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5869B1 - 와이어 방식을 이용한 조립식 목교 - Google Patents

와이어 방식을 이용한 조립식 목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5869B1
KR101815869B1 KR1020170105146A KR20170105146A KR101815869B1 KR 101815869 B1 KR101815869 B1 KR 101815869B1 KR 1020170105146 A KR1020170105146 A KR 1020170105146A KR 20170105146 A KR20170105146 A KR 20170105146A KR 101815869 B1 KR101815869 B1 KR 1018158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alarm signal
relay switch
wire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51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진기
Original Assignee
한울로드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울로드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울로드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051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58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58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58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5/00Movable or portable bridges; Floating bridges
    • E01D15/12Portable or sectional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05Piers, trestles, bearings, expansion joints or parapets specially adapted for portable or sectional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6Suspension cables; Cable clamps for suspension cables ; Pre- or post-stressed cabl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와이어 방식을 이용한 조립식 목교에 있어서, 특히 콘크리트 설치물에 철재와 목재 데크로 바닥면을 설치하고 콘크리트 설치물에 반고리형 지지체를 각각 설치후 가로봉으로 연결하고 상기 가로봉에 와이어를 설치후 와이어를 이용하여 바닥면을 지지토록함으로서 길이가 길면서도 안전한 목교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교 방식을 이용한 조립식 목교 데크에 관한 것으로,
지면의 양측에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타설되며 일층 또는 이층의 계단 형태로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콘크리트 타설물과; 상기 콘크리트 타설물 양측에 설치되며 철재 및 목재를 이용하여 사람이 걸어다닐 수 있도록 설치되는 바닥면과; 상기 콘크리트 타설물의 일측에 상부방향으로 설치되는 반고리형 지지체와; 상기 반고리형 지지체 사이를 연결하여 강성을 보조하는 가로 연결용 가로봉과; 상기 가로봉과 바닥면을 연결하여 바닥면에 가해지는 압력을 가로봉 및 반고리형 지지체 유도하여 바닥면의 압력이 가로봉과 반고리형 지지체 및 콘크리트 타설물을 통해 지면으로 흡수되도록 유도하는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와 바닥면 사이에 설치되면 와이어에 가해지는 장력을 체크하여 장력이 검출되지 않으면 와이어가 끊어진 것으로 판단하여 경보신호를 출력토록 유도하는 장력센서와; 상기 바닥면의 양측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어 사람이 추락하는 것을 막는 안전용 수직바와; 상기 바닥면의 양측에 설치하되 안정용 수직바를 수평하게 관통하면서 설치되며 사람이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안전용 수평바를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

Description

와이어 방식을 이용한 조립식 목교{Deck of wood bridge}
본 발명은 와이어 방식을 이용한 조립식 목교(인도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콘크리트 설치물에 철재와 목재 데크로 바닥면을 설치하고 콘크리트 설치물에 반고리형 지지체를 각각 설치후 가로봉으로 연결하고 상기 가로봉에 와이어를 설치후 와이어를 이용하여 바닥면을 지지토록함으로서 길이가 길면서도 안전한 목교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방식을 이용한 조립식 목교에 관한 것이다.
목교란, 목재 부재를 사용하여 가설한 교량을 의미한다.
최근에는 자연경관과 어울리는 목재 부재를 사용한 구조물이 선호받고 있으며, 대중들이 건강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면서 산책 또는 하이킹 등의 활동이 꾸준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강 또는 호수 등의 수면 위에 설치되어 주변 경관을 바라볼 수 있도록 목교 등의 목구조물 제작이 요구되고 있으며, 목재 부재를 사용한 다양한 구조물이 최근 설치되고 있다.
다만, 목재 부재만을 활용하여 제작된 경우 구조적으로 취약하고, 목재 수축으로 인해 유격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종래기술은 목구조물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구조적으로 안정적인 H빔 등의 철골조를 목재 부재와 결합하여 목구조물을 제작하고 있다.
통상적인 목재데크에는 목재와 다른 종류 예를 들면,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번호 제0367672호(2004.11.03),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번호 제0396804호(2005.09.20),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0522921(2005.10.13),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번호 제0437025호(2007.10.22)에서와 같이 금속재질인 고정구 등을 이용하여 가공된 단위 목재들을 결합시키고 있다.
이러한 결합은 반복적인 하중에 취약하며, 외부에 설치되는 특성상 산성비 등에 의해서 이종의 재질 특히 금속 재질은 쉽게 부식되었고, 부식은 전이되어 목재를 손상시켰다. 또한, 부식으로 인한 목재 또는 고정구의 손상은 구조물의 안전을 위협하는 요소일 뿐만 아니라, 보수 또는 교체의 주기가 빨라져 비용의 증가로 이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등록특허 제 10-1007030호에는 정형화된 조립식 목재블록이 제안되어 있는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교 등의 목재구조물에 적용되며, 간격을 두고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H 빔(10)과, 상기 간격을 이루고 있는 H 빔(10)의 상부에 수평방향의 단위 목재가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되어 상판(30)을 형성하는 다수개의 데크 플레이트(32)와, 상판(30)에 설치되는 난간기둥(50)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종래의 조립식 목재 데크는 단순히 바닥면으로부터 기둥 형식으로 지지하는데 그치기 때문에 강성 유지에 한계가 있었고, 아울러 목재 데크의 미려함에 한계가 있었다.
즉, 종래의 조립식 목재 데크는 길이가 길 경우에 적절한 강도 유지가 어려웠고 아울러 목재 데크의 멋스러운 디자인에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코자 하는 것으로,
양측면에 콘크리트 타설물을 생성시키고, 상기 콘크리트 타설물에 철재 구조물과 목재를 이용한 바닥면을 설치하며, 이와 동시에 콘크리트 타설물에 반고리형지지 구조물을 결합후 가로봉으로 연결하고, 상기 가로봉과 바닥면을 와이어로 결합하여 멋스러움을 제공하면서도 지지강도를 극대화하여 안전한 목교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은 지면의 양측에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타설되며 일층 또는 이층의 계단 형태로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콘크리트 타설물(10)과; 상기 콘크리트 타설물 양측에 설치되며 철재 및 목재를 이용하여 사람이 걸어다닐 수 있도록 설치되는 바닥면(20)과; 상기 콘크리트 타설물의 일측에 상부방향으로 설치되는 반고리형 지지체(30)와; 상기 반고리형 지지체 사이를 연결하여 강성을 보조하는 가로 연결용 가로봉(40)과; 상기 가로봉과 바닥면을 연결하여 바닥면에 가해지는 압력을 가로봉 및 반고리형 지지체 유도하여 바닥면의 압력이 가로봉과 반고리형 지지체 및 콘크리트 타설물을 통해 지면으로 흡수되도록 유도하는 와이어(50)와; 상기 와이어와 바닥면 사이에 설치되면 와이어에 가해지는 장력을 체크하여 장력이 검출되지 않으면 와이어가 끊어진 것으로 판단하여 경보신호를 출력토록 유도하는 장력센서부(60)와; 상기 바닥면의 양측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어 사람이 추락하는 것을 막는 안전용 수직바(70)와; 상기 바닥면의 양측에 설치하되 안정용 수직바를 수평하게 관통하면서 설치되며 사람이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안전용 수평바(80)를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장력센서부(60)는 제어부(100)와 연결되고, 제어부(100)는 경보신호 자동 출력부(1000)와 연결되어 제어부(100)에서 장력센서부(60)를 점검한 결과 장력이 검출되지 않으면 경보신호 자동 출력부(1000)를 통해 경보신호를 출력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경보신호 자동 출력부(1000)는, 자체 전원에 의해서 전원을 인가시키는 전원부(1110)와; 상기 전원부의 출력단 일측에 설치되어 전원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을 스위칭시키는 제 1 릴레이 스위치(RY1)와; 상기 전원부의 출력단 타측에 설치되어 전원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원부를 스위칭 시키는 제 2 릴레이 스위치(RY2)와; 상기 제 2 릴레이 스위치의 출력단에 결합되며 제 2 릴레이 스위치가 스위칭되면 자기력을 발생시키는 제 3 릴레이 스위치(RY3)와; 상기 제 3 릴레이 스위치에 의해서 철편이 당겨지면서 회로를 통전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와; 상기 제 3 릴레이 스위치에 의해서 철편이 당겨지면서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1140)에 전원이 공급되어 경보신호가 경보신호 디스플레이부(1150)를 통해 디스플레이 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하는 제 2 경보 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sw2)와; 상기 제 2 릴레이 스위치를 스위칭시켜 제 3 릴레이 스위치가 스위칭되도록 유도하며, 이에 따라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와 제 2 경보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가 스위칭 되도록하고, 이후 제 2 릴레이 스위치를 오프시킴과 동시에 제 1 릴레이 스위치를 스위칭시켜, 제 3 릴레이 스위치는 오프시키고 동시에 제 1 릴레이 스위치에 연동되도록 구성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와 제 2 경보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의 스위칭 상태를 지속시켜 경보상태를 지속시키는 역할을 하는 경보 제어부(1120)와;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에 접점되어 제 1 릴레이 스위치로부터 전달되는 전원을 중계시켜 전원의 흐름을 지속시키는 회로 작동용 철편(1131)과; 상기 회로 작동용 철편(1131)에 연동하여 동작하도록 설계되며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이 온 되면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1140)에 전원을 연결하여 경보장치가 작동되도록 유도하는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1132)과; 상기 회로 작동용 철판(1131)의 하단에 설치되며 하부말단이 S극인 막대자석 형태로 이루어져 S극의 영향으로 제 3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와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이 항상 오프상태를 유지하도록 유도하는 제 1 자기유지수단(1133)과;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의 상부에 설치하되 상부 말단이 S극인 막대자석 형태로 이루어지며 제 3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하부 말단이 S극인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을 상호 밀쳐내어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을 밀어 올림으로서 전기적으로 오프 상태를 유지시키며, 제 3 릴레이 스위치 작동시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이 끌어당겨져 몸체의 상부를 구성하는 S극과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의 몸체의 상부를 구성하는 N극이 근접하게 위치되고 동시에 몸체의 하부를 구성하는 N극과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의 몸체의 하부를 구성하는 S극이 근접하게 위치되면서 제 1 자기유지수단(1133)과 자기적으로 결합되고 동시에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가 스위칭되면 제 3 릴레이 스위치의 작동이 멈추어도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의 부착 상태가 계속되어 제 1 릴레이 스위치를 통한 전원공급상태를 유지시키며, 이때 상기 제 3 릴레이 스위치의 작동으로 회로작동용 철편이 동작하면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이 자동으로 작동하여 경보신호가 외부로 출력되도록 동작하는 제 2 자기유지수단(1134)과; 상기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에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회로 작동용 철판(1131)의 하단에 설치되며 하부 말단이 S극인 막대자석 형태로 이루어져 상부 말단이 S극인 제 2 자기유지수단에 밀쳐지면서 제 3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을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로부터 들어올려 회로의 차단상태를 유지시키고, 제 3 릴레이 스위치 작동시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을 하강시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의 온 상태를 유지시키는 보조 자기유지수단(1133a)과; 상기 제 2 자기유지수단(1134)의 N극 주변을 감싼 형태로 설치되며 제 2 자기유지수단과 제 1 자기유지수단이 자기적으로 결합시에 상호 직접 결합되지 않고 일정간극을 유지한체 결합되도록 유도하며, 제 1 자기유지수단과 제 2 자기유지수단을 해체시에 자연스럽게 상호 분리가 가능토록 유도하는 간격제(1134a)와; 상기 회로작동용 철편과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에 결합되며, 경보신호 작동을 중단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조작하면 회로 작동용 철편과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을 오프시켜 경보신호 디스플레이부의 동작을 중단시킴으로서 더이상 경보신호가 출력되지 않토록 유도하는 수동 작동 스위치(1135)를 더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서 악취를 출력하는 악취 펌핑수단(110)을 안전용 수직바의 내부에 설치하여 이루어진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서 액상의 컬러색상을 외부로 분출하여 에러상황을 알리는 색상 펌핑수단(120)을 안전용 수직바의 내부에 설치하여 이루어진 것이 특징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양측면에 콘크리트 타설물을 생성시키고, 상기 콘크리트 타설물에 철재 구조물과 목재를 이용한 바닥면을 설치하며, 이와 동시에 콘크리트 타설물에 지지용 구조물을 수직하게 결합시키고, 상기 지지용 구조물과 바닥면을 와이어로 결합하여 멋스러움을 제공하면서도 지지강도를 극대화하여 안전한 목교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목교 구성도.
도 2는 와이어 방식을 이용한 조립식 목교 사시도.
도 3은 와이어 방식을 이용한 조립식 목교 정면도.
도 4는 와이어 방식을 이용한 조립식 목교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장력 센서부 상세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안전용 수직바에 악취펌핑수단 및 색상펌핑수단을 설치한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경보신호 자동 출력을 위한 블록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경보신호 자동 출력부 회로도.
도 9는 도 8의 요부 확대도.
도 10은 본 발명의 경보신호 자동 회로부 동작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이하 실시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이루는 기술적 구성요소를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각각의 시스템 기능구성에 이미 구비되어 있거나,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구비되는 시스템 기능구성은 가능한 생략하고, 본 발명을 위해 추가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는 기능구성을 위주로 설명한다.
만약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에 도시하지 않고 생략된 기능구성 중에서 종래에 이미 사용되고 있는 구성요소의 기능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또한 상기와 같이 생략된 구성요소와 본 발명을 위해 추가된 구성요소 사이의 관계도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하 실시예는 본 발명의 핵심적인 기술적 특징을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용어를 적절하게 변형하여 사용할 것이나,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일 뿐이다.
도 2는 와이어 방식을 이용한 조립식 목교 사시도.
도 3은 와이어 방식을 이용한 조립식 목교 정면도.
도 4는 와이어 방식을 이용한 조립식 목교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장력 센서부 상세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안전용 수직바에 악취펌핑수단 및 색상펌핑수단을 설치한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경보신호 자동 출력을 위한 블록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경보신호 자동 출력부 회로도.
도 9는 도 8의 요부 확대도.
도 10은 본 발명의 경보신호 자동 회로부 동작 예시도로서,
본 발명의 구성요소는 크게 콘크리트 타설물(10)과, 바닥면(20)과, 반고리형 지지체(30)와, 가로 연결용 가로봉(40)과, 와이어(50)와, 장력센서부(60)와, 안전용 수직바(70)와, 안전용 수평바(80)로 이루어진다.
상기 콘크리트 타설물(10)은 지면의 양측에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타설되며 일층 또는 이층의 계단 형태로 설치되어 이루어진다. 즉, 상기 콘크리트 타설물은 지면에 양생하여 이루어지되 적절히 땅속과 지상에 설치되어 단단한 지지구조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바닥면(20)은 콘크리트 타설물 양측에 설치되며 철재 및 목재를 이용하여 사람이 걸어다닐 수 있도록 설치된다. 즉, 상기 바닥면은 사람이 걸어다니기 때문에 H빔과 같은 철재와 상기 철재 상부에 배치되는 목재로 이루어지며, 사람은 목재 위를 걸어다니도록하고 철재류가 목재를 지지하여 무너지지 않토록 한다.
상기 반고리형 지지체(30)는 콘크리트 타설물의 일측에 상부방향으로 설치된다. 즉, 반고리형 지지체는 콘크리트 타설물에 설치되어 외부에서 가해지는 압력을 콘크리트 타설물을 통해 지면으로 향하도록 유도한다.
상기 가로 연결용 가로봉(40)은 반고리형 지지체 사이를 연결하여 강성을 보조한다. 즉, 가로 연결용 지지봉은 외부에서 가해지는 압력을 반고리형 지지체로 유도하여 콘크리트 타설물 및 지면을 통해 흡수되도록 유도한다.
상기 와이어(50)는 가로 연결용 가로봉과 바닥면을 연결하여 바닥면에 가해지는 압력을 가로 연결용 가로봉으로 유도하여 바닥면의 압력이 가로 연결용 가로봉과 반고리형 지지체 및 콘크리트 타설물을 통해 지면으로 흡수되도록 유도한다. 즉, 와이어는 바닥면에 가해지는 충격을 반고리형 지지체로 전달하여 지면으로 유도하기 위한 것으로 바닥면에 가해지는 압력를 흡수하여 바닥면을 보호한다.
상기 장력센서부(60)는 와이어와 바닥면 사이에 설치되면 와이어에 가해지는 장력을 체크하여 장력이 검출되지 않으면 와이어가 끊어진 것으로 판단하여 경보신호를 출력토록 유도한다. 즉, 장력센서부는 와이어의 끝단과 바닥면 사이에 설치되어 와이어에 적절한 장력이 가해지고 있는지를 판단하여 장력이 검출되지 않으면 와이어가 끊어진 것으로 판단할 수 있도록 유도하며 이에 따라 적절히 경보음을 출력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안전용 수직바(70)는 바닥면의 양측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어 사람이 추락하는 것을 막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안전용 수직바는 바닥면으로 부터 수직한 방향으로 설치되며 일정간격으로 배치하여 사람이 바닥면의 측면으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안전용 수평바(80)는 바닥면의 양측에 설치하되 안정용 수직바를 수평하게 관통하면서 설치되며 사람이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안전용 수평바는 수직바 사이를 연결하여 사람이 바닥면의 측면으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장력센서부(60)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와이어의 일측과 연결되어 와이어 연결부(68)와, 바닥면과 연결되는 바닥면 연결부(66)와. 상기 와이어 연결부와 바닥면 연결부 사이에 설치되는 보호부(62)와, 상기 보호부 내부에 관통 설치되어 와이어에 가해지는 장력을 측정하기 위한 장력센서(64)로 이루어지며, 와이어에 가해지는 장력을 체크하여 이상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하며, 장력이 검출되지 않으면 와이어가 끊어진 것으로 판단하여 경보신호를 외부로 출력토록 유도한다.
또한, 상기 장력센서(60)는 제어부(100)와 연결되고, 제어부(100)는 경보신호 자동 출력부(1000)와 연결되어 제어부(100)에서 장력센서(60)를 점검한 결과 장력이 검출되지 않으면 경보신호 자동 출력부(1000)를 통해 경보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경보신호 자동 출력부(1000)는, 전원부(1110)와, 제 1 릴레이 스위치(RY1)와, 제 2 릴레이 스위치(RY2)와, 제 3 릴레이 스위치(RY3)와,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와, 제 2 회로 연결 스위치(sw2)와, 경보 제어부(1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전원부(1110)는 자체 전원에 의해서 전원을 인가시킨다.
상기 제 1 릴레이 스위치(RY1)는 전원부의 출력단 일측에 설치되어 전원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을 스위칭시킨다.
상기 제 2 릴레이 스위치(RY2)는 전원부의 출력단 타측에 설치되어 전원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원부를 스위칭 시킨다.
상기 제 3 릴레이 스위치(RY3)는 제 2 릴레이 스위치의 출력단에 결합되며 제 2 릴레이 스위치가 스위칭되면 자기력을 발생시킨다.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는 제 3 릴레이 스위치에 의해서 철편이 당겨지면서 회로를 통전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제 2 경보 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sw2)는 제 3 릴레이 스위치에 의해서 철편이 당겨지면서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1140)에 전원이 공급되어 경보신호가 경보신호 디스플레이부(1150)를 통해 디스플레이 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경보 제어부(1120)는 제 2 릴레이 스위치를 스위칭시켜 제 3 릴레이 스위치가 스위칭되도록 유도하며, 이에 따라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와 제 2 경보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가 스위칭 되도록하고, 이후 제 2 릴레이 스위치를 오프시킴과 동시에 제 1 릴레이 스위치를 스위칭시켜, 제 3 릴레이 스위치는 오프시키고 동시에 제 1 릴레이 스위치에 연동되도록 구성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와 제 2 경보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의 스위칭 상태를 지속시켜 경보상태를 지속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회로 작동용 철편(1131)과, 경보신호 작동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1132)과, 제 1 자기유지수단(1133)과, 제 2 자기유지수단(1134)과, 보조 자기유지수단(1133a)과, 간극제(1134a)와, 수동 작동 스위치(1135)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은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에 접점되어 제 1 릴레이 스위치로부터 전달되는 전원을 중계시켜 전원의 흐름을 지속시킨다.
상기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1132)은 상기 회로 작동용 철편(1131)에 연동하여 동작하도록 설계되며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이 온 되면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1140)에 전원을 연결하여 경보장치가 작동되도록 유도한다.
상기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은 회로 작동용 철판(1131)의 하단에 설치되며 하부말단이 S극인 막대자석 형태로 이루어져 S극의 영향으로 제 3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와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이 항상 오프상태를 유지하도록 유도한다.
상기 제 2 자기유지수단(1134)은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의 상부에 설치하되 상부 말단이 S극인 막대자석 형태로 이루어지며 제 3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하부 말단이 S극인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을 상호 밀쳐내어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을 밀어 올림으로서 전기적으로 오프 상태를 유지시키며, 제 3 릴레이 스위치 작동시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이 끌어당겨져 몸체의 상부를 구성하는 S극과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의 몸체의 상부를 구성하는 N극이 근접하게 위치되고 동시에 몸체의 하부를 구성하는 N극과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의 몸체의 하부를 구성하는 S극이 근접하게 위치되면서 제 1 자기유지수단(1133)과 자기적으로 결합되고 동시에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가 스위칭되면 제 3 릴레이 스위치의 작동이 멈추어도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의 부착 상태가 계속되어 제 1 릴레이 스위치를 통한 전원공급상태를 유지시킨다. 이때 상기 제 3 릴레이 스위치의 작동으로 회로작동용 철편이 동작하면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이 자동으로 작동하여 경보신호가 외부로 출력되도록 동작한다.
상기 보조 자기유지수단(1133a)는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에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회로 작동용 철판(1131)의 하단에 설치되며 하부 말단이 S극인 막대자석 형태로 이루어져 상부 말단이 S극인 제 2 자기유지수단에 밀쳐지면서 제 3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을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로부터 들어올려 회로의 차단상태를 유지시키고, 제 3 릴레이 스위치 작동시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을 하강시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의 온 상태를 유지시킨다.
특히, 보조 자기유지수단(1133a)은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이 망실되더라도 제 2 자기유지수단(1134)에 영향을 미치어서 제 3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의 오프 상태를 유지시키고, 제 3 릴레이 스위치 작동시 제 2 자기유지수단과 자기적으로 결합되어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의 온 상태를 유지시킨다.
상기 간격제(1134a)는 제 2 자기유지수단(1134)의 N극 주변을 감싼 형태로 설치되며 제 2 자기유지수단과 제 1 자기유지수단이 자기적으로 결합시에 상호 직접 결합되지 않고 일정간극을 유지한체 결합되도록 유도하며, 제 1 자기유지수단과 제 2 자기유지수단을 해체시에 상기 간격제의 작용으로 보다 자연스럽게 상호 분리가 가능토록 유도한다. 만약에 간격제가 존재하지 않으면 제 1 자기유지수단의 몸체와 제 2 자기유지수단의 몸체가 직접 붙게 되므로 나중에 상호 분리가 어렵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간격제를 더 부가 설치하여 제 1 자기유지수단과 제 2 자기유지수단이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상기 간격제를 제 2 자기유지수단의 N극 주변에만 설치하는 이유는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제 1 자기유지수단과 제 2 자기유지수단이 분리되어 있어야 하며, 이때 제 1 자기유지수단의 S극과 제 2 자기유지수단의 S극이 상호 마주보게 되어 분리상태를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다. 만약에 간격제를 제 2 자기유지수단의 S극까지 감싸게 되면 제 3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제 1 자기유지수단과 제 2 자기유지수단의 S극이 간격제의 방해에 의해서 밀치는 강도가 약해지므로 이격상태 유지가 불안정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제 2 자기유지수단의 N극에만 간격제를 설치하여 제 1 자기유지수단과 제 2 자기유지수단의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하고, 자기적으로 결합시에는 인접한 서로다른 극의 배치로 인하여 상호 용이하게 자기적 결합상태를 유지시키도록 하였다. 실제로 제 1 자기유지수단과 제 2 자기유지수단이 상호 결합되게 되면 제 1 자기유지수단의 N극과 제 2 자기유지수단의 S극이 바로 근접하게 위치하게 되며, 이로 인하여 자기적으로 강하게 결합되어 릴레이 스위치가 오프되도라도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의 하강상태가 지속됨으로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의 온 상태를 지속시킬 수 있다.
상기 수동 작동 스위치(1135)는 회로작동용 철편과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에 결합되며, 경보신호 출력부가 오프된 상태에서 경보신호 작동을 중단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조작하면 회로 작동용 철편과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을 오프되어 경보신호 디스플레이부의 동작을 중단시킴으로서 더이상 경보신호가 출력되지 않토록 한다.
이하에서 경보신호 자동 출력부(1000)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경보신호 출력을 위한 제어관계를 살펴보면, 제어부에서 제 2 릴레이 스위치에 전원을 인가하여 제 3 릴레이 스위치를 작동시킨다. 이에 따라 제 3 릴레이 스위치의 작동으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 및 경보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sw2)가 온 되면서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1140)에 전원이 인가되어 경보신호가 디스플레이 된다.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가 작동하면 제어부는 제 2 릴레이 스위치의 작동을 차단하여 제 3 릴레이 스위치의 작동을 차단시키고, 동시에 제 1 릴레이 스위치를 작동시킨다.
한편, 만약 작업자가 경보신호가 출력되는 도중에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 및 경보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를 오프시키게 되면 제어부에서 이를 파악하게 되고, 그러면 제 2 릴레이 스위치를 작동시켜 제 3 릴레이 스위치가 작동되도록하여 철편을 이동시키면서 폐회로를 유지시키고 동시에 경보신호 제어부(1140)로 출력되는 전원을 복귀시켜 계속적으로 경보신호 디스플레이부(1150)를 작동시킬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은 경보요인을 해결하지 않으면 계속적으로 경고음을 출력시키도록하여 반드시 경보요인을 해결하도록 유도한다.
즉, 제어부에서 제 2 릴레이 스위치 및 제 1 릴레이 스위치에 스위칭 신호를 인가하면 다시 전원을 복귀시켜 경보신호가 자동으로 출력되며, 이에 따라 경보상황이 완전히 제거되는 것을 인지하지 못하여 경보신호를 차단하더라도 다시 재작동되므로 작업자로 하여금 경보신호의 발생원인을 확실하게 해결토록 유도할 수 있다.
만약에 제어부에서 더이상 경보신호의 출력이 필요없다고 인정되면 제 1 릴레이 스위치 및 제 2 릴레이 스위치에 더이상 전원신호를 인가하지 않게 되므로 이때에는 수동 스위치(1135)를 사용자가 조작하여 경보신호를 수동으로 차단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안전용 수직바(70)의 내부에 악취 펌핑수단(110)을 더 삽입하고 동시에 제어부(100)에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장력센서부의 점검결과 장력이 검출되지 않으면 비상상황으로 인식하여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악취를 바닥면으로 분사하여 바닥면에 존재하는 사용자가 빨리 벗어나도록 유도한다. 미설명부호 71은 악취 펌핑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악취 펌핑 통로이다.
또한, 본 발명은 안전용 수직바(70)의 내부에 색상펌핑수단(120)을 더 삽입하고 동시에 제어부(100)에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장력센서부(60)의 점검결과 장력이 검출되지 않으면 비상상황으로 인식하여 제어부(100)의 제어에 따라 색상 펌핑수단(50)을 가동하여 적색 컬러색을 바닥면으로 분사시킴으로서 사용자가 바닥면에 진입하는 것을 차단한다. 미설명부호 72는 색상펌핑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색상 펌핑 통로이다.
10: 콘크리트 타설물
20: 바닥면
30: 반고리형 지지체
40: 가로 연결용 가로봉
50: 와이어
60: 장력센서부
70: 안전용 수직바
80: 안전용 수평바
100: 제어부
1000: 경보신호 자동 출력부

Claims (5)

  1. 지면의 양측에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타설되며 일층 또는 이층의 계단 형태로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콘크리트 타설물(10)과;
    상기 콘크리트 타설물 양측에 설치되며 철재 및 목재를 이용하여 사람이 걸어다닐 수 있도록 설치되는 바닥면(20)과;
    상기 콘크리트 타설물의 일측에 상부방향으로 설치되는 반고리형 지지체(30)와;
    상기 반고리형 지지체 사이를 연결하여 강성을 보조하는 가로 연결용 가로봉(40)과;
    상기 가로봉과 바닥면을 연결하여 바닥면에 가해지는 압력을 가로봉 및 반고리형 지지체 유도하여 바닥면의 압력이 가로봉과 반고리형 지지체 및 콘크리트 타설물을 통해 지면으로 흡수되도록 유도하는 와이어(50)와;
    상기 와이어와 바닥면 사이에 설치되며 와이어에 가해지는 장력을 체크하여 장력이 검출되지 않으면 와이어가 끊어진 것으로 판단하여 경보신호를 출력토록 유도하는 장력센서부(60)와;
    상기 바닥면의 양측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어 사람이 추락하는 것을 막는 안전용 수직바(70)와;
    상기 바닥면의 양측에 설치하되 안전용 수직바를 수평하게 관통하면서 설치되며 사람이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안전용 수평바(80)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장력센서부(60)는 제어부(100)와 연결되고, 제어부(100)는 경보신호 자동 출력부(1000)와 연결되어 제어부(100)에서 장력센서부(60)를 점검한 결과 장력이 검출되지 않으면 경보신호 자동 출력부(1000)를 통해 경보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경보신호 자동 출력부(1000)는,
    자체 전원에 의해서 전원을 인가시키는 전원부(1110)와;
    상기 전원부의 출력단 일측에 설치되어 전원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을 스위칭시키는 제 1 릴레이 스위치(RY1)와;
    상기 전원부의 출력단 타측에 설치되어 전원부로부터 출력되는 전원부를 스위칭 시키는 제 2 릴레이 스위치(RY2)와;
    상기 제 2 릴레이 스위치의 출력단에 결합되며 제 2 릴레이 스위치가 스위칭되면 자기력을 발생시키는 제 3 릴레이 스위치(RY3)와;
    상기 제 3 릴레이 스위치에 의해서 철편이 당겨지면서 회로를 통전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와;
    상기 제 3 릴레이 스위치에 의해서 철편이 당겨지면서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1140)에 전원이 공급되어 경보신호가 경보신호 디스플레이부(1150)를 통해 디스플레이 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하는 제 2 경보 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sw2)와;
    상기 제 2 릴레이 스위치를 스위칭시켜 제 3 릴레이 스위치가 스위칭되도록 유도하며, 이에 따라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와 제 2 경보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가 스위칭 되도록하고, 이후 제 2 릴레이 스위치를 오프시킴과 동시에 제 1 릴레이 스위치를 스위칭시켜, 제 3 릴레이 스위치는 오프시키고 동시에 제 1 릴레이 스위치에 연동되도록 구성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와 제 2 경보신호 출력용 전원 스위치의 스위칭 상태를 지속시켜 경보상태를 지속시키는 역할을 하는 경보 제어부(1120)와;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에 접점되어 제 1 릴레이 스위치로부터 전달되는 전원을 중계시켜 전원의 흐름을 지속시키는 회로 작동용 철편(1131)과;
    상기 회로 작동용 철편(1131)에 연동하여 동작하도록 설계되며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이 온 되면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1140)에 전원을 연결하여 경보장치가 작동되도록 유도하는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1132)과;
    상기 회로 작동용 철판(1131)의 하단에 설치되며 하부말단이 S극인 막대자석 형태로 이루어져 S극의 영향으로 제 3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와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이 항상 오프상태를 유지하도록 유도하는 제 1 자기유지수단(1133)과;
    상기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의 상부에 설치하되 상부 말단이 S극인 막대자석 형태로 이루어지며 제 3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하부 말단이 S극인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을 상호 밀쳐내어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을 밀어 올림으로서 전기적으로 오프 상태를 유지시키며, 제 3 릴레이 스위치 작동시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이 끌어당겨져 몸체의 상부를 구성하는 S극과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의 몸체의 상부를 구성하는 N극이 근접하게 위치되고 동시에 몸체의 하부를 구성하는 N극과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의 몸체의 하부를 구성하는 S극이 근접하게 위치되면서 제 1 자기유지수단(1133)과 자기적으로 결합되고 동시에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가 스위칭되면 제 3 릴레이 스위치의 작동이 멈추어도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의 부착 상태가 계속되어 제 1 릴레이 스위치를 통한 전원공급상태를 유지시키며, 이때 상기 제 3 릴레이 스위치의 작동으로 회로작동용 철편이 동작하면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이 자동으로 작동하여 경보신호가 외부로 출력되도록 동작하는 제 2 자기유지수단(1134)과;
    상기 제 1 자기유지수단(1133)에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회로 작동용 철판(1131)의 하단에 설치되며 하부 말단이 S극인 막대자석 형태로 이루어져 상부 말단이 S극인 제 2 자기유지수단에 밀쳐지면서 제 3 릴레이 스위치 미작동시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을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로부터 들어올려 회로의 차단상태를 유지시키고, 제 3 릴레이 스위치 작동시 회로 작동용 철편(1131)을 하강시켜 제 1 회로 연결 스위치(sw1)의 온 상태를 유지시키는 보조 자기유지수단(1133a)과;
    상기 제 2 자기유지수단(1134)의 N극 주변을 감싼 형태로 설치되며 제 2 자기유지수단과 제 1 자기유지수단이 자기적으로 결합시에 상호 직접 결합되지 않고 일정간극을 유지한체 결합되도록 유도하며, 제 1 자기유지수단과 제 2 자기유지수단을 해체시에 자연스럽게 상호 분리가 가능토록 유도하는 간격제(1134a)와;
    상기 회로작동용 철편과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에 결합되며, 경보신호 작동을 중단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조작하면 회로 작동용 철편과 경보신호 출력 제어부 전원 연결용 철편을 오프시켜 경보신호 디스플레이부의 동작을 중단시킴으로서 더이상 경보신호가 출력되지 않토록 유도하는 수동 작동 스위치(1135)를 더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방식을 이용한 조립식 목교.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70105146A 2017-08-19 2017-08-19 와이어 방식을 이용한 조립식 목교 KR1018158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5146A KR101815869B1 (ko) 2017-08-19 2017-08-19 와이어 방식을 이용한 조립식 목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5146A KR101815869B1 (ko) 2017-08-19 2017-08-19 와이어 방식을 이용한 조립식 목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5869B1 true KR101815869B1 (ko) 2018-01-08

Family

ID=610039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5146A KR101815869B1 (ko) 2017-08-19 2017-08-19 와이어 방식을 이용한 조립식 목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586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6787Y1 (ko) * 2018-01-05 2018-06-28 문진기 와이어 방식을 이용한 조립식 인도교
KR200486788Y1 (ko) * 2018-01-05 2018-06-28 문진기 캐노피를 갖는 조립식 인도교
KR200486786Y1 (ko) * 2018-01-05 2018-06-28 문진기 현수교 방식을 이용한 조립식 인도교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87227A (ja) * 2008-02-05 2009-08-20 Air Water Safety Service Inc 臭気発生警報装置および異常事態報知方法
US20110047722A1 (en) * 2009-09-03 2011-03-03 Meheen H Joe Hoop Truss Bridge
JP2012083217A (ja) * 2010-10-12 2012-04-26 Toshiba Logistics Corp 張力評価装置及びその張力評価方法
KR101382183B1 (ko) * 2014-01-16 2014-04-17 주식회사 백년 패널 탈락방지 수단을 갖는 방호구조물 및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87227A (ja) * 2008-02-05 2009-08-20 Air Water Safety Service Inc 臭気発生警報装置および異常事態報知方法
US20110047722A1 (en) * 2009-09-03 2011-03-03 Meheen H Joe Hoop Truss Bridge
JP2012083217A (ja) * 2010-10-12 2012-04-26 Toshiba Logistics Corp 張力評価装置及びその張力評価方法
KR101382183B1 (ko) * 2014-01-16 2014-04-17 주식회사 백년 패널 탈락방지 수단을 갖는 방호구조물 및 시공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6787Y1 (ko) * 2018-01-05 2018-06-28 문진기 와이어 방식을 이용한 조립식 인도교
KR200486788Y1 (ko) * 2018-01-05 2018-06-28 문진기 캐노피를 갖는 조립식 인도교
KR200486786Y1 (ko) * 2018-01-05 2018-06-28 문진기 현수교 방식을 이용한 조립식 인도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5869B1 (ko) 와이어 방식을 이용한 조립식 목교
EP2588402B1 (en) An aerial lift with safety device
AU2012356476B2 (en) An aerial lift with safety device and alarm
KR101153903B1 (ko) 건축공사 거푸집 처짐 감지 장치
CN104857644A (zh) 一种可移动式楼外高层消防救援系统
KR101607652B1 (ko) 출렁다리용 와이어 결속장치
KR101823883B1 (ko) 캐노피를 갖는 조립식 목교
KR101823881B1 (ko) 현수교 방식을 이용한 조립식 목교
KR101382183B1 (ko) 패널 탈락방지 수단을 갖는 방호구조물 및 시공방법
JP3195948U (ja) 止水板装置
KR100870247B1 (ko) 매설형 지중전선 고정대
KR200486786Y1 (ko) 현수교 방식을 이용한 조립식 인도교
KR101856420B1 (ko) 반발 부상 및 진공상태를 이용한 고속열차 운행 시스템
JP4884058B2 (ja) 消火栓装置
KR200486787Y1 (ko) 와이어 방식을 이용한 조립식 인도교
KR200486788Y1 (ko) 캐노피를 갖는 조립식 인도교
KR20190023032A (ko) 와이어를 이용한 비닐하우스 제배시설
KR200486239Y1 (ko) 항타형 확장 인도교
JP2005096899A (ja) エレベータードアの安全装置
CN204919342U (zh) 一种市政工程桥梁湿接缝钢筋焊接焊渣承接装置
CN211340985U (zh) 一种带有防护装置的消防地上栓
KR101964420B1 (ko) 저전력 순간 온수장치와 제조방법 및 구동방법
KR101850346B1 (ko) 항타형 확장 인도교 및 시공방법
JP2010168181A (ja) エレベーター用注意喚起装置
JP2018089210A (ja) トンネル非常用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