할 수 있는 파 탈피장치에 관한 것이다.
파는 잎과 줄기를 이용한 엽경채소(葉莖菜蔬)로서, 우리나라에 도입된 시기는 1500년 전 중국으로부터 전해진 것으로 추정되며 예부터 일반 농가에서 널리 재배되어 왔다.
이러한 파는 고지혈증과 고혈압을 억제하고 각종 암과 뇌혈관계 질환 등 성인병을 예방하는 항산화 활성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리고 철분·비타민A와 C 등의 영양소가 풍부하며, 황분의 독특한 향기가 살균력을 지니고 있어 건위제·강장제·이뇨제로도 이용된다. 또한, 김장을 비롯하여 국이나 찌개를 포함한 모든 요리의 밑 양념으로 사용될 만큼 그 쓰임새가 다양하다.
그러나 출하 직전의 다듬질(손질)작업 결과에 따라 상품의 부가가치가 결정되는바, 흙덩어리가 들러붙은 뿌리의 절단작업과 인편(껍질/외피)의 탈피작업 등을 일일이 수작업으로 실시하여야 하는 노동력의 요구로 많은 인력이 필요한 작목인데다, 농촌 노동력의 고령화로 인한 기계화 전환 및 신기술 도입의 지연으로 생산농가의 기반이 열악한 현실에 있다.
이러한 제반문제점을 다소나마 해결하기 위하여,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273106호에서는, 압축공기의 분사력으로 인편을 벗기는 탈피작업을 간단히 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쪽파 껍질의 탈피장치가 제공된바 있다.
하지만 상기 종래의 탈피장치를 이용해 탈피작업을 하기 위해서는 작업인부가 한단 분량의 파들을 양손으로 직접 부여잡아야 하는 등의 번거로움과 함께, 고압기체의 분사작용으로 쪽파가 이탈하지 않도록 소정의 힘을 가할 수밖에 없어 본의 아니게 파의 줄기가 손상됨과 같은 상품성 저하방지를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작업자가 파를 투입한 후에는 자동으로 파가 이송되면서 껍질을 벗기는 파 탈피장치를 개발하여 등록받았으며, 해당 기술이 등록특허 제1127620호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과 본 출원인에 의해 창출된 파 탈피장치의 경우 탈피 과정에서 뿌리로부터 분리된 잔 이파리들이 제거되지 않고 토출되기 때문에 작업자가 다시 분리된 잔 이파리를 선별하는 선별작업을 수행해야 하므로 작업 과정이 번거롭고 인력의 투입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273106호 : 쪽파 껍질의 탈피장치 등록특허 제10-1127620호 : 파 탈피장치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자동으로 파의 껍질을 탈피하며, 탈피 과정에서 뿌리로부터 분리된 잔 이파리를 자동으로 제거하여 포장작업을 단순화하고 인력의 투입을 최소화할 수 있는 파 탈피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파 탈피장치는 파의 뿌리부분의 껍질을 벗겨내기 위한 탈피유닛과, 상기 탈피유닛을 통과하여 탈피된 파에서 뿌리로부터 분리된 잔 이파리를 제거하기 위한 보조처리유닛을 구비하되, 상기 탈피유닛은 파를 이송하도록 상하로 배열된 제1, 제2 이송벨트부와, 상기 제1, 제2 이송벨트부의 사이에 끼워져 일측에서 타측으로 파가 이송되는 동안 파의 뿌리에 고압수 또는 고압공기를 분사하여 껍질을 벗기는 고압탈피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처리유닛은 탈피유닛을 통과한 파의 뿌리부분이 사이에 끼워져 이송되도록 상하로 배열되는 제3, 제4 이송벨트부와, 상기 제3, 제4 이송벨트부의 상부 또는 하부에서 공기를 분사하여 상기 뿌리로부터 분리된 잔 이파리를 제거하는 보조분사부를 구비한다.
상기 탈피유닛은 상기 제1, 제2 이송벨트부 및 상기 고압탈피부가 설치되는 탈피프레임을 더 구비하며, 상기 제1, 제2 이송벨트부는 각각 상기 탈피프레임의 일측에 상하로 이격되도록 설치된 제1, 제2 구동풀리와, 상기 제1, 제2 구동풀리와 파의 이송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있는 제1, 제2 종동풀리와, 상기 제1, 제2 구동풀리를 구동시키는 제1, 제2 구동모터와, 상기 제1, 제2 구동풀리 및 제1, 제2 종동풀리를 상호 연결하는 제1, 제2 벨트를 구비하되, 상기 제1, 제2 벨트는 파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스펀지로 형성되고, 상기 고압탈피부는 파의 뿌리부분을 받치는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상부에 설치되어 파의 뿌리부분을 향해 고압수 또는 고압 공기를 분사할 수 있도록 된 노즐을 포함하는 노즐플레이트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탈피프레임은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일측에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서포트프레임과, 상기 서포트프레임에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승강프레임을 구비하며, 상기 제2 이송벨트부와 상기 노즐플레이트는 상기 승강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베이스프레임 또는 서포트프레임에 지지되는 상기 지지판 및 제1 이송벨트부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조처리유닛은 상기 제3, 제4 이송벨트부와 상기 보조분사부가 설치되는 보조프레임을 더 구비하며, 상기 보조프레임은 지지면에 지지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에서 상기 보조처리유닛을 통과하는 파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딩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3, 제4 이송벨트부는 상기 슬라이딩프레임에 상하로 이격되게 설치되되, 상기 제3 이송벨트부는 상기 슬라이딩프레임에 고정된 고정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4 이송벨트부는 상기 슬라이딩프레임에 상기 고정부의 상부에서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동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 이송벨트부는 상기 고정부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3 구동풀리와, 제3 구동풀리와 파의 이송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설치되는 제3 종동풀리와, 상기 제3 종동풀리와 동일 회전축에 설치되는 제1 보조풀리와, 상기 제1 보조풀리로부터 파의 이송방향을 따라 상기 탈피유닛과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는 제2 보조풀리와, 상기 제3 구동풀리와 제3 종동풀리를 연결하는 제3 벨트와, 제1, 제2 보조풀리를 연결하는 제1 보조벨트와, 상기 제3 구동풀리를 구동시키는 제3 구동모터를 구비하고, 상기 제4 이송벨트부는 상기 가동부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4 구동풀리와, 상기 제4 구동풀리와 파의 이송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설치되는 제4 종동풀리와, 상기 제4 종동풀리와 동일 회전축에 설치되는 제3 보조풀리와, 상기 제3 보조풀리로부터 파의 이송방향을 따라 상기 탈피유닛과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는 제4 보조풀리와, 상기 제4 구동풀리와 제4 종동풀리를 연결하는 제4 벨트와, 상기 제3, 제4 보조풀리를 연결하는 제2 보조벨트와, 상기 제4 구동풀리를 구동시키는 제4 구동모터를 구비하고, 상기 제3, 제4 벨트 및 제1, 제2 보조벨트는 파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스펀지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 구동풀리의 회전축에 설치되는 제5 보조풀리와, 상기 제3 종동풀리의 회전축에 설치되는 제6 보조풀리와, 상기 제5, 제6 보조풀리에 걸려 상기 제3 벨트와 제4 벨트에 뿌리부분이 삽입된 파의 이파리 부분을 지지하는 제3 보조벨트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보조분사부는 공기를 송풍시키기 위한 송풍기와, 상기 송풍기로부터 송풍된 공기를 상기 제3, 제4 이송벨트부에 의해 이송되는 파의 상부와 하부에서 불어낼 수 있도록 연장된 제1, 제2 송풍관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파 탈피장치는 파의 껍질을 자동으로 벗기고, 그 과정에서 발생하는 잔 이파리가 자동으로 제거됨에 따라 인력의 투입이 최소화되어 파의 탈피 및 포장 작업이 간소화되고 제품 생산효율이 높아지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파 탈피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파 탈피장치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1의 파 탈피장치의 탈피유닛을 도시한 부분발췌사시도,
도 4는 도 3의 탈피유닛을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3의 탈피유닛의 측면도,
도 6은 도 1의 파 탈피장치의 보조처리유닛을 도시한 부분발췌 사시도,
도 7은 도 6의 보조처리유닛을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도 6의 보조처리유닛의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파 탈피장치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파 탈피장치(10)는 탈피 대상의 파를 투입하는 투입부(100)와, 투입된 파의 뿌리부분의 껍질을 벗겨내기 위한 탈피유닛(200)과, 탈피과정에서 뿌리로부터 분리된 잔 이파리를 제거하는 보조처리부 및 배출부(400)를 포함한다.
투입부(100)는 투입프레임(110)의 상부에 투입컨베이어(120)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투입프레임(110)의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탈피 대상 파가 이송되도록 투입컨베이어(120)의 벨트가 설치되고, 탈피 대상 파는 투입컨베이어(120)의 이송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안착된 상태에서 투입이 이루어진다.
작업자는 탈피대상 파를 투입컨베이어(120)의 벨트 상면에 펼쳐놓으며, 이파리 부분이 후술하는 탈피유닛(200)의 제1, 제2 이송벨트부(220,230)의 사이로 진입할 수 있게 투입한다.
투입부(100)의 상면에는 탈피대상 파의 뿌리부분의 위치를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바(130)가 투입컨베이어(120)의 이송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설치되어 있는데, 작업자가 파의 뿌리 단부를 상기 가이드바(130)에 접촉되도록 안착시키면 후술하는 탈피유닛(200)의 고압탈피부(240)에 의해 뿌리의 껍질이 벗겨지도록 자동으로 위치가 세팅된다.
상기 탈피유닛(200)은 투입부(100)의 후방에 위치하여 투입부(100)를 통해 투입되는 파를 이송하면서 뿌리부분의 껍질을 벗겨내는 것이다.
탈피유닛(200)은 탈피프레임(210)과, 탈피프레임(210)에 설치되는 제1, 제2 이송벨트부(220,230)와, 고압탈피부(240)를 구비한다.
상기 탈피프레임(210)은 상기 탈피프레임(210)은 베이스프레임(211)과, 상기 베이스프레임(211)의 일측에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서포트프레임(214)과, 상기 서포트프레임(214)에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승강프레임(216)을 구비한다.
상기 서포트프레임(214)에는 승강레일(215)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승강프레임(216)이 이 승강레일(215)을 따라 상하로 승강 가능하도록 서포트프레임(214)에 결합되며, 아울러 상기 서포트프레임(214)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승강스크류(218)가 나사결합되는 나사몸체(217)가 상기 승강프레임(216)에 결합되어 있어서 승강스크류(218)를 회전시킴에 따라 승강프레임(216)에 승강 또는 하강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제1 이송벨트부(220)는 베이스프레임(211) 및 서포트프레임(214)에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베이스프레임(211)의 일측에 지지된 설치판(212)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제1 구동풀리(221)와 제1 종동풀리(222)가 설치되어 있으며, 제1 구동풀리(221)는 제1 구동모터(224)에 의해 회전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리고 제1 구동풀리(221)와 제1 종동풀리(222)를 연결하도록 제1 벨트(223)가 설치되어 있다. 아울러 제1 구동풀리(221)와 제1 종동풀리(222)를 기준으로 상기 설치판(212)과 대향되는 위치에는 서포트프레임(214)에 일단이 지지된 지지판(213)이 설치되어 있다. 지지판(213)은 탈피유닛(200)으로 투입된 파의 뿌리부분을 지지하기 위한 것이며, 이파리 부분이 상기 제1 벨트(223)에 안착되고, 탈피가 이루어지는 뿌리부분이 상기 지지판(213) 상에 안착된 상태로 이송이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판(213)에는 탈피된 껍질과 물이 배출되는 배수부(242)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승강판에는 지지판(213)에 안착되어 운반되는 파의 뿌리부분에 고압수를 분사하기 위한 노즐플레이트(241)가 설치된다. 노즐플레이트(241)에는 고압수를 분사하는 다수의 노즐이 하면에 설치되어 있어서 파를 향해 고압수를 분사하는데, 상기 노즐은 노즐플레이트(241)의 하면에 대하여 하방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파의 이송에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노즐플레이트(241)의 단부에 제2 이송벨트부(230)가 마련되는데 일측에는 제2 구동풀리(231)가 설치되고, 타측에는 제2 종동풀리(232)가 설치되어 있으며, 제2 구동풀리(231)와 제2 종동풀리(232)를 연결하는 제2 벨트(233)가 마련되어 있다. 제2 구동풀리(231)는 제2 구동모터(234)에 의해 회전구동하게 되는데, 제2 구동풀리(231)와 제2 종동풀리(232)가 각각 제1 구동풀리(221)와 제1 종동풀리(222)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으며, 제2 벨트(233)의 하면이 상기 제1 벨트(223)의 상면과 접촉하거나 매우 가깝게 인접하도록 위치하게 된다.
파의 종류나 크기에 따라 상기 승강판을 승하강시켜 제1 이송벨트부(220)와 제2 이송벨트부(230) 사이의 이격거리를 조절함으로써 파를 이송할 수 있도록 제1 벨트(223)와 제2 벨트(233) 사이에 파를 파지할 수 있으면서도 파의 모양이 상하지 않을 수 있는 적정 이격거리를 설정한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탈피유닛(200)은 파의 뿌리 단부에 있는 잔뿌리들을 절단하기 위한 커터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탈피유닛(200)이 고압수를 분사하여 파의 뿌리부분을 세척 및 탈피하도록 되어 있으나, 고압의 공기를 불어 탈피가 이루어지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보조처리유닛(300)은 탈피유닛(200)에서 껍질이 제거되는 과정에서 뿌리로부터 분리된 잔 이파리들을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보조처리유닛(300)은 파의 이송방향 상에서 탈피프레임(210)의 후방에 설치되는 보조프레임(310)과, 이 보조프레임(310)에 설치되는 제3, 제4 이송벨트부(320,340)와, 보조분사부(370), 제3 보조벨트(363)를 구비한다.
보조프레임(310)은 지지면에 지지되는 지지프레임(311)과, 이 지지프레임(311)의 상부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딩프레임(313)을 포함한다.
지지프레임(311)의 상면에는 슬라이딩레일(312)이 설치되어 있는데, 이 슬라이딩레일(312)은 상기 보조처리유닛(300)을 통과하는 파의 연장방향에 대응하도록 연장되어 있어서 슬라이딩프레임(313)이 파의 연장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딩프레임(313)에 상하면을 관통하는 나사홀(316)을 천공하고 이 나사홀(316)에 나사결합되는 볼트(317)를 설치하여 이 볼트(317)가 슬라이딩레일(312) 또는 지지프레임(311)에 가압되면 슬라이딩프레임(313)의 슬라이딩을 차단하고, 볼트(317)를 풀어 볼트(317)와 슬라이딩레일(312) 또는 지지프레임(311)의 접촉을 해제하면 슬라이딩레일(312)을 이동시킬 수 있게 한다. 이렇게 슬라이딩프레임(313)을 파의 연장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함으로써 이 슬라이딩 프레임에 설치되는 제3, 제4 이송벨트부(320,34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으며, 탈피된 파의 파지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3, 제4 이송벨트부(320,340)는 슬라이딩프레임(313)에 상하로 이격되게 설치되는데, 제3 이송벨트부(320)는 슬라이딩프레임(313)의 하부에 고정되는 고정부(314)에 설치되고, 제4 이송벨트부(340)는 고정부(314)의 상부에서 상하로 승강 구동할 수 있는 가동부(315)에 설치된다.
제3 이송벨트부(320)는 상기 고정부(314)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3 구동풀리(321)와, 제3 구동풀리(321)와 파의 이송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설치되는 제3 종동풀리(322)와, 상기 제3 종동풀리(322)와 동일 회전축에 설치되는 제1 보조풀리(331)와, 상기 제1 보조풀리(331)로부터 파의 이송방향을 따라 상기 탈피유닛(200)과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는 제2 보조풀리(332)와, 상기 제3 구동풀리(321)와 제3 종동풀리(322)를 연결하는 제3 벨트(323)와, 제1, 제2 보조풀리(331,332)를 연결하는 제1 보조벨트(333)와, 상기 제3 구동풀리(321)를 구동시키는 제3 구동모터(324)를 구비한다.
상기 제4 이송벨트부(340)는 상기 가동부(315)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4 구동풀리(341)와, 상기 제4 구동풀리(341)와 파의 이송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설치되는 제4 종동풀리(342)와, 상기 제4 종동풀리(342)와 동일 회전축에 설치되는 제3 보조풀리(351)와, 상기 제3 보조풀리(351)로부터 파의 이송방향을 따라 상기 탈피유닛(200)과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는 제4 보조풀리(352)와, 상기 제4 구동풀리(341)와 제4 종동풀리(342)를 연결하는 제4 벨트(343)와, 상기 제3, 제4 보조풀리(351,352)를 연결하는 제2 보조벨트(353)와, 상기 제4 구동풀리(341)를 구동시키는 제4 구동모터(344)를 구비한다.
상기 제3 벨트(323)와 제4 벨트(343)도 파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스펀지로 형성되는데, 탈피유닛(200)을 통과한 파는 뿌리부분이 제1 보조벨트(333)와 제2 보조벨트(353)의 사이로 유입되어 이송된 후 다시 제3 벨트(323)와 제4 벨트(343)의 사이로 인입되어 이송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3 구동풀리(321)의 회전축에 제5 보조풀리(361)가 설치되고, 상기 제3 종동풀리(322)의 회전축에 설치되는 제6 보조풀리(362)가 마련되며, 상기 제5, 제6 보조풀리(361,362)를 연결하도록 제3 보조벨트(363)가 더 설치되는데, 제3 보조벨트(363)는 제3 벨트(323)와 제4 벨트(343)에 뿌리부분이 삽입된 파의 이파리 부분을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보조분사부(370)는 지지프레임(311)에 설치되어 있는 송풍기(371)와 이 송풍기(371)로부터 연장되는 제1, 제2 송풍관(372,373)을 포함한다.
제3 이송벨트부(320)와 제4 이송벨트부(340)에 의해 파지되어 이송되는 파를 기준으로 제1 송풍관(372)은 파의 하부에서, 제2 송풍관(373)은 파의 상부에서 공기를 불어내도록 상기 슬라이딩프레임(313)에 설치되어 있는데, 파의 뿌리 부분은 상기 제3 벨트(323)와 제4 벨트(343) 사이에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바람을 불어내기 때문에 탈피 과정에서 뿌리와 분리된 잔 이파리는 상기 제1 송풍관(372)과 제2 송풍관(373)에서 불어나오는 바람에 의해 하방으로 낙하하게 된다.
이렇게 탈피과정에서 발생한 잔 이파리는 보조처리유닛(300)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모두 제거되므로 보조처리유닛(300)에서는 상품 출하가 가능하도록 잔 이파리가 모두 정리된 완제품의 파가 토출된다.
보조처리유닛(300)을 통과한 파는 투입부(100)와 마찬가지로 이송컨베이어의 형태로 형성된 배출부(400)를 통해 후방으로 이송되어 배출부(400) 후방에 설치된 저장용 박스(410)에 자동 투입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파 탈피장치(10)는 자동으로 파의 탈피가 진행되며, 탈피 과정에서 발생하는 잔 이파리도 자동으로 제거함으로써 완제품의 파가 자동으로 가공되어 생산효율이 인력 투입의 최소화를 통해 생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 청구 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파 탈피장치
100; 투입부
110; 투입프레임 120; 투입컨베이어
130; 가이드바
200; 탈피유닛
210; 탈피프레임
211; 베이스프레임 212; 설치판
213; 지지판 214; 서포트프레임
215; 승강레일 216; 승강프레임
217; 나사몸체 218; 승강스크류
220; 제1 이송벨트부
221; 제1 구동풀리 222; 제1 종동풀리
223; 제1 벨트 224; 제1 구동모터
230; 제2 이송벨트부
231; 제2 구동풀리 232; 제2 종동풀리
233; 제2 벨트 234; 제2 구동모터
240; 고압탈피부
241; 노즐플레이트 242; 배수부
300; 보조처리유닛
310; 보조프레임
311; 지지프레임 312; 슬라이딩레일
313; 슬라이딩프레임 314; 고정부
315; 가동부 316; 나사홀
317; 볼트
320; 제3 이송벨트부
321; 제3 구동풀리 322; 제3 종동풀리
323; 제3 벨트 324; 제3 구동모터
331; 제1 보조풀리 332; 제2 보조풀리
333; 제1 보조벨트
340; 제4 이송벨트부
341; 제4 구동풀리 342; 제4 종동풀리
343; 제4 벨트 344; 제4 구동모터
351; 제3 보조풀리 352; 제4 보조풀리
353; 제2 보조벨트 361; 제5 보조풀리
362; 제6 보조풀리 363; 제3 보조벨트
370; 보조분사부
371; 송풍기 372; 제1 송풍관
373; 제2 송풍관
400; 배출부
410; 저장용 박스

Claims (7)

  1. 파의 뿌리부분의 껍질을 벗겨낼 수 있도록 파를 이송하기 위해 상하로 배열된 제1, 제2 이송벨트부와, 상기 제1, 제2 이송벨트부의 사이에 끼워져 일측에서 타측으로 파가 이송되는 동안 파의 뿌리에 고압수 또는 고압공기를 분사하여 껍질을 벗기는 고압탈피부를 포함하는 탈피유닛과;
    상기 탈피유닛을 통과한 파의 뿌리부분이 사이에 끼워져 이송되도록 상하로 배열되는 제3, 제4 이송벨트부와, 상기 제3, 제4 이송벨트부의 상부 또는 하부에서 공기를 분사하여 상기 뿌리로부터 분리된 잔 이파리를 제거하는 보조분사부를 포함하는 보조처리유닛;을 구비하되,
    상기 보조처리유닛은 상기 제3, 제4 이송벨트부와 상기 보조분사부가 설치되는 보조프레임을 더 구비하며,
    상기 보조프레임은 지지면에 지지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에서 상기 보조처리유닛을 통과하는 파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딩프레임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3, 제4 이송벨트부는 상기 슬라이딩프레임에 상하로 이격되게 설치되되, 상기 제3 이송벨트부는 상기 슬라이딩프레임에 고정된 고정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4 이송벨트부는 상기 슬라이딩프레임에 상기 고정부의 상부에서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동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 탈피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탈피유닛은 상기 제1, 제2 이송벨트부 및 상기 고압탈피부가 설치되는 탈피프레임을 더 구비하며,
    상기 제1, 제2 이송벨트부는 각각 상기 탈피프레임의 일측에 상하로 이격되도록 설치된 제1, 제2 구동풀리와, 상기 제1, 제2 구동풀리와 파의 이송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있는 제1, 제2 종동풀리와, 상기 제1, 제2 구동풀리를 구동시키는 제1, 제2 구동모터와, 상기 제1, 제2 구동풀리 및 제1, 제2 종동풀리를 상호 연결하는 제1, 제2 벨트를 구비하되, 상기 제1, 제2 벨트는 파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스펀지로 형성되고,
    상기 고압탈피부는 파의 뿌리부분을 받치는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상부에 설치되어 파의 뿌리부분을 향해 고압수 또는 고압 공기를 분사할 수 있도록 된 노즐을 포함하는 노즐플레이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 탈피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탈피프레임은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일측에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서포트프레임과, 상기 서포트프레임에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승강프레임을 구비하며,
    상기 제2 이송벨트부와 상기 노즐플레이트는 상기 승강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베이스프레임 또는 서포트프레임에 지지되는 상기 제1 이송벨트부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 탈피장치.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이송벨트부는 상기 고정부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3 구동풀리와, 제3 구동풀리와 파의 이송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설치되는 제3 종동풀리와, 상기 제3 종동풀리와 동일 회전축에 설치되는 제1 보조풀리와, 상기 제1 보조풀리로부터 파의 이송방향을 따라 상기 탈피유닛과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는 제2 보조풀리와, 상기 제3 구동풀리와 제3 종동풀리를 연결하는 제3 벨트와, 제1, 제2 보조풀리를 연결하는 제1 보조벨트와, 상기 제3 구동풀리를 구동시키는 제3 구동모터를 구비하고,
    상기 제4 이송벨트부는 상기 가동부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4 구동풀리와, 상기 제4 구동풀리와 파의 이송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설치되는 제4 종동풀리와, 상기 제4 종동풀리와 동일 회전축에 설치되는 제3 보조풀리와, 상기 제3 보조풀리로부터 파의 이송방향을 따라 상기 탈피유닛과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는 제4 보조풀리와, 상기 제4 구동풀리와 제4 종동풀리를 연결하는 제4 벨트와, 상기 제3, 제4 보조풀리를 연결하는 제2 보조벨트와, 상기 제4 구동풀리를 구동시키는 제4 구동모터를 구비하고,
    상기 제3, 제4 벨트 및 제1, 제2 보조벨트는 파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스펀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 탈피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구동풀리의 회전축에 설치되는 제5 보조풀리와, 상기 제3 종동풀리의 회전축에 설치되는 제6 보조풀리와, 상기 제5, 제6 보조풀리에 걸려 상기 제3 벨트와 제4 벨트에 뿌리부분이 삽입된 파의 이파리 부분을 지지하는 제3 보조벨트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 탈피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분사부는 공기를 송풍시키기 위한 송풍기와, 상기 송풍기로부터 송풍된 공기를 상기 제3, 제4 이송벨트부에 의해 이송되는 파의 상부와 하부에서 불어낼 수 있도록 연장된 제1, 제2 송풍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 탈피장치.
KR1020120142213A 2012-12-07 2012-12-07 파 탈피장치 KR1012880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2213A KR101288090B1 (ko) 2012-12-07 2012-12-07 파 탈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2213A KR101288090B1 (ko) 2012-12-07 2012-12-07 파 탈피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8090B1 true KR101288090B1 (ko) 2013-07-19

Family

ID=489977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2213A KR101288090B1 (ko) 2012-12-07 2012-12-07 파 탈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8090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1588B1 (ko) * 2014-12-11 2015-05-19 박상길 농산물 자동 제피기
KR20160088749A (ko) * 2015-01-16 2016-07-26 (주)애니시스템 깐 마늘 뿌리 절단기
KR20170003107U (ko) 2016-02-26 2017-09-05 장회식 파 탈피기
KR101845896B1 (ko) 2017-02-06 2018-04-06 주식회사 이엔푸드 대파 탈피 장치
WO2018161395A1 (zh) * 2016-06-15 2018-09-13 杨李益 果蔬自适应脱皮机及其加工方法与应用
CN111184240A (zh) * 2019-12-27 2020-05-22 北京康得利智能科技有限公司 脱皮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95349A (ja) * 1997-04-25 1998-11-10 Sanei Kogyo Kk ねぎ類の外皮,不要葉自動除去装置
KR19980066370U (ko) * 1997-05-09 1998-12-05 하복진 파 탈피 및 다듬기
KR20110010348A (ko) * 2009-07-24 2011-02-01 고찬규 파 탈피장치
KR101031756B1 (ko) 2010-05-18 2011-04-29 신영식 대파 탈피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95349A (ja) * 1997-04-25 1998-11-10 Sanei Kogyo Kk ねぎ類の外皮,不要葉自動除去装置
KR19980066370U (ko) * 1997-05-09 1998-12-05 하복진 파 탈피 및 다듬기
KR20110010348A (ko) * 2009-07-24 2011-02-01 고찬규 파 탈피장치
KR101031756B1 (ko) 2010-05-18 2011-04-29 신영식 대파 탈피 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1588B1 (ko) * 2014-12-11 2015-05-19 박상길 농산물 자동 제피기
WO2016093494A1 (ko) * 2014-12-11 2016-06-16 박상길 농산물 자동 제피기
KR20160088749A (ko) * 2015-01-16 2016-07-26 (주)애니시스템 깐 마늘 뿌리 절단기
KR101668468B1 (ko) 2015-01-16 2016-10-21 (주)애니시스템 깐 마늘 뿌리 절단기
KR20170003107U (ko) 2016-02-26 2017-09-05 장회식 파 탈피기
WO2018161395A1 (zh) * 2016-06-15 2018-09-13 杨李益 果蔬自适应脱皮机及其加工方法与应用
KR101845896B1 (ko) 2017-02-06 2018-04-06 주식회사 이엔푸드 대파 탈피 장치
CN111184240A (zh) * 2019-12-27 2020-05-22 北京康得利智能科技有限公司 脱皮机
CN111184240B (zh) * 2019-12-27 2024-04-30 北京康得利智能科技有限公司 脱皮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8090B1 (ko) 파 탈피장치
KR101127620B1 (ko) 파 탈피장치
KR101668468B1 (ko) 깐 마늘 뿌리 절단기
CN101396165B (zh) 杏切分去核生产工艺及机械化生产线
KR102062007B1 (ko) 쪽파 뿌리 절단장치
US10306911B2 (en)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produce
US10602765B2 (en)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produce
CN106941868A (zh) 一种蒜薹收获机
KR100835507B1 (ko) 쪽파 자동 탈피장치
CN203676070U (zh) 一种冬瓜加工的前处理操作台
KR101222944B1 (ko) 대파탈피기
KR20150120538A (ko) 양파의 껍질까기와 뿌리 줄기 절단을 위한 장치
CN107284727A (zh) 一种香蕉采后处理流水线
CN208836712U (zh) 一种能够保证金针菇品质的金针菇采收装置
CN207854675U (zh) 一种金钱菇脚脱膜衣装置
KR20240051423A (ko) 파의 탈피 및 포장 작업이 간소화되고 탈피효율을 향상시킨 컨베이어 벨트형 쪽파 탈피기
CN109220576A (zh) 金针菇大批量采收设备及方法
CN209090014U (zh) 一种对荔枝枝叶连续去除的装置
KR101222844B1 (ko) 대파탈피방법
CN212971615U (zh) 洋葱提升划皮机
WO2014120432A2 (en) System and method of processing produce
CN207369990U (zh) 一种虾清洗输送装置
US2005017575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vegetables
CN108972649A (zh) 菊花脱瓣机
CN214105272U (zh) 一种天冬饮片炮制加工一体化生产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5

Year of fee payment: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