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0247B1 - 매설형 지중전선 고정대 - Google Patents

매설형 지중전선 고정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0247B1
KR100870247B1 KR1020080081429A KR20080081429A KR100870247B1 KR 100870247 B1 KR100870247 B1 KR 100870247B1 KR 1020080081429 A KR1020080081429 A KR 1020080081429A KR 20080081429 A KR20080081429 A KR 20080081429A KR 100870247 B1 KR100870247 B1 KR 1008702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structure
guide rail
input unit
shelf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14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채효순
Original Assignee
(주) 대경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대경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 대경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0800814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02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02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02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8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tunne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06Details thereof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56Ladders or other suppor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0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매설형 지중전선 고정대에 관한 것으로, 래크(111)를 갖춘 가이드레일본체(110)와, 외측으로 돌출되는 체결부(121)를 갖추고서 가이드레일본체(110)의 양쪽선단에 신축가능하게 설치되는 고정브라켓(120)과, 고정브라켓(120)의 체결부(121)를 콘크리트 구조물(H)의 측벽에 고정하는 체결부재(130)를 갖추고서, 콘크리트 구조물(H)의 상부에 이의 폭 방향으로 수평하게 내설되는 가이드레일(100)과; 콘크리트 구조물(H)에 내설되어 지중전선(C)을 지지하는 선반(200)과; 래크(111)에 이동가능하게 맞물리는 피니언(313)과, 피니언(313)을 래크(111)에 이동가능하게 고정시키는 브라켓(310), 브라켓(310)에 설치되어 피니언(313)을 강제구동하는 구동모터(320)를 구비하여, 선반(200)을 가이드레일(100)을 따라 콘크리트 구조물(H)의 폭 방향으로 왕복이동시키는 이송장치(300)와; 제1입력유닛(500) 내지 제2입력유닛(600)으로부터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구동모터(320) 및 경보장치(7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유닛(400)과; 콘크리트 구조물(H)의 우측 내벽면에 설치되어, 구동모터(32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1입력유닛(500)과; 콘크리트 구조물(H)의 좌측 내벽면에 설치되어, 구동모터(32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2입력유닛(600)과; 콘크리트 구조물(H)에 내설되며, 제어유닛(400)에 의해 작동제어되는 경보장치(700)로 이루어져, 콘크리트 구조물(H)에 누수가 발생해도 지중전선(C)의 사용 수명 단축을 경감시키면서 콘크리트 구조물(H)의 크기가 최적화되는 효과가 기대된다.

Description

매설형 지중전선 고정대{Frame for Underground Distribution Line Fixation}
본 발명은 매설형 지중전선 고정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리나라의 가공전선지중화는 1973년 효자동에서 광화문구간까지 복잡하게 시설되어 있는 지중전선을 정비측면에서 간선도로변의 전주를 뒷골목에 이설, 저압케이블을 사용 주상변압기로부터 인근 수용가를 공급함으로써 시작되었으며, 지속적으로 확장되는 추세이다.
참고로, 지중 선로 공사방식은 크게 직매식과, 관로식, 전력구식 및 교량 첨가식으로 나눌 수 있다.
이중, 전력구식은 암거식 또는 동도식이라고도 하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중에 가로, 세로 각각 2미터 정도의 콘크리트 구조물(H')을 관처럼 이어붙여서 만들어진 콘크리트 구조물(H') 내부의 좌우 양측벽에 밀착시켜 바닥면과 수직하게 선반(200')이 고정배치되어, 이 선반(200')에 지중전선(C)들이 설치된다. 한편, 선반(200')과 선반(200') 사이에는 작업자가 통행할 수 있도록 통로(P)가 마련된다.
그런데, 이러한 전력구식 공사에서는 단순히 선반(200')이 콘크리트 구조물(H')의 내측에서 그 양측벽에 층을 이루면서 고정되므로, 콘크리트 구조물(H)에 누수가 발생하면 양측벽에 설치된 선반(200')을 따라 수분이 이동하여 지중전선(C)을 적시게 되는 문제가 있었으며, 이러한 상황이 지속적으로 반복되면 산화가 촉진되어 지중전선(C)의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 지중전선(C)이 젖으면 지하의 밀폐된 공간에 설치된 그 특성상 쉽게 마르지 않아 작업이 불편한 문제도 있었다.
그리고, 이렇게 산화된 지중전선(C)은 산화된 부위를 통해 전류가 흐르는 도선이 노출되는 가능성이 커지므로 정전 또는 감전사고 등의 전기사고의 발생률이 높아지게 되는 문제도 있었다.
게다가, 종래에는 선반(200')이 콘크리트 구조물(H')의 양측벽에 단단하게 고정되므로, 지진이나 진동이 발생하면 선반(200')이 벽체로부터 분리될 뿐만 아니라 휘거나 절단되는 등 선반(200')의 파손이 야기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콘크리트 구조물의 누수로 인한 지중전선의 수명 단축 및 전기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매설형 지중전선 고정대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래크를 갖춘 가이드레일본체와, 외측으로 돌출되는 체결부를 갖추고서 가이드레일본체의 양쪽선단에 신축가능하게 설치되는 고정브라켓과, 고정브라켓의 체결부를 콘크리트 구조물의 측벽에 고정하는 체결부재를 갖추고서, 콘크리트 구조물의 상부에 이의 폭 방향으로 수평하게 내설되는 가이드레일과; 콘크리트 구조물에 내설되어 지중전선을 지지하는 선반과; 래크에 이동가능하게 맞물리는 피니언과, 피니언을 래크에 이동가능하게 고정시키는 브라켓, 브라켓에 설치되어 피니언을 강제구동하는 구동모터를 구비하여, 선반을 가이드레일을 따라 콘크리트 구조물의 폭 방향으로 왕복이동시키는 이송장치와; 제1입력유닛 내지 제2입력유닛으로부터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구동모터및 경보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유닛과; 콘크리트 구조물의 우측 내벽면에 설치되어, 구동모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1입력유닛과; 콘크리트 구조물의 좌측 내벽면에 설치되어, 구동모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2입력유닛과; 콘크리트 구조물에 내설되며, 제어유닛에 의해 작동제어되는 경보장치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콘크리트 구조물에 누수가 발생해도 지중전선의 사용 수명 단축을 경감시키면서 콘크리트 구조물의 크기가 최적화되는 효과가 기대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매설형 지중전선 고정대의 부분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매설형 지중전선 고정대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구동모터, 제어유닛, 제1입력유닛, 제2입력유닛 및 경보장치의 블럭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고정대는, 가이드레일(100), 선반(200) 및 이송장치(300), 제어유닛(400), 제1입력유닛(500), 제2입력유닛(600) 및 경보장치(700)로 구성된다.
콘크리트 구조물(H)은 지중에 매설되는 지중전선(C)을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중공이 형성된 사각 관체 형상을 이루고서 다수 개가 일렬로 연결되어 지중에 매설된다.
한편, 상기 가이드레일(100) 자체가 콘크리트 구조물(H)에 일정거리마다 일괄적으로 형성되도록 인서트 성형된다면, 불필요한 위치에도 가이드레일(100)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가이드레일(100)이 맨홀이 형성되는 위치 즉, 맨홀의 하방에도 형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작업자의 이동이 불편해질 뿐만 아니라, 가이드레일(100)의 제거작업이 요구되어 번거로워진다. 또한, 상기 가이드레일(100)에 하자가 발생되면, 콘크리트 구조물(H) 전체를 교체해야하는 문제도 있다. 그러므로, 상기 가이드레일(100)은 현장 상황에 따라 적절히 설치 또는 해체 가능해져야 한다.
또한,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H)에 가이드레일(100)이 직접 고정된다면, 콘크리트 구조물(H)의 파손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H)은, 가이드레일(100)과 콘크리트 구조물(H)의 결합을 더욱 견고하게 하기 위해, 콘크리트 구조물(H)에 강철 등의 고강도의 보강부재(a)가 인서트 성형되며, 보강부재(a)는 가이드레일(100)을 고정시키기 위한 나사산이 형성된 체결공(미도시)이 형성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가이드레일(100)은 현장에서 조립이 가능해지도록 가이드레일본체(110), 고정브라켓(120) 및 체결부재(130)로 구성되어, 콘크리트 구조물(H)의 상부에 폭 방향으로 수평하게 내설되도록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레일본체(110)는 콘크리트 구조물(H)의 폭 보다 길이가 짧은 사각막대이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레일본체(110)의 상부에는 중심부를 기준으로 하여 래크(111)가 양방향으로 일정길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브라켓(120)은 일단이 펼쳐져서 외측으로 돌출된 체결부(121)를 갖춘 관으로서, 가이드레일본체(110)의 양쪽선단에 신축가능하게 각각 끼움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브라켓(120)을 가이드레일본체(110)의 양쪽 최선단으로 이동시켜 각각 배치하면, 가이드레일(100)의 총 길이가 신장된다. 그리고, 상기 체결부재(130)는 고정 브라켓(120)을 통해 가이드레일(100)을 콘크리트 구조물(H)의 폭에 알맞은 길이로 신축한 뒤, 보강부재(a)의 체결공에 나사산 결합되어, 가이드레일(100)을 콘크리트 구조물(H)의 폭 방향으로 고정시킨다.
그리고, 상기 선반(200)은 콘크리트 구조물(H)에 내설되어, 지중전선(C)을 지지하는 통상의 다층으로 된 선반으로서, 받침대(210), 패널(220) 및 이탈방지부재(230)로 구성되어, 콘크리트 구조물(H)의 폭 방향으로 왕복이동된다. 여기서, 상기 받침대(210)는 상면이 평평한 바 형상으로, 하기 고정대(314)를 중심으로 수평하게 배치되도록 결속홀(314a)에 끼워진다. 그리고, 상기 패널(220)은 고정대(314)를 중심으로 받침대(210) 일측 상면이 충분히 덮히는 폭을 가진 평평한 널빤지이다. 상기 이탈방지부재(230)는 헤드(231)가 길게 형성된 일종의 볼트로서, 패널(220)과 받침대(210)를 고정하는 동시에 헤드(231)가 패널(220) 상방으로 돌출되어, 선반(200)이 이동되어도 배열된 지중전선(C)이 하방으로 낙하되지 않도록 지중전선(C)을 보호한다. 한편, 상기 헤드(231)에 고무재질의 완충재(미도시)가 보강되면, 선반(200)의 이동시 지중전선(C)이 흔들려서 헤드(231)에 부딪쳐도 그 충격을 완화시켜 지중전선(C)의 파손이 방지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선반(200)은, 받침대(210) 및 패널(220)이 복수 개 구비되어 고정대(314)를 중심으로 수평하게 형성된 복층의 구조를 이루도록 형성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이송장치(300)는 브라켓(310) 및 구동모터(320)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브라켓(310)은 안착대(311), 체결대(312), 피니언(313) 및 고정대(314)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안착대(311)는 '∪'자 형상으로 꺽인 바이고, 꺽인 부분에 가이드레일(100)이 안착된 형태로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체결대(312)는 안착대(311)의 중심에서 하방으로 연장형성된다. 상기 피니언(313)은 래크(111)에 맞물려서 가이드레일(100)에 이동가능하게 고정되도록 회전축(313a)이 안착대(311)의 상단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대(314)는 바 형상이고, 다수개의 결속홀(314a)이 일정거리로 상호 이격되어 형성되며, 그 상단이 체결대(312)에 고정되고 이의 하부에는 선반(200)이 고정설치된다. 상기 구동모터(320)는 공지된 모터로서, 피니언(313)을 강제구동시키도록 브라켓(310)에 고정부재(b)를 매개로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모터(320)의 구동축(321)은 피니언(313)의 회전축(313a)에 고정되어, 구동축(321)이 회전되면서 피니언(313)을 구동축(321)의 회전방향으로 강제구동시킨다. 따라서, 상기 구동모터(320)가 작동되면, 브라켓(310)이 가이드레일(100)을 따라 콘크리트 구조물(H)의 폭 방향 중 일측으로 이동되므로, 선반(200)도 이에 따라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된다.
계속해서,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제어유닛(400), 제1입력유닛(500), 제2입력유닛(600) 및 경보장치(700)를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어유닛(400)은 콘크리트 구조물(H)에 내설되며, 제1입력유닛(500) 및 제2입력유닛(600)으로부터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구동모터(320) 및 경보장치(700)의 작동을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유닛(400)은 제1입력유닛(500)과 제2입력유닛(600)으로부터 동시에 제어신호가 입력되거나, 제1입력유닛(500)의 제1푸쉬버튼스위치(510)와 제2푸쉬버튼스위치(520)로부터 동시에 제어신호가 입력되거나 또는 제2입력유닛(600)의 제3푸쉬버튼스위치(610)와 제4푸쉬버튼스위치(620)로부터 동시에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구동모터(320)를 정지하도록 설정된다. 또한, 상기 제어유닛(400)은 제1입력유닛(500)과 제2입력유닛(600)으로부터 동시에 구동모터(320)의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경보장치(700)를 구동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제1입력유닛(500)은 통상의 푸쉬버튼스위치인 제1푸쉬버튼스위치(510)와 제2푸쉬버튼스위치(520)를 구비하고서, 콘크리트 구조물(H)의 우측 내벽면에 설치되어, 온 상태인 동안 해당 제어신호를 제어유닛(400)으로 출력한다. 일 예로, 상기 제1푸쉬버튼스위치(510)를 눌러 온 상태가 되면, 온 상태에서 오프 상태로 전환되기 전까지 구동모터(320)가 정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제어유닛(400)으로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제2푸쉬버튼스위치(520)를 눌러 온 상태가 되면, 온 상태에서 오프 상태로 전환되기 전까지 구동모터(320)가 역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제어유닛(400)으로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제1푸쉬버튼스위치(510)와 제2푸쉬버튼스위치(520)가 각각 온 상태에서 오프 상태로 전환되면, 구동모터(320)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제어신호가 출력된다.
상기 제2입력유닛(600)은 통상의 푸쉬버튼스위치인 제3푸쉬버튼스위치(610)와 제4푸쉬버튼스위치(620)를 구비하고서, 콘크리트 구조물(H)의 좌측 내벽면에 설치되어, 온 상태인 동안 해당 제어신호를 제어유닛(400)으로 출력한다. 일 예로, 상기 제3푸쉬버튼스위치(610)를 눌러 온 상태가 되면, 온 상태에서 오프 상태로 전환되기 전까지 구동모터(320)가 역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제 어유닛(400)으로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제4푸쉬버튼스위치(620)를 눌러 온 상태가 되면, 온 상태에서 오프 상태로 전환되기 전까지 구동모터(320)가 정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제어유닛(400)으로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제3푸쉬버튼스위치(610)와 제4푸쉬버튼스위치(620)가 각각 온 상태에서 오프 상태로 전환되면, 구동모터(320)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제어신호가 출력된다.
상기 경보장치(700)는 콘크리트 구조물(H)에 내설되며, 제어유닛(400)으로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시각 또는 음향을 통해 외부에 알린다. 즉, 상기 경보장치(700)는 작업자에게 위험상황을 시각적으로 알리기 위해 디스플레이장치가 사용되거나, 소리를 통해 알리기 위해 스피커가 사용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장치와 스피커가 동시에 사용될 수도 있다.
이하 도 3 ,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매설형 지중전선 고정대의 작동은 아래와 같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레일(100)을 콘크리트 구조물(H) 내부에서 적절한 위치에 배치한 뒤, 콘크리트 구조물(H)의 폭 길이에 알맞게 고정브라켓(120)을 가이드레일본체(110) 양쪽선단으로 각각 이동시켜, 콘크리트 구조물(H)에 가이드레일(100)을 고정시킨다.
이때, 상기 선반(200)은 가이드레일(100) 중앙에서 양측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상기 제1푸쉬버튼스위치(510), 제2푸쉬버튼스위치(520), 제3푸쉬버튼스위치(610) 및 제4푸쉬버튼스위치(620)는 모두 오프 상태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상기 선반(200)의 우측에서 작업을 해야 할 경우, 상기 제1푸쉬버튼스위치(510)를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전환하여, 브라켓(310)을 가이드레일(100)의 좌측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상기 브라켓(310)이 가이드레일(100) 좌측으로 최대한 이동되어 선반(200)이 콘크리트 구조물(H)의 좌측벽에 최대한 밀착되면, 제1푸쉬버튼스위치(510)를 온 상태에서 오프 상태로 전환하여 구동모터(320)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그러면, 작업자가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인 통로(P)가 상기 선반(200)의 우측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작업이 완료되면 상기 제2푸쉬버튼스위치(520)를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전환하여, 브라켓(310)을 가이드레일(100)의 우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다가, 선반(200)이 콘크리트 구조물(H)의 중앙에 배치되면, 온 상태에서 오프 상태로 전환하여 선반(200)을 원위치시킨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상기 선반(200)의 좌측에서 작업을 해야 할 경우, 상기 제3푸쉬버튼스위치(610)를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전환하여, 가이드레일(100)의 우측 방향으로 브라켓(310)을 이동시킨다. 그리고, 상기 브라켓(310)이 가이드레일(100) 우측으로 최대한 이동되어, 선반(200)이 콘크리트 구조물(H)의 우측벽에 최대한 밀착되면, 제3푸쉬버튼스위치(610)를 온 상태에서 오프 상태로 전환하여, 구동모터(320)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그러면, 작업자가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인 통로(P)가 상기 선반(200)의 좌측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작업이 완료되면 상기 제4푸쉬버튼스위치(620)를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전환하여, 브라켓(310)을 가이드레일(100)의 좌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다가, 선반(200) 이 콘크리트 구조물(H)의 중앙에 배치되면, 온 상태에서 오프 상태로 전환하여 선반(200)을 원위치시킨다.
한편, 상기 제어유닛(400)으로 제1입력유닛(500)과 제2입력유닛(600)으로부터 동시에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안전상의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선반(200)이 콘크리트 구조물(H)의 중앙에 배치된 경우, 두 명의 작업자가 상대방이 반대측에 있다는 것을 모르고, 한 명의 작업자는 제1푸쉬버튼스위치(510)를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전환시키고, 다른 한 명의 작업자는 동시에 또는 시간차를 두고서 제3푸쉬버튼스위치(610)를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전환시키게 되면, 구동모터(320)의 구동신호가 동시에 제어유닛(400)으로 입력된다. 또는, 한 명의 작업자는 상기 제1푸쉬버튼스위치(510)를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전환시키고, 다른 한 명의 작업자가 제3푸쉬버튼스위치(610)를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전환하게 되어 동시에 제어유닛(400)으로 제어신호가 입력되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또는, 한 명의 작업자가 상기 제4푸쉬버튼스위치(620)를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전환시키고, 다른 한 명의 작업자는 제2푸쉬버튼스위치(520)를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전환하게 되어 동시에 제어유닛(400)으로 제어신호가 입력되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이렇게, 상기 제어유닛(400)으로 제1입력유닛(500)과 제2입력유닛(600)으로부터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경보장치(700)가 작동되어 작업자에게 주의를 환기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어유닛(400)으로부터 구동모터(320)를 정,역방향으로 구동시키는 제어신호가 동시에 입력되면 구동모터(320)를 구동시키지 않도록 설정하고, 시간차를 두고 방향성이 다른 제어신호가 동시에 입력되면 구동모터(320)의 구동을 정지시키도록 설정되면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매설형 지중전선 고정대는, 상기 가이드레일(100)과 콘크리트 구조물(H)이 분리형성된다. 따라서, 현장에서 상기 가이드레일(100)이 요구되는 위치에 따라 가이드레일(100)을 콘크리트 구조물(H)에 설치할 수 있게 되므로, 적절한 위치에 임의로 조립 가능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매설형 지중전선 고정대는, 상기 가이드레일(100)에 하자가 발생되면, 가이드레일(100)을 손쉽게 교체를 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매설형 지중전선 고정대는, 상기 선반(200)이 콘크리트 구조물(H)의 양측벽과 이격되어 중앙에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콘크리트 구조물(H)에 누수가 발생해도 좌우측벽을 따라 흐르는 물이 선반(200)으로 유입되지 않으므로 지중전선(C)이 침수로부터 보호되어 사용 수명이 연장되는 장점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매설형 지중전선 고정대는, 상기 선반(200)이 가이드레일(100)의 중심에서 좌우 양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배치되어 작업할 방향의 반대측으로 선반(200)을 이동시키면 통로(P)가 형성되므로, 통로(P)를 위한 공간을 별도로 확보하지 않아도 되어 불필요한 공간이 생략되므로 공간의 활용도가 좋아지게 되어 콘크리트 구조물(H)의 크기가 최적화되는 장점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매설형 지중전선 고정대는, 상기 경보장치(700)가 구비되어 위험상황이 발생되면 작업자에게 주의를 환기시키는 동시에 구동모터(320) 의 구동이 정지되므로, 작업자가 작업을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도 1은 종래 고정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매설형 지중전선 고정대의 부분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매설형 지중전선 고정대의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구동모터, 제어유닛, 제1입력유닛, 제2입력유닛 및 경보장치의 블럭도이며,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매설형 지중전선 고정대의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 첨부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
100:가이드레일, 110:가이드레일본체, 111:래크, 120:고정브라켓,
121:체결부, 130:체결부재, 200,200':선반, 210:받침대,
220:패널, 230:이탈방지부재, 231:헤드, 300:이송장치,
310:브라켓, 311:안착대, 312:체결대, 313:피니언,
313a:회전축, 314:고정대, 314a:결속홀, 320:구동모터,
321:구동축, 400:제어유닛, 500:제1입력유닛, 510:제1푸쉬버튼스위치,
520:제2푸쉬버튼스위치, 600:제2입력유닛, 610:제3푸쉬버튼스위치,
620:제4푸쉬버튼스위치, 700:경보장치, C:지중전선, H:콘크리트 구조물,
P:통로, a:보강부재, b:고정부재.

Claims (1)

  1. 래크(111)를 갖춘 가이드레일본체(110)와, 외측으로 돌출되는 체결부(121)를 갖추고서 가이드레일본체(110)의 양쪽선단에 신축가능하게 설치되는 고정브라켓(120)과, 고정브라켓(120)의 체결부(121)를 콘크리트 구조물(H)의 측벽에 고정하는 체결부재(130)를 갖추고서, 콘크리트 구조물(H)의 상부에 이의 폭 방향으로 수평하게 내설되는 가이드레일(100)과;
    콘크리트 구조물(H)에 내설되어 지중전선(C)을 지지하는 선반(200)과;
    래크(111)에 이동가능하게 맞물리는 피니언(313)과, 피니언(313)을 래크(111)에 이동가능하게 고정시키는 브라켓(310), 브라켓(310)에 설치되어 피니언(313)을 강제구동하는 구동모터(320)를 구비하여, 선반(200)을 가이드레일(100)을 따라 콘크리트 구조물(H)의 폭 방향으로 왕복이동시키는 이송장치(300)와;
    제1입력유닛(500) 내지 제2입력유닛(600)으로부터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구동모터(320) 및 경보장치(7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유닛(400)과;
    콘크리트 구조물(H)의 우측 내벽면에 설치되어, 구동모터(32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1입력유닛(500)과;
    콘크리트 구조물(H)의 좌측 내벽면에 설치되어, 구동모터(32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2입력유닛(600)과;
    콘크리트 구조물(H)에 내설되며, 제어유닛(400)에 의해 작동제어되는 경보장치(70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설형 지중전선 고정대.
KR1020080081429A 2008-08-20 2008-08-20 매설형 지중전선 고정대 KR1008702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1429A KR100870247B1 (ko) 2008-08-20 2008-08-20 매설형 지중전선 고정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1429A KR100870247B1 (ko) 2008-08-20 2008-08-20 매설형 지중전선 고정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70247B1 true KR100870247B1 (ko) 2008-11-25

Family

ID=402847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1429A KR100870247B1 (ko) 2008-08-20 2008-08-20 매설형 지중전선 고정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0247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9163B1 (ko) 2008-10-30 2009-06-01 (주)우전엔지니어링 매설형 지중배전선 고정대
KR100900580B1 (ko) 2009-03-04 2009-06-02 최부일 지중 배전선로 연결라인
KR100900579B1 (ko) 2009-03-04 2009-06-02 최부일 지중매설형 배전선의 전선 고정대
KR100904860B1 (ko) 2009-02-19 2009-06-30 주식회사하우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송배전 케이블 지중전력구 배열대
KR100911238B1 (ko) 2009-03-03 2009-08-19 주식회사 이린 배전선의 배전위치 조정대
KR101401583B1 (ko) 2014-03-04 2014-06-02 주식회사 창조기술단 지중 배전선로의 지지구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93628A (ja) * 1992-09-14 1994-04-05 Shimizu Corp 溝、洞道等のケーブル敷設路の補強構造
KR100656174B1 (ko) 2006-08-29 2006-12-13 대한전기감리(주) 전력구의 지중송전케이블 유지 관리용 배열대
KR100822869B1 (ko) 2007-11-16 2008-04-16 (주)동우기술단 송배전 케이블 지중전력구 배열대
KR100865501B1 (ko) 2008-06-17 2008-10-28 주식회사 유진전기감리 배전용 지중전선의 위치 안정형 보호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93628A (ja) * 1992-09-14 1994-04-05 Shimizu Corp 溝、洞道等のケーブル敷設路の補強構造
KR100656174B1 (ko) 2006-08-29 2006-12-13 대한전기감리(주) 전력구의 지중송전케이블 유지 관리용 배열대
KR100822869B1 (ko) 2007-11-16 2008-04-16 (주)동우기술단 송배전 케이블 지중전력구 배열대
KR100865501B1 (ko) 2008-06-17 2008-10-28 주식회사 유진전기감리 배전용 지중전선의 위치 안정형 보호관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9163B1 (ko) 2008-10-30 2009-06-01 (주)우전엔지니어링 매설형 지중배전선 고정대
KR100904860B1 (ko) 2009-02-19 2009-06-30 주식회사하우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송배전 케이블 지중전력구 배열대
KR100911238B1 (ko) 2009-03-03 2009-08-19 주식회사 이린 배전선의 배전위치 조정대
KR100900580B1 (ko) 2009-03-04 2009-06-02 최부일 지중 배전선로 연결라인
KR100900579B1 (ko) 2009-03-04 2009-06-02 최부일 지중매설형 배전선의 전선 고정대
KR101401583B1 (ko) 2014-03-04 2014-06-02 주식회사 창조기술단 지중 배전선로의 지지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0247B1 (ko) 매설형 지중전선 고정대
KR100871897B1 (ko) 배전선의 배선위치 조정이 가능한 전선라인 고정대
KR101401583B1 (ko) 지중 배전선로의 지지구조
KR100899163B1 (ko) 매설형 지중배전선 고정대
KR100865501B1 (ko) 배전용 지중전선의 위치 안정형 보호관
KR100889046B1 (ko) 지중배전선 보호를 위한 선로지지관
KR100867219B1 (ko) 절연성 지중배전선로 연결대
KR102382991B1 (ko) 지중배전선의 합선방지를 위한 배선기구
KR101210369B1 (ko) 이동식 럼블 스트립 장치
KR101358056B1 (ko) 동바리 붕괴 자동 경보장치
KR100901876B1 (ko) 지중전선보호관
KR100899090B1 (ko) 배전선로 지지형 완철
KR100890649B1 (ko) 침수방지를 위한 지중형 배전선로 보호관
KR101815869B1 (ko) 와이어 방식을 이용한 조립식 목교
CN212054063U (zh) 一种新型高压线防护装置
KR100883192B1 (ko) 매설형 배전선로의 설치구조
CN102677770A (zh) 一种多功能移动房
KR100881352B1 (ko) 특고압 지중전선의 배전선로 형성패널
US10900191B2 (en) Pulling-out device for prefabricated concrete support wall
KR100931015B1 (ko) 터널 내부의 안전진단장비
KR20100005531U (ko) 일반장주 및 편창출장주 겸용 내장완철
CN110905566B (zh) 一种矿用组合式钢筋背板网
CN218467134U (zh) 一种用于超大跨度劲性钢筋混凝土设备
KR200486786Y1 (ko) 현수교 방식을 이용한 조립식 인도교
KR200466644Y1 (ko) 와이어 쏘오 방향 전환 기능을 갖는 와이어 쏘오 무한 궤도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5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