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4752B1 - 거푸집 붕괴징후 검출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거푸집 붕괴징후 검출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84752B1 KR101284752B1 KR1020110138106A KR20110138106A KR101284752B1 KR 101284752 B1 KR101284752 B1 KR 101284752B1 KR 1020110138106 A KR1020110138106 A KR 1020110138106A KR 20110138106 A KR20110138106 A KR 20110138106A KR 101284752 B1 KR101284752 B1 KR 10128475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nsor
- clamp
- collapse
- microcontroller
- output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4
- 238000009415 formwork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6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9000006260 foam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abstract 1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172 burs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856 abnorma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66 ca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49 embo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355 oscil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52 review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45 sensiti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3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mechanical strain gauge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ce Measurement Appropriate To Specific Purpo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로폼, 알폼, 목재폼 등과 같은 거푸집의 조립부위에 설치되어 콘크리트 타설 중 또는 양생 중에 발생할 수 있는 거푸집의 붕괴징후를 미리 예측하여 경고할 수 있도록 한 거푸집 붕괴징후 검출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거푸집(20)(22)의 조립부위에 설치되는 클램프(30)와, 클램프(30)에 설치되어 거푸집(20)(22) 간의 변위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40)와, 센서(40)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 출력값을 디지털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A/D컨버터(50)와, A/D컨버터(50)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신호와 기준치를 주기적으로 비교하여 거푸집붕괴 징후를 판독한 후 경보신호를 출력하는 마이크로콘트롤러(60)와, 마이크로콘트롤러(60)로부터 출력되는 경보신호에 의해 구동되는 경고부(70)로 구성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거푸집에 붕괴징후가 있는 경우 육안으로 확인이 어려운 거푸집에 가해지는 변화를 센서를 이용해서 검출하여 경고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거푸집 붕괴로 인한 인명사고와 물적낭비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거푸집에 붕괴징후가 있는 경우 육안으로 확인이 어려운 거푸집에 가해지는 변화를 센서를 이용해서 검출하여 경고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거푸집 붕괴로 인한 인명사고와 물적낭비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유로폼, 알폼, 목재폼 등과 같은 거푸집의 조립부위에 설치되어 콘크리트 타설 중 또는 양생 중에 발생할 수 있는 거푸집의 붕괴징후를 미리 예측하여 경고할 수 있도록 한 거푸집 붕괴징후 검출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클램프를 이용 거푸집에 간단히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하고 붕괴징후 포착시 경고하도록 한 거푸집 붕괴징후 검출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타설시 거푸집 붕괴의 원인으로는 조임철물(폼타이, 거푸집 핀 등) 파단에 의한 거푸집 터짐, 거푸집 밑둥에 과다한 압력이 작용하여 떠오르는 사고, 돌출부의 지보공이나 조임철물의 불비, 슬래브의 지보공(써포트) 간격의 불량, 띠장목의 절손 등으로 인해 발생된다.
이와 같은 거푸집 붕괴의 방지책으로는 첫째 거푸집 및 동바리의 안전성 및 다양한 검토가 필요하나 현장 여건상 세세하게 살피는 것이 매우 어렵기 때문에 거푸집 도괴 및 터짐의 사고가 주기적으로 발생되고 있다.
특히 거푸집 붕괴의 진행과정은 취약부위에서 천천히 진행되다가 한계점에 이르면 한꺼번에 붕괴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이 거푸집 붕괴 초기에는 미세하게 진행되기 때문에 육안으로 관찰하는 것이 매우 어렵고, 또 붕괴 징후를 미리 판단하여 대비하기란 매우 곤란한 과제로 남아 있다. (참고 선행기술문헌; 국내등록특허 10-1028136, 국내등록특허 10-1153903, 국내공개특허 10-2010-0012359, 국내등록특허 10-0776820)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콘크리트 거푸집의 붕괴 징후를 미리 예측하여 경고해줄 수 있는 동시에 육안으로 확인이 어려운 거푸집의 미세한 변화에도 예민하게 반응 검출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거푸집 붕괴징후 검출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호 밀착되어 있는 거푸집프레임에 물리기 위한 클램프와, 클램프의 조에 설치되어 거푸집프레임의 변화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와,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 출력값을 디지털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A/D컨버터와, A/D컨버터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신호와 기준치를 주기적으로 비교하여 거푸집붕괴 징후여부를 판독한 후 경보신호를 출력하는 마이크로콘트롤러와, 마이크로콘트롤러로부터 출력되는 경보신호에 의해 구동되는 경고부로 구성하여 거푸집 붕괴징후 검출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클램프가 거푸집프레임에 물린 상태를 센서로부터 검출하는 제1단계, 클램프의 물림이 검출된 후 소정시간 내에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검출데이터를 기준값으로 기억하는 제2단계, 소정시간이 경과된 후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검출데이터와 기준값을 주기적으로 비교하여 거푸집프레임에 가해지는 변화치를 산출하는 제3단계, 거푸집프레임에 가해지는 변화치가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경보신호를 출력하는 제4단계로 구성하여 거푸집-동바리시스템의 붕괴징후 검출방법이 제공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거푸집에 붕괴징후가 있는 경우 육안으로 확인이 어려운 거푸집에 가해지는 변화를 센서를 이용해서 검출하여 경고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거푸집 붕괴로 인한 인명사고를 방지하고 물적낭비를 막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은 마이크로콘트롤러로부터 거푸집의 붕괴징후가 예상되어 경고신호가 출력될 때 식별정보저장부로부터 식별번호와 위치정보를 액세스한 후 무선데이터송신부를 통해 근거리에 위치된 무선데이터수신부로 송출하여 관리자에게 알려주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관리자가 거푸집 붕괴징후가 예상되는 위치를 쉽게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조에 설치된 비교적 넓은 탄성지지판에 의해 하중을 고르게 전달받은 다음 센서의 샤프트로 전달하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조가 물리는 거푸집프레임의 장착부위에 이물질이 부착되어 있는 경우에도 센서의 원활한 동작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은 붕괴 징후시 점멸하거나 연속점등되는 발광다이오드가 클램프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붕괴 조짐이 있는 거푸집의 거푸집프레임에 물린 클램프를 육안으로 확인하는 것이 매우 용이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은 집게 형태의 클램프를 이용해서 거푸집프레임에 간단히 물리거나 탈거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이 매우 편리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클램프의 조에 형성된 식별번호표시부에 의해 이상 징후가 있는 거푸집프레임에 물린 클램프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붕괴 징후가 있는 거푸집을 찾는 것이 용이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더 나아가서 본 발명은 클램프가 거푸집프레임에 물린 상태의 여부를 센서로부터 검출하여 판단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클램프의 물림/해제만을 검출하기 위한 별도의 스위치를 구비할 필요가 없어 제품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은 클램프의 물림이 검출된 후 소정시간 내의 검출값을 기준값으로 기억한 다음 다시 소정시간이 경과된 후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검출값과 기준값을 주기적으로 비교하여 변화된 값만으로 붕괴 징후를 판단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붕괴징후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붕괴징후 검출장치를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붕괴징후 검출장치를 우측에서 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붕괴징후 검출장치를 좌측에서 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클램프가 거푸집프레임에 물린 것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클램프가 거푸집프레임에 물린 것을 보인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붕괴징후 검출장치를 보인 블록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붕괴징후 검출장치를 우측에서 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붕괴징후 검출장치를 좌측에서 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클램프가 거푸집프레임에 물린 것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클램프가 거푸집프레임에 물린 것을 보인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붕괴징후 검출장치를 보인 블록구성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1 내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푸집(20)(22)을 조립할 때 거푸집(20)(22)의 테두리에 수직으로 형성된 거푸집프레임(24)(26)을 상호 밀착시켜서 쐐기(도시생략)로 조립하게 되는데, 센서(40)가 설치된 클램프(30)를 거푸집프레임(24)(26)에 물려서 거푸집프레임(24)(26)에 작용되는 변화를 검출하여 붕괴징후를 예측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상호 밀착되어 있는 거푸집(20)(22)의 거푸집프레임(24)(26)에 물리기 위한 클램프(30)와, 클램프(30)의 조(31)에 설치되어 거푸집프레임(24)(26)의 변화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40)와, 센서(40)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 출력값을 디지털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A/D컨버터(50)와, A/D컨버터(50)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신호와 기준치를 주기적으로 비교하여 거푸집붕괴 징후여부를 판독한 후 경보신호를 출력하는 마이크로콘트롤러(60)와, 마이크로콘트롤러(60)로부터 출력되는 경보신호에 의해 구동되는 경고부(70)로 구성한다.
여기서 경고부(70)는 마이크로콘트롤러(60)의 출력포트에 접속되는 램프구동부(72)와, 램프구동부(72)로부터 출력되는 구동전류에 의해 점멸하는 발광다이오드(LED1)로 구성할 수 있으나 꼭 이러한 것에 한정하지 않으며, 발진회로와 스피커를 이용한 음성안내방식의 경고부(70)로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클램프(30)에 각각 부여된 식별부호와 위치정보가 저장된 식별정보저장부(80)를 마이크로콘트롤러(60)에 접속하고, 마이크로콘트롤러(60)로부터 경보신호가 출력될 때 식별정보저장부(80)에 저장된 식별부호와 위치정보를 액세스하여 무선으로 전송하기 위한 무선데이터송신부(82)를 마이크로콘트롤러(60)에 접속하며, 무선데이터송신부(82)로부터 송출되는 식별부호와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표시부(84)를 통해 표시하기 위한 무선데이터수신부(86)를 구비한다.
여기서 무선데이터수신부(86)와 표시부(84)는 하나의 본체에 수납된 전용의 휴대용 단말기 형태로 제작될 수 있으나 꼭 이러한 것에 한정하지 않고 와이파이(Wi-Fi)무선통신회로, 블루투스(Bluetooth)칩, 지그비(Zigbee)칩 등이 내장된 스마트폰, 태블릿컴퓨터, 노트북 등을 이용해서 구성할 수도 있다.
또, 클램프(30)의 조(32)에 식별번호표시부(33)를 형성하여 액정디스플레이와 같은 표시부(84)를 통해 디스플레이 되고 있는 붕괴징후가 예상되는 거푸집(20)(22)에 물린 클램프(30)의 식별번호를 찾기 용이하도록 하며, 이러한 식별번호표시부(33)에는 식별번호가 인쇄된 스티커를 부착하거나 식별번호를 양각 또는 음각으로 각인할 수 있다.
또한, 거푸집프레임(24)(26)에 밀착되는 조(32)의 밀착면에는 미끄러져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톱니를 형성한다.
그리고, 클램프(30)의 조(31)에 탄성지지판(90)을 설치하며, 탄성지지판(90)으로부터 조(31)를 향해 복수의 슬라이드핀(91)을 설치하고, 슬라이드핀(91)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구멍(37)을 조(31)에 형성하며, 탄성지지판(90)에 “U”자 모양으로 절개된 탄성편(92)을 형성하고, 센서(40)의 샤프트(42)에 하중을 전달하는 접촉자(93)를 탄성지지판(90)의 중앙에 설치한다.
또한, 탄성지지판(90)은 조(31)와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탄성지지판(90)과 조(31)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돌출되어 조(31) 표면에 접촉되면서 탄성지지판(90)을 지지하도록 탄성편(92)의 단부를 반원형으로 절곡한다.
또, 탄성지지판(90)의 반대편 조(31) 표면에는 센서(40)가 수납되는 센서수납실(31k)이 형성되며, 이 센서수납실(31k)의 중심에는 센서(40)의 샤프트(42)가 삽입되는 관통구멍(31h)이 형성되어 탄성지지판(90)에 설치된 접촉자(93)가 관통구멍(31h)을 통해 샤프트(42)의 단부에 항상 접촉되도록 한다.
상기 센서(40)는 예컨대, 압전식 로드셀(piezoelectric-type load cell) 또는 스트레인 게이지형 로드셀(strain gauge-type load cell)로 구성할 수 있으며, 실시예에서는 스트레인 게이지형 로드셀로 구성하였다.
그리고, 조(31)에 형성된 센서수납실(31k)에 삽입된 센서(40)가 움직이지 못하도록 고정하기 위한 커버(44)를 조(31)에 설치하며, 커버(44)의 일측에는 인쇄회로기판(76)을 수납하기 위한 장방형의 기판수납실(45)을 형성한다.
또, 커버(44)와 센서(40)는 센서고정볼트(46)에 의해 결합하며, 커버(44)와 조(31)의 고정은 커버고정볼트(47)에 의해 결합한다.
또한, 인쇄회로기판(76)의 상단에 설치된 발광다이오드(LED1)를 기판수납실(45)의 상측으로 돌출시키시 위해 기판수납실(45)의 상부에 “U”자 모양으로 절개된 홈(43)을 형성한다.
여기서 인쇄회로기판(76)에는 마이크로콘트롤러(60), A/D컨버터(50), 무선데이터송신부(82), 식별정보저장부(80), 경고부(70) 및 배터리 등이 설치된다.
첨부도면 도6에 도시된 부호 R1,R2,R3는 휘스톤브리지저항을 나타낸 것이며, R4는 센서(40)의 스트레인게이지저항을 나타낸 것이고, R5는 발광다이오드(LED1)의 전류제한저항을 나타낸 것이며, 센서(40)의 단자 “V+”와 “V-”는 기준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전원단자이고, 센서(40)의 단자 “SG+”와 “SG-”는 휘스톤브리지저항(R1)(R2)(R3)과 스트레인게이지저항(R4)으로부터 출력되는 검출전압을 출력하기 위한 출력단자를 나타낸 것이며, 센서(40)의 단자 “GND”는 센서(40)로부터 A/D컨버터(50)로 접속된 전선을 감싸는 쉴드선을 접지함으로써 외부노이즈로 인한 영향을 최소로 하기 위한 접지단자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클램프(30)는 예를 들어서, 센서(40)가 설치되는 집게 형태의 조(31)를 갖는 스프링클램프로 형성할 수 있으며, 꼭 이러한 클램프의 종류에 한정하지 않고 토글클램프, 볼트에 의해 조이는 C형클램프 또는 G형클램프 등으로도 구성할 수 있다.
또, 도시예에서와 같이 클램프(30)를 집게형의 스프링클램프로 구성한 경우 대략 대칭을 이루는 두 부분으로 분할형성하며, 힌지핀(34)의 결합을 위한 클레비스결합부(38a)(38b)를 양측에 형성하고, 힌지핀(34)의 일측단에는 원판형의 헤드부를 형성하며, 반대편에는 힌지핀(34)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스냅링(35)을 설치하고, 손으로 잡아서 걸림을 해제하기 위한 손잡이(39a)(39b)가 상단에 형성되며, 손잡이(39a)(39b)의 안쪽 대향면에는 압축스프링(36) 설치를 위한 스프링시트(36a)(36b)를 형성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동바리시스템의 붕괴징후 검출방법은 클램프(30)가 거푸집프레임(24)(26)에 물린 상태를 센서(40)로부터 검출하는 제1단계, 클램프(30)의 물림이 검출된 후 소정시간 동안 센서(40)로부터 출력된 하중데이터의 평균치를 기준치로 기억하는 제2단계, 소정시간이 경과된 후 센서(40)로부터 출력되는 하중데이터와 기준치를 주기적으로 비교하여 거푸집프레임(24)(26)에 가해지는 변화치를 산출하는 제3단계, 거푸집프레임(24)(26)에 가해지는 변화치가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경보신호를 출력하는 제4단계로 이루어진다.
또, 제4단계에서 거푸집프레임(24)(26)에 가해지는 변화치가 소정시간 동안 연속해서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도 경보신호를 출력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제1,2,3,4단계는 모두 센서(40)로부터 검출되는 데이터를 기초로 마이크로콘트롤러(60)에 의해 비교해서 판단되고, 기억된 후 경보신호로 출력된다.
또한, 센서(40)가 압전식 로드셀 또는 스트레인 게이지형 로드셀로 구성된 경우 센서(40)로부터 하중데이터를 검출하여 마이크로콘트롤러(60)에 의해 처리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1 내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푸집(20)(22)을 설치한 후 거푸집(20)(22) 붕괴 징후를 검출하기 위해 클램프(30)에 상단에 형성된 손잡이(39a)(39b)를 잡아서 조(31)(32)를 벌린 다음 서로 밀착되어 있는 거푸집프레임(24)(26)에 끼운 다음 손잡이(39a)(39b)로부터 손을 떼게 되면, 손잡이(39a)(39b)이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압축스프링(36)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조(31)(32)가 거푸집프레임(24)(26)를 물게 된다.
이때 조(31)에 설치된 탄성지지판(90)이 거푸집프레임(24)(26)에 밀착되면서 탄성지지판(90)에 형성된 탄성편(92)이 탄성변형되고, 동시에 탄성지지판(90)이 조(31)를 향해 미세하게 이동되면서 탄성지지판(90)의 중앙에 설치된 접촉자(93)가 센서(40)의 샤프트(42)를 가압하게 된다.
즉, 센서(40)가 갖는 샤프트(42)는 조(31)에 직접 접촉하지 않고 탄성지지판(90)을 통해 간접적으로 하중이 전달받게 되며, 넓은 탄성지지판(90)으로 작용되는 하중이 작은 크기의 접촉자(93)를 통해 샤프트(42)로 전달된다.
이때 센서(40)가 스트레인 게이지형 로드셀로 구성된 경우 센서(40)에 내장된 스트레인게이지저항(R1)(R2)(R3)의 저항치가 변화되면서 출력단자(SG+)(SG-)로부터 압력값에 해당하는 전압이 출력되어 A/D컨버터(50)로 인가되며, A/D컨버터(50)는 센서(40)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 전압을 디지털신호로 변환하여 마이크로콘트롤러(60)의 입력포트로 출력하게 된다.
이때 마이크로콘트롤러(60)는 제1단계에서 센서(40)로부터 A/D컨버터(50)를 경유하여 변환된 디지털신호가 소정값 이상의 전압을 갖게 되면, 클램프(30)가 거푸집프레임(24)(26)에 물렸다는 것으로 간주하게 된다.
그 다음 마이크로콘트롤러(60)는 제2단계에서 클램프(30)의 물림이 검출된 후 소정시간 내에 센서(40)로부터 A/D컨버터(50)를 경유하여 출력되는 하중데이터를 기준치로 기억하게 된다.
즉, 클램프(30)가 물려지는 거푸집프레임(24)(26)의 표면상태, 이물질 부착여부, 거푸집프레임(24)(26)의 두께에 따라서 클램프(30)의 조(31)(32) 벌림이 다르게 되고, 동시에 압축스프링(36)의 압축정도가 다르게 되기 때문에 거푸집(20)(22) 상태에 따라 각기 다른 클램프(30)에 설치된 센서(40)에 가해지는 하중값에 미세한 편차가 존재하므로, 이를 보정하기 위해 클램프(30)가 클램프(30)에 물려진 상태에서 초기에 센서(40)에 작용되는 하중값을 기준치로 기억하게 된다.
이후 마이크로콘트롤러(60)는 제3단계에서 소정시간이 경과된 후 본격적으로 거푸집(20)(22)의 상태를 점검하여 붕괴징후를 예측하게 되는데, 이러한 과정은 센서(40)로부터 출력되는 하중데이터와 초기에 기억된 기준치를 주기적으로 비교하여 거푸집프레임(24)(26)에 가해지는 하중변화치를 산출하게 된다.
이때 만일 콘크리트 타설 중 또는 양생 중에 거푸집(20)(22)을 지지하기 위한 동바리(도시 생략)에 이상이 있거나 잘 못 설치되어 거푸집(20)(22)의 붕괴가 진행되는 경우 거푸집프레임(24)(26)이 벌어지는 방향으로 힘을 받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센서(40)에 가해지는 하중이 증가된다.
이후 마이크로콘트롤러(60)는 제4단계에서 하중변화치가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경보신호를 출력하게 되며, 경보신호에 의해 경고부(70)가 구동되면서 빛이나 소리로 붕괴징후가 농후한 거푸집(20)(22)을 알려주게 된다.
즉, 경고부(70)를 구성하고 있는 램프구동부(72)에 의해 발광다이오드(LED1)로 구동전류가 공급되면, 발광다이오드(LED1)가 점등되며, 만일 램프구동부(72)로 인가되는 경고신호가 펄스형태인 경우 발광다이오드(LED1)는 점멸하게 된다. 이때 발광다이오드(LED1)의 캐소드측에 접속된 전류제한저항(R5)은 통상의 경우에서와 같이 발광다이오드(LED1)로 흐르는 전류를 제한하여 소자의 파손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되며, 고정된 저항값을 변경하게 되면 밝기를 설정할 수 있게 된다.
또, 마이크로콘트롤러(60)는 거푸집(20)(22)의 붕괴 징후가 예상되어 경고신호가 출력될 때 식별정보저장부(80)에 저장되어 있는 식별정보와 위치정보를 액세스하여 무선데이터송신부(82)를 통해 근거리에 위치한 무선데이터수신부(86)로 전송하게 되며, 무선데이터수신부(86)에서는 수신된 식별정보와 위치정보를 표시부(84)를 통해 시각적으로 나타내어 관리자에게 알려주게 된다.
이때 무선데이터수신부(86)는 복수의 무선데이터송신부(82)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아 출력할 수 있으며, 관리자가 무선데이터수신부(86)를 휴대하면서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표시부(84)를 통해 나타난 식별번호와 위치정보를 관리자가 확인한 후 해당위치로 이동한 후 점멸하고 있는 클램프(30)를 찾아 식별번호표시부(33)에 표시된 식별번호를 확인한 후 안전조치를 취한다.
20,22 : 거푸집 24,26 : 거푸집프레임
30 : 클램프 31,32 : 조
31h : 관통구멍 31k : 센서수납실
33 : 식별번호표시부 34 : 힌지핀
35 : 스냅링 36 : 압축스프링
37 : 가이드구멍 36a,36b : 스프링시트
38a,38b : 클레비스결합부 39a,39b : 손잡이
40 : 센서 42 : 샤프트
43 : 홈 44 : 커버
45 : 기판수납실 46 : 센서고정볼트
47 : 커버고정볼트 50 : A/D컨버터
60 : 마이크로콘트롤러 70 : 경고부
72 : 램프구동부 LED1 : 발광다이오드
76 : 인쇄회로기판 80 : 식별정보저장부
82 : 무선데이터송신부 84 : 표시부
86 : 무선데이터수신부 90 : 탄성지지판
91 : 슬라이드핀 92 : 탄성편
93 : 접촉자
30 : 클램프 31,32 : 조
31h : 관통구멍 31k : 센서수납실
33 : 식별번호표시부 34 : 힌지핀
35 : 스냅링 36 : 압축스프링
37 : 가이드구멍 36a,36b : 스프링시트
38a,38b : 클레비스결합부 39a,39b : 손잡이
40 : 센서 42 : 샤프트
43 : 홈 44 : 커버
45 : 기판수납실 46 : 센서고정볼트
47 : 커버고정볼트 50 : A/D컨버터
60 : 마이크로콘트롤러 70 : 경고부
72 : 램프구동부 LED1 : 발광다이오드
76 : 인쇄회로기판 80 : 식별정보저장부
82 : 무선데이터송신부 84 : 표시부
86 : 무선데이터수신부 90 : 탄성지지판
91 : 슬라이드핀 92 : 탄성편
93 : 접촉자
Claims (9)
- 거푸집(20)(22)의 조립부위에 설치되는 클램프(30)와;
클램프(30)에 설치되어 거푸집(20)(22) 간의 변위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40)와;
센서(40)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 출력값을 디지털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A/D컨버터(50)와;
A/D컨버터(50)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신호와 기준치를 주기적으로 비교하여 거푸집붕괴 징후를 판독한 후 경보신호를 출력하는 마이크로콘트롤러(60)와;
마이크로콘트롤러(60)로부터 출력되는 경보신호에 의해 구동되는 경고부(7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붕괴징후 검출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30)는 센서(40)가 설치되는 집게 형태의 조(31)를 갖는 스프링클램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붕괴징후 검출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30)의 조(31)에 탄성지지판(90)을 설치하며, 탄성지지판(90)으로부터 조(31)를 향해 복수의 슬라이드핀(91)을 설치하고, 슬라이드핀(91)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구멍(37)을 조(31)에 형성하며, 탄성지지판(90)에 “U”자 모양으로 절개된 탄성편(92)을 형성하고, 상기 센서(40)에 하중을 전달하는 접촉자(93)를 탄성지지판(90)의 중앙에 설치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붕괴징후 검출장치.
-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30)에 식별번호표시부(33)를 추가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붕괴징후 검출장치.
-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40)는 압전식 로드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붕괴징후 검출장치.
-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40)는 스트레인 게이지형 로드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붕괴징후 검출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부(70)는 마이크로콘트롤러(60)의 출력포트에 접속되는 램프구동부(72)와, 램프구동부(72)로부터 출력되는 구동전류에 의해 점멸하는 발광다이오드(LED1)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붕괴징후 검출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복수의 클램프(30)에 각각 부여된 식별부호와 위치정보가 저장된 식별정보저장부(80)를 상기 마이크로콘트롤러(60)에 접속하고, 마이크로콘트롤러(60)로부터 경보신호가 출력될 때 식별정보저장부(80)에 저장된 식별부호와 위치정보를 액세스하여 무선으로 전송하기 위한 무선데이터송신부(82)를 마이크로콘트롤러(60)에 접속하며, 무선데이터송신부(82)로부터 송출되는 식별부호와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표시부(84)를 통해 표시하기 위한 무선데이터수신부(86)를 추가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붕괴징후 검출장치.
- 클램프(30)가 거푸집(20)(22)에 물린 상태를 센서(40)로부터 검출하는 제1단계;
클램프(30)의 물림이 검출된 후 소정시간 동안 센서(40)로부터 출력된 하중데이터의 평균치를 기준치로 기억하는 제2단계;
소정시간이 경과된 후 센서(40)로부터 출력되는 하중데이터와 기준치를 주기적으로 비교하여 거푸집(20)(22) 간의 변위를 산출하는 제3단계;
거푸집(20)(22) 간의 변위가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경보신호를 출력하는 제4단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붕괴징후 검출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38106A KR101284752B1 (ko) | 2011-12-20 | 2011-12-20 | 거푸집 붕괴징후 검출장치 및 그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38106A KR101284752B1 (ko) | 2011-12-20 | 2011-12-20 | 거푸집 붕괴징후 검출장치 및 그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70874A KR20130070874A (ko) | 2013-06-28 |
KR101284752B1 true KR101284752B1 (ko) | 2013-07-17 |
Family
ID=488655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138106A KR101284752B1 (ko) | 2011-12-20 | 2011-12-20 | 거푸집 붕괴징후 검출장치 및 그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84752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7060576B2 (ja) * | 2017-03-17 | 2022-04-26 | 株式会社ダイヘン | 溶接用センサ装置 |
DK3663484T3 (da) | 2018-12-04 | 2022-10-03 | Peri Se | System og fremgangsmåde til datatransmission for udførelse af en analyse af belastning på et forskallingselement |
KR101982244B1 (ko) * | 2018-12-13 | 2019-05-24 | 주식회사 한영테크 | 갱폼 고정 장치 및 갱폼 고정 장치의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136948A (ja) * | 1992-10-28 | 1994-05-17 | Nisso Sangyo Kk | クランプ |
WO2005118224A1 (en) | 2004-06-01 | 2005-12-15 | Tefentools Ltd. | Clamp with clamp force sensor |
KR20090016780A (ko) * | 2007-08-13 | 2009-02-18 | 금호산업주식회사 | 거푸집 변형 감지 장치 |
KR20110021626A (ko) * | 2010-03-02 | 2011-03-04 | (주)종합건축사사무소에이그룹 | 건축공사 거푸집 처짐 감지 장치 |
-
2011
- 2011-12-20 KR KR1020110138106A patent/KR10128475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136948A (ja) * | 1992-10-28 | 1994-05-17 | Nisso Sangyo Kk | クランプ |
WO2005118224A1 (en) | 2004-06-01 | 2005-12-15 | Tefentools Ltd. | Clamp with clamp force sensor |
KR20090016780A (ko) * | 2007-08-13 | 2009-02-18 | 금호산업주식회사 | 거푸집 변형 감지 장치 |
KR20110021626A (ko) * | 2010-03-02 | 2011-03-04 | (주)종합건축사사무소에이그룹 | 건축공사 거푸집 처짐 감지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70874A (ko) | 2013-06-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215187B2 (en) | Torque detection device | |
KR101284752B1 (ko) | 거푸집 붕괴징후 검출장치 및 그 방법 | |
CN101952700B (zh) | 电子体温计 | |
TW201609326A (zh) | 手壓鉗 | |
US20080129315A1 (en) | Detecting apparatus | |
JP5491918B2 (ja) | ワーク固定治具 | |
JP6465589B2 (ja) | 測定具用校正制御装置 | |
KR101536304B1 (ko) | 축압식 소화기의 상시 압력 감지장치 | |
DE602005001511D1 (de) | Detektionvorrichtung zur Lastübertragung mit einem Scherstift | |
CA2736109A1 (en) | Handheld electronic device and associated method providing time data in a messaging environment | |
WO2009050780A1 (ja) | エレベータの表示制御装置 | |
ES2318136T3 (es) | Herramienta de colocacion de piezas con medios de control de operaciones de colocacion. | |
JP2016176921A5 (ko) | ||
ATE554470T1 (de) | Überwachungssystem für ein fahrzeug, insbesondere für einen angetriebenen rollstuhl | |
ATE389092T1 (de) | Eine druckanzeige aufweisende barriere für kinder | |
JP2007149517A (ja) | 端子接触圧測定方法およびその測定具 | |
ATE399451T1 (de) | Sicherungseinrichtung zur detektion von elektrodenbrüchen | |
WO2016210360A1 (en) | Sensor and cable with local wireless read and write capability and methods of using same | |
CN217095208U (zh) | 具有曲轴检测功能的冲床 | |
DE50206261D1 (de) | Vorrichtung zur messung einer kraft- oder momentenkomponente | |
WO2009153358A3 (en) | Integral connector for programming a hearing device | |
EP3421958A1 (en) | Load fastening member loosening detection device, and load fastening member loosening detection system | |
CN210051641U (zh) | 一种晶闸管芯片焊线质量检测仪 | |
KR100543390B1 (ko) | 링거거치대 | |
EP2743666A1 (en) | Pressure sensor housing assembly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104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704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