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6049B1 - 가열 공기를 이용한 온열급식대 - Google Patents

가열 공기를 이용한 온열급식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6049B1
KR101286049B1 KR1020110054415A KR20110054415A KR101286049B1 KR 101286049 B1 KR101286049 B1 KR 101286049B1 KR 1020110054415 A KR1020110054415 A KR 1020110054415A KR 20110054415 A KR20110054415 A KR 20110054415A KR 101286049 B1 KR101286049 B1 KR 1012860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heating
food
air inlet
ceramic he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44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35607A (ko
Inventor
강인순
Original Assignee
신일금속티앤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일금속티앤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신일금속티앤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544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6049B1/ko
Publication of KR201201356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56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60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60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9/00Heat-insulated warming chambers; Cupboards with heating arrangements for warming kitchen utensils
    • A47J39/02Dish-warmers; Devices to keep food ho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evices For Warming Or Keeping Food Or Tableware Ho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부에 거치된 음식용기를 가열수단으로 가열하여 따뜻한 상태로 음식을 제공하기 위한 온열급식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열수단을 송풍팬과 세라믹히터로 구성하여 가열 공기를 통해 음식용기를 가열하여 따뜻한 상태의 음식을 취식할 수 있도록 한 가열 공기를 이용한 온열급식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고, 복수의 수용공간이 형성된 거치대와; 상기 거치대의 각 수용공간에 삽입되는 복수의 음식용기와; 상기 거치대의 하부에 설치되어 음식용기를 가열하는 복수의 가열수단으로 구성된 온열급식대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의 저부에는 복수의 공기유입구가 각 수용공간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가열수단은 외기를 흡입하여 공기유입구로 압송하는 송풍팬과, 공기유입구로 압송되는 외기를 가열하는 히터로 구성되어, 각 공기유입구의 외주면에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 가열 공기를 이용한 온열급식대를 제공된다.

Description

가열 공기를 이용한 온열급식대{A feeding table using heated-air}
본 발명은 상부에 거치된 음식용기를 가열수단으로 가열하여 따뜻한 상태로 음식을 제공하기 위한 온열급식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열수단을 송풍팬과 세라믹히터로 구성하여 가열 공기를 통해 음식용기를 가열하여 따뜻한 상태의 음식을 취식할 수 있도록 한 가열 공기를 이용한 온열급식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학교나 병원 등의 대규모 단체 급식을 위한 식당에서는 밥과 반찬과 같은 여러 가지 음식물을 다수개의 용기(음식용기)에 담아 두고 이용자가 원하는 양의 음식을 직접 덜어 먹을 수 있도록 급식대를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급식대는 조리된 각각의 음식물을 소정의 크기를 가진 용기에 담아 두면 이용자는 미리 준비된 개인 식판에 원하는 음식을 직접 덜어 먹을 수 있으므로 배식을 위한 별도의 인원이 요구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필요한 양 만큼만 덜어 먹어 음식물 쓰레기의 발생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여기에 음식이 가진 온도를 적정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가열수단을 구비하여 급식되는 음식을 따뜻한 상태에서 취식할 수 있도록 한 것이 온열급식대이다.
상기 온열급식대는 물을 열전달 매체로 사용하며, 그 구성은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고, 복수의 수용공간이 형성된 거치대와; 상기 거치대의 각 수용공간에 삽입되는 복수의 음식용기와; 상기 거치대의 하부에 설치되어 음식용기를 가열하는 복수의 가열수단으로 구성된다.
하지만 종래의 온열급식대는 물을 열전달매체로 사용하므로 온열급식대를 사용하기 전에 예열하여야함에 따라 에너지 및 시간의 낭비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물의 온도를 음식용기에 담긴 음식에 대응하여 개별적으로 조절할 수 없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이 뿐만 아니라 물이 증발하면서 주변환경의 습도를 증가시켜 작업자나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주고, 안경이나 유리창 등에 결로가 발생시켜 불편을 유발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도록, 온열급식대에 사용되는 열전달 매체가 공기로 대체된 가열 공기를 이용한 온열급식대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고, 복수의 수용공간이 형성된 거치대와; 상기 거치대의 각 수용공간에 삽입되는 복수의 음식용기와; 상기 거치대의 하부에 설치되어 음식용기를 가열하는 복수의 가열수단으로 구성된 온열급식대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의 저부에는 복수의 공기유입구가 각 수용공간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가열수단은 외기를 흡입하여 공기유입구로 압송하는 송풍팬과, 공기유입구로 압송되는 외기를 가열하는 세라믹히터로 구성되어, 각 공기유입구의 외주면에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 가열 공기를 이용한 온열급식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열용량이 작은 공기를 열전달 매체로 사용하여 열효율이 좋은 세라믹히터로 공기를 가열함에 따라 예열이 필요했던 종래에 비해 가열에 소비되는 에너지 및 시간이 절약되며, 음식의 종류에 따라 개별제어가 용이하고, 가열 공기가 건조상태이므로 결로가 발생하지 않아 안경이나 유리창 등을 가리는 불편을 해소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가열 공기를 이용한 온열급식대(100)는 본체(1)와; 상기 본체(1)의 상부에 설치되고, 복수의 수용공간이 형성된 거치대(2)와; 상기 거치대(2)의 각 수용공간에 삽입되는 복수의 음식용기(3)와; 상기 거치대(2)의 하부에 설치되어 음식용기(3)를 가열하는 복수의 가열수단으로 구성된 온열급식대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2)의 저부에는 복수의 공기유입구(4)가 각 수용공간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가열수단은 외기를 흡입하여 공기유입구(4)로 압송하는 송풍팬(5)과, 공기유입구(4)로 압송되는 외기를 가열하는 세라믹히터(6)로 구성되어, 각 공기유입구(4)의 외주면에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각 공기유입구(4)의 내측 상부에는, 가열된 외기가 음식용기(3)와 수용공간의 사이에서 고르게 분산되도록 복수의 통기공(7)을 가진 공기분산판(8)이 고정구(9)에 의해 수평으로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음식용기(3)에 담긴 음식의 온도를 적절하게 유지하면서 급식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특히, 공기를 열전달 매체로 사용함에 따라 열전달 매체의 가열에 소비되는 에너지 및 시간의 낭비를 줄이고, 음식용기(3)에 담긴 음식의 온도에 대응하여 개별적으로 가열을 실시할 수 있으며, 결로가 발생하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이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기가 송풍팬(5)을 통해 흡입되어 세라믹히터(6)를 통과한 후 고온의 상태로 공기유입구(4)로 유입되어 음식용기(3)를 데우도록 한 구조에 의해 달성된다.
즉, 세라믹히터(6)를 통과한 고온의 외기가 거치대(2)의 수용공간을 순환하면서 음식이 담긴 음식용기(3)를 가열하는 것이다.
여기서 세라믹히터(6)는 열효율이 높아 고온의 공기를 효율적으로 생산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침투성이 좋은 원적외선이 방출됨에 따라 음식용기(3)의 음식을 용이하게 데울 수 있다.
그리고 공기를 열전달 매체로 사용함에 따라 물을 열전달 매체로 사용하던 종래와 달리 예열이 불필요함에 따라 즉각적으로 고온의 공기를 이용할 수 있고, 예열에 소비되는 에너지와 시간을 절약 할 수 있다.
이 뿐만 아니라 세라믹히터(6)가 거치대(2)의 수용공간에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설치됨으로써, 음식용기에 담긴 음식의 종류에 따라 개별적으로 온도를 제어할 수 있어 음식의 풍미를 종래 보다 효과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세라믹히터(6)를 통과한 고온의 외기는 건조 상태이므로 종래와 같이 물이 증발하여 발생하던 결로가 방지됨으로써 안경이나 유리창 등을 가리는 불편을 유발하지 않고, 온열급식대(100)가 설치된 환경을 종래보다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세라믹히터(6)를 통과한 고온 상태의 외기는 가열수단의 송풍팬(5)이 연속적으로 외기를 흡입하여 공기유입구(4)를 통해 거치대(2)의 수용공간으로 공급함에 따라 수용공간에 하부가 노출된 음식용기(3)를 데우게 된다.
그리고 공기유입구(4)의 내측 상부에는 복수의 통기공(7)이 형성된 공기분산판(8)이 고정구(9)에 의해 설치되며, 이는 세라믹히터(6)를 통과한 고온 상태의 공기가 음식용기(3)의 일부에만 열을 전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즉, 고정구(9)를 통해 형성된 공기분산판(8)과 거치대(2)의 저면 사이 공간으로 고온의 공기 중 일부를 우회시켜 음식용기(3)의 양측을 데우도록 하고, 나머지 일부가 공기분산판(8)의 통기공(7)을 통과하여 음식용기(3)의 하면을 데우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음식용기(3)를 균일하게 가열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가열 공기를 이용한 온열급식대(100)는 열용량이 작은 공기를 열전달 매체로 사용하여 열효율이 좋은 세라믹히터(6)로 공기를 가열함에 따라 예열이 필요했던 종래에 비해 가열을 위한 에너지가 절약되며, 음식의 종류에 따라 개별제어가 용이하고, 가열된 고온의 공기가 건조상태이므로 결로가 발생하지 않아 안경이나 유리창 등이 가려지는 불편을 해소한다.
1 : 본체 2 : 거치대
3 : 음식용기 4 : 공기유입구
5 : 송풍팬 6 : 세라믹히터
7 : 통기공 8 : 공기분산판
9 : 고정구 100 : 온열급식대

Claims (2)

  1. 본체(1); 본체(1)의 상부에 설치되고, 복수의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각각의 수용공간의 저부에 해당되는 부분에 복수의 공기유입구(4) 형성된 거치대(2); 거치대(2)의 각 수용공간에 삽입되는 복수의 음식용기(3); 각각의 수용공간 하부에 설치된 세라믹히터(6); 세라믹히터(6)의 하부에 설치되어 외기를 흡입하여 세라믹히터(6)와 공기유입구(4)로 압송하는 송풍팬(5); 각각의 공기유입구(4)와 각각의 공기유입구(4)의 상부에 설치된 음식용기(3)의 사이 공간에 거치대(2)의 바닥에 설치된 고정구(9)에 의해 수평으로 설치되어 가열된 외기가 음식용기(3)와 수용공간의 사이에서 고르게 분산되도록 설치된 복수의 통기공(7)을 가진 공기분산판(8);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공기를 이용한 온열급식대.
  2. 삭제
KR1020110054415A 2011-06-07 2011-06-07 가열 공기를 이용한 온열급식대 KR1012860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4415A KR101286049B1 (ko) 2011-06-07 2011-06-07 가열 공기를 이용한 온열급식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4415A KR101286049B1 (ko) 2011-06-07 2011-06-07 가열 공기를 이용한 온열급식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5607A KR20120135607A (ko) 2012-12-17
KR101286049B1 true KR101286049B1 (ko) 2013-07-19

Family

ID=47903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4415A KR101286049B1 (ko) 2011-06-07 2011-06-07 가열 공기를 이용한 온열급식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604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63591A (zh) * 2016-09-14 2017-01-04 贵州科聪科技开发有限公司 多功能热循环电暖桌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17981A1 (ko) * 2014-07-28 2016-02-04 임경모 보온 트레이
KR101656070B1 (ko) * 2014-09-19 2016-09-09 주식회사 모루유통 피자용 보온 트레이
PL71347Y1 (pl) * 2015-09-14 2020-04-30 Politechnika Wroclawska Stół
KR102255065B1 (ko) * 2020-02-28 2021-05-25 주식회사 이니프레임 무인 자동화 조리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6593U (ko) * 1997-05-19 1998-12-05 주광진 배식대
JPH11313719A (ja) * 1998-05-06 1999-11-16 Shin Nippon Chuki Kk 給食用運搬車
JP2009172173A (ja) 2008-01-24 2009-08-06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加熱装置及び配膳車
KR20100109213A (ko) * 2009-03-31 2010-10-08 동화시스템(주) 단체급식소용 대형 오븐기의 열풍순환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6593U (ko) * 1997-05-19 1998-12-05 주광진 배식대
JPH11313719A (ja) * 1998-05-06 1999-11-16 Shin Nippon Chuki Kk 給食用運搬車
JP2009172173A (ja) 2008-01-24 2009-08-06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加熱装置及び配膳車
KR20100109213A (ko) * 2009-03-31 2010-10-08 동화시스템(주) 단체급식소용 대형 오븐기의 열풍순환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63591A (zh) * 2016-09-14 2017-01-04 贵州科聪科技开发有限公司 多功能热循环电暖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5607A (ko) 2012-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6049B1 (ko) 가열 공기를 이용한 온열급식대
ES2325994T3 (es) Metodo y aparato de calentamiento de alimentos.
AU2003248798B2 (en) Food warming apparatus and method
US3886346A (en) Reheating and reconstitution apparatus
KR100891380B1 (ko) 다기능 조리 오븐기
US20130216213A1 (en) Heating and cooling table
US6735958B2 (en) System for holding food in a ready-to-serve state
US9962037B2 (en) Food condition maintaining device
CN204181222U (zh) 一种多功能暖碟柜
US9027470B1 (en) Food condition maintaining device
US9149154B1 (en) Apparatus for transiently holding cooked food in a warm condition pending service of the food for consumption
KR101654157B1 (ko) 에어 순환용 입체구조를 가진 에어 순환 난방 매트
CN105942716A (zh) 一种餐桌
KR20120000965U (ko) 구이기
MXPA05008620A (es) Carretilla de banquete que incluye material de retencion de calor.
CN109124386A (zh) 一种均匀加热的辐射烤炉
JP2005296338A (ja) サービスカート
CN209121965U (zh) 一种均匀加热的辐射烤炉
KR20180119043A (ko) 보온겸용 전기식 조리장치
CN208590929U (zh) 一种节能型均匀加热保温台
CN220494776U (zh) 一种饭菜保温盒
TWM591820U (zh) 食物烘乾加熱兩用機
JP2002177059A (ja) 調理保温カート及びカート用調理トレイ
CN214433744U (zh) 暖奶器
US20130026245A1 (en) Personal space hea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