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7876B1 - 제철원료의 스윙 분배장치 - Google Patents

제철원료의 스윙 분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7876B1
KR101287876B1 KR1020110061490A KR20110061490A KR101287876B1 KR 101287876 B1 KR101287876 B1 KR 101287876B1 KR 1020110061490 A KR1020110061490 A KR 1020110061490A KR 20110061490 A KR20110061490 A KR 20110061490A KR 101287876 B1 KR101287876 B1 KR 1012878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w material
hopper
steel raw
distribution
convey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14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0765A (ko
Inventor
조성구
박맹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100614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7876B1/ko
Publication of KR201300007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07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78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78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16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materials in bulk
    • B65G47/18Arrangements or applications of hoppers or chutes
    • B65G47/19Arrangements or applications of hoppers or chutes having means for controlling material flow, e.g. to prevent overloa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1/00Chutes
    • B65G11/16Interior surfaces; Linings
    • B65G11/166Interior surfaces; Linings for bul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1/00Chutes
    • B65G11/20Auxiliary devices, e.g. for deflecting, controlling speed of, or agitating articles or solids
    • B65G11/206Auxiliary devices, e.g. for deflecting, controlling speed of, or agitating articles or solids for bul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08Control devices operated by article or material being fed, conveyed or dischar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34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 B65G47/44Arrangements or applications of hoppers or chu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65G2201/045Sand, soil and mineral o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4Detection means
    • B65G2203/047Switches

Abstract

호퍼로 투입된 제철원료를 일측 컨베이어와 타측 컨베이어로 분배하는 제철원료의 스윙 분배장치가 소개된다. 이 제철원료의 스윙 분배장치는 호퍼내 투입된 제철원료가 회전 각도에 따라 일측 컨베이어와 타측 컨베이어로 정량 분배하도록 호퍼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분배슈트와, 분배슈트가 회전되도록 분배슈트에 구동 연결되는 작동실린더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제철원료의 스윙 분배장치{SWING DISTRIBUTION APPARATUS OF RAW MATERIALS}
본 발명은 제철원료의 스윙 분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분배슈트의 회전작동을 통해 제철원료를 복수의 컨베이어에 적정하게 분배하여 원활한 제철원료의 이송이 구현되도록 하는 제철원료의 스윙 분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소 등과 같이 자동화된 대량생산용 산업설비에서는 다량의 제철원료를 손쉽게 운반이송할 수 있는 벨트 컨베이어 시스템이 사용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트 컨베이어 시스템은 벨트(1), 상부슈트(2), 하부슈트(3) 및 구동풀리(4)로 구성된다. 즉, 구동풀리의 회전력에 의해 벨트가 회전하고, 이송물이 상부슈트와 하부슈트를 통하여 복수의 컨베이어 벨트로 옮겨지고, 이것이 다시 제철원료의 파쇄를 위한 파쇄기(crusher) 및 분쇄기(rod mill, ball mill) 공정으로 이송되어 원하는 크기의 입자로 생산된다.
그러나 종래 벨트 컨베이어 시스템의 경우, 제철원료의 이송 과정에서 벨트 위로 이송대상인 제철원료가 복수의 컨베이어 벨트에 일정하게 분배되지 않는 상황이 발생되는데, 이 경우 한 쪽의 컨베어어 벨트에 너무 많거나 적은 연료가 공급되어, 결국 다음 공정인 파쇄공정에서 이상이 발생되거나, 하역 효율이 저하되기도 하였다.
아울러, 제철원료가 편중된 상태로 분쇄기로 공급되면, 분쇄기 내부의 로드 및 볼이 편마모되고, 내부 부품의 조기마모를 초래하여 이로 인해 소음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송되는 제철원료의 적정 분배량에 맞추어 제철원료를 정확하게 분배하는 제철원료의 스윙 분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제철원료의 스윙 분배장치는, 호퍼로 투입된 제철원료를 일측 컨베이어와 타측 컨베이어로 분배하는 제철원료의 스윙 분배장치로서, 분배슈트 및 작동실린더를 포함한다. 분배슈트는 회전 각도에 따라 제철원료가 일측 컨베이어와 타측 컨베이어로 정량 분배되도록 상기 호퍼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작동실린더는 상기 분배슈트가 회전되도록 상기 분배슈트에 구동 연결된다.
또한, 본 발명은 이송되는 제철원료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한 모니터부와, 적정 분배량에 맞추어 제철원료가 자동 분배되도록 작동신호를 상기 작동실린더에 인가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분배슈트는 제철원료가 이동되는 유로공간을 갖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하단에 설치되는 회전축부과, 일단이 상기 회전축부를 매개로 상기 본체부에 대칭되게 연결되고 타단이 작동로드를 매개로 상기 작동실린더에 구동 연결되는 연결바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호퍼는 상기 공급 컨베이어로부터 제철원료가 투입되는 상부호퍼와, 상기 상부호퍼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일측 컨베이어와 타측 컨베이어를 향해 분기되는 하부호퍼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분배슈트의 회전 단부에는 제철원료의 충돌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는 라이너가 부착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호퍼에는 상기 분배슈트의 회전 각도를 일정 각도로 제한하기 위한 리미트스위치가 마련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본체부의 상측에는 상기 슈트본체로 공급되는 제철원료 일부가 유입되는 투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는 상기 투입구를 통해 유입된 제철원료를 상기 일측 컨베이어로 공급하는 배출구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현저한 효과가 구현될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은 호퍼로 이송된 제철원료를 일측 컨베이어와 타측 컨베이어에 정량 분배함으로써, 제철원료의 이송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제철원료의 하역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둘째, 본 발명은 호퍼에 설치되는 간단한 회전작동 구성을 통해, 제철원료의 정확한 분배를 구현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셋째, 본 발명은 이송되는 제철원료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제철원료의 이송량 변화에 따라, 신속하고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넷째, 본 발명은 이송된 제철원료를 복수의 컨베이어에 정량 분배할 수 있으므로, 제철원료의 이송량의 차이로 인하여 다음 공정에서 야기될 수 있는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철원료의 스윙 분배장치를 도시한 구성도.
도 3a은 도 2의 "A"를 확대하여 제철원료의 스윙 분배장치의 작동 전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3b는 도 2의 "A"를 확대하여 제철원료의 스윙 분배장치의 작동 후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철원료의 스윙 분배장치를 도시한 구성도.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철원료의 스윙 분배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a은 도 2의 "A"를 확대하여 제철원료의 스윙 분배장치의 작동 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b는 도 2의 "A"를 확대하여 제철원료의 스윙 분배장치의 작동 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제철원료의 스윙 분배장치는, 공급 컨베이어(600)의 제철원료가 투입되는 호퍼(50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제철원료의 이송량에 따라 복수의 컨베이어에 제철원료가 적절하게 분배되도록 한다.
이때, 복수의 컨베이어는 호퍼(500)에서 배출된 제철원료를 일방향과 타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일측 컨베이어(610) 및 타측 컨베이어(620)로 구성되며, 이들 일측 컨베이어(610) 및 타측 컨베이어(620)는 서로 다른 양의 제철원료를 이송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그리고 호퍼(500)는 공급 컨베이어(600)로부터 제철원료의 투입이 이루어지는 상부호퍼(500a)와, 일측 컨베이어(610)와 타측 컨베이어(620)를 향해 분기되도록 상부호퍼(500a)의 하부에 설치되는 하부호퍼(500b)로 구성되며, 이 호퍼(500)에는 후술하는 분배슈트(100)의 회전 각도를 일정 각도로 제한하기 위한 리미트스위치(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스윙 분배장치는, 제철원료를 정량 분배하기 위한 분배슈트(100)와, 분배슈트(100)의 회전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작동실린더(200)와, 이송되는 제철원료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모니터부(300)와, 작동실린더(200)에 작동신호를 인가하는 제어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분배슈트(100)는 호퍼(500)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조로, 제철원료의 유입 및 배출이 이루어지는 본체부(110)와, 본체부(110)의 하단에 설치되는 회전축부(120)와, 회전축부(120)를 매개로 본체부(110)에 대칭되게 연결되는 연결바(130)로 구성된다.
여기서, 분배슈트(100)의 본체부(110)는 내부에 제철원료가 이동되는 유로공간을 갖는 중공의 배관 구조로, 해당 상측에 제철원료 일부가 유입되는 투입구(111)가 형성되고, 해당 일측에 투입구(111)를 통해 유입된 제철원료를 일측 컨베이어(610)로 공급하는 배출구(112)가 형성된다. 그리고, 본체부(110)의 회전 단부에는 라이너(140 :liner)가 부착될 수 있다. 이 라이너(140)는 제철원료와의 충돌이 발생되는 본체부(110)의 회전 단부에 부착됨으로써, 충돌에 따른 분배슈트(10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분배슈트(100)의 연결바(130)는 해당 일단이 회전축부(120)를 매개로 본체부(110)에 대칭되게 연결되고, 해당 타단이 작동로드(210)를 매개로 작동실린더(200)에 구동 연결된다. 따라서, 작동실린더(200)의 작동로드(210)에 의해 연결바(130)가 일방향으로 푸쉬되면, 작동로드(210)의 작동력이 회전축부(120)를 중심축으로 하여 시소 형태로 본체부(110)에 정확하게 전달되므로, 본체부(110)의 회전각도는 작동로드(210)의 작동력 크기 정도에 따라 정밀하게 조절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호퍼(500)내 투입된 제철원료는 분배슈트(100)의 정밀한 회전 각도의 변화에 따라 이동 경로가 결정되므로, 일측 컨베이어(610) 또는 타측 컨베이어(620)로의 정량 분배가 가능하다.
작동실린더(200)는 작동로드(210)를 통해 분배슈트(100)에 구동 연결되어, 제어부(400)를 통한 작동신호 인가시, 분배슈트(100)에 작동력을 제공함으로써 분배슈트(100)가 일정 각도로 회전되도록 한다.
이때, 일측 컨베이어(610) 또는 타측 컨베이어(620)로 분배되는 제철원료의 이송량은, 분배슈트(100)의 회전 각도에 따라 달라지므로, 작업자는 모니터부(300)를 통해 일측 컨베이어(610) 또는 타측 컨베이어(620)의 적정 분배량을 결정한 후, 제어부(400)를 통해 작동실린더(200)에 적정한 작동력이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분배슈트(100)의 회전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모니터부(300)는 호퍼(500)를 이동하는 제철원료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한 것으로, 작업자는 모니터부(300)를 통해 제철원료의 이송량을 포함한 제철원료의 이송 상태 등을 파악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스윙 분배장치에는 감지 센서 또는 감지카메라가 설치될 수 있다. 이 감지 센서 또는 감지카메라는 호퍼(500)에 투입되는 제철원료를 감지하거나, 일측 컨베이어(610) 또는 타측 컨베이어(620)를 이송하는 제철원료를 감지함으로써, 제철원료에 대한 정보를 모니터부(300)에 제공한다.
제어부(400)는 작업자에 의해 일측 컨베이어(610) 또는 타측 컨베이어(620)의 적정 분배량이 결정되면, 이 적정 분배량에 맞추어 제철원료가 자동 분배하기 위한 작동신호를 작동실린더(200)에 인가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작업자가 모니터부(300)를 통해 제철원료의 이송량을 모니터링하여 일측 컨베이어(610) 및 타측 컨베이어(620)의 적정 분배량을 결정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하며, 제철원료의 이송량을 모니터링하여 적정 분배량을 결정하는 과정은, 제어부(400)를 통해 자동화되도록 설계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철원료가 공급 컨베이어(600)로부터 상부호퍼(500a)로 투입되면, 상부호퍼(500a)에 투입된 제철원료는 분배슈트(100)에 의해 분배되어 일측 컨베이어(610)와 타측 컨베이어(620)로 이동된다.
이때, 모니터부(300)에는 호퍼(500)에 투입되는 제철원료와 일측 컨베이어(610) 또는 타측 컨베이어(620)로 이송되는 제철원료가 모니터링되는데, 작업자는 모니터부(300)에 디스플레이되는 제철원료의 이송량과 기 정해진 분배량을 비교하여, 일측 컨베이어(610) 또는 타측 컨베이어(620)로 이송되는 제철원료의 적정 분배량을 설정한 후, 제어부(400)를 통해 적정 분배량을 따른 분배슈트(100)의 회전각도를 정하고 그에 해당되는 작동신호를 작동실린더(200)에 인가한다.
분배슈트(100)를 회전시키기 위한 작동신호가 작동실린더(200)에 인가되면, 작동실린더(200)의 작동로드(210)는 분배슈트(100)의 연결바(130)를 일방향으로 푸쉬하고, 분배슈트(100)는 작동로드(210)의 작동력에 의해 소정각도 회전됨으로써, 호퍼(500)로 이송된 제철원료에 대한 일측 컨베이어(610)와 타측 컨베이어(620)의 정량 분배가 구현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철원료의 스윙 분배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분배슈트(100)가 상부호퍼(500a)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배슈트(100)는 상부호퍼(500a)의 중앙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를 통해, 분배슈트(100)가 폐쇄되는 경우, 제철원료는 타측의 상부호퍼(500a)와 하부호퍼(500b)를 통해 타측 컨베이어(620)로 이동될 수 있고, 분배슈트(100)가 개방되는 경우, 제철원료는 일측의 상부호퍼(500a)와 하부호퍼(500b)를 통해 일측 컨베이어(610)로 이동될 수 있고, 특히, 분배슈트(100)의 개방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제철원료의 적정 분배량이 조절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에서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0 :분배슈트 110 :본체부
120 :회전축부 130 :연결바
200 :작동실린더 210 :작동로드
300 :모니터부 400 :제어부
500 :호퍼 500a :상부호퍼
500b :하부호퍼 600 :공급 컨베이어
610 :일측 컨베이어 620 :타측 컨베이어

Claims (7)

  1. 호퍼에 투입된 제철원료를 일측 컨베이어와 타측 컨베이어로 분배하는 제철원료의 스윙 분배장치로서,
    회전 각도에 따라 제철원료가 일측 컨베이어(610)와 타측 컨베이어(620)로 정량 분배되도록 호퍼(50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분배슈트(100); 및
    상기 분배슈트(100)가 회전되도록 상기 분배슈트(100)에 구동 연결되는 작동실린더(200)를 포함하며,
    상기 분배슈트(100)는 제철원료가 이동되는 유로공간을 갖는 본체부(110)와, 상기 본체부(110)의 하단에 설치되는 회전축부(120)과, 일단이 상기 회전축부(120)를 매개로 상기 본체부(110)에 대칭되게 연결되고 타단이 작동로드(210)를 매개로 상기 작동실린더(200)에 구동 연결되는 연결바(13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철원료의 스윙 분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이송되는 제철원료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한 모니터부(300)와, 적정 분배량에 맞추어 제철원료가 자동 분배되도록 작동신호를 상기 작동실린더(200)에 인가하는 제어부(4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철원료의 스윙 분배장치.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호퍼(500)는 공급 컨베이어(600)로부터 제철원료가 투입되는 상부호퍼(500a)와, 상기 상부호퍼(500a)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일측 컨베이어(610)와 타측 컨베이어(620)를 향해 분기되는 하부호퍼(500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철원료의 스윙 분배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배슈트(100)의 회전 단부에는 제철원료의 충돌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는 라이너(140)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철원료의 스윙 분배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호퍼(500)에는 상기 분배슈트(100)의 회전 각도를 일정 각도로 제한하기 위한 리미트스위치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철원료의 스윙 분배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10)의 상측에는 상기 본체부(110)로 공급되는 제철원료 일부가 유입되는 투입구(111)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110)의 일측에는 상기 투입구(111)를 통해 유입된 제철원료를 상기 일측 컨베이어(610)로 공급하는 배출구(11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철원료의 스윙 분배장치.
KR1020110061490A 2011-06-24 2011-06-24 제철원료의 스윙 분배장치 KR1012878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1490A KR101287876B1 (ko) 2011-06-24 2011-06-24 제철원료의 스윙 분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1490A KR101287876B1 (ko) 2011-06-24 2011-06-24 제철원료의 스윙 분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0765A KR20130000765A (ko) 2013-01-03
KR101287876B1 true KR101287876B1 (ko) 2013-07-23

Family

ID=478341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1490A KR101287876B1 (ko) 2011-06-24 2011-06-24 제철원료의 스윙 분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787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28209A (zh) * 2014-12-30 2015-04-22 成都建筑材料工业设计研究院有限公司 摆动溜槽式导料装置
CN114890107A (zh) * 2022-04-29 2022-08-12 中冶华天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改造的带式输送机漏斗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4090U (ko) * 1998-07-31 2000-02-25 이구택 원료 슈트 수송물 낙하 유도 장치
KR20020037947A (ko) * 2000-11-16 2002-05-23 이구택 슈트에서의 이송물 균등분배 조절장치
KR20030034898A (ko) * 2001-10-29 2003-05-09 주식회사 포스코 벨트 컨베이어 이동형슈트의 내부 부착탄 제거장치
KR20080002880U (ko) * 2007-01-23 2008-07-28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주름혹 벨트 컨베이어를 이용한 트리퍼 컨베이어의 양방향운탄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4090U (ko) * 1998-07-31 2000-02-25 이구택 원료 슈트 수송물 낙하 유도 장치
KR20020037947A (ko) * 2000-11-16 2002-05-23 이구택 슈트에서의 이송물 균등분배 조절장치
KR20030034898A (ko) * 2001-10-29 2003-05-09 주식회사 포스코 벨트 컨베이어 이동형슈트의 내부 부착탄 제거장치
KR20080002880U (ko) * 2007-01-23 2008-07-28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주름혹 벨트 컨베이어를 이용한 트리퍼 컨베이어의 양방향운탄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0765A (ko) 2013-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09634B2 (ja) 鉱物性または非鉱物性材料の粉砕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EP2556891B1 (en) A method and a device for sensing the properties of a material to be crushed
US7806353B2 (en) Crusher apparatus
KR101287876B1 (ko) 제철원료의 스윙 분배장치
ITPI20130105A1 (it) Macchina per la frantumazione di prodotto alimentare congelato in blocchi, o sotto forma di iqf, e impianto per la produzione di purea, o succo, da prodotto di alimentare comprendente tale macchina
CN103586108A (zh) 高压辊磨机系统及其应用方法
KR101225784B1 (ko) 벨트컨베이어용 운송물 공급장치
EP2155396A1 (en) Grinding system
JP5124120B2 (ja) ロール粉砕機及びロール粉砕システム
WO2017148513A1 (en) Multi-roll material processing apparatus
KR20190076161A (ko) 벨트컨베이어용 이물질 제거장치
JP2003214936A (ja) 組合せ計量装置
TW201043336A (en) Method for controlling the material feed to a roller mill and such mill
KR101277241B1 (ko) 제철원료의 슬라이딩 분배장치
US10695765B2 (en) Apparatus for grinding particulate material
KR100499390B1 (ko) 볼트 불량 선별장치
KR101294916B1 (ko) 운송물 처리장치
RU2119862C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обработки бунтового или пруткового металла дробью
KR20160008766A (ko) 수송물 분배용 절출 슈트
KR101435062B1 (ko) 연원료 불출장치
CN107761198A (zh) 用于处理纤维材料的装置
JP6011469B2 (ja) 粉粒体投入装置及び投入方法
KR20020037947A (ko) 슈트에서의 이송물 균등분배 조절장치
KR101295593B1 (ko) 트리퍼카용 배출장치
CN110861886B (zh) 一种物料运输装置及水泥熟料生产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