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21626A - 건축공사 거푸집 처짐 감지 장치 - Google Patents

건축공사 거푸집 처짐 감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21626A
KR20110021626A KR1020100018377A KR20100018377A KR20110021626A KR 20110021626 A KR20110021626 A KR 20110021626A KR 1020100018377 A KR1020100018377 A KR 1020100018377A KR 20100018377 A KR20100018377 A KR 20100018377A KR 20110021626 A KR20110021626 A KR 201100216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flection
unit
formwork
warning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83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53903B1 (ko
Inventor
이민관
Original Assignee
(주)종합건축사사무소에이그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종합건축사사무소에이그룹 filed Critical (주)종합건축사사무소에이그룹
Priority to KR10201000183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3903B1/ko
Publication of KR201100216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16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39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39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21/00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 G01B21/32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00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 G01M1/12Static balancing; Determining position of centre of gravity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5/00Shores or struts; Cho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n-Site Construction Work That Accompanies The Preparation And Application Of Concrete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거푸집의 처짐을 감지하여 빛 또는 소리로 경고하여 주며, 일반 파이프 서프트 부재 사이 사이에 설치될 수 있고, 설치 및 해체가 쉬운 건축공사 거푸집 처짐 감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거푸집(1000) 하부면과 직접 접촉하는 판 부재 부위인 상부 탄성판부(100), 상기 상부 탄성판부(100)의 하부로 연결되는 선형 부재인 중간 연결부(300), 상기 중간 연결부(300)의 주위에 환형 부위으로 형성되며, 상기 거푸집(1000)의 처짐을 감지하는 부위인 중간 이동부(200), 상기 중간 연결부(300)와 상기 중간 이동부(200)를 결합시켜 주는 볼트 부재인 결속 볼트부(600), 상기 중간 연결부(300)의 하단과 결합되며, 빛 또는 소리로 주위에 경고를 주는 장치가 형성되는 하부 연결부(400), 상기 하부 연결부(400)의 하단부를 받쳐주는 판형 부재인 기저판부(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건축공사 거푸집 처짐 감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건축공사 거푸집 처짐 감지 장치{Form defelection sensor device for building work}
본 발명은 건축공사 거푸집 처짐 감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습식 공법인 철근 콘크리트 공사에서는 콘크리트가 경화되는 동안에 거푸집이 지지 부재에 의해 잘 지지되고 있어야 한다.
그러나, 예기치 않은 상황이 발생하여 거푸집이 지나치게 처지게 되거나 하면, 붕괴사고가 발생하고 만다.
만약, 거푸집의 처짐을 감지하여 빛 또는 소리로 경고하여 주는 장치가 있다면 바람직하겠으며, 일반 파이프 서프트 부재 사이 사이에 쉽게 설치될 수 있고, 설치 및 해체가 쉬운 건축공사 거푸집 처짐 감지 장치가 있다면 더욱 바람직하겠다.
본 발명은 일반 파이프 서프트 부재 사이 사이에 설치될 수 있는 건축공사 거푸집 처짐 감지 장치를 제공하려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거푸집의 처짐을 감지하여 빛 또는 소리로 경고하여 주는 장치를 제공하려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설치 및 해체가 쉬운 건축공사 거푸집 처짐 감지 장치를 제공하려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거푸집(1000) 하부면과 직접 접촉하는 판 부재 부위인 상부 탄성판부(100), 상기 상부 탄성판부(100)의 하부로 연결되는 선형 부재인 중간 연결부(300), 상기 중간 연결부(300)의 주위에 환형 부위으로 형성되며, 상기 거푸집(1000)의 처짐을 감지하는 부위인 중간 이동부(200), 상기 중간 연결부(300)와 상기 중간 이동부(200)를 결합시켜 주는 볼트 부재인 결속 볼트부(600), 상기 중간 연결부(300)의 하단과 결합되며, 빛 또는 소리로 주위에 경고를 주는 장치가 형성되는 하부 연결부(400), 상기 하부 연결부(400)의 하단부를 받쳐주는 판형 부재인 기저판부(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건축공사 거푸집 처짐 감지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으로 일반 파이프 서프트 부재 사이 사이에 설치될 수 있는 건축공사 거푸집 처짐 감지 장치를 제공하게 되었다.
또한, 본 발명으로 거푸집의 처짐을 감지하여 빛 또는 소리로 경고하여 주는 장치를 제공하게 되었다.
또한, 본 발명으로 설치 및 해체가 쉬운 건축공사 거푸집 처짐 감지 장치를 제공하게 되었다.
도 1은 본 발명 건축공사 거푸집 처짐 감지 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 건축공사 거푸집 처짐 감지 장치의 구성요소인 상부 탄성판부(100), 중간 이동부(200), 중간 연결부(300)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 건축공사 거푸집 처짐 감지 장치가 설치된 상태에서 거푸집(1000)에 처짐이 발생한 상황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본 발명은 건축공사 거푸집 처짐 감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부 탄성판부(100), 중간 연결부(300), 중간 이동부(200), 결속 볼트부(600), 하부 연결부(400), 기저판부(500)를 포함한다.
첨부한 실시예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건축공사 거푸집 처짐 감지 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본 발명은 거푸집(1000) 하부면과 직접 접촉하는 판 부재 부위인 상부 탄성판부(100), 상기 상부 탄성판부(100)의 하부로 연결되는 선형 부재인 중간 연결부(300), 상기 중간 연결부(300)의 주위에 환형 부위으로 형성되며, 상기 거푸집(1000)의 처짐을 감지하는 부위인 중간 이동부(200), 상기 중간 연결부(300)와 상기 중간 이동부(200)를 결합시켜 주는 볼트 부재인 결속 볼트부(600), 상기 중간 연결부(300)의 하단과 결합되며, 빛 또는 소리로 주위에 경고를 주는 장치가 형성되는 하부 연결부(400), 상기 하부 연결부(400)의 하단부를 받쳐주는 판형 부재인 기저판부(500)를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 건축공사 거푸집 처짐 감지 장치의 구성요소인 상부 탄성판부(100), 중간 이동부(200), 중간 연결부(300)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상기 상부 탄성판부(100)는 탄력있는 고무판, 스펀지판, 탄력있는 합성수지판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탄성판부(100)는 상기 거푸집(1000) 하부면과 직접 접촉하기는 하지만, 상기 거푸집(1000)을 지지하지는 않는다.
즉, 본 발명 건축공사 거푸집 처짐 감지 장치는 상기 거푸집(1000)을 지지하지는 않으며, 상기 거푸집(1000)의 처짐을 감지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건축공사 거푸집 처짐 감지 장치는 상기 거푸집(1000)을 지지하는 일반 파이프 서포트(2000)와 유사한 형상이며, 일반 파이프 서포트(2000) 사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거푸집(1000)의 처짐을 감지한다.
따라서, 일반 파이프 서프트 부재 사이 사이에 설치될 수 있는 건축공사 거푸집 처짐 감지 장치를 제공하는 목적을 달성하게 된다.
상기 중간 연결부(300)는 상기 중간 연결부(300)의 표면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암나사산 부위이며, 상기 중간 이동부(200)와 상기 결속 볼트부(600)에 의해 체결결합 되도록 형성되는 연결부 결속 암나사부(310)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중간 이동부(200)는 상기 중간 이동부(200)의 몸체 부위이며, 상기 중간 연결부(300)의 주위에 환형 부위으로 형성되는 중간이동부 몸체부(201), 상기 중간이동부 몸체부(201)에 내장되는 전원공급장치 부위이며, 상기 중간 이동부(200), 상기 하부 연결부(400)의 감지 장치, 빛 발생 장치, 소리 발생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부위인 전원 공급부(222), 상기 중간이동부 몸체부(201)에 내장되는 제어장치 부위이며, 상기 중간 이동부(200), 상기 하부 연결부(400)의 감지 장치, 빛 발생 장치, 소리 발생 장치를 작동시키거나 제어해 주는 부위인 제어부(225), 상기 중간이동부 몸체부(201)로 부터 방사상으로 수평으로 뻗은 복수 개의 팔 부재 부위로 형성되는 이동부 수평팔부(210), 상기 이동부 수평팔부(210)의 상부 표면으로 부터 돌출된 부위이며, 상기 거푸집(1000) 하부면에 직접 접촉하여 상기 거푸집(1000)의 처짐을 감지하는 복수 개의 감지부위로 형성되는 처짐 감지부(212), 상기 이동부 수평팔부(210)의 하부면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경고등 부위이며, 상기 처짐 감지부(212)에서 처짐이 감지될 경우에 등이 켜져서 경고를 주게되는 부위인 처짐 경고등부(214), 상기 중간이동부 몸체부(201)의 하부로 연결되는 부위이며, 상기 중간 연결부(300)의 주위에 환형 부위으로 형성되는 이동부 하부 결속부(230), 상기 이동부 하부 결속부(230)의 표면을 관통하는 복수 개의 암나사산 부위이며, 상기 중간 이동부(200)를 상기 중간 연결부(300)에 결합시키는 상기 결속 볼트부(600)에 의해 체결결합 되도록 형성되는 이동부 결속 암나사부(235), 상기 이동부 하부 결속부(230)의 표면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표시등 부위이며, 항상 켜져 있으면서, 건축공사 거푸집 처짐 감지 장치의 위치를 알려주도록 형성되는 위치 표시등(232)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원 공급부(222)는 전지(배터리)에 의한 전원 공급부로 형성될 수도 있고, 일반 한전 전력을 공급받는 전원 공급부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처짐 감지부(212)는 용수철 또는 탄성체가 내장되어 있고, 상기 용수철이나 탄성체의 변형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225)로 알려 주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속 볼트부(600)는 상기 중간 이동부(200)의 상기 이동부 결속 암나사부(235)와 상기 중간 연결부(300)의 연결부 결속 암나사부(310)를 체결 결합 시켜 주면서, 상기 중간 이동부(200)가 상기 중간 연결부(300)에 결합되어 고정되게 해준다.
상기 중간 연결부(300)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이에 따라 복수 개의 상기 연결부 결속 암나사부(310)가 형성되어 있는데, 적절한 높이를 선택하여 상기 결속 볼트부(600)를 체결해 주게 된다.
도 2, 도 3 에서는 2개의 연결부 결속 암나사부(310)만 도시되어 있고, 나머지는 도시가 생략되어 있다.
상기 하부 연결부(400)는 상기 하부 연결부(400)에 내장되는 충격센서 부위이며, 상기 하부 연결부(400)가 충격을 받게 되었을 경우에 충격을 감지하는 부위인 충격센서부(430), 상기 하부 연결부(400)의 표면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경고등 부위이며, 상기 처짐 감지부(212)에서 처짐이 감지될 경우 또는 상기 충격센서부(430)에 충격이 감지되었을 경우에 등이 켜져서 경고를 주게되는 부위인 처짐 경고하부등부(410), 상기 하부 연결부(400)의 표면에 설치되는 경고 부저 부위이며, 상기 처짐 감지부(212)에서 처짐이 감지될 경우 또는 상기 충격센서부(430)에 충격이 감지되었을 경우에 주간에만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부위인 처짐 경고부저부(420)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 건축공사 거푸집 처짐 감지 장치가 설치된 상태에서 거푸집(1000)에 처짐이 발생한 상황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상기 위치 표시등(232)는 항상 등이 켜져 있어서, 본 발명 건축공사 거푸집 처짐 감지 장치의 위치를 알려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하부 연결부(400)가 작업자와 부딪히거나 자재 운반시 자재에 부딪히거나 해서 충격을 받게 되었을 경우에 상기 충격센서부(430)는 이를 감지하며, 이 때 처짐 경고하부등부(410)는 등이 켜지며, 상기 처짐 경고부저부(420)는 주간에만 경고음을 발생하여 주위에 경고를 주게 된다.
상기 처짐 감지부(212)에서 처짐이 감지될 경우에는 상기 처짐 경고등부(214)의 등이 켜지며, 상기 처짐 경고하부등부(410)는 등이 켜지고, 상기 처짐 경고부저부(420)는 주간에만 경고음을 발생하여 주위에 경고를 주게 된다.
따라서, 거푸집의 처짐을 감지하여 빛 또는 소리로 경고하여 주는 건축공사 거푸집 처짐 감지 장치를 제공하는 목적을 달성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부 탄성판부(100), 중간 연결부(300), 중간 이동부(200), 결속 볼트부(600), 하부 연결부(400), 기저판부(500)를 포함하며 설치 및 해체가 쉽다.
따라서, 설치 및 해체가 쉬운 건축공사 거푸집 처짐 감지 장치를 제공하는 목적을 달성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225), 상기 위치 표시등(232), 상기 처짐 경고등부(214), 상기 처짐 경고하부등부(410), 상기 처짐 경고부저부(420)의 전체 작동을 켜고 끄는 스위치가 상기 중간 이동부(200) 또는 상기 중간 연결부(300) 또는 상기 하부 연결부(400)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 상기 중간 이동부(200) 또는 상기 중간 연결부(300) 또는 상기 하부 연결부(400)에 리모컨 센서부가 위치하고, 관리자가 리모콘을 통해 상기 제어부(225), 상기 위치 표시등(232), 상기 처짐 경고등부(214), 상기 처짐 경고하부등부(410), 상기 처짐 경고부저부(420)의 전체 작동을 조절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하부 연결부(400) 내부에, 단부에 갈고리 부위가 형성된 복수 개의 끈 부재가 내장되어 있다가, 필요시 상기 끈 부재를 당겨서 끄집어 내어 주위의 일반 파이프 서포트(2000)에 걸쳐주면서, 가설 울타리를 형성하여 주위 작업자들이 함부로 접근하는 것을 막아 주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건축공사 거푸집 처짐 감지 장치
100 : 상부 탄성판부 200 : 중간 이동부
201 : 중간이동부 몸체부 210 : 이동부 수평팔부
212 : 처짐 감지부 214 : 처짐 경고등부
222 : 전원 공급부 225 : 제어부
230 : 이동부 하부 결속부 232 : 위치 표시등
235 : 이동부 결속 암나사부 300 : 중간 연결부
310 : 연결부 결속 암나사부 400 : 하부 연결부
410 : 처짐 경고하부등부 420 : 처짐 경고부저부
430 : 충격센서부 500 : 기저판부
600 : 결속 볼트부 1000 : 거푸집
2000 : 일반 파이프 서포트

Claims (4)

  1. 거푸집(1000) 하부면과 직접 접촉하는 판 부재 부위인 상부 탄성판부(100);
    상기 상부 탄성판부(100)의 하부로 연결되는 선형 부재인 중간 연결부(300);
    상기 중간 연결부(300)의 주위에 환형 부위으로 형성되며, 상기 거푸집(1000)의 처짐을 감지하는 부위인 중간 이동부(200);
    상기 중간 연결부(300)와 상기 중간 이동부(200)를 결합시켜 주는 볼트 부재인 결속 볼트부(600);
    상기 중간 연결부(300)의 하단과 결합되며, 빛 또는 소리로 주위에 경고를 주는 장치가 형성되는 하부 연결부(400);
    상기 하부 연결부(400)의 하단부를 받쳐주는 판형 부재인 기저판부(50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건축공사 거푸집 처짐 감지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연결부(300)는
    상기 중간 연결부(300)의 표면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암나사산 부위이며, 상기 중간 이동부(200)와 상기 결속 볼트부(600)에 의해 체결결합 되도록 형성되는 연결부 결속 암나사부(310);
    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중간 연결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공사 거푸집 처짐 감지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이동부(200)는
    상기 중간 이동부(200)의 몸체 부위이며, 상기 중간 연결부(300)의 주위에 환형 부위으로 형성되는 중간이동부 몸체부(201);
    상기 중간이동부 몸체부(201)에 내장되는 전원공급장치 부위이며, 상기 중간 이동부(200), 상기 하부 연결부(400)의 감지 장치, 빛 발생 장치, 소리 발생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부위인 전원 공급부(222);
    상기 중간이동부 몸체부(201)에 내장되는 제어장치 부위이며, 상기 중간 이동부(200), 상기 하부 연결부(400)의 감지 장치, 빛 발생 장치, 소리 발생 장치를 작동시키거나 제어해 주는 부위인 제어부(225);
    상기 중간이동부 몸체부(201)로 부터 방사상으로 수평으로 뻗은 복수 개의 팔 부재 부위로 형성되는 이동부 수평팔부(210);
    상기 이동부 수평팔부(210)의 상부 표면으로 부터 돌출된 부위이며, 상기 거푸집(1000) 하부면에 직접 접촉하여 상기 거푸집(1000)의 처짐을 감지하는 복수 개의 감지부위로 형성되는 처짐 감지부(212);
    상기 이동부 수평팔부(210)의 하부면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경고등 부위이며, 상기 처짐 감지부(212)에서 처짐이 감지될 경우에 등이 켜져서 경고를 주게되는 부위인 처짐 경고등부(214);
    상기 중간이동부 몸체부(201)의 하부로 연결되는 부위이며, 상기 중간 연결부(300)의 주위에 환형 부위으로 형성되는 이동부 하부 결속부(230);
    상기 이동부 하부 결속부(230)의 표면을 관통하는 복수 개의 암나사산 부위이며, 상기 중간 이동부(200)를 상기 중간 연결부(300)에 결합시키는 상기 결속 볼트부(600)에 의해 체결결합 되도록 형성되는 이동부 결속 암나사부(235);
    상기 이동부 하부 결속부(230)의 표면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표시등 부위이며, 항상 켜져 있으면서, 건축공사 거푸집 처짐 감지 장치의 위치를 알려주도록 형성되는 위치 표시등(232);
    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중간 이동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공사 거푸집 처짐 감지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연결부(400)는
    상기 하부 연결부(400)에 내장되는 충격센서 부위이며, 상기 하부 연결부(400)가 충격을 받게 되었을 경우에 충격을 감지하는 부위인 충격센서부(430);
    상기 하부 연결부(400)의 표면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경고등 부위이며, 상기 처짐 감지부(212)에서 처짐이 감지될 경우 또는 상기 충격센서부(430)에 충격이 감지되었을 경우에 등이 켜져서 경고를 주게되는 부위인 처짐 경고하부등부(410);
    상기 하부 연결부(400)의 표면에 설치되는 경고 부저 부위이며, 상기 처짐 감지부(212)에서 처짐이 감지될 경우 또는 상기 충격센서부(430)에 충격이 감지되었을 경우에 주간에만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부위인 처짐 경고부저부(420);
    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하부 연결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공사 거푸집 처짐 감지 장치.
KR1020100018377A 2010-03-02 2010-03-02 건축공사 거푸집 처짐 감지 장치 KR1011539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8377A KR101153903B1 (ko) 2010-03-02 2010-03-02 건축공사 거푸집 처짐 감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8377A KR101153903B1 (ko) 2010-03-02 2010-03-02 건축공사 거푸집 처짐 감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1626A true KR20110021626A (ko) 2011-03-04
KR101153903B1 KR101153903B1 (ko) 2012-06-08

Family

ID=439304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8377A KR101153903B1 (ko) 2010-03-02 2010-03-02 건축공사 거푸집 처짐 감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3903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4752B1 (ko) * 2011-12-20 2013-07-17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거푸집 붕괴징후 검출장치 및 그 방법
KR101308149B1 (ko) * 2012-01-30 2013-09-12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스털링 엔진의 지지스프링 처짐 감지 시스템
CN103439477A (zh) * 2013-08-30 2013-12-11 成都中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玻璃下垂度测试平台
CN108592858A (zh) * 2018-06-25 2018-09-28 中国电建集团中南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可隐形的观测墩
KR20190113039A (ko) * 2018-03-27 2019-10-08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지진 및 충격하중에 의한 거푸집 붕괴 경고 장치
CN112789486A (zh) * 2019-07-05 2021-05-11 林振宇 具有自定位识别的力和倾斜度监视系统
CN115370189A (zh) * 2022-08-30 2022-11-22 中国建筑第五工程局有限公司 一种混凝土框剪结构的支撑构件及使用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5202B1 (ko) * 2012-08-03 2012-11-27 (주)동남종합감리공단건축사사무소 건설공사용 거푸집 처짐 보정 장치
KR20150146051A (ko) 2014-06-20 2015-12-3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익사이터 테스트 필러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4752B1 (ko) * 2011-12-20 2013-07-17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거푸집 붕괴징후 검출장치 및 그 방법
KR101308149B1 (ko) * 2012-01-30 2013-09-12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스털링 엔진의 지지스프링 처짐 감지 시스템
CN103439477A (zh) * 2013-08-30 2013-12-11 成都中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玻璃下垂度测试平台
CN103439477B (zh) * 2013-08-30 2015-06-24 成都中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玻璃下垂度测试平台
KR20190113039A (ko) * 2018-03-27 2019-10-08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지진 및 충격하중에 의한 거푸집 붕괴 경고 장치
CN108592858A (zh) * 2018-06-25 2018-09-28 中国电建集团中南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可隐形的观测墩
CN112789486A (zh) * 2019-07-05 2021-05-11 林振宇 具有自定位识别的力和倾斜度监视系统
US11774318B2 (en) 2019-07-05 2023-10-03 Ronald Chun Yu LAM Force and inclination monitoring system with self-position recognition
CN112789486B (zh) * 2019-07-05 2024-03-08 林振宇 具有自定位识别的力和倾斜度监视系统
CN115370189A (zh) * 2022-08-30 2022-11-22 中国建筑第五工程局有限公司 一种混凝土框剪结构的支撑构件及使用方法
CN115370189B (zh) * 2022-08-30 2023-11-03 中国建筑第五工程局有限公司 一种混凝土框剪结构的支撑构件及使用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53903B1 (ko) 2012-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3903B1 (ko) 건축공사 거푸집 처짐 감지 장치
CN102694283B (zh) 一种智能接地终端
KR101401583B1 (ko) 지중 배전선로의 지지구조
US20160185322A1 (en) Device for supporting a mobile device on the ground
KR101150457B1 (ko) 교량의 이탈방지용 도로용 난간
CN205302523U (zh) 红外智能报警警戒带固定装置
CN106453771B (zh) 用于检测手机屏幕和外壳的检测装置
CN203809870U (zh) 一种楼地面混凝土水平泵管支承固定工具
KR101082905B1 (ko) 지중배전선 보호용 절연관
KR101627905B1 (ko) 레벨게이지
EP3480363A3 (en) Milling machine with a system for disabling the milling drum
KR100870247B1 (ko) 매설형 지중전선 고정대
CN103216129B (zh) 一种用于机械车库的钢丝绳松断检测装置
CN110905404A (zh) 一种全方位电控钻机及其控制方法
US20090114482A1 (en) Hydraulic Elevator Without Machine Room
KR100763794B1 (ko) 도로 교각의 수직도 측정 안전진단 시설물
CN103043338A (zh) 一种给煤机堵煤报警装置
US10710127B2 (en) High pressure cleaning lance drive safety apparatus
KR101083415B1 (ko) 감전예방 배전용 지지 완철
CN211341844U (zh) 一种建筑施工用的固定桩
KR102028385B1 (ko) 상하부 각도 조절기능을 갖는 유압 램 장치
CN210658474U (zh) 立柱桩垂直位移监测装置
CN105714706A (zh) 一种带led指示灯的道路交通指示牌紧固装置
CN208914992U (zh) 一种自立式强化壁挂式充电桩结构
CN209326687U (zh) 一种用于安全气囊标牌安装状态的检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